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498B1 -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498B1
KR102112498B1 KR1020180142561A KR20180142561A KR102112498B1 KR 102112498 B1 KR102112498 B1 KR 102112498B1 KR 1020180142561 A KR1020180142561 A KR 1020180142561A KR 20180142561 A KR20180142561 A KR 20180142561A KR 102112498 B1 KR102112498 B1 KR 102112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one
landing
module
lan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준필
장재원
Original Assignee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2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0Air 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50Aeroplanes, Helicopters
    • B60Y2200/51Aeroplanes
    • B64C2201/06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02T50/5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판과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보다 상기 상부판에 치우쳐서 배치되며 드론이 착륙하는 대상이 되는 착륙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착륙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승강구동 모듈;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착륙한 상기 드론에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전력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전력전송 모듈;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구동 모듈 및 상기 무선전력전송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착륙 플레이트를 연결하고, 상기 착륙 플레이트가 상기 상부판에 대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상부판과 상기 착륙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도록 전개되는 차단 유닛을 구비하는 이물질차단 모듈을 포함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WIRELESS CHARGING STATION FOR DRONE}
본 발명은 드론을 무선충전하기 위한 충전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무선전파를 이용한 조종 또는 자체 프로그램에 의해 운항하는 무인 항공기다. 드론에는 카메라, 센서, 통신시스템 등이 탑재돼 있다. 드론의 무게는 25g부터 1200kg까지에 이르고, 그 크기도 다양하다. 드론은 군사용도로 처음 생겨났지만 고공 촬영과 배달 등으로 확대 이용되고 있다. 이뿐 아니라, 드론은 시설물 모니터링, 경계지역 감시, 농약 살포, 공기질 측정 등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다.
드론의 운항을 위한 동력은 주로 전기 배터리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드론의 운항 가능 거리는 배터리의 용량에 직결된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결정된 드론의 운항 가능 거리가 15km인 경우에, 드론의 실제 작업 거리는 7.5km에 그치고 만다. 드론이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복귀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작업 거리는 운항 가능 거리의 절반에 그치게 된다.
드론의 작업 거리를 운항 가능 거리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드론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스테이션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필요가 있다. 앞서 예를 든 드론의 경우라면, 충전 스테이션은 15km 간격으로 설치되어, 운항 가능 거리만큼 운항한 드론을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드론 충전 스테이션은 야외에 설치되므로, 비나 눈, 나아가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환경에 처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드론 충전 스테이션 내부의 구성품에 영향을 주어서, 드론 충전 스테이션이 고장나게 하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드론의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내부로 유입되려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이물질에 의한 영향에 강인한 구조를 갖춘,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은,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판과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보다 상기 상부판에 치우쳐서 배치되며 드론이 착륙하는 대상이 되는 착륙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착륙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승강구동 모듈;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착륙한 상기 드론에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전력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전력전송 모듈;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구동 모듈 및 상기 무선전력전송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착륙 플레이트를 연결하고, 상기 착륙 플레이트가 상기 상부판에 대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상부판과 상기 착륙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도록 전개되는 차단 유닛을 구비하는 이물질차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 유닛은, 상단부는 상기 상부판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관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형 부재는, 주름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벨로우즈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륙 플레이트는, 상기 드론이 착륙하는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유닛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판에 결합되고, 상기 차단 유닛의 하단부는 상기 주변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영역이 상기 상부판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상부판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차단 모듈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이물질 흡수하도록 상기 주변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주변 영역에 모인 이물질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 유닛은, 상기 착륙 플레이트의 승강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변형되는 변형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륙 플레이트가 하강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상부판은, 상기 착륙 플레이트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착륙 플레이트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은,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판과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며 드론이 착륙하는 대상이 되는 착륙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착륙 플레이트를 상기 상부판에 대해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승강구동 모듈;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착륙 플레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승강구동 모듈의 작동에 의해 상기 착륙 플레이트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상부판과 상기 착륙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제어 모듈을 향해 