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661A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661A
KR20150026661A KR20130105788A KR20130105788A KR20150026661A KR 20150026661 A KR20150026661 A KR 20150026661A KR 20130105788 A KR20130105788 A KR 20130105788A KR 20130105788 A KR20130105788 A KR 20130105788A KR 20150026661 A KR20150026661 A KR 20150026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connector device
body portion
connector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5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섭
이준환
서명근
방정제
홍은석
김지년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5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6661A/ko
Priority to US14/223,877 priority patent/US20150064956A1/en
Priority to PCT/KR2014/005911 priority patent/WO2015034170A1/en
Publication of KR20150026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 단자부; 상기 연결 단자부를 수용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한 몸체로 형성되며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DEVICE}
본 다양한 실시예들은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는 휴대 전자 장치, MP3 플레이어, 피엠피(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전자 책 등,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장치들을 일컫는다. 특히 휴대 전자 장치에는다양한 기능들이 집약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전자 장치는 소비자들이 사용하기 편리하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갖추며, 두께가 얇아지는 등의 디자인적인 추세와 더불어 여러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여러 종류의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들이 지원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전자 장치의 내측에는 통신 포트와 같이 데이터 등의 호환을 위해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와 연결되는 커넥터 장치가 실장된다.
그리고, 상기의 커넥터 장치는 일반적으로 연결 단자의 배치 방향에 따라 스탠다드 모드 타입(Standard Mode Type) 커넥터 장치와 리버스 모드 타입(Reverse Mode Type) 커넥터 장치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장치는 다른 장치와의 연결에 있어 호환성을 위하여, 표준이 정해져 있으며, 커넥터 장치의 새로운 표준규격이 나올 경우 그에 따라 커넥터 또는 커넥터 장치의 형상이 변하며, 데이터 전달속도 증가를 위하여 기존의 표준에 해당하는 커넥터 또는 커넥터 장치의 연결 단자의 수가 변경되기도 한다. 따라서 표준이 변경되는 경우, 전자 장치들의 사용성 유지를 위하여, 이전의 표준과 변경된 표준과의 호환성을 고려하게 되고, 두 개 이상의 표준 커넥터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하지만 두 개 이상의 표준 규격에 따르는 커넥터들을 사용 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의 경우, 하드웨어 및 기구적인 호환성을 위하여 전용 커넥터 장치에 비하여 추가되는 사양들이 존재하여, 전자 장치에 구비되었을 때, 종래보다 전자 장치의 사이즈가 증가되는 단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변경되는 사항에 맞게 기구적인 결합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보조 기구들이 구비되는 경우도 존재하며, 이 때 보조 기구를 구비하기 위한 추가의 노력이 들어가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를 수용하며, 내부회로기판 등의 전자장치에 제공될 때, 한번의 공정을 통해 제공할 수 있으며, 커넥터 장치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복수개의 연결 단자들이 제공됨으로 인해 커넥터 장치의 길이, 두께, 폭 등이 커지는 경우에도, 커넥터 장치의 크기 변화를 최소화하고, 커넥터 장치와 안테나 모듈(Antenna Module)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커넥터 장치의 변경되는 사항에 맞게 기구적인 결합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연결 단자들을 감싸는 쉴드 케이스(Sheild Case) 상에 별도로 제공되던 보강 커버(Cover)를 쉴드 케이스와 하나의 몸체를 가지도록 하여, 연결 단자들을 수용되고 이를 전자장치에 고정시키는 케이스만으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복수개의 연결 단자들이 구비되는 경우, 각 연결 단자와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연결 시, 플러그 커넥터의 유동을 제한하며 플러그 커넥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부; 상기 연결 단자부를 수용하는 바디(Body)부와, 상기 바디부에 한 몸체로 형성되며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쉘 하우징(Shell Housing)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부들이 이웃하게 실장되는 단자 바디(body); 상기 단자 바디를 수용하는 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쉘 하우징은, 수용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용부의 후면으로는 단자 바디가 위치되고, 수용부의 전면으로 연결 단자부들이 위치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 주변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에 한 몸체로 형성되어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연결 단자부들 자신과 접속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착탈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착탈 공간 상에 고정되게 지지하는 가이드(Guide)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 단자부; 및 상기 연결 단자부들을 수용하는 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쉘 하우징은, 상기 연결 단자부들이 실장되는 수용부를 구비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한 몸체로 