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631B1 - 전원중계유닛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중계유닛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631B1
KR101703631B1 KR1020090096810A KR20090096810A KR101703631B1 KR 101703631 B1 KR101703631 B1 KR 101703631B1 KR 1020090096810 A KR1020090096810 A KR 1020090096810A KR 20090096810 A KR20090096810 A KR 20090096810A KR 101703631 B1 KR101703631 B1 KR 101703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9804A (ko
Inventor
김진하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6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631B1/ko
Priority to US12/801,549 priority patent/US8358943B2/en
Priority to CN2010105039512A priority patent/CN102043360A/zh
Publication of KR20110039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804A/ko
Priority to US13/718,383 priority patent/US862601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combination of static with dynamic converters; by combination of dynamo-electric with other dynamic or static conver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computing resources, e.g. memory, CPU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4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product of voltage and curr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외부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전달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중계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이 전원중계유닛은, 외부 전원에 접속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와;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전원입력단에 접속되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출력하는 전원출력부와; 전원입력부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이 전원출력부에 입력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전원차단부를 포함하며, 전원차단부는, 전원출력부에 대한 교류 전원의 입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교류 전원의 전력 특성을 검출하는 전원검출부와; 기 설정된 전력 특성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전원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력 특성을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력 특성 정보와 비교하며, 비교 결과로부터 이 검출된 전력 특성이 기 설정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고장 시 전력특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원중계유닛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POWER TRANSMITT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부 전원에 접속되는 전원중계유닛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이 고장 전력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는 전원중계유닛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호스트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상제 또는 잉크 등을 적용함으로써 인쇄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화상형성장치는 제조 시에 다양한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설계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과전류와 같은 이상(abnormal)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 대비하여, 장치 내부의 여러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는 구성 설계가 적용된다.
그런데, 화상형성장치가 출시되어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설계 단계에서 예상하지 못한 요인으로 인해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설계 단계에서 고려하지 않은 이상 특성을 나타내 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보호 구성이 이러한 이상 특성을 나타내는 전원을 차단하지 못하게 되면, 화상형성장치의 고장 내지는 발화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 종래에는 화상형성장치를 사용자로부터 회수하여, 문제가 되는 고장 전력 특성에 대응하도록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교체 또는 수정한 이후에 다시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고장 및 발화를 방지하는 리콜(recall)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의 경우, 제조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를 수리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가 제조자에게 회수되어야 하는데, 회수되는 리콜 기간 동안 사용자는 해당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제조자는 리콜 대상이 되는 동일 모델의 화상형성장치를 모두 회수하여 일일이 수리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화상형성장치를 리콜할 필요가 있을 때, 제조자가 화상형성장치를 회수할 필요 없이 고장 전원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전원중계유닛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원으로부터 출 력되는 교류 전원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전달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중계유닛은, 외부 전원에 접속되며,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와;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전원입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출력하는 전원출력부와; 상기 전원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전원출력부에 입력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전원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차단부는, 상기 전원출력부에 대한 상기 교류 전원의 입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특성을 검출하는 전원검출부와; 기 설정된 전력 특성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상기 전원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력 특성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력 특성 정보와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로부터 상기 검출된 전력 특성이 기 설정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고장 시 전력특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작동 환경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이상 전원 패턴에 대응하면,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고장 시 전력특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는 기 설정된 이상 전원 패턴의 프로파일이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원 패턴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이상 전원 패턴의 프로파일에 대응하면,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고장 시 전력특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차단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전원 패턴 프로파 일을 업데이트 가능하게,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에 억세스할 수 있게 마련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메모리가 