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115B1 -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115B1
KR101711115B1 KR1020150098138A KR20150098138A KR101711115B1 KR 101711115 B1 KR101711115 B1 KR 101711115B1 KR 1020150098138 A KR1020150098138 A KR 1020150098138A KR 20150098138 A KR20150098138 A KR 20150098138A KR 101711115 B1 KR101711115 B1 KR 101711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aw
scrap
sheet
b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846A (ko
Inventor
김행관
Original Assignee
김행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행관 filed Critical 김행관
Priority to KR1020150098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11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랩을 최소화하여 자재 낭비를 방지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베이스 필름과 제 1 원단 필름을 제 1 타발기로 공급하는 단계; 제 1 타발기에서 제 1 원단 필름을 기다란 사각이 되도록 컷팅하면서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옵셋되는 컷팅 라인을 형성하여 베이스 필름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하는 단계; 제 1 원단 필름의 스크랩 보호 필름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제 1 원단 필름의 스크랩에 부착된 보호 필름을 제거하여 스크랩의 접착면을 노출시키는 단계; 제 1 원단 필름의 스크랩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스크랩을 제거하는 단계; 제 2 원단 필름 부착 장치를 이용하여 양면에 접착면을 가지는 띠 형태의 제 2 원단 필름을 제 1 원단 필름의 양단에 일부 중첩되게 연속해서 부착하는 단계; 제 2 원단 필름의 접착면에 제 2 시트지를 부착하는 단계; 제 2 타발기를 이용하여 제 2 원단 필름에 컷팅 라인을 형성하면서 베이스 필름에 각종 제품 구멍을 컷팅하는 단계; 제 2 시트지를 박리시키면서 제 2 원단 필름의 스크랩이 제 2 시트지로 부착됨에 따라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스크랩을 제거하는 단계; 스크랩이 제거된 표면에 제 3 시트지를 부착하는 단계; 베이스 필름을 거꾸로 뒤집어 제 3 타발기에 공급하는 단계; 제 3 타발기에서 제 1 원단 필름과 제 2 원단 필름에 최종 컷팅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컷팅 라인에 의해 형성된 베이스 필름 스크랩을 제거하면서 제 1 원단 필름 스크랩 및 제 2 원단 필름 스크랩을 제거하는 단계; 및 제 1 원단 필름 사이의 제 3 시트지를 컷팅하여 일개 단위로 제품을 형성하는 컷팅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FILM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랩을 최소화하여 자재 낭비를 방지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기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필름은 가공이 용이한 박막형 필름이 드럼에 감긴 형태로 공급되어 각 모델에 맞추어 타발하고 불필요한 스크랩 부분을 제거하여 필름을 완성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필름은 내부에 공간부(1)가 형성되어 공간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보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1)가 형성된 필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시 타발기(2)를 이용하여 공간부(2)에 해당하는 스크랩(3)을 타발함으로써 제품(4)을 생산하게 되는데, 스크랩(3)의 크기가 상당하여 이용되는 제품(4)부분보다 오히려 버려지는 부분이 더욱 많기 때문에 자재의 낭비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471473호(2014.12.04) KR 등록특허공보 제10-1423562호(2014.07.21)
이에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띠 형태의 제품 필름을 일련의 과정을 통해 순차적으로 부착 및 컷팅을 반복하여 제품을 제조함으로써 스크랩을 최소화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은,
베이스 필름과 제 1 원단 필름을 제 1 타발기로 공급하는 단계;
제 1 타발기에서 제 1 원단 필름을 기다란 사각이 되도록 컷팅하면서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옵셋되는 컷팅 라인을 형성하여 베이스 필름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하는 단계;
제 1 원단 필름의 스크랩 보호 필름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제 1 원단 필름의 스크랩에 부착된 보호 필름을 제거하여 스크랩의 접착면을 노출시키는 단계;
제 1 원단 필름의 스크랩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스크랩을 제거하는 단계;
제 2 원단 필름 부착 장치를 이용하여 양면에 접착면을 가지는 띠 형태의 제 2 원단 필름을 제 1 원단 필름의 양단에 일부 중첩되게 연속해서 부착하는 단계;
제 2 원단 필름의 접착면에 제 2 시트지를 부착하는 단계;
제 2 타발기를 이용하여 제 2 원단 필름에 컷팅 라인을 형성하면서 베이스 필름에 각종 제품 구멍을 컷팅하는 단계;
제 2 시트지를 박리시키면서 제 2 원단 필름의 스크랩이 제 2 시트지로 부착됨에 따라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스크랩을 제거하는 단계;
스크랩이 제거된 표면에 제 3 시트지를 부착하는 단계;
