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481B1 -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481B1
KR101707481B1 KR1020140130952A KR20140130952A KR101707481B1 KR 101707481 B1 KR101707481 B1 KR 101707481B1 KR 1020140130952 A KR1020140130952 A KR 1020140130952A KR 20140130952 A KR20140130952 A KR 20140130952A KR 101707481 B1 KR101707481 B1 KR 101707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noodles
functional
ginseng leaf
leaf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1071A (ko
Inventor
김선영
유정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13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481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와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인삼 수확과정에서 버려지는 인삼잎을 활용함으로써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인삼잎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영양뿐만 아니라 맛과 향이 증진된 기능성 면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인삼잎 추출물의 추출 효율성이 우수하고 관능적 특성의 저하를 예방하는 인삼잎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 및 이의 제조방법{FUNCTIONAL NOODLES COMPRISING EXTRACTS OF GINSENG LEAF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명세서에는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와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인삼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은 면역, 항암, 항산화, 항당뇨 활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의학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효과는 주로 인삼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라 불리우는 트리테르페노이드 글루코사이드(triterpenoid glucoside)에 기인한다.
진세노사이드는 1960년대 초반에 분리되어 생리학적, 약리학적 연구에 널리 이용되었으며,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40 개 이상의 진세노사이드가 인삼 뿌리에서 분리되었다. 진세노사이드는 아글리콘(aglycon)의 구조에 따라 크게 프로토파낙사디올(glucosides of protopanaxadiol, PPD-type ginsenosides, Ra1, Ra2, Ra3, Rb1, Rb2, Rb3, Rc, Rd, Rg3), 프로토파낙사트리올(glucosides of protopanaxatriol, PPT-type ginsenosides, Re, Rf, Rgl, Rg2) 및 올레아난(Oleanane-type ginsenosides) 세 가지로 나뉜다.
이외에도, 인삼에는 다당체, 폴리아세틸렌계 및 페놀계 화합물, 정유성분, 펩타이드, 알카로이드, 비타민 등 생리활성을 가진 다양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약재로 사용되는 인삼은 거의 대부분 뿌리 부분이며, 줄기와 잎은 거의 사용되어지지 않는다. 인삼 수확과정에서 거의 폐기처분되는 인삼잎에도 인삼의 유효성분이 미량이지만 거의 모두 포함되어 있어 한방에서는 항이뇨 작용, 혈당강하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인삼잎이 크게 활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인삼잎에는 사포닌과 각종 효소들이 함유되어 있는데, 더욱 구체적으로, 인삼 뿌리에 함유된 사포닌 성분 중 진세노사이드 Rd, Re, Rg1 등의 성분이 메이저사포닌 성분으로 검출된 바가 있으며, Rb1, Rb2, Rc, Rf, Rg2 등이 마이너사포닌 성분으로 검출된 바가 있다. 한편, 인삼잎에는 인삼 뿌리에 함유된 사포닌 성분 외에도, 진세노사이드 F1, F2, F3, F6a, F6bc 등 인삼잎에만 존재하는 사포닌 화합물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사포닌 화합물들이 함유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거의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0-0005883호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인삼잎을 활용하여 인삼잎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면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영양뿐만 아니라 맛과 향이 증진된 인삼잎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면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인삼잎 추출물의 추출 효율성이 우수한 인삼잎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인삼잎 추출물 첨가 시 발생할 수 있는 식감을 비롯한 관능적 특성의 저하를 예방하는 인삼잎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상기 인삼은 산양삼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인삼은 고려인삼(Panax Ginseng)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인삼잎 추출물을 면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추출물은 인삼잎 추출물의 농축분말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농축분말은 인삼잎 추출물의 당도가 25 내지 35 브릭스가 되도록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쇄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인삼잎 추출물, 밀가루, 전분 및 소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전분은 옥수수 전분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인삼잎 추출물, 밀가루, 전분 및 소금은 각각 0.01 내지 5 중량%, 65 내지 