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973A - 드론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드론 스테이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3973A KR20180053973A KR1020160151204A KR20160151204A KR20180053973A KR 20180053973 A KR20180053973 A KR 20180053973A KR 1020160151204 A KR1020160151204 A KR 1020160151204A KR 20160151204 A KR20160151204 A KR 20160151204A KR 20180053973 A KR20180053973 A KR 201800539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nding
- fixing
- roller
- guide
- dron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8—Visual or acoustic landing a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4—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for storing aircraft
-
- B64C2201/066—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
- Y02T50/5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옥상이나, 건물의 꼭대기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옥상 및 건물의 꼭대기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드론(D)이 안착되는 착륙장(12)과, 상기 착륙장(12)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착륙장(12)의 벽체를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14)와, 상기 착륙장(12)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다수개가 상기 착륙장(12)의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드론(D)의 하부면에 장착된 착륙신호감지부재(1)에 신호를 송출하여 드론(D)의 착륙을 유도하는 착륙유도부재(40)와, 상기 착륙장(12)의 일측에 설치되며, 우천시 또는 기상악화시 상기 착륙장(12)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드론(D)의 손상을 방지하는 차단부재(20);를 포함하는 드론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착륙장의 바닥면에 다수개의 착륙유도부재가 설치되어 다량의 드론을 정확한 위치에서 이착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륙유도부재의 내부에 충전커넥터가 설치되어 착륙과 동시에 드론의 충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착륙장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으므로 기상악화시 착륙장에 주차된 드론이 외부의 비 또는 바람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드론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착륙장의 바닥면에 다수개의 착륙유도부재가 설치되어 다량의 드론을 정확한 위치에서 이착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륙유도부재의 내부에 충전커넥터가 설치되어 착륙과 동시에 드론의 충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착륙장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으므로 기상악화시 착륙장에 주차된 드론이 외부의 비 또는 바람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드론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드론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착륙장의 바닥면에 다수개의 착륙유도부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다수개의 드론의 이,착륙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륙장의 일측에 차단부재가 설치되어 우천시 또는 기상악화시 착륙장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착륙장에 보관된 드론의 손상을 방지할 수 는 드론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비행체(UAV; 이하 '드론'이라 함)는 조종사 없이 지상에서의 원격조종에 의해 사전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르거나 비행체 스스로가 주위환경을 인식하고 판단하여 스스로 비행하는 비행체이다. 드론은 조종사에게 위험한거나, 인간의 능력으로는 한께가 있거나 오염으로 인해 접근이 어렵거나,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지루하게 해야 하는 임무를 편리하고 빠르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드론은 비행방식에 따라 고정익형, 회전익형 및 수직이착륙형(VTOL)으로 구분된다. 회전익 드론은 수직이착륙 기능, 전후 방향 이동 및 호퍼링(정지비행)이 가능하다는 등의 면에서, 경계, 정찰시 고정익형에 비해 장점을 가진다. 회전익 드론은 그 형태에 따라 여러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멀티로터형,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두개의 회전익을 가진 동축반전형 및 헬리콥터형 등으로 구분된다.
드론의 원거리를 비행하는 비행체로서, 도시를 비행하는 경우에 착륙할 곳이 마땅치 않아 건물 등에 별도의 착륙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종래의 드론 이착륙 시스템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6-0065718에 게시되어 있다.