베이스 필름을 거꾸로 뒤집어 제 3 타발기에 공급하는 단계;
제 3 타발기에서 제 1 원단 필름과 제 2 원단 필름에 최종 컷팅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컷팅 라인에 의해 형성된 베이스 필름 스크랩을 제거하면서 제 1 원단 필름 스크랩 및 제 2 원단 필름 스크랩을 제거하는 단계; 및
제 1 원단 필름 사이의 제 3 시트지를 컷팅하여 일개 단위로 제품을 형성하는 컷팅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원단 필름의 스크랩 보호 필름 제거 장치는,
베이스 필름을 이송시키는 한 쌍의 압박 롤러;
한 쌍의 압박 롤러 사이로 공급되어 제 1 원단 필름의 스크랩 보호 필름에 접착되는 띠 형상의 접착 테잎;
상부 압박 롤러의 선단에 위치하여 공급되는 접착 테잎을 베이스 필름의 제 1 원단 필름 중 제거될 스크랩에 위치시키는 위치 결정 롤러;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접착 테잎을 박리시키면서 접착면에 스크랩의 보호 필름이 부착된 상태로 수거하는 권취 롤러;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원단 필름의 스크랩 제거 장치는,
베이스 필름을 이송시키는 한 쌍의 압박 롤러;
한 쌍의 압박 롤러 사이로 공급되어 제 1 원단 필름에 접착되는 제 1 시트지;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제 1 시트지를 박리시키면서 접착면에 제 1 원단 필름의 스크랩이 부착된 상태로 수거하는 권취 롤러;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원단 필름 부착 장치는,
베이스 필름이 이송하는 테이블;
제 1 원단 필름의 양단에 각각 접착되는 띠 형상의 제 2 원단 필름;
일단이 테이블 상면에 탄력적으로 밀착 설치되어 제 2 원단 필름을 압박하여 접착시키는 압박편;
압박편의 선단에 위치하여 공급되는 제 2 원단 필름을 제 1 원단 필름의 양단에 위치시키는 위치 결정 롤러;
베이스 필름에 부착된 제 2 원단 필름의 이형지를 제거하는 권취 롤러;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은,
제품의 중앙 공간부를 컷팅하여 스크랩을 제거하는 방식이 아닌 제품의 각 변을 부착해 나가며 형성하는 방식이므로 자재의 스크랩을 최소화함으로써, 제품의 낭비를 대폭 줄이고 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변을 부착해 나가는 방식임에도 제품이 중첩되는 구간이 없어 기존과 같이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러 공정을 통해 제품이 생산되기는 하나 일련의 과정을 거쳐 제품이 생산되므로 여전히 생산성이 좋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필름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계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공정을 도시한 계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공정에 따른 제품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원단 필름의 이형지가 제거되며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원단 필름의 보호 필름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원단 필름의 스크랩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원단 필름 부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최종 스크랩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이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필름 제조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은 제조 공정을 도시한 계략도, 도 4는 제조 공정에 따른 제품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제 1 원단 필름의 이형지가 제거되며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는 제 1 원단 필름의 보호 필름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제 1 원단 필름의 스크랩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제 2 원단 필름 부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최종 스크랩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제품이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은, 베이스 필름(10)과 제 1 원단 필름(20) 공급단계(ST1); 제 1 원단 필름(20) 컷팅 및 부착단계(ST2); 제 1 원단 필름(20)의 보호 필름(22) 제거단계(ST3);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 제거단계(ST4); 제 2 원단 필름(50) 부착단계(ST5); 제 2 시트지(60) 부착단계(ST6); 컷팅 단계(ST7); 제 2 원단 필름(50) 스크랩(53) 제거단계(ST8); 제 3 시트지(80) 부착단계(ST9); 베이스 필름(10) 뒤집는 단계(ST10); 컷팅 단계(ST11); 제 1 원단 필름(20) 스크랩(24) 및 제 2 원단 필름(50) 스크랩(54) 제거단계(ST12); 컷팅 단계(ST1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사각 틀 모양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각 공정의 장치를 통과하면서 제 1 원단(20) 필름과 제 2 원단 필름(50)이 부착되며 컷팅 하는 여러 단계를 거쳐 최종 제품이 생산된다.
상기 베이스 필름(10)과 제 1 원단 필름(20) 공급단계(ST1)는 베이스 필름(10)과 제 1 원단 필름(20)을 제 1 타발기(30)로 공급하는 단계로써, 상기 베이스 필름(10)과 제 1 원단 필름(20)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롤 형태로 각각 준비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여러 개의 안내 롤러를 통해 제 1 타발기(30)로 공급된다.
