KR20190009995A - 타투 머신 - Google Patents

타투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995A
KR20190009995A KR1020170092064A KR20170092064A KR20190009995A KR 20190009995 A KR20190009995 A KR 20190009995A KR 1020170092064 A KR1020170092064 A KR 1020170092064A KR 20170092064 A KR20170092064 A KR 20170092064A KR 20190009995 A KR20190009995 A KR 20190009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needle
length adjusting
couple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섭
Original Assignee
이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섭 filed Critical 이대섭
Priority to KR1020170092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9995A/ko
Publication of KR20190009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i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모터에 의해 반복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니들을 이용하여 색소를 피부에 침투시켜 문양을 형성하는 타투 머신에 관한 것으로, 구동모터와, 니들이 결합되는 구동로드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구동로드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구동력 전환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구동력 전환수단은, 외주면 둘레를 따라 경사홈이 형성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부재와, 경사홈에 후단부 일측이 삽입되고 구동로드를 지지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투 머신{Tattoo machine}
본 발명은 타투 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에 의해 반복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니들을 이용하여 색소를 피부에 침투시켜 문양을 형성하는 타투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영구 화장 및 타투용 니들 또는 약물 침투용 니들을 이용한 기구장치(이하, '타투 머신')는, 각기 시술 용도에 맞는 니들을 이용해 색소를 사람의 피부에 침투시켜, 각종 기호, 글자, 도형과 같은 무늬 또는 그림 등을 미용성형을 위해 반영구 또는 영구적으로 새기거나, 의료용 약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침투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종래의 타투 머신은 타투 시술의 편의를 위하여 니들이 자동으로 전후 직선 왕복운동을 하고, 이렇게 니들이 전후 왕복운동을 하는 동안에 의료용 색소 또는 약품이 니들을 타고 내려오도록 하며, 사람의 피부에 일정 깊이로 니들을 삽입함으로써, 의료용 색소 및 약품을 피부에 침투시켜 다양한 미용성형, 피부개선, 미용문신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타투 머신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니들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함에 있어서, 복잡한 캠 구조로 인해 고장이 잦거나 진동 및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여, 정교한 시술 작업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타투 머신은 선단에서 출몰하는 니들의 노출 길이를 조절할 수가 없어, 용도나 시술 깊이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의 니들을 별도로 준비하여 필요할 때마다 일일이 교체해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서 진동 및 소음이 최소화된 타투 머신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도에 따라 니들의 노출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타투 머신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중 진동에 의한 니들의 노출 길이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타투 머신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모터; 니들이 결합되는 구동로드;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로드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구동력 전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전환수단은, 외주면 둘레를 따라 경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부재와, 상기 경사홈에 후단부 일측이 삽입되고 상기 구동로드를 지지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투 머신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재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 중앙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구동로드를 지지하는 지지로드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지지로드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내부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몸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후단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로드가 삽입되도록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는 삽입홀이 축선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내부 하우징의 전단에 후단이 결합되는 전방 하우징과, 상기 전방 하우징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니들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 하우징과, 상기 전방 하우징과 상기 길이조절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길이조절 하우징의 진동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방 하우징의 외주면 일측에 'ㄷ'자 형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링은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전방지링은, 일측에 사각형의 요홈이 절개 형성된 원형의 링바디와, 상기 링바디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각도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홀과, 상기 링바디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전방지링의 걸림부가 대응 결합하도록, 상기 길이조절 하우징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투 머신에 의하면, 캠부재의 경사홈에 이동부재의 후단부 일측이 삽입되는 구조로서, 캠부재의 회전시 이동부재가 경사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진동 및 소음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투 머신에 의하면, 전방 하우징에 대하여 길이조절 하우징을 회전시킴으로써, 니들의 노출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투 머신에 의하면, 전방 하우징과 길이조절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방지링에 의해, 진동에 따른 니들의 길이 변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투 머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력 전환수단의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력 전환수단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방지링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방지링의 결합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투 머신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투 머신(10)은,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봉 형태로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전방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니들(910)이 결합되는 구동로드(93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구동모터(310)와 구동력 전환수단(500)의 설치를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하우징(100)은 유지 보수의 편의를 위해 복수 개로 분할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투 머신(10)의 하우징(100)은, 후방 하우징(200), 모터 하우징(300), 중간 하우징(400), 내부 하우징(600), 전방 하우징(700), 길이조절 하우징(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0)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분할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후방 하우징(2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후단(도면상 우측)에는 케이블 연결부(210)의 결합을 위한 관통공(220)이 형성된다. 또한, 후방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구동모터(310)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230)이 설치되며, 이 브라켓(230)을 관통하여 전원 케이블(미도시)이 구동모터(310)에 연결될 수 있다.