이러한 드론 이착륙시스템은 드론(30)이 이착륙하는 바닥을 제공하는 베이스(11), 상기 베이스의 아이디를 저장하는 저장부(13) 및 베이스에 소정의 거리로 내로 접근한 드론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1근거리통신모듈(15)를 포함하며, 상기 제1근거리통신모듈은 소정의 거리 내로 드론이 접근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의 아이디를 드론에 송신하고, 드론으로부터 착륙의도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착륙유도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종래의 드론 이착륙시스템은 기상악화시 착륙된 드론이 외부에 노출되어 비와 바람 등을 맞게되어 드론의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단일의 드론만을 이착륙시킬 수 있으므로 드론의 이,착륙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드론 이착륙시스템은 별도의 충전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드론 전원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경우에 추가적인 충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착륙장의 바닥면에 다수개의 착륙유도부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다수개의 드론 이,착륙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륙장의 일측에 차단부재가 설치되어 우천시 또는 기상악화시 착륙장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착륙장에 보관된 드론의 손상을 방지할 수 는 드론 스테이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스테이션은, 건물 옥상이나, 건물의 꼭대기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옥상 및 건물의 꼭대기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드론이 안착되는 착륙장과, 상기 착륙장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착륙장의 벽체를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착륙장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다수개가 상기 착륙장의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드론의 하부면에 장착된 착륙센서부재에 신호를 송출하여 드론의 착륙을 유도하는 착륙유도부재와, 상기 착륙장의 일측에 설치되며, 우천시 또는 기상악화시 상기 착륙장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드론의 손상을 방지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착륙장의 양측 측면플레이트 끝단에 돌출 설치되며, 일단에 장착홀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과, 서로 다른 상기 고정브라켓의 장착홀에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며, 롤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착륙장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롤러의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부재와,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다수회 감겨진 형태로 설치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착륙장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차단막을 포함한다.
상기 착륙장의 측면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상단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고, 측면에 함몰 형성된 가이드홈의 내부에 상기 차단막의 측면부가 삽입되어 상기 차단막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차단막가이드레일이 더 구비된다.
상기 착륙유도부재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착륙장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착륙유도몸체와, 상기 착륙유도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착륙유도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드론의 착륙센서부재에 착륙유도신호를 송출하는 착륙가이드센서와, 상기 착륙유도몸체의 상부면 중앙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하부로 함몰 형성된 드론고정홈이 형성되는 드론고정부와, 상기 드론고정홈의 내부에 설치되며, 드론이 상기 착륙장에 안착되는 경우에 드론의 충전단자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드론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착륙유도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드론의 착륙시 상기 드론고정홈의 내부에 상기 드론의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돌기를 흡입 고정하는 흡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착륙유도몸체와 상기 드론고정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는 공기흡입유로와, 상기 공기흡입유로의 일단과 연통되며, 상기 드론고정홈의 내주면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상기 드론고정홈의 내부에 상기 착륙센서부재의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드론고정홈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홀과, 상기 공기흡입유로의 타단과 연결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스테이션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착륙장의 바닥면에 다수개의 착륙유도부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다수개의 드론 이,착륙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륙장의 일측에 차단부재가 설치되어 우천시 또는 기상악화시 착륙장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착륙장에 보관된 드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착륙장의 바닥면에 다수개의 착륙유도부재가 설치되어 다량의 드론을 정확한 위치에서 이착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륙유도부재의 내부에 충전커넥터가 설치되어 착륙과 동시에 드론의 충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착륙장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으므로 기상악화시 착륙장에 주차된 드론이 외부의 비 또는 바람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드론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스테이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스테이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스테이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착륙장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착륙유도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단막이 착륙장의 상단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스테이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스테이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착륙장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착륙유도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단막이 착륙장의 상단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스테이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스테이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스테이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스테이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착륙장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착륙유도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단막이 착륙장의 상단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드론 스테이션은, 건물 옥상이나, 건물의 꼭대기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옥상 및 건물의 꼭대기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드론(D)이 안착되는 착륙장(12)과, 상기 착륙장(12)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착륙장(12)의 벽체를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14)와, 상기 착륙장(12)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다수개가 상기 착륙장(12)의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드론(D)의 하부면에 장착된 착륙신호감지부재(1)에 신호를 송출하여 드론(D)의 착륙을 유도하는 착륙유도부재(40)와, 상기 착륙장(12)의 일측에 설치되며, 우천시 또는 기상악화시 상기 착륙장(12)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드론(D)의 손상을 방지하는 차단부재(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10)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가지며,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는 철재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10)는 철재프레임 이외에도 환봉 형상의 철근 또는 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0)는 건물의 옥상 또는 건물의 꼭대기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어, 후술할 착륙장(12)이 건물의 상측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는 착륙장(12)이 설치된다. 상기 착륙장(12)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10)의 상측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상기 착륙장(12)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드론(D)이 안착될 수 있으며, 기상상황 또는 드론(D)의 전력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 임시로 착륙할 수 있는 정거장 역할을 한다.
