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401B1 -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401B1
KR101710401B1 KR1020150033977A KR20150033977A KR101710401B1 KR 101710401 B1 KR101710401 B1 KR 101710401B1 KR 1020150033977 A KR1020150033977 A KR 1020150033977A KR 20150033977 A KR20150033977 A KR 20150033977A KR 101710401 B1 KR101710401 B1 KR 101710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operation unit
electric heater
st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492A (ko
Inventor
차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3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401B1/ko
Priority to US14/993,709 priority patent/US10251216B2/en
Publication of KR20160109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 H05B1/0266Cook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F24C7/08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on sto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1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digital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05B6/687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for coo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히터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전기 히터; 상기 전기 히터와 결선되며, 상기 전기 히터의 1차적인 온/오프와 출력을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구비되는 기계식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결선되며, 노말 오픈 타입의 DC 릴레이; 그리고 상기 조작부에 의한 상기 전기 히터의 1차적인 온 상태(상기 조작부의 작동 상태)를 감지함을 전제로, 상기 DC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전기 히터의 2차적인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cooking applian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히터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가정이나 실내에서 전기 또는 기타 에너지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제품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 중 가스를 이용한 가스 레인지, 가스 오븐 또는 가스 오븐 레인지가 있다. 즉, 가스의 연소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조리하기 위한 다양한 조리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전기를 이용한 쿡탑, 전기 레인지, 전기 오븐 또는 전기 오븐 레인지가 있다. 즉, 전기 히터를 구동하여 대상물을 조리하기 위한 다양한 조리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물론, 하나의 조리기기에서 전기와 가스를 모두 이용하는 제품도 제공되고 있다.
도 1은 조리기기의 일례로서 일반적인 오븐 레인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0) 또는 오븐 레인지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20)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20) 내부에는 조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챔버(25)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레인지에는 이러한 챔버(25)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20)의 상부에는 조리 용기가 안착되는 쿡탑(26)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냄비와 같은 조리 용기가 상기 쿡탑(26)에 안착되어 상기 쿡탑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전기 히터의 열에 의해 조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챔버(25)나 쿡탑(26)은 열을 이용하여 조리가 수행되는 조리부라 할 수 있다. 조리기기 형태에 따라 다양한 조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히터의 열을 직접 이용하거나 히터에 의한 복사나 전도를 통해 조리가 수행되는 조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쿡탑(26)은 전도를 이용한 조리부의 일례라 할 수 있고, 상기 챔버(25)는 복사나 공기의 대류를 이용하는 조리부의 일례라 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20)의 전방에는 상기 챔버(25)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5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도어(50)에는 손잡이(6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를 통해 도어(5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캐비닛(2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캐비닛(20)에 결합되는 패널(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30)에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40)는 전기 히터의 온/오프 그리고 출력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기 히터의 출력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발열량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타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조리 정보나 현재 조리기기의 상태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기 히터를 이용하는 조리기기인 경우, 상기 패널(30)에는 놉 형태로 조작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40)는 특정 위치에 구비되는 전기 히터를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 내에 전기 히터를 작동시키거나 복수 개의 쿡탑 중 특정 쿡탑에 전기 히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40)를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40)로는 전자식 조작부와 기계식 조작부가 제공되고 있다.
전자식 조작부는 사용자가 조작부(40)를 통해 입력한 입력값을 제어부가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가 전기 히터의 온/오프와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복잡한 회로 및 전자기기장치를 구비해야 한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이용하여 출력의 크기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회로 및 전자기기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자식 조작부를 갖는 조리기기에서는 실질적으로는 제어부를 통해 히터의 온/오프 그리고 출력이 제어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회로 및 전자기기장치로 인하여 전자식 조작부를 갖는 조리기기의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오작동 우려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전자식 조작부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기계식 조작부를 갖는 조리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기계식 조작부는 로터리 스위치의 일종으로 내부에 바이메탈이 구비되는 조작부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기계식 조작부를 돌리는 각도에 의해 전기 히터의 온/오프 듀티비(duty ratio)가 기계식으로 결정되는 조작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식 조작부를 갖는 조리기기에서는 제어부가 아닌 기계식 조작부를 통해 히터의 온/오프 그리고 출력이 제어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를 갖게 되어 제조비용이 증가하며, 오작동 우려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할 수 있다.
