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888Y1 - 영구 메이크업 장치 - Google Patents

영구 메이크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888Y1
KR200384888Y1 KR20-2005-0002655U KR20050002655U KR200384888Y1 KR 200384888 Y1 KR200384888 Y1 KR 200384888Y1 KR 20050002655 U KR20050002655 U KR 20050002655U KR 200384888 Y1 KR200384888 Y1 KR 200384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housing
needle tube
shaft
cylindr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6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덕
Original Assignee
김기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덕 filed Critical 김기덕
Priority to KR20-2005-00026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8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8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이 간편하고 신속한 화장이 가능한 영구 메이크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영구 메이크업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전자를 구비한 구동모터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선단부의 단면이 경사진 원통형 부재와, 상기 원통형 부재를 통해서 상기 회전자와 연결되며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의 걸림돌기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단의 걸림돌기는 상기 원통형 부재의 경사면 내측에 위치하고 하단의 걸림돌기는 경사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하로 왕복 직선 운동을 하는 니들튜브 및 상기 니들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니들(Needle)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구 메이크업 장치{A permanent make-up apparatus}
본 고안은 영구 메이크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이 간편하고, 신속한 화장(化粧)이 가능한 영구 메이크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썹이 극히 적은 부분 혹은 상처 등의 흉터에 의하여 눈썹이 없어진 부분에 주로 사용되는 눈 화장용 펜슬은 사용자가 직접 눈썹을 그려 넣는 등 피부의 표면에 도색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장품을 이용하여 피부 표면에 도색하는 경우 자연스러움을 잃게 됨은 물론, 땀을 흘리거나 세면을 했을 때 쉽게 지워져 매번 다시 눈썹을 그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 화장품을 대신하여 바늘과 같은 예리한 침으로 직접 눈썹 및 입술에 모양을 그리는 영구 화장술이 유행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사람이 직접 일일이 한 뜸 한 뜸 작업을 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너무나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이 간편하고 신속한 화장이 가능한 영구 메이크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영구 메이크업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전자를 구비한 구동모터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선단부의 단면이 경사진 원통형 부재와, 상기 원통형 부재를 통해서 상기 회전자와 연결되며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의 걸림돌기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단의 걸림돌기는 상기 원통형 부재의 경사면 내측에 위치하고 하단의 걸림돌기는 경사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하로 왕복 직선 운동을 하는 니들튜브 및 상기 니들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니들(Needle)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전원모듈이 내장되고 상부로 전원스위치가 돌출되는 상단 캡과, 내경에 상기 구동모터 및 원통형 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와 상단 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우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진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컨트롤 림과, 상기 하우징 본체에 밀착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싱과, 상기 프론트 케이싱에 연결되는 니들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샤프트와 니들 튜브 사이에는 상기 샤프트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외주면은 다각형 형상을 갖는 니들 튜브 커넥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프론트 케이싱은 그 내측에 상기 니들튜브 커넥터의 형상에 부합되는 니들튜브 커넥터 삽입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니들 튜브는 일측에 상기 니들튜브 커넥터에 삽입되는 다단의 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길이 방향으로 분할 절개된 니들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할 절개된 부위에 니들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니들 수용부의 외주면에 조임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니들 수용부를 압박하여 상기 니들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영구 메이크업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영구 메이크업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영구 메이크업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영구 메이크업 장치에 따른 요부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영구 메이크업 장치는, 크게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선단부에 돌출된 니들(Needle)(2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니들(200)이 상하로 진동하도록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자(310a)를 구비한 구동모터(310)와, 선단부의 단면이 경사진 원통형 부재(312)와, 상기 원통형 부재(312)를 통해서 상기 회전자(310a)와 연결되며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의 걸림돌기(314a)(314b)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단의 걸림돌기(314a)는 상기 원통형 부재(312)의 경사면(312a) 내측에 위치하고, 하단의 걸림돌기(314b)는 경사면(312a)의 외측에 위치하는 샤프트(316)와, 상기 샤프트(316)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310)가 회전함에 따라 상하로 왕복 직선 운동을 하는 니들 