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104B1 -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104B1
KR101709104B1 KR1020150009685A KR20150009685A KR101709104B1 KR 101709104 B1 KR101709104 B1 KR 101709104B1 KR 1020150009685 A KR1020150009685 A KR 1020150009685A KR 20150009685 A KR20150009685 A KR 20150009685A KR 101709104 B1 KR101709104 B1 KR 101709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wave tube
rail
coupling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413A (ko
Inventor
이천구
Original Assignee
미래이앤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이앤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이앤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9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104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23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을 접속시키는 작업이나 이미 접속된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을 분리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를 직선 형태로 펴는 작업과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을 접속시키는 작업을 하나의 장치로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는 합성수지 파형관과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이 접속될 연결소켓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연결소켓에 결합되는 제1 결합유닛과, 상기 레일과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산부와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결합유닛 측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연결소켓에 접속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휘어진 끝단부를 직선 형태로 펼 수 있도록 하는 제2 결합유닛 및, 상기 제2 결합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제2 결합유닛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연결소켓과 결합된 제1 결합유닛을 합성수지 파형관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연결소켓을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에 접속시킬 수 있는 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OF SYNTHETIC RESINS CORRUGATED PIPE}
본 발명은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파형관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연결소켓에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을 접속시키거나, 이미 접속되어 있는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을 분리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파형관은 링 형상의 돌출부와 홈부가 교호적으로 형성된 관으로서 파이프 성형장치에서 합성수지를 녹여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은 보관 및 운반의 여건 상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롤 형태로 권취하여 보관하거나 설치 현장으로 운반을 하여 설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은 설치 길이가 길 경우에는 복수개의 합성수지 파형관을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서로 접속시켜 길이를 연장하여 설치를 하게 되는데,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은 크기와 중량이 상당하므로 인력만으로는 매설작업이나 합성수지 파형관을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접속하여 수밀을 유지하고 그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서로 연결된 합성수지 파형관을 연결소켓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연결소켓 합성수지 파형관을 접속시키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적인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는 연결소켓에 결합되는 제1 클램핑 유닛과, 합성수지 파형관에 결합되는 제2 클램핑 유닛과,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이 결합된 상기 제2 클램핑 유닛을 상기 연결소켓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을 상기 연결소켓에 접속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는 합성수지 파형관이 직선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경우에는 무리 없이 합성수지 파형관을 연결소켓에 접속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파형관의 경우에는 롤 형태로 권취되어 보관하거나 설치 현상으로 운반을 하게 됨으로써 롤 형태로 권취된 합성수지 파형관을 펼친다 하더라도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가 롤 형태로 휘어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됨으로써 휘어진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를 직선 형태로 펴는 별도의 작업을 거치지 않고서는 일반적인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를 사용하여서는 합성수지 파형관을 연결소켓에 접속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를 사용하여 롤 형태로 권취되어 보관 및 이송된 합성수지 파형관을 연결소켓에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을 연결소켓에 접속시키기 전에 반드시 롤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를 직선 형태로 펴는 별도의 작업을 거쳐야 함으로써 합성수지 파형관의 설치 공수가 늘어남과 동시에 설치 시간 또한 지체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541호(발명의 명칭 : 가변형 관이음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을 접속시키는 작업이나 이미 접속된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을 분리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를 직선 형태로 펴는 작업과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을 접속시키는 작업을 하나의 장치로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파형관과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이 접속될 연결소켓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연결소켓에 결합되는 제1 결합유닛과, 상기 레일과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산부와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결합유닛 측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연결소켓에 접속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휘어진 끝단부를 직선 형태로 펼 수 있도록 하는 제2 결합유닛 및, 상기 제2 결합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제2 결합유닛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연결소켓과 결합된 제1 결합유닛을 합성수지 파형관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연결소켓을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에 접속시킬 수 있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를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1 결합유닛은 상기 연결소켓에 형성된 돌출부와 맞물리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결합 브래킷 및,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 브래킷을 서로 연결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복수개의 보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2 결합유닛은 상기 레일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산부와 맞물리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결합 브래킷 및, 상기 한 쌍의 제2 결합 브래킷을 서로 연결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복수개의 