조리기기는 열을 이용하는 기기이므로 안전이 중요하다. 특히, 어린이에 의한 조리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조리기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일드락 입력부가 구비된 조리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차일드락 입력부는 차일드 락(child rock)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차일드 락이라는 입력부를 선택하면, 조작부를 조작해도 히터가 구동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일드락 입력부는 전자식 조작부를 갖는 조리기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계식 조작부를 갖는 조리기기에는 많이 사용되지 않고 있다. 왜냐하면, 이를 구현하는데 제조 비용이 상당히 증가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전을 위해 기계식 조작부에 차일드락 입력부를 적용한 조리기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기계식 조작부와 차일드락 입력부를 제공하는 종래의 조리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교류 전원, 예를 들어 240V의 교류 전원이 라이브(live) 단자 L1과 L2 사이에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단자 L1과 L2 사이에 기계식 조작부(60)와 히터(61)가 결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식 조작부(60)와 단자 L2 사이에 AC 릴레이(62)가 결선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식 조작부(60)는 1차적인 히터(61)의 온/오프를 위해 구비되고, 상기 AC 릴레이(62)는 2차적인 히터(61)의 온/오프를 위해 구비된다. 즉, 기계식 조작부(60)와 AC 릴레이(62)가 모두 온인 상태에서 히터가 구동하게 된다.
먼저, 사용자가 기계식 조작부(60)를 조작하여 1차적으로 히터(61)를 온하면, AC 릴레이(62)는 노말 클로즈 상태이므로 히터가 구동되게 된다. 즉 NC(normal close) 타입의 AC 릴레이(62)가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기계식 조작부(60)를 돌리면, 히터(61)가 구동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차일드락 입력부(80)가 선택될 수 있다. 즉, 차일드락 입력부(80)가 선택되면, 기계식 조작부(60)를 통한 1차적인 히터(61)의 온에도 불구하고, 히터가 구동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차일드락 입력부(80)가 선택되면, 상기 AC 릴레이(62)가 오픈되어야 한다. 즉, AC 릴레이(62)를 구동시켜 클로즈 상태에서 오픈 상태로 전환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AC 릴레이(62)에는 NO(nomal open) 타입의 DC 릴레이(63)가 결선된다.
상기 DC 릴레이(63)는 제어부(70)를 통해 구동된다. 즉, 상기 제어부(70)에서 인가되는 DC 신호를 통해 상기 DC 릴레이(63)가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70)에서 DC 신호를 상기 DC 릴레이(63)에 인가하면, 상기 DC 릴레이(63)는 클로즈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에서 DC 신호를 상기 DC 릴레이(63)에 인가하지 않으면, 상기 DC 릴레이(63)는 오픈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는 차일드락 입력부(80)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DC 릴레이(63)로 DC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즉, 제어부(70)은 DC 릴레이(63)로 DC 신호 형태로 DC 릴레이(63)를 온 시킨다. 물론, 제어부(70)는 차일드락 입력부(80)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별도의 DC 신호를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온 신호와 구별하기 위해 오프 신호의 인가라고도 할 수 있다.
DC 릴레이(63)가 클로즈 상태일 때, 상기 DC 릴레이(63)는 AC 신호를 상기 AC 릴레이에 인가하게 된다. NC 타입의 AC 릴레이(62)이므로, AC 신호가 상기 AC 릴레이(62)에 인가되면, 상기 AC 릴레이(62)는 오픈 상태로 전환된다. 물론, AC 신호가 상기 AC 릴레이(62)에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AC 릴레이(62)는 클로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계식 조작부(60)와 차일드락 입력부(80)를 갖는 경우에는, NC 타입의 AC 릴레이(62)와 NO 타입의 DC 릴레이(63)가 구비되어야 한다. 여기서, AC 릴레이는 AC 신호에 의해서 구동되는 릴레이며, DC 릴레이는 DC 신호에 의해서 구동되는 릴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조리기기에서는, NC 타입의 AC 릴레이(62)와 NO 타입의 DC 릴레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결선 개소가 많아져 제조 과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아울러, NC 타입의 AC 릴레이(62)는 상대적으로 고가이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제조 단가가 상승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저가의 조리기기에는 차일드락 입력부(80)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기계식 조작부(60)와 결선되는 릴레이는 차일드락 입력부(80)의 입력이 없는 경우 히터(61)를 구동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즉, NC 타입의 릴레이여야 한다. 이러한 NC 타입의 릴레이에는 사용 전류가 정해지는데, 조리기기에 사용되는 전류를 고려하여 AC 릴레이가 적용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DC 릴레이의 경우 NC 타입 시의 최대 전류가 NO 타입 시의 최대 전류보다 매우 낮기 때문이다. 일례로, NC 타입 DC 릴레이의 최대 전류는 15A 이며, NO 타입 DC 릴레이의 최대 전류는 30A일 수 있다. 그러나, AC 릴레이의 경우는 NO 또는 NC 타입과 무관하게 최대 전류는 30일 수 있다. 조리기기의 히터 개수와 마진을 감안하면, NC 타입의 DC 릴레이가 아닌 NC 타입의 AC 릴레이가 사용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조리기기에서는 AC 릴레이로 인한 제조 원가의 상승 그리고 결선 개소의 증가로 인한 작업성의 어려움이 초래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조리기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작업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안전하게 전기 히터를 구동할 수 있는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전기 히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차일드락 입력부를 제공하여 사용자 특히 어린이에 의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전기 히터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차일드락 입력부가 선택되더라도 전기 히터의 구동이 유지되어 사용이 편리한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전기 히터; 상기 전기 히터와 결선되며, 상기 전기 히터의 1차적인 온/오프와 출력을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구비되는 기계식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결선되며, 노말 오픈 타입의 DC 릴레이; 그리고 상기 조작부에 의한 상기 전기 히터의 1차적인 온 상태(상기 조작부의 작동 상태)를 감지함을 전제로, 상기 DC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전기 히터의 2차적인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DC 릴레이는 상기 히터와 직렬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라이브 단자 L1(+)과 L2(-) 사이에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L1, 기계식 조작부(+), 히터, 기계식 조작부(-), DC 릴레이 그리고 L2 순서로 결선될 수 있다. 