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812B1 - 내변색 및 광특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변색 및 광특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812B1
KR101717812B1 KR1020130147729A KR20130147729A KR101717812B1 KR 101717812 B1 KR101717812 B1 KR 101717812B1 KR 1020130147729 A KR1020130147729 A KR 1020130147729A KR 20130147729 A KR20130147729 A KR 20130147729A KR 101717812 B1 KR101717812 B1 KR 101717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plate
inorganic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751A (ko
Inventor
정유진
김양일
강태곤
박찬무
임종철
홍상현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30147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812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변색 및 광특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백색안료 및 판상의 무기필러를 포함함으로써, 내변색 특성 및 광안정성이 우수하여 LED 리플렉터로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변색 및 광특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POLYESTER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ANTI-DISCOLORATION AND OPTICAL PROPERTIES}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변색 특성 및 광안정성이 우수하여 LED 리플렉터용으로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새로운 광원을 사용한 조명 표시 소자들이 기존의 광원을 급속히 대체하며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조명 표시 소자들은 반사판(reflector), 반사 컵(reflector cup), 스크램블러(scrambler) 또는 하우징(housing) 등의 부품을 이용하여 높은 반사율을 가지면서 광효율을 극대화시켜 빛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러한 부품소재는 높은 온도에 견딜 수 있으며, 반사율 및 황변화로 인한 백색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물성이 요구된다.
한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이의 공중합체, 또는 이의 블렌드(blend) 등은 각각 유용한 특성을 나타내어, 제품의 내외장재 소재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상기 조명 표시 소자의 부품 소재로서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사용된다. 이때,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로서, 고내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높은 온도에서 변형이 없고, 내변색 특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내충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수지에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혼합하여 충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나, 많은 양을 도입하게 되면 블리드 아웃(bleed-out) 등의 성형 가공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7,009,029호(특허문헌 1)은 수지의 광안정성 및 내변색 특성을 높이기 위하여 광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우수한 내열성 및 반사율을 갖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장기간 가동시 황색도 변화율 및 반사율 변화량이 급격히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조명 표시 소자의 부품 소재에 적용할 수 있는 기계적 강성 및 고내열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함에 있어서, 성형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은 저하되지 않으면서 빛과 열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때 광안정성 및 내변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에 대한 기술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미국등록특허 제7,135,520호(2006.11.14)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변색 및 광특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백색안료 및 판상의 무기필러를 포함함으로써, 성형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의 감소없이, 내변색특성 및 광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 가공성, 기계적 물성, 내변색특성 및 광안정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폴리에스테르 수지, (B) 백색안료 및 (C) 판상의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A) 30 내지 80중량%, 백색안료(B) 10 내지 60중량% 및 판상의 무기필러(C) 10 내지 4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지환족 디올로부터 유래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기 화학식 1을 기본단위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3109642011-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10 내지 500에서 선택되는 정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백색안료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황화아연, 연백, 황산아연, 황산바륨,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무기필러는 단면의 종횡비(aspect ratio)가 1.5 내지 8인 유리섬유일 수 있으며, 상기 판상의 무기필러는 평균길이가 1 내지 10 ㎜ 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술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품은 글로스(gloss)가 90 내지 1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품은 초기 반사율이 93% 내지 99% 이며, 85℃ 온도 및 상대습도 85%에서 500시간 항온항습 후 반사율 변화량(△Re)이 8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품은 LED 리플렉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성형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지 않고, 내변색 특성 및 반사율 변화량 등의 광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은 성형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내변색 특성 및 반사율 변화량이 현저히 향상되어, LED 리플렉터 용도로 우수한 광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성형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광안정성 및 내변색 특성이 뛰어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폴리에스테르 수지, 백색안료 및 판상의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여 놀랍게도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 방치했을 때, 우수한 성형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황변으로 인한 반사율 저하를 최소화하고, 표면 광택도를 향상시켜 내변색 특성 및 반사율 변화량 등의 광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각 구성성분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에스테르 수지, (B) 백색안료 및 (C) 판상의 무기필러를 포함한다.
