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280B1 -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 - Google Patents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280B1
KR101817280B1 KR1020170073042A KR20170073042A KR101817280B1 KR 101817280 B1 KR101817280 B1 KR 101817280B1 KR 1020170073042 A KR1020170073042 A KR 1020170073042A KR 20170073042 A KR20170073042 A KR 20170073042A KR 101817280 B1 KR101817280 B1 KR 101817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s
station
clean room
dr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욱
최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리퍼블릭
(주)파워리퍼블릭얼라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리퍼블릭, (주)파워리퍼블릭얼라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리퍼블릭
Priority to KR1020170073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for storing aircraft, e.g. in hang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8Visual or acoustic landing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30Clean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80/0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 B64U80/7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in 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4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for storing aircraf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0Air craf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는 스테이션, 클린룸 및 저장고가 구조적으로 일체화되며, 드론이 자동으로 격납 공간으로 이동되고, 드론의 청소와 충전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고 있다. 본 개시는 이러한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Smart hanger for drones}
본 개시는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드론의 착륙, 세정, 이동, 보관 및 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또는 '드론'은 조종사가 비행체에 직접 탑승하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조종, 사전 프로그램된 경로에 따라 자동 또는 반자동 형식으로 자율비행하거나 인공지능을 탑재하여 자체 환경판단에 따라 임무를 수행하는 비행체를 말한다. 드론 시스템은 이에 더하여 지상통제장비(GCS: Ground Control Station), 통신장비 및 지원 장비 등의 전체 시스템을 통칭한다.
드론은 독립된 체계 또는 우주, 지상체계들과 연동시켜 운용된다. 활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장비(광학, 적외선, 레이더 센서 등)를 탑재하여 감시, 정찰, 정밀 공격 무기 유도, 통신/정보중계, 및 Decoy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폭약을 장전시켜 정밀무기 자체로도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어 향후 미래의 주요 경제적 군사력 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또, 드론은 군사용을 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측량 조사, 영화 촬영, 구조, 파이프라인/전선 점검, 야생 관측, 격리지에 구호품 전달, 상품 배달과 같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드론의 이착륙과 관련, 종래에는 활주로가 필수적 이었으나, 드론에 장착된 자동 이착륙시스템에 의해 외부조종사 없이 자동 회수되는 방식을 대부분의 시스템이 채택하여 적용하고 있다.
드론의 이동 및 격납을 위해서 상용 또는 임무용 드론을 차량에 탑재하고 사용 지점으로 이동하여 정해진 위치에서 비행을 하고 다시 원 위치 또는 차량으로 복귀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드론의 수량이 적은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많은 수의 드론을 이동시키거나 런칭 위치가 드론 보관 장소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장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 드론의 사용 빈도가 낮은 경우에는 독립하여 개별적으로 보관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한편, 드론이 이착륙하는 스테이션의 경우, 드론을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기능이 없거나 전력이 약하여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격납고(hanger)를 예상할 수 있는데, 드론을 일반 환경 조건에서 보관하면, 주위에서 발생하는 먼지, 수분으로 인한 부품의 부식 및 녹, 해안 환경에서의 보관 또는 사용으로 인한 염분 접촉에 의한 부품 부식으로 드론의 수명이 짧아지고, 부품의 고장률이 높아지는 단점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특허 제1712289호는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에서, 복수의 드론을 수용하고 관리하는 공간을 가지며 적어도 일측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형성된 드론 하우스, 드론 하우스의 도어가 개방되어 외부로 드러나며,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되어 각 구간에 복수의 드론을 안착시키는 착륙부 및 착륙부의 각 구간에 형성되어 드론의 안착 시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 특허는 실질적으로는 대형의 하나의 이착륙 스테이션을 복수의 소규모 스테이션으로 분할한 것이므로, 다수의 드론을 격납하는 점에서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드론을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드론용 격납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드론을 자동으로 이동, 청소 및 충전할 수 있는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와 이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는: 드론이 착륙하는 스테이션;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드론을 청소하는 클린룸; 및 상기 