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124B1 - 문신장치 - Google Patents

문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124B1
KR101831124B1 KR1020170118345A KR20170118345A KR101831124B1 KR 101831124 B1 KR101831124 B1 KR 101831124B1 KR 1020170118345 A KR1020170118345 A KR 1020170118345A KR 20170118345 A KR20170118345 A KR 20170118345A KR 101831124 B1 KR101831124 B1 KR 101831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needle
tattoo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택
Original Assignee
박용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택 filed Critical 박용택
Priority to KR1020170118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61M37/0084Tattoo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liquid feeding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i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를 공급하도록 된 잉크공급수단과 문신바늘을 진퇴시키도록 된 진퇴수단이 작업자가 손으로 취부하도록 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직렬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잉크저장공간에 저장된 잉크의 용량에 관계없이 정량적으로 바늘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됨은 물론, 부피 및 무게를 줄이어 사용자가 안정되게 고품질의 문신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문신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문신장치{A tattooing device}
본 발명은, 신체에 영구 또는 반영구적으로 문신을 시술하도록 된 문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잉크저장공간에 저장된 잉크의 용량에 관계없이 정량적으로 바늘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됨은 물론, 잉크를 공급하도록 된 잉크공급수단과 바늘을 진퇴시키도록 된 진퇴수단을 직렬로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그 부피 및 무게를 줄이어 사용자가 안정되게 고품질의 문신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문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신은, 피부나 피하조직에 상처를 내고 물감[色素]을 들여 글씨나 그림 무늬 등을 새기는 것이다.
이러한 문신을 시술하는 문신장치는, 동물의 뼈로 만든 작은 도구들을 이용하였으나, 오늘날에는 모터의 구동을 통해 바늘을 직선왕복운동시켜 피부에 상처를 만드는 등 다양한 방식의 문신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문신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문신 바늘이 자동으로 전후로 왕복운동하고 문신 바늘이 왕복운동을 하는 동안에 문신용 색소가 문신 바늘을 타고 내려오도록 하여, 문신 바늘이 사람의 피부를 일정 깊이로 찌르도록 하면서 이동하면 문신을 시술하는 자의 의도대로 소정의 모양이 사람의 피부에 표현하도록 된 장치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일반적으로 문신장치는, 구동모터 및 캠 유닛을 구비하고 직선왕복운동을 링크를 연동하여 전진 및 후진을 하도록 설치되는 문신바늘을 가지게 된다.
즉,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캠 및 링크기구를 통해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문신바늘을 지속적으로 진퇴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서, 작업을 간편하게 하도록 있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50777호(명칭: 문신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문신바늘을 구비하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문신바늘로 전달하는 상하이동수단을 구비한 문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수단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진운동으로 전환하는 캠구조로 이루어지며,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베어링부재를 포함하는 문신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015358호(명칭: 반영구 눈썹화장 시술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기구)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시술할 때 피부에 염료가 스며들도록 하는 것으로, 사선으로 단차를 가지며 다수 겹쳐지게 정렬된 바늘과, 상기 바늘과 바늘) 사이에 구비되어 소정의 미세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시술을 할 때 눈썹의 모양을 하나하나 살려 자연스럽게 하기 위한 탄성을 가지는 수지와, 상기 정렬된 바늘의 외측을 합성수지로 감싸 형성한 몸체로 된 니들과; 상기 니들을 체결하여 시술할 때 간편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니들이 삽입되도록 중앙을 절개하여서 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외측으로 나사산이 구비되어 있는 압착집게와 상기 압착집게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시 나사산을 따라 진행하며 절개부를 압착함으로써 니들을 고정하도록 하는 캡으로 된 홀더를 포함하는 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31577호(명칭: 피부 시술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본체; 상기 본체에 내설되며 편심회전체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구동축이 구비된 구동부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과 연동되는 니들슬라이더; 상기 니들슬라이더의 일측에 결합되며 니들을 구비한 니들부재;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니들이 일직선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니들가이더홈을 갖는 니들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가이더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홀이 형성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1403호(명칭: 문신기구)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 및 캠 유닛을 구비하고 직선왕복운동을 링크를 통해 전달하는 상부구동부; 및 상기 