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098B1 - 수술용 기구 - Google Patents

수술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098B1
KR102439098B1 KR1020220069940A KR20220069940A KR102439098B1 KR 102439098 B1 KR102439098 B1 KR 102439098B1 KR 1020220069940 A KR1020220069940 A KR 1020220069940A KR 20220069940 A KR20220069940 A KR 20220069940A KR 102439098 B1 KR102439098 B1 KR 102439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face
unit
bod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칼큐브
우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칼큐브, 우종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칼큐브
Priority to KR1020220069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72Connectors and adapt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61B2018/00202Moving parts rotating
    • A61B2018/00208Moving parts rotating actively driven, e.g.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12Bla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수술시 수술부위에 광을 조사하여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수술용 기구를 개시한다.
수술용 기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 몸체부의 단부에 결합되며 통전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는 제1 바디와 제1 바디에 결합되고 그 단부가 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바디와 제2 바디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터를 포함하는 소작부, 몸체부에 설치되고 일방향으로 광을 발산하기 위한 발광부 및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소작부 및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제2 바디는 일방향을 기준으로 30°초과 내지 45° 미만의 범위로 제1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단부를 향하여 직경이 감소하고, 그 최소 직경의 비율이 제1 바디의 최소 직경의 0.3 초과 내지 0.7 미만으로 형성된다. 발광부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몸체부 중 제1 바디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제2 바디의 회전에 관계없이 몸체부의 전방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도록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Description

수술용 기구{Apparatus for operation}
본 발명은 수술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수술시 수술 부위에 전체적으로 광이 조사될 수 있는 수술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비 나이프(Bovie knife)는 전류 발생장치를 통해 원하는 파장과 주파수를 갖는 특정 전류를 생성하고, 블레이드(Blade) 형태의 전극팁을 통해 인체 조직에 국부적으로 전달하여 일종의 열에너지에 의해 조직(환부)을 태움으로써 지혈하거나 절단하는 의료기구이다. 이러한 보비 나이프는 병원에서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 사용된다.
최근에는, 보비 나이프를 이용하여 수술할 때, 수술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위하여 조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조명용 광원으로 수술등, 무영등 등의 조명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국부적인 부위의 조명을 위하여 의사가 직접 착용하는 헤드 램프 형태의 조명 기구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명 기구들은 외부에서 환부를 조명하여 수술 부위가 개방된 경우에는 사용이 용이하지만, 신체의 내부 깊숙한 곳이나 국부의 절개 수술시, 측면 수술시에는 광원이 직접적으로 조사되지 않아 그림자가 생기게 되고, 보비 나이프로 수술 부위를 절개함에 있어서, 시야 확보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수술시 원활하게 시야가 확보되지 않음에 따라, 보비 나이프로 수술 부위 이외의 부위를 손상시키는 추가적인 문제가 있다.
KR 10-1812480 B1
본 발명은 수술시 수술부위에 광을 조사하여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수술용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시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수술용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기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결합되며, 통전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고 그 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터를 포함하는 소작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광을 발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작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는,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제1 바디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바디의 회전에 관계없이 상기 몸체부의 전방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도록, 상기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상기 몸체부는, 그 내부에 상기 전원 공급부가 배치되는 제1 몸체부재; 상기 제1 몸체부재에 대하여 30° 초과 내지 45° 미만의 범위 내에서 회전된 상태로 배치 가능한 제2 몸체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1 몸체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몸체부재에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틸팅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빛을 발산하는 발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부재; 및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유도하여 상기 제2 몸체부재의 외부로 출력하는 발광가이드부재; 및 상기 발광원에 연결되고, 자력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는 종동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가이드부재는, 상기 발광원이 배열되는 면에 대향 배치되는 인풋페이스; 상기 일방향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인풋페이스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출력하기 위한 아웃풋페이스; 및 상호 대향 배치되며, 상기 인풋페이스로부터 상기 아웃풋페이스로 갈수록 기울기의 절대값이 감소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리플렉트페이스 및 제2 리플렉트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가이드부재는, 1.3 이상 내지 1.6 이하의 굴절률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풋페이스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상기 제1 리플렉트페이스 및 제2 리플렉트페이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반사시켜, 상기 아웃풋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방출시킨다.