후방 하우징(200)의 전방(도면상 좌측)에 원통형의 모터 하우징(300)이 결합된다. 후방 하우징(200)과 모터 하우징(300)은 나사 결합 또는 끼움 결합의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모터 하우징(300)의 내부에는 구동축(311)이 전방을 향하도록 구동모터(310)가 장착된다.
모터 하우징(300)의 전방에 원통형의 중간 하우징(400)이 결합된다. 모터 하우징(300)과 중간 하우징(400)은 나사 결합 또는 끼움 결합의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중간 하우징(400)의 내부에는 구동력 전환수단(500)과 내부 하우징(600)이 장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력 전환수단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력 전환수단(500)은, 구동모터(310)의 회전력을 후술하는 구동로드(930)와 니들(910)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310)에 의해 회전하는 캠부재(510)와, 캠부재(510)의 회전에 따라 전후 왕복운동하는 이동부재(5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캠부재(510)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경사홈(511)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서, 구동모터(310)의 구동축(311)에 후단이 결합되어 구동축(311)과 일체로 회전한다. 즉, 구동모터(310)의 작동에 의한 구동축(311)의 회전시, 캠부재(510)가 구동축(311)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캠부재(510)의 경사홈(511)은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데, 후단부 일측에서 일 방향을 따라 180°를 돌아서 전단부까지 연장되는 상향 경사부(512)와, 상향 경사부(512)의 끝단에서 일 방향을 따라 180°를 돌아서 원래의 경사홈(511) 시작 지점으로 돌아오는 하향 경사부(513)를 포함한다. 즉, 캠부재(510)의 경사홈(511)은 캠부재(510)의 축선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진 타원 형태를 이룬다.
캠부재(510)의 전방에 이동부재(520)가 배치된다. 이때, 이동부재(52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521)와, 몸체(521)의 전면 중앙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술하는 구동로드(930)를 지지하는 지지로드(525)와, 몸체(521)의 후단부 내측에 돌출 형성되며 캠부재(510)의 경사홈(511)에 삽입되는 삽입부(526)를 포함한다.
이동부재(520)의 몸체(521)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전면부(522)와, 전면부(522)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벽(523)과, 전면부(522)의 길이 방향 타측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벽(524)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몸체(521)의 전면부(522) 후방에는 전면부(522)와 제1,제2 측벽(523,524)에 의해 구획된 공간부가 형성되며, 몸체(521)의 후방과 폭 방향 양측은 개방된다. 또한, 제1 측벽(523)과 제2 측벽(524)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몸체(521)의 전면부(522)가 캠부재(510)의 전면에 밀착되었을 때, 제1 측벽(523)의 후단은 경사홈(511)의 최후단(상향 경사부(512)의 시작 지점)까지 연장 형성되고, 제2 측벽(524)의 후단은 경사홈(511)의 최전단(하향 경사부(513)의 시작 지점)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캠부재(510)에 대한 이동부재(520)의 장착시, 캠부재(510)의 전단부가 이동부재(520) 몸체(521)의 전면부(522) 후방에 형성되는 공간부로 삽입되며, 이때 이동부재(520)는 제1 측벽(523)의 후단부 내측에 돌출 형성된 삽입부(526)가 캠부재(510)의 경사홈(511)에 삽입된다.
