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280B1 -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280B1
KR101712280B1 KR1020150111566A KR20150111566A KR101712280B1 KR 101712280 B1 KR101712280 B1 KR 101712280B1 KR 1020150111566 A KR1020150111566 A KR 1020150111566A KR 20150111566 A KR20150111566 A KR 20150111566A KR 101712280 B1 KR101712280 B1 KR 101712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s
landing
charging
house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7517A (ko
Inventor
노승환
송성종
김준
한가람
조혜임
정소윤
김지은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1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280B1/ko
Publication of KR20170017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4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for stor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3/00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 B64C2201/066
    • B64C2201/14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이 제시된다.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운영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드론을 수용하는 드론 하우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드론의 접근 시 착륙부에 안착하도록 착륙 유도 시스템에서 착륙을 유도하는 단계;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드론의 착륙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착륙부에 상기 드론의 안착을 확인 후,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를 폐쇄하여 상기 드론을 보관하는 단계;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의 안전 상태, 충전 상태 및 비행 기록을 저장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드론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착륙부에 설치된 무선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드론의 비행이 필요할 경우,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드론의 안전 상태 및 충전 상태를 확인하여 비행 승인을 하는 단계;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드론의 이륙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의 이륙을 확인 후,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Smart Drone House for Charging and Managing Dron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아래의 실시예들은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드론을 모니터링 하여 개체 별로 관리하는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드론(Drone)은 무인 항공기로, 조종사를 탑승하지 않고 지정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한 비행체이다. 이러한 드론은 독립된 체계 또는 우주/지상체계들과 연동시켜 운용할 수 있다. 활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장비(광학, 적외선, 레이더 센서 등)를 탑재하여 감시, 정찰, 정밀 공격 무기의 유도, 통신/정보 중계, EA/EP, Decoy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폭약을 장전시켜 정밀무기 자체로도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어 향후 미래의 주요 군사력 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군사용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78823호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를 원격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를 제어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혼자서 무인 비행체의 기능을 모두 제어 및 관리해야 하므로, 복수의 기능을 동시에 제어하거나 복수의 무인 비행체를 관리하는 것이 어렵다.
현재 다수의 드론을 관리 및 필요로 하는 기관(수요)이 없어, 개별 드론을 박스 형태로 보관하고 있어 드론 별 관리가 되지 않고 있으며, 별도의 자동 충전 및 착륙 유도 시스템을 구비한 드론 관리 시스템이 없는 실정이다.
현재 개별 드론을 관리하는 방식에서는 향후 사회적인 수요 증대에 따라 다수의 드론이 필요할 경우 개별 관리가 어려워지며, 특히 군용 및 사회 안전용 등 공공에서 드론의 활용이 증대하는 경우 다수 드론의 식별, 이상 유무 관리, 충전 상태 관리 등 드론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하기 어렵다.
실시예들은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드론을 모니터링 및 관리하여 개체 별로 관리하는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드론이 안착되는 착륙부가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개폐형 도어가 형성되고, 방우, 방진 설계를 통해 장비의 노후화를 최소화하고 보관에 최적화된 설계를 가지는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착륙 유도 시스템을 통해 드론의 안전한 이착륙을 도울 수 있고, 유선 및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비하여 드론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다수의 드론을 관리할 수 있는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운영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드론을 수용하는 드론 하우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드론의 접근 시 착륙부에 안착하도록 착륙 유도 시스템에서 착륙을 유도하는 단계;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드론의 착륙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착륙부에 상기 드론의 안착을 확인 후,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를 폐쇄하여 상기 드론을 보관하는 단계;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의 안전 상태, 충전 상태 및 비행 기록을 저장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드론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착륙부에 설치된 무선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드론의 비행이 필요할 경우,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드론의 안전 상태 및 충전 상태를 확인하여 비행 승인을 하는 단계;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드론의 이륙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의 이륙을 확인 후,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는 상기 드론 하우스의 상부 일부가 개폐되는 지붕 형태의 도어이고, 상기 