장착되는 메모리 포트와, 로컬 또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통신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차단부는,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교류 전원의 출력이 차단되는 것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출력부는, 복수의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가 각각 상기 교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본체가 각각 접속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교류 전원은 상기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각각 대응하여 분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차단부는,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각각 대응하여 분기되는 각각의 상기 교류 전원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입력 커맨드에 대응하여 상기 교류 전원을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소정 시간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 시간의 경과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외부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전달하는 상기한 구조에 따른 전원중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전기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전원중계유닛은, 외부 전원에 접속되며,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와; 전기 디바이스의 전원입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상기 전기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전원출력부와; 상기 전원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전원출력부에 입력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전원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차단부는, 상기 전원출력부에 대한 상기 교류 전원의 입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특성을 검출하는 전원검출부와; 기 설정된 전력 특성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상기 전원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력 특성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력 특성 정보와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로부터 상기 검출된 전력 특성이 기 설정된 상기 전기 디바이스의 고장 시 전력특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전자기기로 전달하는 전원전달유닛에 사용되는 전원차단유닛은, 상기 교류전원의 입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교류전원의 전원특성을 감지하는 전원감지부와; 기 설정된 전원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전원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전원특성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기 설정된 전원특성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로부터 상기 감지된 전원특성이 상기 전자기기의 에러 상태인 기 설정된 전원특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는 기 설정된 비정상 전원패턴의 프로파일을 저장하며, 상기 전원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원패턴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비정상 전원패턴의 상기 프로파일에 대응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류전원이 상기 전자기기의 에러 상태인 전원특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전원패턴의 상기 프로파일을 업데이트 가능하도록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에 접속 가능하게 마련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메모리가 장착되는 메모리포트와, 로컬 통신 또는 네트워크 통신 가능한 통신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어부를 자동적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전원패턴 프로파일이 저장된 USB 메모리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류전원이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제조 단계에서 예기하지 못한 이상 전원 패턴에 대응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중계유닛을 적용함으로써, 고장 전원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 자체를 수리할 필요 없이 전원중계유닛을 추가하기만 하면 되므로, 제조자가 화상형성장치를 회수할 필요가 없으며, 문제점 발생 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에, 종래의 리콜 시 발생하는 막대한 인적 물적 소요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에는 해당 화상형성장치의 작동 환경에 대응하는 전원 패턴 프로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바, 해당 화상형성장치에 대응하는 이상 전원 패턴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메모리부에 억세스 가능한 인터페이스부를 적용함으로써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전원 패턴 프로파일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로써, 추후 새로운 이상 전원 패턴이 발생하더라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화상형성장치에도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부에 의한 전원 차단 시 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적용함으로써, 전원이 차단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서 사용자가 적의 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예시도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실시예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구성만을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한 화상형성장치(1)를 구현함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않은 구성이 제외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외부 전원(3)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와, 외부 전원(3) 및 화상형성장치 본체(10) 사이를 접속시키며 외부 전원(3)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전달하는 전원케이블(20)을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 본체(10)는 외측에 전원케이블(20)의 일단이 접속됨으로써 교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케이블접속부(19)를 가진다.
이하,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작동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화상형성장치 본체(10)는 적재된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매체공급유닛(400)과, 각 색상 별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상담지체(510K, 510C, 510M, 510Y)를 가지는 화상형성 카트리지(500K, 500C, 500M, 500Y)와,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담지체(510K, 510C, 510M, 510Y)를 노광시키는 노광유닛(600)과, 상담지체(510K, 510C, 510M, 510Y)에 형성된 가시 화상을 중간전사 방식에 따라서 인쇄매체 상에 전사하는 전사유닛(700)과, 인쇄매체 상의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800)과, 이들 구성에 대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900)를 포함한다.
매체공급유닛(400)은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적재카세트(410)와, 적재카세트(410)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하나씩 픽업하여 공급하는 픽업롤러(420)를 포함한다. 픽업된 인쇄매체는 레지롤러(430)로 이송된다.
레지롤러(430)는 이송된 인쇄매체의 선단을 정렬하며, 기 설정된 타이밍에 인쇄매체를 전사유닛(700)으로 이송한다. 인쇄매체는 전사유닛(700) 및 정착유 닛(800)을 통과하면서, 일면 상에 화상이 형성된다.