상기 착륙장(12)의 테두리부에는 측면플레이트(14)가 설치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14)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착륙장(12)의 전,후면과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14)의 상기 착륙장(12)의 테두리부를 따라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착륙장(12)의 벽체를 이룬다.
즉, 상기 측면플레이트(14)는 상기 착륙장(12)의 전,후면과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전,후면과 측면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 및 바람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14)의 좌측 끝단에는 차단부재(20)가 설치된다. 상기 차단부재(20)는 상기 착륙장(12)의 양측 측면플레이트(14) 끝단에 돌출 설치되며, 일단에 장착홀(24)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22)과, 서로 다른 상기 고정브라켓(22)의 장착홀(24)에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며, 롤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착륙장(1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26)와, 상기 롤러(26)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롤러(26)의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부재(30)와, 상기 롤러(26)의 외주면에 다수회 감겨진 형태로 설치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2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착륙장(12)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차단막(2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라켓(22)은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착륙장(12)의 전,후측에 설치되는 측면플레이트(14)의 좌측 끝단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2)의 좌측 끝단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장착홀(24)이 설치되어, 후술할 롤러(26)의 회전축(미도시)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고정브라켓(22)의 우측단은 상기 측면플레이트(14)에 체결볼트(미도시)에 의해 고정되고, 좌측단은 상기 측면플레이트(14)의 좌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롤러(26)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22)의 내부에는 롤러(26)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26)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전후로 길게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서로 다른 상기 고정브라켓(22)의 장착홀(24)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롤러(26)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차단막(28)이 다수회 감겨져 보관되며, 상기 롤러(26)의 회전에 따라 후술할 차단막(28)의 인입 및 인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26)의 외주면에는 차단막(28)이 설치된다. 상기 차단막(28)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26)의 외주면에 감겨지고, 상기 롤러(2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차단막(28)이 상기 착륙장(12)의 상단부를 개방 및 폐쇄한다.
즉, 상기 차단막(28)은 기상상황에 따라 상기 착륙장(12)의 상단부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착륙장(12)에 주차된 드론(D)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롤러(26)의 전단부에는 롤러구동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구동부재(30)는 일반적인 구동모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롤러구동부재(30)는 상기 롤러(26)의 회전축(미도시)에 동축 결합되어 상기 롤러(26)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롤러(26)의 외주면에는 롤러커버(32)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커버(32)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롤러커버(32)는 우측면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26)의 좌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롤러커버(32)는 상기 롤러(26)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롤러(26)의 외주면에 감싸진 차단막(28)을 보호한다.
상기 롤러커버(32)의 상측에는 레인센서(34)가 설치된다. 상기 레인센서(34)는 인반적인 레인센서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레인센서(34)는 상기 롤러커버(32)의 상부면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레인센서(34)는 일정량 이상의 수분이 감지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송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차단부재(20)를 작동시켜 상기 착륙장(12) 상단부의 차단이 이루어진다.