진행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이물질차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차단 모듈은, 일 단부는 상기 상부판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차단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유닛은, 주름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벨로우즈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차단 모듈은, 상단부는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대비하여 상기 하부판에 치우치게 배치되어, 상기 착륙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제어 모듈을 감싸는 커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은,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드론이 착륙하는 대상이 되는 착륙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착륙한 상기 드론에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전력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전력전송 모듈;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드론을 무선 충전하기 위해 상기 무선전력전송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여 상기 제어 모듈을 향해 진행하려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이물질차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착륙 플레이트를 폐쇄하거나 노출시키는 도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착륙 플레이트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상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차단 모듈은, 상기 도어 모듈과 상기 상부판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도록 상기 상부판에 세워지는 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착륙한 상기 드론을 상기 무선전력전송 모듈에 대응하게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정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 모듈은, 상기 드론을 상기 착륙 플레이트 상의 정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유도 유닛; 및 상기 이동유도 유닛을 상기 착륙 플레이트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정렬구동력발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렬구동력발생 유닛은, 상기 착륙 플레이트의 하면 측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착륙 플레이트를 실링된 채로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착륙 플레이트의 상면 측에서 상기 회전 샤프트와 상기 이동유도 유닛을 연결하고, 상기 구동원의 회전력을 상기 이동유도 유닛에 전달하는 전달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에 의하면, 착륙 플레이트에 착륙한 드론은 승강구동 모듈에 의해 하강되고 또한 무선전력전송 모듈에 의해 충전되는 과정 중에, 이물질차단 모듈에 의해 승강구동 모듈이나 무선전력전송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에 대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제어 모듈 등은 고장이 나거나 부식으로 손상되지 않고 보다 내구성 및 신뢰성 있게 작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에 드론(D)이 착륙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착륙 플레이트(117)가 하강된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정렬 모듈(170)을 착륙 플레이트(117)와 함께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렬 모듈(170)에 관한 추가적인 구성을 보인 정렬 모듈(170)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절연결부재(189)가 회전유도 유닛(171)과 이동유도 유닛(175)을 연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드론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의 작동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에 드론(D)이 착륙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은, 하우징(110), 승강구동 모듈(130), 도어 모듈(150), 정렬 모듈(170), 이물질차단 모듈(190), 무선전력전송 모듈(210), 그리고 제어 모듈(230)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승강구동 모듈(130), 도어 모듈(150) 등이 설치되는 기본적인 뼈대를 이룬다. 하우징(110)은, 구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은, 하부판(111), 측벽판(113), 상부판(115), 그리고 착륙 플레이트(117)를 가질 수 있다. 측벽판(113)은 하부판(111)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판(111)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여 네 개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부판(111)과 측벽판(113)은 상부가 개방된 수용 공간(11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 공간(114)은 하부판(111)과 상부판(115) 사이의 공간이기도 하여, 그들에 의해 정의된다고도 할 수 있다. 상부판(115)은 대체로 하부판(111)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측벽판(113)의 상측에 배치된다. 착륙 플레이트(117)는 상부판(115)의 일 부분과 같이 배치되나 상부판(115)과 분리되며, 드론(D)이 착륙하는 대상이 된다. 착륙 플레이트(117)는 상부판(115)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부판(115)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착륙 플레이트(117)는 하강 전에 하부판(111) 보다 상부판(115)에 치우쳐서 위치할 수 있고, 그 한 형태로서 상부판(115)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승강구동 모듈(130)은 착륙 플레이트(117)를 수용 공간(114) 내에서 승강시키는 구성이다. 승강구동 모듈(130)에 의해 착륙 플레이트(117)는 수직 방향(V)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승강구동 모듈(130)은 하부판(111)과 착륙 플레이트(117)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착륙 플레이트(117)는 승강구동 모듈(130)에 의해 승강됨에 따라, 상부판(115)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그와 함께 하나의 판을 이루거나, 상부판(115)과 분리되어 수직 방향(V)을 따라 상부판(115)과 하부판(111) 사이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승강구동 모듈(130)은, 구체적으로, 제1 링크(131), 제2 링크(132), 및 승강구동력발생 유닛(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131) 및 제2 링크(132)는 각각 하부판(111)과 착륙 플레이트(117)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서로 교차하여 엑스자 형태로 배치된다. 제1 링크(131) 및 제2 링크(132)는 착륙 플레이트(117)의 양측 모서리에 대응하여, 각기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승강구동력발생 유닛(135)은 제1 링크(131) 및 제2 링크(132) 중 하나의 일 단부를 슬라이딩 구동하는 구성이다. 승강구동력발생 유닛(135)은 모터, 볼스크류, LM가이드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볼스크류의 너트가 이동되면, 너트에 연결된 제2 링크(132)의 일 단부도 수평 방향(H)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제1 링크(131)와 제2 링크(132)는 그들의 연결점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서로 간에 이루는 각도가 커지면서, 착륙 플레이트(117)는 수직 방향(V)으로 하강하게 된다. 모터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링크(131)와 제2 링크(132)가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면서, 착륙 플레이트(117)는 수직 방향(V)으로 상승하게 된다. 승강구동 모듈(130)이 착륙 플레이트(117)를 하부판(111)을 향해 하강시킨 상태에서, 수용 공간(114)은 상부판(115)과 하부판(111) 사이의 공간을 정의하는 개념에서 착륙 플레이트(117)의 하부판(111) 사이의 공간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재정의될 수 있다.
