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317B1 - 배관 변형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변형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317B1
KR101444317B1 KR1020120111137A KR20120111137A KR101444317B1 KR 101444317 B1 KR101444317 B1 KR 101444317B1 KR 1020120111137 A KR1020120111137 A KR 1020120111137A KR 20120111137 A KR20120111137 A KR 20120111137A KR 101444317 B1 KR101444317 B1 KR 101444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eformation
fixing
press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5064A (ko
Inventor
배희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1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3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45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1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배관 단부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교정작업을 수행 가능한 배관 변형 교정장치가 제공된다. 교정장치는 적어도 일단부가 배관 내측에 위치하며 배관의 끝단부를 파지하는 복수의 고정부,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에 위치하여 배관을 향하여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 및 지지부에 결합되어 가압부에 압력을 전달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여, 가압부가 고정부 사이의 배관을 가압한다.

Description

배관 변형 교정장치{Apparatus for correcting deformation of pipe}
본 발명은 배관을 가압하여 배관의 변형을 교정하는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단부에 간편하게 장착되어 교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배관 변형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구조물에 배관(Pipe/Pipe line)이 설치된다. 배관은 내부가 빈 관재(管材)로 형성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하나와 다른 하나가 교차되어 상당한 길이로 연장된 배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배관을 통해서 구조물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반대로 구조물 외부로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으며, 건물이나 대형 선박과 같은 큰 구조물인 경우, 구조물 내부의 각 지점에 분기된 배관 구조를 통해 유체를 순환시키거나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배관은 구조물 시공시 필요한 전기배선의 통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배관은 용접이나, 결합볼트를 이용한 볼트 결합 등 다양한 종류의 결합방법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배관(Pipe)의 단부에 변형(Deformation)이 생겨 진원도(Roundness/Circularity)가 비정상인 경우 이를 서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배관의 변형은 내부가 빈 배관의 특성상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로서, 종래에는 배관 교정을 위해 배관 외측에 임시로 지지구조를 용접하고, 용접된 지지구조에 별도의 가압공구를 장착하며, 교정작업이 끝난 후에는 다시 이를 해체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였다.
한편, 일본공개특허 제 특개2001-259741호 등에는 변형된 배관을 가압하여 원형상이 되도록 교정하는 교정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교정장치들은 장치 내부로 배관을 수용하여 교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조로서, 구조물에 설치중이거나 이미 설치가 끝나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에 놓인 배관에는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장치의 특성상 배관의 직경이 교정장치의 설계치를 초과하거나 변형 부위가 불규칙하여 배관이 장치 내에 수용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역시 배관 교정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제 특개2001-259741호 도면 1, (2001.9.25)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관 단부에 간편하게 장착되어 배관의 변형부위를 손쉽게 교정할 수 있는 구조의 배관 변형 교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 변형 교정장치는, 적어도 일단부가 배관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관의 끝단부를 파지하는 복수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관을 향하여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에 압력을 전달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고정부 사이의 상기 배관을 가압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관을 따라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관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배관과 접하는 점에서 상기 배관의 법선 방향으로 상기 배관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배관과 접하는 면에 접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배관과 구름 접촉을 하는 롤러부일 수 있다.
