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125B1 -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dct 유압 회로 장치 - Google Patents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dct 유압 회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125B1
KR101704125B1 KR1020140146153A KR20140146153A KR101704125B1 KR 101704125 B1 KR101704125 B1 KR 101704125B1 KR 1020140146153 A KR1020140146153 A KR 1020140146153A KR 20140146153 A KR20140146153 A KR 20140146153A KR 101704125 B1 KR101704125 B1 KR 101704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lutch
valve
control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6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9283A (ko
Inventor
송수영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6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1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6Smoothing ratio shift by controlling rate of change of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165Control of cooling or lubric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19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2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involving adjustment of a pump or motor with adjustable output or capacity
    • F16H61/431Pump capacity control by electro-hydraulic control means, e.g. using solenoi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 F16H61/68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with two inputs, e.g. selection of one of two torque-flow paths by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DCT 유압 회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하여, 크리프(Creep) 발진 및 아이들 스탑 앤드 고(ISG) 기능 시 클러치의 윤활유량을 증대 공급하고, 레귤레이터(Regulator) 밸브에서의 저압 배출(drain)유량을 활용하여 윤활유량에 활용함으로써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제어유량을 축소 시킬수 있는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더블클러치변속기(DCT) 유압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엔진의 동력축과 연결되고,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DCT 유압 회로 장치로서, 오프 액시스(Off-axis) 타입으로 안정적인 유량을 공급하는 상시구동 기계식펌프; ISG 기능에 필요한 클러치 유압 공급 및 상기 클러치 윤활유량 공급을 담당하는 보조전동펌프; 상기 회로 장치에 따르는 시스템압을 생성하기 위한 라인압 제어용 스풀 밸브(Spool Valve)인 레귤레이터(Regulator) 밸브; 고압, 저 리크(leak) 용으로, 내부 피드백(F/back) 유로를 갖는 상기 시스템압 제어용 압력제어 솔레노이드(Sol) 밸브(PPV); 상기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압력을 제어하는 밸브클러치 제어용 PPV; 상기 라인압을 제어하는 Regulator 밸브의 제어압을 가변제어하기 위한 압력제어용 linear Sol 밸브인 시스템 가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System Variable Force Solenoid Valve); 상기 라인압을 경감시키기 위한 라인압 Relief C/Ball; 상기 엔진 오프(Engine Off) 후 ISG 작동 시, 보조전동펌프 측 압력유량을 K1클러치측으로 유로 절환하는 체크 밸브(CHECK VALE-ISG); 감압밸브(Reducing Valve)의 감압 유로내 유압 변동(fluctuation)을 완화시키는 감압 밸브용 어큠; 상기 클러치 향 제어압유로 내 잔압형성 유도로 제어 반응속도를 증대시키는 잔압밸브; 상기 클러치 제어압 떨림 완화 기능을 갖는 어큠; 상기 클러치 향 윤활유량 및 윤활압을 제어하기 위한 윤활 저감 밸브(LRV1;Lubrication Reducing 밸브); 샤프트(Shaft) 측 윤활 압력과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2차 레귤레이팅(regulating) 밸브(LRV2); 상기 K1, K2 습식 다판 클러치; 및 상기 보조전동펌프 구동 및 비 구동 시 메인펌프의 석션(Suction)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공기 유입 방지를 위한 체크볼(Check Ball);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DCT 유압 회로 장치{Device of hydraulic circuit in wet DCT using assistant motor-driven pump}
본 발명은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더블클러치변속기(DCT) 유압 회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하여, 크리프(Creep) 발진 및 아이들 스탑 앤드 고(ISG,Idle Stop & Go) 기능 시 클러치의 윤활유량을 공급하고, 레귤레이터(regulator) 밸브에서의 배출(drain)유량을 활용하여 윤활유량에 활용함으로써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제어유량을 축소 시킬수 있는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DCT 유압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발명에 따르면 습식 더블클러치변속기(DCT)에 적용된 유압회로 장치의 경우, 보편적으로, 엔진동력축과 연결된 상시 구동펌프를 적용하여, 유량 및 유압을 생성하며, 시스템에서 필요한 유압은 레귤레이터 밸브와 같은 압력제어밸브를 적용하여 얻게된다.