착륙부는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여, 상기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 시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가 개방되고 상기 착륙부가 상승하며, 상기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을 확인 후 상기 착륙부가 하강하고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은, 상기 드론 하우스 내의 관리자에게 상기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저장한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드론의 충전, 이륙, 및 착륙 지시를 각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드론은 각각 관리 번호가 부여되어 상기 관리 번호에 따라 관리되고, 상기 착륙부는 구간이 분할되어 상기 복수의 드론을 안착시키며, 상기 각 구간마다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 및 상기 충전 유도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을 충전하는 단계는, 급속 충전 여부를 확인하여 급속 충전이 필요한 경우, 상기 드론과 유선 충전으로 연결되어 고속 충전되고, 상기 급속 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기 드론의 비행 후 상기 착륙부에 안착 시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을 통해 자동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착륙 유도 시스템에서 착륙을 유도하는 단계는, GPS 센서 기반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드론을 동시에 착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드론을 동시에 착륙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드론에 형성된 위치 탐색 및 조회 가능한 GPS 정보 탐색 모듈과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드론의 위치 및 착륙 각도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드론을 동시에 착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에 있어서, 복수의 드론을 수용하고 관리하는 공간을 가지며 적어도 일측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형성된 드론 하우스; 상기 드론 하우스의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외부로 드러나며,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되어 상기 각 구간에 상기 복수의 드론을 각각 안착시키는 착륙부; 상기 드론의 접근 시 상기 착륙부에 안착하도록 착륙을 가이드하는 착륙 유도 시스템; 상기 착륙부의 상기 각 구간에 형성되어 상기 드론의 안착 시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및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의 안전 상태, 충전 상태 및 비행 기록을 저장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는 상기 드론 하우스의 상부 일부가 개폐되는 지붕 형태의 도어이고, 상기 착륙부는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여, 상기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 시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가 개방되고 상기 착륙부가 상승하며, 상기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을 확인 후 상기 착륙부가 하강하고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드론 하우스 내의 관리자에게 상기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저장한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드론의 충전, 이륙, 및 착륙 지시를 각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드론은 각각 관리 번호가 부여되어 상기 관리 번호에 따라 관리되고, 상기 착륙부는 구간이 분할되어 상기 복수의 드론을 안착시키며, 상기 각 구간마다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 및 상기 충전 유도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은, 급속 충전 여부를 확인하여 급속 충전이 필요한 경우, 상기 드론과 유선 충전으로 연결되어 고속 충전되고, 상기 급속 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기 드론의 비행 후 상기 착륙부에 안착 시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을 통해 자동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드론이 동시에 이륙 또는 착륙 가능한 GPS 센서 기반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GPS 센서 기반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드론에 형성된 위치 탐색 및 조회하는 GPS 정보 탐색 모듈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드론의 위치 및 착륙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드론이 안착되는 착륙부가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개폐형 도어가 형성되고, 방우, 방진 설계를 통해 장비의 노후화를 최소화하고 보관에 최적화된 설계를 가지는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착륙 유도 시스템을 통해 드론의 안전한 이착륙을 도울 수 있고, 유선 및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비하여 드론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함으로써, 다수의 드론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드론의 상태 및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론 하우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론 하우스의 상승된 착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론 하우스의 개방된 도어와 하강된 착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론 하우스의 폐쇄된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론 하우스의 운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드론을 모니터링 및 관리하여 개체 별로 관리하는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드론이 안착되는 착륙부가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개폐형 도어가 형성되고, 방우, 방진 설계를 통해 장비의 노후화를 최소화하도록 하며, 착륙 유도 시스템을 통해 드론의 안전한 이착륙을 도울 수 있고, 유선 및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비하여 드론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다수의 드론을 관리할 수 있는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론 하우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론 하우스는 드론 하우스(10), 착륙부(20), 및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마트 드론 하우스는 다수의 드론(40)을 충천 및 관리할 수 있는 드론(40) 격납고를 의미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스마트 드론 하우스는 다수의 드론(40)을 격납할 수 있는 방우 및 방진형 구조의 드론 하우스(10)로서, 관리자가 내부에서 드론(40)을 관리할 수 있는 공간 및 드론(40)의 상태 