형성되며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연결 단자부들 자신과 접속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착탈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착탈 공간 상에 고정되게 지지하는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돌기가 위치되는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 따르면, 커넥터 장치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를 수용할 수 있으며, 내부회로기판 등의 전자장치에 제공될 때, 한번의 공정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를 기판의 보스홀(Boss Hall)에 고정시킬 수 있어 커넥터 장치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쉴드 케이스와 보강 커버를 하나의 몸체로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쉴드 케이스와 보강 커버 사이에 발생되는 뒤틀림이나 비틀림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연결 단자들이 제공되는 것과 같이 커넥터 장치의 길이, 두께, 폭 등이 커지는 경우에도, 커넥터 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커넥터 장치와 안테나 모듈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연결 단자들이 제공되어 각 연결 단자에 플러그 커넥터가 연결될 때, 플러그 커넥터의 유동을 제한하며 플러그 커넥터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USB 2.0 및 3.0연결 단자가 함께 실장되는 리버스 모드 타입의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b 및 도 2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서 바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6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에서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다드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리버스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1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이나, 제2 등과 같은 서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동일한 명칭의 대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그 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후순위의 대상에 대해 선행하는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더불어 커넥터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후술하는 커넥터 장치는 MICRO USB 2.0 플러그 커넥터와, MICRO USB 3.0 플러그 커넥터가 접속 가능한 커넥터 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명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전송 속도 등이나 전자장치의 구조 등에 맞춰 복수개의 플러그 커넥터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결 단자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개의 연결 단자들을 수용하고, 별도의 보강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보강력을 가질 수 있으며 기판에 고정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커넥터 장치의 용어는 소켓(Socket), 잭(Jack), 연결 단자, 접속 단자 등의 용어로 대체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의 용어는 플러그(Plug), 숫놈(수컷) 케이블 등의 용어로 대체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USB 2.0 및 3.0 단자가 함께 실장되는 리버스 모드 타입의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등에 제공되는 커넥터 규격의 변화 등에 따라 복수개의 연결 단자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10)가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USB 2.0커넥터와 USB 3.0커넥터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에, 하나의 연결 단자만 제공되는 커넥터 장치(10)에 비해 길이, 높이, 폭이 넓어지게 된다. 특히 커넥터 장치(10), 구체적으로 연결 단자를 수용하는 쉴드 케이스(12)의 외측으로 보강커버(13)를 함께 제공하게 되면, 커넥터 장치(10)의 길이, 높이, 폭은 커지고, 전자기기에서 커넥터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늘어난다. 또한, 전자 장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 모듈(15)이 제공되는데, 안테나 모듈(15)은 공간 상의 제약이나 방사 성능 등을 고려하여 전자 장치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 장치의 하부에 실장되는 커넥터의 주변 위치에 제공되는 실정이다.
하나의 연결 단자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10)는 안테나 모듈(15)의 실장위치와 이격될 수 있으나, 커넥터 장치(10) 보강하기 위해 쉴드 케이스(12)의 외측에 제공되는 보강 커버(13)는 안테나 모듈(15)의 실장 위치와 간섭이 발생한다. 또한, 커넥터 장치(10)와 안테나 모듈(15)의 위치가 근접함으로써, 안테나 모듈(15)의 방사성능에 영향을 미치며, 보강 커버(13)와 안테나 모듈(15)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구조를 변경해야하나, 이를 위해서는 전자장치가 커지거나 두꺼워져야 됨으로써, 최근의 휴대성이나 슬림성을 향상시키는 전자장치의 구현에 반하게 된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스탠다드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의 경우, 연결 단자가 쉴드 케이스(12)의 상측으로 위치되어 기판(11)과 멀게 위치된다. 이에 반해 리버스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의 경우, 연결 단자가 쉴드 케이스(12)의 하측으로 위치되어 내부회로기판(11) 측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리버스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의 경우, 스탠다드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에 비해 강성이 취약하여 쉴드 케이스(12)의 상측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보강 커버의 상측을 두껍게 하는 등의 커넥터 장치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커넥터 장치의 전체적인 높이가 커진다.