이때, 종래의 시스템압은 각 기어를 쉬프트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구동 압력 및 듀얼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압력으로 사용하게된다.
도 1의 유압회로 장치 기준으로 보면, 종래에는 시스템압을 제어하기 위한 1개의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1개의 레귤레이터 밸브(Regulator 밸브)를 적용하였으며,클러치를 제어하는 2개의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에 2개의 압력제어밸브, 기어 액추에이터(Gear Actuator)를 제어하기 위한 4개의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2개의 압력제어밸브 및 변위(Shift) 및 선택밸브(Select Valve)가 적용되었으며, 별도의 윤활압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와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가 적용되었다.
전체적으로 압력 및 변위(Shift) 기능의 제어밸브는 8개가 적용되었으며,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는 비례제어밸브가 5개, 온오프 솔레노이드 밸브(Onoff Solenoid valve)가 3개 적용되었으며, 기타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가 1개 적용되어 총 9개의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가 적용되었다. 또한 P-R-N-D 변속을 위한 매뉴얼 밸브(manual valve)를 별도 적용하고 있다.
종래의 클러치의 경우, 각각의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독립제어 방식으로 솔레노이드(Solenoid)를 적용하고 있으나, 기어 액추에이터(Gear Actuator)의 경우, 짝수단과 홀수단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밸브를 각각 적용하고 각 기어(Gear)를 선택하기 위하여 1개의 변위(shift) 밸브와 2 개의 선택밸브(select vavle)를 적용하여 순차적인 프리 셀렉트(pre-select)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유압장치의 단점으로는 많은 압력제어 밸브를 적용하였으므로, 많은 유량을 필요로 하여, 상기 구동되는 기계식 오일펌프를 적용하였으며, 발진 시 윤활유량과 평상 시 윤활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별도의 윤활 제어용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적용하였다.
따라서, 종래에 적용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경우, 가변블리드 솔레노이드(Variable Bleed Solenoid)인 VBS 타입 솔레노이드이며 VBS는 콤팩트(Compact)한 크기(Size)가 장점이나 유압성능이 떨어지고, 튜닝하는 오리피스(orifice)의 크기(size)에 따른 유압제어 범위가 달라지므로 품질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종래의 유량제어 계통의 경우, 부품수가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어-엑츄에이터 제어를 위하여 적용된 다이렉트 솔레노이드 밸브(Direct-Act Sol)의 경우, 별도의 스플(Spool) 을 적용하여 유량을 제어하는데 정밀한 가공수준을 요구하고, 유량제어의 특성상 정밀제어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최근 이슈가 되는 효율관련하여 ISG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아 ISG 기능을 갖는 변속기 대비 효율이 나쁘다.