(A) 폴리에스테르 수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우수한 내열성, 기계적 강도 및 내충격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고분자에 고리 모양의 구조가 포함되어 높은 융점을 갖는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융점이 200℃ 이상, 특히 220 ~ 380℃, 바람직하게는 260 ~ 320℃일 수 있다. 융점이 380℃ 초과일 경우, 성형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융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그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디올 성분으로부터 용융 중합에 의하여 축중합된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일 예로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및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테레프탈산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디올 성분으로 고리 모양의 반복 단위를 형성하기 이하여 지환족 디올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CHDM)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A)는 하기 화학식 1와 같이 테레프탈산 및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축중합된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3109642011-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10 내지 500에서 선택되는 정수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지환족 디올을 함유함으로써, 내열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다른 구성성분과의 조합으로 성형 가공성, 기계적 물성 뿐 아니라 내변색 특성 및 광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디올 성분으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이외에 지방족 디올인 에틸렌글리콜(E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디올 성분은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5~100 중량% 및 에틸렌글리콜 0~85 중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30~80 중량% 및 에틸렌글리콜 20~70 중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내열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내충격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추가 디올 성분으로, 하나 이상의 C6~C21인 방향족 디올 또는 C3~C8인 지방족 디올을 1종 이상 더 포함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A)를 변성시킬 수 있다. 상기 추가 디올 성분의 함량은 디올 성분 100몰% 기준으로 3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C6~C21인 방향족 디올 또는 C3~C8인 지방족 디올의 예로는 프로판-1,3-디올, 부탄-1,4-디올, 펜탄-1,5-디올, 헥산-1,6-디올, 3-메틸펜탄-2,4-디올, 2-메틸펜탄-1,4-디올, 2,2,4-트리메틸펜탄-1,3-디올, 2-에틸헥산-1,3-디올, 2,2-디에틸프로판-1,3-디올, 1,4-사이클로부탄디메탄올, 2,2-비스-(3-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A)는 고유점도[η]가 o-클로로페놀 용액에서 35℃로 측정시 0.4~1.5㎗/g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1.2㎗/g일 수 있다. 고유점도[η]가 0.4㎗/g 미만이면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고유점도가 1.5㎗/g 초과이면 성형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공지된 종래의 중축합 반응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중축합 반응은 글리콜 또는 저급알킬 에스테르를 사용한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한 산의 직접 축합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의 범위는 5,000 내지 30,000g/mol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5,000 내지 20,000g/mo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전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30 내지 80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50 내지 80중량% 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내열성이 미미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80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성형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B) 백색안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색안료는 높은 반사율 및 내변색 특성 향상을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산화티탄, 산화아연, 황화아연, 연백, 황산아연, 황산바륨,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색안료는 다른 구성성분과의 조합으로 백색도 및 반사율을 높일 수 있으며,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 동안 내변색 특성 및 광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백색안료는 전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10 내지 60중량% 포함할 수 있다. 백색안료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백색도 및 반사율 향상 효과가 미미해질 우려가 있으며, 60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내충격성 및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백색안료는 다른 성분과의 조합에 따라 높은 백색도, 높은 광반사성, 분산성 및 우수한 내후성,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산화 티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티탄의 결정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루타일형 또는 정방정계인 것이 장기간 고온에 노출 시 안정적이며, 반사율이 저하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어 좋다. 또한, 백색안료의 입경 크기는 0.01 ~ 2.0㎛, 바람직하게는 0.05 ~ 0.7㎛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색안료는 유기 표면처리제 또는 무기 표면처리제로 표면 처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표면처리제는 실란 커플링제, 폴리디메틸실록산, 트리메틸프로판(TMP) 또는 펜타에리트리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란 커플링제는 비닐트리에톡시실란, 2-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기 표면처리제는 산화알루미늄(알루미나, Al2O3), 이산화규소(실리카, SiO2), 지르코니아(이산화지르콘, ZrO2), 규산나트륨, 알루민산나트륨, 규산나트륨알루미늄, 산화아연, 운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표면처리제 또는 무기표면처리제는 백색안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 포함될 수 있다.
(C) 판상의 무기필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판상의 무기필러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서 백색안료와 함께 기계적 물성 및 내변색 특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성형품으로 형성했을 때 표면의 거칠기(roughness)를 조절하여 반사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판상의 무기필러의 종류는 당해 기술분야에 자명하게 공지된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판상 유리섬유, 판상 실리케이트, 판상 실리카일 수 있다.
