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410B1 - 사파논 a를 함유하는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파논 a를 함유하는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410B1
KR101704410B1 KR1020150103498A KR20150103498A KR101704410B1 KR 101704410 B1 KR101704410 B1 KR 101704410B1 KR 1020150103498 A KR1020150103498 A KR 1020150103498A KR 20150103498 A KR20150103498 A KR 20150103498A KR 101704410 B1 KR101704410 B1 KR 101704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saponin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s
health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1232A (ko
Inventor
민병선
이정형
김정아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3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410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파논 A를 함유하는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사파논 A는 HO-1의 활성을 증가시켜 혈관 내의 상처 등을 억제함으로써,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동맥경화증, 뇌혈관질환, 뇌졸중, 부정맥 등의 심혈관질환의 치료제나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파논 A를 함유하는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sappanone A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cardiovascular disease}
본 발명은 소목(Caesalpinia sappan L.)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사파논 A(sappanone A)를 함유하는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인 인구의 증가 및 서구화된 식습관 등의 요인으로 심혈관질환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으며, 인류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심혈관질환은 심장과 주요 동맥에 발생하는 질환을 말하며, 주요 질환으로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동맥경화증, 뇌혈관질환, 뇌졸중, 부정맥 등이 있다. 심혈관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혈관 세포의 염증이다. 과도한 만성 염증 반응이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관상 동맥에 발생하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이 발생하고, 뇌에 발생하면 뇌경색이 발생한다. 만성 염증이 협심증과 심근경색에 있어서 병을 일으키는 매우 중요한 인자라는 것이 여러 가지 동물 실험과 대규모 역학 조사를 통하여 반복적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혈관 염증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신규물질의 발굴 및 분자 기전의 규명은 심혈관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실마리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혈관의 내피(endothelium)는 혈관반응성(vasoreactivity), 혈소판 활성, 백혈구 부착, 평활근 세포의 증식과 이동 등에 대한 혈관의 항상성을 유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HO(heme oxygenase)는 헴(heme) 단백질의 산화를 유도하여 일산화탄소, 빌리베르딘(biliverdin), 산화철(ferrous iron) 등을 생성하는 단백질로서, HO는 2개의 타입이 있는데, HO-2는 대부분의 세포에서 항상 발현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HO-1은 면역성 사이토카인, 산화 스트레스 관련 인자 등의 자극으로 인해 발현이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ines, M. D. et al., 2001).
한편, HO-1의 발현 유도가 혈관의 상처 및 질병의 치료에 효과가 있고(Feng, J. et al., 2011), 동맥경화를 억제하는 활성이 있음이 개시된 바 있으며(노정현, 2008), 천연 피토케미칼(phytochemical)을 이용해 HO-1의 발현을 유도하는 방법이 혈관 질환, 혈관성형술(restenosis) 이후의 재협착(angioplasty) 등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HO-1은 뇌출혈, 뇌경색, 뇌졸중 등의 뇌혈관질환의 치료(Alfieri, A. et al., 2011), 혈관재협착증, 혈관비대증, 고혈압 등의 치료와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억제와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기도 하였으며(Ryter, S.W. et al., 2009), 각종 심혈관질환에도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Paine, A. et al., 2010).
소목(Caesalpinia sappan)은 한국, 중국, 베트남 등의 아시아 국가에서 주로 자생하는 식물이다. 소목의 심재(heartwood, 心材)는 붉은색 계열의 천연염료와 항균제, 항염제, 통경제, 진통제 등의 전통약재로 사용되어 왔다(Oh et al., 1998; Baek et al., 2000). 소목은 또한 혈액순환을 증진시키고, 어혈을 제거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113689호에서는 건선, 천식, 다발성 경화증, 염증성 장 질환 및 관절염 등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합물로 PPAR 아고니스트 및 Nrf2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때, Nrf2의 활성화제의 하나로 사파논 A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284838호에서는 소목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아르기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혈관세포 및 대동맥에서 NO의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고혈압, 동맥경화, 관상동맥질환, 뇌혈관질환, 말초혈관질환 또는 대동맥질환 등의 혈관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소목 추출물 유래의 사파논 A가 혈관내피세포에서 HO-1의 활성을 증가시켜 혈관 내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113689호, 글리타존 및 NRF2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2014년 9월 24일 공개.