상기 배관 변형 교정장치는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일측에 만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만입부에 상기 배관의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만입부는 폭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 변형 교정장치는, 배관 단부에 손쉽게 장착된 후 배관을 가압하여 변형부위를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배관 단부에 손쉽게 장착되는 구조로 인해 설치중이거나 이미 설치가 끝나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에 놓인 배관이나, 직경이 큰 배관에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관의 서로 다른 지점에 발생한 각 변형 부위에도 손쉽게 접근하여 교정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 변형 교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교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교정장치가 변형된 배관 단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교정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변형 교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교정장치의 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교정장치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과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 변형 교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 변형 교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교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 변형 교정장치(1)는 배관의 끝단부를 파지하는 복수의 고정부(300), 고정부(300)의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부(300)를 지지하는 지지부(100), 지지부(100) 상에 위치하는 가압부(210), 및 지지부(100)에 결합되어 가압부(210)에 압력을 전달하는 실린더부(200)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부(210)가 고정부(300) 사이에 놓인 배관의 변형부위를 가압하여 교정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교정대상 배관의 외측에 임의로 철제 빔 등을 용접하여 지지구조를 형성하고, 지지구조에 파워 램 등과 같은 가압공구를 설치하며, 교정작업이 종료된 후 다시 용접된 지지구조를 해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할 필요 없이, 배관 변형 교정장치(1)를 배관에 장착하여 간단히 배관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배관 변형 교정장치(1)의 고정부(300)는 적어도 그 일단부가 배관의 내측에 위치하여 배관 끝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고정부(300)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부(100)와 함께 효과적인 배관 지지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배관 변형 교정장치(1)는 배관 단부의 어느 위치라도 용이하게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며, 종래와 같이 장치 내부로 배관을 수용하여 교정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배관 변형 교정장치(1)를 휴대하여, 배관이 위치한 어느 지점에라도 간단하게 장착한 후 교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배관 변형 교정장치(1)는, 건물이나 선박과 같은 구조물에 설치 중이거나 이미 설치가 끝나 접근이 어려운 환경에 놓인 배관이나, 직경이 큰 배관 등의 변형부위를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으며, 배관의 서로 다른 지점에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변형부위에도 용이하게 접근하여 교정작업을 수행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배관 변형 교정장치(1)의 각 구성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고정부(300)는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배관의 서로 다른 지점을 각각 파지하며, 적어도 한번 이상 굴절된 굴절부위를 갖는 일종의 브래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굴절 형성된 고정부(300)의 일 측에는 배관의 단부를 향해 개방되는 만입부(300a)가 형성된다. 배관의 끝단부는 만입부(300a)에 삽입된다.
배관 끝단부가 만입부(300a)에 삽입되는 때, 고정부(300)의 일단부, 구체적으로, 각 도면상에 도시된 돌출부(310)는 배관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고정부(300)는 배관 끝단부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상에는 'ㄷ'자 형상의 고정부(300)가 도시되었으나, 고정부(300) 형상이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적어도 일부가 배관의 내측에 위치하여 배관 끝단부를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이와 또 다른 형상으로도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고정부(300)가 배관을 파지하여 고정되면, 배관 내측에 위치한 돌출부(310)는 배관과 접촉하면서 배관을 지지한다. 이로써 고정부(300)는 고정부(300)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부(100)와 함께 효과적인 지지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가압부(210)가 배관의 변형부위를 완전히 교정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가압부(210)를 이용한 변형부위의 교정작용 및 고정부(300)와 지지부(100)를 포함하는 지지구조의 지지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부(300)의 내측, 즉, 교정작업 수행시 돌출부(310)와 배관이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접촉부재(311)가 형성된다. 접촉부재(311)는 천연 또는 합성의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배관의 형상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변형되거나 반대로 탄력적으로 복원되면서 배관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접촉부재(311)는 그 전체가 탄성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접촉부재(311)의 변형이 과다하게 일어날 수 있으므로, 그 내부에는 예를 들어, 금속재로 이루어진 중심부재를 삽입하여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접촉부재(311)와 돌출부(310)의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접촉부재(311)가 더욱 탄력적으로 배관을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접촉부재(3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배관 표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다각형의 기둥 형상과 같이 배관과 용이하게 접촉 가능한 또 다른 형상으로도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는 것이며, 도시된 형상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한, 접촉부재(311, 312)는 돌출부(310)와 배관 사이에만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돌출부(310)와 배관이 접촉하는 면의 반대편에도 대칭적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300)는 복수의 접촉부재(311, 312)를 이용하여 배관의 두께 변화에 따라 교정 대상 배관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지지부(100)는 서로 다른 지점에 위치한 고정부(300)를 서로 연결한다. 지지부(100)는 고정부(300) 사이를 연결하되 배관의 외주부를 따라 만곡된 호형의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고정부(300) 사이에 아치(Arch) 형상의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00)의 정점과 지지부(100)의 양 끝단에 위치한 고정부(300) 사이에 적절히 힘의 교환이 이루어져 배관 단부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지지부(100)는 가압부(210) 또는 실린더부(20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각각 배관의 서로 다른 지점을 파지하는 고정부(300)를 균형 있게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00) 전체의 길이는 고정부(300) 사이에 배관의 변형부위가 용이하게 놓일 수 있을 정도의 길이가 되면 충분하다.
지지부(100)의 일 면에는 응력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응력부(110)는 삼각형 또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 측은 지지부(100)를 지지하고, 타 측은 실린더부(200)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관 교정시 지지부(100)에 가해지는 반력(Counterforce)이 응력부(110)를 통해 실린더부(200)로 분산될 뿐만 아니라, 반력에 의해 지지부(100)가 필요이상으로 변형되는 것 역시 방지할 수 있다.