상기 판상의 무기필러는 평균길이가 1 내지 10mm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3 내지 6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일 때,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성형 가공성이 향상되며, 백색안료와 함께 내변색 특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판상 유리섬유는 단면의 종횡비(aspect ratio)가 1.5 내지 8일 수 있다. 상기 종횡비는 장축 및 단축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장축은 단면의 긴 길이로 a라 하고, 단축은 짧은 길이로 b라 했을 때 a/b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종횡비가 1.5미만일 경우에는 라운드형 유리섬유와 유사한 거동을 보여 목적하는 효과 달성이 미미해질 우려가 있으며, 8 초과일 경우에는 조성물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사출시 외관 돌출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판상 유리섬유의 종횡비가 상기 범위에 있을 때,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과 반사율, 글로스(광택도, gloss) 등의 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판상의 무기필러는 전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10 내지 40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10 내지 30중량% 일 수 있다.
판상의 무기필러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글로스(gloss) 및 반사율의 향상이 미미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40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성형품의 표면에 판상의 무기필러가 돌출되어 성형품의 외관이 나빠질 수 있으며 유동성이 저하되어 성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구성성분 이외에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항균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이형제, 광안정제,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가소제, 상용화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착색제, 안료, 염료, 난연제, 난연보조제, 적하방지제, 내후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구성성분과 첨가제를 헨셀믹서, V 블렌더, 텀블러 블렌더, 리본 블렌더 등으로 혼합하고, 이를 일축 압출기 또는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150 내지 300℃ 온도에서 용융 압출하여 펠렛상을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L/D=29, Φ=36mm의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250~310℃온도에서, 300~600 rpm의 스크류 회전 속도, 60~600 kg/hr의 자가 공급 속도의 조건 하에서 압출하여 펠렛상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펠렛은 80℃에서 4시간 이상 건조하여 시편으로 사출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한 내변색 특성 및 광안정성이 향상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즉,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성형, 이중사출성형, 블로우 성형, 압출 성형, 열 성형 등의 여러 가지 공정에 의하여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글로스(gloss)가 90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색차계로 440㎚ 파장의 초기 반사율을 측정한 값이 93 내지 99%이며, 85℃, 상대습도 85%에서 LED 광원에서 500시간 항온항습 후 반사율 변화량(△Re)이 8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품은 색차계로 초기 황색도를 측정하고, 170℃에서 500시간 방치 후 황색도 차이가 12 이하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백색안료 및 판상의 무기필러를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성형 가공성을 유지하면서, 내변색 특성, 반사율 변화량 및 글로스(gloss)가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이 요구되는 LED 리플렉터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일 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성 측정
(1)외관(gloss)측정
ASTM D2457 규격에 의거하여 광택이 있는 9*5cm 규격의 직사각형 형태의 시편을 nippon denshoku사의 VG7000 gloss meter를 이용하여 각도 60°에서 측정하였다.
(2) 반사율(Reflectance)
판 형태의 시편을 이용하여 440nm 파장에서의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최초 반사율 (SCI, specular component included)을 측정하고, 170℃ 및 상대습도 85% 조건의 항온항습 오븐에서 460nm 파장을 갖는 LED 광원을 1,000시간 동안 조사한 이후의 반사율을 측정하여 반사율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반사율 측정기로서 미놀타(주)(KONICA MINOLTA HOLDINGS, INC.)의 CM3500d를 사용하였다.
(3) 황색도(Yellow Index)
ASTM D1925에 준하여 Minolta 3600D CIE Lab. 색차계를 이용하여 두께 2.5mm 시편의 황색도를 측정하였다. 최초 황색도를 측정하고 170℃ 및 상대습도 85%의 항온항습 오븐에서 460nm 파장을 갖는 LED 광원을 500시간 동안 방치 후 황색도를 측정하여 황색도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에스테르 수지
SK chemical사의 PCT 0302를 사용하였다.
(B) 백색안료
우신피그먼트 社의 산화티탄(SAOMAI SM 2S15)를 사용하였다.
(C) 판상의 무기필러
종횡비가 4이고, 평균길이가 3mm인 판상의 유리섬유
(Nittobo 社 CSG 3PA-820)를 사용하였다.