상부구동부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링크의 동작에 연동하여 전진 및 후진을 하도록 설치되는 문신바늘을 포함하는 바늘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카트리지에는 문신바늘의 외측에서 승하강하도록 설치되어 바늘 노출길이를 조절하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문신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문신장치들은, 문신용 잉크(염료)를 수동으로 문신바늘에 주입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이 불편하고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다양한 색상의 잉크를 번갈아 가면서 작업을 할 때에 교체작업이 불편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장시간 잉크를 외부에 노출시킬 경우에 경화되어 폐기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623202호(명칭: 문신장치)를 제안하여 다양한 색상의 문신잉크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문신용 잉크를 외부에 대하여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문신바늘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문신장치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623202호의 문신장치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공급된 전원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 된 회전력을 통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된 구동링크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구동링크의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진퇴하며 선단에 잉크를 신체에 주입하도록 된 문신바늘과, 상기 문신바늘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바늘몸체를 가지는 바늘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문신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잉크가 저장된 공간부를 가지며 선단에 상기 공간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공급구를 가지고 상기 본체에 탈부착되는 '통' 형상의 잉크통체와, 상기 잉크통체의 공간부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직선운동압력을 인가받아 상기 공급구로 잉크를 가압하도록 된 가압피스톤을 가지는 잉크유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50777호 2,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015358호 3,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31577호 4,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1403호 5,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623202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신장치에서는, 잉크저장통이 구동수단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바늘유닛의 위치가 잉크저장통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잉크저장통에서 토출되는 잉크가 바늘유닛을 구성하는 바늘과 바늘구동축에 간섭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잉크저장통에 저장된 잉크가 상기 바늘유닛의 바늘에 안정적으로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잉크를 공급하도록 된 잉크공급수단과 바늘을 진퇴시키도록 된 진퇴수단이 병렬로 배치될 수 밖에 없어 부피가 증대하여 사용자가 문신작업을 수행할 때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저장공간에 저장된 잉크의 용량에 관계없이 정량적으로 바늘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됨은 물론, 잉크를 공급하도록 된 잉크공급수단과 바늘을 진퇴시키도록 된 진퇴수단을 직렬로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그 부피 및 무게를 줄이어 사용자가 안정되게 고품질의 문신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문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문신장치는, 내부에 문신바늘이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된 바늘유닛과; 선단에 상기 바늘유닛이 탈부착되며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배치된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발생된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선단이 배치된 문신바늘을 직선적으로 진퇴시키도록 된 진퇴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발생된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문신바늘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된 잉크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문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선단에 상기 바늘유닛이 탈부착되며 후단에 상기 전원공급부가 배치되고 길이를 가지는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늘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탈부착되며 선단에는 문신바늘이 관통하면서 직선운동할 때 안내하는 바늘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바늘공이 연결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공간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잉크가 충전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문신바늘이 끼움결합하되 상기 잉크가 상기 문신바늘의 외주면을 타고 안내되도록 된 끼움공이 형성되며 내부의 공간부에는 상기 잉크공급수단에서 인가되는 직선운동을 통해 잉크를 끼움공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직선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된 피스톤을 가지는 잉크저장통과, 상기 커버의 내부에서 상기 잉크저장통을 상기 진퇴수단측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도록 된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퇴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와 인접된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진퇴모터와, 상기 진퇴모터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회전하며 