일 예로서, 이동부재(520)의 삽입부(526)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롤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측벽(523)과 삽입부(526)를 관통하여 결합핀(527)이 결합되고, 삽입부(526)는 결합핀(527)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측벽(523)의 내측에 배치된다. 필요에 따라, 결합핀(527)과 삽입부(526) 사이에 베어링(528)이 개재될 수 있다.
이동부재(520)의 전면부(522)에는 전방을 향해 지지로드(525)가 연장 형성된다. 이 지지로드(525)는 전단부가 후술하는 구동로드(930)의 후단을 지지하며, 지지로드(525)의 전후 왕복 이동에 따라 구동로드(930)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력 전환수단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310)에 의한 캠부재(510)의 회전시, 캠부재(510)의 경사홈(511)을 따라 이동부재(520)의 삽입부(526)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하며, 이때 이동부재(520)의 몸체(521)는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는 이동부재(520)의 삽입부(526)가 캠부재(510)의 경사홈(511) 후단(상향 경사부(512)의 시작 지점)에 위치한다. 이어서, 구동모터(310)의 작동에 의해 캠부재(510)가 회전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520)의 삽입부(526)가 캠부재(510)의 경사홈(511)을 따라 경사홈(511)의 전단(상향 경사부의 끝 지점)까지 이동하는데, 이때 이동부재(520)의 몸체(521) 역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지지로드(525)가 구동로드(930)를 밀어서 구동로드(930)에 결합된 니들(91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캠부재(510)가 더 회전하면, 이동부재(520)의 삽입부(526)는 경사홈(511)의 하향 경사부(513)를 따라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며, 지지로드(525)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구동로드(930)는 후술하는 니들 팁(900)의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며, 구동로드(930)와 함께 니들(910) 역시 후방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이 연속되면, 캠부재(510)의 회전에 따라 이동부재(520)의 전후 왕복 운동이 계속되며, 사용자는 전후 왕복 운동하는 니들(910)을 이용하여 타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캠부재(510)와 삽입부(526)의 마찰과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해, 캠부재(510)와 삽입부(526)의 접촉면에 윤활재(미도시)가 도포될 수 있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부재(520)의 전방에 내부 하우징(600)이 결합된다. 내부 하우징(600)은 후단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단에는 복수 개의 단턱(610)이 단차 형성된 원통형 블록 형태로서, 내부 하우징(600) 후단의 공간부에 전술한 이동부재(520)가 수용된다. 내부 하우징(600)에는 축선을 따라 삽입홀(620)이 관통 형성되며, 이 삽입홀(620)에 이동부재(520)의 지지로드(525)가 삽입 지지된다. 즉, 내부 하우징(600)의 삽입홀(620)은 지지로드(525)의 전후 왕복 이동시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 하우징(600)의 삽입홀(620)로 삽입된 지지로드(525)는 전단부가 내부 하우징(6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후술하는 구동로드(930)의 후단에 지지된다.
한편, 내부 하우징(600)과 이동부재(520) 사이에는 이동부재(520)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530)이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코일스프링(530)은 지지로드(525)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전단이 삽입홀(620)의 후단 테두리에 지지되고 후단이 이동부재(520)의 몸체(521) 전면부(522)에 지지되어, 이동부재(520)를 후방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내부 하우징(600)의 전방에 전방 하우징(700)이 결합된다. 전방 하우징(700)은 걸림턱(710)을 갖는 제1 삽입홈(720)이 후단에 형성되며, 이 제1 삽입홈(720)에 내부 하우징(600)의 전단부가 삽입된다. 전방 하우징(700)은 후단부가 중간 하우징(400)의 전단부 내측에 나사 결합 또는 끼움 결합되며, 이때 전방 하우징(700)의 걸림턱(710)이 내부 하우징(600)의 단턱(610)에 안착된다. 전방 하우징(700)의 전단부에는 제2 삽입홈(730)이 형성되며, 제1 삽입홈(720)과 제2 삽입홈(730)은 연결홀(740)을 통해 서로 연통한다. 내부 하우징(600)의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로드(525)의 전단부는 연결홀(740)로 삽입되어 후술하는 구동로드(930)의 후단을 지지하게 된다.