즉 VBS 타입 솔레노이드 적용에 의하여 VBS에 공급되는 압력에 외란이 발생하면, VBS에 의하여 제어되는 요소는 압력 불안정이 증가한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라인압 가변제어를 통한 펌프 구동 손실 최소화 가능하고 ISG 기능 등을 구현할 수 있는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DCT 유압 회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ISG(IdleStop&Go)기능에 필요한 클러치 유압공급 및 상기 클러치 윤활유량 공급을 담당하는 보조전동펌프(3)를 적용한 습식 더블클러치변속기(DCT) 유압 회로 장치로서, 엔진의 동력축과 연결되고 안정적인 유량을 공급하는 상시구동 기계식펌프; ISG(Idle Stop & Go) 기능에 필요한 클러치 유압 공급 및 상기 클러치 윤활유량 공급을 담당하는 보조전동펌프; 상기 회로 장치에 따르는 시스템압을 생성하기 위한 라인압 제어용 레귤레이터밸브(Regulator Valve); 내부 피드백(F/back) 유로를 갖는 상기 시스템압 제어용 압력제어 솔레노이드밸브(Proportional Pressure Solenoid Valve); 상기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압력을 제어하는 클러치 제어용 압력제어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라인압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 밸브(Regulator Valve)의 제어압을 가변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가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System Variable Force Solenoid Valve); 상기 라인압 페일(Fail) 시 라인압을 경감시키기 위한 라인압 릴리프 체크 볼(Reief Check Ball); 상기 엔진 오프(Engine Off) 후 ISG 작동 시, 보조전동펌프 측 압력유량을 습식 다판 클러치의 K1클러치와 K2클러치중 상기 K1클러치측으로 유로 절환하는 체크 밸브; 감압밸브(Reducing Valve)의 감압 유로내 유압 변동(fluctuation)을 완화시키는 감압 밸브용 어큠; 상기 클러치 제어압유로 내 잔압형성 유도로 제어 반응속도를 증대시키는 잔압밸브; 상기 클러치 제어압 떨림 완화 기능을 갖는 클러치 제어압 떨림 완화용 어큠; 상기 습식 다판 클러치의 윤활유량 및 윤활압을 제어하기 위한 윤활 저감 밸브(Lubrication Reducing Valve); 샤프트(Shaft) 측 윤활 압력과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2차 레귤레이팅 밸브(Lubrication Reducing Valve); 및 상기 보조전동펌프 구동 및 비 구동 시 상시구동 기계식펌프의 Suction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공기 유입 방지를 위한 체크볼(Check Ball);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시 구동 기계식펌프는 오프 액시스(Off-axis) 또는 온 액시스(On-axis) 타입 오일펌프이다.
삭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K1, K2 클러치측 제어압의 압력 확인용으로 변속기제어기(Transmission Control Unit, TCU)에서 페일 세이프(Fail Safe) 감지 기능을 포함한 압력센서; 상기 변속기제어기의 제어로직에 온도보정을 위해 상기 습식더블클러치변속기의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오일온도센서(Oil Temperature Sensor);를 적용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각 기어단 기어 액추에이터(Gear Actuator) 제어용 양방향 유량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및 시스템 가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압의 안정화를 위한 댐핑(damping) 밸브인 솔레노이드 댐핑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인압 가변제어를 통한 펌프 구동 손실 최소화 가능하므로 효율 증대 및 연비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ISG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함에 따라 효율증대 및 연비 개선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하여 저 회전수(revolution per minute,rpm) 시 클러치향 윤활유량을 공급함으로써 메인 펌프의 용량을 줄임으로써 유량손실을 줄이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귤레이터 밸브의 배출(drain) 유로에 감압용 밸브를 적용함으로써 버려지는 유량을 활용함으로써 효율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구조이므로 조립 공수 단순화에 따른 2차 비용이 절감되고, 고단화에 따른 상품성 증대와, 시스템 압 및 클러치를 제어하는 별도의 스풀(Spool) 밸브를 적용하지 않음으로써 제어성 향상 및 구조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압을 이원화 시킴으로써 페일 세이프(Fail Safe) 기능을 보완하였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습식 DCT에 적용된 유압회로 장치를 개념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발명 다른 예에 따른 습식 DCT에 적용된 유압회로 장치를 개념 도면이다.