상기 몸체부는, 그 내부에 상기 전원 공급부가 배치되는 제1 몸체부재; 상기 제1 몸체부재에 대하여 30° 초과 내지 45° 미만의 범위 내에서 회전된 상태로 배치 가능한 제2 몸체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1 몸체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몸체부재에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틸팅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주름관; 및 상기 복수의 주름관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 몸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2 몸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일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실린더가 신장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실린더와 대향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실린더가 수축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실린더의 신장된 길이에 대한 상기 다른 하나의 실린더의 수축된 길이의 비율은, 0.3 초과 내지 0.5 미만으로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발광부는, 상기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반경방향을 따라 제1 열, 제2 열 및 제3 열로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1 열의 발광부의 빛의 세기가 상기 제2 열의 발광부의 빛의 세기보다 크고, 상기 제2 열의 발광부의 빛의 세기가 상기 제3 열의 발광부의 빛의 세기보다 크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1 열의 발광부 내지 상기 제3 열의 발광부에 각각 전자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열의 발광부 내지 상기 제3 발광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해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 전력 생성 유닛; 상기 전력 생성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몸체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전후진 이동 가능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의 이동에 연동하여 그 높이가 변경되고, 상기 제1 열의 발광부의 종동 자성체 내지 상기 제3 열의 발광부의 종동 자성체에 선택적으로 면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종동 자성체와 접촉시 전자기적 커플링에 의해 전류를 통전시킬 수 있도록 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구동 자성체; 및 상기 전력 생성 유닛과 별개로 독립적으로 전기 에너지 생성이 가능한 보조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가이드부재는, 아크릴(acrylic)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바디는, 그 단부를 향하여 그 직경이 감소하는 나선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부재는, 상기 일방향을 기준으로 그 단부를 향하여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몸체부재의 외주면은, 내측으로 함몰된 라운드면으로 마련되며, 복수의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내열강 재질로 코팅되며, 상기 제1 몸체부재와 상기 제2 몸체부재의 내주면은, 절연재가 코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술시 수술부위에 음영이 발생되지 않도록, 수술부위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수술시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수술 부위에 따라 빛의 세기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음영이 상대적으로 많이 생기는 부위에 더 큰 세기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음영에 관계없이 수술부위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소작부를 틸팅시켜, 소작부를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의 수술부위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손목을 부자연스럽게 꺾지 않고, 수술부위에 수술용 기구를 접촉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기구의 정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제2 몸체부재가 틸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발광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전원 공급부가 선택적으로 발광부들에 전류를 공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기구는 사용자의 수술 부위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수술용 기구일 수 있다. 여기서, 수술용 기구는 전극팁을 통해 인체 조직에 국부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구일 수 있다. 수술용 기구는 예컨데,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조직(환부)을 태움으로써 지혈하거나 절단하는 의료 기구인 보비 나이프(Bovie knife)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수술용 기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기구의 정면도 및 부분확대도이고, 도 3은 제2 몸체부재가 틸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발광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전원 공급부가 선택적으로 발광부들에 전류를 공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기구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기구(1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110), 몸체부(110)의 단부에 결합되며 통전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는 제1 바디(121)와 제1 바디(121)에 결합되고 그 단부가 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바디(122)와 제2 바디(122)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터(123)를 포함하는 소작부(120), 몸체부(110)에 설치되고 일방향으로 광을 발산하기 위한 발광부(130) 및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소작부(1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수술용 기구(100)의 몸체를 이룰 수 있다. 몸체부(110)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적어도 일부가 틸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10)는 일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가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제1 몸체부재(111), 제2 몸체부재(112) 및 연결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연결부재(113)의 둘레를 감싸고, 제1 몸체부재(111)와 제2 몸체부재(112)를 연결시키는, 이음부재(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재(111)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 내부에 전원 공급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1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그 단부 외주면에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인 마찰부재(미도시)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재(111)는 그 측부에 제1 버튼(111a) 및 제2 버튼(111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버튼(111a) 및 제2 버튼(111b)은 전원 공급부(140)에 연결되며, 후술되는 연결부재(113)의 복수의 실린더(113b)에 전자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111a) 및 제2 버튼(111b)은 후술되는 복수의 실린더(113b)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제1 버튼(111a)은 후술되는 연결부재(113)의 복수의 실린더(113b) 중 일 실린더(113ba)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2 버튼(111b)은 후술되는 연결부재(113)의 복수의 실린더(113b) 중 타 실린더(113bb)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 실린더(113ba)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실린더이고, 타 실린더(113bb)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실린더일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제1 버튼(111a) 및 제2 버튼(111b)를 눌러 일 실린더(113ba) 및 타 실린더(113bb)를 구동시키므로, 소작부(120)가 일방향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틸팅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연결부재(113)를 설명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제1 몸체부재(111)는 후술되는 전원 공급부(140)의 모터(142)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3 버튼(111c) 및 제4 버튼(111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버튼(111c)은 모터(142)를 예컨데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시킬 수 있고, 제4 버튼(111d)은 모터(142)를 예컨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전원 공급부(140)의 모터(142) 및 샤프트(143)의 구동을 설명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몸체부재(111)는 제5 버튼(111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버튼(111e)은 후술되는 배터리(B)를 on/off 시키기 위한 구동 버튼일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재(111)는 그 상부에 Coag 버튼(C) 및 Ablation 버튼(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Coag 버튼(C) 및 Ablation 버튼(A)은 후술되는 소작부(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버튼일 수 있다.