튜브(3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전원모듈(320)이 설치되고 상단으로는 상기 구동모터(310)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기 위한 전원스위치(322)가 돌출 형성된 상단 캡(100a)과, 내경에 상기 구동모터(310) 및 원통형 부재(312)의 일부가 삽입되는 하우징 본체(100b)와, 상기 하우징 본체(100b)와 상단 캡(100a)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좌우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컨트롤 림(rim)(100c)과, 내경에 나사홈(330)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부재(3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332)에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싱(100d) 및 상기 프론트 케이싱(100d)의 하단에 결합되는 니들 슬리브(100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부재(31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가 경사면(312a)을 갖되, 선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마치 병목과 같은 모양을 갖는다. 참고로, 도면에서 내경이 큰 부분에는 상기 구동모터(310)가 수용되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프론트 케이싱(100d)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3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선단부의 경사면(312a) 내측에는 상기 샤프트(316)에 형성된 두 개의 걸림돌기(314a)(314b) 중에서 상단의 걸림돌기(314a)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경사면(312a) 외측에는 하단의 걸림돌기(314b)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31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측에는 구동모터(310)의 회전자(310a)가 끼워질 수 있도록 슬롯(316a)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316a)의 하단에는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원통형 부재(312)의 선단부의 경사면(312a) 내측과 외측에서 각각 경사면(312a)을 따라 회전하는 두 개의 걸림돌기(314a)(314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 걸림돌기(314b)의 바로 밑에는 걸림판(316b)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판(316b)의 아래에는 니들튜브 커넥터(317)가 샤프트(316)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상기 구동모터(310)의 회전자(310a)가 샤프트(316)의 일측에 형성된 슬롯(316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310)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자(310a)가 회전하게 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의 걸림돌기(314a)는 원통형 부재(312)의 경사면(312a) 내측에서, 하단의 걸림돌기(314b)는 경사면(312a) 외측에서 각각 경사면(312a)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314a)(314b)는 경사면(312a)을 따라 위쪽으로 올라갔다가 아래쪽으로 내려갔다가를 반복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샤프트(316)는 축회전하면서 위, 아래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316)의 타측에 연결된 니들튜브 커넥터(317)는 샤프트(316)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샤프트(316)가 축회전하더라도 니들튜브 커넥터(317)는 회전하지 않게 되고 오로지 위, 아래로만 반복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니들튜브 커넥터(317)는 그 외주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니들튜브 커넥터(317)는 상기 프론트 케이싱(100d)의 내경에 삽입되는데, 상기 프론트 케이싱(100d)의 내경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니들튜브 커넥터(317)의 형상에 부합되는 니들튜브 커넥터 삽입홈(334)이 형성되므로, 상기 니들튜브 커넥터(317)가 니들튜브 커넥터 삽입홈(334)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니들튜브 커넥터(317)는 상하로 왕복 운동만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니들 튜브(318)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니들 슬리브(Needle Sleeve)(100e)의 내부에 수용되며, 구조적으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다단의 돌기(318a)가 형성되어 상기 니들튜브 커넥터 삽입홈(334)의 하단에 끼워지고, 타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니들 수용부(318b)가 형성되되, 상기 니들 수용부(318b)는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할 절개된다.
따라서, 상기 분할 절개된 니들 수용부(318b)에 니들(Needle)(200)을 삽입한 상태에서 내경에 나사홈이 형성된 조임부재(318c)를 니들 수용부(318b)의 외주면에 끼워 조이면, 상기 니들 수용부(318b)의 분할 절개된 부분이 압박되어 결국, 니들(200)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참고로, 도 9는 본 고안의 영구 메이크업 장치에 따른 요부 결합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원통형 부재(312), 샤프트(316), 니들 튜브(318) 및 니들(20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영구 메이크업 장치에 따르면, 상단 캡(100a)에 돌출된 전원스위치(322)를 온(ON)시킴에 따라 구동모터(310)로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모터(310)가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회전자(310a)에 연결된 샤프트(316)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원통형 부재(312)의 선단부 경사면(312a)과 샤프트(316)의 걸림돌기(314a)(314b)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샤프트(316)는 축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고, 이에 상기 샤프트(316)의 타단에 연결된 니들튜브 커넥터(317)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직선 운동을 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니들(Needle)(200)이 결합된 니들 튜브(318)가 상하로 왕복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고, 상기 실시 예들을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가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영구 메이크업 장치는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샤프트와 캠의 상호 작용을 통해 왕복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니들이 자동적으로 왕복 직선 운동하므로 사람이 일일이 한 뜸 한 뜸 작업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보다 신속한 메이크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영구 메이크업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절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영구 메이크업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영구 메이크업 장치에 따른 원통형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영구 메이크업 장치에 따른 샤프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영구 메이크업 장치에 따른 샤프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고안의 영구 메이크업 장치에 따른 프론트 케이싱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영구 메이크업 장치에 따른 니들 튜브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영구 메이크업 장치에 따른 요부 결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 상단 캡 100b : 하우징 본체