노정현, 혈청 빌리루빈과 죽상경화증., Korean Ddabetes J., 32, 301-303, 2008. Alfieri, A. et al., Targeting the Nrf2-Keap1 antioxidant defence pathway for neurovascular protection in stroke. J Physiol, 589, 4125-4136, 2011. Baek, N. I. et al., Anticonvulsant compounds from the wood of Caeslpinia sappan L. Arch. Pharm. Res., 23, 344-348, 2000. Feng, J. et al., PI3K and ERK/Nrf2 pathways are involved in oleanolic acid-induced heme oxygenase-1 expression in rat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J. Cell. Biochem., 112, 1524-1531, 2011. Maines, M. D. et al., The heme oxygenase system and cellular defense mechanisms. Do HO-1 and HO-2 have different functions?, Adv. Exp. Med. Biol., 502, 249-272, 2001. Paine, A. et al., Immenschuh, Signaling to heme oxygenase-1 and its anti-inflammatorytherapeutic potential, Biochem. Pharmacol., 80, 1895-1903, 2010. Ryter, S.W. et al., Heme Oxygenase-1/Carbon Monoxide From Metabolism to Molecular Therapy. American Jounal of Respiratory Cell and Molecular Biology, 41, 251-260, 2009.
본 발명의 목적은 소목(Caesalpinia sappan L.)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사파논 A(Sappanone A)를 함유하는 항염증 작용으로 인한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사파논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71063793-pat00001
상기 심혈관질환은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동맥경화증, 뇌혈관질환, 뇌졸중, 부정맥에서 선택되는 질환일 수 있다.
상기 사파논 A는 혈관내피세포의 HO-1(heme oxygenase-1)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사파논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사파논 A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합성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제조 될 수도 있다. 또한 소목 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될 수 있다.
상기 소목 추출물은 소목에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n-헥산,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소목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사파논 A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HP-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HP-20 column chromatography),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RP-18 column chromatography),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reverse-phase column chromatography)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심혈관질환은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동맥경화증, 뇌혈관질환, 뇌졸중, 부정맥, 뇌경색 및 뇌출혈 등의 심혈관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사파논 A 및 약제학적 부형제를 포함하는 항염증 작용으로 인한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4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즈,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0.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의 조성물이기 때문에,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사파논 A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항염증 작용으로 인한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사파논 A는 전체 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사파논 A를 함유하는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사파논 A는 HO-1의 활성을 증가시켜 혈관 내의 상처 등을 억제함으로써,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동맥경화증, 뇌혈관질환, 뇌졸중, 부정맥 등의 심혈관질환의 치료제나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사파논 A의 처리로 인해 HUVEC에서 HO-1의 생성이 증가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사파논 A 분리>
본 발명에서 사용된 사파논 A(Sappanone A)는 소목의 심재로부터 얻은 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하였다.
소목의 심재 10㎏을 메탄올 3ℓ를 환류장치에 넣고 3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을 3회 반복하여 소목 추출물을 얻었다. 얻은 추출물을 기압을 낮추는 방식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잔여물을 얻었다. 얻은 잔여물을 물(3,000㎖)에 현탁한 후 n-헥산(9,000㎖), EtOAc(9,000㎖) 및 n-BuOH(9,000㎖)로 분획하였다. 이중 EtOAc 분획물 960g을 클로로포름:메탄올(50:1→0:1[v:v])의 농도구배 용출 조건에 따른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컬럼크기:200×700㎜)로 분획하여 14개의 분획물을 얻었다(Fr.1-Fr.14). 상기 분획물 중 Fr.5(4.4g)를 메탄올:물(2:1→0:1[v:v])의 농도구배 용출 조건에 따른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여 7개의 소분획물을 얻었다(Fr.5-1-Fr.5-7). 상기 소분획물 중 Fr.5-3(728㎎)을 30% 메탄올과 0.1% TFA(trifluoroacetic acid) 혼합 용액의 등용매 용출 조건에 따른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semipreparative HPLC, YMC Pak ODS-A column, 컬럼크기:20×250㎜, 입자크기:5㎛, UV detection:210㎚, flow rate:5㎖/min)로 사파논 A를 분리하였다.
