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634B1 -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634B1
KR101707634B1 KR1020160091631A KR20160091631A KR101707634B1 KR 101707634 B1 KR101707634 B1 KR 101707634B1 KR 1020160091631 A KR1020160091631 A KR 1020160091631A KR 20160091631 A KR20160091631 A KR 20160091631A KR 101707634 B1 KR101707634 B1 KR 101707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plate
connection
bol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김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규 filed Critical 김성규
Priority to KR1020160091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부구를 서로 결합하여 부구 조립체를 조립할 때, 부구 연결부의 결합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부구 조립체의 조립 작업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연결부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있게 구성된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CONNECTION COMBINATION STRUCTURE OF FLOAT ASSEMBLY}
본 발명은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부구를 서로 결합하여 부구 조립체를 조립할 때, 부구 연결부의 결합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부구 조립체의 조립 작업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연결부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있게 구성된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수상구조물은 부구를 조립하여 부두선착장, 요트계류장, 해상공원에서 접안시설물로 사용되거나, 가두리양식장에서 어망을 띄어서 지지하는 부양시설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부구 조립체는 다수의 부구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부구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부구는 박스형으로 되어 있고, 수직 가장자리부에 각각 연결부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구는 인접한 부구의 연결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볼트를 연결부에 투입하여 연결부의 하측에 위치한 너트에 체결시켜줌으로써, 부구를 서로 결합하여 부구 조립체를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부구를 서로 결합하기 위해, 작업자가 너트를 파지한 상태에서 너트를 연결부의 하측에 위치시킨 다음, 연결부의 상측에서 볼트를 체결시켜야 했다. 따라서, 종래에는 너트를 연결부의 체결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번거로웠을 뿐만 아니라, 볼트가 너트에 체결이 완료될 때까지 너트를 계속 파지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힘들고 작업성 또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중에서 부구를 조립하는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부구를 서로 결합하여 부구 조립체를 조립할 때, 부구 연결부의 결합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부구 조립체의 조립 작업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연결부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있게 구성된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구의 연결부 결합구조는 박스형으로 구성되고 수직 가장자리부에 각각 연결부가 형성된 다수의 부구를 4면이 서로 맞닿게 배치하여 겹쳐지는 연결부를 서로 결합하여 조립되는 부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겹쳐진 연결부 중 하부에 위치한 연결부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겹쳐진 연결부의 상측에서 볼트를 투입하여, 상기 연결부에 끼움 고정된 고정너트에 체결시켜줌으로써 부구의 연결부를 서로 결합하여, 부구 조립체를 조립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중앙에 끼움공이 형성된 연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너트는 상기 연결판의 저면에 밀착되고 중앙에 상기 끼움공과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의 암나사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통공과 연통되게 마련되는 너트로 구성되며, 상기 볼트는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밀착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너트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측단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방수직판과, 상기 측방수직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측방절곡편과, 상기 측방수직판 및 측방절곡편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의 측단부가 가이드 끼움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베이스판의 후단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후방수직판과, 상기 후방수직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후방절곡편과, 상기 후방수직판 및 후방절곡편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의 후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의 후단부는 볼록하게 라운드진 볼록 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후단부, 후방수직판 및 후방절곡편은 상기 라운드부와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이 상기 볼록 라운드부에 대응되게 오목 라운드홈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판의 볼록 라운드부가 오목 라운드홈으로 용이하게 끼워져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볼트의 머리부는, 외주면에 육각형상의 각면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육각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그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의 후방 하면에는 내부로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후면에는 나사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나사체결공과 대응되는 나사투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투입공을 통해 나사가 투입된 다음 상기 나사체결공에 체결되어 베이스판과 연결판을 결합시키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는 상기 연결부에 볼트가 체결되는 고정너트가 끼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볼트가 너트에 체결이 완료될 때까지 너트를 계속 파지하고 있어야 할 필요 없이, 연결부에 고정된 고정너트에 볼트를 용이하게 체결하여 부구를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볼트를 고정너트에 체결하기만 하면 연결부가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부구의 결합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부구 조립체의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에 사용되는 고정너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에 사용되는 볼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에서 연결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에서 