점검을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30)을 구비하고, 드론(40)이 이착륙할 수 있는 착륙부(20)와 드론(40)의 착륙을 유도하는 착륙 유도 시스템, 드론(40)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드론 하우스는 착륙부(20)가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 가능하도록 개폐형 도어(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스마트 드론 하우스는 개폐형 도어(11)와, 드론(40)이 착륙할 수 있는 상하 수직 움직임이 가능한 착륙부(20)와, 착륙부(20)에 탑재되어 드론(40)의 유선 또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충전부, 드론(40)의 착륙 유도 기능을 가지는 드론(40) 착륙 유도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드론(40)의 상태를 확인하여 관리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는 다수의 드론(40)을 모니터링 및 관리함으로써 개체별 상태 관리가 가능하며, 방우, 방진 설계를 통해 장비의 노후화를 최소화하고 보관에 최적화된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착륙 유도 시스템을 통해 드론(40)의 안전한 이착륙을 도울 수 있고, 유선 및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비하여 드론(40)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다수의 드론(40)을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론 하우스의 상승된 착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론 하우스는 드론 하우스(10), 착륙부(20), 착륙 유도 시스템, 무선 충전 시스템, 및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드론 하우스(10)는 복수의 드론(40)을 수용하고 관리하는 공간을 가지며, 적어도 일측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11)가 형성될 수 있다. 드론 하우스(10)의 도어(11)는 드론 하우스(10)의 상부 일부가 개폐되는 지붕 형태의 도어(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 하우스(10)의 도어(11)는 개폐 지붕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딩 형태로 적어도 일부 개방될 수 있으나, 도어(11)의 개폐 위치 및 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착륙부(20)는 드론(40)의 이륙 및 착륙을 위한 공간으로, 드론(40)이 수납되어 관리되는 공간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착륙부(20)는 드론 하우스(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드론 하우스(10)의 도어(11)가 개방됨에 따라 외부로 드러나게 될 수 있다.
또한 착륙부(20)는 복수의 드론(40)을 안착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복수의 구간(21)으로 분할되어 각 구간(21)에 복수의 드론(40)을 각각 안착시켜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착륙부(20)는 기둥이나 받침대(22) 등에 의해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론(40)의 이륙 또는 착륙 시, 착륙부(20)가 기둥 또는 받침대(22) 등에 의해 상승함으로써, 드론(40)의 이착륙 시 드론 하우스(10)의 지붕 등의 외부 구조물과 충돌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착륙부(20)는 드론(40)의 이륙 또는 착륙을 확인한 후에 드론 하우스(10)의 도어(11)가 폐쇄됨으로써, 착륙한 드론(40) 및 남아있는 다른 드론(4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노후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 때 드론(40)을 안착시키는 착륙부(20)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드론 하우스(10)의 도어(11)가 개방 및 폐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드론 하우스(10)의 도어(11)는 드론 하우스(10)의 상부 일부가 개폐되는 지붕 형태의 도어(11)로 이루어지고, 착륙부(20)는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여, 드론(40)의 이륙 또는 착륙 시 드론 하우스(10)의 도어(11)가 개방되고 착륙부(20)가 상승하며, 드론(40)의 이륙 또는 착륙을 확인 후 착륙부(20)가 하강하고 드론 하우스(10)의 도어(11)가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드론 하우스(10)의 도어(11)의 개폐와 착륙부(20)의 상승 및 하강이 동시에 일어나거나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착륙 유도 시스템은 드론(40)의 접근 시 착륙부(20)에 안착하도록 착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착륙 유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드론(40)의 접근 시 착륙 여부를 확인한 후 착륙 시 정해진 위치 또는 빈 공간을 확인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착륙을 도울 수 있다.
다수의 드론(40)이 동시 이착륙 가능한 시스템을 구비하기 위해서, GPS 센서 기반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드론(40)이 동시에 이륙 또는 착륙 가능한 GPS 센서 기반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GPS 센서 기반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복수의 드론(40)에 형성되는 위치를 탐색 및 조회하는 GPS 정보 탐색 모듈이 형성되어, GPS 정보 탐색 모듈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과, 복수의 드론(40)의 위치 및 착륙 각도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드론(40)이 동시 이착륙되는 경우에도 충돌 사고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며, 또한 드론(40)이 정해진 이동 경로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론(40)에 GPS 센서 기반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장착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충돌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착륙 유도 시스템은 복수의 드론(40)이 착륙을 요청하는 경우 복수의 드론(40)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착륙을 유도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시스템은 착륙부(20)의 각 구간(21)에 형성되어 드론(40)의 안착 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드론(40)이 안착되는 착륙부(20)에 드론(40)의 충전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센서가 마련되어 센서와 실시간 감시하기 위한 상호작용 시스템이 구성될 수도 있다.
드론(40)을 충전하기 위해 무선 충전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충전을 하는 데 있어서 지속적을 충전을 하면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드론(40)이 착륙했을 경우에 충전이 완료가 되어도 부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해 드론(40)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는 충전부와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모니터링 하여 충전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세트가 구비될 수 있다.
