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167B1 -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 - Google Patents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167B1
KR101705167B1 KR1020150046651A KR20150046651A KR101705167B1 KR 101705167 B1 KR101705167 B1 KR 101705167B1 KR 1020150046651 A KR1020150046651 A KR 1020150046651A KR 20150046651 A KR20150046651 A KR 20150046651A KR 101705167 B1 KR101705167 B1 KR 101705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ail
guide
main ge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483A (ko
Inventor
김승배
곽성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6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167B1/ko
Publication of KR20160118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루프글래스를 이동시키는 선루프 케이블의 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천장 개구부의 양측에 차량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개구부의 중앙에 배치된 센터프레임보다 차량 외부에 배치되는 메커니즘레일,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후단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통해 메커니즘레일에 수용되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케이블 및 일측이 상기 사이드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은 케이블을 둘러싸는 드라이브유닛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링킹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일단이 리어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된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홀을 통해 메커니즘레일로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선루프글래스의 오픈량을 개선함과 동시에 케이블과 메커니즘레일의 연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GUIDE STRUCTURE FOR SUNROOF-CABLE}
본 발명은 선루프글래스를 이동시키는 선루프 케이블의 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커니즘레일이 센터프레임보다 차량 외부에 배치되고 사이드프레임의 후단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통해 케이블을 메커니즘레일에 바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선루프글래스의 오픈량을 개선하는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루프패널 상에는 차량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외부의 공기를 차량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천장 개구부는 통상적으로 선루프글래스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선루프글래스는 내부 환기와 탁트인 개방감을 주기 위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강렬한 햇볕에 견딜 수 있도록 열처리를 거쳐 제작되며 자외선과 적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것도 있으며, 또한 사고 시 유리 파편에 탑승객이 부상을 입지 않도록 고강도 소재로 제작된 것도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시원한 개방감과 우수한 디자인적 심미감을 위해 루프패널의 대부분을 선루프글래스로 제작하고 그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방식의 파노라마 선루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운전자는 차량 주행시 파노라마 선루프의 선루프글래스를 개방하여 시원한 주행감을 느끼거나 차량 정차시 일반적인 선루프에 비해 더욱 많은 태양광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파노라마 선루프는, 루프패널의 전방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프런트글래스 및 루프패널의 후방에 고정 장착되는 리어글래스로 구성되고, 상기 프런트글래스는 케이블을 매개로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도 1은 종래 파노라마 선루프의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및 확대도이고, 도 2a는 종래 파노라마 선루프의 케이블 가이드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일반적인 파노라마 선루프의 프레임은, 차량의 천장 개구부(10) 양측에 차량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사이드프레임(12), 개구부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프런트프레임(14) 및 리어프레임(16), 개구부의 중앙에 설치되는 센터프레임(18)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프레임(12)에는, 선루프글래스의 하단에 결합된 프런트슬레드(미도시)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메커니즘레일(20)이 설치되며, 상기 메커니즘레일(20)은 센터프레임(18)보다 상대적으로 차량 내부, 즉 센터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는, 상기 메커니즘레일(2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케이블(30) 및 케이블을 이동시키는 구동모터(34)가 모두 리어프레임(16)의 하부, 즉 차량 내부 쪽에 배치되므로, 케이블(30)과 메커니즘레일(2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30)은, 케이블을 둘러싸는 드라이브유닛(32)이 메커니즘레일(20)에 삽입된 상태로 조립됨에 따라 그 경로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케이블(30) 및 메커니즘레일(20)은 모두 센터프레임(18) 및 사이드프레임(12)보다 차량 내부 쪽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케이블(30)과 메커니즘레일(20)의 연결구조는, 프런트글래스의 개방시 프런트슬레드가 센터프레임(18)에 걸려 프런트글래스의 오픈량을 제약(약 180mm 정도가 제약)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도 2a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프런트글래스의 오픈량 제약을 개선하기 위해 메커니즘레일(20)을 센터프레임(18)보다 외부에 배치하는 경우, 차량 내부 쪽에 배치되는 구동모터(34) 및 드라이브유닛(32)을 메커니즘레일(20)에 연결하는 것이 매우 난해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프런트슬레드와 센터프레임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여 선루프글래스의 오픈량을 개선함과 동시에 메커니즘레일과 케이블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 가이드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메커니즘레일을 센터프레임보다 외부에 배치하여 선루프글래스의 오픈량을 개선함과 동시에 사이드프레임의 후단에 가이드홀을 구비하여 케이블과 메커니즘레일의 연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커니즘레일을 외부에 배치하고 가이드홀을 형성함에 따라 발생되는 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유입방지장치를 구비하는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천장 개구부의 양측에 차량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개구부의 중앙에 배치된 센터프레임보다 차량 외부에 배치되는 메커니즘레일;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후단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통해 메커니즘레일에 