85 중량%, 10 내지 30 중량% 및 0.1 내지 2 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알칼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면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45 내지 0.65 mg/g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면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진세노사이드 Rg1 0.10 내지 0.16 mg/g, Re 0.15 내지 0.25 mg/g, Rb1 0.05 내지 0.13 mg/g, Rg2 0.02 내지 0.08 mg/g, F1 0.02 내지 0.10 mg/g 및 Rd 0.02 내지 0.08 mg/g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국수, 우동, 라면, 냉면, 쫄면, 칼국수 또는 수제비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인삼잎에 당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인삼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한 인삼잎 추출물에 밀가루, 전분 및 소금을 첨가한 후 혼합 및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조한 반죽물을 성형한 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상기 a)단계에서 추출물은 인삼잎에 당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25 내지 45℃, 및 70 내지 100℃로 처리하여 추출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a)단계에서 당 분해효소는 셀룰라아제(cellulase), 셀로비아제(cellobiase), 아밀라아제(amylase) 및 펙티나아제(pectina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a)단계에서 당 분해효소는 인삼잎 전체 중량이 100 중량부일 때 0.01 내지 0.05 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인삼 수확과정에서 버려지는 인삼잎을 활용함으로써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인삼잎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영양뿐만 아니라 맛과 향이 증진된 기능성 면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인삼잎 추출물의 추출 효율성이 우수한 인삼잎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인삼잎 추출물 첨가 시 발생할 수 있는 식감을 비롯한 관능적 특성의 저하를 예방하는 인삼잎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삼잎 농축분말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는 인삼잎 농축분말이 함유된 기능성 국수의 제조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는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인삼잎은 인삼속(Panax species) 식물의 잎으로서, 인삼속 식물로는 고려인삼(Panax ginseng), 화기삼(Panax quinquefolium), 전칠삼(Panax notoginseng), 죽절삼(Panax japonicum), 삼엽삼(Panax trifolium), 히말라야삼(Panax pseudoginseng), 베트남삼(Panax vietnamensis)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인삼속 식물은 가공여부에 따른 홍삼, 수삼, 백삼 등, 생육환경에 따른 재배삼, 장뇌삼, 산양삼, 산삼 등, 품종이나 종류에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상기 인삼은 산양삼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인삼은 고려인삼(Panax Ginseng)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인삼잎 추출물을 면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추출물은 인삼잎 추출물의 농축분말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농축분말은 인삼잎 추출물의 당도가 25 내지 35 브릭스가 되도록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농축분말은 1 내지 300 메쉬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농축분말은 인삼잎 추출물의 당도가 28 내지 32 브릭스가 되도록 농축하고 동결건조한 후 1 내지 200 메쉬로 분쇄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농축하여 제조된 인삼잎 농축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인삼잎 추출물 첨가 시 발생할 수 있는 식감을 비롯한 관능적 특성의 저하를 예방하고 영양뿐만 아니라 맛과 향이 증진된 기능성 면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인삼잎 추출물, 밀가루, 전분 및 소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전분은 옥수수 전분일 수 있다. 상기 전분은 옥수수전분, 쌀전분, 타피오카전분, 감자전분 및 고구마전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인삼잎 추출물, 밀가루, 전분 및 소금은 각각 0.01 내지 5 중량%, 65 내지 85 중량%, 10 내지 30 중량% 및 0.1 내지 2 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인삼잎 추출물, 밀가루, 전분 및 소금은 각각 0.1 내지 3 중량%, 70 내지 80 중량%, 15 내지 25 중량% 및 0.1 내지 2 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알칼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칼리제는 면류첨가알칼리제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인산류의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인삼잎 추출물, 밀가루, 전분, 소금 및 알칼리제를 각각 0.01 내지 5 중량%, 65 내지 85 중량%, 10 내지 30 중량%, 0.1 내지 2 중량% 및 0.1 내지 2 중량%로 혼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인삼잎 추출물, 밀가루, 전분, 소금 및 혼합제제를 0.1 내지 3 중량%, 70 내지 80 중량%, 15 내지 25 중량%, 0.1 내지 2 중량% 및 0.1 내지 2 중량%로 혼합할 수 있다.