즉, 상기 순서대로 전류가 흐르도록 결선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순서를 따라서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히터가 구동되며, 어느 한 부분에서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면 상기 히터가 구동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전류의 차단 개소는 상기 기계식 조작부와 DC 릴레이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기계식 조작부 내부는 이중 스위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계식 조작부는 회전에 의해 전기 히터의 1차적인 온/오프를 수행하는 기계식 스위치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식 조작부는 상기 전기 히터의 온 상태에서 상기 전기 히터의 출력을 자체적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계식 조작부의 회전 각도가 커짐에 따라 전기 히터의 온/오프 듀티비가 증가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기계식 조작부를 돌린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히터의 듀티비가 증가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기계식 조작부는 직접적으로 상기 전기 히터의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NO 타입의 DC 릴레이가 적용됨으로써, 1차적으로 사용자가 기계식 조작부를 작동시키는 경우 전기 히터가 구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DC 릴레이를 클로즈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장치 내지는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이는 전기 히터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 조리기기는 사용자의 오입력이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차일드락 입력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조리기기의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어린이와 같은 특정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기 위한 차일드락 입력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는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를 선택하는 경우 잠금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은 조리기기 전체의 잠금일 수 있으며 특히 전기 히터의 잠금일 수 있다. 즉, 상기 기계식 조작부의 조작에도 불구하고 전기 히터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에 의한 잠금 설정 여부에 따라 상기 전기 히터의 2차적인 온/오프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잠금 설정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히터를 오프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부를 통한 1차적인 온에도 불구하고 전기 히터는 구동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잠금 해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히터를 온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부를 통한 1차적인 온 그리고 DC 릴레이를 통한 2차적인 온을 통해 전기 히터가 구동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조작부의 작동 상태와 상기 DC 릴레이의 클로즈 상태가 모두 만족되어야 상기 히터가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에 의한 잠금 설정이 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작동 상태에도 불구하고, 상기 DC 릴레이의 노말 오픈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에 의한 잠금 설정이 없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DC 릴레이를 클로즈 상태가 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포토 커플러를 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동작 상태에서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를 불활성화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토 커플러를 통해서 상기 기계식 조작부의 동작 상태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기계식 조작부가 동작 상태로 있음을 파악한 후에는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불활성화는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의 입력에도 불구하고 입력 신호를 반영하지 않는다거나 아예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의 불활성화를 통해, 기계식 조작부의 동작 상태, 예를 들어 히터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차일드락 입력부에 의해 히터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가 구동되는 도중 차일드락 입력부를 오입력 하는 경우, 히터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혼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와 결선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가 작동될 때 상기 발광부가 작동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발광부를 통해서 조작부가 작동상태에 있음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전기 히터; 상기 전기 히터와 결선되며, 상기 전기 히터를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구비되는 기계식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결선되며, 노말 오픈 타입의 DC 릴레이; 상기 조작부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사용자의 오입력을 방지하기 위한 차일드락 입력부; 상기 조작부의 작동 상태와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를 통한 잠금 해제 상태가 모두 만족되었을 때, 상기 전기 히터가 구동하도록 상기 DC 릴레이를 클로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식 조작부에 의해서 상기 전기 히터의 출력이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전기 히터의 온/오프만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와 결선되며, 상기 조작부의 작동 상태에서 발광하도록 구비되는 발광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는, 상기 발광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구비되는 포터 커플러임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전기 히터, 상기 전기 히터를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기계식 조작부 그리고 차일드락 입력부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조작부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조작부의 작동이 판단된 후,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를 통한 잠금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를 통한 잠금 설정으로 판단된 후, 노말 오픈 타입의 DC 릴레이의 오픈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전기 히터의 구동을 배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센서 또는 포터 커플러를 통해 상기 기계식 조작부의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를 통한 잠금 설정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차일드락 입력부를 통한 잠금 설정으로 판단되면, 상기 노말 오픈 타입의 DC 릴레이를 오픈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계식 조작부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기 히터의 구동을 배제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를 통한 잠금 해제로 판단된 후, 상기 노말 오픈 타입의 DC 릴레이를 클로즈하여, 상기 전기 히터를 구동하는 제4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기계식 조작부의 작동 상태 확인 그리고 차일드락을 통한 잠금 해제 또는 잠금 미설정을 확인하여, 상기 노말 오픈 타입의 DC 릴레이를 클로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전기 히터가 비로소 최종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4단계 도중,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를 통한 잠금 설정이 배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단계 도중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를 통한 잠금 설정이 입력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4단계가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는 