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658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658B1
KR101711658B1 KR1020100111628A KR20100111628A KR101711658B1 KR 101711658 B1 KR101711658 B1 KR 101711658B1 KR 1020100111628 A KR1020100111628 A KR 1020100111628A KR 20100111628 A KR20100111628 A KR 20100111628A KR 101711658 B1 KR101711658 B1 KR 101711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djacent
terminals
shield case
impe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4660A (ko
Inventor
하야토 곤도
켄지 미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74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복잡하게 되지 않고, 임피던스 조정의 대상이 되는 단자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그 구성에 있어서, 본 커넥터는, 보디(100)와, 보디(100)를 덮는 실드케이스(300)와, 보디(100)에 일렬로 배열된 단자군(200b)을 구비하고 있다. 단자군(200b)은, 인접하는 RX+단자(210b) 및 RX-단자(220b)를 가진다. RX+단자(210b)는 RX-단자(220b)보다도 임피던스가 크다. 실드케이스(300)는, RX-단자(220b)의 반대 쪽에서 RX+단자(210b)의 중간부(211b)의 후단부측부(211b2)와 인접하는 격벽부(312a)를 가진다. 후단부측부(211b2)와 격벽부(312a)와의 거리가, RX+단자(210b)와 RX-단자(220b)와의 사이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접근하도록 후단부측부(211b2)가 확폭(擴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복수의 단자를 가지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커넥터로서는, 제1, 제2 단자군과, 이 제1, 제2 단자군이 동일높이에서 각각 일렬로 나열하여 배열된 보디와, 이 보디를 덮는 도전성을 지니는 실드케이스를 구비한 리셉터클 커넥터가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제1 단자군은, USB3.0의 규격, 제2 단자군은 USB2.0의 규격에 대응하고 있다. 제1 단자군은, TX-신호용 단자, TX+신호용 단자, GND단자, RX-신호용 단자 및 RX+신호용 단자가 이 순서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9-277497호 공보
TX-신호용 단자의 한쪽 부근 및 RX+신호용 단자의 다른 쪽 부근에는, 단자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TX-신호용 단자 및 RX+신호용 단자의 임피던스가 상승한다. 이에 의해, TX-신호용 단자 및 TX+신호용 단자에 각각 전송되는 신호에 타이밍의 어긋남(스큐(skew))이 생겨서, TX-신호용 단자 및 TX+신호용 단자에 중첩하는 커먼 모드 노이즈(Commom Mode Noise)의 영향이 비대칭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커먼 모드 노이즈를 신호의 수신측(리시버)에서 캔슬(cancel)할 수 없어서, 고주파특성을 열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이 점은, 차동페어를 이루는 RX-신호용 단자 및 RX+신호용 단자도 마찬가지이다.
또, TX-신호용 단자 및 RX+신호용 단자의 임피던스가 상승하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 전체의 임피던스도 상승한다. 그 결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송로부분(제1 단자군)과 상기 커넥터 이외의 전송로부분(예를 들면, 상대방의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군이나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실장되는 기판의 신호라인)과의 사이에 임피던스특성의 부조화가 생긴다. 이것이 상기 전송로 위로 전송되는 고속신호를 반사하는 요인이 되며, 전송특성의 열화를 초래하고 있었다.
하지만, TX-신호용 단자의 한쪽 부근 및 RX+신호용 단자의 다른 쪽 부근에 가상용 GND단자를 배치하면, TX-신호용 단자 및 RX+신호용 단자의 임피던스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부품점수가 증가하여,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체구성이 복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구성이 복잡하게 되지 않고, 임피던스 조정의 대상이 되는 단자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커넥터는, 절연성을 지니는 보디와, 이 보디를 둘러싸는 도전성을 지니는 실드케이스와, 상기 보디에 일렬로 배열된 제1 단자군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단자군은, 제1 단자와, 이 제1 단자에 인접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단자보다도 임피던스가 큰 제2 단자를 가지고 있다. 상기 실드케이스는, 상기 제1 단자의 반대 쪽에서 상기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인접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2 단자의 일부와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와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접근하도록, 상기 제2 단자의 일부 및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의 적어도 한쪽이 확폭(擴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커넥터에 의한 경우, 상기 제2 단자의 일부 및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의 적어도 한쪽이 확폭되고, 상기 제2 단자의 일부와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와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접근함으로써,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가 의사(擬似)적인 GND단자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가상용 GND단자를 추가하지 않고, 상기 제 2의 단자의 임피던스를 저하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제2의 단자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인접부가 상기 제2 단자 전체에 인접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와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접근하도록, 상기 제2 단자 및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의 적어도 한쪽이 확폭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 커넥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커넥터는, 절연성을 지니는 보디와, 이 보디를 덮는 도전성을 지니는 실드케이스와, 상기 보디에 일렬로 배열된 제1 단자군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단자군은, 제1 단자와, 이 제1 단자에 인접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단자보다도 임피던스가 작은 제2 단자를 가지고 있다. 