수용되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케이블; 및 일측이 상기 사이드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은 케이블을 둘러싸는 드라이브유닛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링킹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일단이 리어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된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홀을 통해 메커니즘레일로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는, 상기 메커니즘레일의 후단과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선루프글래스의 폐쇄시 하방향으로 회전되어 메커니즘레일 및 케이블을 타고 가이드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에서 상기 유입방지장치는, 상기 케이블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에 따라 회전되는 메인기어; 상기 메인기어와 연결벨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보조기어; 상기 보조기어에 연결된 보조체인의 일측에 결합되며, 보조기어가 회전운동에 대응하여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레일슈; 및 상기 레일슈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가이드슬릿이 관통 형성되며, 레일슈가 가이드슬릿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상하로 회전되는 회전레일;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는, 상기 메인기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메인기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메인기어 하우징커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어 하우징커버의 하부면 일측에는 케이블의 상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제 1 케이블 가이드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회전레일의 상부면 일측에는 케이블의 하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제 2 케이블 가이드가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에서 상기 회전레일은, 그 후단이 상방향으로 굴곡되어 'ㄴ'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릿은 회전레일의 형상에 대응하여 그 후단이 상방향으로 굴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사이드프레임에 설치되는 메커니즘레일을 센터프레임보다 외부, 즉 센터프레임 상부에 배치하여 프런트글래스의 개방시 프런트슬레드와 센터프레임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을 근본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선루프글래스의 오픈량을 현저히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드프레임의 후단에 가이드홀을 형성하고 링킹플레이트를 통해 드라이브유닛을 지지함으로써, 메커니즘레일을 센터프레임보다 외부에 배치함에도 메커니즘레일과 케이블의 연결이 난해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메커니즘레일의 후단과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유입방지장치를 설치하고 선루프글래스의 폐쇄시 회전레일이 하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메커니즘레일 및 케이블을 타고 가이드홀을 통해 물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선루프글래스의 오픈량을 증대시키고 실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2열 탑승자의 개방감을 향상시키면서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파노라마 선루프의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및 확대도.
도 2a는 종래 파노라마 선루프의 케이블 가이드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를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킹플레이트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a는 평상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레일의 모습을 도시한 절개 측면도.
도 6b는 선루프글래스의 폐쇄시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회전레일의 모습을 도시한 절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입방지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투영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기어와 보조기어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투영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슈와 회전레일이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기어의 모습을 도시한 투영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기어의 모습을 도시한 투영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레일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회전레일을 D-D' 선을 따라 절단한 절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킹플레이트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차량의 선루프프레임은 천장 개구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차량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130), 개구부의 전방 및 후방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런트프레임(120) 및 리어프레임(140), 개구부의 중앙에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센터프레임(150)으로 구분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30)에는 선루프글래스를 이동시키는 케이블(200) 등이 수용되는 메커니즘레일(100)이 차량 전후방향으로 설치되고, 프런트프레임(120)에는 선루프디플렉터(미도시) 등이 설치되고, 리어프레임(140)에는 구동모터(도) 등이 설치되며, 센터프레임(150)은 선루프의 강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커니즘레일(100)은 종래 메커니즘레일(도 1의 20)과 달리 센터프레임(150)보다 차량의 외부 쪽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프런트슬레드(미도시)와 센터프레임(150) 사이의 간섭이 없어진다.
이때, 선루프글래스(프런트글래스)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케이블(200)은 사이드프레임(130)의 후단에 관통 형성된 가이드홀(132)을 통해 메커니즘레일(100)에 수용되고, 구동모터(도 1의 34) 및 드라이브유닛(210)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내부 쪽, 즉 리어프레임(14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30)의 후단 하부에는 링킹플레이트(300)의 일측이 고정 결합되고, 링킹플레이트(300)는 케이블을 감싸는 드라이브유닛(210)을 지지하여 드라이브유닛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링킹플레이트(300)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의 판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은 사이드프레임(130)에 볼팅 결합되고 타측은 하부를 향해 굴곡되어 드라이브유닛(210)을 받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메커니즘레일(100)을 차량의 외부에 배치하고 가이드홀(132)을 형성하는 경우, 메커니즘레일(100) 및 케이블(200)을 타고 가이드홀(132)을 통해 물이 차량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메커니즘레일(100)의 후단과 사이드프레임(130)의 후단 사이에 유입방지장치(400)를 설치한다.