상기 베이스 필름(10)은 색상을 가미하여 눈에 잘 보이도록 한다. 상기 제 1 원단 필름(20)은 그 일면에 이형지(21)가 부착되고, 그 타면에 보호 필름(22)이 부착된다. 이러한 베이스 필름(10)은 제 1 타발기(30)로 공급할 때 하단에 위치하고, 그 위로 제 1 원단 필름(20)이 위치하는데, 제 1 원단 필름(20)의 이형지(21)가 하부를 향하고 보호 필름(22)이 상부를 향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원단 필름(20)은 제 1 타발기(30)로 안내되기 전에 이형 플레이트(P)를 지나면서 하부의 이형지(21)가 이형 플레이트(P)의 끝단에 감기며 리턴하여 제 1 원단 필름(20)으로부터 박리되면서 안내 롤러를 거쳐 권취 롤러(WR)에 감기어 수거된다. 즉, 제 1 원단 필름(20)은 하부의 이형지(21)가 박리된 상태로 제 1 타발기(30)에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원단 필름(20) 컷팅 및 부착단계(ST2)는 제 1 타발기(30)에서 제 1 원단 필름(20)을 컷팅하여 베이스 필름(10)에 부착하는 단계로써, 제 1 원단 필름(20)은 공급되는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다란 사각이 되도록 컷팅하되 컷팅되는 모양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옵셋되는 컷팅 라인(CL)이 동시에 형성한다. 여기서 컷팅 라인(CL)을 기준으로 가장자리 부분이 제거되는 스크랩(23)이 된다. 이와 같이 컷팅된 제 1 제품(20)은 베이스 필름(10)에 부착하되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다. 아울러 베이스 필름(10)의 양단에는 위치 셋팅용 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컷팅된다.
상기 제 1 원단 필름(20)의 보호 필름(22) 제거단계(ST3)는 컷팅 라인(CL)에 의해 형성된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에 부착된 보호 필름(22)만을 제거하는 단계로써, 스크랩 보호 필름 제거 장치(100)에 의해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 보호 필름(22)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 제거 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10)을 이송시키는 한 쌍의 압박 롤러(110), 양 압박 롤러(110) 사이로 공급되어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 보호 필름(22)에 접착되는 띠 형상의 접착 테잎(120), 상부 압박 롤러(110)의 선단에 위치하여 공급되는 접착 테잎(120)을 베이스 필름(10)의 제 1 원단 필름(20) 중 제거될 스크랩(23)에 위치시키는 위치 결정 롤러(130), 베이스 필름(10)으로부터 접착 테잎(120)을 박리시키면서 접착면에 스크랩(23)의 보호 필름(22)이 부착된 상태로 수거하는 권취 롤러(140)로 구성된다.
상기 압박 롤러(110)는 상부 압박 롤러와 하부 압박 롤러로 구성되며, 서로 접하도록 평행하게 설치되고 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다른 방향 즉 서로 맞대어 돌아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두 개의 압박 롤러(110) 사이로 제 1 원단 필름(20)을 부착한 베이스 필름(10)이 통과하면서 이송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압박 롤러(110)의 선단 상부에는 하나의 드럼(121) 양단에 롤 형태로 감겨 있는 띠 형상의 접착 테잎(120)을 각각 구비하여 압박 롤러(110) 사이로 공급되도록 하는데, 접착 테잎(120)은 압박 롤러(110)의 선단에 구비된 위치 결정 롤러(130)에 의해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 상부에 정확히 안내되어 공급된다. 상기 위치 결정 롤러(130)는 횡으로 설치되는 봉(13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중앙에 접착 테잎(120)이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는 가이드 홈(132)이 형성된다. 이러한 위치 결정 롤러(130)는 베이스 필름(10)에 닿지 않는 한도 내에서 최대한 압박 롤러(110)와 근접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압박 롤러(110)의 상부에는 압박 롤러(110)를 통과한 접착 테잎(120)을 수거하는 권취 롤러(140)가 설치된다. 따라서, 접착 테잎(120)은 압박 롤러(110)로 공급되어 제 1 원단 필름(10)의 스크랩(23)에 부착된 보호 필름(22)에 접착되었다가 압박 롤러(110)를 통과하는데, 권취 롤러(140)가 압박 롤러(110)의 상부에 위치함에 따라 접착 테잎(120)은 상부 압박 롤러(110)에 감기면서 베이스 필름(10) 및 제 1 원단 필름(20)과 박리된다. 이 과정에서 접착 테잎(120)에 스크랩(23) 보호 필름(22)이 부착되어 스크랩(23) 보호 필름(22)도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다. 즉, 스크랩 보호 필름 제거 장치(100)를 통과한 베이스 필름(10)의 제 1 접착 필름(20)은 스크랩(23) 부분의 보호 필름(22)만 제거된 상태이므로 스크랩(23) 부분의 접착면이 노출된다.
상기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 제거단계(ST4)는 제 1 시트지(40)를 이용하여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을 제거하는 단계로써, 스크랩 제거 장치(200)를 이용하여 스크랩을 제거한다.
상기 스크랩 제거 장치(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10)을 이송시키는 한 쌍의 압박 롤러(210), 한 쌍의 압박 롤러(210) 사이로 공급되어 제 1 원단 필름(20)에 접착되는 제 1 시트지(40), 베이스 필름(10)으로부터 제 1 시트지(40)를 박리시키면서 제 1 시트지(40)에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이 부착된 상태로 수거하는 권취 롤러(220)로 구성된다.