제2 몸체부재(112)는 후술되는 연결부재(113)에 의해 제1 몸체부재(1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2 몸체부재(112)는 후술되는 연결부재(113)의 구동에 의해, 제1 몸체부재(111)에 대하여 30° 초과 내지 45° 미만의 범위 내에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부재(112)는 일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혹은 우측으로 30° 초과 내지 45° 미만의 범위 내에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몸체부재(112)는 일 실린더(113ba)와 타 실린더(113bb) 각각의 신장 혹은 수축에 의해, 일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혹은 우측으로 소정 각도 틸팅될 수 있다.
한편, 제2 몸체부재는, 일방향을 기준으로 그 단부를 향하여 폭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몸체부재(112)의 외주면은 내측으로 함몰된 라운드면으로 마련되며 복수의 발광부(130a,130b,130c)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내열강 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이에, 제2 몸체부재(112)의 외주면이 발광부(13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켜, 수술 부위에 빛을 더 원활하게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부재(112)가 그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짐으로, 수술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재(111)와 제2 몸체부재(112)의 내주면은, 절연재가 코팅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전원 공급부(140)로부터 전류가 누전되더라도, 감전되지 않을 수 있다.
연결부재(113)는 일방향을 기준으로 그 일단이 제1 몸체부재(111)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제2 몸체부재(1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13)는 적어도 일부가 틸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113)는 일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혹은 우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휘어질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113)는 복수의 주름관(113a) 및 복수의 실린더(113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주름관(113a)은 그 일단이 제1 몸체부재(111)에 결합되고, 그 타단이 제2 몸체부재(112)에 결합될 수 있다. 주름관(113a)은 적어도 일부에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어 쉽게 신장 수축되거나 굴절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주름관(113a)은 일방향을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몸체부재(111)와 제2 몸체부재(112)가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복수의 주름관(113a)이 제1 몸체부재(111)와 제2 몸체부재(112)를 연결해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주름관(113a)은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이 미세하게 떨리더라도 그 떨림이 제2 몸체부재(112) 및 소작부(120)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복수의 주름관(113a)이 한쌍으로 마련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하기에서는, 복수의 주름관(113a)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주름관을 일 주름관(113aa)이라 하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주름관을 타 주름관(113ab)이라 한다.
복수의 실린더(113b)는 복수의 주름관(113a)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고, 그 일단이 제1 몸체부재(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이 제2 몸체부재(112)에 고정 결합되며, 일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실린더(113b)는 각각 제1 몸체부재(111)와 제2 몸체부재(112)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복수의 실린더(113b)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실린더를 일 실린더(113ba)라고 하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실린더를 타 실린더(113bb)라 한다. 즉, 일 실린더(113ba)는 일 주름관(113aa)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 실린더(113bb)는 타 주름관(113ab)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실린더(113b)는 그 내부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 재질로 마련된 완충부재(113bc)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113bc)는 예컨데, 실리콘 혹은 고무 재질로 마련되거나, 신축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상술한 완충부재(113bc)를 통해, 사용자의 손이 미세하게 떨리더라도 그 떨림을 완중부재가 흡수하여, 제2 몸체부재(112) 및 소작부(120)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실린더(113b)는 그 적어도 일부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벨로우즈(Bellows)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일 실린더(113b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버튼(111a)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일 실린더(113ba)는 제1 버튼(111a)과 전자기적으로 연결되며,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에, 일 실린더(113ba)는 제1 버튼(111a)으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신장되거나 혹은 수축될 수 있다. 또한, 타 실린더(113bb)는 제2 버튼(111b)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타 실린더(113bb)는 제2 버튼(111b)과 전자기적으로 연결되며,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에, 타 실린더(113bb)는 제2 버튼(111b)으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신장되거나 혹은 수축될 수 있다.