클린룸과 연결되며, 복수의 드론을 구획하여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고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고, 클린룸 및 스테이션은 넓은 평판형의 보드상에 설치되어 구조적으로 일체로 격납고를 이루는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션에 착륙한 드론은, 스테이션에 탑재된 상태로 보드 상에서 클린룸으로 이동하여 세정된 후, 저장고로 이동되어 각각의 분할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저장고로 이동된 드론의 스테이션의 하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로드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저장고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 제 1플레이트가 소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배열되고, 상기 각각의 제1 플레이트와 같은 높이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대향하여 타측에는 제 2플레이트가 다단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는 드론을 수용하는 각각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저장고는 항온 항습이 유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는 무선 충전 송신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의 시스템으로서, 상기 격납고는: 드론이 착륙하는 스테이션;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드론을 청소하는 클린룸; 및 상기 클린룸과 연결되며, 복수의 드론을 구획하여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고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고, 클린룸 및 스테이션은 넓은 평판형의 보드상에 설치되어 구조적으로 일체로 상기 격납고를 이루며, 상기 시스템은: 제어부와, 무선충전구동부와, 클린룸 구동부와, 스테이션 구동부와, 드론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저장고, 클린룸, 스테이션 및 표시부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드론 제어부는 드론의 위치, 비행, 배터리 및 영상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고, 제어부의 지시를 받아 스테이션으로 정밀한 착륙을 유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클린룸 구동부는 드론이 클린룸에 위치하면 공기압 노즐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드론을 세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드론의 위치는 감지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로서, 상기 격납고는: 드론이 착륙하는 스테이션; 상기 스테이션과 분리된 위치에 설치되며,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드론을 청소하는 클린룸; 및 상기 클린룸과 분리된 위치에 설치되며, 복수의 드론을 구획하여 충전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고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고, 클린룸 및 스테이션은 넓은 평판형의 보드상에 설치되며, 평면상에서 보아 독립되어 각각의 공간을 점유하고, 상기 스테이션에 착륙한 드론은, 상기 스테이션에 탑재된 상태로 보드 상에서 클린룸으로 이동하여 세정된 후, 저장고로 이동되어 각각의 분할 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저장고로 이동된 드론의 스테이션의 하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로드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로드의 상승에 따라 드론은 위로 상승하고, 상기 저장고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 제 1플레이트가 소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배열되고, 상기 각각의 제1 플레이트와 같은 높이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대향하여 타측에는 제 2플레이트가 다단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는 드론을 수용하는 각각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는 무선 충전 송신부가 배치되며, 상기 드론은 무선 충전 수신부를 일체로 내장하여, 상승한 상기 가이드로드의 좌측 또는 우측 이동에 의하여 제 1플레이트 또는 제2플레이트의 중앙부로 이동하여 상기 무선 충전 송신부와의 사이에 무선 충전을 행하고, 상기 저장고는 충전을 마친 상기 드론을 위한, 제1 및 제2 플레이트와 분리된 별도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지 않고, 상기 드론은 상기 가이드 로드의 하강에 의하여 다시 저장고의 하부로 이동하여 외부 반출 상태가 되는,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격납고를 구비하는 격납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드론을 효율적으로 충전하는 스마트 격납고를 제공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드론의 제어, 착륙, 이동, 세정 및 충전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스마트 격납고를 제공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를 제어하는 서버를 통해 실시간적으로 자동으로 드론을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가이드를 기준으로 절단하여 바라 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드론을 탑재한 스테이션이 1단,..., n단 중의 어느 한 쌍의 플레이트와 인접하여 마주보는 것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중심으로 한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의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형 격납고 시스템의 작동 흐름의 일례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연결"은 직접적인 연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경유한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1)의 전체 사시도이다.
격납고(1)는 저장고(2), 클린룸(4) 및 스테이션(6)을 포함한다.
저장고(2)는 복수의 드론을 구획하여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저장고(2)는 다수의 드론을 수용하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지며, 직육면체의 빌딩 등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저장고(2)의 상부에는 드론(D)과 통신하는 안테나(12)가 설치되어 있다.
