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083A -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 Google Patents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083A
KR20180056083A KR1020160153854A KR20160153854A KR20180056083A KR 20180056083 A KR20180056083 A KR 20180056083A KR 1020160153854 A KR1020160153854 A KR 1020160153854A KR 20160153854 A KR20160153854 A KR 20160153854A KR 20180056083 A KR20180056083 A KR 20180056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cover
drone
magnetic
sk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4437B1 (ko
Inventor
김성하
Original Assignee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3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4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안전성 및 조종 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드론의 원격 조종을 위한 탑승공간이 구비된 탑승용 이동체에 설치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이착륙공간과 상기 탑승공간이 구획되도록 상기 탑승용 이동체의 상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탑승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드론의 이착륙 시야가 확보되도록 일측에 가시홀이 형성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드론의 랜딩스키드가 선택적으로 자성 결합되는 자성착지베이스; 및 선택적인 자기인력 생성을 통해 상기 드론의 이륙시 상기 랜딩스키드가 분리되되 상기 드론의 착륙시 상기 랜딩스키드의 착지위치가 안내되도록 상기 자성착지베이스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조작부를 포함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pad apparatus for taking off and landing of drone}
본 발명은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성 및 조종 편의성이 개선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비행체(UAV; 이하 '드론'이라 함)는 조종사의 탑승 없이 원격 조종에 의해 제어되는 비행체를 의미하며, 위험 지역, 오염 지역 등의 임무를 빠르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으로 인해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드론은 군수분야의 정보수집용으로 초기 개발되었으나 구조, 경비, 운수 등으로 활용범위가 확대되는 추세이며, 최근에는 완구용, 레저용 등으로 일반 대중에게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촬영 및 레저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종래의 중소형 드론의 경우, 사용자에게 그립된 몸체가 적절한 높이에 배치되면 날개가 구동되어 비행을 시작하는 방식으로 고속회전되는 날개 등에 의해 몸체를 그립한 사용자의 신체적인 부상을 유발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행이 종료된 드론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나 내장된 착륙 알고리즘을 통해 구조물 등에 설정된 목표위치로 착륙 되는데, 착륙과정에서 착지된 드론이 날개의 잔여 회전이나 관성과 같은 잔여동력으로 인해 목표위치로부터 이탈되거나 넘어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드론이 소형보트 등과 같이 협소한 탑승공간을 갖는 이동체로 착륙되는 경우에는 착지 위치로부터 벗어난 드론이 침수 파손되거나 분실될 위험성이 높았으며, 사용자와의 충돌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38495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전성 및 조종 편의성이 개선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드론의 원격 조종을 위한 탑승공간이 구비된 탑승용 이동체에 설치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이착륙공간과 상기 탑승공간이 구획되도록 상기 탑승용 이동체의 상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탑승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드론의 이착륙 시야가 확보되도록 일측에 가시홀이 형성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드론의 랜딩스키드가 선택적으로 자성 결합되는 자성착지베이스; 및 선택적인 자기인력 생성을 통해 상기 드론의 이륙시 상기 랜딩스키드가 분리되되 상기 드론의 착륙시 상기 랜딩스키드의 착지위치가 안내되도록 상기 자성착지베이스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조작부를 포함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자성착지베이스는 상기 가시홀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링형 몸체부와, 상기 랜딩스키드의 착지반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링형 몸체부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전자석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링형 몸체부는 상기 랜딩스키드의 접촉 충격이 완화되도록 탄성 재질로 구비되되, 상면부에 상기 전자석이 끼움 고정되는 복수의 장착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시홀은 상기 전자석과 접속된 강자성체의 매쉬부재에 의해 커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시홀은 투영성 재질의 보호커버에 의해 커버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지지되는 고정커버와, 상기 고정커버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자성착지베이스가 설치되는 회동커버와, 상기 회동커버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락킹수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고정커버의 하면부를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한쌍의 락홀부와, 상기 락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동커버의 하면부에 결합되되, 레버 조작에 따라 신축된 양단부가 상기 락홀부에 삽입 및 구속되는 신축바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자성착지베이스의 선택적인 자기인력 형성을 통해 충분한 비행출력이 확보된 상태로 드론이 이륙되고 착륙시 드론의 잔여 동력으로 인한 유동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안전성이 개선되고, 비행 중 드론이 자기인력에 의해 착지위치로 안내될 수 있어 제품의 조종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드론의 