<실시예 2. 사파논 A의 물리화학적 구조 확인>
Sappanone A;
흰색 비정형 분말;
EI-MS [M]+ 284 m/z;
1H NMR 및 13C NMR 데이터는 하기 표 1 참조.
Position δH δc
1
2 5.37(2H, s) 69.2
3 127.8
4 183.2
4a 116.0
5 7.81(1H, d, J=8.4Hz) 130.8
6 6.54(1H, d, J=8.8Hz) 112.3
7 166.7
8 6.33(1H, s) 103.7
8a 165.0
9 7.66(1H, s) 138.6
1' 129.6
2' 6.84(1H, s) 116.7
3' 148.9
4' 146.7
5' 6.88(1H, d, J=8Hz) 118.5
6' 6.79(1H, d, J=8Hz) 124.7
<실시예 3. HO-1의 발현 증가>
HUVEC(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세포를 Cambrex Bio Science(Charles City, IA, USA)에서 구입하여, EBM-2 기본 배지(basal media) 및 이에 공급되는 성장 보충물(Cambrex Bio Science)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HUVEC에 3 내지 30μM의 사파논 A를 6시간 처리한 후,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을 하기 위해, 상기 세포를 수집하여, 세포용해버퍼(50mM Tris-HCl[pH 7.5], 1% Nonidet P-40, 1mM EDTA, 1mM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10㎍/㎖ pepstatin A, 10㎍/㎖ aprotinin, 2mM benzamidine, 50mM NaF, 5mM sodium orthovanadate, 150mM NaCl)에 녹여 총 단백질을 얻었다. 상기 총 단백질을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분리하였고, Hybond-P 멤브레인(Amersham Biosciences, Buckinghamshire, UK)에 이동시켰다. 상기 멤브레인은 실온에서 1시간 동안 5% 스킴 밀크로 블로킹한 후 2시간 동안 HO-1의 1차 항체에 반응시켰다. 이후에는 퍼옥시데이즈(peroxidase)가 결합된 2차 항체를 반응시켰고, 화학발광시스템(chemiluminescence system, Intron, Seongnam, Korea)을 이용하여 HO-1의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사파논 A를 처리한 HUVEC 세포에서의 HO-1 단백질 발현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는데, 상기 도 1의 결과를 확인하면, 사파논 A를 처리한 농도에 의존해서 HO-1의 단백질 발현 정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독성 실험>
실시예 4-1. 급성 독성
사파논 A를 단기간에 과량을 섭취하였을 때 급성적(24시간 이내)으로 동물 체내에 미치는 독성을 조사하고, 치사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마우스인 ICR 마우스 계통 20마리를 대조군과 실험군에 각각 10마리씩 배정하였다. 대조군에서는 PEG-400:트윈-80:에탄올(8:1:1, v:v:v)만을 투여하고, 실험군은 사파논 A를 상기 PEG-400:트윈-80:에탄올(8:1:1, v:v:v)에 녹여 각각 경구투여 하였다. 투여 24시간 후에 각각의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2g/kg/일 농도의 사파논 A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마우스가 모두 생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2. 실험군 및 대조군의 장기 및 조직 독성 실험
장기 독성 실험은 사파논 A를 처리하고 8주 동안 C57BL/6J 마우스(각 군당 10마리)에 투여하여 실험하였다. 동물의 각 장기(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사파논 A를 투여한 실험군과 PEG-400:트윈-80:에탄올(8:1:1, v:v:v)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동물들로부터 8주 후 혈액을 채취하여 GPT(glutamate-pyruvate transferase) 및 BUN(blood urea nitrogen)의 혈액 내 농도를 Select E(Vital Scientific NV, Netherland)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간 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GPT와 신장 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BUN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각 동물로부터 간과 신장을 절취하여 통상적인 조직 절편 제작 과정을 거쳐 광학 현미경으로 조직학적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모든 조직에서 특이한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제제예 1-1. 정제의 제조
사파논 A 200g을 락토즈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하여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1-2. 주사액제의 제조
사파논 A 1g, 염화나트륨 0.6g 및 아스코르브산 0.1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제제예 2. 식품 제조>
제제예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사파논 A를 조리용 양념에 1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2. 밀가루 식품의 제조
사파논 A를 밀가루에 0.1중량%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3.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사파논 A를 스프 및 육즙에 0.1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스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사파논 A를 우유에 0.1중량%로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5. 야채주스의 제조
사파논 A 0.5g을 토마토주스 또는 당근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6. 과일주스의 제조