클린룸(4)은 하나의 드론(D)을 수용하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지며, 도시하지 않은 내부 노즐을 통하여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드론(D)을 청소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클린룸(4)의 전면에 설치된 윈도우(10)는 드론(D)의 세정 시 외부와의 차단을 위하여 폐쇄된다.
스테이션(6)은 드론(D)이 착륙하는 랜드로서 평판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저장고(2), 클린룸(4) 및 스테이션(6)은 넓은 평판형의 보드(8)상에 설치된다. 보드(8)의 길이 방향으로는 보드(8) 전체를 2분할하여 가로 지르도록 오목 채널 형상의 가이드(L)가 설치된다. 스테이션(6)은 보드(8) 밑의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하여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다.
스테이션(6)에 착륙한 드론(D)은, 스테이션(6)에 탑재된 상태로 가이드(L)를 따라 클린룸(4)으로 이동하여 세정된 후, 저장고(2)로 이동되어 각각의 분할 공간에 수납된다.
저장고(2)는 격납고(1)의 외부에서는 폐쇄된 구조로서, 먼지, 수분으로 인한 부품의 부식 및 녹, 해안 환경에서의 보관 또는 사용으로 인한 염분 접촉에 의한 부품 부식으로 드론의 수명이 짧아지고, 부품의 고장률이 높아지는 단점을 방지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고(2)에는 항온 항습이 유지되도록 항온 항습기를 설치하여 드론 각 부품이 산화, 부식 또는 재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가이드(L)를 기준으로 절단하여 바라 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1)의 전체 사시도이다.
스테이션(6)에 탑재된 드론(D)이 클린룸(4)에 수용되어 있다. 클린룸(4)과 저장고(2) 사이의 윈도우(12)는 드론(D)의 세정 시 외부와의 차단을 위하여 폐쇄된다. 드론(D)이 저장고(2)로 이동할 때에는 윈도우(12)가 개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납고(1)는 서버(100)에 의하여 제어된다. 서버(100)는 유무선 네트워크(24)를 통해 격납고(1)와 통신한다. 서버(100)는 지상 통제 장치, 드론 착륙 유도 장치, 비행 통제 감시 장치 및 임무 계획 통제 장치 를 구비하며, 후술하는 드론 제어부(D2)를 통해 안테나(12)를 경유하여 드론(D)의 비행을 제어하고 정밀한 착륙을 유도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2)의 사시도이다.
저장고(2)에 진입한 드론(D)의 스테이션(6)의 하면의 4측면은 가이드 로드(200a)에 의하여 지지된다.
저장고(2)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우측에 플레이트(202a)가 소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플레이트(202a)와 같은 높이에서 플레이트(202a)와 대향하여 좌측에는 플레이트(202b)가 다단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시된 예는 편의상 3단이지만, 더욱 많은 플레이트를 설치할 수 있다. 플레이트(202a)와 이에 대향하는 플레이트(202b) 사이의 공간은 스테이션(6)이 위치하거나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제공하도록 넓어야 한다.
각각의 플레이트(202a,202b)에는 하나의 드론(D)이 위치하여 수용된다. 각각의 플레이트(202a,202b)에는 도시하지 않은 무선 충전 송신부가 배치되어 있다. 무선 충전 송신부는 드론(D)의 수신부와 밀착하도록 인접되며, 예를 들면 자기 공진 유도 방식을 통해 드론(D)의 전원을 충전한다.
가이드 로드(200a)는 플레이트(202a) 또는 플레이트(202b) 사이의 간격만큼 단계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한다. 따라서, 가이드 로드(200a)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하여 드론(D)을 탑재한 스테이션(6)은 1단,..., n단 중의 어느 한 쌍의 플레이트(202a,202b)와 인접하여 마주보게 된다.