도어 모듈(150)은 착륙 플레이트(117)를 폐쇄하거나 외부로 노출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도어 모듈(150)은 측벽판(11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51)는, 구체적으로 측벽판(11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는 수평 방향(H) 또는 이동 방향을 따라 서로에게 근접하게 이동하여 착륙 플레이트(117)를 덮거나, 서로에게 멀어지게 이동하여 착륙 플레이트(117)를 외부로 노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커버체(152)를 포함한다. 커버체(152)는 측벽판(113)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는 서로 접촉시에 전체적으로 돔(dome) 형상을 이루어서 착륙 플레이트(117)를 덮게 된다.
정렬 모듈(170)은 착륙 플레이트(117)에 착륙하는 드론(D)을 무선 충전을 위해 정렬시키는 구성이다. 정렬 모듈(170)은 하우징(110), 구체적으로 착륙 플레이트(117)에 설치될 수 있다. 정렬 모듈(170)은 드론(D)을 정자세로 회전시키거나, 정위치로 이동시키기도 한다.
이물질차단 모듈(190)은 하우징(110) 내로 침투하여 제어 모듈(230) 등 하우징(110) 내의 구성품을 향해 진행하는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이물질은 주로 빗물, 먼지 등이 될 수 있다. 이물질차단 모듈(190)은 차단 유닛(191), 배출 유닛(195), 그리고 차단판(199)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 유닛(191)은 상부판(115)과 착륙 플레이트(117)를 연결하고, 착륙 플레이트(117)가 상부판(115)에 대해 하강함에 따라 전개된다. 차단 유닛(191)은, 구체적 형태로서, 관형 부재일 수 있다. 상기 관형 부재의 상단부(191a)는 상부판(115)에 연결되고, 상기 관형 부재의 하단부(191b)는 착륙 플레이트(11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관형 부재는 착륙 플레이트(117)의 승강에 따라 수직 방향(V)을 따라 길이 조절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관형 부재로는 주름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벨로우즈 관이 채용될 수 있다. 배출 유닛(195)은 착륙 플레이트(117)에서 빗물 등을 흡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빗물 등을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배출 유닛(195)은, 구체적으로, 착륙 플레이트(117)에서 하부판(111)까지 연장하는 관일 수 있다. 상기 관은 수직 방향(V)을 따라 길이 변형되는 형태로서, 예를 들어 벨로우즈 관일 수 있다. 배출 유닛(195)은 착륙 플레이트(117)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이격된 채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차단판(199)은 상부판(115)에 세워져서 도어(151)와 상부판(115)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차단판(199)에 의해, 상부판(115)과 측벽판(113) 사이의 결합 틈새를 통해 제어 모듈(230)을 향해 빗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차단판(199)은 양측의 2개의 도어(151)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무선전력전송 모듈(210)은 착륙 플레이트(117)에 착륙하여 정렬 모듈(170)에 의해 정렬된 드론(D)을 무선충전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무선전력전송 모듈(210)은 착륙 플레이트(117)를 관통하여 드론(D)에 접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무선전력전송 모듈(210)은 드론(D)의 무선전력수신패드에 무선전력신호를 전송하는 무선전력송신패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230)은 승강구동 모듈(130), 도어 모듈(150), 정렬 모듈(170), 이물질차단 모듈(190), 무선전력전송 모듈(210), 통신 모듈(220) 등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 모듈(230)은 내부 공간(104)에 설치되고,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이물질차단 모듈(19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추가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서 착륙 플레이트(117)가 하강된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정렬 모듈(170)을 착륙 플레이트(117)와 함께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착륙 플레이트(117)는 중앙 영역(117a)과 주변 영역(117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중앙 영역(117a)은 드론(D)이 착륙되는 영역으로서, 착륙 플레이트(117)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주변 영역(117b)은 착륙 플레이트(117)의 모서리에 가까운 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중앙 영역(117a)을 감싸는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착륙 플레이트(117)가 사각 형태라면, 주변 영역(117b)은 사각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주변 영역(117b)은 빗물 등을 모을 수 있는 그루브(groove)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주변 영역(117b)은 중앙 영역(117a)에 비해 수직 방향(V)에서 더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주변 영역(117b)에는 차단 유닛(191)의 하단부(191b)가 연결된다. 중앙 영역(117a)과 주변 영역(117b)의 높이 차로 인하여, 중앙 영역(117a)이 상부판(115)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차단 유닛(191)은 상부판(115)과 주변 영역(117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 경우에, 주변 영역(117b)은 또한 하부판(11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배출 유닛(195)은 착륙 플레이트(117)의 주변 영역(117b)에 연통되어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관이 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주변 영역(117b)으로 흘러든 빗물은 배출 유닛(195)으로 유입되게 된다. 배출 유닛(195)은 주변 영역(117b)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각 모서리당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배출 유닛(195)은 승강구동 모듈(130)의 구동에 의해 착륙 플레이트(117)가 하강된 상태에서 그 길이가 축소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착륙 플레이트(117)의 승강에도 불구하고, 배출 유닛(195)은 손상되지 않고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차단 유닛(191)과 착륙 플레이트(117) 나아가 상부판(115)에 의해, 드론(D)이 놓여지는 공간은 제어 모듈(230)이 놓여지는 공간과 물리적으로 차단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비나 눈이 내리더라도, 물은 차단 유닛(191)과 착륙 플레이트(117)가 형성하는 공간 내로 낙하된 후에, 배출 유닛(195)을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착륙 플레이트(117)가 상부판(115)으로부터 하강하여 그들 사이에 틈새가 생기더라도, 이물질이 제어 모듈(230)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게 된다.