실린더부(200)는 지지부(100)에 결합된다. 실린더부(200)의 내측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가압부(210)를 수용할 수 있으며, 실린더부(200)는 가압부(210)를 수용하는 일종의 하우징 역할을 하여, 가압부(210)는 실린더부(200)에 수용된 채 실린더부(200)의 내측 공간을 따라 직선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즉, 실린더부(200) 및 가압부(210)는 직선상의 변위를 형성하는 선형 액츄에이터(Actuator)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가압부(210)는 실린더부(200) 내측으로 유입되는 작동유체의 유압에 의해 작동 가능하다.
실린더부(200)의 일 측에는 유체를 공급받기 위한 유압포트(200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작동되는 유체펌프를 유압포트(200a)에 연결하여 실린더부(200) 내로 유체를 주입하고 가압부(2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부(210)가 배관을 향해 신장되어 배관의 변형부위를 가압하고 교정작업이 진행된다.
실린더부(200) 및 가압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부(210)는 실린더부(2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실린더부(200) 내측을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린더부(200) 및 가압부(210)의 형상 역시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가압부(210)가 실린더부(200) 내측을 따라 유동 가능한 또 다른 형상으로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고정부(300), 지지부(100) 및 실린더부(200)는 모두 강성을 갖는 소재, 예를 들어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지지구조를 형성 가능한 정도의 강성을 갖는 소재이면 이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또한 고정부(300), 지지부(100) 및 실린더부(200)는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접합과정을 통해 서로 결합된 것일 수 있으나, 접합과정이나 결합과정 없이 서로 일체로 성형된 것일 수도 있다. 고정부(300), 지지부(100) 및 실린더부(200)가 서로 일체로 형성된 경우, 강성이 커져 배관 변형 교정장치(1)가 배관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배관 변형 교정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교정장치가 변형된 배관 단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교정장치의 작동도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관 변형 교정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 대상인 배관(A)의 끝단부를 파지하여 손쉽게 배관에 장착될 수 있다.
배관(A)은 고정부(300)의 만입부(300a) 사이로 삽입되어 용이하게 파지되며, 파지된 배관(A)의 단부 내측에는 돌출부(310)가 위치하게 된다. 돌출부(310)는 접촉부재(311)를 통해 배관(A) 내측과 접촉하면서 배관(A)을 지지한다.
이 때, 만입부(300a)의 폭은 배관(A) 단부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을 만큼 적절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배관 변형 교정장치(1)는 특정한 직경을 갖는 배관(A)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며, 그 단부가 만입부(300a)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다양한 직경의 배관(A)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만입부(300a)의 폭은 필요에 따라 더 넓게 또는 반대로 더 좁게 변경될 수 있으며, 돌출부(310) 또는 접촉부재(311,312)를 유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그 폭이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배관(A)의 단부에는 각각 다른 위치에 서로 다른 크기로 변형이 발생하여 하나 이상의 변형부위(A1, A2, A3)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 변형 교정장치(1)는 배관(A) 전체를 수용하여 교정작업이 이루어지는 구조가 아니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A)의 서로 다른 변형부위(A1, A2, A3) 중 하나에 접근하여 그 단부를 파지함으로써, 용이하게 배관(A)에 장착되어 변형부위(A1)를 교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하나의 변형부위(A1)에 대한 교정이 끝나면, 배관 변형 교정장치(1)를 다른 변형부위(A2, A3)로 옮겨 장착한 후 또다시 교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실린더부(200) 및 가압부(210)는 지지부(100)의 중앙 즉, 지지부(100)가 형성하는 아치형 지지구조의 정점부분에 위치하여 변형부위(A1)를 가압하며, 지지부(100) 및 고정부(300)는 가압부(210)가 변형부위(A1)를 가압하는 동안 배관 변형 교정장치(1)로 전달되는 반력을 견딜 수 있는 지지구조를 형성한다.