상기 실드케이스는, 상기 제1 단자의 반대 쪽에서 상기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인접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2 단자의 일부와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와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이반하도록, 상기 제2 단자의 일부 및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의 적어도 한쪽이 축폭(縮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2 커넥터에 의한 경우, 상기 제2 단자의 일부 및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의 적어도 한쪽이 축폭되고, 상기 제2 단자의 일부와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와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이반함으로써,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가 의사적인 GND단자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가상용 GND단자를 추가하지 않고, 상기 제 2의 단자의 임피던스를 상승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제2의 단자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인접부가 상기 제2 단자 전체와 인접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와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이반하도록, 상기 제2 단자 및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의 적어도 한쪽이 축폭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2 커넥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단자는 차동페어를 이루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제2 단자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종래예와 같이 상기 제1, 제2 단자에 전송되는 신호에 타이밍의 어긋남(스큐)이 생겨서, 상기 제1, 제2 단자에 중첩하는 커먼 모드 노이즈의 영향이 비대칭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커먼 모드 노이즈를 신호의 수신 쪽(리시버)에서 캔슬(cancel)할 수 있고, 그 결과, 고주파특성 및 전송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1 단자군의 최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인접부로서 상기 제1 단자군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상기 실드케이스의 측벽부를 이용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실드케이스의 측벽부를 의사적인 GND단자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제2 커넥터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지 않고, 상기 제1, 제2 단자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1 단자군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다른 쪽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커져 있는 경우, 상기 한쪽의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른 쪽의 제2 단자보다도 크게 확폭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양단부의 상기 제2 단자의 확폭량을 상기 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전체 제1, 제2 단자의 임피던스특성을 대략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1 단자군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다른 쪽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는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아져 있는 경우, 상기 한쪽의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른 쪽의 제2 단자보다도 크게 축폭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양단부의 상기 제2 단자의 확폭량을 상기 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전체 제1, 제2 단자의 임피던스특성을 대략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제2 단자는, 상기 보디에 매설된 하향 대략 L자 형상의 중간부와, 이 중간부의 선단부에 연속되는 선단부와, 중간부의 후단부에 연속되는 테일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자의 중간부는, 선단부측부와, 이 선단부측부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절곡된 후단부측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후단부측부가 상기 제2 단자의 일부로 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단자군과 동일높이에서 상기 제1 단자군과 간격을 두고 일렬로 상기 보디에 배열된 제2 단자군을 부가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드케이스는, 제1 단자군과 제2 단자군과의 사이를 분리하고 또한 상기 제2 단자와 인접하여 상기 인접부로서 기능하는 격벽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드케이스의 일부인 상기 격벽부를 의사적인 GND단자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제2 커넥터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지 않고, 상기 제1, 제2 단자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개략도로서, 도 1(a)가 정면 오른쪽 위에서 본 사시도, 도 1(b)가 배면 오른쪽 아래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도 2(a)가 상기 커넥터의 개략적 정면도, 도 2(b)가 상기 커넥터의 개략적 배면도;
도 3은 도 3(a)가 상기 커넥터의 개략적 평면도, 도 3(b)가 상기 커넥터의 개략적 저면도;
도 4는 도 4(a)가 상기 커넥터의 개략적 우측면도, 도 4(b)가 상기 커넥터의 개략적 좌측면도;
도 5는 도 5(a)가 상기 커넥터의 개략적 A-A단면도, 도 5(b)가 상기 커넥터의 개략적 B-B단면도;
도 6은 상기 커넥터의 개략적 C-C단면도;
도 7은 상기 커넥터의 보디의 개략도로서, 도 7(a)가 배면 오른쪽에서 본 사시도, 도 7(b)가 정면 바닥을 오른쪽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상기 커넥터의 제1, 제2 단자군의 개략도로서, 도 8(a)가 배면 오른쪽에서 본 사시도, 도 8(b)가 정면 바닥을 오른쪽에서 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커넥터는, 전자기기의 기판(10)에 실장되며, 도시하지 않은 Micro USB2.0 플러그 커넥터(이하, USB2.0 플러그라고 함) 및 Micro USB3.0 플러그 커넥터(이하, USB3.0 플러그라고 함)가 접속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이다. 이 리셉터클 커넥터는, 보디(100)와, USB2.O용의 단자군(200a)(제2 단자군)과, USB3.0용의 단자군(200b)(제1 단자군)과, 실드케이스(3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드케이스(300)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 프레스 성형된 것이다. 이 실드케이스(3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310)와, 3개의 접힘부(320)와, 커버부(330)와, 한 쌍의 제1, 제2 접속편(340a, 340b)과, 제1 백커버(350a)와, 한 쌍의 제2 백커버(350b)와, 한 쌍의 제3 백커버(350c)를 가지고 있다. 수용부(310)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100)를 둘러싸는 대략 각기둥형상의 셸이다. 이 수용부(310)는, 천판부(311)와, 저판부(312)와, 측벽부(313, 314)를 가지고 있다. 저판부(312)는, 도 1(a), 도 1(b), 도 2(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체로서, 그 중앙부가 천판부(311)를 향해서 하향 대략 V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 절곡부가 수용부(310)의 내부를 제1, 제2 삽입구멍(310a, 310b)으로 분리하는 격벽부(312a)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삽입구멍(310a)의 내형(內形)은 USB2.0 플러그의 외형(外形)에, 제2 삽입구멍(310b)의 내형은 USB3.0 플러그의 외형에 대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1 삽입구멍(310a)에 USB2.O 플러그가, 제2 삽입구멍(310b)에 USB3.0 플러그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저판부(312)의 도 1(a)의 도시 좌측부분이 경사져 있다. 저판부(312)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도 1(b)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부를 절단해서 절곡하여 형성된 제1 접속편(34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접속편(340a)은 저판부(312)를 따라서 바깥쪽으로 뻗은 판체로서, 기판(10) 위의 제1 접지전극에 납땜접속되어 있다. 즉, 제1 접속편(340a)은 SMT(Surface Mount Technology) 실장용의 다리부로 이루어져 있다.