또한, 쉴드 케이스(12)를 기판(11)에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쉴드 케이스(12) 상에 보강 커버(13)를 제공하고 기판(11)에 고정하는 공정에 따라 커넥터 장치(10)를 고정함으로써, 커넥터 장치(10)의 고정 공정은 여러 차례 실행해야 하고, 공정 수의 증가는 비용 증가를 초래한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2b 및 도 2c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 연결되는 MICRO USB 2.0 플러그 커넥터 및 MICRO USB 3.0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바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100)는 기판(130)에 실장되는 구성으로, 연결 단자부(110)들과, 쉘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연결 단자부(110)들은 단자 바디(111)에 서로 이웃하여 연결된다. 단자 바디(111)는 후술하는 쉘 하우징(120)의 후면 측에 안착되며, 단자 바디(111)의 일측으로는 연결 단자부(110)들이 서로 이웃하게 구비된다. 단자 바디(111)가 쉘 하우징(120)의 수용 공간의 후면에 안착되면, 연결 단자부(110)들은 쉘 하우징(120)의 수용 공간의 전면 측에 위치된다.
연결 단자부(110)들 후술하는 바디부(121)에서 일측으로 편향되어 실장되고, 제1플러그 커넥터(200)가 연결되는 제1연결 단자(112a)와, 제1연결 단자(112a)에 이웃하여 상기 바디부(121)의 타측으로 편향되어 제2플러그 커넥터(300)가 연결되는 제2연결 단자(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단자부(110)들은 표준 규격에 따라 MICRO USB 2.0 플러그 커넥터(200)와, MICRO USB 3.0 플러그 커넥터(300)를 접속할 수 있도록 USB 2.0연결 단자와, 3.0 USB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 단자부(110)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장치의 구성이나, 활용 등에 따라 필요로 하는 커넥터의 연결 단자(112a, 112b)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쉘 하우징(120)은 바디부(121)와, 바디부(121)에 일 몸체로 구비되는 고정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 몸체'라는 말은 좁은 의미로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성이 결합부재 등의 사용 없이 이어져 있는 일체형인 상태를 일컬으며, 넓은 의미로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구성이 하나의 몸체를 이룰 수 있도록 결합된 상태의 일체형을 의미한다. 쉘 하우징(120)은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레스(Pres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쉘 하우징(120)은 이에 한정되는 구성은 아니며, 예를 들어 밀링(Milling) 등의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것과 같이 가공방법이나 재질 등은 이에 한정되는 구성은 아니다. 바디부(121)의 외측 주변부에는 바닥면과 동일 평명 방향으로 고정부(123)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부(123)는 기판(130), 구체적으로 기판(130)에 형성되는 보스(131) 등과 같은 구조물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도 6 및 도 7참조). 고정부(123)는 고정 플레이트(123a)와, 홀(123b)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23a)는 바디부(121)의 외측면 주변부, 구체적으로 양측면에서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며 돌출된다. 홀(123b)은 고정 플레이트(123a)에 형성되어 기판(130)의 보스(131)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성이다.