상기 착륙장(12) 전후면측에 설치되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4)의 상단에는 차단막가이드레일(36)이 설치된다. 상기 차단막가이드레일(36)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측면플레이트(14)의 상단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차단막가이드레일(36)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가이드홈(3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8)의 내부에는 상기 차단막(28)의 양측면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차단막(28)의 인입 및 인출시에 상기 차단막(28)의 양측면이 상기 가이드홈(38)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차단막(28)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착륙장(12)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착륙유도부재(40)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착륙유도부재(4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착륙장(12)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착륙유도몸체(42)와, 상기 착륙유도몸체(42)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착륙유도몸체(4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드론(D)의 착륙신호감지부재(1)에 착륙유도신호를 송출하는 착륙가이드센서(44)와, 상기 착륙유도몸체(42)의 상부면 중앙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하부로 함몰 형성된 드론고정홈(48)이 형성되는 드론고정부(46)와, 상기 드론고정홈(48)의 내부에 설치되며, 드론(D)이 상기 착륙장(12)에 안착되는 경우에 드론(D)의 충전단자(3)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드론(D)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커넥터(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착륙유도몸체(42)는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착륙장(12)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착륙유도몸체(42)는 드론(D)의 착륙시 드론(D)의 하부면 중앙에 설치된 착륙신호감지부재(1)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착륙유도몸체(42)의 상부면에는 착륙가이드센서(44)가 설치된다. 상기 착륙가이드센서(44)는 비접촉식 센서로서 적외선, 초음파, RF센서 등 다양한 비접촉식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적외선센서를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 착륙가이드센서(44)는 상기 착륙유도몸체(42)의 상부면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착륙가이드센서(44)는 상기 착륙유도몸체(4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제어부(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착륙유도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착륙가이드센서(44)에 착륙유도신호가 송출되면, 상기 드론(D)의 착륙신호감지센서(4)가 이를 수신하여 상기 드론(D)의 정확한 착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착륙유도몸체(42)의 상부면 중앙에는 드론고정부(46)가 형성된다. 상기 드론고정부(46)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착륙유도몸체(42)의 상부면 중앙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드론고정부(46)의 내부에는 드론고정홈(48)이 형성되어, 상기 드론(D)의 고정돌기(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드론고정홈(48)의 내부에는 충전커넥터(50)가 설치된다. 상기 충전커넥터(50)는 일반적인 충전커넥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충전커넥터(50)는 상기 드론(D)의 착륙시 상기 드론(D)의 충전단자(3)가 삽입되어 상기 드론(D)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착륙유도부재(40)의 내부에는 흡착부재(60)가 설치된다.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착륙유도몸체(42)와 상기 드론고정부(46)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는 공기흡입유로(62)와, 상기 공기흡입유로(62)의 일단과 연통되며, 상기 드론고정홈(48)의 내주면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상기 드론고정홈(48)의 내부에 상기 착륙신호감지부재(1)의 고정돌기(2)가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드론고정홈(48)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홀(64)과, 상기 공기흡입유로(62)의 타단과 연결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재(6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흡입유로(62)는 상기 착륙유도몸체(42)와 상기 드론고정부(46)의 내부를 따라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드론고정부(46)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공기흡입유로(62)는 일반적인 공기흡입유로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공기흡입유로(62)의 일단은 후술할 공기흡입홀(64)과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할 공기흡입부재(66)와 연결되어 상기 드론고정홈(48) 내부의 공기를 후술할 공기흡입부재(66) 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공기흡입유로(62)의 일단에는 공기흡입홀(64)이 연결된다. 상기 공기흡입홀(64)의 상기 드론고정홈(48)의 내주면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상기 드론고정홈(48) 내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흡입유로(62)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공기흡입유로(62)의 타단에는 공기흡입부재(66)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흡입부재(66)는 일반적인 흡입모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공기흡입부재(66)는 상기 드론고정홈(48)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드론고정홈(48)에 장착된 고정돌기(2)를 상기 드론고정홈(48)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공기흡입부재(66)에 의해 상기 드론고정홈(48)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면, 상기 드론고정홈(48)의 내부에 진공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상기 드론(D)의 고정돌기(2)가 상기 드론고정홈(48)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드론 스테이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드론(D)은 중앙관제센터(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원거리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내부에 GPS센서가 탑재되어 위치정보에 따라 자율비행에 의해 상기 드론(D)의 원거리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드론(D)의 하부면 중앙에는 착륙시 사용되는 착륙신호감지부재(1)가 설치된다. 상기 착륙신호감지부재(1)는, 착륙신호감지센서(4), 고정돌기(2), 충전단자(3)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착륙신호감지센서(4)는 착륙가이드센서(44)의 착륙유도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드론(D)의 착륙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론(D)의 원거리 비행 중 기상이 악화되거나, 전원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중앙관제센터를 통해 드론 스테이션를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가장 인접한 드론 스테이션으로 상기 드론(D)이 인접한 위치까지 이동한다.
상기 드론(D)이 상기 드론 스테이션의 인접한 위치한 접근하면, 상기 드론 스테이션의 다수개의 착륙유도부재(40) 중 드론(D)이 착륙되지 않은 상기 착륙유도부재(40)가 작동된다.