보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레일에 형성된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와 기어 연결되도록 상기 제2 결합유닛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2 결합유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될 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는 손잡이부와 피니언 기어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한 방향으로는 손잡이부만 공회전 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력을 상기 피니언 기어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래칫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래칫 모듈에 의해 피니언 기어에 전달되는 손잡이부의 회전력의 방향성에 따라 레일이 이송되는 방향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칫 모듈에 설치되는 방향 지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는 상기 레일에 설치되어 이송유닛의 손잡이부가 레일의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손잡이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는 상기 레일을 제2 결합유닛 측으로 이동시켜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와 연결소켓이 접속될 시 상기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못하여 연결소켓과 간섭이 발생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위치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 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미세 조절유닛은 상기 제1 결합유닛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핀 홀 및. 상기 핀 홀에 핀을 삽입하여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를 지렛대 형태로 가압하여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위치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조절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2 결합유닛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제2 결합유닛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레일에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블록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는 제1 결합유닛을 연결소켓에 형성된 돌출부와 결합시킴과 동시에 제2 결합유닛을 합성수지 파형관의 산부와 맞물리도록 결합시킨 후, 손잡이부를 회전시켜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을 접속시키거나, 이미 접속되어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을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롤 형태로 권취되어 보관 및 운반되는 특성 상 설치를 위하여 직선 형태로 펼치더라도 끝단부가 휘어져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의 경우에도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의 접속 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산부가 상기 제2 결합유닛과 맞물린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제1 결합유닛 측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연결소켓에 접속될 합성수지 파형관의 휘어진 끝단부를 직선 형태로 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롤 형태로 권취되어 보관 및 운반됨으로써 설치 시 직선 형태로 펼친다 하더라도 끝단부가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의 경우에도 열풍 등을 이용하여 끝단부를 직선 형태로 펴는 별도의 작업 없이도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을 접속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합성수지 파형관의 설치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필요 없는 설비 투자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는 손잡이부의 회전력의 방향성에 따라 레일이 이송되는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지시부가 이송유닛에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작동시킬 시 상기 방향 지시부의 위치만 확인하면 레일이 이송되는 방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동상의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는 지지턱에 의해 손잡이부가 레일의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어 넘어가지 않도록 지지됨으로써 합성수지 파형관과 제2 결합유닛을 맞물리도록 결합시키는 작업 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과 손잡이부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을 접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는 레일을 제2 결합유닛 측으로 이동시켜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와 연결소켓이 접속될 시 상기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못하여 연결소켓과 간섭이 발생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를 미세 조절유닛을 통해 지렛대 형태로 가압하여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 위치를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한층 더 신속하고 간단하게 합성수지 파형관과 연결소켓을 접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합성수지 파형관을 연결소켓에 접속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래칫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미세 조절유닛을 사용하여 합성수지 파형관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 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 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 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합성수지 파형관을 연결소켓에 접속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래칫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미세 조절유닛을 사용하여 합성수지 파형관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100)는 레일(110), 제1 결합유닛(120), 제2 결합유닛(130) 및, 이송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110)은 합성수지 파형관(210)과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이 접속될 연결소켓(220)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 쌍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유닛(120)은 상기 레일(11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연결소켓(22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유닛(120)은 상기 연결소켓(220)에 형성된 돌출부(221)와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결합유닛(120)은 제1 결합 브래킷(121) 및, 보강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브래킷(121)은 상기 연결소켓(220)에 형성된 돌출부(221)와 맞물리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110)에 한 쌍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 브래킷(121)은 상기 연결소켓(220)에 형성된 돌출부(221)와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122)은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 브래킷(121)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1 결합 브래킷(121)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 브래킷(121)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판(12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10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용 손잡이(123)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유닛(130)은 