도 3 및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DCT 유압 회로 장치의 전체적인 개념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특허 도 4)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상시구동 기계식펌프(1), 보조전동펌프(3), 레귤레이터 밸브(4)(Regulator Valve, 이하 Reg_V/V), 압력제어 솔레노이드 밸브(6)(Proportional Pressure Solenoid Valve, 이하 Sol_PPV), 클러치 제어용 압력제어 솔레노이드 밸브(7)(이하 Clutch_PPV), 시스템 가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System Variable Force Solenoid Valve, 이하 SVFS), 라인압 릴리프 체크 볼(Relief Check Ball)(11)(이하, Ref_C/B), 체크 밸브(CHECK VALE-ISG)(13)(이하, ISG_C/V), 감압 밸브용 어큠(14)(이하, 감압“u브 어큠), 잔압밸브(15), 어큠(16)(이하 클러치 어큠), 윤활 저감 밸브(Lubrication Reducing Valve)(17)(이하, LRV1), 2차 레귤레이팅(regulating) 밸브(18)(이하, LRV2), K1클러치와 K2클러치로 구성된 습식 다판 클러치(20), 체크볼(Check Ball)(22)(이하, C/V)등으로 핵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은 엔진의 동력축과 연결되고, 보조전동펌프(3)를 적용한 습식 더블클러치변속기(Double Clutch Transmission, DCT)유압 회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일반적인 자동변속기(Automatic Transmission) 용 유압회로 장치 대비 변속 시간이 빠르고, 구조가 단순한 DCT를 제어하는 유압회로 장치이다.
구성별로 살펴보면, 상시구동 기계식펌프(1)는 액시스(Off-axis) 타입으로 안정적인 유량을 공급하는 펌프이고, 보조전동펌프(3)는 ISG(Idle Stop & Go) 기능에 필요한 클러치 유압 공급 및 상기 클러치 윤활유량 공급을 담당하는 펌프이다.
이로서, 본 발명은 ISG 기능을 갖추어, 아이들(Idle) 시 엔진정지 및 발진 시 초기 유압을 공급함으로써 효율증대가 가능하다.
즉 ISG 기능 구현 및 저 rpm(revolution per minute)에서 저압의 윤활압/유량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동펌프(3)를 적용하고, 상시 구동 기계식펌프(1)는 오프 액시스(Off-axis) 외에 일반적인 오일펌프(On-axis 타입)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클러치 윤활유량은 별도의 보조전동펌프(3)의 윤활유량을 사용하므로 필요 시 클러치 윤활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Reg_V/V((4)는 상기 회로 장치에 따르는 시스템압을 생성하기 위한 라인압 제어용 스풀 밸브(Spool Valve)이다.
즉, Reg_V/V((4)의 적용에 따라 가변 라인압 제어를 구현할 수 있어, 변속 후 압력을 낮추어 고압 펌프 구동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하여 효율 증대를 통한 연비 개선효과가 크다.
Sol_PPV(6)는 고압 및 리크(leak)를 최소화가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내부 피드백(F/back) 유로를 갖는 상기 시스템압 제어용 밸브로서, 클러치를 제어하는 Clutch_PPV(7)과 기어-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양방향 유량제어 밸브를 홀수단/ 짝수단 구분/연동시킴으로써 페일 세이프(Fail Safe) 기능이 보강된다. 예를 들어 기어 액추에이터 비 정상 제어 시, 전단의 PPV 제어압 해제 등이 가능하다.
삭제
본 발명은 밸브클러치 제어용 Clutch_PPV(7)는 상기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압력을 제어하는 장치이고, 상기 SVFS(8)는 상기 라인압을 제어하는 Reg_V/V(4)의 제어압을 가변제어하기 위한 압력제어용 리니어 솔레노이드(linear Solenoid) 밸브타입인 가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ariable Force Solenoid Valve)의 예이다.
Ref_C/Bl(11)은 상기 라인압의 fail 시, 라인압을 경감시키기 위한 구성이고, ISG_C/V(13)는 상기 엔진 오프(Engine Off) 후 ISG 작동 시, 습식 다판 클러치(20)에서 보조전동펌프(3) 측 압력유량을 K1클러치측으로 유로 절환하는 밸브이다.
감압 밸브 어큠(14)은 RED감압밸브(Reducing Valve)의 감압 유로내 유압 변동(fluctuation)을 완화시키고, 잔압밸브(15)는 상기 클러치 향 제어압유로 내 잔압형성 유도로 제어 반응속도를 증대시키는 밸브이다.