무 접점 충전기는 교류전류를 입력 받아 외부 공간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 발생부, 자기장 발생부에 고주파 교류전류를 인가하는 고주파 전력 구동부, 자기장 발생부로 인가되는 전류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및 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 결과를 전달 받아 고주파 전력 구동부를 제어하여 자기장 발생부에 인가되는 고주파 교류전류의 전력을 제어하는 충전 전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시스템에는 고주파 교류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배터리에는 자기장의 쇄교에 의해 고주파 교류전류가 유도되는 코일을 통해 정전압/정전류 소자를 통해 배터리 셀로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이 때, 배터리 측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양단 전압을 모니터링 하여 충전기 측에 전류를 무선으로 전송하며, 충전기 측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고주파 교류전류의 전력을 조정하여 배터리 측에 전달되는 충전 전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충전 전력의 조정 과정이 반복되어 정전압/ 정전류 공급부 양단의 과전압 상태가 빠른 시간 내에 해소될 수 있다.
한편, 무선 충전 시스템은 급속 충전 여부를 확인하여 급속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드론(40)과 유선 충전으로 연결되어 고속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급속 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드론(40)의 비행 후 착륙부(20)에 안착 시 무선 충전 시스템을 통해 자동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론(40)이 급속 충전이 필요한 경우 유선으로 급속 충전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을 통해 암페어를 높여 급속 충전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성하여 신속한 충전을 요하는 드론(40)을 우선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예컨대 급속 충전 시스템은 AC 입력형 급속 충전기를 사용하며, CAN 통신과 TCP/IP 통신 등 각종 통신 사양을 갖추도록 할 수 있다. 구성 부품으로는 전력량계 그리고 비상 스위치를 포함한 과전압, 과전류, 저전압, 단락 등의 보호를 위한 장비를 갖추고 있는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유선뿐만이 아닌 무선으로도 급속 충전을 할 수도 있다. 드론(40)이 안착되는 착륙부(20)에 전력 공급 장치(인버터, 전선, 마그네트 코아, Pick up 장치, 레귤레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인버터는 3상 380V, 60Hz 전원을 공급받아 20kHz 전류로 변환하여 급전선, 리츠케이블에 흘리도록 하고 급전선은 노반에 매립된 리츠케이블, 마그네트 코어에 자속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마그네트 코어는 차상의 마그네트 코어와 함께 자속의 통로를 형성하고 픽업(Pick Up) 장치는 마그네트 코어에 흐르는 자속으로부터 20kHz 유기 기전력을 받아서 레귤레이터에서 20kHz를 직류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급속 충전 시스템을 마련할 수 있다.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30)은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드론(40)의 안전 상태, 충전 상태 및 비행 기록 등을 저장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30)은, 드론 하우스(10) 내의 관리자에게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저장한 데이터를 전달하고, 관리자로부터 드론(40)의 충전, 이륙, 및 착륙 지시를 각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30)은 착륙부(20)에 구성된 착륙 유도 시스템을 이용하여 드론(40)의 착륙 여부를 확인 및 지시하고, 착륙부(20)의 빈 공간 또는 지정된 위치에 드론(40)을 안전하게 착륙시킬 수 있다. 이 때,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30)은 착륙 유도 시스템과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함으로써 드론(40)의 착륙 여부 확인 및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30)은 착륙부(20)에 구성된 무선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안착된 드론(4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자동 충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30)은 무선 충전 시스템과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드론(4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30)은 비행 후 안착된 드론(40)으로부터 비행 기록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드론 하우스(10) 내에 관리자가 관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내부 작업 공간 및 시각화 시스템이 구비되어, 관리자는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고,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드론(40)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는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30)에 미리 작업을 지시 및 저장하여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복수의 드론(40)은 각각 관리 번호가 부여되어 관리 번호에 따라 관리되고, 착륙부(20)는 구간(21)이 분할되어 복수의 드론(40)을 안착시키며, 각 구간(21)마다 무선 충전 시스템 및 충전 유도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론(40)이 안착되는 착륙부(20)가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개폐형 도어(11)가 형성되고, 방우, 방진 설계를 통해 장비의 노후화를 최소화하고 보관에 최적화된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착륙 유도 시스템을 통해 드론(40)의 안전한 이착륙을 도울 수 있고, 유선 및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비하여 드론(40)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함으로써, 다수의 드론(40)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론 하우스의 운영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론 하우스는 드론 하우스(10), 착륙부(20), 착륙 유도 시스템, 무선 충전 시스템, 및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40)이 드론 하우스(10)에 접근하면 착륙 유도 시스템을 통해 자동적으로 정해진 위치에 착륙하도록 하며, 이 때 지붕이 개방되며 착륙부(20)가 상승하여 드론(40)의 착륙을 도울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40)이 착륙부(20)에 착륙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륙부(20)가 하강하면서 지붕이 폐쇄되어 드론(40)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40)의 착륙이 완료되면 드론 하우스(10)의 도어(11)가 폐쇄되며,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드론(40)의 관리 번호, 안전 상태, 충전 상태, 비행 기록 등을 서버에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해당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경우 작업 공간을 통해 사용자에게 관련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드론(40)은 급속 충전이 필요한 경우 유선 충전으로 연결되고, 이 외의 경우에는 착륙부(20)에 설치된 무선 충전 기능을 통해 자동적으로 충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충전 상태는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되어, 어떤 드론(40)이 얼마나 충전되었는지를 관리자가 파악할 수도 있다.