이착륙시 탑승공간을 보호하는 커버하는 커버부의 일측에 가시홀이 형성되어 안전한 조종이 가능하면서도 드론의 이착륙 경로에 대한 시야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가시홀의 테두리측 자성착지베이스의 자기인력으로 드론의 손쉬운 착륙 조종이 가능하여 제품의 안전성 및 조종 편의성이 동시에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자성착지베이스가 커버부의 회동커버에 설치되어 상하 회동되므로 탑승공간측으로 회동된 자성착지베이스를 통해 드론의 이륙시 세팅 및 착륙된 드론의 수거시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보호커버의 상면부에 전자석과 접속된 강자성체의 매쉬부재가 덧댐됨에 따라 보호커버 및 가시홀을 통한 시야 확보 기능이 유지되면서도 자기장의 영향 면적이 확대되어 드론의 착륙시 조종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가 장착된 탑승용 이동체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에서 회동커버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에서 고정수단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가 장착된 탑승용 이동체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에서 회동커버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에서 고정수단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100)는 커버부(10), 자성착지베이스(20), 그리고 전원공급조작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드론(d)은 사람의 탑승 없이 원격조종에 의해 비행되는 무인비행체로, 원격지에 배치된 드론 조종기(m1)와 무선 신호 연결되어 드론 조종기(m)의 비행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100)는 드론(d)의 이륙 위치 제공, 착륙 위치 안내 및 착륙된 드론(d)의 수거 등을 목적으로 탑승용 이동체(s)에 설치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탑승용 이동체(s)는 드론(d)을 원격 조종하는 사용자가 탑승하여 이동할 수 있는 보트, 차량 등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탑승용 이동체(s)에는 상기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공간(1)이 구비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10)는 상기 탑승용 이동체(s)의 상부프레임(r)에 결합되어 상기 탑승공간(1)의 상부를 커버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프레임(r)은 보트나 차량의 지붕프레임 또는 차양막/조명/구명부품 등이 설치되도록 탑승공간(1)의 측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된 롤바, 탑 등의 구조프레임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부(10)는 구조프레임의 상단부에 상기 차양막 내지는 지붕프레임을 대체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붕프레임의 상면부에 덧댐되도록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커버부(10)가 상기 지붕프레임의 상면부에 덧댐되는 경우에, 상기 커버부(10)의 회동커버(10b)는 상기 지붕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된 부분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부(10)는 드론(d) 내지 탑승공간(1)의 크기를 초과하는 판형 부재로 구비되되 상기 상부프레임(r)의 상부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탑승공간(1)과 상기 드론(d)의 이착륙공간(2)이 상호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론(d)의 이착륙공간(2)은 상기 드론(d)이 비행을 시작하기 위해 이륙되거나 비행을 종료하기 위해 착륙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상기 드론(d)은 상기 커버부(10)의 상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륙되고 상기 커버부(10)의 상면부로 착륙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커버부(10)에 의해 상기 드론(d)을 조종하는 사용자가 위치된 탑승공간(1)과 드론(d)의 비행 시작 내지 비행 종료 지점이 되는 이착륙공간(2)이 분리되므로 조종 미숙 등으로 인해 드론(d)이 정확한 이착륙 경로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는 상기 드론(d)의 랜딩스키드(m)가 선택적으로 자성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부(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랜딩스키드(m)는 이착륙시 발생된 충격으로부터 기체를 보호하는 부분으로 드론(d)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랜딩스키드(m)는 철, 니켈, 코발트 등의 강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량화를 위해 지면과 접하는 하단부에 상술된 강자성체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는 전력 공급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화되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전력 공급에 따라 전자석(20b)이 자화되면 자기장의 인력을 통해 상기 랜딩스키드(m)가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에 고정되되, 전력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랜딩스키드(m)가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는 코일과 강자성체로 구비된 대형 전자석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하에서는 생산 및 조립편의성을 위해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가 복수의 전자석(20b)과, 전자석(20b)이 설치되는 링형 몸체부(20a)로 구비되는 것을 예로서 도시 및 설명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는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의 선택적인 자기인력 생성을 통해 드론(d)의 이륙 및 착륙이 안내되도록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는 상기 드론(d)의 이륙시 상기 랜딩스키드(m)가 분리되되 상기 드론(d)의 착륙시 자기인력에 의해 상기 랜딩스키드(m)의 착지위치가 안내되도록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의 제어에 따라 전원이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의 전자석(20b)에 공급되면 자성착지베이스(20)의 인접영역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기형성된 자기장이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는 배터리와 같은 별도의 내부 전원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의 간소화를 위해 상기 탑승용 이동체(s)의 메인전원부(s1)에 연결되는 것으로 예로써 설명한다.