천판부(311)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판부(312)에 대향 배치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체이다. 이 천판부(311)에는, 도 1(a) 및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천판부(311)의 일부를 위쪽으로 절상한 한 쌍의 절상편(311a)이 형성되어 있다. 천판부(311)의 깊숙한 쪽 부분에는, 도 2(a) 및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돌기부(311b)가 저판부(312)를 향해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천판부(311) 및 저판부(312)의 양단부는, 측벽부(313, 31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측벽부(313)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체이다. 측벽부(314)는 측벽부(313)보다도 높이치수가 작은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체이다. 접힘부(3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천판부(311)의 앞쪽 단부의 중앙부 및 폭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연이어 형성되고, 타단부가 실드케이스(300)의 뒤쪽을 향해서 접힌 단면에서 보면 대략 횡방향 U자 형상의 판체이다. 이 접힘부(320)의 타단부가 커버부(330)의 중앙보강판(331)의 앞면에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3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 대략 U자 형상의 판체이다. 커버부(330)는, 중앙보강판(331)과, 한 쌍의 양측보강판(332)을 가지고 있다. 중앙보강판(331)은 천판부(311)보다도 폭치수가 큰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체로서, 천판부(311)의 상부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 중앙보강판(331)에는, 도 1(a) 및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판부(311)의 절상편(31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략 직사각형상의 한 쌍의 긴구멍(3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구멍(331a)에 절상편(311a)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양측보강판(33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보강판(331)의 양단부에 연이어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체로서, 측벽부(313, 314)의 외부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양측보강판(332)의 하단부에는, 제2 접속편(340b)이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접속편(340b)은 양측보강판(332)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판체로서, 기판(10)의 제2 접지전극에 납땜접속되어 있다. 즉, 제2 접속편(350a)도 SMT 실장용의 다리부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백커버(350a)는, 도 1(b)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310)의 천판부(311) 후단부의 중앙부에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제2 백커버(350b)는, 도 1(b)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310)의 천판부(311)의 후단부인 제1 백커버(350a)의 양측에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제3 백커버(350c)는, 도 1(b)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310)의 측벽부(313, 314)의 상단부의 후단부에 각각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제1 백커버(350a)는, 절곡부(351a)와, 이 절곡부(351a)에 연이어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체인 커버본체부(352a)를 가지고 있다. 절곡부(351a)가 천판부(311)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서, 커버본체부(352a)가 수용부(310)에 수용된 보디(100)의 본체부(110)의 후단부면의 중앙부를 따라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후단부면의 중앙부에 접촉되어 있다. 제2 백커버(350b)는, 한 쌍이 절곡부(351b)와, 이 절곡부(351b)에 연이어 형성된 대략 L자 형상의 판체인 커버본체부(352b)를 가지고 있다. 제3 백커버(350c)는, 절곡부(351c)와, 이 절곡부(351c)에 연이어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체인 커버본체부(352c)를 가지고 있다. 절곡부(351b)가 천판부(311)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고, 절곡부(351c)가 측벽부(313, 314)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커버본체부(352b, 352c)는 수용부(310)에 수용된 보디(100)의 본체부(110)의 후단부면의 양단부를 따라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후단부면의 양단부에 접촉되어 있다.
보디(100)는, 도 2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수지제의 성형품이다. 이 보디(100)는, 본체부(110)와, 제1, 제2 볼록부(120a, 120b)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110)는 단면에서 보면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상체로서, 실드케이스(300)의 수용부(31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본체부(110)의 상단부에는, 3개의 끼워맞춤오목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오목부(111)에 실드케이스(300)의 돌기부(311b)가 각각 끼워 맞춰져 있다. 또, 본체부(110)의 후측부의 하단부에는, 도 1(b)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양측 돌기부분(112)과, 양측 돌기부분(112)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돌기부분(113)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부(110)의 전측부의 중앙부에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드케이스(300)의 저판부(312)의 격벽부(312a)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양측 돌기부분(112)의 앞면이 실드케이스(300)의 저판부(312)의 양단부 후단부에 접촉되고, 중앙돌기부분(113)의 앞면이 오목부(114)에 삽입된 격벽부(312a)의 후단부에 접촉되어 있다. 양측 돌기부분(112)의 하부면에는, 직사각형상의 도출구멍(112a, 112b)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출구멍(112a)의 뒤쪽의 벽면에는 5개의 도출홈(112a1), 도출구멍(112b)의 뒤쪽의 벽면에는 5개의 도출홈(112b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부(110)의 후단부면에는, 도 1(b)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백커버(350a, 350b, 350c)의 커버본체부(352a, 352b, 352c)가 접촉되어 있다. 즉, 본체부(110)는, 실드케이스(300)의 돌기부(311b) 및 저판부(312)의 후단부와, 제1, 제2, 제3 백커버(350a, 350b, 350c)의 커버본체부(352a, 352b, 352c)와의 사이에 끼워 유지되어 있다.
본체부(110)의 앞면의 도 2(a) 중의 좌측부분에는 제1 볼록부(120a)가, 우측 부분에는 제2 볼록부(120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 볼록부(120a)는 평판형상의 볼록부로서, 도 2(a) 및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드케이스(300)의 수용부(310)의 제1 삽입구멍(310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볼록부(120a)의 하부면에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긴홈(121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볼록부(120b)는, 평판형상의 볼록부로서, 도 2(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드케이스(300)의 수용부(310)의 제2 삽입구멍(310b)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볼록부(120b)의 하부면에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긴홈(121b)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10) 및 제1 볼록부(120a) 내에는, 인서트성형에 의해 USB2.0용의 단자군(200a)이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다. 또, 본체부(110) 및 제2 볼록부(120b) 내에는, 인서트성형에 의해 USB3.0용의 단자군(200b)이 단자군(200a)과 동일높이에서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다. 단자군(200a)과 단자군(200b)과는 격벽부(312a)에 의해 그 사이가 분리되어 있다.