상기 압박 롤러(210)는 보호 필름 제거 장치(100)와 같이 상부 압박 롤러(210)와 하부 압박 롤러(210)가 서로 접하도록 평행하게 설치되어 제 1 원단 필름(20)이 부착된 베이스 필름(10)이 압박 롤러(210)로 공급되어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시트지(40)는 제 1 원단 필름(20)을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롤 형태로 구비되며, 다수의 안내 롤러를 통해 압박 롤러(210)로 공급된 후 압박 롤러(210)에 의해 스크랩(23)의 노출된 접착면에 제 1 시트지(40)가 접착되었다가 압박 롤러(210)를 통과하면서 베이스 필름(10)과 박리된다. 이 과정에서 제 1 시트지(40)는 상부 압박 롤러(210)를 감싸며 통과하고 베이스 필름(10)은 수평 상태로 통과하므로 제 1 시트지(40)는 베이스 필름(10)으로부터 제거됨과 함께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이 부착된 상태로 제거된다. 여기서 제 1 시트지(40)에 스크랩(23)만 부착되는 이유는 스크랩(23) 부위만 보호 필름(22)이 제거되어 접착면이 노출됐기 때문에 제 1 시트지(40)에 스크랩(23)만 부착되어 제거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원단 필름(50) 부착단계(ST5)는 띠 형태의 제 2 원단 필름(50)을 제 1 원단 필름(20)의 양단이 일부 중첩되게 연속해서 부착하는 단계로써, 제 2 원단 필름 부착 장치(300)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상기 제 2 원단 필름 부착 장치(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10)이 이송하는 테이블(310), 제 1 원단 필름(20)의 양단에 각각 접착되는 띠 형상의 제 2 원단 필름(50), 일단이 테이블(310) 상면에 탄력적으로 밀착 설치되어 제 2 원단 필름(50)을 압박하여 베이스 필름(10)에 접착시키는 압박편(320), 압박편(320)의 선단에 위치하여 공급되는 제 2 원단 필름(50)을 제 1 원단 필름(20)의 양단에 위치시키는 위치 결정 롤러(330), 베이스 필름(10)에 부착된 제 2 원단 필름(50)의 이형지(51)를 제거하는 권취 롤러(340)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원단 필름(50)은 띠 모양을 가지며 일면에 접착성분이 도포되고 타측면에 이형지(51)가 부착된 것으로, 압박편(320)의 선단 상부에 구비되는 드럼(52)의 양단에 각각 감겨 구비된다. 상기 압박편(320)은 경사진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말단이 테이블(310)에 탄력적으로 밀착된다. 그리고 압박편(320)의 후방에 이형 롤러(350)를 더 구비하여 제 2 원단 필름(50)의 이형지(51)가 제거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 결정 롤러(330)는 압박편(320)의 선단에 횡으로 설치되는 봉(13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중앙에 제 2 원단 필름(50)이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는 가이드 홈(332)이 형성된다. 이러한 위치 결정 롤러(330)는 압박편(320)에 닿지 않는 한도 내에서 최대한 압박편(320)과 근접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압박편(320)은 기다란 드럼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따라서, 제 2 원단 필름(50)은 압박편(320)으로 공급되어 제 1 원단 필름(20)의 양단에 접착된 상태로 수평 이송하고, 압박편(320) 및 이형 롤러(350)를 통과하는 순간 이형지(51)가 제 2 원단 필름(50)으로부터 제거되며 권취 롤러(340)로 수거된다. 이형지(51)가 제거된 제 2 원단 필름(50)은 그 상면의 접착면이 노출된다.
상기 제 2 시트지(60) 부착단계(ST6)는 제 1 원단 필름(20) 및 제 2 원단 필름(50)이 부착된 베이스 필름(10)에 제 2 시트지(60)를 부착하는 단계로써, 제 2 시트지(60)는 양 제 2 원단 필름(50)을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필름(10)과 제 2 시트지(60)는 한 쌍의 압박 롤러(410) 사이를 통과하면서 제 2 시트지(60)가 베이스 필름(10)에 부착된다. 이는 제 2 원단 필름(50)의 노출된 접착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컷팅 단계(ST7)는 제 2 타발기(70)에 베이스 필름(10)을 공급하여 제 2 원단 필름(50)에 컷팅 라인(CL)을 형성함으로써 스크랩(53)을 형성하고, 베이스 필름(10)에 제품 구멍(H)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컷팅 라인(CL)은 제 2 원단 필름(5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되 제 1 원단 필름(20)과 중첩되는 부분을 피해 컷팅 라인(CL)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중첩되는 부분을 피함으로써 스크랩(53) 제거시 중첩되는 부분이 없게 된다.