이물질차단 모듈(190)의 차단 유닛(191)은 상부판(115)과 착륙 플레이트(117)를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다. 착륙 플레이트(117)가 상부판(115)에 대해 하강함에 따라 상부판(115)와 착륙 플레이트(117)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물질이 제어 모듈(230) 등을 향해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전개되는 것이라면 다른 형태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단 유닛(191)으로서, 착륙 플레이트(117)의 하측에서 상부판(115)을 향해 부풀어 오르는 사각 링 형태의 하나의 벌룬 또는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벌룬(미도시)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라면, 상기 벌룬은 제어 모듈(23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가스 공급 탱크(미도시)에 의해 가스가 공급됨에 따라 부풀어 오르고 가스 공급이 해제됨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나아가, 이물질차단 모듈(190)은 이상의 차단 유닛(191)과 다른 형태로서, 커버 유닛(미도시)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커버 유닛은, 차단 유닛(191)과 유사한 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커버 유닛의 상단부는 착륙 플레이트(117)에 연결되고, 그의 하단부는 하부판(111)을 향해 치우쳐서 느러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 유닛의 하단부는 하부판(111)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 유닛은 제어 모듈(230) 등 비나 눈 등으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구성을 감싸도록 형성될 것이다. 상기 커버 유닛의 둘레를 따라서는, 하부판(111)에 그루브(groove)가 형성되고 그 그루브의 일 부분에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경우라면, 착륙 플레이트(117)의 하강에 따라 착륙 플레이트(117)와 상부판(115) 사이로 유입되는 빗물 등은 상기 커버 유닛에 의해 제어 모듈(230) 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상기 그루브로 낙하한 후에 상기 배출공을 통해 하우징(11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정렬 모듈(17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앞서 참조한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정렬 모듈(170)은 드론(D, 도 1 참조)을 정자세로 회전시키기 및 드론(D)을 정위치로 이동시키기를 모두 수행하거나, 그들 중 선택된 한 가지를 수행하여 드론(D)을 무선전력전송 모듈(210, 도 1)에 정렬시키는 구성이다. 드론(D)이 통신 모듈(220)과 통신하며 착륙 플레이트(117)에 착륙해서 바로 무선전력전송 모듈(210)로부터 무선전력신호를 수신하게 정렬되지는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여서, 정렬 모듈(170)의 역할이 필요하게 된다.