한편, 일 실린더(113ba)와 타 실린더(113bb) 사이의 간격(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함)은, 일 실린더(113ba) 및 타 실린더(113bb)가 수축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일 실린더(113ba) 및 타 실린더(113bb)의 일방향 길이의 1/2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린더(113ba)가 수축되고, 타 실린더(113bb)가 신장될 경우, 제2 몸체부재(112)는 일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틸팅될 수 있다. 반면, 일 실린더(113ba)가 신장되고, 타 실린더(113bb)가 수축될 경우, 제2 몸체부재(112)는 일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틸팅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실린더(113b)는 제2 몸체부재(112)를 제1 몸체부재(111)에 대하여 30° 초과 내지 45° 미만의 범위 내에서 회전된 상태로 배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실린더(113b)는 어느 하나의 실린더(예컨데, 타 실린더(113bb))의 신장된 길이에 대한 다른 하나의 실린더(예컨데, 일 실린더(113ba))의 수축된 길이의 비율이 0.3 초과 내지 0.5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일 실린더(113ba)는 그 수축되는 길이의 범위가 타 실린더(113bb)가 신장된 길이값을 기준으로, tan30 초과 내지 tan 45 의 차이값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린더(113ba)와 타 실린더(113bb) 사이의 길이를 1cm 라고 가정할 때, 일 실린더(113ba)와 타 실린더(113bb)의 일방향 길이는 2cm일 수 있고, 일 실린더(113ba)의 수축되는 길이의 범위는 1cm * tan30 초과 내지 1cm * tan45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타 실린더(113bb)의 신장된 길이에 대한 수축된 길이를 비율로 연산하면, (2cm - 1cm * tan30)/2cm(즉, 근사값인 0.3) 초과 내지 (2cm - 1cm * tan30)/2cm(즉, 0.5)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버튼(111a) 및 제2 버튼(111b)을 이용하여, 일 실린더(113ba) 및 타 실린더(113bb)를 각각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킬 수 있다. 이에, 1차로 수술용 기구가 절곡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목을 과도하게 꺾지 않아도 제2 몸체부재(112)가 틸팅되어 수술부위에 소작부(120)를 접촉시킬 수 있다.
이음부재(114)는 연결부재(113)의 둘레를 감싸며, 제1 몸체부재(111)와 제2 몸체부재(112)를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음부재(114)는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신장 수축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음부재(114)는 실리콘 혹은 고무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이음부재(114)는 벨로우즈 관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소작부(120)는 제2 몸체부재(112)에 결합되며, 통전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는 제1 바디(121)와, 제1 바디(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단부가 제2 몸체부재(112)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바디(122)와, 제2 바디(122)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21)와 제2 바디(122)는 모두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전기적 경로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RF 등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바디(121)와 제2 바디(122)는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를 통해 가열될 수 있으며, 발생된 열을 후술되는 커터(123)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바디(122)는 제1 바디(121)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바디(122)는 제1 바디(121)에 힌지 결합되며, 일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틸팅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2 바디(122)는 결합되는 부분에 로터(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제2 바디(122)는 제1 바디(121)에 대하여,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122)는, 일방향을 기준으로 30°초과 내지 45° 미만의 범위로 제1 바디(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제3 버튼(111c) 및 제4 버튼(111d)이 로터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고,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로터가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 바디(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용 기구(100)는 제2 몸체부재(112)에 의해 1차로 절곡되고, 제2 바디(122)에 의해 2차로 절곡될 수 있다. 이에, 수술용 기구(100)는 수술부위에 장애물 등이 있더라도, 적어도 일부를 절곡시켜, 장애물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소작부(120)가 장애물을 피해, 수술부위에 접촉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바디(122)는 제1 바디(121)에 대하여 일방향을 기준으로, 30°초과 내지 45° 미만의 범위로 틸팅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122)는 그 단부를 향하여 직경이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바디(122)의 최소 직경 비율은 제1 바디(121)의 최소 직경의 0.3 초과 내지 0.7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바디(122)가 그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짐으로, 수술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커터(123)는 제2 바디(122)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커터(123)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커터(123)는 공급받은 전류에 의해 스스로 발열되거나, 혹은 제2 바디(122)를 통해 전달받은 열을 통해 발열될 수 있다. 이에, 가열된 커터(123)가 수술부위에 접촉되며 수술부위를 제거할 수 있다.