이 때, 지지부(100)위에 형성된 응력부(110)는 지지부(10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며, 특히, 배관(A)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부(300)의 일측 즉, 돌출부(310)는 배관(A)과 접하는 지점에서 배관(A)의 법선(Normal) 방향으로 배관(A)을 지지하여 가압부(210)의 압력에 대응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에 대해 상세히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변형 교정장치(1)는 배관(A)의 일 측에 형성된 변형부위(A1)가 각각의 고정부(300)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관(A) 단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압부(210)가 신장되면, 가압부(210)는 변형부위(A1)를 배관(A) 내측을 향해 가압함으로써 배관(A)의 진원도(Roundness/Circularity)를 정상적으로 회복시키는 것이다(화살표 참조).
가압부(210)가 변형부위(A1)를 배관(A) 내측으로 가압하는 동안, 돌출부(310)는 배관(A) 내측에서 접촉부재(311)를 통해 배관(A)과 접촉하며, 접촉부재(311)와 배관(A)이 접하는 지점에서 배관(A) 외측을 향해 배관(A)의 법선(Normal) 방향으로 상기 배관(A)을 지지한다(화살표 참조). 즉, 가압부(210)가 배관(A) 내측으로 가하는 압력은, 돌출부(310)가 배관(A)외측을 향해 배관(A) 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가하는 지지력과 평형을 이루는 것이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배관(A) 변형부위(A1)가 안정적으로 교정되는 것이다. 이 때, 배관(A)의 법선 방향 이라 함은 접촉부재(311)와 배관(A)이 접하는 지점에서 형성되는 배관(A) 외주면 또는 내주면의 접선(Tangential line)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말한다.
배관(A)이 탄성이 강한 소재로 제작된 경우, 이러한 교정작업은 수 시간 이상 지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별도의 부가적인 교정과정은 필요치 않으며, 배관 변형 교정장치(1)를 변형부위(A1)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 만으로 충분하다. 이를 통해 역시 배관(A) 변형부위(A1)를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변형 교정장치(1-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변형 교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교정장치의 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5의 교정장치의 작동도이다.
발명의 요점을 흐리지 않기 위해서,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하여 설명하되, 지지부(100), 응력부(110), 실린더부(200), 가압부(210) 및 고정부(300) 등에 관해 별도로 언급되지 않은 사항은 전술한 설명사항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관 변형 교정장치(1-1)는 고정부(300)가 배관과 구름 접촉을 하는 롤러부(313)를 포함한다. 롤러부(313)는 전술한 실시예의 접촉부재(도 1의 311 참조)에 대응하는 것이나, 고정된 것이 아니며, 회전축 (도 7의 315 참조)에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를 통해 배관 변형 교정장치(1-1)의 교정위치가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고정부(300) 내측에는 고정부(30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314)가 마련된다. 홀더(314)는 고정부(300) 내측에 예를 들어, 홀더(314)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만입된 가이드 홈(도 6의 점선부분 참조)을 형성하고, 이러한 가이드 홈에 홀더(314)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부(30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롤러부(313)는 홀더(314) 내측을 가로지르는 회전축(315)에 결합되어 홀더(314)와 함께 고정부(300) 내측에서 유동이 가능하다.
한편, 롤러부(313)와 돌출부(310) 사이, 구체적으로, 롤러부(313)가 결합된 홀더(314)와 돌출부(31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316)가 결합된다. 따라서, 롤러부(313)는 홀더(314)와 함께 탄력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탄성부재(316)는 예를 들어, 홀더(314)와 돌출부(310)의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롤러부(313), 홀더(314), 및 탄성부재(316)의 결합체는 돌출부(310) 측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10) 측의 맞은편에도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롤러부(313)는 고정부(300) 내측에서 탄력적으로 유동되면서 서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롤러부(313)를 포함하는 배관 변형 교정장치(1-1)의 경우, 배관(A) 단부를 파지한 후, 롤러부(313)의 구름 접촉을 통해 이동하여 교정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관 변형 교정장치(1-1)는 탄력적으로 유동 가능한 롤러부(313)를 이용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A) 단부를 손쉽게 파지할 수 있다. 이 때, 실린더부(200) 및 가압부(210)가 위치한 배관 변형 교정장치(1-1)의 교정중심(도면상의 b 참조)과 배관(A)에 발생한 변형부위(A1)의 변형중심(도면상의 a 참조)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변형 교정장치(1-1)를 변형부위(A1)를 향해 이동시켜 교정중심과 변형중심이 같은 선상에 놓이도록 일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배관 변형 교정장치(1-1)를 변형부위(A1)위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해 장착된 교정장치를 배관(A)에서 다시 분리할 필요가 없고, 장착시에도 교정중심과 변형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없으며, 단지 교정장치를 배관(A) 단부에 간편하게 파지시킨 후에, 배관 변형 교정장치(1-1)를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교정지점에 교정장치를 정확히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점을 통해 변형된 배관(A)을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으며, 배관(A)위에 여러 개의 변형부위가 형성된 경우에도 배관 변형 교정장치(1-1)를 변형부위마다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교정작업을 반복할 수 있어, 역시 용이하게 배관(A) 교정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1: 배관 변형 교정장치 100: 지지부