정렬 모듈(170)은, 회전유도 유닛(171)과, 이동유도 유닛(175)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유도 유닛(171)은 드론(D)을 회전시켜 드론(D)이 정자세(정방향을 바라보도록 하는 자세)로 전환하는 구성이라면, 이동유도 유닛(175)은 드론(D)을 정위치로 이동(병진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정자세와 상기 정위치는 드론(D)이 무선전력전송 모듈(210)에 의해 효과적으로 무선 충전되기 위해 정렬된 상태로 설정된 것들이다. 그에 비해, 드론(D)이 착륙 플레이트(117)에 착륙한 상태에서 드론(D)은 자세 기준으로 정자세가 아니며 위치 기준으로 정위치가 아닐 수 있다. 그 경우에, 회전유도 유닛(171)이 먼저 작동하고 이동유도 유닛(175)이 작동하거나, 반대로 이동유도 유닛(175)이 먼저 작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드론(D)의 착륙 상태에 따라서는, 이동유도 유닛(175)만 작동하거나 회전유도 유닛(171)만 작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선택적 작동을 위해서라면, 드론(D)의 착륙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카메라(미도시)가 도어 모듈(150, 도 1) 등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유도 유닛(171)이 먼저 작동하여 드론(D)을 정자세로 회전시킨 후에, 이동유도 유닛(175)이 작동하여 정자세로 전환된 드론(D)을 정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회전유도 유닛(171)은 회전접촉 부재(17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접촉 부재(172)는 드론(D)의 다리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진다. 회전접촉 부재(172)의 접촉면은 대체로 일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접촉 부재(172)는 또한 착륙 플레이트(117)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인 Y 방향(Y)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동유도 유닛(175)은 이동접촉 부재(17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접촉 부재(176) 역시 드론(D)의 다리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가진다. 이동접촉 부재(176)의 접촉면은 회전접촉 부재(172)의 접촉면과 달리, 브이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동접촉 부재(176) 역시 Y 방향(Y)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회전접촉 부재(172)과 이동접촉 부재(176)의 관계에 있어서, 회전접촉 부재(172)는 이동접촉 부재(17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접촉 부재(176)와 회전접촉 부재(172)는 드론(D)과 접촉하기 전의 아이들 상태(본 도면의 상태)에서, 회전접촉 부재(172)의 접촉면이 이동접촉 부재(176)의 접촉면보다 착륙 플레이트(117)의 중심{개구부(119)가 위치하는 지점}에 더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이는 회전접촉 부재(172)가 이동접촉 부재(176)보다 먼저 드론(D)의 다리에 접촉하게 하여, 회전유도 유닛(171)이 이동유도 유닛(175)보다 먼저 드론(D)에 대해 영향을 미치도록 한다.
회전유도 유닛(171)과 이동유도 유닛(175)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들은 착륙 플레이트(117)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한 쌍은 착륙 플레이트(117)의 모서리에서 중심을 향한 중심 방향(C)을 향해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회전유도 유닛(171)과 이동유도 유닛(175)을 중심 방향(C)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정렬 모듈(170)은 안내 레일(17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 레일(179)은 착륙 플레이트(117) 상에 설치되고, 착륙 플레이트(117)의 가로 방향인 X 방향(X)을 따라 배치된다. 안내 레일(179)은 착륙 플레이트(117)의 양측 영역에 각각 한 쌍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과 달리, 회전유도 유닛(171)과 이동유도 유닛(175)은 각기 하나씩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라면, 드론(D)의 정렬의 기준이 되는 기준 구조물(미도시)이 착륙 플레이트(117)에 설치되어, 각 하나인 회전유도 유닛(171) 및 이동유도 유닛(175)이 상기 기준 구조물에 대해 드론(D)을 정렬시킬 수 있다.
정렬 모듈(170)은 드론(D)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착륙감지 센서(201, 도 3)와, 자세위치 센서(205), 그리고 이륙감지 센서(209, 도 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착륙감지 센서(201)는 상부판(115)에 설치되어 드론(D)의 다리(L, 도 1)가 착륙 플레이트(117)에 안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착륙감지 센서(201)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가지는 광센서로서, 상기 발광부에서 드론(D)의 다리(L)를 향해 광을 조사하고 상기 수광부에서 그 광을 수신한다. 상기 수광부가 그 광을 수신하지 못하면, 드론(D)이 착륙한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X 방향(X)으로 연장된 형태로서, 드론(D)의 착륙 위치 변화에도 다리(L)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착륙감지 센서(201)는 드론(D)의 2개의 다리(L)에 대응하여, 개구부(119)의 양측에 각각 배열될 수 있다. 자세위치 센서(205)는 드론(D)이 정자세 및 정위치로 정렬된 상태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센서이다. 자세위치 센서(205)는 이동접촉 부재(176)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다. 자세위치 센서(205)는, 예를 들어 갭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륙감지 센서(209)는 도어 모듈(150)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드론(D)이 착륙 플레이트(117)에서 이륙해서 도어 모듈(150)을 넘어서 떠올랐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센서이다. 이륙감지 센서(209) 역시 발광부와 수광부로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양측의 도어 모듈(15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정렬 모듈(170)에 관한 추가적인 구성을 보인 정렬 모듈(170)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절연결부재(189)가 회전유도 유닛(171)과 이동유도 유닛(175)을 연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회전유도 유닛(171)은 회전 슬라이더(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슬라이더(173)에는 회전접촉 부재(172)의 단부가 연결된다. 회전 슬라이더(173)는 안내 레일(17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유사하게, 이동유도 유닛(175)은 이동 슬라이더(1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슬라이더(177)에는 이동접촉 부재(176, 도 3)의 단부가 연결된다. 이동 슬라이더(177)도 안내 레일(179)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동 슬라이더(177)에는 이동접촉 부재(176)가 또한 결합된다. 이동접촉 부재(176)는 이동 슬라이더(177)의 상면과 나사 결합될 수 있는데, 본 도면서는 그를 표시하지 않았다.