상기 제 2 원단 필름(50) 스크랩(53) 제거단계(ST8)는 제 2 시트지(60)를 박리시키면서 제 2 원단 필름(50)의 스크랩(53)이 제 2 시트지(60)로 부착됨에 따라 베이스 필름(10)으로부터 스크랩(53)을 제거하는 단계로써, 한 쌍의 압박 롤러(510)를 통과하면서 베이스 필름(10)은 수평으로 이동하고, 제 2 시트지(60)는 상부에 구비된 권취 롤러(WR)에 감기며 수거된다. 이 과정에서 제 2 원단 필름(50)의 스크랩(53) 및 제 1 원단 필름(20)의 보호 필름(23)은 제 2 시트지(60)에 부착된 상태로 같이 수거된다. 그리고 베이스 필름(10)에 부착된 제 2 원단 필름(50)의 제 2 시트지(60)는 별도의 권취 롤러(WR)를 이용하여 수거함으로써, 제 1 원단 필름(20)과 제 2 원단 필름(50)의 접착면이 노출된다.
상기 제 3 시트지(80) 부착단계(ST9)는 제 1 원단 필름(20)과 제 2 원단 필름(50)의 노출된 접착면에 제 3 시트지(80)를 부착하는 단계로써, 한 쌍의 압박 롤러(610) 사이에 베이스 필름(10) 및 제 3 시트지(80)를 공급하여 부착시킨다.
상기 베이스 필름(10) 뒤집는 단계(ST10)는 베이스 필름(10)을 뒤집어 제 3 타발기(90)에 공급하는 단계로써, 제 3 시트지(80) 부착단계의 압박 롤러(610)와 제 3 타발기(90) 사이에 위치한 베이스 필름(10)을 하부로 길게 늘어트리면서 제 3 타발기(90)로 공급되는 베이스 필름(10)은 거꾸로 뒤집혀 베이스 필름(10)이 상부에 위치하고 제 3 시트지(80)가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컷팅 단계(ST11)는 제 3 타발기(90)에서 제 1 원단 필름(20)과 제 2 원단 필름(50)에 최종 컷팅 라인(CL)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컷팅 라인(CL)은 제 1 원단 필름(20)의 중앙에 두 줄 형성되고, 제 2 원단 필름(5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제 1 원단 필름(20)의 중앙과 제 2 원단 필름(50)의 양단이 스크랩(24)(54)에 해당된다.
상기 제 1 원단 필름(20) 스크랩(24) 및 제 2 원단 필름(50) 스크랩(54) 제거단계(ST12)는 테이블(710)과 이형 플레이트(720)를 베이스 필름(10)이 통과하면서 하부의 제 3 시트지(80)는 수평으로 이동하고 양 가장자리의 베이스 필름(10)은 상부에 구비된 권취 롤러(WR)에 감기어 수거된다. 이 과정에서 수거되는 베이스 필름(10)에 제 1 원단 필름(20) 스크랩(24) 및 제 2 원단 필름(50) 스크랩(64)이 부착된 상태로 같이 제거된다. 결국, 제 3 시트지(80)에는 최종 제품 필름만 부착된 상태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원단 필름(20)과 제 2 원단 필름(50)이 만나는 부분은 미세한 틈이 형성되어 중첩됨 없이 연결 부위를 마무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컷팅 단계(ST13)는 제 1 원단 필름(20) 사이의 제 3 시트지(80)를 컷팅하여 일개 단위로 제품을 형성하는 것으로 별도의 수납함에 담기며 최종 제품을 완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필름이 제조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 필름(10)과 제 1 원단 필름(20)이 제 1 타발기(30)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베이스 필름(10)은 하부에 위치하고 제 1 원단 필름(20)은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 1 원단 필름(20)의 저면에 부착된 이형지(21)는 이형 플레이트(P) 끝단에서 박리되어 리턴되면서 권취 롤러(WR)에 감기어 제거된 상태로 공급된다.(ST1)
제 1 타발기(30)로 공급된 베이스 필름(10) 및 제 1 원단 필름(20) 중 제 1 원단 필름(20)은 공급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다란 사각으로 컷팅되면서 가장자리로부터 옵셋되는 컷팅 라인(CL)이 형성되어 베이스 필름(10)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다.(ST2)