USB2.0용의 단자군(200a)은, 도 2(a)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USB2.0 규격에 대응하는 Vbus단자(210a), 마이너스 쪽 데이터용의 D-단자(220a), 플러스 쪽 데이터용의 D+단자(230a), ID단자(240a) 및 GND단자(250a)를 가지고 있다. Vbus단자(210a), D-단자(220a), D+단자(230a), ID단자(240a) 및 GND단자(250a)는 이 순서로 일렬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Vbus단자(210a), D-단자(220a), D+단자(230a), ID단자(240a) 및 GND단자(250a)는, 거의 동일한 대략 L자 형상의 도전성을 지니는 가늘고 긴 금속판이다. 이하, Vbus단자(210a)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Vbus단자(210a)는, 대략 L자 형상의 중간부(211a)와, 중간부(211a)의 선단부에 연속되는 선단부(212a)와, 중간부(211a)의 후단부에 연이어 형성된 테일부(213a)를 가지고 있다. 중간부(211a)는, 보디(100)의 본체부(110) 내에 매설되고, 상기 후단부가 본체부(110)의 양측 돌기부분(112)의 도출구멍(112a)으로부터 도출홈(112a1)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선단부(212a)는, 제1 볼록부(120a) 내에 매설되고, 상기 선단부(212a)의 하단부가 제1 볼록부(120a)의 긴홈(121a)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이 노출된 부분이 USB2.0 플러그의 단자가 접촉되는 부분이 된다. 테일부(213a)는 보디(100)의 양측 돌기부분(112)의 하부면을 따라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테일부(213a)가 기판(10)의 전극(11a)에 납땜접속되는 부위로 되어 있다. 또한, 도 8 중 (221a)가 D-단자(220a)의 중간부, (222a)가 D-단자(220a)의 선단부, (223a)가 D-단자(22Oa)의 테일부이다. 도 8 중 (231a)가 D+단자(230a)의 중간부, (232a)가 D+단자(230a)의 선단부, (233a)가 D+단자(230a)의 테일부이다. 도 8 중 (241a)가 ID단자(240a)의 중간부, (242a)가 ID단자(240a)의 선단부, (243a)가 ID단자(240a)의 테일부이다. 도 8 중 (251a)가 GND단자(250a)의 중간부, (252a)가 GND단자(250a)의 선단부, (253a)가 GND단자(250a)의 테일부이다. 테일부(253a)가 기판(10)의 전극(11a)에 납땜접속됨으로써, GND단자(250a)가 그라운드 접속되어 있다.
USB3.0용의 단자군(200b)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USB3.0 규격에 대응하는 RX+단자(210b)(제2 단자), RX-단자(220b)(제1 단자), GND단자(230b), TX+단자(240b)(제1 단자) 및 TX-단자(250b)(제2 단자)를 가지고 있다. RX+단자(210b), RX-단자(220b), GND단자(230b), TX+단자(240b) 및 TX-단자(250b)는 이 순서로 일렬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RX+단자(210b)와 RX-단자(220b)가 수신계의 차동페어를 이루며, TX+단자(240b)와, TX-단자(250b)가 송신계의 차동페어를 이루고 있다. RX-단자(220b), GND단자(230b) 및 TX+단자(240b)는, 거의 동일한 대략 L자 형상의 도전성을 지니는 가늘고 긴 금속판이다. 이하, RX-단자(220b)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RX-단자(220b)는, 대략 L자 형상의 중간부(221b)와, 중간부(221b)의 선단부에 연속되는 선단부(222b)와, 중간부(221b)의 후단부에 연이어 형성된 테일부(223b)를 가지고 있다. 중간부(221b)는, 보디(100)의 본체부(110) 내에 매설된 선단부측부(221a1) 및 후단부측부(221a2)를 가지고 있다. 후단부측부(221a2)가 선단부측부(221a1)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후단부가 본체부(110)의 양측 돌기부분(112)의 도출구멍(112b)으로부터 도출홈(112b1)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선단부측부(221a1)의 선단부에는 선단부(222b)가 연속되어 있다. 선단부(222b)는, 제2 볼록부(120b) 내에 매설되고, 상기 선단부(222b)의 하단부가 제2 볼록부(120b)의 긴홈(121b)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이 노출된 부분이 USB3.0 플러그의 단자가 접촉하는 부분이 된다. 테일부(223b)는 보디(100)의 양측 돌기부분(112)의 하부면을 따라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테일부(213b)가 기판(10)의 전극(11b)에 납땜접속되는 부위로 되어 있다. 또한, 도 8 중 (231b)가 GND단자(230b)의 중간부, (231b1)이 중간부(231b)의 선단부측부, (231b2)가 중간부(211b)의 후단부측부, (232b)가 GND단자(230b)의 선단부, (233b)가 GND단자(230b)의 테일부이다. 이 테일부(233b)가 기판(10)의 전극(11b)에 납땜접속됨으로써, GND단자(230b)가 그라운드 접속되어 있다. 도 8 중 (241b)가 ID단자(240a)의 중간부, (241b1)이 중간부(241b)의 선단부측부, (241b2)가 중간부(241b)의 후단부측부, (242a)가 ID단자(240a)의 선단부, (243a)가 ID단자(240a)의 테일부이다.