정렬 모듈(170)은 이동유도 유닛(175)을 착륙 플레이트(117)의 중심 방향(C, 도 5)으로 구동하는 정렬구동력발생 유닛(1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렬구동력발생 유닛(181)은, 구동원(182), 회전 샤프트(184), 및 전달 아암(186)을 가질 수 있다. 구동원(182)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착륙 플레이트(117)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원(182)은, 구체적으로, 모터, 볼스크류, 볼스크류의 너트에 연결된 회전 아암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84)는 구동원(182)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착륙 플레이트(117)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전달 아암(186)은 회전 샤프트(184)와 이동접촉 부재(176)를 연결하여, 구동원(182)에 발생한 회전력이 이동유도 유닛(175)에 전달되게 한다. 전달 아암(186)과 이동접촉 부재(176)의 연결은, 전달 아암(186)의 일 단부에 설치된 연결핀(187)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핀(187)은 이동접촉 부재(17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구동력발생 유닛(181)에 있어서, 회전 샤프트(184)만이 착륙 플레이트(117)를 관통하게 되고, 그 관통홀은 실링재로 실링되는 경우에 빗물과 같은 이물질이 내부 공간(114, 도 2)으로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렬구동력발생 유닛(181)은 넓게는 앞서 설명한 이물질차단 모듈(190)에 관련된 구성으로 파악될 수도 있다.
이동접촉 부재(176)와 더불어 회전접촉 부재(172)를 중심 방향(C)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정렬구동력발생 유닛(181)은 조절연결부재(18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연결부재(189)는 회전접촉 부재(172)와 이동접촉 부재(176), 구체적으로 회전 슬라이더(173)와 이동 슬라이더(177)를 서로 간에 간격 조절되도록 연결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조절연결부재(189)는 케이싱(189a), 및 댐핑 요소(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케이싱(189a)은 대체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89a)의 후단이 이동 슬라이더(177)에 연결될 때, 케이싱(189a)의 전단은 회전 슬라이더(17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89a)은 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개방 슬롯(미도시)을 가지고, 회전접촉 부재(172)는 상기 개방 슬롯을 통해 케이싱(189a)의 내부로 연장하게 된다. 회전접촉 부재(172) 중 케이싱(189a)의 내부에 위치한 부분은 상기 댐핑 요소에 의해 케이싱(189a)의 내벽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댐핑 요소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나아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드론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드론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의 작동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드론(D)이 드론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에 접근하기 전의 대기 상태에서, 도어 모듈(150)은 착륙 플레이트(117)를 폐쇄하는 닫힌 상태에 있다{도 8(a)}.
드론(D)이 드론 무선충전 스테이션(100)에 접근함에 따라 제어 모듈(230)은 도어 모듈(150)의 도어(151)가 수평 방향(H)으로 이동하여 착륙 플레이트(117)를 노출하게 한다{도 8(b)}.
드론(D)이 착륙 플레이트(117)에 착륙하게 되면, 착륙감지 센서(201)가 드론(D)의 다리(L)를 감지한다. 그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모듈(230)은 드론(D)이 착륙 플레이트(117)에 안착했는지 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다리(L)가 제대로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 제어 모듈(230)은 드론(D)이 착륙 플레이트(117)에 제대로 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통신 모듈(220)을 통해 드론(D)과 통신하여 드론(D)을 이륙시킨 후 다시 착륙하게 할 수 있다. 착륙감지 센서(201)가 다리(L)를 감지한 경우에, 제어 모듈(230)은 정렬 모듈(170), 구체적으로 회전유도 유닛(171) 및 이동유도 유닛(175)을 작동시킨다. 이후 자세위치 센서(205)가 드론(D)이 정자세로 정위치했는지를 감지하고, 정위치하지 못한 경우에 제어 모듈(230)은 정렬 모듈(170)을 재동작하게 할 수 있다{도 8(c)}.