도 6a는 평상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레일의 모습을 도시한 절개 측면도이고, 도 6b는 선루프글래스의 폐쇄시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회전레일의 모습을 도시한 절개 측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방지장치(400)의 회전레일(460)은 평상시(선루프글래스의 폐쇄상태 이외의 상태) 케이블(200)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케이블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에는 차량의 천장 개구부(110)가 전부 또는 일부 개방된 상태이므로 가이드홀(132) 이외의 장소를 통해서도 충분히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루프글래스의 폐쇄시에는 완벽한 수밀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유입방지장치(400)의 회전레일(460)이 하방향(도시된 실시예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메커니즘레일(100) 및 케이블(200)을 타고 물이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입방지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투영 사시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기어와 보조기어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투영 사시도이며,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슈와 회전레일이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방지장치(400)는, 케이블(200)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에 따라 회전되는 메인기어(410), 상기 메인기어와 연결벨트(420)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보조기어(430), 상기 보조기어에 연결된 보조체인(440)의 일측에 결합되는 레일슈(450) 및 상기 레일슈(45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가이드슬릿(462)이 관통 형성된 회전레일(460)을 포함한다.
선루프글래스의 폐쇄시, 상기 케이블(200)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메인기어(4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메인기어(410)와 연결벨트(420)를 매개로 연결된 보조기어(430)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보조기어(430)에는 보조체인(440)이 연결되어 있는데, 보조기어(4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보조체인(440)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때 보조체인(440)의 일측에 결합된 레일슈(450)가 후방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케이블(200)과 레일슈(45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고, 레일슈(450)의 후방 이동에 따라 메인기어(410)와 보조기어(430) 사이에 배치된 회전레일(460)이 회전축(도 8b에 일점쇄선으로 도시)을 기준으로 하향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커니즘레일(100) 및 케이블(200)을 타고 흐르는 물은 회전레일(460)의 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아래로 흐르게 되고 가이드홀(132)을 통해 차량의 내부로 전달되지는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기어의 모습을 도시한 투영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기어(410)는 하나의 축 상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메인기어(410a) 및 그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메인기어(410b)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메인기어(410a)와 제 2 메인기어(410b)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제 1 메인기어(410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2 메인기어(410b)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1 메인기어(410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2 메인기어(410b)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1 메인기어(410a)는 케이블(200)과 접촉되어 케이블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 2 메인기어(410b)는 연결벨트(420)와 접촉되어 제 1 메인기어의 회전 운동을 연결벨트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기어(4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메인기어 하우징커버(412) 및 메인기어 하우징(414)에 수용되며, 상기 메인기어(410)를 기준으로 그 상부에 메인기어 하우징커버(412)가 배치되고 하부에 메인기어 하우징(414)이 배치된다.
상기 메인기어 하우징커버(412)의 하부면 일측에는 제 1 케이블 가이드(412a)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 1 케이블 가이드(412a)는 케이블(200)의 상부를 가이드하여 케이블(20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기어의 모습을 도시한 투영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기어(430)는 하나의 축 상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보조기어(430a) 및 그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보조기어(430b)로 구분되고, 메인기어(410)와 마찬가지로 제 1 보조기어(430a) 및 제 2 보조기어(430b)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2 보조기어(430b)는 연결벨트(420)와 연결되어 연결벨트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1 보조기어(430a)는 보조체인(440)과 연결되어 제 2 보조기어의 회전 운동을 보조체인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기어(430) 역시 메인기어와 유사하게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보조기어 하우징(432)에 수용되며, 상기 보조체인(440)의 일측에는 레일슈(450)가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레일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회전레일을 D-D' 선을 따라 절단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레일(460)은 그 후단이 상방향으로 굴곡되어 'ㄴ'자 형태로 형성되고, 가이드슬릿(462) 역시 회전레일(460)의 형상에 대응하여 그 후단이 상방향으로 굴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레일(460)은 메인기어(410)와 보조기어의 레일슈(450) 사이에 설치되며, 보조체인(440)의 이동에 대응하여 레일슈(450)가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레일을 관통하여 메인기어 하우징 등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향 회전 운동하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레일(460)의 상부면 일측에는 제 2 케이블 가이드(460a)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 2 케이블 가이드(460a)는 제 1 케이블 가이드(412a)와 함께 케이블(200)을 가이드하여 케이블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레일(460)이 하향 회전 운동함에 따라 메커니즘레일(100) 및 케이블(200)을 타고 흐르던 물은 회전레일(정확하게는 제 2 케이블 가이드)을 타고 아래로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가이드홀(132)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메커니즘레일 110 : 개구부