상기 레일(110)과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산부(211)와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산부(211)가 상기 제2 결합유닛(130)과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유닛(120) 측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연결소켓(220)에 접속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휘어진 끝단부를 직선 형태로 펼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결합유닛(130)은 한 쌍의 슬라이딩 블록(131), 한 쌍의 제2 결합 브래킷(132) 및, 복수개의 보강판(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블록(131)은 상기 레일(1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11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결합 브래킷(132)은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산부(211)와 맞물리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13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들 들면, 상기 제2 결합 브래킷(132)은 한 쌍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개방되도록 양측 끝단부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블록(13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결합 브래킷(132)에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100)의 전체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홀(132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보강판(133)은 상기 한 쌍의 제2 결합 브래킷(132)을 서로 연결하여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송유닛(140)은 상기 제2 결합유닛(130)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110)을 상기 제2 결합유닛(120)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연결소켓(220)과 결합된 상기 제1 결합유닛(120)을 합성수지 파형관(210)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연결소켓(220)을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에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이송유닛(140)은 랙 기어(141), 피니언 기어(142), 손잡이부(143) 및, 래칫 모듈(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141)는 상기 레일(11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랙 기어(141)는 상기 레일(11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142)는 상기 랙 기어(141)와 기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결합유닛(13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피니언 기어(142)는 상기 랙 기어(141)와 기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결합유닛(130)의 슬라이딩 블록(1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43)는 상기 제2 결합유닛(1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손잡이부(143)는 상기 제2 결합유닛(130)의 슬라이딩 블록(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래칫 모듈(144)은 상기 손잡이부(143)가 회전될 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는 손잡이부(143)와 피니언 기어(142)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한 방향으로는 피니언 기어(142)는 회전되지 않고 손잡이부(143)만 공회전 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143)의 회전력을 상기 피니언 기어(142)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래칫 모듈(144)은 래칫(144a), 탄성부재(144b) 및, 볼(144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칫(144a)은 제1, 2 돌출부(1441a)(1442a)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가 선택적으로 피니언 기어(142)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4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44b)는 손잡이부(143)에 형성된 슬롯(143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볼(144c)은 상기 래칫(144a)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래칫(144a)의 제3 돌출부(1443a)에 형성된 제1, 2 지지면(1444a)(1445a) 중 어느 하나의 지지면을 선택적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144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칫 모듈(144)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칫(144a)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래칫(144a)의 제1 돌출부(1441a)가 피니언 기어(142)와 맞물려 상기 피니언 기어(142)를 지지하게 되면, 손잡이부(14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시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142)와 제1 돌출부(1441a)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손잡이부(143)와 래칫(144a)이 공회전을 하게 되며, 손잡이부(14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피니언 기어(142)와 제1 돌출부(1441a)의 맞물림이 유지되어 손잡이부(143) 및 래칫(144a)과 더불어 상기 피니언 기어(142) 또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피니언 기어(142)와 랙 기어(141)에 의해 연결된 레일(110)이 좌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칫(144a)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래칫(144a)의 제2 돌출부(1442a)가 피니언 기어(142)와 맞물려 상기 피니언 기어(142)를 지지하게 되면, 손잡이부(14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시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142)와 제2 돌출부(1442a)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손잡이부(143)와 래칫(144a)이 공회전을 하게 되며, 손잡이부(14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피니언 기어(142)와 제2 돌출부(1442a)의 맞물림이 유지되어 손잡이부(143) 및 래칫(144a)과 더불어 상기 피니언 기어(142)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피니언 기어(142)와 랙 기어(141)에 의해 연결된 레일(110)이 우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모듈(140)은 상기 래칫 모듈(144)에 의해 피니언 기어(142)에 전달되는 손잡이부(143)의 회전력의 방향성에 따라 레일(110)이 이송되는 방향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칫 모듈(144)에 설치되는 방향 지시부(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향 지시부(145)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4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시에만 피니언 기어(142)가 회전될 경우에는 좌측을 향하게 되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4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시에만 피니언 기어(142)가 회전될 경우에는 우측을 향하게 되도록 상기 래칫(144a)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방향 지시부(145)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을 향할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부(14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시에만 피니언 기어(142)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피니언 기어(142)와 랙 기어(141)에 의해 연결된 레일(110)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방향 지시부(145)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을 향할 경우에는 손잡이부(14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시에만 