베이스 필름(10)에 제 1 원단 필름(20)이 부착된 상태로 스크랩 보호 필름 제거 장치(100)에 안내된다. 베이스 필름(10)은 한 쌍의 압박 롤러(110) 사이를 통과하는데, 띠 형상의 접착 테잎(120)이 같이 공급되어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 보호 필름(22) 양단에 접착된다. 이러한 접착 테잎(120)은 압박 롤러(110)를 통과하면서 상부에 구비된 권취 롤러(140)에 의해 수거된다. 이 과정에서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 보호 필름(22)은 접착 테잎(120)에 부착된 상태로 같이 수거됨으로써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으로부터 제거되고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은 접착면이 노출된다.(ST3)
이러한 베이스 필름(10)은 제품 필름 스크랩 제거장치(200)에 안내된다. 안내된 베이스 필름(10)은 한 쌍의 압박 롤러(210) 사이로 공급되는데, 그 상부에 제 1 시트지(40)가 같이 공급된다. 공급되는 제 1 시트지(40)는 압박 롤러(210)를 통과하면서 스크랩(23)의 노출된 접착면에 부착되고, 압박 롤러(210)를 통과하면서 베이스 필름(10)은 수평으로 이송하고 제 1 시트지(40)는 상부에 구비된 권취 롤러(220)에 감기며 수거된다. 이 과정에서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은 제 1 시트지(40)에 부착되어 같이 수거됨에 따라 베이스 필름(10)으로부터 제거된다.(ST4)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이 제거된 베이스 필름(10)은 제 2 원단 필름 부착 장치(300)로 이송된다. 베이스 필름(10)은 테이블(310)과 압박편(320) 사이를 통과하면서 그 상면 즉, 제 1 원단 필름(20) 양단으로 띠 형상의 제 2 원단 필름(50)이 같이 공급되어 부착된다. 그리고 압박편(320) 또는 이형 롤러(350)를 통과하면서 베이스 필름(10)은 수평으로 이송되고 제 2 원단 필름(50)에 부착된 이형지(51)는 그 상부에 구비된 권취 롤러(340)에 감기며 수거된다. 따라서 제 2 원단 필름(50)의 상면은 접착면이 노출된 상태로 이송된다.(ST5)
다음으로, 제 2 원단 필름(50)의 노출된 면에 제 2 시트지(60)를 부착하기 위해 한 쌍의 압박 롤러(410)에 베이스 필름(10)을 공급하면서 제 2 시트지(60)를 같이 공급한다. 그러면 제 2 원단 필름(50)의 접착면에 제 2 시트지(60)가 부착되어 같이 이송한다.(ST6)
제 2 시트지(60)가 부착된 베이스 필름(10)은 제 2 타발기(70)에 공급되고, 제 2 타발기(70)에 의해 제 2 원단 필름(50)에 컷팅 라인(CL)이 형성되면서 스크랩(53)이 형성된다. 아울러 필름이 부착될 물품의 기능을 위한 각종 제품 구멍(H)이 형성된다.(ST7)
제 2 타발기(70)를 통과한 베이스 필름(10)은 한 쌍의 압박 롤러(510)에 공급되고 압박 롤러(510)를 통과하면서 베이스 필름(10)은 수평으로 이송하고, 제 2 시트지(60)는 상부의 권취 롤러(WR)에 감기며 수거된다. 이 과정에서 제 2 시트지(60)에 부착된 제 2 원단 필름(50)의 스크랩(53)과 제 1 원단 필름(20)의 보호 필름(22)은 같이 수거되면서 베이스 필름(10)으로부터 제거된다. 그리고 베이스 필름(10)에 부착된 제 2 원단 필름(50)의 제 2 시트지(60)는 별도의 권취 드럼(WR)에 의해 수거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제 1 원단 필름(20)과 제 2 원단 필름(50)은 그 상면의 접착면이 노출된다.(ST8)
이와 같은 베이스 필름(10)은 한 쌍의 압박 롤러(610) 사이로 공급함과 함께 제 3 시트지(80)를 같이 공급하여 제 1 원단 필름(20)과 제 2 원단 필름(50)의 노출된 접착면에 제 3 시트지(80)가 부착된다.(ST9)
제 3 시트지(80)가 부착된 베이스 필름(10)은 제 3 타발기(90)로 공급되기 전에 하부로 길게 늘어트리면서 뒤집혀 지도록 한다. 즉, 하부에 위치하던 베이스 필름(10)이 상부로 위치하고 상부에 위치했던 제 3 시트지(80)는 하부에 위치하여 제 3 타발기(90)로 공급된다.(ST10)
제 3 타발기(90)로 공급된 베이스 필름(10) 및 제 1 원단 필름(20), 제 2 원단 필름(50)은 제 3 타발기(90)에 의해 컷팅 라인(CL)이 형성된다. 즉, 제 1 원단 필름(20)의 중앙에 두 줄 형성되고, 제 2 원단 필름(50)의 양단에 한 줄 형성되어 스크랩(24)(54)을 형성한다.(ST11)
컷팅 라인(CL)이 형성된 베이스 필름(10)은 테이블(710)과 이형 플레이트(720) 사이에 공급되고 하부의 제 3 시트지(80)는 이형 플레이트(720)를 통과하면서 수평으로 이송되는 반면 베이스 필름(10)의 스크랩(13)은 상부에 구비된 권취 롤러(WR)에 감기어 수거된다. 이 과정에서 수거되는 베이스 필름(10)에 제 1 원단 필름(20) 스크랩(24) 및 제 2 원단 필름(50) 스크랩(54)이 부착된 상태로 제거됨으로써, 제 3 시트지(80)에는 최종 제품 필름만 부착된 상태로 이송된다.(ST12)
마지막으로 제 1 원단 필름(20) 사이로 노출된 제 3 시트지(80) 부분을 컷팅하여 일개 단위로 제품 제조를 완성한다.