저면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경사각을 가지는 캠면이 형성된 캠휠과, 일단이 상기 캠휠의 캠면이 밀착되게 접촉하여 상기 캠휠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진퇴운동하도록 된 가동체와, 후단에 상기 가동체가 결속되어 상기 가동체의 진퇴운동에 따라 동시에 진퇴운동을 하며 내부에 상기 잉크공급수단이 수용되고 선단에 상기 잉크저장통의 후단이 착달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진 진퇴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잉크공급수단은, 상기 진퇴관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공급모터가 수용되는 수용관과, 상기 진퇴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도록 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진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의 회전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관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나사봉과, 상기 진퇴관의 선단에 마련되며 상기 나사봉이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문신장치는, 잉크공급수단을 통해 잉크저장통에 저장된 잉크를 용량에 관계없이 정량적으로 문신바늘로 공급하도록 됨은 물론, 잉크를 공급하도록 된 잉크공급수단과 문신바늘을 진퇴시키도록 된 진퇴수단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직렬로 배치됨에 따라, 하우징의 내경을 최소화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취부하여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고품질의 문신작업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를 구성하는 진퇴수단을 보인 일부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를 구성하는 진퇴수단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를 구성하는 잉크공급수단을 보인 일부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7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를 구성하는 잉크공급수단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를 구성하는 바늘유닛을 보인 일부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9 내지 1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를 구성하는 바늘유닛의 다른 예들을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1)는, 내부에 문신바늘(21)이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된 바늘유닛(2)과; 선단에 상기 바늘유닛(2)이 탈부착되며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30)의 후단에 배치된 전원공급부(5)의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발생된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선단이 배치된 문신바늘(21)을 직선적으로 진퇴시키도록 된 진퇴수단(5)과;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발생된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문신바늘(21)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된 잉크공급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서 상기 잉크공급수단(4)을 통해 잉크저장공간에 저장된 잉크를 용량에 관계없이 정량적으로 문신바늘(21)로 공급하도록 됨은 물론, 상기 진퇴수단(5)을 통해 상기 문신바늘(21)을 진퇴시켜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30)을 손으로 취부한 후, 문신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1)에서, 상기 하우징(30)은, 선단에 상기 바늘유닛(2)이 탈부착되며 후단에 상기 전원공급부(6)가 배치되고 길이를 가지는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전원공급부(6)는,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원을 인가받도록 된 연결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기에너지가 충전된 축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1)에서, 상기 바늘유닛(2)은, 상기 하우징(30)의 선단에 탈부착되며 선단에는 문신바늘(21)이 관통하면서 직선운동할 때 안내하는 바늘공(23)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바늘공(23)이 연결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커버(22)를 가진다.
즉, 상기 하우징(30)의 선단에 상기 커버(22)의 후단이 끼움결합하여 탈부착되어 상기 하우징(30)의 선단을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30)의 선단에는, 상기 커버(22)의 후단 외주면이 관통하면서 밀착되어 억지끼움결합하는 결속관(31)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속관(31)을 통해 상기 커버(22)가 탈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바늘유닛(2)은, 상기 커버(22)의 공간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잉크가 충전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문신바늘(21)이 끼움결합하되 상기 잉크가 상기 문신바늘(21)의 외주면을 타고 안내되도록 된 끼움공(41)이 형성되며 내부의 공간부에는 상기 잉크공급수단에서 인가되는 직선운동을 통해 잉크를 끼움공(41)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직선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된 피스톤(42)을 가지는 잉크저장통(43)을 가진다.
즉, 상기 잉크저장통(43)에 잉크가 충전된 후, 상기 피스톤(42)에 의해 폐쇄되어 잉크가 외부로 무단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피스톤(42)의 직선운동에 따라 가압되어 상기 끼움공(41)에 고정된 문신바늘(21)의 외주면으로 잉크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42)의 정속직선운동에 따라, 잉크가 정량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바늘유닛(2)은, 상기 커버(22)의 내부에서 상기 잉크저장통(43)을 상기 진퇴수단(5)측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도록 된 복귀스프링(24)을 가진다.
즉, 상기 진퇴수단(5)에 의해 상기 잉크저장통(43)이 직선운동할 때, 상기 탄성지지체에 의해 상기 잉크저장통(43)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탄성지지력을 부여받게 된다.
