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214U -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214U
KR20190000214U KR2020170003702U KR20170003702U KR20190000214U KR 20190000214 U KR20190000214 U KR 20190000214U KR 2020170003702 U KR2020170003702 U KR 2020170003702U KR 20170003702 U KR20170003702 U KR 20170003702U KR 20190000214 U KR20190000214 U KR 201900002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oundness
main body
adjust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672Y1 (ko
Inventor
김기백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3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67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2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2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6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14Recont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16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of specific articles made from metal rods, tubes, or profiles, e.g. crankshafts, by specially adapted methods 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는 본체, 본체와 연결되고, 배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고정부, 본체와 연결되고, 배관의 외주면과 접하여 배관의 진원도를 조절하는 진원도 조절부 및 본체와 연결되고, 배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고정부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ROUNDNESS OF PIPE}
본 고안은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구조물에는 배관이 설치된다. 이러한 배관은 내부가 빈 관재들이 다양한 종류의 결합 방법(예를 들어, 용접 또는 결합 볼트를 이용한 볼트 결합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배관을 구성하는 관재들은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배관의 단부에 변형(deformation)이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은 배관의 진원도(roundness) 불량을 야기하므로, 배관을 서로 연결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44317호의 "배관 변형 교정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44317호의 "배관 변형 교정장치"는 배관의 끝단부를 파지할 수 있는 일종의 지그인 고정부에 의해 배관의 끝단부가 파지된 상태에서, 배관이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배관의 변형부위가 교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관 변형 교정장치는 고정부가 파지할 수 있는 배관의 직경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직경을 갖는 배관의 진원도를 모두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관의 직경이 커질수록 배관의 끝단부를 파지하는 고정부의 크기도 커져야 하므로, 배관 변형 교정장치의 크기 및 중량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배관 변형 교정장치의 휴대성 및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44317호 (2014.09.18. 등록)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직경을 갖는 배관의 진원도를 조절할 수 있고, 휴대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배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고정부,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배관의 외주면과 접하여 상기 배관의 진원도를 조절하는 진원도 조절부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배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상기 고정부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는,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원도 조절부는, 상기 배관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 일단이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배관과 상기 본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두 개의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 및 상기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 간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좁아지도록 상기 상기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나사축 및 상기 이동축 및 상기 나사축이 삽입되고, 상기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축과 함께 상기 나사축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이동축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 1 가이드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이동축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 2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는 다양한 직경을 갖는 배관의 진원도를 조절할 수 있고, 휴대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가 배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의 본체 및 장력 조절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의 진원도 조절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의 본체 및 장력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가 배관의 진원도를 조절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1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가 배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의 본체 및 장력 조절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의 진원도 조절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의 본체 및 장력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10)는 본체(100), 고정부(200), 진원도 조절부(300) 및 장력 조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배관(20)의 외주면 중 진원도 조절이 필요한 외주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0)는 지면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되거나, 별도의 리프팅 수단(미도시)에 의해 공중에 들어올려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고정부(200)가 연결되는 고정부 연결부(110) 및 진원도 조절부(300)가 연결되는 진원도 조절부 연결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 연결부(110)는 고정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 연결부(110)는 진원도 조절부 연결부(12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후술할 고정부(200)의 제 1 부분(210)이 수용될 수 있도록 홈(11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홈(111)에는 고정부(200)의 제 1 부분(210)이 걸릴 수 있는 고정축(112)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축(112)의 양단부는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홈(111)의 내측 벽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본체(100)의 폭방향"은 도 1의 x축 방향을 의미한다.