클러치 어큠(16)은 상기 클러치 제어압 떨림 완화 기능을 갖고, LRV1(17)는 상기 습식 다판 클러치(20)의 윤활유량 및 윤활압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이다.
DCT의 특징 중 토크 컨버터(Torq. Convertor)가 없는 관계로 클러치에 의한 발진 시 많은 윤활유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클러치로 향하는 윤활유량을 제어하기 LRV1(17)가 포함되었다. 즉 1차 감압밸브로부터 2차로 감압할 수 있다.
Reg_V/V(4)(4)로부터 생성된 2차 라인압 유로에 감압 밸브를 적용하여 변속제어 시 압력불안정요소를 최소화하여 리듀싱(reducing)압으로부터 클러치로 향하는 항시 공급되는 윤활유량을 공급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발명의 펌프에서의 페일(fail)에 의한 라인압 상승에 따른 부품 파손을 방지하고 유압제어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PLV(라인압 relief 밸브로서 Pressure Limiting Valve)를 추가하여 페일 세이프(Fail safe) 기능을 할 수 있다.
LRV2(18)는 샤프트(Shaft) 측 윤활 압력과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이고, 저 rpm 시 윤활유량은 Reg_V/V)(4)의 drain 유량으로 충당할 수 있도록 별도의 윤활용 감압밸브(LRV2) 를 적용함 으로써, 저 rpm 영역에서 시스템에서 생성한 고압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효율 증대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K1클러치와 K2클러치로 구성된 습식 다판 클러치 제어압이 최소 0.2 bar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잔압밸브를 적용하여 제어 응답(response) 특성을 높였다.
ISG_C/V((13)은 상기 보조전동펌프(3) 구동 및 비 구동 시 메인펌프의 석션(Suction)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공기 유입 방지를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기어 액추에이터(Gear-Actuator) 제어를 위하여 구조가 단순화 양방향 유량제어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되어, 변속 제어 시, 포스(Force) 제어 외 속도제어를 추가함으로써 변속제어 시 변속 충격을 최소화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석션 필터(Suction Filter; 2)는 유압제어 장치 내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이고, 고압용 내장 필터(Filter; 12)는 밸브바디 내부 자동변속기오일(Automatic Transmission Fluid) 및(또는) 더블클러치변속기오일(Dual Clutch Transmission Fluid)내 이물질 제거 및 솔레노이드 작동 시 이물질에 의한 고착성(Stick)을 방지하는 필터이다.
본 발명의 압력센서(19)는 습식 다판 클러치(20)의 K2클러치의 K1클러치 및 K2 클러치측 제어압의 압력 확인용으로 TCU에서 페일 세이프(Fail Safe) 감지 기능을 포함한 센서이다.
본 발명은 클러치 및 기어 액추에이터(Gear-actuator) 제어 시 짝수단과 홀수단측을 제어하는 유압을 이원화하여 페일(Fail) 시 대응이 유리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변속제어를 담당하는 K1클러치와 K2클러치로 구성된 습식 다판클러치(20)는 독립제어가 되며, 한쪽의 페일(Fail) 발생 시 정상제어 가능한 쪽으로 제어 정상 운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습식 다판 클러치(20)의 K1클러치 및 K2클러치측에 압력센서를 장착하여 인터락(Interlock) 감지(방지) 및 Micro-Slip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오일온도센서(Oil Temperature Sensor)(23)는 상기 자동변속기오일(Automatic Transmission Fluid) 및(또는) 더블클러치변속기오일(Dual Clutch Transmission Fluid)의 온도를 측정하여 변속기제어기(Transmission Control Unit)제어 로직(Logic)에 온도보정을 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각 기어단 Gear Actuator 제어용 양방향 유량제어 솔레노이드 밸브(9)와, SVFS(8)제어압의 안정화를 위한 댐핑(damping) 밸브인 솔레노이드 댐핑밸브(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간접제어용 솔레노이드(Solenoid) 밸브 및 상기 클러치에 상시 윤활유량을 공급하는 리듀싱(Reducing) 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샤프트(Shaft) 윤활유량을 별도의 Shaft 윤활유압/유량제어용 밸브없이 시스템에서 만들어진 Reducing압으로 일정한 유압/유량을 보내는 Concept으로 펌프 유량이 충분할 경우 적용할 수 있으며, 항시 보내주는 유량을 일정하게 하므로 리듀싱(Reducing) 밸브에서의 감압 특성에 영향이 적다.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Radiator)를 포함하는 차량 장착 쿨러(Cooler)(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별도의 별채형 cooler 없이 차량에서 사용하는 cooler를 이용하여 부품비를 절감하였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DCT 유압 회로 장치는 예시일 뿐이고,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상시구동 기계식펌프