발광부(130)는 제2 몸체부재(112)에 설치되고, 일방향으로 광을 발산할 수 있다. 발광부(130)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130)는 발광부재(131), 발광가이드부재(132) 및 종동 자성체(133)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재(131)는 빛을 발산하는 발광원(131a)을 포함하고, 제1 몸체부재(11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발광원(131a)은 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광원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함에 의하여 광량을 증가시키고 수명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발광가이드부재(132)는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 및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와 대향 배치되는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를 구비하고,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 및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 사이에서 발광원(131a)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유도하여 제2 몸체부재(112)의 외측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가이드부재(132)는 난반사되어 방출되는 발광원(131a)의 광을 유도하여 제2 몸체부재(112)의 전방측 즉, 일방향을 기준으로 그 전단부로 빛을 모아서 출력할 수 있다.
발광가이드부재(132)는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 및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와 대향 배치되는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를 구비함과 함께 발광원(131a)에 대향 배치되는 인풋페이스(132a) 및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와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 사이에서 전달되는 광을 출력하는 아웃풋페이스(13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가이드부재(132)는 발광원(131a)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유도하여 제2 몸체부재(112)의 외측으로 출력하는 바, 제2 몸체부재(112)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매립되어 위치하는 발광원(131a)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인풋페이스(132a)으로부터 입사되고, 입사된 광은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와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 사이의 내부로 유도되어, 제2 몸체부재(11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아웃풋페이스(132b)로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가이드부재(132)는 파동을 매개하는 매질로 이루어져, 발광원(131a)로부터 방출되어 입사되는 광을 수용하고, 수용된 광을 내부에서 유도하여 제2 몸체부재(112)의 외측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스넬의 법칙 및 광의 전반사 원리에 의하면, 광의 전반사를 위하여는 밀한 매질로부터 소한 매질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대기(大氣) 상태의 굴절률을 대략 1이라 할 때, 발광가이드부재(132)는 대기 상태의 굴절률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발광가이드부재(132)는 1.5 이상의 굴절률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발광가이드부재(132)가 1.5 이상의 굴절률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발광가이드부재(132)의 외측에서 대기 상태로 배치되는 발광원(131a)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발광가이드부재(132)로 입사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인풋페이스(132a)와 아웃풋페이스(132b)를 제외한 발광가이드부재(132)의 표면은 발광가이드부재(132)와 발광가이드부재(132) 외측의 대기 상태로 인한 매질 차이에 의하여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 및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를 형성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발광가이드부재(132)로 입사한 광은 발광가이드부재(132)의 내부로 유도될 수 있다. 이후, 발광가이드부재(132)의 내부에서 유도된 광은 아웃풋페이스(132b)에 임계각보다 작은 각도로 입사하게 되어 아웃풋페이스(132b)를 통하여 제2 몸체부재(112)의 외측으로 방출될 수 있다.