한편, 상기 바늘유닛(2)은, 도 9 내지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문신바늘(21)이 상기 잉크저장통(43)의 끼움공(41)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문신바늘(21)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상기 잉크저장통(43)의 끼움공(41)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다수의 문신바늘(21)이 직렬배열되어 이루어지거나, 직렬로 배열된 문신바늘(21)들이 다단으로 적층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중앙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을 가지면서 원형을 이루면서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작업하고자 하는 문신의 특성 및 신체적특징에 따라 적합한 형태의 문신바늘(21)을 적용할 수 있어, 고품질의 문신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1)에서, 상기 진퇴수단(5)은,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서 상기 전원공급부(6)와 인접된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진퇴모터(51)와, 상기 진퇴모터(51)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회전하며 저면에 상기 하우징(30)의 길이방향으로 경사각을 가지는 캠면이 형성된 캠휠(52)과, 일단이 상기 캠휠(52)의 캠면이 밀착되게 접촉하여 상기 캠휠(5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30)의 길이방향으로 진퇴운동하도록 된 가동체(53)와, 후단에 상기 가동체(53)가 결속되어 상기 가동체(53)의 진퇴운동에 따라 동시에 진퇴운동을 하며 내부에 상기 잉크공급수단(4)이 수용되고 선단에 상기 잉크저장통(43)의 후단이 착달되면서 상기 하우징(3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진 진퇴관(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진퇴모터(51)에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캠휠(52)이 회전하면서 상기 가동체(53)가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적으로 가압되어 전진하게 되며; 상기 가동체(53)의 전진에 따라, 상기 진퇴관(54)이 직선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진퇴관(54)의 선단에 결합된 상기 잉크저장통(43)이 전진운동하게 되어, 상기 잉크저장통(43)의 끼움공(41)에 결합된 상기 문신바늘(21)이 전진운동하면서 문신작업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늘유닛(2)을 구성하는 복귀스프링(24)에 의해 상기 잉크저장통(43)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후퇴운동하여 상기 문신바늘(21)이 후퇴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진퇴관(54)이 후단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진퇴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문신바늘(21)이 진퇴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문신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진퇴관(54)의 내부에는 상기 가동체(53)를 상기 캠휠(52)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가동체(53)가 상기 캠휠(52)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캠운동하도록 하는 가압스프링(55)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1)에서, 상기 잉크공급수단(4)은, 상기 진퇴관(54)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공급모터(441)가 수용되는 수용관(44)과, 상기 진퇴관(54)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모터(441)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도록 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진 회전관(45)과, 상기 회전관(45)의 회전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관(45)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나사봉(451)과, 상기 진퇴관(54)의 선단에 마련되며 상기 나사봉(451)이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4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공급모터(441)에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회전관(45)이 회전하면서 상기 나사봉(451)이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나사봉(4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너트부재(452)를 기준으로 상기 나사봉(451)이 나사회전하면서 직선적으로 이동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나사봉(451)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나사봉(451)의 선단에 위치되는 상기 피스톤(42)이 가압되어 상기 잉크저장통(43)에 저장된 잉크가 상기 끼움공(41)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배출되면서 상기 문신바늘(21)의 외주면을 타고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모터(441)의 정속구동에 따라, 잉크가 정량적으로 공급된다.
상기에서 회전관(45)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장홈(453)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봉(451)에는 상기 장홈(453)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안내봉(45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내봉(454)이 상기 장홈(453)에 안내되어 상기 나사봉(451)이 상기 회전관(45)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직선방향으로 안내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피스톤(42)에는 상기 나사봉(451)의 선단이 수용되는 수용홈(421)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봉(451)의 직선운동시 안정적으로 가압력을 인가받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스프링(55)은, 양단이 상기 수용관(44)과 상기 가동체에 각각 지지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1)를 통해 문신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30)을 손으로 잡고 상기 제어수단을 조작하여 상기 공급모터(441)와 상기 진퇴모터(51)를 선택된 데이터를 적용하여 구동하면서 작업하고자 하는 피부에 상기 바늘유닛(2)의 선단에 노출된 문신바늘(21)을 접촉시키면서 문신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때, 상기 공급모터(441)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회전관(45)을 회전시키어 상기 나사봉(451)이 상기 