2 : 메인 석션필터(Suction Filter)
3 : 보조전동펌프
4 : 레귤레이터(Regulator) 밸브
5 : 감압(Reducing) 밸브
6 : 시스템압 제어용 압력제어 솔레노이드 밸브(PPV)
7 : 클러치 제어용 압력제어 솔레노이드 밸브(PPV)
8 : 시스템 가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System Variable Force Solenoid Valve)(SVFS)
9 : 양방향 유량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10 : 솔레노이드 댐핑밸브
11 : 라인압 릴리프 체크볼(Relief C/Ball) 12 : 고압용 내장 필터(Filter)
13 : 체크 밸브(CHECK VALE-ISG)
14 : 감압 밸브용 어큠
15 : 잔압밸브
16 : 어큠
17 : 윤활 저감 밸브(Lubrication Reducing Valve)LRV1)
18 : 2차 레귤레이팅(regulating) 밸브(LRV2)
19 : 압력센서
20 : K1, K2 습식 다판 클러치
21 : 차량 장착 쿨러
22 : 체크 볼(Check Ball)
23 : 오일온도센서

Claims (6)

  1. ISG(IdleStop&Go)기능에 필요한 클러치 유압공급 및 상기 클러치 윤활유량 공급을 담당하는 보조전동펌프(3)를 적용한 습식 더블클러치변속기(DCT) 유압 회로 장치로서, 엔진의 동력축과 연결되고 안정적인 유량을 공급하는 상시구동 기계식펌프(1); 상기 회로 장치에 따르는 시스템압을 생성하기 위한 라인압 제어용 스풀 밸브인 레귤레이터 밸브(Regulator Valve)(4); 내부 피드백 유로를 갖는 상기 시스템압 제어용 압력제어 솔레노이드 밸브(Proportional Pressure Solenoid Valve)(6); 상기 클러치를 제어하기 위한 압력을 제어하는 클러치 제어용 압력제어 솔레노이드 밸브(7); 상기 라인압을 제어하는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4)의 제어압을 가변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가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System Variable Force Solenoid Valve)(8); 상기 라인압 페일(Fail) 시 라인압을 경감시키기 위한 라인압 릴리프 체크 볼(Relief Check Ball)(11); 상기 엔진 오프 후 ISG 작동 시, 보조전동펌프(3) 측 압력유량을 습식 다판 클러치(20)의 K1클러치와 K2클러치중 상기 K1 클러치측으로 유로 절환하는 체크 밸브(13); 감압밸브(Reducing Valve)(5)의 감압 유로내 유압 변동을 완화시키는 감압 밸브용 어큠(14); 상기 클러치 제어압유로 내 잔압형성 유도로 제어 반응속도를 증대시키는 잔압밸브(15); 상기 클러치 제어압 떨림 완화 기능을 갖는 클러치 제어압 떨림 완화용 어큠(16); 상기 습식 다판 클러치(20)의 윤활유량 및 윤활압을 제어하기 위한 윤활 저감 밸브((Lubrication Reducing Valve)(17); 샤프트 측 윤활 압력과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2차 레귤레이팅 밸브((Lubrication Reducing Valve)(18)); 및 상기 보조전동펌프(3) 구동 및 비 구동 시 상시구동 기계식펌프(1)의 석션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공기 유입 방지를 위한 체크볼(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DCT 유압 회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 구동 기계식펌프(1)는 오프 액시스 또는 온 액시스 타입 오일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DCT 유압 회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K1, K2 클러치측 제어압의 압력 확인용으로 변속기제어기(Transmission Control Unit)에서 페일 세이프 감지 기능을 포함한 압력센서;
    상기 변속기제어기(Transmission Control Unit) 제어 로직에 온도보정을 위해 상기 습식 더블클러치변속기의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오일온도센서(Oil Temperature Sensor)(23);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DCT 유압 회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각 기어단 기어 액추에이터 제어용 양방향 유량제어 솔레노이드 밸브(9); 및
    상기 시스템 가변제어 솔레노이드밸브(8) 제어압의 안정화를 위한 댐핑 밸브인 솔레노이드 댐핑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DCT 유압 회로 장치.