즉,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는 상기 전자석(20b)과 상기 메인전원부(s1) 간의 접속 및 단락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에 의해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드론(d)이 상기 커버부(10)의 상면부로 이동되면, 랜딩스키드(m)가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에 자성 결합되어 드론(d)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론 조종기(m1)를 조작하여 상기 드론(d)이 구동되면,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를 통해 자성착지베이스(20)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자기장이 제거됨과 동시에 드론(d)이 이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드론(d)을 직접 그립하는 위험성이 제거되면서도, 자기인력에 의해 고정된 드론(d)이 탑승용 이동체(s)의 속도, 주변환경의 풍향/풍속에 적합한 비행 출력을 확보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륙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조종 편의성 및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에 의해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비행 중인 드론(d)이 상기 커버부(10)의 상면부측으로 이동되면 랜딩스키드(m)가 자기장의 인력에 의해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측으로 당겨져 자성 결합될 수 있다.
즉, 랜딩스키드(m)가 자기장의 인력 영향 범위 내로 이동되면, 자기인력에 의해 드론(d)의 착지위치가 안내될 수 있으므로 드론(d)의 착륙시 조종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착륙된 드론(d)이 자기인력에 의해 고정되어 날개의 잔여 회전력이나 관성 등으로 이동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착지 후 잔여 동력으로 인한 넘어짐 파손이나 안전사고, 분실 등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어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드론(d)의 이착륙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의 전원 공급이 제어되도록 상기 드론 조종기(m1)와 유무선 신호 연결되어 제어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10)는 고정커버(10a), 회동커버(10b), 그리고 락킹수단(10c)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커버(10a)는 상기 상부프레임(r)에 지지 및 고정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커버부(10) 및 상기 탑승용 이동체(s) 간의 결합을 유지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커버(10b)는 상기 고정커버(10a)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도 4a와 같이, 상기 고정커버(10a)와 평탄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도 4b와 같이 상기 탑승공간(1)을 향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는 상기 회동커버(10b)의 상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커버(10b)의 상하방향 회동에 따라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드론(d)이 자성착지베이스(20) 상에 용이하게 세팅되어 이륙될 수 있으며, 자성착지베이스(20)에 착지된 드론(d)이 손쉽게 수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동커버(10b)가 상기 탑승공간(1)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드론(d)을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의 상면부에 고정킬 수 있으며, 상기 드론(d)의 고정 후 상기 회동커버(10b)를 상측으로 복원 이동시켜 드론(d)의 이륙을 위한 세팅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론(d)의 이륙시 세팅과정의 정확성 및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고정커버(10a)와 평행하게 배치된 회동커버(10b)의 자성착지베이스(20)에 상기 드론(d)이 착지 및 고정되면, 상기 회동커버(10b)를 탑승공간(1)측으로 회동시켜 드론(d)이 손쉽게 수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락킹수단(10c)은 상기 회동커버(10b)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한다. 즉, 상기 락킹수단(10c)에 의해 상기 회동커버(10b)의 회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드론(d)이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에 안정적으로 착륙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론(d)의 비행 추진시 반력으로 인한 회동커버(10b)의 유동이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이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수단(10c)에 의해 상기 회동커버(10b)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회동커버(10b)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며, 드론의 이륙시 세팅과정 또는 착륙된 드론의 수거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커버(10a)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프레임(r)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1)과, 상기 고정프레임(11) 사이를 따라 다단 배치된 커버판(12)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11)은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도를 갖는 탄소섬유강화수지 재질의 바형 부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쌍의 고정프레임(11)이 상기 드론(d)의 크기를 초과하는 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되, 상호 이격 배치된 각각 사이에 커버판(12) 및 회전커버(10b)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r)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각 고정프레임(11)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커버(10b)가 연결되는 힌지연결부(1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동커버(10b)는 상기 힌지연결부(15)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판(12)은 상기 회동커버(10b)가 힌지 연결된 고정프레임(1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다단 