한편, 발광가이드부재(132)는 1.5 이상의 굴절률을 가지는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폴리카보네이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고,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어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에, 발광가이드부재(132)는 잘 깨지고 변형되기 쉬운 아크릴의 대용 및 보완을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원(131a)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발광가이드부재(132)의 인풋페이스(132a)를 통하여 발광가이드부재(132)의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가이드부재(132)의 인풋페이스(132a)는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와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 사이에서 아웃풋페이스(132b)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발광원(131a)에 대하여 발광가이드부재(132)의 인풋페이스(132a)를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발광원(131a)로부터 전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은 인풋페이스(132a)를 거쳐 발광가이드부재(132)의 내부에서 수렴하여 진행할 수 있게 되고, 발광가이드부재(132)의 내부에서 진행하는 광은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 및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에 대한 입사각이 임계각 이상의 각도를 가지게 될 수 있다.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 및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는 인풋페이스(132a)와 아웃풋페이스(132b)를 제외한 발광가이드부재(132)의 표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광가이드부재(132)의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는 제2 몸체부재(112)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발광가이드부재(132)의 표면을 의미하며,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는 제2 몸체부재(112)의 표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발광가이드부재(132)의 표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발광가이드부재(132)의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 및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풋페이스(132a)으로부터 아웃풋페이스(132b)로 갈수록 기울기의 절대값이 감소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가이드부재(132)의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 및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를 인풋페이스(132a)으로부터 아웃풋페이스(132b)로 갈수록 기울기의 절대값이 감소하는 곡면으로 형성하는 경우, 인풋페이스(132a)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발광가이드부재(132)의 내부에서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 및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에 대한 입사각이 임계각 이상의 각도를 가지게 되고, 이에 의하여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와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 사이에서 전반사하여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 및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 상에는 광 반사 물질로 이루어지는 반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와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는 발광가이드부재(132)의 재질과 대기 상태에 따른 굴절률의 차이에 의하여 발광가이드부재(132)의 내부로 광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와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는 사출에 의하여 제조되는 제조 공장 상의 오차로 인하여 완전한 평면을 이룰 수는 없다. 이와 같이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와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를 형성하는 발광가이드부재(132)의 표면이 완전한 평면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경우, 인풋페이스(132a)를 통하여 발광가이드부재(132)의 내부로 입사된 광은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와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에 의하여 완전하게 반사되기 어려우므로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 및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 상에 광 반사 물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와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 사이에서 전반사하여 발광가이드부재(132)의 내부에서 전달된 광은 발광가이드부재(132)의 아웃풋페이스(132b)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웃풋페이스(132b)는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2 몸체부재(112)의 전단측으로 광을 출력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아웃풋페이스(132b)는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에 대하여 둔각(θ1)을 이루며,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에 대하여 예각(θ2)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웃풋페이스(132b)를 제1 리플렉트페이스(132c)에 대하여 둔각(θ1)을 이루며, 제2 리플렉트페이스(132d)에 대하여 예각(θ2)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아웃풋페이스(132b)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손실없이 제2 몸체부재(112)의 외측으로 방출될 수 있게 되고, 수술부위에 광을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종동 자성체(133)는 발광원(131a)에 연결되고, 자력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종동 자성체(133)는 후술되는 구동 자성체(144)와 접촉될 수 있고, 접촉시 전자기적으로 커플링되며 전원 공급부(140)의 전류를 통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종동 자성체(133)는 일방향을 기준으로 그 후단부가 자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혹은 종동 자성체(133)는 통전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발광부(13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부(130a,130b,130c)는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의 둘레 방향인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부(130a,130b,130c)는 일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인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부(130a,130b,130c)는 반경방향을 따라 제1 열 내지 제3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열의 발광부(130a)가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반경방향을 따라 그 외측에 제2 열의 발광부(130b)가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반경방향을 따라 그 외측에 제3 열의 발광부(130c)가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열의 발광부(130a)는 그 일방향의 길이가 제2 열의 발광부(130b)의 일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으며, 제2 열의 발광부(130b)는 그 일방향의 길이가 제3 열의 발광부(130c)의 일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에, 제1 열의 발광부(130a)의 후단부와 제2 열의 발광부(130b)의 후단부와 제3 열의 발광부(130c)의 일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발광부(130a,130b,130c)는 제1 열의 발광부(130a)의 빛의 세기가 제2 열의 발광부(130b)의 빛의 세기보다 크고, 제2 열의 발광부(130b)의 빛의 세기가 제3 열의 발광부(130c)의 빛의 세기보다 클 수 있다. 이에, 후술되는 전원 공급부(1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1 열의 발광부(130a) 내지 제3 열의 발광부(130c)로 전원이 공급될 때, 그 빛의 세기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40)는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소작부(120) 및 발광부(13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40)는 전력 생성 유닛(141), 모터(142), 샤프트(143), 구동 자성체(144) 및 배터리(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생성 유닛(141)은 전력을 발생시켜, 소작부(120) 및 발광부(130)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생성 유닛(141)은 자가 발전기 혹은 전기 콘센트로 마련될 수 있다. 