  6. 삭제
KR1020140146153A 2014-10-27 2014-10-27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dct 유압 회로 장치 KR101704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153A KR101704125B1 (ko) 2014-10-27 2014-10-27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dct 유압 회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153A KR101704125B1 (ko) 2014-10-27 2014-10-27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dct 유압 회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283A KR20160049283A (ko) 2016-05-09
KR101704125B1 true KR101704125B1 (ko) 2017-02-22

Family

ID=5602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6153A KR101704125B1 (ko) 2014-10-27 2014-10-27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dct 유압 회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245B1 (ko) * 2017-07-14 2022-04-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Isg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20200061854A (ko) * 2018-11-26 2020-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용 오일펌프 제어방법
KR20200119028A (ko) 2019-04-09 2020-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의 라인압 제어방법
CN112503377B (zh) * 2020-12-09 2021-12-21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离合器控制及润滑系统
CN114658843B (zh) * 2022-03-16 2023-11-07 陕西法士特齿轮有限责任公司 一种混合动力自动变速器液压控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4944A1 (en) 2009-01-23 2011-12-29 Markus Brandenburg Control device for an automated gear shift transmission
JP2013199985A (ja) 2012-03-26 2013-10-03 Honda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油圧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7282A (ko) * 2011-10-31 2013-05-08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듀얼 클러치 트랜스밋션용 유압식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4944A1 (en) 2009-01-23 2011-12-29 Markus Brandenburg Control device for an automated gear shift transmission
JP2013199985A (ja) 2012-03-26 2013-10-03 Honda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油圧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283A (ko)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125B1 (ko) 보조전동펌프를 적용한 습식 dct 유압 회로 장치
WO2013005540A1 (ja) 自動変速機の流体圧制御装置
US9377102B2 (en) Automatic transmission failure determination apparatus
JP2009243640A (ja) 発進装置の油圧制御装置
US20150233372A1 (en) Gear pump having grooved mounting adapter
US9341199B2 (en) Torque converter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US10012310B2 (en) Hydraulic control unit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10371216B2 (en) Drain valve
KR20140137580A (ko)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JP4824082B2 (ja) 制御式コンバーター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を装備した流体式トルクコンバーター用の流体圧制御システム
US8590684B2 (en) Control system for a dual clutch transmission
US11022155B2 (en) Hydraulic control system having four-position main pressure regulator
KR101749821B1 (ko) 펌프 이원화 방식 유압제어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자동변속기
US9651147B2 (en) Automatic transmission failure determination apparatus
JP5904043B2 (ja) 油圧制御装置
KR20150001027A (ko) 더블 클러치 변속기용 유압 제어 장치
JP5515974B2 (ja) 油圧制御装置
US20160017985A1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KR20090020062A (ko) 무단변속기 차량의 유압 제어 장치
JP5910760B2 (ja) 油圧制御装置
JP6607244B2 (ja) 車両のパワートレイン装置
KR20060072659A (ko) 무단 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JP5920079B2 (ja) 油圧制御装置
JP2005313672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17044270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