진원도 조절부 연결부(120)는 진원도 조절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진원도 조절부 연결부(120)는 고정부 연결부(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일측면에는 진원도 조절부(300)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진원도 조절부(300)가 고정된 측의 반대측에는 내측으로 만입된 홈(1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홈(121)에 의해 본체(100)의 전체적인 형상이 아치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본체(100)가 받는 배관(20)의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고정부(200)는 배관(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200)는 고정부 연결부(110)에 구비된 고정축(112)에 걸리도록 제공되는 제 1 부분(210), 배관(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감기도록 제공되는 제 2 부분(220) 및 제 1 부분(210)과 제 2 부분(220) 사이에 제공되는 제 3 부분(2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1 부분(210), 제 2 부분(220) 및 제 3 부분(230)의 합, 즉, 고정부(200)의 길이는 다양한 직경의 배관(20)의 외주면을 무리 없이 둘러쌀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00)는 일 예로 섬유 재질 또는 가죽 재질로 이루어진 슬링 벨트일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200)는 체인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부분(210)은 고정부 연결부(110)에 구비된 고정축(112)의 외주면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부분(210)은 고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1 부분(210)은 고정축(112)에 결합된 풀리(미도시)의 외주면에 감기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부분(220)은 배관(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이러한 제 2 부분(220)은 제 3 부분(23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 3 부분(23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제 2 부분(220)이 지속적으로 배관(2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배관(20)의 외주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마모되더라도, 제 2 부분(22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3 부분(230)은 제 1 부분(210)과 제 2 부분(220) 사이에 구비되는 부분으로, 제 1 부분(210) 및 제 2 부분(22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 1 부분(210) 및 제 2 부분(2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부분(230)이 후술할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410)의 가압부(412)와 지속적으로 접촉되어 마모되더라도, 제 3 부분(23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원도 조절부(300)는 배관(20)의 외주면과 접하여 배관(20)의 진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진원도 조절부(300)는 본체(100)의 진원도 조절부 연결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원도 조절부(300)는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310), 구동부(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310)는 배관(20)의 외주면 중 진원도 조절이 필요한 외주면을 가압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진원도 조절이 필요한 외주면이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310)에 의해 가압되면, 진원도 조절이 필요한 외주면이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310)에 의해 가압되어 형상이 변경됨으로써, 배관(20)의 진원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310)는 구동부(320)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130)는 배관(20)의 외주면을 따라 만곡된 호형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310) 내측면에는 완충 패드가 설치됨으로써,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310)로 인한 배관(2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320)는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310)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320)의 일측은 본체(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은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3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320)는 유압 구동 장치일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동부(320)는 공압 구동 장치, 잭나사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330)는 구동부(320)를 제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30)에는 배관(20)의 진원도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거나,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제어부(330)는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310)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장력 조절부(400)는 배관(20)과 본체(100)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부(200)의 제 3 부분(230)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배관(2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고정부(2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장력 조절부(400)는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410), 이동부(420) 및 가이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410)는 본체(100)와 배관(20)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부(200)의 제 3 부분(230)을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410)는 본체(100)의 진원도 조절부 연결부(120)의 양측에 구비된 고정부 연결부(110)에 제공됨으로써, 서로 대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410)는 후술할 이동 블록(423)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410)는 이동 블록(423)에 연결되고 바 형상을 갖는 연결부(411) 및 연결부(411)와 연결되어 고정부(200)의 제 3 부분(230)을 가압하도록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가압부(412)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가압부(412)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부(200)의 제 3 부분(230)을 충분히 가압해줄 수 있는 형상이라면, 모두 가압부(412)의 형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동부(420)는 본체(100)와 배관(20)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는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410) 간의 간격이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410)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420)는 이동축(421), 나사축(422) 및 이동 블록(4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축(421)은 나사축(422)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축(421)은 본체(100)의 고정부 연결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동축(421)의 양단부는 본체(100)의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홈(111)의 내측 벽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폭방향"은 도 1의 x축 방향을 의미한다.
