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917A -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917A
KR20160063917A KR1020140167819A KR20140167819A KR20160063917A KR 20160063917 A KR20160063917 A KR 20160063917A KR 1020140167819 A KR1020140167819 A KR 1020140167819A KR 20140167819 A KR20140167819 A KR 20140167819A KR 20160063917 A KR20160063917 A KR 20160063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aerial vehicle
unmanned aerial
wireless
ai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6546B1 (ko
Inventor
채희서
송호남
박준호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7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5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nchor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3/00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4Traction dollies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인 비행체, 상기 무인 비행체의 이착륙장, 및 상기 무인 비행체의 제어 장치를 포함한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이 개시된다. 무인 비행체에는 무선-전력 수신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무인 비행체의 이착륙장에는 무선-전력 송신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무인 비행체가 이착륙장에 착륙하면, 무선-전력 송신부가 무선-전력 수신부에게 무선 전력을 전송한다.

Description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Unmanned-flight reconnaissance system}
본 발명은,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 비행체, 무인 비행체의 이착륙장, 및 무인 비행체의 제어 장치를 포함한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은 무인 비행체, 무인 비행체의 이착륙장, 및 무인 비행체의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무인 비행체는 UAV(Unmanned Aerial Vehicle) 또는 드론(drone)으로도 불리어진다. 이와 같은 무인 비행체는 배터리의 직류 전원에 의하여 구동된다.
따라서, 무인 비행체의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이착륙장에는 충전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즉, 무인 비행체가 이착륙장에 착륙하는 동안에 무인 비행체의 배터리가 충전된다.
여기에서, 통상적인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에서는 지그-접촉식 충전 방식이 채용된다. 예를 들어, 무인 비행체가 이착륙장에 착륙함에 있어서, 원뿔 형상의 고정 장치부가 무인 비행체 내로 삽입되어 걸쇠가 결합되면, 충전이 수행된다(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2013-0122715호 참조).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충전 방식을 채용한 종래의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에 의하면, 무인 비행체의 유형에 따라 전용 이착륙장이 설치되어야만 한다. 즉, 무인 비행체의 이착륙장들이 호환성을 가지지 못한다는 비효율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배경 기술의 문제점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내용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지된 내용이라 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2013-0122715호 (출원인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명의 명칭 : 수직무인이착륙 비행체의 충전 및 격납을 위한 운송체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인 비행체의 유형과 무관하게 이착륙장들이 호환성을 가질 수 있게 하는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무인 비행체, 상기 무인 비행체의 이착륙장, 및 상기 무인 비행체의 제어 장치를 포함한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에는 무선-전력 수신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무인 비행체의 이착륙장에는 무선-전력 송신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무인 비행체가 상기 이착륙장에 착륙하면,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가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에게 무선 전력을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착륙장에는 제어부, 센서, 및 지지 장치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무인 비행체의 착륙 및 이륙을 감지한다.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무인 비행체가 착륙하면 상기 무인 비행체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무인 비행체가 상기 이착륙장에 착륙하면, 상기 이착륙장의 무선-전력 송신부가 상기 무인 비행체의 무선-전력 수신부에게 무선 전력을 전송함에 의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지그-접촉식 충전 방식에 비하여, 무인 비행체의 유형에 따라 전용 이착륙장이 설치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즉, 무인 비행체의 유형과 무관하게 이착륙장들이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에 의하면, 무인 비행체의 이착륙장들이 호환성을 가지지 못한다는 종래의 비효율성의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이착륙장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센서는 상기 무인 비행체의 착륙 및 이륙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이착륙장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무인 비행체가 착륙하면 상기 무인 비행체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지휘 통제 센터 내의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무인 비행체의 착륙 및 이륙을 판단할 필요가 없고, 지휘 통제 센터 내의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무인 비행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지휘 통제 센터 내의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장치가 상기 이착륙장에 설치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무인 비행체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전력 수신부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이착륙장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전력 송신부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이착륙장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 장치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의 충전과 관련된 구성 요소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제어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의 무인 비행체가 착륙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 추가하여, 지지 장치에 의하여 무인 비행체가 지지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2는 도 1에서의 무인 비행체(101)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전력 수신부(101r)의 외형을 보여준다.
도 3은 도 1에서의 이착륙장(102)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전력 송신부(102t)의 외형을 보여준다.
도 4는 도 1에서의 이착륙장(102)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 장치(102m 및 102s)의 외형을 보여준다.