회전관(45)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나사봉(451)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너트부재(452)에 나사회전하면서 직선적으로 이동운동하게 되며 상기 나사봉(451)이 상기 회전관(45)의 내부에서 장홈(453)을 따라 안내봉(454)이 안내되면서 직선운동하며 상기 피스톤(42)을 직선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잉크저장통(43)에 저장된 잉크를 상기 끼움공(41)측 방향으로 정량적으로 배출하여 상기 문신바늘(21)의 외주면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퇴모터(51)에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캠휠(52)과 대응하여 직선운동하는 상기 가동체(53)에 의해 전진운동하며 상기 복귀스프링(24)에 의해 후퇴운동하여 진퇴하는 상기 진퇴관(54)의 진퇴운동에 따라, 상기 잉크저장통(43)이 진퇴운동하면서 상기 문신바늘(21)은 진퇴운동시켜 문신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잉크공급수단(4)을 통해 잉크저장통(43)에 저장된 잉크를 용량에 관계없이 정량적으로 문신바늘(21)로 공급하면서, 상기 진퇴수단(5)을 통해 상기 문신바늘(21)을 반복적으로 진퇴운동시켜 문신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문신장치(1)는, 잉크를 공급하도록 된 상기 잉크공급수단(4)과 문신바늘(21)을 진퇴시키도록 된 상기 진퇴수단(5)이 작업자가 손으로 취부하도록 된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서 직렬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구조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문신장치 2 : 바늘유닛
21 : 문신바늘 22 : 커버
23 : 바늘공 24 : 복귀스프링
30 : 하우징 31 : 결속관
4 : 잉크공급수단 41 : 끼움공
42 : 피스톤 421 : 수용홈
43 : 잉크저장통 44 : 수용관
441 : 공급모터 45 : 회전관
451 : 나사봉 452 : 너트부재
453 : 장홈 454 : 안내봉
5 : 진퇴수단 51 : 진퇴모터
52 : 캠휠 53 : 가동체
54 : 진퇴관 55 : 가압스프링
6 : 전원공급부

Claims (1)

  1. 내부에 문신바늘(21)이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된 바늘유닛(2)과; 선단에 상기 바늘유닛(2)이 탈부착되며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30)의 후단에 배치된 전원공급부(6)의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발생된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선단이 배치된 문신바늘(21)을 직선적으로 진퇴시키도록 된 진퇴수단(5)과;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발생된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문신바늘(21)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된 잉크공급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30)은, 선단에 상기 바늘유닛(2)이 탈부착되며 후단에 상기 전원공급부(6)가 배치되고 길이를 가지는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늘유닛(2)은, 상기 하우징(30)의 선단에 탈부착되며 선단에는 문신바늘(21)이 관통하면서 직선운동할 때 안내하는 바늘공(23)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바늘공(23)이 연결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커버(22)와, 상기 커버(22)의 공간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잉크가 충전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문신바늘(21)이 끼움결합하되 잉크가 상기 문신바늘(21)의 외주면을 타고 안내되도록 된 끼움공(41)이 형성되며 내부의 공간부에는 상기 잉크공급수단(4)에서 인가되는 직선운동을 통해 잉크를 끼움공(41)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직선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된 피스톤(42)을 가지는 잉크저장통(43)과, 상기 커버(22)의 내부에서 상기 잉크저장통(43)을 상기 진퇴수단(5)측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도록 된 복귀스프링(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퇴수단(5)은,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서 상기 전원공급부(6)와 인접된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진퇴모터(51)와, 상기 진퇴모터(51)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회전하며 저면에 상기 하우징(30)의 길이방향으로 경사각을 가지는 캠면이 형성된 캠휠(52)과, 일단이 상기 캠휠(52)의 캠면이 밀착되게 접촉하여 상기 캠휠(5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30)의 길이방향으로 진퇴운동하도록 된 가동체(53)와, 후단에 상기 가동체(53)가 결속되어 상기 가동체(53)의 진퇴운동에 따라 동시에 진퇴운동을 하며 내부에 상기 잉크공급수단(4)이 수용되고 선단에 상기 잉크저장통(43)의 후단이 착달되면서 상기 하우징(3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진 진퇴관(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잉크공급수단(4)은, 상기 진퇴관(54)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공급모터(441)가 수용되는 수용관(44)과, 상기 진퇴관(54)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모터(441)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하도록 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관(管;pipe)'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진 회전관(45)과, 상기 회전관(45)의 회전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관(45)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나사봉(451)과, 상기 진퇴관(54)의 선단에 마련되며 상기 나사봉(451)이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4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문신장치(1)에 있어서;
    상기 회전관(45)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장홈(453)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봉(451)에는,
    상기 장홈(453)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안내봉(454)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42)에는,
    상기 나사봉(451)의 선단이 수용되는 수용홈(421)이 형성되며;
    상기 바늘유닛(2)은,
    복수의 문신바늘(21)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상기 잉크저장통(43)의 끼움공(41)이 결합되되, 다수의 상기 문신바늘(21)이 직렬배열됨과 아울러, 직렬로 배열된 상기 문신바늘(21)들이 다단으로 적층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신장치.