전력 생성 유닛(141)은 도선(141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도선(141a)은 제1 바디(121), 모터(142), 구동 자성체(144)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모터(142)는 제2 몸체부재(1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142)는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후술되는 샤프트(143)를 상하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모터(142)는 상술한 제3 버튼(111c) 및 제4 버튼(111d)로부터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143)는 모터(142)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143)는 그 상하방향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 자성체(144)는 샤프트(143)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모터(142)의 구동에 의해 하강 이동 혹은 상승 이동하며, 종동 자성체(133)와 접촉될 수 있다. 즉, 구동 자성체(144)는 제1 열의 발광부(130a) 내지 제3 열의 발광부(130c)의 종동 자성체들과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구동 자성체(144)는 종동 자성체와 접촉되며, 전자기적 커플링이 될 수 있고,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이에, 구동 자성체(144)와 접촉한 종동 자성체에 전류가 인가되며, 제1 열의 발광부(130a) 내지 제3 열의 발광부(130c) 중 구동 자성체(144)와 접촉되어 전류가 통전된 발광원(131a)에만 전류가 인가되며 해당 발광원(131a)만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서로 빛의 세기가 다른 제1 열의 발광부(130a) 내지 제3 열의 발광부(130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수술 부위의 음영에 관계 없이 수술 부위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배터리(B)는 전력 생성 유닛(141)과 별개로 독립적으로 전기 에너지 생성할 수 있다. 배터리(B)는 제1 몸체부재(111)의 내부와 전력생성유닛(1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배터리(B)가 제1 몸체부재(111)의 내부와 전력생성유닛(141)에 각각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배터리(B)의 설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생성 유닛(141)으로부터 전류가 인가되지 않더라도, 배터리(B)가 전류를 생성 및 통전시켜 전력 생성 유닛(141)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터리(B)는 도선(141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도선(141a)은 제1 바디(121), 모터(142), 구동 자성체(144)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배터리(B)는 발광부(130)로 전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즉, 배터리(B)는 전류를 복수의 발광부(130a,130b,130c)로 공급하여 복수의 발광부(130a,130b,130c)가 선택적으로 빛을 발산하게 할 수 있다.
이처럼, 수술시 수술부위에 음영이 발생되지 않도록, 수술부위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수술시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수술 부위에 따라 빛의 세기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음영이 상대적으로 많이 생기는 부위에 더 큰 세기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음영에 관계없이 수술부위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소작부를 틸팅시켜, 소작부를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의 수술부위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손목을 부자연스럽게 꺾지 않고, 수술부위에 수술용 기구를 접촉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수술용 기구 110: 몸체부
120: 소작부 130: 발광부
140: 전원 공급부

Claims (3)

  1.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결합되며, 통전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고 그 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터를 포함하는 소작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광을 발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작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는,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제1 바디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바디의 회전에 관계없이 상기 몸체부의 전방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도록, 상기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그 내부에 상기 전원 공급부가 배치되는 제1 몸체부재;
    상기 제1 몸체부재에 대하여 30° 초과 내지 45° 미만의 범위 내에서 회전된 상태로 배치 가능한 제2 몸체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1 몸체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몸체부재에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틸팅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주름관; 및
    상기 복수의 주름관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 몸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2 몸체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일방향을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실린더가 신장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실린더와 대향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실린더가 수축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실린더의 신장된 길이에 대한 상기 다른 하나의 실린더의 수축된 길이의 비율은, 0.3 초과 내지 0.5 미만으로 형성되는 수술용 기구.
  2.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결합되며, 통전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고 그 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터를 포함하는 소작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광을 발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작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는,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제1 바디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바디의 회전에 관계없이 상기 몸체부의 전방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도록, 상기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그 내부에 상기 전원 공급부가 배치되는 제1 몸체부재;
    상기 제1 몸체부재에 대하여 30° 초과 내지 45° 미만의 범위 내에서 회전된 상태로 배치 가능한 제2 몸체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1 몸체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몸체부재에 연결되며, 적어도 일부가 틸팅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는,
    빛을 발산하는 발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부재; 및
    상기 발광부재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유도하여 상기 제2 몸체부재의 외부로 출력하는 발광가이드부재; 및
    상기 발광원에 연결되고, 자력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는 종동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가이드부재는,
    상기 발광원이 배열되는 면에 대향 배치되는 인풋페이스;
    상기 일방향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인풋페이스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출력하기 위한 아웃풋페이스; 및
    상호 대향 배치되며, 상기 인풋페이스로부터 상기 아웃풋페이스로 갈수록 기울기의 절대값이 감소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리플렉트페이스 및 제2 리플렉트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가이드부재는, 1.3 이상 내지 1.6 이하의 굴절률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풋페이스를 통해 입사되는 광을 상기 제1 리플렉트페이스 및 제2 리플렉트페이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반사시켜, 상기 아웃풋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방출시키기 위한 수술용 기구.