도 9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바디부(121)의 수용 공간(121a, 121b)에는 연결 단자부(110) 자신과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200, 300)가 구비되는 경우, 플러그 커넥터(200, 300)를 수용 공간에 지지되게 고정하며, 플러그 커넥터(200, 300)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수용 공간(121a, 121b)을 분리 구획하는 가이드 돌기(122)가 구비된다. USB 2.0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제1연결 단자(112a)와, USB 3.0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제2연결 단자(112b)가 단자 바디(111)에 서로 이웃하게 실장되는 경우, 바디부(121)의 내측은 가이드 돌기(122)에 의해 공간이 구획된다. 제1수용공간(121a)은 MICRO USB 2.0 플러그 커넥터(200)를 수용하는 공간이며, 제2수용공간(121a+121b)은 제1연결 단자(112a) 및 제2연결 단자(112b)가 함께 연결되는 MICRO USB 3.0 플러그 커넥터(3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도 7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에서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바디부(121)에는 지지 플레이트(124)를 포함 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24)는 제1수용 공간(121a)과 제2수용 공간(121b)에 제공되는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200, 300)의 유동을 제한하며, 플러그 커넥터(200, 300)를 고정 지지하는 구성이다.
지지 플레이트(124)는 가이드 돌기(122)가 제공되는 바디부(121)의 일면이 바디부(121)의 일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연장 돌출되는 구성이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124)는 가이드 돌기(122)를 중심으로 가이드 돌기(122)에서 바디부(121)의 일측까지의 일정 길이 이상 형성되어 제1수용 공간(121a)에 안착되는 플러그 커넥터(2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가이드 돌기(122)에서 바디부(121)의 타측까지의 일정 길이 이상 형성되어, 제2수용공간(121b)에 안착되는 플러그 커넥터(2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연결 단자(121a)와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300)와, 제2연결 단자(121b)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200)는 지지 플레이트(124)에 의해 지지되면서 가이드될 수 있는 것이다. 지지 플레이트(124)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200, 300)의 좌우 이탈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커넥터 장치(100), 구체적으로는 쉘 하우징(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단자 바디(111)가 수용 공간(121a, 121b) 에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해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는 단자 바디(111) 또는 가이드 돌기(122)와 접철되는 바디부(121)의 라인을 따라 용접되거나, 가이드 돌기(122)와 접철되는 바디부(121)의 라인을 따라 슬릿팅(SLITTING)되어, 단자 바디(111)와 바디부(121)를 고정 결합함으로서, 유동을 제한하고 고정할 수 있다.
도 10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다드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리버스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및 도 1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100)는 연결 단자부(110)가 실장 위치를 기준으로 스탠다드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와 리버스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로 분리할 수 있다.
스탠다드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는 연결 단자부(110)들이 바디부(121)에 실장 시, 바디부(121)의 바닥면(기판(130)에 실장되는 면을 일컬음.)을 기준으로, 연결 단자부(110)가 바디부(121)의 바닥면과 대향한 면(이하 '상면'이라 함.)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연결 단자들이 바닥면과 대향하게 구비된다.
리버스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는 연결 단자부(110)들이 바디부(121)에 실장 시, 바디부(121)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단자 바디(111)가 구비되어, 연결 단자들이 상면과 대향하게 구비된다.
스탠다드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는, 가이드 돌기(122)가 바디부(121)의 내측 상면에서 바닥면을 향해 돌출 구비되고, 리버스 모드 타입 커넥터는 가이드 돌기(122)가 바디부(121)의 내측 바닥면에서 상면을 향해 돌출 구비된다.