인삼잎 추출물과 밀가루, 전분을 상기 범위 내로 첨가함으로써 인삼잎 추출물 첨가 시 발생할 수 있는 식감을 비롯한 관능적 특성의 저하를 예방하고 반죽물의 탄력성, 점성 등을 향상시켜 면류의 식감 및 질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면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45 내지 0.65 mg/g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능성 면류는 면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0.45 mg/g 이상, 0.47 mg/g 이상, 0.50 mg/g 이상, 0.52 mg/g 이상, 0.55 mg/g 이상, 0.57 mg/g 이상, 0.60 mg/g 이상, 0.62 mg/g 이상, 또는 0.65 mg/g 이상일 수 있으며, 0.65 mg/g 이하, 0.62 mg/g 이하, 0.60 mg/g 이하, 0.57 mg/g 이하, 0.55 mg/g 이하, 0.52 mg/g 이하, 0.50 mg/g 이하, 0.47 mg/g 이하, 또는 0.45 mg/g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면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진세노사이드 Rg1 0.10 내지 0.16 mg/g, Re 0.15 내지 0.25 mg/g, Rb1 0.05 내지 0.13 mg/g, Rg2 0.02 내지 0.08 mg/g, F1 0.02 내지 0.10 mg/g 및 Rd 0.02 내지 0.08 mg/g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진세노사이드 Rg1를 0.10 mg/g 이상, 0.12 mg/g 이상, 0.14 mg/g 이상, 또는 0.16 mg/g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0.16 mg/g 이하, 0.14 mg/g 이하, 0.12 mg/g 이하, 또는 0.10 mg/g 이하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진세노사이드 Re를 0.15 mg/g 이상, 0.17 mg/g 이상, 0.20 mg/g 이상, 0.22 mg/g 이상, 또는 0.25 mg/g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0.25 mg/g 이하, 0.22 mg/g 이하, 0.20 mg/g 이하, 0.17 mg/g 이하, 또는 0.15 mg/g 이하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진세노사이드 Rb1을 0.05 mg/g 이상, 0.07 mg/g 이상, 0.09 mg/g 이상, 0.11 mg/g 이상, 또는 0.13 mg/g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0.13 mg/g 이하, 0.11 mg/g 이하, 0.09 mg/g 이하, 0.07 mg/g 이하, 또는 0.05 mg/g 이하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진세노사이드 Rg2를 0.02 mg/g 이상, 0.04 mg/g 이상, 0.06 mg/g 이상, 또는 0.08 mg/g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0.08 mg/g 이하, 0.06 mg/g 이하, 0.04 mg/g 이하, 또는 0.02 mg/g 이하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진세노사이드 F1을 0.02 mg/g 이상, 0.04 mg/g 이상, 0.06 mg/g 이상, 0.08 mg/g 이상, 또는 0.10 mg/g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0.10 mg/g 이하, 0.08 mg/g 이하, 0.06 mg/g 이하, 0.04 mg/g 이하, 또는 0.02 mg/g 이하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진세노사이드 Rd를 0.02 mg/g 이상, 0.04 mg/g 이상, 0.06 mg/g 이상, 또는 0.08 mg/g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0.08 mg/g 이하, 0.06 mg/g 이하, 0.04 mg/g 이하, 또는 0.02 mg/g 이하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국수, 우동, 라면, 냉면, 쫄면, 칼국수 또는 수제비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면류는 종래 기능성 면류에 비하여 제면특성 및 기호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삼잎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와 같은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건강증진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인삼잎에 당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인삼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한 인삼잎 추출물에 밀가루, 전분 및 소금을 첨가한 후 혼합 및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조한 반죽물을 성형한 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상기 a)단계에서 추출물은 인삼잎에 당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25 내지 45℃, 및 70 내지 100℃로 처리하여 추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인삼잎에 당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25 내지 45℃에서 20 내지 40분간 반응시킨 후 온도를 상승시켜 70 내지 100℃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인삼잎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인삼잎을 당 분해효소와 반응시키고 추출함으로써 경제성 및 수율 면에서 인삼잎 추출물의 추출 효율성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a)단계에서 추출물은 인삼잎에 당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을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이때, 용매는 물 또는 농도 40 내지 70%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a)단계에서 당 분해효소는 셀룰라아제(cellulase), 셀로비아제(cellobiase), 아밀라아제(amylase) 및 펙티나아제(pectina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a)단계에서 당 분해효소는 인삼잎 전체 중량이 100 중량부일 때 0.01 내지 0.05 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당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인삼잎 추출물을 추출함으로써 경제성 및 수율 면에서 인삼잎 추출물의 추출 효율성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조방법은 냉각시킨 반죽물을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숙성방법은 -40 내지 -10℃에서 급냉시켜 숙성시킬 수 있고, 이때 숙성시간은 20 내지 60시간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인삼잎 농축분말의 제조
산양삼(Panax Ginseng)에서 얻은 인삼잎으로부터 당 분해효소와 추출용매 물을 이용하여 인삼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삼잎을 수세한 다음, 온도를 35℃로 상승시킨 후 당 분해효소인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0.02%를 첨가하여 30분간 35℃에서 반응시켰다. 이후, 온도를 88℃로 승온시키고 88℃에서 5시간 동안 처리하여 인삼잎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당도가 30 브릭스가 되도록 농축한 후 24시간 동안 동결건조하고 100 메쉬로 분쇄한 인삼잎 농축분말을 수득하였다(도 1 참조).