도 5는 도 1의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의 충전과 관련된 구성 요소들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5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은 무인 비행체(101), 무인 비행체의 이착륙장(102), 및 무인 비행체의 제어 장치(103h)를 포함한다.
지휘 통제 센터(103) 내의 제어 장치(103h)는, 인터넷(104) 및 무선 접속 장치(또는 기지국, 105a 내지 105k)을 통하여 무인 비행체(101)와 통신한다.
무인 비행체(101)에는 무선-전력 수신부(101r) 및 지지용 슬롯(101j)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무인 비행체의 이착륙장(102)에는 무선-전력 송신부(102t)가 설치되어 있다.
무인 비행체(101)가 이착륙장(102)에 착륙하면, 이착륙장(102)의 무선-전력 송신부(102t)가 무인 비행체의 무선-전력 수신부(101r)에게 무선 전력을 전송함에 의하여, 무인 비행체(101)의 배터리(101b)가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지그-접촉식 충전 방식에 비하여, 무인 비행체(101)의 유형에 따라 전용 이착륙장이 설치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즉, 무인 비행체(101)의 유형과 무관하게 이착륙장들이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에 의하면, 무인 비행체(101)의 이착륙장들이 호환성을 가지지 못한다는 종래의 비효율성의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착륙장(102)에는 제어부(503), 센서(505), 및 지지 장치(102m 및 102s)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장치(102m 및 102s)는 리니어 모터(102m)와 지지축(102s)을 포함한다.
이착륙장(102)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505)는 무인 비행체(101)의 착륙 및 이륙을 감지한다. 이착륙장(102)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 장치(102m 및 102s)는 무인 비행체(101)가 착륙하면 무인 비행체(101)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지휘 통제 센터(103) 내의 제어 장치(103h)가 무인 비행체(101)의 착륙 및 이륙을 판단할 필요가 없고, 지휘 통제 센터(103) 내의 제어 장치(103h)가 무인 비행체(101)의 지지를 위한 제어를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지휘 통제 센터(103) 내의 제어 장치(103h)와 통신을 하기 위한 장치가 이착륙장(102)에 설치될 필요가 없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착륙장(102)에는, 교류/직류 변환부(501), 직류/직류 변환부(502) 및 릴레이(504)가 더 구비되어 있다.
교류/직류 변환부(501)는, 교류 전원(506)의 AC 220 V를 DC 12 V로 변환하여, DC 12 V를 릴레이(504) 및 직류/직류 변환부(502)에 각각 인가한다.
직류/직류 변환부(502)는 DC 12 V를 DC 5 V로 변환하여 제어부(503)에 인가한다. DC 5 V의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는 제어부(503)는 센서(505)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릴레이(504)와 리니어 모터(102m)를 제어한다.
릴레이(504)가 온(on)되는 동안, 무선-전력 송신부(102t)는 DC 12 V를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코일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부(101r)의 코일에 유도 전류가 흐르고, 유도 전류에 의하여 발생된 교류 전압이 직류 12 V로 변환되어 배터리(101b)를 충전시킨다.
제어부(503)는 센서(505)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무인 비행체(101)의 착륙 및 이륙을 판단한다.
무인 비행체(101)가 착륙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503)는, 무선-전력 송신부(102t)를 제어하여 무인 비행체(101)의 무선-전력 수신부(101r)에게 무선 전력을 전송하고, 지지 장치(102m 및 102s)를 제어하여 무인 비행체(101)를 지지한다. 여기에서, 리니어 모터(102m)가 정회전함에 따라 지지축(102s)이 무인 비행체(101)의 지지용 슬롯(101j)에 삽입된다.
무인 비행체(101)가 이륙을 시작한다고 판단되면, 제어부(503)는, 릴레이(504)에 의하여 무선-전력 송신부(102t)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의 전송을 종료하고, 지지 장치(102m 및 102s)를 제어하여 무인 비행체(101)를 해제한다. 여기에서, 리니어 모터(102m)가 역회전함에 따라 지지축(102s)이 무인 비행체(101)의 지지용 슬롯(101j)으로부터 빠져 나간다.
센서(505)는, 무인 비행체(101)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무게 센서이거나, 무인 비행체(101)와 이착륙장(102)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이다.