상기 착륙유도부재(40)의 착륙가이드센서(44)는 착륙유도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착륙가이드센서(44)의 착륙유도신호에 따라 착륙할 상기 드론(D)이 상기 착륙유도부재(40)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드론고정부(46)의 상측에 안착된다.
상기 드론(D)의 착륙과 동시에 상기 드론(D)의 충전단자(3)가 상기 착륙유도부재(40)의 충전커넥터(50) 내부에 삽입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부재(60)가 작동되어 드론고정홈(48)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고정돌기(2)를 흡착하여 상기 드론(D)을 상기 착륙유도부재(40)의 상측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또한, 기상악화로 인해 일정 이상의 비가 내리는 경우에 롤러커버(32)의 상측에 설치된 레인센서(34)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에 의해 차단부재(20)가 작동된다. 상기 차단부재(20)의 롤러(26)가 일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차단막(28)이 착륙장(12)의 상단부를 따라 도 6과 같이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기상 상황에 따라 상기 차단막(28)이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착륙장의 내부로 유입되는 비 또는 바람을 완전히 차단하여 상기 착륙장(12)에 안착된 다수개의 드론(D)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지지대
12. 착륙장
14. 측면플레이트 20. 차단부재
22. 고정브라켓 24. 장착홀
26. 롤러 28. 차단막
30. 롤러구동부재 32. 롤러커버
34. 레인센서 36. 차단막가이드레일
40. 착륙유도부재 42. 착륙유도몸체
44. 착륙가이드센서 46. 드론고정부
48. 드론고정홈 50. 충전커넥터
60. 흡착부재
14. 측면플레이트 20. 차단부재
22. 고정브라켓 24. 장착홀
26. 롤러 28. 차단막
30. 롤러구동부재 32. 롤러커버
34. 레인센서 36. 차단막가이드레일
40. 착륙유도부재 42. 착륙유도몸체
44. 착륙가이드센서 46. 드론고정부
48. 드론고정홈 50. 충전커넥터
60. 흡착부재
Claims (5)
- 건물 옥상이나, 건물의 꼭대기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옥상 및 건물의 꼭대기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드론(D)이 안착되는 착륙장(12)과;
상기 착륙장(12)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착륙장(12)의 벽체를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14)와;
상기 착륙장(12)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다수개가 상기 착륙장(12)의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드론(D)의 하부면에 장착된 착륙신호감지부재(1)에 신호를 송출하여 드론(D)의 착륙을 유도하는 착륙유도부재(40)와;
상기 착륙장(12)의 일측에 설치되며, 우천시 또는 기상악화시 상기 착륙장(12)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드론(D)의 손상을 방지하는 차단부재(20);를 포함하는 드론 스테이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20)는,
상기 착륙장(12)의 양측 측면플레이트(14) 끝단에 돌출 설치되며, 일단에 장착홀(24)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22)과;
서로 다른 상기 고정브라켓(22)의 장착홀(24)에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며, 롤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착륙장(1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26)와;
상기 롤러(26)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롤러(26)의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부재(30)와;
상기 롤러(26)의 외주면에 다수회 감겨진 형태로 설치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2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착륙장(12)의 상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차단막(28);을 포함하는 드론 스테이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장(12)의 측면플레이트(14)의 상부면에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측면플레이트(14)의 상단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고, 측면에 함몰 형성된 가이드홈(38)의 내부에 상기 차단막(28)의 측면부가 삽입되어 상기 차단막(28)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차단막가이드레일(36)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스테이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유도부재(4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착륙장(12)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착륙유도몸체(42)와;