특히, 리버스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의 경우, 연결 단자부(110)가 바디부(121)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리버스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의 쉘 하우징(120)은 바디부(121)와, 고정부(123) 및 결합부를 포함하되 연결 단자부(110)들이 수용되는 제1바디부(121)와, 제1바디부(121)의 상면을 감싸며, 제1바디부(121)와 일 몸체를 형성하는 제2바디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23)는 제2바디부(121)에 일 몸체로 구비된다. 이에, 제2바디부(121)의 단면은 'U'의 역방향으로 형성되고, 양 단부가 절곡되어 기판(130)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부는 제2바디부(121)의 외측면에서 제1바디부(121)로 용접하거나, 또는 제1바디부(121)의 가이드 돌기(122) 위치와 맞물려 결합되도록 제2바디부(121)에 슬리팅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에 고정되는 쉘 하우징의 내부에는 연결 단자부가 수용됨으로써, 커넥터 장치의 보강 및 고정을 한번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쉘 하우징을 커버하는 보강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커넥터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나 길이, 폭 등이 최소화될 수 있어, 적어도 두 개의 연결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의 실장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에 실장되는 안테나 모듈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상세한 설명을 통해 커넥터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실시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양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결 단자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USB 2.0연결 단자 또는 USB 3.0연결 단자 및 이들에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전자장치에 필요로하는 커넥터 장치에 따라 연결 단자부들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100: 커넥터 장치 110: 연결 단자부
111: 단자 바디 112: 연결 단자
120: 쉘 하우징 121: 바디부
121a: 제1수용 공간 121b: 제2수용 공간
122: 가이드 돌기 123: 고정부
123a: 고정플레이트 123b: 홀
124: 지지 플레이트

Claims (21)

  1.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부를 수용하는 바디부(Body)와, 상기 바디부에 한 몸체로 형성되며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쉘 하우징(Shell Housing)을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부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부가 이웃하게 실장되는 단자 바디(Body)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자 바디는 상기 쉘 하우징의 후면 측에 위치되는 커넥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의 주변부를 따라 돌출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제공되고, 상기 기판의 돌출된 보스에 끼워져 고정되는 홀을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장치는,
    상기 연결 단자부가 상기 바디부의 내측 상면에 근접되게 실장되는 스탠다드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 또는 상기 바디부의 내측 바닥면에 근접되게 실장되는 리버스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다드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의 경우, 상기 바디부 내측에 제공되는 가이드 돌기가 상기 바디부의 내측 상면에서 바닥면을 향해 돌출 구비되는 커넥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는 상기 바디부 내측에 제공되는 가이드 돌기의 형상을 유지하며 상기 상면과 동일 평면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바디부의 양측과 상기 가이드 돌기 거리의 1/2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커넥터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버스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의 경우, 상기 바디부 내측에 제공되는 가이드 돌기는 상기 바디부의 내측 바닥면에서 상면을 향해 돌출 구비되는 커넥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형상을 유지하며 상기 바닥면과 동일 평면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바디부의 양측과 상기 가이드 돌기 거리의 1/2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커넥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부가 이웃하게 실장되는 단자 바디와 상기 바디부를 고정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디부 외측면으로 상기 단자 바디의 위치 상에 용접되는 커넥터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위치를 따라 슬리팅되는 커넥터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제공되는 가이드 돌기가 위치되는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바디부의 동일 평면 상으로 연장 돌출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부는,
    상기 바디부에 일면에 실장되고, 제1플러그 커넥터가 연결되는 제1연결 단자; 및
    상기 제1연결 단자에 이웃하거나 또는 적어도 상기 제1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 실장되고, 상기 제1연결 단자와 함께 제2플러그 커넥터에 연결되는 제2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리버스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의 상기 쉘 하우징의 바디부는,
    상기 연결 단자부들이 수용되는 제1바디부; 및
    상기 제1바디부의 주변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부가 돌출되며 상기 제1바디부를 감싸며 상기 제1바디부와 일 몸체를 형성하는 제2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고정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17.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부가 이웃하게 실장되는 단자 바디(Body);
    상기 단자 바디를 수용하는 쉘 하우징(Shell Housing)을 포함하고,
    상기 쉘 하우징은,
    수용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용부의 후면으로는 단자 바디가 위치되고, 수용부의 전면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부가 위치되는 바디부(Body);
    상기 바디부의 외측 주변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에 한 몸체로 형성되어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부 자신과 접속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착탈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착탈 공간 상에 고정되게 지지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18.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부를 수용하는 쉘 하우징(Shell Housing)을 포함하고,
    상기 쉘 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부가 실장되는 수용부를 구비한 바디부(Body);
    상기 바디부에 한 몸체로 형성되며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부 자신과 접속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착탈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착탈 공간 상에 고정되게 지지하는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돌기가 위치되는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단자부가 상기 바디부의 내측 상면에 근접되게 실장되는 스탠다드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 또는 상기 바디부의 내측 바닥면에 근접되게 실장되는 리버스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다드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의 경우,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서 상기 상면과 동일 평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커넥터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리버스 모드 타입 커넥터 장치의 경우, 상기 지지부플레이트는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에서 상기 바닥면과 동일 평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커넥터 장치.