전기 히터가 최종적으로 구동될 때,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를 불활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차일드락 입력부의 입력으로 전기 히터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작업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안전하게 전기 히터를 구동할 수 있는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전기 히터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차일드락 입력부를 제공하여 사용자 특히 어린이에 의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전기 히터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차일드락 입력부가 선택되더라도 전기 히터의 구동이 유지되어 사용이 편리한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조리기기의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차이드락 입력부를 갖는 종래의 조리기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4 내지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블럭도에 대한 결선도이며, 구체적으로
도 4는 기계식 조작부의 오프 상태에 대한 결선도;
도 5는 기계식 조작부의 온 상태에 대한 결선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차일드락이 미설정된 경우의 결선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구성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기계식 조작부(100)와 전기 히터(11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히터(110)는 전류가 흐를 때 발열하도록 구성된 히터이다. 따라서, 전류가 인가되어 발열(작동)하게 되면 전류가 차단되어 작동하지 않게 구비된다.
상기 기계식 조작부(100)는 로터리 스위치 또는 로터리 놉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스위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기계식 조작부(10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스위치 구조에서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초기 상태 또는 오프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구조는 열려 있어 전류가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기계식 조작부(100)는 1차적으로 상기 전기 히터(110)에 전류를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식 조작부(100)는 단순한 온/오프 기능뿐만 아니라 레귤레이터로서 상기 전기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수단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계식 조작부(100)의 내부에는 바이메탈이 구비되어 일정 전류가 흐르면 자동으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상기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 각도가 커짐에 따라 이러한 전류 차단의 주기를 키워 히터의 온도가 가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기계식 조작부(100)는 자체적으로 히터의 온/오프 기능뿐만 아니라 히터의 발열량, 즉 히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수단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계식 레귤레이터는 본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일드락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차일드락 입력부(140)를 포함한 조리기기를 제공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차일드락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종래의 조리기기에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NC 타입의 릴레이가 사용될 수밖에 없었다. 왜냐하면, 조리기기의 기본 상태는 차일드락 미설정 상태이므로, 상기 기본 상태에서는 기계식 조작부(100)의 작동 상태에서 상기 히터가 구동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기본 상태에서 히터의 구동을 위해서 NC 타입의 릴레이가 사용될 수밖에 없었다.
한편, NC 타입의 릴레이 중 DC 릴레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전류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종래에는 NC 타입의 AC 릴레이가 사용될 수밖에 없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NC 타입의 AC 릴레이 사용이라는 발상을 전환하여 NO 타입의 DC 릴레이를 포함한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NC 가 아닌 NO으로 일차적으로 발상을 전환하고 AC 에서 DC로 발상을 전환하여, 저렴하고 보다 안전하게 차일드락을 구현할 수 있는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NO 타입 DC 릴레이(120)는 히터(110)와 직렬 연결된다. 따라서, 상용 교류 전원이 제공되는 라이브 단자 L1(+)과 L2(-) 사이에 기계식 조작부(100), 히터(110) 그리고 NC 타입 DC 릴레이(120)가 순차적으로 결선된다. 따라서, 히터(110)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기계식 조작부의 작동(온)과 2차적으로 NO 타입 DC 릴레이의 클로즈가 수행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DC 릴레이는 AC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흐르도록 하는 릴레이이며, 여기서 DC는 DC 신호를 통해서 릴레이가 작동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2차적으로 히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히터와 직렬로 연결되는 릴레이를 NO 타입의 DC 릴레이를 사용한 것으로, 이를 통해 고전류에서도 차일드락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NO 타입 DC 릴레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메인 PCB라 할 수 있다. 상기 메인 PCB에서 제어 신호를 상기 DC 릴레이로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DC 릴레이(120)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PCB에서는 제어 신호로 DC 신호를 제공한다. 따라서, 메인 PCB의 특성상 DC 신호의 제공이 상대적으로 매우 양호하기 때문에, 별도의 변환 장치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 릴레이를 제어하기 위해 중간 매개체인 별도의 DC 릴레이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적인 구성수가 감소하게 되어 결선이 매우 단순하게 된다. 아울러, 구성수의 감소로 비용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제어가 더욱 간단하면 보다 나은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차일드락 입력부(140)을 통해 차일드락 설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일드락 입력부(140)는 도 1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30)에 버튼과 같은 입력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버튼이 함께 입력되어 차일드락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차일드락 입력부(140)를 통해 차일드락 설정 및 해제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차일드락 설정 및 해제는 상기 제어부(130)에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제어부(130)에서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140)를 통해 차일드락 설정을 파악하면, 상기 DC 릴레이(120)에 오프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오프 신호는 DC 릴레이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신호이다. 물론, 아무런 신호도 인가하지 않음으로써 DC 릴레이가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 신호는 온 신호와 구별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DC 릴레이(120)가 작동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DC 릴레이는 오픈 상태로 유지된다.