RX+단자(210b), TX-단자(250b)는, 후술하는 확폭부(214b, 254b)를 가지는 이외 RX-단자(220b) 등과 대략 동일한 형상의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다. 도 8 중 (211b)가 RX+단자(210b)의 중간부, (211b1)이 중간부(211b)의 선단부측부, (211b2)가 중간부(211b)의 후단부측부, (212b)가 RX+단자(210b)의 선단부, (213b)가 RX+단자(210b)의 테일부이다. 도 8 중 (251b)가 TX-단자(250b)의 중간부, (252a)가 TX-단자(250b)의 선단부, (253a)가 TX-단자(250b)의 테일부이다. RX+단자(210b), TX-단자(250b)는 단자군(200b)의 양단부(즉, 최단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RX+단자(210b), TX-단자(250b)의 바깥쪽과 인접하는 콘택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RX+단자(210b)는 RX-단자(220b)보다도 임피던스가 상승하고 있으며, TX-단자(250b)는 TX+단자(240b)보다도 임피던스가 상승하고 있다. 이 때문에, 차동페어를 이루는 RX+단자(210b)와 RX-단자(220b)와의 사이, 차동페어를 이루는 TX-단자(250b)와 TX+단자(240b)와의 사이에서 임피던스의 부정합이 생기고 있다. 즉, RX+단자(210b)와 RX-단자(220b)가, TX-단자(250b)와 TX+단자(240b)가 각각 임피던스 정합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래서, 본 리셉터클 커넥터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RX+단자(210b)의 중간부(211b)의 후단부측부(211b2)(제2 단자의 일부)와, 단자군(200b)의 바깥쪽(즉, RX-단자(220b)의 반대 쪽)에서 후단부측부(211b2)에 인접하는 실드케이스(300)의 격벽부(312a)(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RX+단자(210b)와 RX-단자(22Ob)와의 사이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접근하도록, RX+단자(210b)의 후단부측부(211b2)가 확폭되어 있다. 환언하면, RX+단자(210b)의 후단부측부(211b2)의 격벽부(312a)측의 단부(확폭부(214b))를 상기 격벽부(312a)를 향해서 확장함으로써, 확폭부(214b)와 격벽부(312a)와의 사이의 거리를 RX+단자(210b)와 RX-단자(220b)와의 사이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접근시켜서, 상기 격벽부(312a)를 의사적인 GND단자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의사적인 GND단자를 RX+단자(210b)의 바깥쪽에 존재시킴으로써, RX+단자(210b)의 임피던스를 저하시키고, 그 결과로서, RX+단자(210b)와 RX-단자(220b)와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TX-단자(250b)의 중간부(251b)의 후단부측부(251b2)(제2 단자의 일부)와, 단자군(200b)의 바깥쪽(즉, TX+단자(240b)의 반대 쪽)에서 후단부측부(251b2)에 인접하는 실드케이스(300)의 측벽부(313)(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TX-단자(250b)와 TX+단자(240b)와의 사이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접근되도록, TX-단자(250b)의 후단부측부(251b2)가 확폭되어 있다. 즉, TX-단자(250b)의 후단부측부(251b2)의 측벽부(313)측의 단부(확폭부(254b))를 상기 측벽부(313)를 향해서 확장함으로써, 확폭부(254b)와 측벽부(313)와의 사이의 거리를 TX-단자(250b)와 TX+단자(240b)와의 사이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접근시켜서, 측벽부(313)를 의사적인 GND단자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의사적인 GND단자를 TX-단자(250b)의 바깥쪽에 존재시킴으로써, TX-단자(250b)의 임피던스를 저하시키고, 그 결과로서, TX-단자(250b)와 TX+단자(240b)와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RX+단자(210b)의 후단부측부(211b2)와 격벽부(312a)와의 사이의 거리는, TX-단자(250b)의 후단부측부(251b2)와 측벽부(313)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커져 있기 때문에, 확폭부(214b)는 확폭부(254b)보다도 확폭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단자군(200b)의 전체 단자의 임피던스특성을 대략 동일하게 설정하고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조립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단자군(200a, 200b)이 인서트성형된 보디(100)를 준비한다. 한편, 제1, 제2, 제3 백커버(350a, 350b, 350c)의 절곡부(351a, 351b, 351c)가 절곡되기 전의 상태의 실드케이스(300)를 준비한다. 그 후, 보디(100)를 실드케이스(300)의 수용부(310)의 뒤쪽 개구부에서 보디(100)를 삽입한다. 이때, 보디(100)의 제1, 제2 볼록부(120a, 120b)가 수용부(310)의 제1, 제2 삽입구멍(310a, 310b) 내에 삽입된다. 보디(100)를 실드케이스(300)의 수용부(310) 내에 더욱 삽입하면, 보디(100)의 본체부(110)의 끼워맞춤오목부(111)에 실드케이스(300)의 돌기부(311b)가 끼워 맞춰지는 동시에, 보디(100)의 양측 돌기부분(112)이 실드케이스(300)의 저판부(312)의 양단부에 접촉되고, 상기 보디(100)의 중앙돌기부분(113)이 실드케이스(300)의 격벽부(312a)에 접촉된다. 그 후, 제1, 제2, 제3 백커버(350a, 350b, 350c)의 절곡부(351a, 351b, 351c)를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고, 제1, 제2, 제3 백커버(350a, 350b, 350c) 의 커버본체부(352a, 352b, 352c)를 보디(100)의 본체부(110)의 후단부면에 접촉시킨다.