드론(D)이 정자세로 정위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제어 모듈(230)은 무선전력전송 모듈(210)을 작동시킨다. 무선전력전송 모듈(210) 중 무선전력전송패드(미도시)는 드론(D)에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상승하여, 드론(D)의 무선전력수신패드에 무선전력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무선전력전송패드는 드론(D)의 두 다리(L) 사이에 위치하여, 드론(D)이 바람에 의해 한 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도 8(d)}.
제어 모듈(230)은 승강구동 모듈(130)을 제어하여 드론(D)을 지지하는 착륙 플레이트(117)를 하부판(111)을 향해 하강시키게 된다. 그에 의해, 드론(D)은 수용 공간(114)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단 유닛(191)은 착륙 플레이트(117)와 함께 드론(D)이 고립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고립 공간에 빗물이 쏟아져도 그 빗물은 배출 유닛(19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도 8(e)}.
드론(D)이 하강한 상태에서, 제어 모듈(230)은 도어 모듈(150)을 제어하여 도어(151)가 착륙 플레이트(117)를 폐쇄하게 한다. 그에 의해, 드론(D)이 하우징(110) 및 도어 모듈(150)에 의해 닫힌 공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무선전력전송 모듈(210)이 드론(D)을 무선충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확실히 하기 위해서, 제어 모듈(230)은 착륙 플레이트(117)를 먼저 하강시키고 도어(151)가 닫히게 한 상태에서, 무선전력전송 모듈(210)이 작동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드론 무선충전 스테이션 110: 하우징
111: 하부판 113: 측벽판
115: 상부판 117: 착륙 플레이트
119: 개구부 130: 승강구동 모듈
131: 제1 링크 132: 제2 링크
135: 승강구동력발생 유닛 150: 도어 모듈
151: 도어 155: 도어구동력발생 유닛
170: 정렬 모듈 171: 회전유도 유닛
172: 회전접촉 부재 175: 이동유도 유닛
176: 이동접촉 부재 181: 정렬구동력발생 유닛
189: 조절연결 부재 190: 이물질차단 모듈
191: 차단 유닛 195: 배출 유닛
199: 차단판 210: 무선전력전송 모듈
220: 통신 모듈 230: 제어 모듈

Claims (14)

  1.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판과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보다 상기 상부판에 치우쳐서 배치되며 드론이 착륙하는 대상이 되는 착륙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착륙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승강구동 모듈;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착륙한 상기 드론에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전력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전력전송 모듈;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구동 모듈 및 상기 무선전력전송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착륙 플레이트를 연결하고, 상기 착륙 플레이트가 상기 상부판에 대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상부판과 상기 착륙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도록 전개되는 차단 유닛을 구비하는 이물질차단 모듈을 포함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유닛은,
    상단부는 상기 상부판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관형 부재를 포함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는,
    주름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벨로우즈 관을 포함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 플레이트는,
    상기 드론이 착륙하는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유닛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판에 결합되고,
    상기 차단 유닛의 하단부는 상기 주변 영역에 결합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이 상기 상부판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상부판의 하측에 위치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차단 모듈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이물질 흡수하도록 상기 주변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주변 영역에 모인 이물질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배출 유닛을 더 포함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닛은,
    상기 착륙 플레이트의 승강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변형되는 변형 관을 포함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 플레이트가 하강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상부판은, 상기 착륙 플레이트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착륙 플레이트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9.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판과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며 드론이 착륙하는 대상이 되는 착륙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착륙 플레이트를 상기 상부판에 대해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승강구동 모듈;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착륙 플레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승강구동 모듈의 작동에 의해 상기 착륙 플레이트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상부판과 상기 착륙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제어 모듈을 향해 진행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이물질차단 모듈을 포함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차단 모듈은,
    일 단부는 상기 상부판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차단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유닛은, 주름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벨로우즈 관을 포함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차단 모듈은,
    상단부는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대비하여 상기 하부판에 치우치게 배치되어, 상기 착륙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제어 모듈을 감싸는 커버 유닛을 포함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12.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측에 배치되고 드론이 착륙하는 대상이 되는 착륙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착륙한 상기 드론에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전력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전력전송 모듈;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드론을 무선 충전하기 위해 상기 무선전력전송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여 상기 제어 모듈을 향해 진행하려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이물질차단 모듈을 포함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착륙 플레이트를 폐쇄하거나 노출시키는 도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착륙 플레이트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상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차단 모듈은,