다시 충전된 드론(40)의 비행이 필요할 경우, 관리자가 충전이 완료되고 이상이 없는 드론(40)에 승인을 함으로써,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륙부(20)가 상승하고 지붕이 개방되어 드론(40)의 수직 이륙을 도울 수 있다.
이후 드론(40)이 이륙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륙부(20)는 다시 하강하고 지붕이 폐쇄되어 다른 드론(40)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드론 하우스의 운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스마트 드론 하우스의 운영 방법에 대해 하나의 실시예를 들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드론 하우스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드론 하우스, 착륙부, 착륙 유도 시스템, 무선 충전 시스템, 및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110)에서, 스마트 드론 하우스는 드론 하우스 근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이 도착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드론 하우스는 복수의 드론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한다.
이에, 복수의 드론을 수용하는 드론 하우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의 접근 시, 이를 감지하여 착륙 유도 시스템에서 착륙을 유도함으로써 착륙부의 정해진 위치에 드론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단계(120)에서 스마트 드론 하우스는 감지된 드론의 안착 여부를 확인하여, 드론을 드론 하우스 내에 착륙시키거나 착륙을 시키지 않을 수 있다(121). 또한, 예를 들어 드론 하우스에 빈 착륙 공간이 없을 경우 다른 드론 하우스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130)에서, 드론을 착륙시킬 경우 스마트 드론 하우스는 드론 하우스의 도어를 개방하여 드론의 착륙을 준비할 수 있다.
여기서, 드론 하우스의 도어는 드론 하우스의 상부 일부가 개폐되는 지붕 형태의 도어이고, 착륙부는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여,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 시 드론 하우스의 도어가 개방되고 착륙부가 상승하며,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을 확인 후 착륙부가 하강하고 드론 하우스의 도어가 폐쇄될 수 있다.
단계(140)에서, 스마트 드론 하우스는 착륙부의 정해진 공간에 드론을 안착시킬 수 있다.
복수의 드론은 각각 관리 번호가 부여되어 관리 번호에 따라 관리되고, 착륙부는 구간이 분할되어 복수의 드론을 안착시키며, 각 구간마다 무선 충전 시스템 및 충전 유도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단계(150)에서, 스마트 드론 하우스는 착륙부에 드론의 안착을 확인한 후, 드론 하우스의 도어를 폐쇄하여 드론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여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드론의 안전 상태, 충전 상태 및 비행 기록을 저장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해 드론 하우스 내의 관리자에게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저장한 데이터를 전달하고, 관리자로부터 드론의 충전, 이륙, 및 착륙 지시를 각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드론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착륙부에 설치된 무선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드론을 충전할 수 있다.