이와 같이 조립된 리셉터클 커넥터는 다음과 같이 기판(10)에 실장된다. 우선, 실드케이스(300)의 제1, 제2 접속편(340a, 340b)을 기판(10)의 제1, 제2 접지전극 위에 재치(載置)하는 동시에, 단자군(200a)의 테일부(213a, 223a, 233a, 243a, 253a)를 기판(10)의 전극(11a) 위에, 단자군(200b)의 테일부(213b, 223b, 233b, 243b, 253b)를 기판(10)의 전극(11b) 위에 재치한다. 그 후, 제1, 제2 접속편(340a, 340b)을 기판(10)의 제1, 제2 접지전극에, 단자군(200a)의 테일부(213a, 223a, 233a, 243a, 253a)를 기판(10)의 전극(11a)에, 단자군(200b)의 테일부(213b, 223b, 233b, 243b, 253b)를 기판(10)의 전극(11b)에 각각 납땜접속한다.
이하, 상술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USB2.0 플러그 또는 USB3.0 플러그를 접속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USB2.0 플러그를 실드케이스(300)의 수용부(310)의 제1 삽입구멍(310a)에 삽입하면, USB2.0 플러그의 단자가 보디(100)의 제1 볼록부(120a)의 긴홈(121a)으로부터 노출되는 단자군(200a)의 선단부(212a, 222a, 232a, 242a, 252a)에 각각 접촉된다. 이에 의해, USB2.0 플러그가 본 리셉터클에 접속된다. USB3.0 플러그를 실드케이스(300)의 수용부(310)의 제2 삽입구멍(310b)에 삽입하면, USB3.0 플러그의 단자가 보디(100)의 제2 볼록부(120b)의 긴홈(121b)으로부터 노출되는 단자(200b)의 선단부(212b, 222b, 232b, 242b, 252b)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USB3.0 플러그가 본 리셉터클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한 경우, RX+단자(210b)의 후단부측부(211b2)에 확폭부(214b)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확폭부(214b)와 격벽부(312a)와의 사이의 거리를 RX+단자(210b)와 RX-단자(220b)와의 사이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접근시켜서, 격벽부(312a)를 의사적인 GND단자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있다. 즉, RX+단자(210b)의 공석의 바깥쪽에 의사적인 GND단자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RX+단자(210b)의 임피던스가 저하되어서, RX+단자(210b)와 RX-단자(220b)와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또, TX-단자(250b)의 후단부측부(251b2)에 확폭부(254b)를 형성함으로써, 확폭부(254b)와 측벽부(313)와의 사이의 거리를 TX-단자(250b)와 TX+단자(240b)와의 사이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접근시켜서, 측벽부(313)가 의사적인 GND단자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있다. 즉, TX-단자(250b)의 공석의 바깥쪽에 의사적인 GND단자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TX-단자(250b)의 임피던스가 저하되어서, TX-단자(250b)와 TX+단자(240b)와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RX+단자(210b), RX-단자(220b)에 각각 전송되는 신호에 타이밍의 어긋남(스큐)이 생겨서, 상기 RX+단자(210b), RX-단자(220b)에 각각 중첩하는 커먼 모드 노이즈의 영향이 비대칭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그 결과로서, 고주파특성 및 전송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TX-단자(250b), TX+단자(240b)에 각각 전송되는 신호에 타이밍의 어긋남(스큐)이 생겨서, 상기 TX-단자(250b), TX+단자(240b)에 각각 중첩하는 커먼 모드 노이즈의 영향이 비대칭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그 결과로서, 고주파특성 및 전송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드케이스(300)의 커버부(330)가 수용부(310)의 천판부(311) 및 측벽부(313, 314)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즉, 수용부(310)의 천판부(311) 및 측벽부(313, 314)와, 커버부(330)의 중앙보강판(331) 및 양측보강판(332)이 이중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USB2.0 플러그가 실드케이스(300)의 수용부(310)의 제1 삽입구멍(310a)에, 또는 USB3.0 플러그가 수용부(310)의 제2 삽입구멍(310b)에 삽입된 상태에서, 둘레방향으로 비틀려진다 해도, 수용부(310)의 천판부(111)가 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리셉터클의 실드케이스(300)의 비틀림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범위에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RX+단자(210b)의 중간부(211b)의 후단부측부(211b2)와, 단자군(200b)의 바깥쪽에서 후단부측부(211b2)과 인접하는 실드케이스(300)의 격벽부(312a)와의 사이의 거리가, RX+단자(210b)와 RX-단자(220b)와의 사이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접근하도록, RX+단자(210b)의 후단부측부(211b2)가 확폭되어 있다고 서술했다. 그러나, 인접하는 제1, 제2 단자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접근하도록, 상기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실드케이스의 인접부가 확폭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격벽부(312a)의 일부를 RX+단자(210b)측을 향해서 절곡하는 등에 의해서도, 상기 거리를 상기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접근시킬 수 있다. 또, 격벽부(312a)의 일부와 RX+단자(210b)의 후단부측부(221a2)와의 쌍방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하는 등에 의해서도, 상기 거리를 상기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접근시킬 수 있다. 확폭하는 개소는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인접부가 상기 제2 단자의 전체에 인접하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제1, 제2 단자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상기 제2 단자와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접근되도록, 상기 제2 단자 및/또는 실드케이스의 인접부를 확폭할 수 있다. 또한, 본 단락의 사항은, TX-단자(250b) 및 측벽부(313)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또,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1 단자보다 임피던스가 저하되어 있는 경우(예를 들면, 커넥터의 소형화에 따라서, 실드케이스의 측벽부가 상기 제1, 제2 단자간의 거리보다도 상기 제2 단자에 접근되어 있는 경우 등), 인접하는 제1, 제2 단자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하는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이반하도록, 상기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를 축폭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RX+단자(210b)의 후단부측부(211b2)의 바깥쪽의 단부에 오목부 등을 형성함으로써, RX+단자(210b)의 후단부측부(211b2)와 격벽부(312a)와의 거리를 RX+단자(210b)와 RX-단자(220b)와의 사이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이반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서도, RX+단자(210b)와 RX-단자(220b)와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또, RX+단자(210b)의 후단부측부(211b2)와 격벽부(312a)와의 사이의 거리가 TX-단자(250b)의 후단부측부(251b2)와 측벽부(313)와의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경우, RX+단자(210b)의 후단부측부(211b2)를 TX-단자(250b)의 후단부측부(251b2)보다도 크게 축폭시키면 된다. 또, 축폭하는 개소는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인접부가 상기 제2 단자의 전체와 인접하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제1, 제2 단자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상기 제2 단자와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이반하도록, 상기 제2 단자 및/또는 실드케이스의 인접부를 축폭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기 제1, 제2 단자는, RX+단자(210b) 및 RX-단자(220b)와 같이, 차동페어를 구성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또, 실드케이스의 상기 제1,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인접부는, 격벽부(312a)나 측벽부(313)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제1,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부분을 적절히 선택 설정하면 된다.