전방 하우징(700)의 전방에는, 전방 하우징(7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길이조절 하우징(800)이 나사 결합된다. 길이조절 하우징(800)은 후단이 개방되고 전단에는 조립홀(810)이 관통 형성된 원통 형태로서, 전방 하우징(700)은 길이조절 하우징(800)의 내부에 수용된다.
여기서, 길이조절 하우징(800)의 조립홀(810)에 니들 팁(900)의 후단이 삽입, 장착된다. 일 예로서, 길이조절 하우징(800)의 조립홀(810)이 장방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조립홀(810)의 후단 테두리 단축 방향 양측에 지지홈(820)이 형성되며, 니들 팁(900)의 외주면 양측에는 지지홈(820)에 대응 결합되는 걸림돌기(940)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니들 팁(900)은 걸림돌기(940)가 조립홀(810)의 장축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조립홀(810)에 삽입된 후, 90° 회전하여 지지홈(820)에 대응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니들 팁(900)은 걸림돌기(940)가 조립홀(810)의 지지홈(820)에 걸려서 길이조절 하우징(800)으로부터 전방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걸림돌기(940)의 전방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환형돌출부(950)가 조립홈(810)의 전단 테두리에 걸리게 되므로, 길이조절 하우징(800)으로부터 니들 팁(900)의 후방 이탈이 방지된다.
니들 팁(9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니들(910)이 마련되며, 니들 팁(900)의 전단부 일측에는 의료용 색소 또는 약품의 주입을 위한 액체주입홀(920)이 절개 형성된다. 또한, 니들 팁(900)의 후단으로 구동로드(930)의 후단이 돌출되는데, 구동로드(930)의 후단은 연결홀(740)로 삽입되어 지지로드(525)의 전단에 지지되며, 구동로드(930)의 전단은 니들(910)의 후단에 결합된다.
이때, 니들(910)과 구동로드(930)는 니들 팁(900)의 내부에 설치된 루버밴드 등의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 지지된다. 즉, 캠부재(510)의 회전에 따른 지지로드(525)의 전방 이동시에는 구동로드(930)가 니들(91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탄성부재에 탄성력이 축적되며, 지지로드(525)의 후방 이동시에는 니들(910)과 함께 구동로드(930)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서 원위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하우징(700)에 대하여 길이조절 하우징(800)을 전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동시킴으로써, 니들 팁(900)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니들(910)의 돌출 길이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이때, 길이조절 하우징(800)의 전후방 이동은 전방 하우징(700)에 나사 결합된 길이조절 하우징(800)을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길이조절 하우징(80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전방 하우징(700)의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동시키면, 길이조절 하우징(800)과 함께 니들 팁(900)이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에 의해 구동로드(930)와 함께 지지로드(525)에 탄성 지지된 니들(910)은 상대적으로 니들 팁(900)의 내부로 소정 간격 들어가며, 구동모터(310) 작동시 니들 팁(900)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니들(910)의 돌출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반대로, 길이조절 하우징(80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동시키면, 길이조절 하우징(800)과 함께 니들 팁(900)이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에 의해 구동로드(930)와 함께 지지로드(525)에 탄성 지지된 니들(910)은 상대적으로 니들 팁(900)의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동하며, 구동모터(310) 작동시 니들 팁(900)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니들(910)의 돌출 길이가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하우징(700)에 대한 길이조절 하우징(800)의 회전에 의해 니들(910)의 돌출 길이가 조절되는데, 사용중 진동에 의해 길이조절 하우징(800)이 소정 각도 회전하면, 니들(910)의 돌출 길이가 예기치 못하게 변화되어 시술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길이조절 하우징(800)의 진동에 의한 회전 방지를 위해 전방 하우징(700)과 길이조절 하우징(800) 사이에 회전방지링(760)이 개재되며, 이하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방지링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방지링(76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사각형의 요홈(762)이 절개 형성된 원형의 링바디(761)와, 링바디(761)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 내측에 소정 각도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홀(763)과, 링바디(76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부(76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방지링(760)은 절개홀(763)에 의해 외측 테두리의 탄성 변경이 가능하며,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764)는 길이조절 하우징(8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홈(830)에 삽입 결합되어, 진동에 의한 길이조절 하우징(800)의 회전을 방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방지링의 결합 단면도이다.