단계(160)에서, 무선 충전 시스템은 급속 충전 여부를 확인하여 드론이 급속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드론과 유선 충전으로 연결되어 고속 충전되도록 하고(161), 급속 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드론의 비행 후 착륙부에 안착 시 무선 충전 시스템을 통해 자동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단계(170)에서, 스마트 드론 하우스는 드론의 비행이 필요할 경우,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드론의 안전 상태 및 충전 상태를 확인하여 비행 승인을 한 후, 다시 드론 하우스의 도어가 개방하여 드론의 이륙을 준비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론의 이륙을 확인한 후 드론 하우스의 도어를 폐쇄하여 착륙부에 남아있는 다른 드론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드론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드론의 상태 및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관리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은 드론 관리 시스템, 특히 군사용 및 소방재청, 사회안전 드론 등 다수의 드론을 필요로 하는 기관에서 사용될 수 있다. 착륙 유도 시스템을 통해서 드론을 드론 하우스로 유도 및 착륙시키고, 수직 움직임이 가능한 착륙부에 의해 드론을 용이하게 착륙시킬 수 있다. 또한, 유, 무선 충전 시스템을 통해 자동 충전이 가능하며, 드론의 충전 및 이상 유무, 관리 번호 등을 모니터링 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을 이용하여 군용 드론, 병원 및 소방재청의 드론, 관측 및 정찰용 사회안전 드론 등 공공에서의 드론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운송, 레저 등 민간에서의 드론 관리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드론 하우스
11: 도어
20: 착륙부
30: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40: 드론

Claims (12)

  1. 복수의 드론을 수용하는 드론 하우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드론의 접근 시 착륙부에 안착하도록 착륙 유도 시스템에서 착륙을 유도하는 단계;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드론의 착륙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착륙부에 상기 드론의 안착을 확인 후,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를 폐쇄하여 상기 드론을 보관하는 단계;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의 안전 상태, 충전 상태 및 비행 기록을 저장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드론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착륙부에 설치된 무선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드론의 비행이 필요할 경우,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드론의 안전 상태 및 충전 상태를 확인하여 비행 승인을 하는 단계;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드론의 이륙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의 이륙을 확인 후,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를 폐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착륙 유도 시스템에서 착륙을 유도하는 단계는,
    GPS 센서 기반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서로 충돌이 발생되지 않도록 각 드론의 위치 정보와 착륙 각도에 따른 이동 경로를 통해 상기 복수의 드론을 동시에 착륙시키며,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는 상기 드론 하우스의 상부 일부가 개폐되는 지붕 형태의 도어이고, 상기 착륙부는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시 구조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기둥 또는 받침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며, 상기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 시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가 개방되고 상기 착륙부가 상승하며, 상기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을 확인 후 상기 착륙부가 하강하고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가 폐쇄되며,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을 충전하는 단계는,
    급속 충전 여부를 확인하여 급속 충전이 필요한 경우, 상기 드론과 유선 충전으로 연결되어 고속 충전되고, 상기 급속 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기 드론의 비행 후 상기 착륙부에 안착 시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을 통해 자동 충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드론의 무선 충전 시 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해 드론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무접점 충전기와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모니터링 하여 충전 전력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운영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은,
    상기 드론 하우스 내의 관리자에게 상기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저장한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드론의 충전, 이륙, 및 착륙 지시를 각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운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드론은 각각 관리 번호가 부여되어 상기 관리 번호에 따라 관리되고, 상기 착륙부는 구간이 분할되어 상기 복수의 드론을 안착시키며, 상기 각 구간마다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 및 충전 유도 시스템이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운영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 유도 시스템에서 착륙을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드론을 동시에 착륙시키는 위해 상기 복수의 드론에 형성된 위치 탐색 및 조회 가능한 GPS 정보 탐색 모듈과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드론의 위치 및 착륙 각도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드론을 동시에 착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운영 방법.