결국, 기계식 조작부(100)에 의한 1차적인 히터의 온에도 불구하고 DC 릴레이에 의한 오프에 의해 히터는 구동되지 않는다. 즉, 차일드락이 입력된 상태에서 기계식 조작부(100)를 조작함에도 불구하고 히터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반면, 제어부(130)에서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140)를 통해 차일드락 미설정 또는 해제를 파악하면, 상기 DC 릴레이(120)에 온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온 신호는 DC 릴레이가 작동되도록 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DC 릴레이가 작동하여 클로즈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기계식 조작부(100)에 의한 1차적인 히터의 온 그리고 DC 릴레이를 통한 2차적인 히터의 온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히터(110)가 구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계식 조작부(100)의 작동 여부를 센서나 포토커플러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즉, 기계식 조작부(100)의 작동은 기계식 조작부 자체에 전류가 흐름을 의미하고, 미작동은 전류의 흐름이 차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류의 차단 시와 흐름 시 센서나 포터 커플러의 양단에서의 전위차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기계식 조작부(100)의 작동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램프(150)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히터와 직렬로 연결된 릴레이를 AC 릴레이에서 DC 릴레이로 전환 그리고 NC 릴레이에서 NO 릴레이로의 전환으로, 저비용으로 보다 안전하고 간편한 차일드락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한 조리기기의 상태별 결선 및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점 쇄선은 라이브 단자 L1(+)와 제어 요소의 결선을 나타내고, 파선은 라이브 단자 L2(-)와 제어 요소의 결선을 나타내고, 실선은 제어 요소들 사이의 결선을 나타낸다. 그리고, 점선은 제어선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어 요소들 사이가 파선으로 나타난 상태는 전류가 흐르는 상태를 의미하게 된다.
도 4는 초기 상태 즉 기계식 조작부(100)의 오프 상태일 때 전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기계식 조작부(100)도 일종의 스위치이므로, 오프 상태에서는 기계식 조작부(100)와 히터(110) 사이의 전류 흐름이 차단된다. 한편, 라이브 단자(L1)과 라이브 단자(L2) 사이에서 상기 기계식 조작부와 직렬로 연결된 램프(150)도 오프 상태가 된다. 즉, 기계식 조작부가 오프 상태일 때 램프(150)도 오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램프(150)는 기계식 조작부의 작동 상태, 즉 온/오프 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는 램프(150)가 발광하지 않고 히터(110)도 구동되지 않게 된다.
도 5는 기계식 조작부(100)가 온 상태일 때 전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기계식 조작부(100)가 온 상태일 때, 라이브 단자(L1), 기계식 조작부(110) 그리고 히터(110) 사이는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라이브 단자(L1), 램프(150) 그리고 라이브 단자(L2) 사이는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램프(150)가 온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히터의 구동과는 무관하게 기계식 조작부(100)가 온 상태임을 사용자는 램프(150)의 발광을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즉, 기계식 조작부(10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면 먼저 램프(150)가 발광됨으로써 사용자는 기계식 조작부(100)의 온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C 릴레이는 NO 타입이므로 기계식 조작부(100)의 온 상태로의 전환에도 불구하고 히터(110), 기계식 조작부(100) 그리고 라이브 단자(L2) 사이에는 전류의 흐름이 차단된다. 왜냐하면, DC 릴레이(120)가 오픈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램프(150)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 램프(150)와 제어부(130) 사이에도 전류가 흐르게 된다. 즉, 라이브 단자(L1), 기계식 조작부(100), 램프(150), 제어부(130) 그리고 라이브 단자(L2)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도 5에는 램프(150)가 발광된 상태이며 아직 히터(110)는 구동되지 않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1차적으로 히터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이지만 아직 최종적(2차적)으로 히터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가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어부(130)는 이러한 전류 흐름의 발생을 파악하게 되어 기계식 조작부(100)의 온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30)은 램프(150)의 온/오프 상태를 통해서 기계식 조작부(100)의 온/오프 상태를 파악 또는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제어부(130)가 램프(150)의 온 상태를 파악하면 상기 제어부는 차일드락 입력부에 의한 차일드락 설정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램프(150)의 온 또는 기계식 조작부(100)의 온을 전제로, 상기 제어부는 차일드락 설정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에서 차일드락 설정이 없음 또는 설정 해제를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DC 릴레이에 작동 신호를 인가한다. 즉, DC 릴레이를 클로즈하라는 DC 신호를 상기 DC 릴레이(120)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DC 릴레이가 클로즈되면 비로소 상기 히터(110)가 구동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30)가 차일드락 없음을 확인하면,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어부(130)의 판단, DC 릴레이에 작동 신호 인가 그리고 히터의 구동에는 소정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일례로 약 1초가 소요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차일드락이 없는 경우에도 기계식 조작부(100)를 온 상태로 전환시키면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히터가 구동되도록 하게 된다. 물론, 기계식 조작부(100)의 온 상태 전환에서 즉각적으로 램프(150)가 온 상태로 전환될 것이다.