이 상태가 도 3b의 확대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 3b에서 플레이트(202a)와 플레이트(202b)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우측의 플레이트(202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플레이트(202a)의 빈 공간 또는 스테이션(6)이 위치하는 공간에 면해서는 한 쌍의 가이드홈(204a)이 플레이트(202a)의 안쪽까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홈(204a)의 간격은 가이드 로드(202a)의 간격과 동일하다.
가이드홈(204a) 사이에는 고정부재(206a)가 일렬로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재(206a)는 스테이션(6)이 플라스틱과 같은 비자성체인 경우 드론(D)을 흡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강자성체 재료로 제작할 수 있다. 또는 고정부재(206a) 로서, 드론(D)을 수용 예정인 플레이트(202a)의 바로 윗단의 플레이트(202a)의 하면이나 저장고(2)의 측면에 실린더 구동식의 아암과 같은 파지 기구를 두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3b의 상태에서, 가이드 로드(200a)가 가이드홈(204a)을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스테이션(6)과 플레이트(202a)가 겹치며, 드론(D)은 플레이트(202a)의 중앙 공간에 위치한다. 고정부재(206a)로 드론(D)을 플레이트(202a)의 제 위치에 고정하여 안착시킨다. 이후, 스테이션(6)을 반대방향인 좌측으로 이동시킨 후 가이드 로드(200a)를 최하단의 위치로 하강시키면 다시 클린룸(4)을 통하여 드론(D)을 수용할 준비가 된다. 스테이션(6)은 구동기구에 의하여 길이 및 폭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여 도 1에 도시한 랜딩 위치로 복귀한다. 저장고(2)는 충전을 마친 드론을 위한, 제1 및 제2 플레이트와 분리된 별도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드론은 가이드 로드의 하강에 의하여 다시 저장고(2)의 하부로 이동하여 외부 반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저장고(2)는 예시를 위한 것이며, 플레이트는 각 층에 하나만 배열하거나 또는 각 층의 전후좌우에 각각 4개씩 배치하여도 좋다. 또, 플레이트에 가이드홈을 설치하지 않고, 저장고(2)의 측면에 실린더로 작동되는 구동로드를 두어 구동로드의 전진에 의하여 스테이션(6)상의 드론(D)를 분리하여 플레이트로 이동시키는 방식도 채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를 중심으로 한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1)의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서버(100)는 제어부(C)와, 무선충전구동부(26)와, 클린룸 구동부(4b)와, 스테이션 구동부(6b)와, 가이드로드 구동부(200c)와, 드론 제어부(D2)를 포함한다. 서버(100)는 서버 외부의 플레이트(202a,202b), 클린룸(4), 스테이션(6), 안테나(12) 및 표시부(300)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C)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서버(100)내의 다른 구성들을 총괄하는 기능을 한다.
드론 제어부(D2)는 안테나(12)를 통하여 드론(D)의 위치, 비행, 배터리 및 영상 정보들을 전송받아 제어부(C)로 전달하고, 제어부(C)의 지시를 받아 비행 통제, 착륙 유도 및 임무 계획 통제를 수행하고, 스테이션(6)으로 정밀한 착륙을 유도한다.
제어부(C)는 메모리에 기억된 드론 정보를 토대로 인증된 드론(D)만을 조정한다.
스테이션 구동부(6b)는 제어부(C)의 지시를 받아 스테이션(6)을 랜딩 위치로부터 클린룸(4)을 거쳐 저장고(2)까지 이동시킨다.
클린룸 구동부(4b)는 스테이션(6)이 클린룸(4)에 위치하면 윈도우(10,12)를 폐쇄하고 도시하지 않은 공기압 노즐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드론(D)을 세정하도록 한다.
가이드 로드 구동부(200c)는 제어부(C)의 지시를 받아 가이드 로드(200a)가 스테이션(6)을 플레이트(202a,202b)가 설치된 각층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가이드 홈(204a,204b)을 통해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구동한다.