    상기 도어 모듈과 상기 상부판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도록 상기 상부판에 세워지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하에 상기 착륙 플레이트에 착륙한 상기 드론을 상기 무선전력전송 모듈에 대응하게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정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 모듈은,
    상기 드론을 상기 착륙 플레이트 상의 정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유도 유닛; 및
    상기 이동유도 유닛을 상기 착륙 플레이트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정렬구동력발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렬구동력발생 유닛은,
    상기 착륙 플레이트의 하면 측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착륙 플레이트를 실링된 채로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회전 샤프트;및
    상기 착륙 플레이트의 상면 측에서 상기 회전 샤프트와 상기 이동유도 유닛을 연결하고, 상기 구동원의 회전력을 상기 이동유도 유닛에 전달하는 전달 아암을 포함하는,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KR1020180142561A 2018-11-19 2018-11-19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KR102112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561A KR102112498B1 (ko) 2018-11-19 2018-11-19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561A KR102112498B1 (ko) 2018-11-19 2018-11-19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498B1 true KR102112498B1 (ko) 2020-05-19

Family

ID=7091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561A KR102112498B1 (ko) 2018-11-19 2018-11-19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4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07945A (zh) * 2022-08-05 2022-09-27 青岛地质工程勘察院(青岛地质勘查开发局) 一种海洋测绘无人机用具有稳定防护功能的中继站
KR102568439B1 (ko) * 2022-10-04 2023-08-17 (주)프리뉴 드론 충전 스테이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00997A (ko) 2022-06-24 2024-01-03 주식회사 테이슨 드론 포트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517A (ko) * 2015-08-07 2017-02-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
CN107140226A (zh) * 2017-05-04 2017-09-08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磁吸式四旋翼飞行机器人充电降落平台
KR20180023252A (ko) * 2016-08-25 2018-03-07 박기현 물품 수납기능을 가진 드론 착륙장치
JP2018528123A (ja) * 2015-08-17 2018-09-27 エイチ3 ダイナミックス ホールディングス プライベート リミテッド ドローンボック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517A (ko) * 2015-08-07 2017-02-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
JP2018528123A (ja) * 2015-08-17 2018-09-27 エイチ3 ダイナミックス ホールディングス プライベート リミテッド ドローンボックス
KR20180023252A (ko) * 2016-08-25 2018-03-07 박기현 물품 수납기능을 가진 드론 착륙장치
CN107140226A (zh) * 2017-05-04 2017-09-08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磁吸式四旋翼飞行机器人充电降落平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997A (ko) 2022-06-24 2024-01-03 주식회사 테이슨 드론 포트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632997B1 (ko) * 2022-06-24 2024-02-05 주식회사 테이슨 드론 포트 및, 이의 제어방법
CN115107945A (zh) * 2022-08-05 2022-09-27 青岛地质工程勘察院(青岛地质勘查开发局) 一种海洋测绘无人机用具有稳定防护功能的中继站
CN115107945B (zh) * 2022-08-05 2024-05-03 青岛地质工程勘察院(青岛地质勘查开发局) 一种海洋测绘无人机用具有稳定防护功能的中继站
KR102568439B1 (ko) * 2022-10-04 2023-08-17 (주)프리뉴 드론 충전 스테이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498B1 (ko)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KR102111055B1 (ko)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US11897631B2 (en) Automated docking of unmanned aerial vehicle
EP3749578B1 (en) Landing platform with improved charging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CN113247289B (zh) 一种垂直起降固定翼无人机自动回收充电机巢
KR102143497B1 (ko) 드론용 스테이션, 드론 충전을 위한 시스템,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드론
US9701425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harging and housing of unmanned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CN108237934B (zh) 充电站与充电站模块
KR102131852B1 (ko)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KR20220090563A (ko) 무인 항공기 공항, 무인 항공기 시스템, 투어 검사 시스템 및 무인 항공기 순항 시스템
CN107196410B (zh) 一种地空一体变电站巡检系统及方法
KR102289040B1 (ko) 비정형 공간 감시용 로봇 시스템
KR101620557B1 (ko) 수직이착륙 타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비행체의 비행 경로 설정 방법
JP2018192932A (ja) 無人飛行体およびその格納システム
WO2019111251A1 (en) Capture and storage unit and method for airborne drone
KR102111054B1 (ko)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KR102103416B1 (ko)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KR20190141957A (ko)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KR102175596B1 (ko) 무인 이동체 드론 자가충전 스테이션 및 그 제어방법
CN111531560A (zh) 应用于变电站室内外环境中的巡检机器人
CN213768964U (zh) 避障无人机
CN213027174U (zh) 一种陆空实景感知的变电站无人巡检系统
JP2019051741A (ja) 無人飛行体の着陸誘導システム
KR20220108837A (ko) 한손 조종용 드론을 이용한 지능형 드론 충전 스테이션
CN208412138U (zh) 一种电力巡检无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