KR20130105788A 2013-09-03 2013-09-03 커넥터 장치 KR20150026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788A KR20150026661A (ko) 2013-09-03 2013-09-03 커넥터 장치
US14/223,877 US20150064956A1 (en) 2013-09-03 2014-03-24 Connector device
PCT/KR2014/005911 WO2015034170A1 (en) 2013-09-03 2014-07-02 Conne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788A KR20150026661A (ko) 2013-09-03 2013-09-03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661A true KR20150026661A (ko) 2015-03-11

Family

ID=5258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5788A KR20150026661A (ko) 2013-09-03 2013-09-03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64956A1 (ko)
KR (1) KR20150026661A (ko)
WO (1) WO20150341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6453A1 (en) * 2017-02-27 2018-08-30 Molex, Llc Connector assembly for high speed signal transmission using dielectric wave gui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6180S1 (en) * 2018-07-03 2020-09-15 Asustek Computer Inc.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3077A (ja) * 1989-11-30 1991-07-26 Toshiba Corp コネクタ装置
JP3761428B2 (ja) * 2001-07-04 2006-03-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3187916A (ja) * 2001-12-20 2003-07-04 Tyco Electronics Amp Kk シールド型コネクタ
TWI302048B (en) * 2006-03-20 2008-10-11 Hith Tech Computer Corp Compatible connector for first and second joints having different pin counts
US7367850B1 (en) * 2007-02-20 2008-05-06 Telebox Industries Corp. Bidirectional communication module jack assembly
US7578705B2 (en) * 2007-08-10 2009-08-2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arrangement
JP4519181B2 (ja) * 2008-05-14 2010-08-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449042B1 (ko) * 2008-07-15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에스비 포트
CN201323329Y (zh) * 2008-10-14 2009-10-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KR101019236B1 (ko) * 2009-07-15 2011-03-04 주식회사 신화콘텍 마이크로 유에스비이 커넥터
JP5351751B2 (ja) * 2009-12-25 2013-11-27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8215995B1 (en) * 2011-01-06 2012-07-1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attached to a bracket and mounted in a cutout in a substr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6453A1 (en) * 2017-02-27 2018-08-30 Molex, Llc Connector assembly for high speed signal transmission using dielectric wave 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4170A1 (en) 2015-03-12
US20150064956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3236B1 (en) Antenn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1060839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914299B2 (en) USB application device
US20120071032A1 (en) Electrical receptacle
KR20080065427A (ko) 휴대 단말기
JP3186801U (ja) カードコネクタ
EP271754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group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3115823A (ja) 携帯端末用の接続ソケット
US8961242B2 (en) Connection plug for portable terminal
TW201344396A (zh) 電子裝置組合結構
CN104348057A (zh) 线缆连接器组件
KR101552916B1 (ko)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JP2017050235A (ja) コネクタソケット及びコネクタ
EP2790388B1 (en) Board assembly
EP2978083A1 (en) A mobile terminal fitting and an electric connector for the same
KR20150027096A (ko) 전기 커넥터
KR20150026661A (ko) 커넥터 장치
US7156699B1 (en) Connector with a capacitor connected to a metal casing
KR101415909B1 (ko) 멀티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결합되는 멀티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KR101348141B1 (ko)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KR101898942B1 (ko) 휴대 단말기
US9543638B2 (en) Fixing bracket for antenna cab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9343849B2 (en) Electronic device and interface connector
EP2675240A1 (en) Portable terminal and wireless module
CN201570751U (zh) 镜头模组、连接器及其组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