전방 하우징(700)의 외주면 일측에는 횡단면상 'ㄷ'자 형태의 끼움홈(750)이 형성된다. 회전방지링(760)은 전방 하우징(700)의 끼움홈(750)에 끼움 결합되어 내측 테두리가 전방 하우징(700)의 외측면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전방 하우징(700)을 중심으로 한 회전방지링(760)의 회전이 제한된다.
길이조절 하우징(800)의 내주면 일측에는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의 걸림홈(830)이 돌출 형성되며, 전방 하우징(700)과 길이조절 하우징(800)의 결합시 회전방지링(760)의 걸림부(764)가 길이조절 하우징(800)의 걸림홈(830)에 삽입 결합된다.
이에 따라, 진동에 의한 길이조절 하우징(800)의 회전시, 회전방지링(760)의 걸림부(764)가 길이조절 하우징(800)의 걸림홈(830) 일측에 걸려서 길이조절 하우징(80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반면에, 전방 하우징(700)으로부터 길이조절 하우징(800)을 분리하거나, 니들(910)의 돌출 길이 조절을 위해 길이조절 하우징(800)을 전후방으로 이동켜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충분한 외력을 가하여 회전방지링(760)에 대해 길이조절 하우징(800)을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에는 회전방지링(760)의 외측 테두리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며, 회전방지링(760)의 걸림부(764)가 길이조절 하우징(800)의 걸림홈(830)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회전방지링(760)에 대한 길이조절 하우징(800)의 회전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투 머신(10)에 의하면, 회전하는 캠부재(510)의 경사홈(511)을 따라 이동부재(520)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진동 및 소음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방 하우징(700)에 대하여 길이조절 하우징(800)을 회전시킴으로써 니들(910)의 노출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전방 하우징(700)과 길이조절 하우징(800)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방지링(760)에 의해, 작업 중 진동에 따른 길이조절 하우징(800)의 회전과 이에 따른 예기치 못한 니들(910)의 길이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타투 머신 100 : 하우징
200 : 후방 하우징 210 : 케이블 연결부
300 : 모터 하우징 310 : 구동모터
400 : 중간 하우징 500 : 구동력 전환수단
510 : 캠부재 511 : 경사홈
520 : 이동부재 525 : 지지로드
526 : 삽입부 600 : 내부 하우징
700 : 전방 하우징 750 : 끼움홈
760 : 회전방지링 800 : 길이조절 하우징
900 : 니들 팁 910 : 니들
920 : 액체주입홀 930 : 구동로드

Claims (9)

  1. 구동모터;
    니들이 결합되는 구동로드;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로드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구동력 전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전환수단은, 외주면 둘레를 따라 경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부재와, 상기 경사홈에 후단부 일측이 삽입되고 상기 구동로드를 지지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투 머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 중앙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구동로드를 지지하는 지지로드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투 머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투 머신.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지지로드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내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투 머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몸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후단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로드가 삽입되도록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는 삽입홀이 축선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투 머신.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전단에 후단이 결합되는 전방 하우징과, 상기 전방 하우징을 감싸도록 나사 결합되며 상기 니들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 하우징과, 상기 전방 하우징과 상기 길이조절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길이조절 하우징의 진동에 의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투 머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방 하우징의 외주면 일측에 'ㄷ'자 형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링은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투 머신.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링은, 일측에 사각형의 요홈이 절개 형성된 원형의 링바디와, 상기 링바디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각도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홀과, 상기 링바디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투 머신.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링의 걸림부가 대응 결합하도록, 상기 길이조절 하우징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투 머신.