(D) 무기필러
종횡비가 1이고, 평균길이가 3mm인 라운드형 유리섬유(오웬스코닝 社 910)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A)폴리에스테르 수지 80중량%, (B)백색안료 10중량% 및 (C)판상의 무기필러 10중량%를 혼합하여 드라이 블랜딩(dry blending)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Φ=36 mm인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노즐온도, 250~310℃에서 가공하여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펠렛은 80℃에서 4 시간 이상 건조 후 시편을 사출한 후, 물성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4]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A)폴리에스테르 수지, (B)백색안료 및 (C)판상의 무기필러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B)백색안료 및 (C)판상의 무기필러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C)판상의 무기필러 대신 (D)유리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C)판상의 무기필러 대신 (D)유리섬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3109642011-pat00003
[표 2]
Figure 112013109642011-pat00004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글로스(gloss) 및 반사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온에서 오랜 시간 체류 후에도 황색도 및 반사율이 크게 저하되지 않으며, 그 변화율도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백색안료 및 판상의 무기필러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은 글로스가 낮고, 고온에서 장시간 체류 시 황색도와 반사율의 감소율이 매우 현저히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판상의 무기필러가 아닌 일반적인 유리섬유를 사용한 비교예 2 및 3은 각각에 대응하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4보다 글로스가 낮고, 고온에서 장시간 체류 시 황색도와 반사율의 감소가 비교예 1보다는 덜 하지만 실시예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물성의 저하 없이, 글로스가 우수하고, 고온에서 장시간 체류하여도 황색도 및 반사율의 감소율이 적어 광안정성 및 내변색 특성이 우수하여, LED 리플렉터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0)

  1. (A) 폴리에스테르 수지 60 내지 80중량%;
    (B) 백색안료 10 내지 20중량%; 및
    (C) 판상의 무기필러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판상의 무기필러는 단면의 종횡비가 1.5 내지 8인 유리섬유이고,
    성형품의 글로스(gloss)가 90 내지 100이고, 85℃ 온도 및 상대습도 85%에서 500시간 항온항습 후 반사율 변화량(△Re)이 8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지환족 디올로부터 유래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기본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3109642011-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10 내지 500에서 선택되는 정수이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안료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황화아연, 연백, 황산아연, 황산바륨,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무기필러는 평균길이가 1 내지 10mm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7. 제 1항, 제 3항, 제 4항, 제 6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8. 삭제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LED 리플렉터인 성형품.
KR1020130147729A 2013-11-29 2013-11-29 내변색 및 광특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717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729A KR101717812B1 (ko) 2013-11-29 2013-11-29 내변색 및 광특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729A KR101717812B1 (ko) 2013-11-29 2013-11-29 내변색 및 광특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751A KR20150062751A (ko) 2015-06-08
KR101717812B1 true KR101717812B1 (ko) 2017-03-17

Family

ID=5350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729A KR101717812B1 (ko) 2013-11-29 2013-11-29 내변색 및 광특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8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247B1 (ko) * 2019-08-01 2021-02-2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매트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7910B1 (ko) * 2019-11-29 2022-08-0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453106B1 (ko) * 2019-12-30 2022-10-0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리플렉터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20095706A (ko) * 2020-12-30 2022-07-0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리플렉터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13861630B (zh) * 2021-09-18 2023-02-21 珠海万通特种工程塑料有限公司 一种聚酯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5520B2 (en) 2002-07-01 2006-11-14 Lanxess Corporation Glass fiber fill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with good surface appearance
DE102006030955A1 (de) * 2006-07-03 2008-01-10 Röhm Gmbh Extrudierte Polymerplatten für anisotrope Lichtstreuung mit hoher Dimensionsstabilität
KR101403390B1 (ko) * 2011-12-28 2014-06-03 제일모직주식회사 초기 반사성, 고온 및 고온/고습 내황변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751A (ko) 201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492B1 (ko) 내황변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EP2813542B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having good reflectance, heat resistance, yellowing resistance and humidity resistance
KR101717812B1 (ko) 내변색 및 광특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566062B1 (ko) 발광장치 리플렉터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EP2738204B1 (en) Polyest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crystallization rate
KR101690829B1 (ko) 내충격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6192200B2 (ja) 耐熱および耐光性ポリマー組成物
KR101849830B1 (ko) 내충격성 및 광신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711241B1 (ko) 내변색특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90402B1 (ko) 폴리 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40141227A (ko) 반사율 및 내변색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수지 조성물
JPWO2003022925A1 (ja) 難燃性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
EP2634211A1 (en) Heat and light resistant polymer composition
US9899580B2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anti-discoloration
US10468568B2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moldability
US10998477B2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moldability
KR10237812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539954B1 (ko) 발광장치 리플렉터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762484B1 (ko) 고온 광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93319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42791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14901744A (zh) 用于发光二极管反射器的热塑性树脂组合物和包括其的模制品
TW201920461A (zh) 具有改進的結晶速率之聚酯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