  7. 복수의 드론을 수용하고 관리하는 공간을 가지며 적어도 일측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형성된 드론 하우스;
    상기 드론 하우스의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외부로 드러나며,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되어 상기 각 구간에 상기 복수의 드론을 각각 안착시키는 착륙부;
    상기 드론의 접근 시 상기 착륙부에 안착하도록 착륙을 가이드하는 착륙 유도 시스템;
    상기 착륙부의 상기 각 구간에 형성되어 상기 드론의 안착 시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서로 충돌이 발생되지 않도록 각 드론의 위치 정보와 착륙 각도에 따른 이동 경로를 통해 상기 복수의 드론이 동시에 이륙 또는 착륙 가능한 GPS 센서 기반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의 안전 상태, 충전 상태 및 비행 기록을 저장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는 상기 드론 하우스의 상부 일부가 개폐되는 지붕 형태의 도어이고, 상기 착륙부는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시 구조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기둥 또는 받침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며, 상기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 시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가 개방되고 상기 착륙부가 상승하며, 상기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을 확인 후 상기 착륙부가 하강하고 상기 드론 하우스의 도어가 폐쇄되며,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은,
    급속 충전 여부를 확인하여 급속 충전이 필요한 경우, 상기 드론과 유선 충전으로 연결되어 고속 충전되고, 상기 급속 충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기 드론의 비행 후 상기 착륙부에 안착 시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을 통해 자동 충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드론의 무선 충전 시 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해 드론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무접점 충전기와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모니터링 하여 충전 전력을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드론 하우스 내의 관리자에게 상기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저장한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드론의 충전, 이륙, 및 착륙 지시를 각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드론은 각각 관리 번호가 부여되어 상기 관리 번호에 따라 관리되고, 상기 착륙부는 구간이 분할되어 상기 복수의 드론을 안착시키며, 상기 각 구간마다 상기 무선 충전 시스템 및 충전 유도 시스템이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GPS 센서 기반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드론에 형성된 위치 탐색 및 조회하는 GPS 정보 탐색 모듈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드론의 위치 및 착륙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KR1020150111566A 2015-08-07 2015-08-07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 KR101712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566A KR101712280B1 (ko) 2015-08-07 2015-08-07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566A KR101712280B1 (ko) 2015-08-07 2015-08-07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517A KR20170017517A (ko) 2017-02-15
KR101712280B1 true KR101712280B1 (ko) 2017-03-03

Family

ID=5811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566A KR101712280B1 (ko) 2015-08-07 2015-08-07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280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280B1 (ko) 2017-06-12 2018-01-25 주식회사 파워리퍼블릭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
KR101893865B1 (ko) 2017-03-23 2018-08-31 주식회사 케이프로시스템 드론용 충전 시스템
KR20190012021A (ko) 2017-07-26 2019-02-08 한국전력공사 배전 전주형 드론충전소, 드론의 배터리 충전 방법 및 교체 방법
KR101975397B1 (ko) 2017-11-14 2019-05-07 주식회사 담스테크 드론 격납고
CN109956048A (zh) * 2017-12-22 2019-07-02 张超 一种应用于海上风力发电设备的无人机停靠系统
KR20190141956A (ko) * 2018-06-15 2019-12-26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KR20190141958A (ko) * 2018-06-15 2019-12-26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US10597157B1 (en) 2018-09-17 2020-03-24 Wing Aviation Llc Unmanned aerial vehicle fleet management
US10671064B2 (en) 2018-09-17 2020-06-02 Wing Aviation Llc Unmanned aerial vehicle fleet management
KR20220088153A (ko) 2020-12-18 2022-06-27 (주)온톨로지 모듈 타입 드론 스테이션
US11905014B2 (en) 2020-10-21 2024-02-20 Wing Aviation Llc Terminal area operation of UAVs for package delivery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973A (ko) * 2016-11-14 2018-05-24 한상현 드론 스테이션
KR101958191B1 (ko) * 2017-04-05 2019-07-04 인천대교(주) 도로용 비상상황 경보 시스템
KR101867553B1 (ko) * 2017-07-21 2018-06-14 노진석 드론 관리 장치 및 방법
EP3676179A4 (en) * 2017-10-12 2021-05-19 Zambelli Imagineering Pty Ltd SYSTEM, PROCEDURE AND STATION FOR LANDING A DRONE
CN108082027B (zh) * 2017-12-08 2024-01-16 超农力(浙江)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车载续航系统
CN107963229A (zh) * 2017-12-08 2018-04-27 成都天麒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运载装置
NO344486B1 (en) * 2018-06-07 2020-01-13 FLIR Unmanned Aerial Systems AS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remotely launching unmanned aerial vehicles