배치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커버(10b)는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가 설치되는 회동판(13)과, 상기 회동판(13)의 양측단을 지지하되 상기 힌지연결부(15)에 연결되는 회동판지지프레임(14)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드론(d) 내지 탑승공간(1)의 폭방향 크기가 변화되는 경우에, 변화된 폭에 대응되는 규격의 회동판(13) 및 커버판(12)을 교체 조립함에 따라 제품이 용이하게 호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공간(1)의 길이방향 크기가 변화되는 경우에는 변화된 길이에 대응되는 규격의 고정프레임(11)을 교체 조립하고 커버판(12)의 배치 개수를 조절함에 따라 제품이 용이하게 호환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판(12)은 상기 탑승용 이동체(s)의 이동방향에 대응되는 유선형의 표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판(12)은 상기 탑승용 이동체(s)의 이동방향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구배진 표면 프로파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드론(d)의 이착륙을 안내하면서도, 탑승용 이동체(s)의 성능 저하가 방지되는 고품질의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판(12) 및 상기 회동판(13)은 높은 내열성을 가지면서도 소정의 탄성력과 높은 강도를 갖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소정의 광투과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탑승공간(1)의 사용자가 드론(d)의 비행 경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수단(10c)은 상기 고정커버(10a)의 하면부를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한쌍의 락홀부(17)와, 상기 락홀부(17)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동커버(10b)의 하면부에 결합되는 신축바(16)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락홀부(17)는 상기 각 고정프레임(11)의 하면부에 고정되며, 상기 신축바(16)는 상기 회동판(13)의 하면부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신축바(16)는 레버(16a) 조작에 따라 신축되도록 구비되며, 신축되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상기 각 락홀부(17)와 대향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도 5b와 같이, 상기 레버(16a)가 일방향 조작되면, 신장된 신축바(16)의 양단부가 상기 락홀부(17)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커버(10b)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a와 같이, 상기 레버(16a)가 타방향 조작되면 축소된 신축바(16)의 양단부가 상기 락홀부(17)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회동커버(10b)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한 레버조작만으로 회동커버(10b)의 구속 상태가 전환되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10)의 일측에는 상기 드론(d)의 이착륙 시야가 확보되도록 관통 형성되어 투영성 재질의 보호커버(13b)에 의해 커버되는 가시홀(13a)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시홀(13a)은 상기 회동커버(10b)의 회동판(13)에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13b)는 상기 가시홀(13a)의 내경을 초과하는 외경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시홀(13a)의 상단 테두리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투영성은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성을 의미하며, 투영성 재질이라는 의미는 부재에 의해 가려진 건너편에 위치된 사물이나 환경이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재질이라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커버(13b)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 높은 강도를 가지면서도 높은 투영성을 갖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10)의 하부측 탑승공간(1)에 위치된 사용자가 상기 가시홀(13a)을 통해 상기 드론(d)의 이착륙 경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조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탑승공간(1)에 위치된 사용자가 가시홀(13a)을 통해 드론(d)의 기체가 확인되도록 드론(d)의 비행 위치를 제어하면 랜딩스키드(m)가 가시홀(13a)의 테두리측 자성착지베이스(20)와 정렬될 수 있으며,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의 자기인력에 의해 랜딩스키드(m)가 당겨져 자성 결합되므로 드론(d)의 착륙시 조종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영성 재질의 보호커버(13b)에 의해 탑승공간(1)에 위치된 사용자에게 이착륙공간(2)에 대한 시야가 제공되면서도 이착륙 중의 드론(d)이 탑승공간(1)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드론(d)의 경로 이탈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가 차단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는 상기 가시홀(13a)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링형 몸체부(20a)와, 상기 랜딩스키드(m)의 착지반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링형 몸체부(20a)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전자석(20b)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랜딩스키드(m)의 착지반경은 상기 랜딩스키드(m)의 하단부와 접하는 원의 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링형 몸체부(20a)는 상기 전자석(20b)의 자화에 대응하여 자화될 수 있는 강자성체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랜딩스키드(m)와 접촉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링형 몸체부(20a)에는 상기 랜딩스키드(m)의 착지반경을 따라 복수의 장착홀(2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각 전자석(20b)은 상기 각 장착홀(21)에 끼움 고정되어 상기 랜딩스키드(m)의 착지반경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20b)의 코일부는 상기 장착홀(21)의 하부 개구를 따라 인출되어 상기 전원공급조작부(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석(20b)은 그의 상단부가 상기 장착홀(21)의 상단부로부터 소정의 유격간격으로 하향 