이러한 소정 시간은 전기 히터(100)의 구동 초기의 상태는 사용자의 감각으로는 쉽게 파악할 수 없다는 점을 전제로 하면 매우 바람직하다. 즉, 길지 않은 1초 전후의 시간이 지연되어 히터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은 조리기기의 전기 히터(100)의 특성상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기계식 조작부(100)를 구동시킬 때 한 번의 회전이 아닌 회전/복귀를 여러 번 반복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30)가 차일드락 설정을 확인하면, 도 5에 도시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제어부(130)는 DC 릴레이(120)가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적극적으로 DC 릴레이(120)가 오픈되도록 하는 DC 신호를 인가하는 것일 수 있고, 소극적으로 DC 릴레이(120)에 DC 신호를 인가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DC 릴레이(120)에 DC 신호를 인가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DC 릴레이(120)가 오픈 상태로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는 기계식 조작부(100)의 온을 전제로, 차일드락이 설정상태이면, 상기 히터(110)로의 전원 인가를 차단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NO 타입의 DC 릴레이(120)를 통해서 히터(110)로의 전원 인가를 차단하게 된다. 즉, 기계식 조작부(100)가 온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차일드락이 설정상태이면 도 5에 도시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므로, 차일드락이 설정된 상태에서, 특정 사용자가 기계식 조작부(100)를 조작하더라도, 상기 히터(110)가 구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어린이와 같은 특정 사용자에 의하여 조리기기가 잘못 사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를 통한 DC 릴레이(120) 제어는 다음 순서로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먼저, 제어부(130)는 기계식 조작부(100)의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의 전환을 파악한다. 이때, 상기 램프(150)의 발광이나 상기 램프(150)와 연결된 센서나 포토 커플러를 통해서 기계식 조작부(100)의 상태 전환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이러한 상태 전환을 파악한 후 비로소 차일드락 설정 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상태 전환 후 차일드락 설정이 없으면, 상기 DC 릴레이(120)를 온 상태로 전환시킨다. 물론, 차일드락 설정이 있으면, DC 릴레이(120)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킨다.
도 6에 도시된 상태는 차일드락 미설정 상태에서 기계식 조작부(100)의 작동으로 인해 히터(110)가 구동되는 상태이다. 이때, 사용자는 차일드락 입력부(도 3 참조, 140)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를 통해 차일드락 입력 또는 해제를 시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는 히터(110)가 구동되는 상태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히터 구동 상태에서는 차일드락 입력부를 불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130)는, 히터(110)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차일드락의 설정이 불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히터(110)가 구동되는 상태는 차일드락의 미설정을 전제로 하므로, 히터(110) 구동 상태에서 차일드락이 해제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종래에는 히터(110)가 구동될 때 차일드락이 설정되면 제어부는 NC 타입의 AC 릴레이를 오프하게 된다. 따라서, 기계식 조작부의 작동 상태에도 불구하고 히터의 구동이 정지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사용자가 기계식 조작부를 오프시키지 않았는데도 히터의 구동이 정지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고장을 의심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110)가 구동될 때, 차일드락의 설정이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차일드락 입력을 하더라도 제어부(130)에서 이를 무시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차일드락 입력 자체가 불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110)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차일드락 입력부의 오인 입력에 의해서 히터 구동이 정지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인 메인 PCB에서 별도의 신호 변환을 거치지 않고 DC 신호를 직접 DC 릴레이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DC 릴레이(120)는 히터(110)과 직렬로 연결되어 직접적으로 히터(11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거나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AC 릴레이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간단한 결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저가의 DC 릴레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제조 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아울러, NO 타입의 릴레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계식 조작부(100)의 작동으로부터 히터(110)의 작동 사이에 대략 1초 정도의 짧은 지연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기계식 조작부(100)의 불필요한 조작에 즉각적으로 히터(110)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를 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10 : 조리기기 20 : 캐비닛
40 : 조작부(로터리 놉) 100 : 기계식 조작부(에너지 모듈레이터)
110 : 전기 히터 120 : NO 타입 DC 릴레이
130 : 제어부(메인 PCB) 140 : 차일드락 입력부
150 : 램프

Claims (20)

  1.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전기 히터;
    상기 전기 히터와 결선되며, 상기 전기 히터의 1차적인 온/오프와 출력을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구비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결선되며, 노말 오픈 타입의 DC 릴레이;