실시예 2. 인삼잎 농축분말이 함유된 기능성 국수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인삼잎 농축분말을 이용하여 하기 표 1(중량%)과 같은 조성으로 원료를 혼합하고 10분간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하였다. 반죽물을 성형 및 절단하고 4℃에서 15분간 냉각시킨 후 포장한 다음, 급냉 하에서 48시간 동안 숙성시켜 인삼잎 농축분말이 함유된 기능성 국수를 제조하였다(도 2 참조).
Figure 112014093335260-pat00001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국수를 제조하되, 인삼잎 농축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밀가루를 76.90중량%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이화학적 특성 - 색도
인삼잎 농축분말이 함유된 면의 색도는 색차계(Color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5회 반복하여 측정한 평균값을 Hunter값인 L, a 및 b값으로 표시하였다. L은 명도(100=white, 0=black), a는 적색도(- =green, + =redness), b는 황색도(- =blue, + =yellow)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093335260-pat00002
그 결과, 인삼잎 농축분말이 첨가된 면은 미첨가된 면에 비해 명도와 황색도는 감소하고 적색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조리 특성
조리면의 조리조건은 면 50g을 100ml 끓는 물에 넣고 3분간 삶은 후 냉수로 30초간 냉각하고 3분간 방치하여 조리면 표면의 수분이 제거된 다음, 수분흡수율, 부피증가율, 물성 등을 측정하였다.
수분흡수율
수분흡수율(%) = (조리면 중량―건면 중량/건면 중량) × 100
Figure 112014093335260-pat00003
수분흡수율은 면류의 제면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인삼잎 농축분말이 첨가된 면은 미첨가 면에 비해 수분흡수율이 낮아 쉽게 불지 않는 우수한 제면특성을 나타내었다.
부피증가율
500ml용 메스실린더에 300ml의 증류수를 채운 후 조리면 20g을 메스실린더에 넣어 증가하는 물의 부피를 측정하였다.
부피증가율(%) = (조리면 부피증가량―건면 부피증가량/건면 부피증가량) × 100
Figure 112014093335260-pat00004
부피증가율은 면류의 제면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인삼잎 농축분말이 첨가된 면은 미첨가 면에 비해 부피증가율이 낮아 쉽게 불지 않는 우수한 제면특성을 나타내었다.
조리수의 탁도
탁도를 측정하기 위해 면을 삶은 다음, 건져낸 물을 실온에서 냉각한 후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ultra spec 3000, Pharmacia Biotech)를 사용하여 파장 6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4093335260-pat00005
물성
조리된 국수의 물성을 물성분석기(Texture analyser)(LF-Plus, Lloyd Instrument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하기 표 6과 같은 조건에서 3회 반복하여 측정한 값들의 평균값으로 경도(Hardness)값을 산출하였다.
Figure 112014093335260-pat00006
Figure 112014093335260-pat00007
인삼잎 농축분말 첨가 시 대조구에 비해 경도가 높아 쫄깃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3. 기능성분 분석 - 진세노사이드
인삼잎 농축분말이 첨가된 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분석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컬럼은 Hypersil GOLD C18(4.6×250mm)을 사용하였으며, 검출파장은 203nm, 용출용매는 아세트니트릴/물((A) 20%, (B) 80%)을 사용하였다.
인삼잎에는 진세노사이드 Rb1, Rb2, Rd, Re, Rg1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Re 및 F1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뿌리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Re 성분은 콜레스테롤 수치저하작용, 간보호작용에 효과가 있으며, F1은 미백활성, 자외선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건강기능식품으로 등재된 홍삼은 Rg1, Rb1 및 Rg3의 합계로서 일일 3~80mg 섭취 시 면역력 증진, 피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고시되어 있다. 따라서, 인삼잎 농축분말이 첨가된 면을 1인분 기준 일일 200g 섭취 시 기준규격에 고시된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충족시킬 수 있어 건강기능식품인 홍삼과 동일한 효능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관능 평가
관능평가는 0~50세의 남녀 각각 10명씩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5점 등급제(5=대단히 좋다, 4=보통으로 좋다, 3=좋지도 싫지도 않다, 2=보통으로 싫다, 1=대단히 싫다)에 준하여 평가하였다.