상기 착륙유도몸체(42)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착륙유도몸체(4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드론(D)의 착륙신호감지부재(1)에 착륙유도신호를 송출하는 착륙가이드센서(44)와;
상기 착륙유도몸체(42)의 상부면 중앙에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하부로 함몰 형성된 드론고정홈(48)이 형성되는 드론고정부(46)와;
상기 드론고정홈(48)의 내부에 설치되며, 드론(D)이 상기 착륙장(12)에 안착되는 경우에 드론(D)의 충전단자(3)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드론(D)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커넥터(50);를 포함하는 드론 스테이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유도부재(40)의 내부에는,
상기 드론(D)의 착륙시 상기 드론고정홈(48)의 내부에 상기 드론(D)의 고정돌기(2)가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돌기(2)를 흡입 고정하는 흡착부재(6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흡착부재(60)는,
상기 착륙유도몸체(42)와 상기 드론고정부(46)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는 공기흡입유로(62)와;
상기 공기흡입유로(62)의 일단과 연통되며, 상기 드론고정홈(48)의 내주면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상기 드론고정홈(48)의 내부에 상기 착륙신호감지부재(1)의 고정돌기(2)가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드론고정홈(48)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홀(64)과;
상기 공기흡입유로(62)의 타단과 연결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재(66);를 더 포함하는 드론 스테이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1204A KR20180053973A (ko) | 2016-11-14 | 2016-11-14 | 드론 스테이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1204A KR20180053973A (ko) | 2016-11-14 | 2016-11-14 | 드론 스테이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3973A true KR20180053973A (ko) | 2018-05-24 |
Family
ID=6229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1204A KR20180053973A (ko) | 2016-11-14 | 2016-11-14 | 드론 스테이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53973A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2082A (ko) | 2018-07-26 | 2020-02-05 | (주)스마트어플라이언스 | 상부 장착식 배터리 교체구조를 갖는 드론 스테이션 |
KR20200050824A (ko) * | 2018-11-02 | 2020-05-12 | 주식회사 이스온 | 드론 격납이 가능한 승강 폴 시스템 |
KR20210017676A (ko) | 2019-08-09 | 2021-02-17 | 주식회사 엠지아이티 | 드론 스테이션 |
KR102335592B1 (ko) | 2020-09-15 | 2021-12-06 | 주식회사 나르마 | 드론 스테이션 |
KR102354825B1 (ko) * | 2021-03-17 | 2022-02-08 | 주식회사 씨에이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 내 주차장의 안전 진출입장치 |
CN114348289A (zh) * | 2022-02-14 | 2022-04-15 | 唐本平 | 一种垂直封闭式物流无人机停放装置 |
KR20220108837A (ko) | 2021-01-27 | 2022-08-04 | 최지훈 | 한손 조종용 드론을 이용한 지능형 드론 충전 스테이션 |
KR20220128213A (ko) * | 2021-03-12 | 2022-09-20 | 주식회사 에이엔에이치시스템즈 | 드론용 다발형 투하 장비 |
KR20230007001A (ko) | 2021-07-05 | 2023-01-12 | 주식회사 아르고스다인 | 드론 스테이션 |
US11999477B2 (en) | 2018-07-20 | 2024-06-04 | Amosense Co., Ltd | Drone statio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22715A (ko) * | 2013-10-21 | 2013-11-08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수직무인이착륙 비행체의 충전 및 격납을 위한 운송체 및 그 방법 |
KR101451637B1 (ko) * | 2013-07-19 | 2014-10-22 | 김범준 |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의 전동개폐장치 |
KR20160063917A (ko) * | 2014-11-27 | 2016-06-07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 |
US9387928B1 (en) * | 2014-12-18 | 2016-07-12 | Amazon Technologies, Inc. | Multi-use UAV docking station systems and methods |
KR20170017517A (ko) * | 2015-08-07 | 2017-02-15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 |
US20170158353A1 (en) * | 2015-08-07 | 2017-06-08 | Mark Schmick | Remote Aerodrome for UAVs |
-
2016