KR1020170118345A 2017-09-15 2017-09-15 문신장치 KR101831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345A KR101831124B1 (ko) 2017-09-15 2017-09-15 문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345A KR101831124B1 (ko) 2017-09-15 2017-09-15 문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124B1 true KR101831124B1 (ko) 2018-04-04

Family

ID=61975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345A KR101831124B1 (ko) 2017-09-15 2017-09-15 문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12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949B1 (ko) * 2019-08-26 2019-11-26 진현숙 반영구 화장 기구
WO2020065567A1 (en) * 2018-09-28 2020-04-02 Plus System S.R.L.S. Ink supply unit for a tattooing device
KR102296038B1 (ko) * 2021-03-08 2021-09-01 (주)우리메카 피부 시술장치
KR102373382B1 (ko) 2021-10-01 2022-03-10 박용택 문신 작업용 제어 시스템
KR102394056B1 (ko) 2021-12-02 2022-05-03 박용택 공중부양식 거치 구조를 갖는 문신장치
WO2022217992A1 (zh) * 2021-04-14 2022-10-20 夏婷婷 一种可持续缓释供墨的多点上色纹绣针头及纹绣装置
KR102500833B1 (ko) * 2021-11-09 2023-02-20 주식회사 네일클럽 반영구 화장을 위한 문신 장치
KR20230002190U (ko) 2022-05-09 2023-11-16 주식회사 더모스트코리아 문신기
WO2024021951A1 (zh) * 2022-07-26 2024-02-01 免麻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纹绣仪的操作手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965B1 (ko) * 2012-04-12 2014-05-29 봄텍전자 주식회사 피부용 액체주입장치
KR101623202B1 (ko) * 2016-01-29 2016-05-23 박용택 문신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965B1 (ko) * 2012-04-12 2014-05-29 봄텍전자 주식회사 피부용 액체주입장치
KR101623202B1 (ko) * 2016-01-29 2016-05-23 박용택 문신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5567A1 (en) * 2018-09-28 2020-04-02 Plus System S.R.L.S. Ink supply unit for a tattooing device
US11850389B2 (en) 2018-09-28 2023-12-26 Plus System S.R.L.S. Ink supply unit for a tattooing device
KR102048949B1 (ko) * 2019-08-26 2019-11-26 진현숙 반영구 화장 기구
KR102296038B1 (ko) * 2021-03-08 2021-09-01 (주)우리메카 피부 시술장치
WO2022217992A1 (zh) * 2021-04-14 2022-10-20 夏婷婷 一种可持续缓释供墨的多点上色纹绣针头及纹绣装置
KR102373382B1 (ko) 2021-10-01 2022-03-10 박용택 문신 작업용 제어 시스템
KR102500833B1 (ko) * 2021-11-09 2023-02-20 주식회사 네일클럽 반영구 화장을 위한 문신 장치
KR102394056B1 (ko) 2021-12-02 2022-05-03 박용택 공중부양식 거치 구조를 갖는 문신장치
KR20230002190U (ko) 2022-05-09 2023-11-16 주식회사 더모스트코리아 문신기
WO2024021951A1 (zh) * 2022-07-26 2024-02-01 免麻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纹绣仪的操作手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124B1 (ko) 문신장치
KR101623202B1 (ko) 문신장치
KR101937145B1 (ko) 문신장치용 바늘유닛
KR100789398B1 (ko) 문신장치
KR101395100B1 (ko) 피부시술장치
TWM528178U (zh) 無回彈力紋刺針頭及應用該針頭的紋刺裝置
KR200466520Y1 (ko) 문신 장치
CN108186107B (zh) 一种骨科克氏针推进器
KR101395099B1 (ko) 피부시술장치
KR101457271B1 (ko) 피부시술장치
CN204484768U (zh) 一种针灸笔
CN108042905A (zh) 一种电磁推动的纹绣笔
CN109171834A (zh) 一种毛囊提取设备
KR102042176B1 (ko) 피부표시기
DE102012111934A1 (de) Handgerät zum Erstellen eines Permanent-Make-ups oder eines Tatoos
CN211461758U (zh) 纹绣笔及其上调节直驱装置
CN209107431U (zh) 毛囊提取设备
DE19836376A1 (de) Vorrichtung zum Aufbringen von Permanent-Make-up
CN213589517U (zh) 一种全抛式美容纹饰仪传动机构
JPH0433821Y2 (ko)
KR20180128638A (ko) 잉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문신장치
CN111195390A (zh) 一种色料精确进给的纹绣笔
CN215387007U (zh) 一种防回流的纹绣全抛针
CA3164957A1 (en) Variable frequency waveform tattoo needle mechanism
CN207118907U (zh) 一种医用临床肿瘤取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