사파논 A 0.1g을 사과주스 또는 포도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의 사파논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작용으로 인한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67083533-pat0000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혈관질환은 염증에 의해 나타나는 질환으로,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동맥경화증, 뇌혈관질환, 뇌졸중, 부정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작용으로 인한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파논 A는 혈관내피세포의 HO-1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작용으로 인한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파논 A는 상기 조성물에 0.001 내지 50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작용으로 인한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하기 화학식 1의 사파논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작용으로 인한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16100296177-pat00003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심혈관질환은 염증에 의해 나타나는 질환으로,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동맥경화증, 뇌혈관질환, 뇌졸중, 부정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작용으로 인한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작용으로 인한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파논 A는 상기 건강기능식품에 0.001 내지 50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작용으로 인한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50103498A 2015-07-22 2015-07-22 사파논 a를 함유하는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04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498A KR101704410B1 (ko) 2015-07-22 2015-07-22 사파논 a를 함유하는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498A KR101704410B1 (ko) 2015-07-22 2015-07-22 사파논 a를 함유하는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232A KR20170011232A (ko) 2017-02-02
KR101704410B1 true KR101704410B1 (ko) 2017-02-22

Family

ID=5815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498A KR101704410B1 (ko) 2015-07-22 2015-07-22 사파논 a를 함유하는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4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241B1 (ko) 2018-02-21 2019-08-2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사파논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손실 억제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8077A1 (en) 2011-12-19 2013-06-20 Ares Trading S.A.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241B1 (ko) 2018-02-21 2019-08-2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사파논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손실 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232A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657B1 (ko) 소목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용도
KR101668845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15274B1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41092B1 (ko) 진통에 유효한 초피 잎 추출물의 분획물
KR101704410B1 (ko) 사파논 a를 함유하는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1342A (ko)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57706B1 (ko) 오베큐논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663609B1 (ko)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1200B1 (ko) 3-데옥시사판칼콘을 함유하는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76176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와 금은화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338901B1 (ko) 육두구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리그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8400B1 (ko) 카페오일글리콜산 메틸 에스테르 또는 1-o-카페오일글리세롤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7477B1 (ko) 뽕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7479B1 (ko) 홍삼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14410A (ko) 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KR102628997B1 (ko) 세나 알라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노화 예방 또는 억제용 조성물
KR100417244B1 (ko) 분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액순환개선용 약학조성물
KR20160081189A (ko)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51799B1 (ko) 담쟁이덩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6723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016996B1 (ko)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22259B1 (ko) 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KR20130125952A (ko) 골무꽃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284838B1 (ko) 소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185901B1 (ko) 등골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