센서(505)가 무게 센서인 경우, 제어부(503)는, 무게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무게가 설정 범위 안에 들면, 무인 비행체(101)가 착륙되었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무인 비행체(101)의 무게가 300 내지 400 그램(g)의 범위 안에 들면, 제어부(503)는 무인 비행체(101)가 착륙되었다고 판단한다. 400 그램(g)보다 무거운 약 500 그램(g)인 경우, 비둘기가 이착륙장(102)에 앉아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무게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무게가 상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무인 비행체(101)가 이륙을 시작하거나 이륙되었다고 판단한다.
도 6은 도 5에서의 제어부(503)의 동작을 보여준다.
도 7은 도 1에서의 무인 비행체(101)가 착륙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 추가하여, 지지 장치(102m과 102s)에 의하여 무인 비행체(101)가 지지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7 및 8에서 도 1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도 5에서의 제어부(503)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503)는 센서(505)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무인 비행체(101)가 이착륙장(102)에 착륙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01).
무인 비행체(101)가 이착륙장(102)에 착륙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503)는, 무선-전력 송신부(102t)를 제어하여 무인 비행체(101)의 무선-전력 수신부(101r)에게 무선 전력을 전송한다(단계 S603). 또한, 제어부(503)는, 지지 장치(102m 및 102s)를 제어하여 무인 비행체(101)를 지지한다(단계 S605). 여기에서, 리니어 모터(102m)가 정회전함에 따라 지지축(102s)이 무인 비행체(101)의 지지용 슬롯(도 1의 101j)에 삽입된다(도 7 및 8 참조).
다음에, 제어부(503)는 센서(505)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무인 비행체(101)가 이륙을 시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07).
무인 비행체(101)가 이륙을 시작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어부(503)는, 착륙 후에 1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609). 여기에서 1 시간이란, 만충전에 요구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착륙 후에 1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제어부(503)는, 릴레이(504)에 의하여 무선-전력 송신부(102t)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의 전송을 종료한다(단계 S611).
무인 비행체(101)가 이륙을 시작한다고 판단되면, 제어부(503)는 전력 전송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13). 전력 전송이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503)는, 릴레이(504)에 의하여 무선-전력 송신부(102t)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의 전송을 종료한다(단계 S615). 다음에, 제어부(503)는 지지 장치(102m 및 102s)를 제어하여 무인 비행체(101)를 해제한다(단계 S617). 여기에서, 리니어 모터(102m)가 역회전함에 따라 지지축(102s)이 무인 비행체(101)의 지지용 슬롯(도 1의 101j)으로부터 빠져 나간다.
상기 단계들 S601 내지 S617은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에 의하면, 무인 비행체가 이착륙장에 착륙하면, 이착륙장의 무선-전력 송신부가 무인 비행체의 무선-전력 수신부에게 무선 전력을 전송함에 의하여, 무인 비행체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지그-접촉식 충전 방식에 비하여, 무인 비행체의 유형에 따라 전용 이착륙장이 설치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즉, 무인 비행체의 유형과 무관하게 이착륙장들이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에 의하면, 무인 비행체의 이착륙장들이 호환성을 가지지 못한다는 종래의 비효율성의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착륙장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는 무인 비행체의 착륙 및 이륙을 감지한다. 또한, 이착륙장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 장치는 무인 비행체가 착륙하면 무인 비행체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지휘 통제 센터 내의 제어 장치가 무인 비행체의 착륙 및 이륙을 판단할 필요가 없고, 지휘 통제 센터 내의 제어 장치가 무인 비행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지휘 통제 센터 내의 제어 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장치가 이착륙장에 설치될 필요가 없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 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행 정찰 시스템들에도 이용될 가능성이 높다.
101 : 무인 비행체, 101j : 지지용 슬롯,
101r : 무선-전력 수신부, 102 : 이착륙장,
102m : 리니어 모터, 102s : 지지축,
102t : 무선-전력 송신부, 103 : 지휘 통제 센터,
103h : 제어 장치, 104 : 인터넷,
105a 내지 105k : 무선 접속 장치(또는 기지국),
101b : 배터리, 505 : 센서,
501 : 교류/직류 변환부, 502 : 직류/직류 변환부,
503 : 제어부, 504 : 릴레이,
506 : 교류 전원.