10 : 베이스 필름 13, 23, 24, 53, 54 : 스크랩
20 : 제 1 원단 필름 21, 51 : 이형지
22 : 보호 필름 30 : 제 1 타발기
40 : 제 1 시트지 50 : 제 2 원단 필름
52, 121 : 드럼 60 : 제 2 시트지
70 : 제 2 타발기 80 : 제 3 시트지
90 : 제 3 타발기 100 : 보호 필름 제거 장치
110, 210, 410, 510, 610, 710 : 압박 롤러
120 : 접착 테잎 130, 330 : 위치 결정 롤러
131, 331 : 봉 132,332 : 가이드 홈
140, 220, 340, WR : 권취 롤러 200 : 스크랩 제거 장치
300 : 제 2 원단 필름 부착 장치 310, 710 : 테이블
320 : 압박편 350 : 이형 롤러
720, P : 이형 플레이트 CL : 컷팅 라인
H : 제품 구멍

Claims (5)

  1. 베이스 필름(10)과 제 1 원단 필름(20)을 제 1 타발기(30)로 공급하는 단계(ST1);
    제 1 타발기(30)에서 제 1 원단 필름(20)을 기다란 사각이 되도록 컷팅하면서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옵셋되는 컷팅 라인(CL)을 형성하여 베이스 필름(10)에 제 1 원단 필름(20)을 진행하는 방향에 직교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하는 단계(ST2);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 보호 필름 제거 장치(100)를 이용하여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에 부착된 보호 필름(22)을 제거하여 스크랩(23)의 접착면을 노출시키는 단계(ST3);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 제거 장치(200)를 이용하여 베이스 필름(10)으로부터 스크랩(23)을 제거하는 단계(ST4);
    제 2 원단 필름 부착 장치(300)를 이용하여 양면에 접착면을 가지는 띠 형태의 제 2 원단 필름(50)을 제 1 원단 필름(20)의 양단에 일부 중첩되도록 연속해서 부착하는 단계(ST5);
    제 2 원단 필름(50)의 접착면에 제 2 시트지(60)를 부착하는 단계(ST6);
    제 2 타발기(70)를 이용하여 제 2 원단 필름(50)에 컷팅 라인(CL)을 형성하면서 베이스 필름(10)에 각종 제품 구멍(H)을 컷팅하는 단계(ST7);
    제 2 시트지(60)를 박리시키면서 제 2 원단 필름(50)의 스크랩(53)이 제 2 시트지(60)로 부착됨에 따라 베이스 필름(10)으로부터 스크랩(53)을 제거하는 단계(ST8);
    스크랩(23)(53)이 제거된 접착면에 제 3 시트지(80)를 부착하는 단계(ST9);
    베이스 필름(10)을 거꾸로 뒤집어 제 3 타발기(90)에 공급하는 단계(ST10);
    제 3 타발기(90)에서 제 1 원단 필름(20)과 제 2 원단 필름(50)에 최종 컷팅 라인(CL)을 형성하는 단계(ST11);
    컷팅 라인(CL)에 의해 형성된 베이스 필름(10) 스크랩(13)을 제거하면서 제 1 원단 필름(20) 스크랩(24) 및 제 2 원단 필름(50) 스크랩(54)을 제거하는 단계(ST12); 및
    제 1 원단 필름(20) 사이의 제 3 시트지(80)를 컷팅하여 일개 단위로 제품을 형성하는 컷팅단계(ST13);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단 필름의 스크랩 보호 필름 제거 장치(100)는,
    베이스 필름(10)을 이송시키는 한 쌍의 압박 롤러(110);
    한 쌍의 압박 롤러(110) 사이로 공급되어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 보호 필름(22)에 접착되는 띠 형상의 접착 테잎(120);
    상부 압박 롤러(110)의 선단에 위치하여 공급되는 접착 테잎(120)을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에 위치시키는 위치 결정 롤러(130);
    베이스 필름(10)으로부터 접착 테잎(120)을 박리시키면서 접착면에 스크랩(23)의 보호 필름(22)이 부착된 상태로 수거하는 권취 롤러(14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단 필름의 스크랩 제거 장치(200)는,
    베이스 필름(10)을 이송시키는 한 쌍의 압박 롤러(210);
    한 쌍의 압박 롤러(210) 사이로 공급되어 제 1 원단 필름(20)에 접착되는 제 1 시트지(40);
    베이스 필름(10)으로부터 제 1 시트지(40)을 박리시키면서 접착면에 제 1 원단 필름(20)의 스크랩(23)이 부착된 상태로 수거하는 권취 롤러(22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원단 필름 부착 장치(300)는,
    베이스 필름(10)이 이송하는 테이블(310);
    제 1 원단 필름(20)의 양단에 각각 접착되는 띠 형상의 제 2 원단 필름(50);
    일단이 테이블(310) 상면에 탄력적으로 밀착 설치되어 제 2 원단 필름(50)을 압박하여 접착시키는 압박편(320);
    압박편(320)의 선단에 위치하여 공급되는 제 2 원단 필름(50)을 제 1 원단 필름(20)의 양단에 위치시키는 위치 결정 롤러(330);
    베이스 필름(10)에 부착된 제 2 원단 필름(50)의 이형지(51)를 제거하는 권취 롤러(34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발기(30)로 공급되는 제 1 원단 필름(20)은 하부에 이형지(21)가 구비되고, 상부에 보호 필름(22)이 구비되며, 제 1 타발기(30)로 공급되기 전에 이형 플레이트(P)에 의해 이형지(21)가 제 1 원단 필름(20)으로부터 박리되어 제거된 상태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