100c : 컨트롤 림 100d : 프론트 케이싱
100e : 니들 슬리브 310 : 구동모터
310a : 회전자 312 : 원통형 부재
312a : 경사면 314a : 상단 걸림돌기
314b : 하단 걸림돌기 316 : 샤프트
316a : 슬롯 316b : 걸림판
317 : 니들튜브 커넥터 318 : 니들 튜브
318a : 돌기 318b : 니들 수용부
318c : 조임부재 322 : 전원스위치
330 : 나사홈 332 : 나사산
334 : 니들튜브 커넥터 삽입홈

Claims (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전자를 구비한 구동모터;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선단부의 단면이 경사진 원통형 부재;
    상기 원통형 부재를 통해서 상기 회전자와 연결되며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의 걸림돌기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단의 걸림돌기는 상기 원통형 부재의 경사면 내측에 위치하고 하단의 걸림돌기는 경사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하로 왕복 직선 운동을 하는 니들튜브; 및
    상기 니들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니들(Needle)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메이크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원모듈이 내장되고 상부로 전원스위치가 돌출되는 상단 캡과,
    내경에 상기 구동모터 및 원통형 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와 상단 캡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우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진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컨트롤 림과,
    상기 하우징 본체에 밀착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싱과;
    상기 프론트 케이싱에 연결되는 니들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메이크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니들 튜브 사이에는 상기 샤프트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외주면은 다각형 형상을 갖는 니들 튜브 커넥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메이크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싱은,
    그 내측에 상기 니들튜브 커넥터의 형상에 부합되는 니들튜브 커넥터 삽입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메이크업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튜브는,
    일측에 상기 니들튜브 커넥터에 삽입되는 다단의 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되, 길이 방향으로 분할 절개된 니들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할 절개된 부위에 니들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니들 수용부의 외주면에 조임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니들 수용부를 압박하여 상기 니들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 메이크업 장치.
KR20-2005-0002655U 2005-01-28 2005-01-28 영구 메이크업 장치 KR2003848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655U KR200384888Y1 (ko) 2005-01-28 2005-01-28 영구 메이크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655U KR200384888Y1 (ko) 2005-01-28 2005-01-28 영구 메이크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888Y1 true KR200384888Y1 (ko) 2005-05-23

Family

ID=4368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655U KR200384888Y1 (ko) 2005-01-28 2005-01-28 영구 메이크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8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974B1 (ko) * 2012-01-06 2012-09-11 유영일 초음파를 이용한 무통 문신 장치
KR101209232B1 (ko) 2010-05-14 2012-12-06 김근식 니들 디바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232B1 (ko) 2010-05-14 2012-12-06 김근식 니들 디바이스
KR101181974B1 (ko) * 2012-01-06 2012-09-11 유영일 초음파를 이용한 무통 문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0209B2 (en) Pen style microneedling machine apparatus
KR100789398B1 (ko) 문신장치
WO2008038870A1 (en) Unit for supplying a cosmetic material and make-up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765241B1 (ko) 피부 시술장치
KR200384888Y1 (ko) 영구 메이크업 장치
US5921254A (en) Power flossing device
KR101209232B1 (ko) 니들 디바이스
CN211461758U (zh) 纹绣笔及其上调节直驱装置
KR200384977Y1 (ko) 영구 메이크업 장치
CN103271756B (zh) 一种穿刺针架及其穿刺架装置
KR101564431B1 (ko) 미세침 치료 장치
US20210308441A1 (en) Reversible rotary tattoo machine
US20210370035A1 (en) Variable Frequency Waveform Tattoo Needle Mechanism
KR200467131Y1 (ko) 화장 및 의료 보조기구
US20060029456A1 (en) Container for cosmetics
CN210057132U (zh) 一种纹身装置
KR20180066515A (ko) 피부 미용 기구
KR101143459B1 (ko) 자동 퍼프
JP2017502753A (ja) 特に美容的な処置を目的としたデバイスの運動を伝達するための機構、関連するデバイスおよび方法
CN211024782U (zh) 运动变向机构及包括其的电动工具
CN211461757U (zh) 纹绣机及其上调节内驱装置
KR20090004825U (ko) 저소음의 영구 메이크업 장치
CN219539236U (zh) 一种微针笔
CN211132694U (zh) 一种手持电动美容笔
KR880001292Y1 (ko) 미용 맛사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