배치되도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링형 몸체부(20a)에서 상기 전자석(20b)의 상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장착홀(21)의 테두리 부분이 댐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랜딩스키드(m) 및 전자석(20b) 간의 직접 접촉에 따른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형 몸체부(20a)의 중앙부에는 상기 보호커버(13b)의 외경 미만의 내경을 갖는 연통홀(22)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커버(13b)가 상기 가시홀(13a)의 테두리 상단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링형 몸체부(20a)가 상기 가시홀(13a)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면 상기 보호커버(13b)의 상면부 테두리가 상기 연통홀(21)의 테두리 하면에 의해 구속되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보호커버(13b)가 가시홀(13a)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있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13b)의 상면부는 상기 자성착지베이스(20)의 상면부와 연속된 평면을 이루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링형 몸체부는 상기 드론(d)의 규격별 중량 및 랜딩스키드(m) 반경에 대응되는 반경으로 구비되되, 상기 드론(d)의 규격별 중량 및 랜딩스키드(m) 반경에 대응되도록 장착홀(21)의 배치 및 개수가 조절된 복수 세트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드론(d)의 규격별로 상이한 중량 및 랜딩스키드(m) 반경에 따라 복수 세트의 링형 몸체부 중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가시홀(13a)의 테두리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링형 몸체부의 장착홀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선택된 링형 몸체부에 전자석이 삽입 고정됨에 따라 드론(d)의 규격에 적합한 자성착지베이스(20)가 손쉽게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성 및 호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이착륙 패드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서는 매쉬부재(5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로 도시 및 설명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시홀(13a)에는 상기 전자석(20b)과 접속된 강자성체의 매쉬부재(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매쉬부재(50)는 철, 코발트, 니켈 등의 강자성체 전선이 직조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강자성체 판재에 랜딩스키드(m)의 단부 크기 미만으로 복수의 타공이 관통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매쉬부재(50)는 드론(d)의 기체가 통과할 수 없으면서도 탑승공간(1)의 하부에 위치된 사용자가 이착륙공간(2)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쉬부재(50)는 상기 보호커버(13b)를 대체하여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보호커버(13b)에 덧댐되는 것도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매쉬부재(50)가 상기 보호커버(13b)의 상면부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이때, 상기 매쉬부재(50)는 상기 전자석(20b)에 접속되어 상기 전자석(20b)와 자화시 연동 자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랜딩스키드(m)에 대한 자성 결합 면적 및 자기장의 영향영역이 증가되는 효과를 통해 상기 드론(d)의 착륙시 조종 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즉, 상기 매쉬부재(50)의 테두리부는 상기 링형 몸체부(20a)의 상면부를 덮도록 연장되어 상기 전자석(20b)의 상단부에 접속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연통홀(22) 및 보호커버(13b) 사이를 따라 상기 링형 몸체부(20a)의 하면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자석(20b)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10: 커버부
10a: 고정커버 10b: 회동커버
11: 고정프레임 12: 커버판
13: 회동판 13a: 가시홀
13b: 보호커버 14: 회동판지지프레임
20: 자성착지베이스 20a: 링형 몸체부
20b: 전자석 30: 락킹수단
40: 전원공급조작부 50: 매쉬부재

Claims (5)

  1. 드론의 원격 조종을 위한 탑승공간이 구비된 탑승용 이동체에 설치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이착륙공간과 상기 탑승공간이 구획되도록 상기 탑승용 이동체의 상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탑승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드론의 이착륙 시야가 확보되도록 일측에 가시홀이 형성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드론의 랜딩스키드가 선택적으로 자성 결합되는 자성착지베이스; 및
    선택적인 자기인력 생성을 통해 상기 드론의 이륙시 상기 랜딩스키드가 분리되되 상기 드론의 착륙시 상기 랜딩스키드의 착지위치가 안내되도록 상기 자성착지베이스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조작부를 포함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착지베이스는
    상기 가시홀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링형 몸체부와,
    상기 랜딩스키드의 착지반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링형 몸체부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전자석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몸체부는 상기 랜딩스키드의 접촉 충격이 완화되도록 탄성 재질로 구비되되, 상면부에 상기 전자석이 끼움 고정되는 복수의 장착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시홀은 상기 전자석과 접속된 강자성체의 매쉬부재에 의해 커버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홀은 투영성 재질의 보호커버에 의해 커버되되,
    상기 커버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지지되는 고정커버와, 상기 고정커버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자성착지베이스가 설치되는 회동커버와, 상기 회동커버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락킹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고정커버의 하면부를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된 한쌍의 락홀부와,