- 2016-11-14 KR KR1020160151204A patent/KR20180053973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1637B1 (ko) * | 2013-07-19 | 2014-10-22 | 김범준 | 화물차량 적재함용 천막프레임의 전동개폐장치 |
KR20130122715A (ko) * | 2013-10-21 | 2013-11-08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수직무인이착륙 비행체의 충전 및 격납을 위한 운송체 및 그 방법 |
KR20160063917A (ko) * | 2014-11-27 | 2016-06-07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 |
US9387928B1 (en) * | 2014-12-18 | 2016-07-12 | Amazon Technologies, Inc. | Multi-use UAV docking station systems and methods |
KR20170017517A (ko) * | 2015-08-07 | 2017-02-15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 |
US20170158353A1 (en) * | 2015-08-07 | 2017-06-08 | Mark Schmick | Remote Aerodrome for UAVs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99477B2 (en) | 2018-07-20 | 2024-06-04 | Amosense Co., Ltd | Drone station |
KR20200012082A (ko) | 2018-07-26 | 2020-02-05 | (주)스마트어플라이언스 | 상부 장착식 배터리 교체구조를 갖는 드론 스테이션 |
KR20200050824A (ko) * | 2018-11-02 | 2020-05-12 | 주식회사 이스온 | 드론 격납이 가능한 승강 폴 시스템 |
US11292613B2 (en) | 2018-11-02 | 2022-04-05 | Ison Co., Ltd. | Drone-storable pole elevation system |
KR20210017676A (ko) | 2019-08-09 | 2021-02-17 | 주식회사 엠지아이티 | 드론 스테이션 |
KR102335592B1 (ko) | 2020-09-15 | 2021-12-06 | 주식회사 나르마 | 드론 스테이션 |
KR20220108837A (ko) | 2021-01-27 | 2022-08-04 | 최지훈 | 한손 조종용 드론을 이용한 지능형 드론 충전 스테이션 |
KR20220128213A (ko) * | 2021-03-12 | 2022-09-20 | 주식회사 에이엔에이치시스템즈 | 드론용 다발형 투하 장비 |
KR102354825B1 (ko) * | 2021-03-17 | 2022-02-08 | 주식회사 씨에이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 내 주차장의 안전 진출입장치 |
KR20230007001A (ko) | 2021-07-05 | 2023-01-12 | 주식회사 아르고스다인 | 드론 스테이션 |
CN114348289A (zh) * | 2022-02-14 | 2022-04-15 | 唐本平 | 一种垂直封闭式物流无人机停放装置 |
CN114348289B (zh) * | 2022-02-14 | 2023-11-14 | 唐本平 | 一种垂直封闭式物流无人机停放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53973A (ko) | 드론 스테이션 | |
CN105217054B (zh) | 一种固定翼垂直起降无人机自动检测起降平台 | |
EP2386925B1 (en) | Ground proximity sensor for a UAV | |
US10336470B2 (en) | Pod launch and landing system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 |
CN210047635U (zh) | 无人机驻停装置及无人机停机系统 | |
CA3121486C (en) | Ducted fan unmanned aerial vehicle docking station | |
US11854416B2 (en) | Drone station, arrangement, method of operating a drone station, and computer readable memory | |
CN205168939U (zh) | 一种固定翼垂直起降无人机自动检测起降平台 | |
US11584207B2 (en) | Smart tonneau cover with solar panels and automatic weather sensing | |
KR20170022805A (ko) | 비행체의 착륙 보조 장치 및 착륙 보조 장치의 제어 방법 | |
WO2020238137A1 (zh) | 无人机驻停装置及无人机停机系统 | |
CN210323885U (zh) | 一种机器人 | |
US10071800B2 (en) | Heavy Lift airborne transport device | |
CA3198792A1 (en) | Aerial vehicles | |
CN107521693A (zh) | 一种快递包裹运输无人机 | |
CN105129088A (zh) | 一种球形单轴舵导向智能飞行器 | |
KR20190019678A (ko) | 부양중량 겸용 착륙장치를 구비한 비행체 | |
KR102607507B1 (ko) | X선을 이용한 풍력발전 블레이드 파손검사용 드론장치 | |
KR20180113119A (ko) | 덕티드 팬 기반의 무인 비행체 시스템 | |
KR102335592B1 (ko) | 드론 스테이션 | |
US20200122829A1 (en) | Aircraft | |
KR102611808B1 (ko) | 구동 시스템의 점검이 가능한 비행체용 스테이션 장치 | |
KR20220031845A (ko) | 드론 스테이션 | |
KR20220161664A (ko) | 협소공간 정밀 이착륙을 위한 드론 스테이션 및 착륙 가이드 시스템 | |
RU2818898C1 (ru) |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бокс для беспилотного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с вертикальным взлетом и посадко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