듀플렉스롤러(440)는 인쇄매체에 대한 양면 인쇄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와 같이 일면 상에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를 레지롤러(430)로 역이송시킨다. 듀플렉스롤러(440)에 의해 역이송된 인쇄매체는 다시 레지롤러(430)에 의해 적절한 타이밍에 전사유닛(700)으로 이송됨으로써, 화상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일면 상에 화상이 형성된다.
화상형성 카트리지(500K, 500C, 500M, 500Y)는 복수의 색상에 각각 대응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화상형성 카트리지(500K, 500C, 500M, 500Y)는 블랙(black),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색상의 현상제 각각에 대응하게 마련되며, 각 색상의 현상제를 상담지체(510K, 510C, 510M, 510Y)에 공급한다.
상담지체(510K, 510C, 510M, 510Y)는 노광유닛(600)에 의해 노광됨으로써 표면 상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며, 화상형성 카트리지(500K, 500C, 500M, 500Y)가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함으로써 상담지체(510K, 510C, 510M, 510Y) 상에 가시 화상이 형성된다.
전사유닛(700)은 이 상담지체(510K, 510C, 510M, 510Y)의 가시 화상을 중간전사 방식으로 인쇄매체 상에 전사시킨다. 이를 위하여, 전사유닛(700)은 상담지체(510K, 510C, 510M, 510Y)에 접하게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하며 가시 화상이 전사 및 중첩되는 중간전사벨트(710)와, 중간전사벨트(710)를 회전 이동시키는 구동롤러(720)와, 중간전사벨트(710) 상의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 상에 전사하는 최종전사롤러(730)와, 최종전사롤러(730)를 백업하는 전사백업롤러(7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사유닛(700)은 중간전사벨트(710)를 사이에 두고 상담지체(510K, 510C, 510M, 510Y)에 대응하게 배치된 전사롤러(750K, 750C, 750M, 750Y)를 포함한다. 전사롤러(750K, 750C, 750M, 750Y)는 각 상담지체(510K, 510C, 510M, 510Y)와 마주하며, 상담지체(510K, 510C, 510M, 510Y) 상의 가시 화상을 중간전사벨트(710) 상에 전사시킨다.
정착유닛(800)은 열을 생성 및 발산하는 히팅롤러(810)와, 히팅롤러(810)를 가압하며 닙을 형성하는 가압롤러(820)를 포함한다. 전사유닛(700)에 의해 가시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가 히팅롤러(810) 및 가압롤러(820) 사이의 닙을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인쇄매체 상의 가시 화상이 정착된다.
전원공급부(900)는 외부 전원(3)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각 구성에 대응하는 적정 전압 레벨로 조정하여 각 구성에 출력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 본체(10)가 전원케이블(20)을 통해 직접 교류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설계 제조 단계에서 고려하지 못한 이상 전원 패턴의 교류 전원이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형성장치 본체(10)가 고장나거나 발화할 위험이 있다.
예를 들면, 정착유닛(800)의 히팅롤러(810)는 정착을 위한 높은 열을 생성한다. 만일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이상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히팅롤러(810)에서 생성되는 열량은 화상형성장치 본체(10)를 손상시킬 정도로 상승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0) 내에는 퓨즈(미도시)가 설치되나, 제조 단계에서 고려되지 않은 고장 전력특성의 전원이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입력되 는 경우, 상기한 퓨즈(미도시)가 단락되지 않고 히팅롤러(810)의 과열로 화상형성장치 본체(10)가 발화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외부 전원(3)으로부터의 교류 전원을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전원중계유닛(30)을 포함한다. 전원중계유닛(30)은 교류 전원이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작동 환경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이상 전원 패턴에 대응하면, 교류 전원이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10) 자체를 리콜 및 수리하지 않더라도, 제조 단계 이후에 고려되는 이상 전원 패턴에 대응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10)를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중계유닛(30)은 기존의 전원케이블(20) 및 케이블접속부(19)에 접속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기존의 플러그 및 콘센트에 대응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중계유닛(30)의 구성에 관해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전원중계유닛(30)의 전원 전달 및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중계유닛(30)은 외부 전원(3)으로부터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100)와, 전원입력부(100)에 입력된 교류 전원을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출력하는 전원출력부(200)와, 전원입력부(100)에 입력된 교류 전원 패턴을 이상 전원 패턴으로 판단하면 이 교류 전원이 전원출력부(200)에 전달 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300)를 포함한다.