나사축(422)은 이동축(421)을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나사축(422)의 일단부는 별도의 나사축 구동부(미도시)과 연결되어 나사축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고, 나사축(422)의 타단부는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나사축(422)은 본체(100)의 고정부 연결부(1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고정부 연결부(110)에서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0)의 길이방향"은 도 1의 z축 방향일 수 있다. 일 예로, 나사축(422)은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축 구동부에 의해 나사축(422)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진원도 조절부 연결부(120)의 일측에 위치한 고정부 연결부(110)에 구비된 이동축(421)과 진원도 조절부 연결부(120)의 타측에 위치한 고정부 연결부(110)에 구비된 이동축(421)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구동부에 의해 나사축(422)이 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진원도 조절부 연결부(120)의 일측에 위치한 고정부 연결부(110)에 구비된 이동축(421)과 진원도 조절부 연결부(120)의 타측에 위치한 고정부 연결부(110)에 구비된 이동축(421)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이동축(421)이 나사축(422)의 회전에 의해 직선 이동되기 위해서는, 나사축(422)의 회전력이 이동 블록(423)을 통해 이동축(421)에 전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동축(421)과 나사축(422)은 이동 블록(42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블록(423)은 나사축(422)을 따라 직선 이동됨에 따라, 이동축(421)을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블록(423)은 이동축(421) 및 나사축(422)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이동축(421)은 이동 블록(423)의 삽입홀(미도시)에 삽입되어 이동 블록(423)에 고정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나사축(422)은 이동 블록(423)의 나사홀(미도시)의 내주면에 구비된 암나사와 나사 결합됨으로써, 이동 블록(423)의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블록(423)의 외측면에는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410)가 체결됨으로써, 직선 이동되는 이동축(421)과 함께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410)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이동축(421) 및 이동 블록(423)의 직선 이동에 의해, 본체(100)와 배관(20) 사이에서 서로 대향하는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410) 간의 간격이 결정될 수 있으며, 나사축(422)과 이동 블록(423)은 암-수 나사 결합되므로, 그 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블록(423)의 외측면에는 고정축(112)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홈(423a)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블록(423)이 나사축(422)을 따라 직선 이동되는 과정에서 고정축(112)을 만나게 되더라도, 고정축(112)의 외주면의 일부가 이동 블록(423)의 홈(423a)에 수용되므로, 이동 블록(423)의 직선 이동이 고정축(112)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블록(423)의 직선 이동은 가이드부(43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430)는 제 1 가이드(431) 제 2 가이드(4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가이드(431)는 본체(100)의 고정부 연결부(110)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가이드(431)는 가이드 레일, 가이드 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 2 가이드(432)는 이동축(421)의 양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2 가이드(432)는 제 1 가이드(431)에 계합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이드 블록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에 있어서는, 제 1 가이드(431)가 본체(100)의 고정부 연결부(110)에 구비되고, 제 2 가이드(432)가 이동축(421)에 구비되는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가이드(431)는 이동축(421)에 구비되고, 제 2 가이드(432)는 본체(100)의 고정부 연결부(1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가 배관의 진원도를 조절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배관(20)의 단부에 변형이 발생한 경우, 배관(20)의 진원도를 조절하기 위해, 배관(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부(200)의 제 2 부분(220)으로 감싼다.
배관(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부(200)의 제 2 부분(220)에 의해 감싸지면, 나사축 구동부(미도시)를 구동시켜서 나사축(422)을 회전시킨다.
나사축(422)이 회전되면, 진원도 조절부 연결부(120)의 일측에 위치한 고정부 연결부(110)에 구비된 이동축(421) 및 이동 블록(423)과 진원도 조절부 연결부(120)의 타측에 위치한 고정부 연결부(110)에 구비된 이동축(421) 및 이동 블록(423)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0)와 배관(20)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부(200)의 제 3 부분(230) 간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으며, 이로써, 배관(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와 고정부(200)의 제 2 부분(220)이 밀착될 수 있다.
배관(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와 고정부(200)의 제 2 부분(220)이 밀착되어 배관(20)이 고정부(200)에 의해 고정되면, 구동부(320)를 구동시켜서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310)를 배관(20)의 외주면 중 진원도 조절이 필요한 외주면에 밀착시킨다.