피니언 기어(142)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피니언 기어(142)와 랙 기어(141)에 의해 연결된 레일(110)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100)는 지지턱(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턱(150)은 상기 레일(110)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유닛(140)의 손잡이부(143)가 레일(110)의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손잡이부(143)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지지턱(150)은 상기 제2 결합유닛(130)의 슬라이딩 블록(1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부(143)가 회전되어 레일(110) 하부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합성수지 파형관(210)과 손잡이부(143)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용이하게 상기 제2 결합유닛(130)에 합성수지 파형관(210)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조절유닛(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 조절유닛(160)은 상기 레일(110)을 제2 결합유닛(130) 측으로 이동시켜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끝단부와 연결소켓(220)이 접속될 시 상기 연결소켓(220)과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못하여 연결소켓(220)과 간섭이 발생하는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끝단부를 지렛대 형태로 가압하여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위치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미세 조절유닛(160)은 복수개의 핀 홀(161) 및, 위치 조절 바(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핀 홀(161)은 상기 제1 결합유닛(120)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개의 핀 홀(161)은 제1 결합유닛(120)의 제1 결합 브래킷(121)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절 바(162)는 'L'자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핀 홀(161)에 삽입되는 핀(162a)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핀 홀(161)에 핀(162a)을 삽입하여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끝단부를 지렛대 형태로 가압하여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여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이 연결소켓(220)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100)는 스토퍼 유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유닛(170)은 상기 제2 결합유닛(1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토퍼 유닛(170)은 이동블록(171) 및, 고정부재(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블록(171)은 상기 레일(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72)는 상기 이동블록(171)을 상기 제2 결합유닛(130), 즉 슬라이딩 블록(13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동블록(171)을 상기 레일(100)에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블록(171)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재(172)는 나비 볼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 유닛(170)은 이송유닛(140)을 작동시켜 합성수지 파형관(210)이 결합되어 있는 제2 결합유닛(130)을 제1 결합유닛(120)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을 상기 제1 결합유닛(120)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소켓(220)에 삽입하여 접속 상태에서, 상기 이동블록(171)을 제2 결합유닛(130)의 슬라이딩 블록(131)에 밀착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172)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블록(171)을 레일(100)에 밀착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제2 결합유닛(130)의 슬라이딩 블록(131)이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결합유닛(120)의 반대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 유닛(170)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결합유닛(130)의 위치를 고정시키지 않게 되면 상기 연결소켓(220)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소켓(220)에 의해 가압된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원상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결합유닛(130)이 제1 결합유닛(120)의 반대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연결소켓(220)에 합성수지 파형관(210)이 완벽하게 삽입되어 연결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100)는 연결소켓(220)에 합성수지 파형관(210)을 삽입하여 접속시킨 상태에서 스토퍼 유닛(170)을 이용하여 레일(110)에 제2 결합유닛(130)의 위치를 고정시킨 후, 이와 같은 상태를 소정시간 동안 유지하게 되면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이 연결소켓(220)에 완벽하게 삽입되어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100)는 제1 결합유닛(120)을 연결소켓(220)에 형성된 돌출부(221)와 결합시킴과 동시에 제2 결합유닛(130)을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산부(211)와 맞물리도록 결합시킨 후, 손잡이부(143)를 회전시켜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합성수지 파형관(210)과 연결소켓(220)을 접속시키거나, 이미 접속되어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210)과 연결소켓(220)을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롤 형태로 권취하여 보관 및 운반됨으로써 설치를 위하여 직선 형태로 펼치더라도 끝단부가 휘어져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경우에도 합성수지 파형관(210)과 연결소켓(220)의 접속 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산부(211)가 상기 제2 결합유닛(130)과 맞물린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100)의 제1 결합유닛(120) 측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연결소켓(220)에 접속될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휘어진 끝단부를 직선 형태로 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롤 형태로 권취되어 보관 및 운반됨으로써 설치 시 직선 형태로 펼친다 하더라도 끝단부가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경우에도 열풍 등을 이용하여 끝단부를 직선 형태로 펴는 별도의 작업 없이도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합성수지 파형관(210)과 연결소켓(220)을 접속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설치 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설치 시간 또한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필요 없는 설비 투자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100)는 손잡이부(14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래칫 모듈(144)을 통해 피니언 기어(142) 상기 손잡이부(143)의 회전력을 어느 한 방향으로만 전달하여 레일(110)을 이동시킬 시, 상기 손잡이부(143)의 회전력의 방향성에 따라 레일(110)이 이송되는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지시부(145)가 이송유닛(140)에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부(143)를 작동시킬 시 상기 방향 지시부(145)의 위치만 확인하면 레일(110)이 이송되는 방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동상의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100)는 이송유닛(140)의 손잡이부(143)가 레일(110)의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어 넘어가지 않도록 상기 손잡이부(143)를 지지하는 지지턱(150)이 상기 레일(110)에 설치된다.