전원입력부(100)는 외부 전원(3)에 접속된 전원케이블(20)이 접속되거나, 외부 전원(3)에 직접 접속됨으로써,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출력부(200)로 출력한다. 전원입력부(100)는 전원케이블(20)의 일단부가 접속되기 위한 콘센트 구성이나, 외부 전원(3)에 접속되기 위한 플러그 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전원출력부(200)는 전원입력부(10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화상형성장치 본체(10)로 출력한다. 전원출력부(200)는 전원입력부(100)의 경우와 유사하게,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접속된 전원케이블(20)이 접속되거나,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케이블접속부(19)에 직접 접속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원차단부(300)는 전원입력부(10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이 전원출력부(200)에 입력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310)와, 전원입력부(10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원 패턴을 검출하는 전원검출부(320)와, 기 설정된 전원 패턴의 프로파일(profile)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350)와, 전원검출부(320)에서 검출된 전원 패턴을 메모리부(350)의 전원 패턴 프로파일과 비교하여 이상 전원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스위칭부(310)를 제어하는 제어부(370)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차단부(300)는 제어부(370)의 제어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부(330)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며 기 설정된 커맨드를 제어부(370)에 전송하는 사용자입력부(340)와, 외부로부터 메모리부(350) 또는 제어부(370)에 억세스 가능하게 마련 된 인터페이스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310)는 전원입력부(100) 및 전원출력부(200) 사이의 전원 경로 사이에 설치되며, 교류 전원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차단한다. 이를 위한 스위칭부(310)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며 계전기(relay)나, 트라이액(TRIAC)과 같은 스위치형 반도체로 구현될 수 있다. 트라이액은 평균전류를 제어 가능한 2방향성 3단자 사이리스터(thyrister)의 일종을 말한다.
전원검출부(320)는 전원입력부(100) 및 스위칭부(310) 사이의 전원 경로 사이에 설치된다. 전원검출부(320)는 교류 전원의 전류 또는 전압과 같은 다양한 전력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370)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외부 전원(3)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은 110V나 220V의 고전압이므로, 전원검출부(320)는 교류 전원의 전압을 제어부(370)가 손상되지 않을 정도로 강하시킨다. 또한, 전원검출부(320)는 교류 전원을 소정 레벨로 강하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제어부(370)에 전달할 수 있다.
전원검출부(320)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바, 계기용 변압기(potential transformer, PT), 계기용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 션트(shun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계기용 변압기는 고전압을 이에 비례하는 낮은 전압으로 변성하는 것으로 회로에 병렬로 접속하여 사용한다. 계기용 변류기는 고전류를 이에 비례하는 소전류로 낮추며, 회로에 직렬로 접속하여 사용한다. 션트는 회로에 직렬로 접속하는 고정저항으로서, 계기용 변류기에 비해 정밀도가 높다.