또, 상기 커넥터는, 단자군(200a, 200b)을 구비한다고 서술했지만, 적어도 하나의 단자군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라고 서술했지만, 플러그 커넥터에도 적응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실드케이스(300)는, 수용부(310)와, 3개의 접힘부(320)와, 커버부(330)와, 한 쌍의 제1, 제2 접속편(340a, 340b)과, 제1 백커버(350a)와, 한 쌍의 제2 백커버(350b)와, 한 쌍의 제3 백커버(350c)를 가지는 구성이라고 서술했지만, 보디를 둘러쌀 수 있는 경우 그 형상을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실드케이스(300)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서술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보디를 둘러싸는 수지제의 케이스의 내부면에 금속을 증착한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 접속편(340a, 340b)은 SMT 실장용의 다리부라고 서술했지만, 기판(10)에 형성된 스루홀에 삽입되어서 접속되는 DIP(Dual Inline Package) 실장용의 다리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각 부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서,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기판 11a, 11b: 전극
100: 보디 110: 본체부
111: 끼워맞춤 오목부 112: 양측 돌기부분
113: 중앙돌기부분 120a: 제1 볼록부
120b: 제2 볼록부 200a: USB2.0용의 단자군(제2 단자군)
210a: Vbus단자 220a: D-단자
230a: D+단자 240a: ID단자
230b, 250a: GND단자 200b: USB3.0용의 단자군(제1 단자군)
210b: RX+단자(제2 단자) 214b, 254b: 확폭부
220b: RX-단자(제1 단자) 240b: TX+단자(제1 단자)
250b: TX-단자(제2 단자) 300: 실드케이스
310: 수용부 311: 천판부
312: 저판부 312a: 격벽부(인접부)
313: 측벽부(인접부) 314: 측벽부
320: 접힘부 330: 커버부
340a: 제1 접속편 340b: 제2 접속편
350a: 제1 백커버 350b: 제2 백커버
350c: 제3 백커버

Claims (11)

  1. 절연성을 지니는 보디(100)와,
    이 보디를 둘러싸는 도전성을 지니는 실드케이스(300)와,
    상기 보디에 단일의 열로 배열된 제1 단자군(200b)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단자군은, 제1 단자(220b, 240b)와, 이 제1 단자에 인접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단자보다도 임피던스가 큰 제2 단자(210b, 250b)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실드케이스는, 상기 제1 단자의 반대 쪽에서 상기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는 인접부(312a, 313)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단자(220b, 240b)는 신호단자이고,
    상기 제2 단자(210b, 250b)는 신호단자이며,
    상기 제2 단자의 일부와 상기 실드케이스의 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접근하며, 또한 상기 제2 단자의 임피던스를 저하시킴으로써,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와의 임피던스가 정합하도록, 상기 제2 단자의 일부가 확폭(擴幅)(214b, 254b)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부(312a, 313)가 상기 제2 단자(210b, 250b) 전체와 인접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실드케이스(300)의 인접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와의 임피던스의 차에 따라서 접근하도록, 상기 제2 단자가 확폭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220b, 240b), 제2 단자(210b, 250b)가 차동페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250b)는 상기 제1 단자군(200b)의 최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접부는 상기 제1 단자군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상기 실드케이스(300)의 측벽부(3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군(200b)은 상기 제1 단자군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2개의 상기 제2 단자(210b, 250b)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실드케이스(300)는 상기 제2 단자 중의 한쪽의 제2 단자(210b)의 적어도 일부(214b)에 인접하는 제1의 상기 인접부(312a)와, 상기 제2 단자중의 다른 쪽의 제2 단자(250b)의 적어도 일부 (254b)에 인접하는 제2의 상기 인접부(313)를 가지고 있으며,
    한쪽의 상기 제2 단자(210b)와 상기 제1의 인접부(312a)와의 사이의 거리(D1)가 다른 쪽의 상기 제2 단자(250b)와 상기 제2의 인접부(313)와의 사이의 거리(D2) 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상기 한쪽의 제2 단자의 적어도 일부(214b)가 상기 다른 쪽의 제2 단자보다도 크게 확폭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220b, 240b), 제2 단자(210b, 250b)는, 상기 보디에 매설된 L자 형상으로 절곡된 중간부(221b, 241b, 211b, 251b)와, 이 중간부의 선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접촉부(222b, 242b, 212b, 252b)와, 중간부의 후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테일부(223b, 243b, 213b, 253b)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군(200b)과 동일높이에서 상기 제1 단자군과 간격을 두고 일렬로 상기 보디에 배열된 제2 단자군(200a)을 부가하여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케이스(300b)는, 상기 인접부(312a)로서 기능하는 격벽부(312a)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111628A 2009-12-25 2010-11-10 커넥터 KR101711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3745A JP5351751B2 (ja) 2009-12-25 2009-12-25 コネクタ
JPJP-P-2009-293745 2009-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660A KR20110074660A (ko) 2011-07-01
KR101711658B1 true KR101711658B1 (ko) 2017-03-02

Family

ID=4358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628A KR101711658B1 (ko) 2009-12-25 2010-11-10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72711B2 (ko)
EP (1) EP2339702B1 (ko)
JP (1) JP5351751B2 (ko)
KR (1) KR101711658B1 (ko)
CN (1) CN102157857B (ko)
TW (1) TWI5420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4819B2 (en) * 2011-05-16 2014-10-28 Action Star Enterprise Co., Ltd. USB connection cable
WO2013075478A1 (zh) * 2011-11-22 2013-05-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微通用串行总线(micro-Universal Serial BUS,micro-USB)接口模块、装置及移动终端
DE102012005812A1 (de) * 2012-03-22 2013-09-26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Verbinder mit integriertem Impedanzangleichelement