  3. 삭제
KR1020220069940A 2022-06-09 2022-06-09 수술용 기구 KR102439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940A KR102439098B1 (ko) 2022-06-09 2022-06-09 수술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940A KR102439098B1 (ko) 2022-06-09 2022-06-09 수술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098B1 true KR102439098B1 (ko) 2022-09-01

Family

ID=8328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940A KR102439098B1 (ko) 2022-06-09 2022-06-09 수술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0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552A (ko) * 2010-01-06 2012-09-25 바이오레이즈, 인크. 휴대용 의료 기기의 작동을 위한 핸드피스 손가락 스위치
KR20130116095A (ko) * 2012-04-12 2013-10-23 봄텍전자 주식회사 피부용 액체주입장치
KR101471884B1 (ko) * 2014-05-28 2014-12-10 (주)휴레이저 휴대용 핸드피스 레이저 치료 장치
KR101812480B1 (ko) 2016-08-02 2018-01-30 이덕형 보비 나이프
KR20190101021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오로라 의료용 레이저 수술기의 핸드피스
WO2021094829A1 (en) * 2019-11-12 2021-05-20 Stryker European Operations Limited Electrosurgical device with illumination and smoke evacuation featur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552A (ko) * 2010-01-06 2012-09-25 바이오레이즈, 인크. 휴대용 의료 기기의 작동을 위한 핸드피스 손가락 스위치
KR20130116095A (ko) * 2012-04-12 2013-10-23 봄텍전자 주식회사 피부용 액체주입장치
KR101471884B1 (ko) * 2014-05-28 2014-12-10 (주)휴레이저 휴대용 핸드피스 레이저 치료 장치
KR101812480B1 (ko) 2016-08-02 2018-01-30 이덕형 보비 나이프
KR20190101021A (ko) * 2018-02-22 2019-08-30 주식회사 오로라 의료용 레이저 수술기의 핸드피스
WO2021094829A1 (en) * 2019-11-12 2021-05-20 Stryker European Operations Limited Electrosurgical device with illumination and smoke evacuation feat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2889B2 (ja) 調節可能な照光開口を備えた照光式硝子体切除カッター
RU2622446C2 (ru)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ие эндоиллюминаторы с направленным светом
EP3810025B1 (en) Illuminated electrosurgic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EP2720602B1 (en) Multi-spot laser surgical probe using faceted optical elements
US2005027309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irectionally ablating tissue
RU201013703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ндолюминальной лазерной абляции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вен
JP2007053065A (ja) 医用照明装置
JP2004503326A (ja) 心臓用の光切除器具
KR102439098B1 (ko) 수술용 기구
EP3975901A1 (en) Minimally invasive microwave ablation device
US20230346503A1 (en) Electrosurgical Device and Method of Use
WO2019203910A1 (en) Illumanated electrosurgic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6607526B1 (en) Laser irradiation apparatus
CN113855228B (zh) 一种用于消融手术光纤的护套结构
CN215994233U (zh) 一种光路可调的消融管
US20140378965A1 (en) Electrosurgical electrode
KR102304335B1 (ko) 조직 절제 장치
JP5300942B2 (ja) 骨髄ガイドワイヤと結合可能な横方向発光装置
KR101897869B1 (ko) 비구면거울이 내장된 레이저수술장치
JP2008229347A (ja) 光硬化装置
US20230320777A1 (en) Smoke evacuation electrosurgical pencil with lighting
US11771496B2 (en) Surgical instruments incorporating light energy tissue treatment functionality
RU18193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ндолюминального лечения кровеносного сосуда
CN205535502U (zh) 一种手术探查指示灯
JPH05220164A (ja) レーザプロ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