120 : 프런트프레임 130 : 사이드프레임
132 : 가이드홀 140 : 리어프레임
150 : 센터프레임 200 : 케이블
210 : 드라이브유닛 300 : 링킹플레이트
400 : 유입방지장치 410 : 메인기어
410a : 제 1 메인기어 410b : 제 2 메인기어
412 : 메인기어 하우징커버 412a : 제 1 케이블 가이드
414 : 메인기어 하우징 420 : 연결벨트
430 : 보조기어 430a : 제 1 보조기어
430b : 제 2 보조기어 432 : 보조기어 하우징
440 : 보조체인 450 : 레일슈
460 : 회전레일 460a : 제 2 케이블 가이드
462 : 가이드슬릿

Claims (5)

  1. 차량의 천장 개구부의 양측에 차량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사이드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개구부의 중앙에 배치된 센터프레임보다 차량 외부에 배치되는 메커니즘레일;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후단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통해 메커니즘레일에 수용되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케이블; 및
    일측이 상기 사이드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은 케이블을 둘러싸는 드라이브유닛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링킹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일단이 리어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된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홀을 통해 메커니즘레일로 직접 연결되고,
    상기 메커니즘레일의 후단과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선루프글래스의 폐쇄시 하방향으로 회전되어 메커니즘레일 및 케이블을 타고 가이드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장치;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입방지장치는,
    상기 케이블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에 따라 회전되는 메인기어;
    상기 메인기어와 연결벨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보조기어;
    상기 보조기어에 연결된 보조체인의 일측에 결합되며, 보조기어가 회전운동에 대응하여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레일슈; 및
    상기 레일슈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가이드슬릿이 관통 형성되며, 레일슈가 가이드슬릿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상하로 회전되는 회전레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메인기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메인기어 하우징커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어 하우징커버의 하부면 일측에는 케이블의 상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제 1 케이블 가이드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회전레일의 상부면 일측에는 케이블의 하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제 2 케이블 가이드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일은, 그 후단이 상방향으로 굴곡되어 'ㄴ'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릿은 회전레일의 형상에 대응하여 그 후단이 상방향으로 굴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
KR1020150046651A 2015-04-02 2015-04-02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 KR101705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651A KR101705167B1 (ko) 2015-04-02 2015-04-02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651A KR101705167B1 (ko) 2015-04-02 2015-04-02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483A KR20160118483A (ko) 2016-10-12
KR101705167B1 true KR101705167B1 (ko) 2017-02-09

Family

ID=5717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651A KR101705167B1 (ko) 2015-04-02 2015-04-02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1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1882A (zh) * 2017-04-07 2018-10-23 刘波 汽车天窗驱动导向管及其制造方法、驱动导向管拉索总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6476A (ja) * 2006-06-08 2007-12-20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ルーフ装置におけるケーブルのジョイント構造
KR100837960B1 (ko) * 2007-08-27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루프의 배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6476A (ja) * 2006-06-08 2007-12-20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ルーフ装置におけるケーブルのジョイント構造
KR100837960B1 (ko) * 2007-08-27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루프의 배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483A (ko)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43818A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sliding vehicle door
ES2326117T3 (es) Puerta batiente y deslizante.
KR101585469B1 (ko)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
JP2001301465A (ja) 透明ルーフ部分およびサンシェード装置を有する車両ルーフ
US4844532A (en) Sun-roof apparatus for vehicle
US7404587B2 (en) Motor vehicle
KR101705167B1 (ko) 프레임 일체형 케이블 가이드구조
JP2004114923A (ja) 車両のサンルーフ構造
US20080036247A1 (en) Sunroof decoration cover assembly
JP4747471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JP2018204268A (ja) 車両用開閉装置
CN105026197B (zh) 天窗用开闭装置
US5147107A (en) Sun roof device
US4754695A (en) Passenger compartment vent for an automotive vehicle
US10266042B2 (en) Convertible vehicle having a cover for a linkage exit opening
JP5460968B2 (ja) 車両用リヤドアの窓昇降装置用デビジョンバーユニット
JP4162962B2 (ja) 車両のサンルーフ構造
EP2853425A2 (en) Roof apparatus
KR101846565B1 (ko) 파노라마루프의 글라스 닫힘 고정 장치
KR100747030B1 (ko) 차량용 선루프 개폐장치
KR101751743B1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블라인드 장치
JP2519721Y2 (ja) 車両用開閉屋根装置のガイド機構
JP4238059B2 (ja) キャビンのドア構造
JP2004249851A (ja) 車両用ルーフ装置
KR101154319B1 (ko)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