KR1020170092064A 2017-07-20 2017-07-20 타투 머신 KR20190009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064A KR20190009995A (ko) 2017-07-20 2017-07-20 타투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064A KR20190009995A (ko) 2017-07-20 2017-07-20 타투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995A true KR20190009995A (ko) 2019-01-30

Family

ID=6527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064A KR20190009995A (ko) 2017-07-20 2017-07-20 타투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999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026B1 (ko) * 2020-05-21 2020-12-03 박용택 문신 장치
KR20210001475A (ko) 2019-06-28 2021-01-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자동 타투 장치
KR200495652Y1 (ko) * 2021-08-31 2022-07-15 구동원 바늘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문신장치
KR200495651Y1 (ko) * 2021-09-02 2022-07-15 구동원 솔레노이드가 이용된 문신장치
KR20230016091A (ko) * 2021-07-22 2023-02-01 주식회사 피비에스코리아 두피 문신 니들 장치
KR102619366B1 (ko) * 2023-06-12 2023-12-29 김지현 멀티플 도트 SMP(Scalp Micro Pigmentation)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475A (ko) 2019-06-28 2021-01-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자동 타투 장치
KR102186026B1 (ko) * 2020-05-21 2020-12-03 박용택 문신 장치
WO2021235666A1 (ko) * 2020-05-21 2021-11-25 박용택 문신 장치
KR20230016091A (ko) * 2021-07-22 2023-02-01 주식회사 피비에스코리아 두피 문신 니들 장치
KR200495652Y1 (ko) * 2021-08-31 2022-07-15 구동원 바늘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문신장치
KR200495651Y1 (ko) * 2021-09-02 2022-07-15 구동원 솔레노이드가 이용된 문신장치
KR102619366B1 (ko) * 2023-06-12 2023-12-29 김지현 멀티플 도트 SMP(Scalp Micro Pigmentation)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9995A (ko) 타투 머신
KR101150777B1 (ko) 문신장치
EP2420265A2 (en) Needle unit and dermatologic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using same
KR101400965B1 (ko) 피부용 액체주입장치
US20100036317A1 (en) Handheld device for the local puncturing of a human or an animal skin, drive unit, needle unit and method for coupling
EP2404524A1 (en) Liquid applicator vessel
AU2016324546A1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tool
KR101765241B1 (ko) 피부 시술장치
KR101593617B1 (ko) 반영구 화장 및 문신용 니들 또는 약물 침투용 니들을 전후 왕복이동시키는 다목적 멀티 니들 구동 머신장치
JP2021505350A (ja) 皮膚穿刺用のデバイス及び針モジュール
KR101593639B1 (ko) 반영구 화장 및 문신용 니들 또는 약물 침투용 니들을 구비한 교체형 니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다목적 멀티 니들 구동 머신장치
KR20180047103A (ko)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KR101209232B1 (ko) 니들 디바이스
KR101492226B1 (ko) 축방향 왕복 운동 장치
KR102042176B1 (ko) 피부표시기
CN109975983A (zh) 瞳距可调式头戴设备
KR101564431B1 (ko) 미세침 치료 장치
KR20170137849A (ko) 안내 렌즈 삽입 기구
US7175639B2 (en) Cutter blade assembly for a microkeratome
JP2010124913A (ja) 内視鏡用処置具
CN211050154U (zh) 一种按摩装置
KR200384888Y1 (ko) 영구 메이크업 장치
CN113230492A (zh) 剂量可调的药液给送装置
KR101840320B1 (ko) 문신장치
KR101484589B1 (ko) 니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