표시부(330)는 제어부(370)의 제어에 의해 현재 전원중계유닛(30)의 작동 상태, 예를 들면 이상 전원의 검출에 의해 교류 전원 출력이 차단된 경우,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표시부(330)는 액정 디스플레이, LED, 스피커, 부저(buzz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표시부(330)는 사용자입력부(340)의 조작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34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스위칭부(310)를 제어하는 커맨드를 제어부(37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입력부(340)는 스위칭부(310)를 통해 교류 전원의 출력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커맨드를 제어부(37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인터페이스부(360)를 통하여 메모리부(350)의 전원 패턴 프로파일을 업데이트할 때,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340)를 통하여 이 업데이트 과정을 제어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350)는 전원이 차단되도 저장 데이터가 소멸되지 않도록, 플래시메모리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메모리부(35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작동 환경에 대응하는 이상 전원 패턴의 프로파일이 저장된다. 즉, 화상형성장치 본체(10)를 제조하는 시점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다양한 이상 전원 패턴의 프로파일이 메모리부(350)에 저장되며, 이러한 프로파일은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종류, 제조사, 모델명 등에 따라서 상이하게 지정된다.
메모리부(350)에 저장되는 이러한 전원 패턴의 프로파일은 전류값, 전압값, 전류 파형 패턴 등 다양한 정보로 구현될 수 있는 바, 그 내용이 한정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부(360)는 제어부(370)가 외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메모리 부(350)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 억세스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인터페이스부(360)는 메모리부(35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전원 패턴 프로파일의 삭제, 수정 및 추가 등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360)는 외부의 컴퓨터(미도시)와 로컬 또는 네트워크로 접속됨으로써, 이러한 업데이트가 수행되게 한다. 또는 인터페이스부(360)는 업데이트용 전원 패턴 프로파일이 저장된 USB 메모리가 접속되고, 제어부(370)에 설정되어 있는 업데이트 코드가 실행됨으로써 자동으로 업데이트가 수행되게 할 수도 있다.
제어부(370)는 전원검출부(320)로부터 검출된 전원 패턴을 메모리부(350)에 저장된 전원 패턴 프로파일과 비교하며, 이 비교 결과로부터 전원입력부(100)에서 전원출력부(200)로 전달되는 교류 전원이 이상 전원 패턴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370)는 교류 전원이 이상 전원 패턴에 대응하지 않고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하면, 스위칭부(310)를 통한 전원 출력을 허용한다. 이에 의하여, 외부 전원(3)으로부터 출력된 교류 전원은 전원출력부(200)를 통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0)로 공급된다.
반면, 제어부(370)는 교류 전원이 이상 전원 패턴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스위칭부(31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스위칭부(310)를 통한 전원 출력을 차단한다. 이에 의하여, 전원출력부(200)를 통한 교류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고,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즉, 교류 전원이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고장의 원인이 되는 이상 전원 패턴을 나타내면, 해당 교류 전원이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전달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고장 내지는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이러한 스위칭부(310)의 제어 결과를 표시부(330)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린다.
제어부(370)는 복합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IC의 군체 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 구성이 혼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제어부(370)와 메모리부(350)의 통합 구성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중계유닛(30)의 사용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 본체(10)가 전원케이블(20)을 통해 외부 전원(3)으로부터 직접 교류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초기 상태로 한다.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제조 및 출시 이후에 사용자 또는 연구소 등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고장 원인이 되는 이상 전원 패턴이 보고되면, 제조자는 현재 출시되어 있는 동일 모델의 화상형성장치 본체(10)가, 보고된 이상 전원 패턴에 대응하여 보호될 수 있는지 실험을 통해 확인한다.
현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구성이 이상 전원 패턴에 대응할 수 없다고 확인되면, 제조자는 메모리부(350)에 해당 이상 전원 패턴의 프로파일이 기록된 전원중계유닛(30)을 사용자에게 송부한다.
사용자는 송부된 전원중계유닛(30)을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대한 교류 전원의 공급단에 설치한다.