KR102112498B1 (ko) * 2018-11-19 2020-05-19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CN110641298A (zh) * 2019-09-20 2020-01-03 佛山职业技术学院 一种无人机起落充电装置及无人机任务交接方法
US20240132239A1 (en) * 2019-10-15 2024-04-25 Axon Enterprise, Inc. A drone pod for receiving, storing, and presenting a drone
JP7303986B2 (ja) * 2019-12-09 2023-07-06 積水ハウス株式会社 屋根構造
KR102355885B1 (ko) * 2019-12-11 2022-01-27 주식회사 로보프렌 드론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
KR102280705B1 (ko) * 2019-12-12 2021-07-21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착륙 제어 시스템
US20210269174A1 (en) * 2020-02-27 2021-09-02 Greg Douglas Shuff Drone docking port and method of use
JP2021160694A (ja) * 2020-04-03 2021-10-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A3191056A1 (en) 2020-05-18 2021-11-25 Chirag Shah Method and system to ascertain location of drone box for landing and charging drones
KR102200587B1 (ko) * 2020-06-03 2021-01-11 (주)와이지엠 방탄초소
CN112821500B (zh) * 2021-01-27 2024-04-09 华南理工大学 一种无人机磁吸式自动充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284Y1 (ko) * 1989-02-28 1994-06-25 주식회사 금성사 캠코더용 밧데리의 충전기
KR101524936B1 (ko) * 2013-10-21 2015-06-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수직무인이착륙 비행체의 충전 및 격납을 위한 운송체 및 그 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865B1 (ko) 2017-03-23 2018-08-31 주식회사 케이프로시스템 드론용 충전 시스템
KR101817280B1 (ko) 2017-06-12 2018-01-25 주식회사 파워리퍼블릭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
KR20190012021A (ko) 2017-07-26 2019-02-08 한국전력공사 배전 전주형 드론충전소, 드론의 배터리 충전 방법 및 교체 방법
KR20230029734A (ko) 2017-07-26 2023-03-03 한국전력공사 드론의 배터리 충전 방법
KR20230027138A (ko) 2017-07-26 2023-02-27 한국전력공사 드론의 배터리 교체 방법
KR101975397B1 (ko) 2017-11-14 2019-05-07 주식회사 담스테크 드론 격납고
CN109956048A (zh) * 2017-12-22 2019-07-02 张超 一种应用于海上风力发电设备的无人机停靠系统
KR102131852B1 (ko) * 2018-06-15 2020-08-05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KR20190141956A (ko) * 2018-06-15 2019-12-26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KR20190141958A (ko) * 2018-06-15 2019-12-26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KR102103416B1 (ko) * 2018-06-15 2020-04-23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WO2020060927A1 (en) * 2018-09-17 2020-03-26 Wing Aviation Llc Unmanned aerial vehicle fleet management
US11307574B2 (en) 2018-09-17 2022-04-19 Wing Aviation Llc Unmanned aerial vehicle fleet management
US10671064B2 (en) 2018-09-17 2020-06-02 Wing Aviation Llc Unmanned aerial vehicle fleet management
US10597157B1 (en) 2018-09-17 2020-03-24 Wing Aviation Llc Unmanned aerial vehicle fleet management
US11905014B2 (en) 2020-10-21 2024-02-20 Wing Aviation Llc Terminal area operation of UAVs for package delivery system
KR20220088153A (ko) 2020-12-18 2022-06-27 (주)온톨로지 모듈 타입 드론 스테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517A (ko)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280B1 (ko)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
JP7203452B2 (ja) ドローンボックス
CN107709162B (zh) 基于飞行器自主引导的充电系统
US1084381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landing and launch
EP3285130A2 (en) Tethered unmanned aerial vehicle
JP6180765B2 (ja) 輸送手段ベースステーション
US9412279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network-based recharging
US11065976B2 (en) Docking and recharging station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capable of ground movement
US11874676B2 (en) Cooperative unmanned autonomous aerial vehicles for power grid inspection and management
US20170032686A1 (en) Drone pad station and managing set of such a drone pad station
US20180029723A1 (en) Landing and charging system for drones
US11059378B2 (en) Charging a rechargeable battery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 flight using a high voltage power line
KR101858244B1 (ko) 공중에서의 드론의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788140B1 (ko) 무인 비행체 착륙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2292A (ko) 무인 전동 비행체를 이용한 고속도로 교통 상황 감시 시스템
JP2019084948A (ja) 無人飛行体の制御方法、及び無人飛行体
JP2018203056A (ja) 収納装置、配送システム、及び、収納方法
US10597157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fleet management
JP2019089361A (ja) 無人飛行体の制御方法
KR101798908B1 (ko) 무인 비행체 및 그의 충전 방법
CN108983810A (zh) 一种仓库巡逻无人机系统及其巡视方法
KR101843147B1 (ko) 드론의 무선 충전 시스템
US20220380063A1 (en) Method And System To Ascertain Location Of Drone Box For Landing And Charging Drones
US20230312134A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management system
CN215972166U (zh) 无人机充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