따라서, 합성수지 파형관(210)과 제2 결합유닛(130)을 맞물리도록 결합시키는 작업 시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과 손잡이부(143)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합성수지 파형관(210)과 연결소켓(220)을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100)는 레일(110)을 제2 결합유닛(130) 측으로 이동시켜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끝단부와 연결소켓(220)이 접속될 시 상기 연결소켓(220)과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못하여 연결소켓(220)과 간섭이 발생하는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끝단부를 미세 조절유닛(160)을 통해 지렛대 형태로 가압하여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의 끝단부 위치를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한층 더 신속하고 간단하게 합성수지 파형관(210)과 연결소켓(220)을 접속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소켓(220)에 합성수지 파형관(210)이 접속되면 스토퍼 유닛(170)의 이동블록(171)을 레일(110)을 따라 이동시켜 제2 결합유닛(130)의 슬라이딩 블록(131)에 밀착시킨 후, 고정부재(172)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블록(171)을 레일(110)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제2 결합유닛(130)이 제1 결합유닛(120)의 반대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와 같은 상태를 소정시간 동안 유지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210)이 연결소켓(220)에 완벽하게 삽입되어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레일 (120) : 제1 결합유닛
(130) : 제2 결합유닛 (140) : 이송유닛
(150) : 지지턱 (160) : 미세 조절유닛
(170) : 스토퍼 유닛

Claims (10)

  1. 합성수지 파형관과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이 접속될 연결소켓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연결소켓에 결합되는 제1 결합유닛;
    상기 레일과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산부와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결합유닛 측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연결소켓에 접속될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휘어진 끝단부를 직선 형태로 펼 수 있도록 하는 제2 결합유닛;
    상기 제2 결합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제2 결합유닛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연결소켓과 결합된 제1 결합유닛을 합성수지 파형관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연결소켓을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에 접속시킬 수 있는 이송유닛; 및
    상기 제2 결합유닛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제2 결합유닛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레일에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블록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유닛은,
    상기 연결소켓에 형성된 돌출부와 맞물리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결합 브래킷; 및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 브래킷을 서로 연결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복수개의 보강판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유닛은,
    상기 레일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블록;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산부와 맞물리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결합 브래킷; 및
    상기 한 쌍의 제2 결합 브래킷을 서로 연결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복수개의 보강판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레일에 형성된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와 기어 연결되도록 상기 제2 결합유닛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제2 결합유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될 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는 손잡이부와 피니언 기어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한 방향으로는 손잡이부만 공회전 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력을 상기 피니언 기어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래칫 모듈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래칫 모듈에 의해 피니언 기어에 전달되는 손잡이부의 회전력의 방향성에 따라 레일이 이송되는 방향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칫 모듈에 설치되는 방향 지시부를 더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설치되어 이송유닛의 손잡이부가 레일의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손잡이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더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을 제2 결합유닛 측으로 이동시켜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와 연결소켓이 접속될 시 상기 연결소켓과 합성수지 파형관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못하여 연결소켓과 간섭이 발생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위치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절유닛은,