110: 응력부 200: 실린더부
200a: 유압포트 210: 가압부
300: 고정부 300a: 만입부
310: 돌출부 311, 312: 접촉부재
313: 롤러부 314: 홀더
315: 회전축 316: 탄성부재
A: 배관 A1~A3: 변형부위

Claims (8)

  1. 적어도 일단부가 배관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배관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만입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관을 향하여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에 압력을 전달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부가 상기 고정부 사이의 상기 배관을 가압하는 배관 변형 교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관을 따라 만곡되어 형성된 배관 변형 교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관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배관과 접하는 점에서 상기 배관의 법선 방향으로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변형 교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배관과 접하는 면에 접촉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관 변형 교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배관과 구름 접촉을 하는 롤러부인 배관 변형 교정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관 변형 교정 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는 폭이 조절되는 배관 변형 교정장치.
KR1020120111137A 2012-10-08 2012-10-08 배관 변형 교정장치 KR101444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137A KR101444317B1 (ko) 2012-10-08 2012-10-08 배관 변형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137A KR101444317B1 (ko) 2012-10-08 2012-10-08 배관 변형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064A KR20140045064A (ko) 2014-04-16
KR101444317B1 true KR101444317B1 (ko) 2014-09-26

Family

ID=5065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137A KR101444317B1 (ko) 2012-10-08 2012-10-08 배관 변형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3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214U (ko) 2017-07-17 2019-0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
KR102176904B1 (ko) 2020-08-19 2020-11-10 두성산업 (주) 매니폴드용 반자동 교정장치
KR102595334B1 (ko) * 2023-05-17 2023-10-31 피아이테크 주식회사 소재 교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45690B (zh) * 2021-05-06 2024-03-08 安徽智扬门业股份有限公司 基于不锈钢门加工的钢管切割口整形装置及整形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8420A (ja) * 1999-07-29 2001-02-13 Toshiba Corp パイプ成形治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8420A (ja) * 1999-07-29 2001-02-13 Toshiba Corp パイプ成形治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214U (ko) 2017-07-17 2019-0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
KR102176904B1 (ko) 2020-08-19 2020-11-10 두성산업 (주) 매니폴드용 반자동 교정장치
KR102595334B1 (ko) * 2023-05-17 2023-10-31 피아이테크 주식회사 소재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064A (ko)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317B1 (ko) 배관 변형 교정장치
US20130174395A1 (en) Pipe press-connecting apparatus
WO2013089118A1 (ja) 配管接続用クランプ
US4313330A (en) Pipe bending apparatus
JP6120401B2 (ja) 内張り材の端部処理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内張り材の端部処理具
JP6447970B2 (ja) ホース自動締結装置
US10543584B2 (en) Clamp apparatus
KR101697517B1 (ko) 철근 연결장치
CN104308432B (zh) 焊接定位工装
WO1997016267A1 (en) Flexible shoe for a bending machine
JP2013194780A (ja) 配管固定具とその使用方法
US9789527B2 (en) Tube bending tool
KR101569611B1 (ko) 밀착수단 및 이를 이용한 하이드로포밍용 튜브 클램핑 유닛
CN112692855B (zh) 夹具
TWI717039B (zh) 用於拆卸及安裝碟煞卡鉗彈簧之工具
JP7284834B2 (ja) プロファイルクランプを予め配置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接続システム
JP6823543B2 (ja) グランドパッキン挿入治具
JP5840664B2 (ja) シートクリップ
JPH07222321A (ja) ケーブル曲げ装置
KR20180113340A (ko) 사각파이프의 벤딩장치
KR101001534B1 (ko) 배관 접속용 압착공구
KR200492448Y1 (ko) 무용접 배관 피팅용 유압식 조립장치
JPH09323128A (ja) 金属製パイプの曲げ加工装置
KR200467666Y1 (ko) 파이프 조립시 타원 조정용 지그
KR101116505B1 (ko) 밴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