US9905973B2 (en) 2013-01-23 2018-02-27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Communications connectors including transmission lines having impedance discontinuities that improve return loss and/or insertion loss performance and related methods
US8915756B2 (en) * 2013-01-23 2014-12-23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Communication connector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thin conductive layers
JP5884127B2 (ja) * 2013-03-12 2016-03-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高速信号伝送を実現するための端子構造を有するコネクタ
TWI506892B (zh) * 2013-08-07 2015-11-01 Ting Chi Chen Conversion construction of electrical connectors
KR20150026661A (ko) * 2013-09-03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JP2015181096A (ja) * 2014-03-04 2015-10-15 ソニー・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配線接続装置、カメラヘッド、及び内視鏡装置
EP3134945B1 (en) 2014-04-23 2019-06-12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cap and shielded terminals
TWM489394U (en) * 2014-05-08 2014-11-01 Advanced Connectek Inc Micro-plug electrical connector
CN204144593U (zh) * 2014-08-25 2015-02-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9775231B2 (en) 2014-11-21 2017-09-26 Amphenol Corporation Mating backplane for high speed,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9806464B1 (en) * 2016-09-13 2017-10-31 Allsmartlite Technology Co., Ltd.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or
US9780492B1 (en) * 2016-09-13 2017-10-03 Allsmartlite Technology Co., Ltd.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or
US11081846B2 (en) * 2016-09-15 2021-08-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nectors
CN107240808B (zh) * 2016-11-14 2020-07-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108258465A (zh) * 2016-12-28 2018-07-06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DE102017219493A1 (de) * 2017-11-02 2019-05-02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Modul für einen Hochstromstecker und/oder ein Hochstromkabel, Hochstromstecker und Verfahren zur Beeinflussung des EMV-Verhaltens
TW202109986A (zh) * 2019-05-20 2021-03-01 美商安芬諾股份有限公司 高密度高速電連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7730A1 (en) * 1999-07-16 2003-01-23 Bassler Maxwill P. Impedance-tuned termination assembly and connectors incorporating same
JP2009277497A (ja) * 2008-05-14 2009-11-26 Hirose Electric Co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6836B2 (ja) * 1993-12-08 1999-05-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7080782A (ja) * 2005-09-16 2007-03-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コネクタ
JP4932626B2 (ja) * 2007-07-13 2012-05-16 ホシデン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001740B2 (ja) * 2007-07-20 2012-08-15 ホシデン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01323356Y (zh) * 2008-11-03 2009-10-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
TW201101595A (en) * 2009-06-16 2011-01-01 Tyco Holdings Bermuda No 7 Ltd Electrical connector
US7946887B1 (en) * 2010-04-01 2011-05-2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mbo electrical connector
TWM389380U (en) * 2010-05-19 2010-09-21 Advanced Connectek Inc Miniature high frequency plug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7730A1 (en) * 1999-07-16 2003-01-23 Bassler Maxwill P. Impedance-tuned termination assembly and connectors incorporating same
JP2009277497A (ja) * 2008-05-14 2009-11-26 Hirose Electric Co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34625A (ja) 2011-07-07
TWI542088B (zh) 2016-07-11
JP5351751B2 (ja) 2013-11-27
US20110159732A1 (en) 2011-06-30
CN102157857A (zh) 2011-08-17
TW201140963A (en) 2011-11-16
US8672711B2 (en) 2014-03-18
KR20110074660A (ko) 2011-07-01
EP2339702A1 (en) 2011-06-29
EP2339702B1 (en) 2017-03-08
CN102157857B (zh)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658B1 (ko) 커넥터
US7806704B2 (en) Connector
US1023663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eparate grounding pieces
US948467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upper and lower terminals coupled with each other
US885192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and grounding features thereof
US9312641B2 (en) Electrical connector used for transmitting high frequency signals
JP4795444B2 (ja) コネクタ
JP3680027B2 (ja) 耐磨耗性係合手段を有するコネクタ
CN102356520B (zh) 具有带肋的接地板的电连接器
EP2320526B1 (en) Shield case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US894484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igh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environment
US20120270445A1 (en) Connector
US11342713B2 (en) Reversible USB receptacle having high-frequency transmission properties
US20170302030A1 (en) Electrical connector
EP2538498B1 (en) Connector and signal line structure
US1136797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ort circuit prevention features
US20240113465A1 (en) Contact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an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the contac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