    상기 락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동커버의 하면부에 결합되되, 레버 조작에 따라 신축된 양단부가 상기 락홀부에 삽입 및 구속되는 신축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KR1020160153854A 2016-11-18 2016-11-18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KR101944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54A KR101944437B1 (ko) 2016-11-18 2016-11-18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54A KR101944437B1 (ko) 2016-11-18 2016-11-18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083A true KR20180056083A (ko) 2018-05-28
KR101944437B1 KR101944437B1 (ko) 2019-01-30

Family

ID=6245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854A KR101944437B1 (ko) 2016-11-18 2016-11-18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4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930B1 (ko) * 2018-12-13 2020-04-20 조현주 유지보수가 용이한 cctv 관제시스템
KR102102629B1 (ko) * 2018-12-13 2020-04-22 주식회사 씨원 드론의 카메라를 이용한 cctv 관제시스템
CN117944919A (zh) * 2024-03-27 2024-04-30 山西中创天达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自主起降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092A (ko) * 2010-07-08 2012-0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석을 이용한 헬리콥터 착륙 유도장치
KR20140038495A (ko) 2014-03-05 2014-03-28 진정회 회전익 드론 안전착륙팩
US20150266575A1 (en) * 2014-03-21 2015-09-24 Brandon Borko System for automatic takeoff and landing by interception of small uavs
KR101617594B1 (ko) * 2015-09-01 2016-05-02 오영동 차량의 무인기 착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63917A (ko) * 2014-11-27 2016-06-0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092A (ko) * 2010-07-08 2012-0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석을 이용한 헬리콥터 착륙 유도장치
KR20140038495A (ko) 2014-03-05 2014-03-28 진정회 회전익 드론 안전착륙팩
US20150266575A1 (en) * 2014-03-21 2015-09-24 Brandon Borko System for automatic takeoff and landing by interception of small uavs
KR20160063917A (ko) * 2014-11-27 2016-06-0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무인-비행 정찰 시스템
KR101617594B1 (ko) * 2015-09-01 2016-05-02 오영동 차량의 무인기 착륙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930B1 (ko) * 2018-12-13 2020-04-20 조현주 유지보수가 용이한 cctv 관제시스템
KR102102629B1 (ko) * 2018-12-13 2020-04-22 주식회사 씨원 드론의 카메라를 이용한 cctv 관제시스템
CN117944919A (zh) * 2024-03-27 2024-04-30 山西中创天达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自主起降系统
CN117944919B (zh) * 2024-03-27 2024-06-11 山西中创天达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自主起降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437B1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754B2 (en) Device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a drone, and an associated aircraft
KR101944437B1 (ko) 드론용 이착륙 패드장치
US9527596B1 (en) Remote controlled aerial reconnaissance vehicle
CN214003829U (zh) 悬吊负载稳定系统及非暂时性的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033281B1 (en) Remote controlled aerial reconnaissance vehicle
AU2016337362B2 (en) Parachute control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20220121225A1 (en) Long line loit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ES2782353T3 (es) Estructura de drone mejorada
JP2017081544A (ja) 風案内部を備える無人航空機
US20050230555A1 (en) Aerial delivery device
WO2016153580A2 (en) Multi-rotor personal air vehicle with a central lifting fan
US20100282897A1 (en) Unmanned Aerial Surveillance Device
WO2013112198A2 (en) Autonomous intelligence surveillance reconnaissance and payload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15177376A1 (en) Mechanical structure for a multi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858009B1 (ko) 교량점검용 드론
CN107117325A (zh) 一种无人机地面发射与回收小车
WO2022085832A1 (ko) 수상 운용이 가능한 1인용 개인 항공기
JP6755596B2 (ja) 回転翼航空機
US4462560A (en) Airplane take-off system
Burke et al. Study of A drone’s payload delivery capabilities utilizing rotational movement
EP2738093B1 (en) Method of landing of a surveillanc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nd a surveillance unmanned aerial vehicle
CN205396549U (zh) 一种无人机回收降落伞装置
CA3219996A1 (en) Long line loit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140151508A1 (en) Method of landing of a surveillanc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 surveillance unmanned aerial vehicle
US20230356839A1 (en) Special electric propulsion system to power paragliders and other small, light airc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