Figure 112014093335260-pat00009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7)

  1.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으로서,
    인삼잎에 당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25 내지 45 ℃에서 20 내지 40분간 반응시킨 다음, 70 내지 100 ℃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인삼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인삼잎 추출물을 당도가 25 내지 35 브릭스가 되도록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인삼잎 추출물의 농축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인삼잎 추출물의 농축분말에 밀가루, 전분 및 소금을 첨가한 후 혼합 및 반죽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된 기능성 면류는 면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45 내지 0.65 mg/g의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Rg1, Re, Rb1, Rg2, F1 및 Rd를 포함하는 것인,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잎은 산양삼의 잎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잎은 고려인삼(Panax Ginseng)의 잎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 분해효소는 셀룰라아제(cellulase), 셀로비아제(cellobiase), 아밀라아제(amylase) 및 펙티나아제(pectina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 분해효소는 인삼잎 전체 중량이 100 중량부일 때 0.01 내지 0.05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잎 추출물의 농축분말, 밀가루, 전분 및 소금은 각각 0.01 내지 5 중량%, 65 내지 85 중량%, 10 내지 30 중량% 및 0.1 내지 2 중량%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옥수수 전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알칼리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기능성 면류는 면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진세노사이드 Rg1 0.10 내지 0.14 mg/g, Re 0.15 내지 0.22 mg/g, Rb1 0.05 내지 0.11 mg/g, Rg2 0.02 내지 0.06 mg/g, F1 0.02 내지 0.06 mg/g 및 Rd 0.02 내지 0.06 mg/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면류는 국수, 우동, 라면, 냉면, 쫄면, 칼국수 또는 수제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조한 반죽물을 성형한 후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40130952A 2014-09-30 2014-09-30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7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952A KR101707481B1 (ko) 2014-09-30 2014-09-30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952A KR101707481B1 (ko) 2014-09-30 2014-09-30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071A KR20160041071A (ko) 2016-04-18
KR101707481B1 true KR101707481B1 (ko) 2017-02-16

Family

ID=5591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952A KR101707481B1 (ko) 2014-09-30 2014-09-30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4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189B1 (ko) 2016-06-30 2017-02-27 주식회사 토디팜코리아 니파야자 꽃대의 추출물을 이용한 반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121B1 (ko) 2003-06-05 2005-11-28 강왕수 인삼잎과 콩잎을 혼합한 냉면, 국수 및 떡
KR101193996B1 (ko) 2010-03-15 2012-10-24 김상돈 삼 잎 국수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340A (ko) * 1998-02-19 1999-09-15 김현근 인삼국수 제조방법
KR100304430B1 (ko) 1998-06-03 2001-09-24 박호군 인삼 및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건강증진용 식품조성물
KR20050033372A (ko) * 2003-10-06 2005-04-12 겐이치 가와노 기능성 식품이 첨가된 밀가루 반죽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121B1 (ko) 2003-06-05 2005-11-28 강왕수 인삼잎과 콩잎을 혼합한 냉면, 국수 및 떡
KR101193996B1 (ko) 2010-03-15 2012-10-24 김상돈 삼 잎 국수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071A (ko)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047B1 (ko)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알지3, 알지5 및 알케이1의 함량비율이 증가된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Šic Žlabur et al. Stevia rebaudiana Bertoni-A review of nutrition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natural sweetener
KR101817055B1 (ko)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KR20140112777A (ko)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물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1738664B1 (ko) 갈근 전분액으로 코팅된 인삼 정과 과자의 제조방법
US20140093590A1 (en) Bitter-taste inhibitor and ginseng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102055287B1 (ko) 발효산양삼과 숙성도라지를 이용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045347A (ko) 인삼의 쓴맛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조성물
KR20170061327A (ko) 나무딸기 잎 및 줄기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5031B1 (ko)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인삼열매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707481B1 (ko)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55883A (ko) 당조고추씨와 초석잠뿌리를 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KR101722567B1 (ko)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090973A1 (zh) 一种菊芋糕及其制作方法
KR102386574B1 (ko) 증포 인삼열매 발효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음료
KR20230080923A (ko) 병풀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KR102078178B1 (ko) 산양삼과 오미자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
KR102091038B1 (ko) 알러지 및 탈모 개선용 산양삼 발효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28009A (ko) 아로니아 및 인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앙금의 제조방법
KR20120081678A (ko) 자양강장 한약재를 이용한 모주의 제조 방법
KR20150002048A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20130032663A (ko) 황기의 법제 방법, 이에 의해 법제된 황기 및 그 추출물
KR102403241B1 (ko) 진세노사이드 Rh1이 강화된 인삼 분말의 제조 방법
KR102660778B1 (ko) 혈당 조절이 가능한 후코이단을 해조류로부터 추출하는 방법
KR101435706B1 (ko) 사포닌 강화 홍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