연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에 사용되는 고정너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에 사용되는 볼트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에서 연결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에서 연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부구를 조립하여 부두선착장, 요트계류장, 해상공원에서 접안시설물로 사용되거나, 가두리양식장에서 어망을 띄어서 지지하는 부양시설물 등을 만드는 부구 조립체에 적용되는 것으로, 부구를 서로 결합하여 부구 조립체를 조립할 때, 부구 연결부의 결합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부구 조립체의 조립 작업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연결부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있게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구 조립체는 박스형으로 구성되고 수직 가장자리부에 각각 연결부(11)가 형성된 다수의 부구(10)를 4면이 서로 맞닿게 배치하여 겹쳐지는 연결부(11)를 서로 결합하여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1)는 고리 형태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나, 상기 연결부는 중앙에 끼움공(11a)이 형성된 연결판(11)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상기 겹쳐진 연결부 중 하부에 위치한 연결부(11)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너트(1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11)에 고정너트(100)가 끼움 고정되어, 종래와 같이 볼트가 너트에 체결이 완료될 때까지 너트를 계속 파지하고 있어야 할 필요 없이, 연결부(11)에 고정된 고정너트(100)에 후술하는 볼트(200)를 체결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볼트(200)를 고정너트(100)에 체결하기만 하면 연결부(11)가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부구(10)의 결합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부구 조립체의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너트(100)는 상기 연결판(11)의 저면에 밀착되고 중앙에 상기 끼움공(11a)과 대응되는 통공(111)이 형성되는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11)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120)와, 상기 베이스판(110)의 하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의 암나사부(131)가 상기 베이스판의 통공(111)과 연통되게 마련되는 너트(1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너트(100)는 상기 끼움부(120)를 통해 연결판(11)에 끼움 결합되고, 연결판(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의 암나사부(131)로 후술하는 볼트(200)가 체결되어 연결부를 결합시키게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끼움부(120)는, 상기 베이스판(110)의 측단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방수직판(121)과, 상기 측방수직판(121)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측방절곡편(122)과, 상기 측방수직판(121) 및 측방절곡편(122)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11)의 측단부가 가이드 끼움되는 가이드홈(123)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후단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후방수직판(124)과, 상기 후방수직판(124)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후방절곡편(125)과, 상기 후방수직판(124) 및 후방절곡편(125)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11)의 후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12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판(11)의 후단부는 볼록하게 라운드진 볼록 라운드부(R1)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130)의 후단부, 후방수직판(124) 및 후방절곡편(125)은 상기 볼록 라운드부(R1)와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26)이 상기 볼록 라운드부(R1)에 대응되게 오목 라운드홈(R2)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연결판의 볼록 라운드부(R1)가 오목 라운드홈(R2)으로 용이하게 끼워져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연결판(11)에 고정너트(100)를 결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겹쳐진 연결부(11)의 상측에서 볼트(200)를 투입하여, 상기 연결부(11)에 끼움 고정된 고정너트(100)에 체결시켜줌으로써 부구의 연결부(11)를 서로 결합하여, 부구 조립체를 조립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200)는 상기 연결부(11)의 상부에 밀착되는 머리부(210) 및 상기 머리부(21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너트의 암나사부(131)에 체결되는 수나사부(2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머리부(210)는 볼트(200)를 체결시키기 위해 공구가 결합되거나 연결부(11)의 상부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이고, 상기 수나사부(220)는 겹쳐진 연결판의 끼움공(11a)에 끼워진 다음, 너트의 암나사부(131)에 체결되는 부분이다.
나아가, 상기 볼트의 머리부(210)는, 외주면에 육각형상의 각면(211)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육각홈(2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머리부(210)는 외주면을 육각형의 각면(211)을 구성시켜 멍키스패너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머리부 내측으로 육각홈(212)을 형성하여 렌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볼트(200)를 고정너트(100)에 체결할 때, 멍키스패너와 렌치를 모두 사용하여 머리부(210)를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되고, 특히 체결공간이 비좁은 곳 또는 육각형상의 각면이 파열되어 멍키스패너를 이용하지 못할 때에는 렌치를 머리부의 중앙에 형성된 육각홈(212)에 끼워 넣고 렌치를 회전하게 되면 렌치에 의해 머리부(210)와 수나사부(220)가 회전되면서 볼트(220)를 풀거나 조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110)에는 그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11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11)의 후방 하면에는 내부로 상기 끼움돌기(11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부(11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너트(100)가 연결판(11)으로 삽입될 때, 베이스판(110)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112)가 연결판의 고정홈부(11b)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너트(100)의 전방이 전후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110)의 후면에는 나사체결공(11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11)에는 상기 나사체결공(113)과 대응되는 나사투입공(11c)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투입공(11c)을 통해 나사가 투입된 다음 상기 나사체결공(113)에 체결되어 베이스판(110)과 연결판(11)을 결합시키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베이스판(110)과 연결판(11)을 나사(S)를 통해 결합시켜 고정너트(100)가 연결판(11) 상에서 분리되거나 유동되지 