무선 충전 구동부(26)는 제어부(C)가 배터리 잔량을 판독하여 소정치 이하인 경우 충전이 필요하다는 신호를 전송하면 이를 토대로 플레이트(202a,202b)의 무선 충전 송신부를 활성화하여 무선 충전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드론(D)의 위치, 즉 스테이션(6)의 위치는 센서와 같은 감지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어부(C)로 전달된다. 또, 스테이션(6)의 이동 경로, 예를 들어 클린룸(4) 내에서의 유지 시간과 같은 일정 구역에서의 정지 시간, 가이드 로드(200a)의 층별 이동 거리등과 같은 정보는 제어부(C)에 미리 프로그래밍 되어 있다.
표시부(300)에는 현재 비행 중으로 스테이션(6)에 착륙 예정이거나 현재 저장고(2)에 수용된 드론(D)의 정보를 포함한 격납고(1)의 제어 및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제반 정보가 모니터에 표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격납고(1) 및 드론(D)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격납고(1)의 전체 자동화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하나는 저장고(2), 클린룸(4) 및 스테이션(6)을 포함하는 격납고(1)의 일체화된 하드웨어에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고(2)에서 드론의 배치를 수동으로 전환하는 것 또는 랜딩 위치에서 클린룸(4)까지 스테이션(6)의 이동을 수동으로 전환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형 격납고 시스템의 작동 흐름의 일례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제어부(C)는 안테나(12)를 경유하여 착륙 예정인 드론(D)의 위치를 확인하고(S10), 스테이션(6)으로 드론(D)의 착륙을 유도한다(S12).
드론(D)을 탑재한 스테이션(6)은 클린룸으로 이동되고(S14), 제어부(C)는 클린룸 구동부(4b)를 통하여 드론(D)을 세정한다(S16). 드론(D)을 탑재한 스테이션(6)은 격납고로 이동되고(S18), 제어부(C)는 가이드 로드 구동부(200c)를 통하여 드론(D)을 이동시켜 플레이트에 수납한 후(S20), 무선 충전을 실시한다(S22).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개시한 실시예를 임의로 변경 또는 추가할 수 있으며 이들 변형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영역까지 미친다.
(1):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 (2): 저장고 (4): 클린룸
(6): 스테이션 (8): 보드 (10,16): 윈도우 (12): 안테나
(200a): 가이드 로드 (202a,202b): 플레이트 (204a,204b): 가이드 홈

Claims (11)

  1.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로서, 상기 격납고는:
    드론이 착륙하는 스테이션;
    상기 스테이션과 분리된 위치에 설치되며,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드론을 청소하는 클린룸; 및
    상기 클린룸과 분리된 위치에 설치되며, 복수의 드론을 구획하여 충전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고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고, 클린룸 및 스테이션은 넓은 평판형의 보드상에 설치되며, 평면상에서 보아 독립되어 각각의 공간을 점유하고,
    상기 스테이션에 착륙한 드론은, 상기 스테이션에 탑재된 상태로 보드 상에서 클린룸으로 이동하여 세정된 후, 저장고로 이동되어 각각의 분할 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저장고로 이동된 드론의 스테이션의 하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로드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로드의 상승에 따라 드론은 위로 상승하고
    상기 저장고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 제 1플레이트가 소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배열되고, 상기 각각의 제1 플레이트와 같은 높이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대향하여 타측에는 제 2플레이트가 다단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는 드론을 수용하는 각각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는 무선 충전 송신부가 배치되며,
    상기 드론은 무선 충전 수신부를 일체로 내장하여, 상승한 상기 가이드로드의 좌측 또는 우측 이동에 의하여 제 1플레이트 또는 제2플레이트의 중앙부로 이동하여 상기 무선 충전 송신부와의 사이에 무선 충전을 행하고,
    상기 저장고는 충전을 마친 상기 드론을 위한, 제1 및 제2 플레이트와 분리된 별도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지 않고, 상기 드론은 상기 가이드 로드의 하강에 의하여 다시 저장고의 하부로 이동하여 외부 반출 상태가 되는,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는 항온 항습이 유지되는,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
  8.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의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청구범위 제1항의 격납고;
    제어부와, 무선충전구동부와, 클린룸 구동부와, 스테이션 구동부와, 드론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저장고, 클린룸, 스테이션 및 표시부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의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제어부는 드론의 위치, 비행, 배터리 및 영상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고, 제어부의 지시를 받아 스테이션으로 정밀한 착륙을 유도하는,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의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클린룸 구동부는 드론이 클린룸에 위치하면 공기압 노즐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시켜 드론을 세정하는,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의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드론의 위치는 감지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어부로 전달되는,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의 시스템.