Claims (6)

  1. 무인 비행체, 상기 무인 비행체의 이착륙장, 및 상기 무인 비행체의 제어 장치를 포함한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에는 무선-전력 수신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무인 비행체의 이착륙장에는 무선-전력 송신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인 비행체가 상기 이착륙장에 착륙하면,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가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에게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착륙장에는,
    제어부;
    상기 무인 비행체의 착륙 및 이륙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무인 비행체가 착륙하면 상기 무인 비행체를 지지하는 지지 장치;가 더 설치되어 있는,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무인 비행체의 착륙 및 이륙을 판단하고,
    상기 무인 비행체가 착륙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에게 무선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지지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를 지지하며,
    상기 무인 비행체가 이륙을 시작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의 전송을 종료하고, 상기 지지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를 해제하는,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무인 비행체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무게 센서인,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무게가 설정 범위 안에 들면, 상기 무인 비행체가 착륙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무게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무게가 상기 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무인 비행체가 이륙을 시작하거나 이륙되었다고 판단하는,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무인 비행체와 상기 이착륙장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인,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
KR1020140167819A 2014-11-27 2014-11-27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 KR102016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819A KR102016546B1 (ko) 2014-11-27 2014-11-27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819A KR102016546B1 (ko) 2014-11-27 2014-11-27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917A true KR20160063917A (ko) 2016-06-07
KR102016546B1 KR102016546B1 (ko) 2019-08-30

Family

ID=5619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819A KR102016546B1 (ko) 2014-11-27 2014-11-27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54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0085A (zh) * 2016-07-17 2016-11-23 安庆建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无线充电的无人机充电器
KR20170140910A (ko) * 2016-06-14 2017-12-22 김지연 드론 착륙장
KR20180043558A (ko) * 2016-10-20 2018-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선 충전 스테이션
KR20180053973A (ko) * 2016-11-14 2018-05-24 한상현 드론 스테이션
KR20180056083A (ko) * 2016-11-18 2018-05-28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CN108263631A (zh) * 2017-12-26 2018-07-10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无人机导引与起降系统
KR20180082164A (ko) * 2017-01-10 2018-07-1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드론 충전 스테이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403A (ko) * 2009-10-19 2011-04-27 김현민 전기자동차용 무선충전 시스템 및 그충전방법
KR20130122715A (ko) 2013-10-21 2013-11-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수직무인이착륙 비행체의 충전 및 격납을 위한 운송체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2403A (ko) * 2009-10-19 2011-04-27 김현민 전기자동차용 무선충전 시스템 및 그충전방법
KR20130122715A (ko) 2013-10-21 2013-11-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수직무인이착륙 비행체의 충전 및 격납을 위한 운송체 및 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0910A (ko) * 2016-06-14 2017-12-22 김지연 드론 착륙장
CN106160085A (zh) * 2016-07-17 2016-11-23 安庆建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无线充电的无人机充电器
KR20180043558A (ko) * 2016-10-20 2018-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선 충전 스테이션
KR20180053973A (ko) * 2016-11-14 2018-05-24 한상현 드론 스테이션
KR20180056083A (ko) * 2016-11-18 2018-05-28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KR20180082164A (ko) * 2017-01-10 2018-07-1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드론 충전 스테이션
CN108263631A (zh) * 2017-12-26 2018-07-10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无人机导引与起降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546B1 (ko)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3917A (ko)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
AU2018355071B2 (en) UAV group charging based on demand for UAV service
US9637227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hybrid rotor drive
CN111512253B (zh) 绳钩的主动位置控制
CN110139800B (zh) 用于提高和降低有效载荷的方法及系统
US20160221683A1 (en) Hybrid Power Systems for Vehicle with Hybrid Flight Modes
EP3253654B1 (en) Landing and charging system for drones
US20170072812A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s for Autonomous Vehicles
US10351240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operative operation and configuration of aerially-mobile devices
EP3006338A1 (en) Air cushion aircraft cargo loading systems a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US2021018843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lf-Deployment of Operational Infrastructure by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KR20180066246A (ko) 무인기 이착륙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11803804B2 (en) Recipient-assisted vehicle recharging
EP4296173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dedicated to deployment of operational infrastructure
KR102088989B1 (ko) 무인 항공기의 착륙 유도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112004747A (zh) 用于稳定的高速收回的穿孔胶囊状钩
US20160185456A1 (en) Power and data transmission over thin conductor for unmanned aerial vehicle
CN203005745U (zh) 具有辅助续航系统的遥控飞行器及其控制系统
JP2017071285A (ja) 飛行体、飛行体給電装置、および飛行体制御装置
AU20213695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attery capacity management in a fleet of UAVs
KR101767844B1 (ko) 무인비행체 충전 장치
KR101658471B1 (ko) 무인기를 이용한 수송 물자 고정 장치,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AU20242033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attery capacity management in a fleet of UAV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