않게 견고히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부구 조립체는, 먼저, 연결부(11)가 형성된 다수의 부구(10)를 4면이 서로 맞닿게 배치하여 겹쳐지는 연결부(11)를 서로 결합하여 조립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겹쳐진 연결부 중 하부에 위치한 연결부(11)에 고정너트(100)를 끼움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겹쳐진 연결부(11)의 상측에서 볼트(200)를 투입하여, 상기 연결부(11)에 끼움 고정된 고정너트(100)에 체결시켜줌으로써 부구의 연결부(11)를 서로 결합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닿게 배치하여 겹쳐지는 연결부(11)를 고정너트(100) 및 볼트(200)를 통해 서로 결합하여 부구를 연속적으로 결합하면 부구 조립체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는 상기 연결부(11)에 볼트(200)가 체결되는 고정너트(100)가 끼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볼트가 너트에 체결이 완료될 때까지 너트를 계속 파지하고 있어야 할 필요 없이, 연결부(11)에 고정된 고정너트(100)에 볼트(200)를 용이하게 체결하여 부구를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볼트(200)를 고정너트(100)에 체결하기만 하면 연결부(11)가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부구(10)의 결합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부구 조립체의 조립 작업성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부구 11: 연결부
100: 고정너트 200: 볼트

Claims (5)

  1. 박스형으로 구성되고 수직 가장자리부에 각각 연결부가 형성된 다수의 부구를 4면이 서로 맞닿게 배치하여 겹쳐지는 연결부를 서로 결합하여 조립되는 부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겹쳐진 연결부 중 하부에 위치한 연결부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겹쳐진 연결부의 상측에서 볼트를 투입하여, 상기 연결부에 끼움 고정된 고정너트에 체결시켜줌으로써 부구의 연결부를 서로 결합하여, 부구 조립체를 조립하게 구성되되,
    상기 연결부는 중앙에 끼움공이 형성된 연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너트는 상기 연결판의 저면에 밀착되고 중앙에 상기 끼움공과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의 암나사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통공과 연통되게 마련되는 너트로 구성되며,
    상기 볼트는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밀착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너트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측단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방수직판과, 상기 측방수직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측방절곡편과, 상기 측방수직판 및 측방절곡편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의 측단부가 가이드 끼움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베이스판의 후단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후방수직판과, 상기 후방수직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후방절곡편과, 상기 후방수직판 및 후방절곡편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의 후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후단부는 볼록하게 라운드진 볼록 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후단부, 후방수직판 및 후방절곡편은 상기 라운드부와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이 상기 볼록 라운드부에 대응되게 오목 라운드홈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판의 볼록 라운드부가 오목 라운드홈으로 용이하게 끼워져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볼트의 머리부는, 외주면에 육각형상의 각면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육각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에는 그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의 후방 하면에는 내부로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후면에는 나사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나사체결공과 대응되는 나사투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투입공을 통해 나사가 투입된 다음 상기 나사체결공에 체결되어 베이스판과 연결판을 결합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
KR1020160091631A 2016-07-19 2016-07-19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 KR101707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631A KR101707634B1 (ko) 2016-07-19 2016-07-19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631A KR101707634B1 (ko) 2016-07-19 2016-07-19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634B1 true KR101707634B1 (ko) 2017-02-16

Family

ID=5826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631A KR101707634B1 (ko) 2016-07-19 2016-07-19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6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98A (ja) * 1991-02-07 1993-01-14 Yamaha Motor Co Ltd 水上浮体の結合装置
KR960009419Y1 (ko) * 1993-05-27 1996-10-21 럭키건축건재 주식회사 건축용 내장판재 고정장치
JP2015098898A (ja) * 2013-11-19 2015-05-28 株式会社晃和 座金一体型ナ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98A (ja) * 1991-02-07 1993-01-14 Yamaha Motor Co Ltd 水上浮体の結合装置
KR960009419Y1 (ko) * 1993-05-27 1996-10-21 럭키건축건재 주식회사 건축용 내장판재 고정장치
JP2015098898A (ja) * 2013-11-19 2015-05-28 株式会社晃和 座金一体型ナ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7107B2 (en) Shielding connector apparatus
JP5801705B2 (ja) 防水コネクタ接続構造
CN101849329B (zh) 供设备使用的连接器
WO2016121454A1 (ja) コネクタ装置
US11050183B2 (en) Electrical device
WO2013061698A1 (ja) 車両側コネクタ
JP2012221613A (ja) 車両側コネクタ
US20120125074A1 (en) Tool head device for crimping rings and clamps
US9851024B2 (en) Pass through fitting for cables and the like
KR101734527B1 (ko) 수상 구조물용 부력체
JP2018181518A (ja) 開口封止部材及び電気機器
KR101707634B1 (ko) 부구 조립체의 연결부 결합구조
JP2006031962A (ja) 機器用コネクタ
CN208045844U (zh) 水下连接器的防误插组件
JP2016046180A (ja) 充電用インレット
KR101666558B1 (ko) 마감재 설치구조가 구비된 부구 조립체
KR101813572B1 (ko) 플로트의 볼트체결구조
JP2010146888A (ja) コネクタ用固定具
US20100072328A1 (en) Quick mount anchor system
KR102365384B1 (ko) 낚시보트 고정용 폴대 연결구 조립체
KR20060133391A (ko) 프로펠러 관측용 광학 장치 및 그것을 갖춘 선박
US5630731A (en) Waterproof connector
CN211375054U (zh) 一种船艇合成孔径声呐搭载装置
KR200439270Y1 (ko) 그로멧
CN209804972U (zh) 一种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