KR1020170073042A 2017-06-12 2017-06-12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 KR101817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042A KR101817280B1 (ko) 2017-06-12 2017-06-12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042A KR101817280B1 (ko) 2017-06-12 2017-06-12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280B1 true KR101817280B1 (ko) 2018-01-25

Family

ID=6109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042A KR101817280B1 (ko) 2017-06-12 2017-06-12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28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6560A (zh) * 2020-08-03 2020-12-04 广西大学 一种用于无人机停靠充电的梳齿式停机库
KR102213651B1 (ko) * 2019-10-02 2021-02-09 주식회사 에이오비 드론을 이용하는 인명구조 시스템
CN113931504A (zh) * 2021-09-23 2022-01-14 盐城市晟方机械有限公司 一种垂直剪叉式免避让立体车库及其运行方法
KR102356576B1 (ko) * 2020-09-23 2022-02-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상용 군집 드론 스테이션
CN114148540A (zh) * 2021-12-20 2022-03-08 国网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高压电线无人机检修平台
KR20220040774A (ko) * 2020-09-24 2022-03-3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베이스 스테이션
CN114537697A (zh) * 2022-03-04 2022-05-27 福建天巡通航科技有限公司 无人机进行自动起降收放巡逻机巢
CN116198739A (zh) * 2023-05-04 2023-06-02 四川省天域航通科技有限公司 大型无人机智能调度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280B1 (ko) 2015-08-07 2017-03-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280B1 (ko) 2015-08-07 2017-03-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충전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 드론 하우스 및 그 운영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651B1 (ko) * 2019-10-02 2021-02-09 주식회사 에이오비 드론을 이용하는 인명구조 시스템
CN112026560A (zh) * 2020-08-03 2020-12-04 广西大学 一种用于无人机停靠充电的梳齿式停机库
KR102356576B1 (ko) * 2020-09-23 2022-02-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상용 군집 드론 스테이션
KR20220040774A (ko) * 2020-09-24 2022-03-3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베이스 스테이션
KR102389328B1 (ko) * 2020-09-24 2022-04-2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베이스 스테이션
CN113931504A (zh) * 2021-09-23 2022-01-14 盐城市晟方机械有限公司 一种垂直剪叉式免避让立体车库及其运行方法
CN114148540A (zh) * 2021-12-20 2022-03-08 国网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高压电线无人机检修平台
CN114537697A (zh) * 2022-03-04 2022-05-27 福建天巡通航科技有限公司 无人机进行自动起降收放巡逻机巢
CN116198739A (zh) * 2023-05-04 2023-06-02 四川省天域航通科技有限公司 大型无人机智能调度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280B1 (ko) 드론용 스마트 격납고
US11216015B2 (en) Geographic survey system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US11840152B2 (en) Survey migration system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US20210284355A1 (en) Pod operating system for a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unmanned aerial vehicle (uav)
US10518901B2 (en) Power and communication interface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US10850866B2 (en) Pod cover system for a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unmanned aerial vehicle (UAV)
US20170225799A1 (e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applying hydrophobic coating to fibrous substrates
US11307574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fleet management
KR20170049040A (ko) 드론 자동 충전 및 격납 시스템
JP2018528123A (ja) ドローンボックス
JP2013203394A (ja) 輸送手段ベースステーション
AU2019344664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fleet management
KR200489024Y1 (ko) 수직이착륙 무인기의 무인 운영 시스템
US11673689B2 (en) Command center for drone management
KR101823470B1 (ko) 드론용 중앙 관제 시스템
KR20220088153A (ko) 모듈 타입 드론 스테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