    상기 제1 결합유닛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핀 홀; 및
    상기 핀 홀에 핀을 삽입하여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합성수지 파형관의 끝단부를 지렛대 형태로 가압하여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의 위치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조절 바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09685A 2015-01-21 2015-01-21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 KR101709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685A KR101709104B1 (ko) 2015-01-21 2015-01-21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685A KR101709104B1 (ko) 2015-01-21 2015-01-21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413A KR20160090413A (ko) 2016-08-01
KR101709104B1 true KR101709104B1 (ko) 2017-02-24

Family

ID=5670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685A KR101709104B1 (ko) 2015-01-21 2015-01-21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1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7329U1 (ru) * 2019-12-10 2020-04-2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ё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Дифференциальный монтажный реечный ключ для монтажа и демонтажа соединений "Раструб"
KR102214155B1 (ko) 2020-11-25 2021-02-09 (주)엠알솔루텍 지중매립 합성수지 파형관 단부 선형화 처리 방법 및 지중매립 합성수지 파형관 전용 단부 선형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5262B (zh) * 2019-08-01 2024-04-30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波纹管承插辅助装置
CN111730550A (zh) * 2020-07-01 2020-10-02 陈咬红 一种波纹管推进辅助装置
KR102409283B1 (ko) * 2021-09-14 2022-06-15 이상민 배관 리프팅 장치
CN117226760B (zh) * 2023-11-13 2024-01-26 麦卡苏豫(无锡)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波纹管组装用限位夹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48B1 (ko) * 2011-08-31 2013-09-17 (주)폴리텍 파이프 이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571U (ko) * 1979-03-22 1980-01-09
KR200443541Y1 (ko) 2007-11-12 2009-02-23 주식회사 서일탑스코 가변형 관이음 장치
KR101391341B1 (ko) * 2012-06-27 2014-05-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익스펜션 조인트의 타이로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48B1 (ko) * 2011-08-31 2013-09-17 (주)폴리텍 파이프 이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7329U1 (ru) * 2019-12-10 2020-04-2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ё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Дифференциальный монтажный реечный ключ для монтажа и демонтажа соединений "Раструб"
KR102214155B1 (ko) 2020-11-25 2021-02-09 (주)엠알솔루텍 지중매립 합성수지 파형관 단부 선형화 처리 방법 및 지중매립 합성수지 파형관 전용 단부 선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413A (ko)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104B1 (ko) 합성수지 파형관 접속장치
US9085024B2 (en) Pressing device
HK1084355A1 (en) Tube bend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40208820A1 (en) Lever Bender and Related Method of Use
KR20160030217A (ko) 보조 요소를 휠체어에 결합시키는 시스템
KR20150003675U (ko) 배관용 지그
CN208153911U (zh) 一种mpp波纹管的快拆式连接器
US10399138B2 (en) Pressing tool with switchblade bistable tensioning mechanism
KR101444317B1 (ko) 배관 변형 교정장치
CN208613430U (zh) 一种弯管机的承载辅助折弯机构
KR20180020072A (ko)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CN201572830U (zh) 便携式弯管机
JP3154893U (ja) スリーブ
CN210397956U (zh) 预制管道用连体管卡
CN203124508U (zh) 束料件、束料机构和蛇形弯管机
WO2017107606A1 (zh) 连接组件及热水器
US9327391B2 (en) Crimping tool
CN210098621U (zh) 一种配电专业专用的折弯器
JP5288950B2 (ja) サドルクランプ装置
JP2009197419A (ja) 拘束鉄筋
US4436327A (en) Clamp joint for pipes
CN110170593A (zh) 用于预弯钢筋的弯折钳及预弯钢筋的弯折方法
CN220051526U (zh) 一种自动定位防偏的抄网三通件夹具
JP5795183B2 (ja) 間接活線用工具
CN220145111U (zh) 一种钢结构焊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