그 후, 구동부(320)를 계속 구동시키면,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310)에 의해 진원도 조절이 필요한 외주면이 가압됨에 따라, 형상이 변경되어 배관(20)의 진원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10)에 따르면, 별도의 장치 없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배관(20)들의 외주면을 무리 없이 둘러쌀 수 있는 고정부(200)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배관(20)들의 진원도를 모두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10)의 크기 및 중량의 증가가 수반되지 않으며, 나아가,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10)의 휴대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 100: 본체
110: 고정부 연결부 111, 121, 423a: 홈
112: 고정축 120: 진원도 조절부 연결부
200: 고정부 210: 제 1 부분
220: 제 2 부분 230: 제 3 부분
300: 진원도 조절부 310: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
320: 구동부 330: 제어부
400: 장력 조절부 410: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
411: 연결부 412: 가압부
420: 이동부 421: 이동축
422: 나사축 423: 이동 블록
430: 가이드부 431: 제 1 가이드
432: 제 2 가이드

Claims (5)

  1.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배관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고정부;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배관의 외주면과 접하여 상기 배관의 진원도를 조절하는 진원도 조절부;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배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상기 고정부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는,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원도 조절부는,
    상기 배관의 외주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
    일단이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진원도 조절용 가압 부재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배관과 상기 본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두 개의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 및
    상기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 간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좁아지도록 상기 상기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나사축; 및
    상기 이동축 및 상기 나사축이 삽입되고, 상기 장력 조절용 가압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이동축과 함께 상기 나사축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블록을 포함하는,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이동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이동축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 1 가이드; 및
    상기 본체 및 상기 이동축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 2 가이드를 포함하는,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
KR2020170003702U 2017-07-17 2017-07-17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 KR2004886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702U KR200488672Y1 (ko) 2017-07-17 2017-07-17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702U KR200488672Y1 (ko) 2017-07-17 2017-07-17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14U true KR20190000214U (ko) 2019-01-25
KR200488672Y1 KR200488672Y1 (ko) 2019-03-06

Family

ID=6526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702U KR200488672Y1 (ko) 2017-07-17 2017-07-17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67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317B1 (ko) 2012-10-08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변형 교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2048B2 (ja) * 1995-02-28 2003-03-04 株式会社東芝 パイプの真円度矯正用クランプ装置
KR101686212B1 (ko) * 2015-06-03 2016-12-13 한국주철관공업주식회사 파이프 진원 형상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317B1 (ko) 2012-10-08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변형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672Y1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813B1 (ko) 파이프 자동가공장치
US10508668B2 (en) Pipe-connecting clamp
US9702208B2 (en) Replaceably lined cable guides and tensioning roller for drill line slip and cut operations on a drilling rig
US9180576B2 (en) Hose clamp pliers
KR101363511B1 (ko) 배관 용접부의 그라인딩 장치
KR101324502B1 (ko) 와이어 로프를 이용하는 착용형 근력증폭장치
KR101052512B1 (ko) 와이어의 정렬장치
US20100107823A1 (en) Hose Clamp Pliers
JPH06344140A (ja) 配管自動溶接装置
KR200488672Y1 (ko) 배관 진원도 조절 장치
CA2356822C (en) Welding carriage
US7175162B1 (en) Screw driven hoist
US20030088962A1 (en) Press tool and method for connecting workpieces by cold forming
KR102076579B1 (ko) 파이프용 와이어 권취장치
KR101935603B1 (ko) 배관 진원도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180118930A (ko) 파이프 밴딩 장치
KR101616370B1 (ko) 파이프 개선 장치 및 파이프 개선 방법
KR101303932B1 (ko) 플랜지 가공장치
US4092928A (en) Traveling support apparatus
KR101009032B1 (ko) 와이어 로프 유도장치
JP2019144096A (ja) 制動試験装置及び制動試験方法
JP5211709B2 (ja) ワイヤ張力付与装置
KR100687818B1 (ko) 파이프용 자동용접장치의 레일 장치
JP7285137B2 (ja) 可動子およびローラガイド装置
KR20160078685A (ko) 부재 절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