KR1020150098138A 2015-07-10 2015-07-10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 KR101711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138A KR101711115B1 (ko) 2015-07-10 2015-07-10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138A KR101711115B1 (ko) 2015-07-10 2015-07-10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846A KR20170006846A (ko) 2017-01-18
KR101711115B1 true KR101711115B1 (ko) 2017-02-28

Family

ID=57991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138A KR101711115B1 (ko) 2015-07-10 2015-07-10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1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856B1 (ko) * 2018-05-30 2019-09-06 (주) 메가테크 합지필름 컬 보정장치, 이를 이용한 합지필름 컬 보정 방법 및 합지필름 타발 방법
KR102110832B1 (ko) * 2018-06-26 2020-05-13 주식회사 고려이노테크 홀 타발 장치
KR101941407B1 (ko) * 2018-07-18 2019-01-22 배문수 합지 필름 제조 장치
CN112549172B (zh) * 2020-11-23 2022-07-22 奇华光电(昆山)股份有限公司 一种带孔产品的排废结构
KR102634279B1 (ko) * 2022-03-24 2024-02-06 송문기 로고패턴 테이프 제조방법
KR102625229B1 (ko) * 2023-08-23 2024-01-16 주식회사 씨엠에스 전자기기용 방수 테이프 분할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4401B2 (ja) * 2002-02-04 2007-08-08 株式会社エム・シー・ケー ラミネータ
KR100967129B1 (ko) * 2008-07-03 2010-07-06 브래디코리아유한회사 필름형 스피커 매쉬의 제조방법
KR101247984B1 (ko) * 2011-04-07 2013-03-2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스티커형 접착패드의 필름 코팅 장치
KR101471473B1 (ko) * 2014-07-07 2014-12-24 주식회사 퓨어테크 이음매구간을 갖는 시트타입 원단의 타발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562B1 (ko) 2013-05-29 2014-08-01 임상수 낱장의 원자재시트를 연속으로 타발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4401B2 (ja) * 2002-02-04 2007-08-08 株式会社エム・シー・ケー ラミネータ
KR100967129B1 (ko) * 2008-07-03 2010-07-06 브래디코리아유한회사 필름형 스피커 매쉬의 제조방법
KR101247984B1 (ko) * 2011-04-07 2013-03-2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스티커형 접착패드의 필름 코팅 장치
KR101471473B1 (ko) * 2014-07-07 2014-12-24 주식회사 퓨어테크 이음매구간을 갖는 시트타입 원단의 타발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846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115B1 (ko)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압식 필름 제조 방법
US56393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abels
CN103448087B (zh) 片材产品模切加工除废边方法及系统
CN109573713B (zh) 胶膜自动化生产线
JP2010162273A (ja) 救急絆創膏の製造装置
KR101841242B1 (ko) 부품 접착용 양면테이프 제조방법
KR101841243B1 (ko) 부품 접착용 양면테이프 제조장치
CN211165767U (zh) 一种不干胶标签模切移位装置
JP5039806B2 (ja) 粘着性被覆体の製造装置
JP2013095005A (ja) ラベル型抜き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0023131A (ja) フィルムの貼り付け装置及び貼り付け方法
KR101492814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접착시트 제조장치
CN215094059U (zh) 一种用于带有珠光膜的膏药制备装置
KR101650943B1 (ko) 핸드폰 윈도우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IT9021836A1 (it) Metodo per fabbricare un foglio continuo di etichette.
KR20170006847A (ko)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로터리식 필름 제조 방법
JP2011174986A (ja) 縁糊無し部分粘着ラベル
KR101805729B1 (ko) 수액병용 라벨 및 그 생산방법
WO2022162983A1 (ja) フィルム製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6585844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laminated labels, and laminated labels obtained using the same
KR100637603B1 (ko) 제품보완용 스티커라벨의 자동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라벨
CN113490632B (zh) 膜产品的制造方法及其制造装置
CN114099335A (zh) 一种用于带有珠光膜的膏药加工装置
JP5512453B2 (ja) 広告用ステッカーの製造方法
JP4127673B2 (ja) 粘着シートの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