    상기 DC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전기 히터의 2차적인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특정 사용자의 사용을 제한하는 차일드락 입력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한 상기 전기 히터의 1차 온 상태(상기 조작부의 작동 상태)를 감지한 후에 상기 DC 릴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전기 히터가 2차 온 상태에 이르도록 제어하고,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에 의한 잠금 설정 여부에 따라 상기 전기 히터의 2차적인 온/오프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전기 히터의 온 상태에서 상기 전기 히터의 출력을 자체적으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히터의 듀티비를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작동 상태와 상기 DC 릴레이의 클로즈 상태가 모두 만족되어야 상기 히터가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에 의한 잠금 설정이 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작동 상태에도 불구하고, 상기 DC 릴레이의 노말 오픈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에 의한 잠금 설정이 없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DC 릴레이를 클로즈 상태가 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 릴레이는 상기 전기 히터와 직렬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이중 릴레이로 형성되며, 상용 AC 전원이 라이브 단자 L1에서 상기 조작부, 전기 히터, 조작부, 상기 DC 릴레이 그리고 라이브 단자 L2 순서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전기 히터가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포토 커플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동작 상태에서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를 불활성화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와 결선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가 작동될 때 상기 발광부가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전기 히터, 상기 전기 히터를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 그리고 차일드락 입력부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조작부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조작부의 작동이 판단된 후,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를 통한 잠금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를 통한 잠금 설정으로 판단되면, 노말 오픈 타입의 DC 릴레이는 오픈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전기 히터의 구동을 배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를 통한 잠금 해제로 판단된 후, 상기 노말 오픈 타입의 DC 릴레이를 클로즈하여, 상기 전기 히터를 구동하는 제4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도중,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를 통한 잠금 설정이 배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도중 상기 차일드락 입력부를 통한 잠금 설정이 입력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4단계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20150033977A 2015-03-11 2015-03-11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10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977A KR101710401B1 (ko) 2015-03-11 2015-03-11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4/993,709 US10251216B2 (en) 2015-03-11 2016-01-12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977A KR101710401B1 (ko) 2015-03-11 2015-03-11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492A KR20160109492A (ko) 2016-09-21
KR101710401B1 true KR101710401B1 (ko) 2017-02-27

Family

ID=5688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977A KR101710401B1 (ko) 2015-03-11 2015-03-11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51216B2 (ko)
KR (1) KR1017104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7929B2 (en) * 2017-09-05 2019-07-02 Elmer Algin Rose Remote cooking reminder system
KR102536375B1 (ko) * 2018-10-31 2023-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DE102019216020A1 (de) * 2019-10-17 2021-04-22 E.G.O. Elektro-Gerätebau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trahlungsheizeinrichtung und Kombination einer Strahlungsheizeinrichtung mit einer Drehschaltein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5573A (ja) * 1999-04-28 2000-11-14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JP2010146897A (ja) * 2008-12-19 2010-07-01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1318A (en) * 1961-12-08 1965-11-30 Gen Electric Visual indicator for heat controller
US3339054A (en) * 1964-04-20 1967-08-29 Gen Motors Corp Electronic oven
US3353004A (en) * 1964-10-09 1967-11-14 Gen Motors Corp Domestic electric appliance
US3448244A (en) * 1967-02-27 1969-06-03 Westinghouse Electric Corp Heat cleaning oven with shuttered oven door window
US3591769A (en) * 1968-01-22 1971-07-06 Robertshaw Controls Co Electrical oven cooking and cleaning control system
US3518949A (en) * 1968-02-19 1970-07-07 Arnold H Stock Apparatus for conditioning dough and baked goods
US3639726A (en) * 1970-05-26 1972-02-01 Westinghouse Electric Corp Self-cleaning oven overheat safety control
US3766437A (en) * 1972-04-03 1973-10-16 Amana Refrigeration Inc Safety interlock system for microwave ovens
US3816688A (en) * 1972-04-03 1974-06-11 Amana Refrigeration Inc Safety interlock system for microwave ovens
US3919523A (en) * 1974-12-23 1975-11-11 Mc Graw Edison Co Electric cooking apparatus with safety control
US3912904A (en) * 1974-12-24 1975-10-14 White Westinghouse Corp Self-cleaning oven latch-lock-control arrangement
US4054769A (en) * 1976-03-04 1977-10-18 The Tappan Company Microwave oven interlock switch safety
US4092520A (en) * 1976-12-16 1978-05-30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Leakage current thermostat
FR2470575B1 (fr) * 1979-11-28 1986-02-14 Moulinex Sa Appareil electrique de cuisson
US4527049A (en) * 1984-02-09 1985-07-02 Raytheon Company Microprocessor controlled electric range
US5126537A (en) * 1986-12-10 1992-06-30 Robertshaw Controls Company Control uni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235159A (en) * 1988-03-25 1993-08-10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system, method of operating a heating apparatus and controlled heating apparatus
US5111027A (en) * 1989-07-06 1992-05-05 Robertshaw Controls Company Control system and methods of making and operating the same
US5175413A (en) * 1990-07-31 1992-12-29 Whirlpool Corporation Fail-safe relay drive system for cooking apparatus
KR100399138B1 (ko) * 2000-08-19 200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JP2003070159A (ja) * 2001-06-01 2003-03-07 Sharp Corp 電源制御回路及び調理器
US6713730B1 (en) * 2001-09-14 2004-03-30 Zahra M. Zakerin Timing system
US6781097B2 (en) * 2001-12-21 2004-08-24 Emerson Electric Co. System and method for proportional control of oven heating elements
US6951997B2 (en) * 2002-07-26 2005-10-04 Ark-Les Corporation Control of a cooktop heating element
US7420142B2 (en) * 2002-07-26 2008-09-02 Illinois Tool Works, Inc Power control module for electrical appliances
US6967314B2 (en) * 2003-06-26 2005-11-22 Maytag Corporation Programmable power level control for a cooking appliance
DE102006004390A1 (de) * 2006-01-31 2007-08-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argerät, insbesondere Hocheinbau-Gargerät,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Gargeräts
DE102006004377A1 (de) * 2006-01-31 2007-08-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argerät
US20080142505A1 (en) * 2006-12-18 2008-06-19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Low simmer heating element with mechanical switches
DE102008008084A1 (de) * 2008-01-28 2009-08-06 E.G.O. Control Systems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Elektro-Haushaltsgerätes und Timer-Baueinheit
US8541719B2 (en) * 2008-09-15 2013-09-2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for reduced peak power consumption by a cooking appliance
KR101623982B1 (ko) * 2009-11-19 201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8344292B2 (en) * 2009-12-21 2013-01-01 Whirlpool Corporation Rotary switch with improved simmer performance
KR101282782B1 (ko) * 2011-09-15 2013-07-0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전기튀김기의 과열방지 안전장치
WO2014007967A1 (en) * 2012-06-14 2014-01-09 Legatti Raymond H Enhanced safety for electrical appliances such as toasters
US20160014849A1 (en) * 2013-01-14 2016-01-14 Breville Pty Limited Multi Cooker
KR102208568B1 (ko) * 2014-05-30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US9752784B2 (en) * 2014-07-21 2017-09-0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Heating element control circu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5573A (ja) * 1999-04-28 2000-11-14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JP2010146897A (ja) * 2008-12-19 2010-07-01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51216B2 (en) 2019-04-02
US20160270154A1 (en) 2016-09-15
KR20160109492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490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10401B1 (ko) 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777927B2 (en) Double oven preheat boost using cooking chamber lockout
US9506657B2 (en) Oven preheat boost using cooktop lockout
EP3038431B1 (en) Circuit for driving cooker, system for driving cooker, cooker, and method for driving cooker
JP4479680B2 (ja) 複合加熱調理器
KR101706964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5253902B2 (ja) 加熱調理器および加熱調理器への電源供給方法
US201600148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a radiant heating element
KR100662402B1 (ko) 전기 조리기의 히터 제어 안전장치
KR101623980B1 (ko) 오븐레인지의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3083543A (ja) 加熱調理器具の安全装置
US11836305B2 (en) Coo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7007103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oker
KR101411264B1 (ko) 가스레인지의 과열방지 기능 자동 해제방법
KR100738710B1 (ko) 조리기의 전압 공급 장치
KR20090044732A (ko) 오븐
JP4960048B2 (ja) 加熱調理器
US9942945B2 (en) Overcurrent protection assemblies for appliances
KR101233244B1 (ko) 전자레인지의 구동 회로
KR102248633B1 (ko) 하이브리드 렌지후드 제어 시스템
JP2022044872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628041B1 (ko) 조리기기의 릴레이 구동 안전회로
KR100674571B1 (ko) 전자레인지의 안전장치
KR100606745B1 (ko) 조리기기의 릴레이 구동 안전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