외부 전원(3)으로부터 출력된 교류 전원은 전원입력부(100), 전원검출부(320), 스위칭부(310) 및 전원출력부(200)를 통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0)로 전달된다. 전원검출부(320)에서는 교류 전원의 전력 정보를 제어부(370)에 전달하며, 제어부(370)는 전달받은 전력 정보를 메모리부(350)의 전원 패턴 프로파일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면, 제어부(370)는 스위칭부(310)가 전원 출력을 허용하게 유지한다. 비교 결과 교류 전원이 이상 전원 패턴을 나타낸다고 판단하면, 제어부(370)는 스위칭부(310)를 제어하여 전원 출력을 차단시킴으로써, 이상 전원이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하여, 이상 전원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 본체(10)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70)는 전원 차단 결과를 표시부(33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에 전원중계유닛(30)이 설치된 상황에서, 새로운 이상 전원 패턴이 또 보고될 수도 있다. 이에,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부(360)를 제조자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미도시)에 네트워크로 연결시킴으로써, 새로운 이상 전원 패턴의 프로파일을 메모리부(350)에 업데이트시킨다.
또는, 사용자는 서버(미도시)에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미도시)를 통해 업데이트 어플리케이션 및 업데이트용 전원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컴퓨터(미도시)를 인터페이스부(360)에 로컬로 연결한 후, 컴퓨터(미도시)를 통해 메모리부(350)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부(350)에 기 설정된 전원 패턴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교류 전원의 이상 전원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 결과에 따라서 교류 전원의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 본체(1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 본체(10)를 사용자로부터 회수하지 않고도,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출시 이후 고려되는 이상 전원 패턴에 대응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10)를 보호할 수 있다.
이하, 전원중계유닛(30)을 설치하는 위치에 관해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은 전원중계유닛(30)을 화상형성장치(1)에 적용 시 전원중계유닛(30)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면의 화살표는 교류 전원의 전달을 의미한다.
도 4의 (1)은 전원중계유닛(30)이 적용되지 않은 상태로서, 전원케이블(20)이 외부 전원(3) 및 화상형성장치 본체(10) 사이에 접속됨으로써, 외부 전원(3)의 교류 전원을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전달한다. 이 경우,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제조 시 고려되지 않은 이상 전원에 대응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10)를 보호하기는 곤란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전원중계유닛(30)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의 (2)는 전원중계유닛(30)을 전원케이블(20) 및 화상형성장치 본체(10) 사이에 접속한 상태이다. 이 경우, 전원중계유닛(30)은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케이블접속부(19)와 동일 규격의 콘센트를 가질 수 있다.
도 4의 (3)은 전원중계유닛(30)을 외부 전원(3) 및 전원케이블(20) 사이에 접속한 상태이다. 이 경우, 전원중계유닛(30)은 외부 전원(3)에 직접 접속하기 위 한 플러그와, 전원케이블(20)이 접속되는 콘센트를 가질 수 있다.
도 4의 (4)는 전원케이블(20)을 제외하고, 전원중계유닛(30)을 외부 전원(3) 및 화상형성장치 본체(10) 사이에 직접 연결한 상태이다. 즉, 전원중계유닛(30)은 전원케이블(20)을 대체하여 외부 전원(3) 및 케이블접속부(19)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전원중계유닛(30)은 외부 전원(3)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어떠한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전원중계유닛(30)이 하나의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둘 이상의 화상형성장치 본체(11, 12)에 대응하는 전원중계유닛(31)의 구성도 가능한 바 이러한 구성을 제2실시예로 하고,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시예와 달리 두 개의 화상형성장치 본체(11, 12)가 구비된다. 전원중계유닛(31)은 교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외부 전원(3)에 접속되며,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 각각에 접속된 제1전원케이블(21) 및 제2전원케이블(22)이 전원중계유닛(31)에 접속된다. 즉, 제2실시예는 외부 전원(3)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이 전원중계유닛(31)에서 분기하여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에 각각 공급되는 형태의 구성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중계유닛(31)에 관해 도 6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6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중계유닛(31)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를 동일한 이상 전원 패턴에 대응하여 보호하고자 하는 경우,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 각각에 대해 전원중계유닛(30)을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하나의 전원중계유닛(31)에 의해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을 모두 보호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를 위하여, 전원중계유닛(31)은 전원입력부(100)와, 전원출력부(201)와, 전원차단부(30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원차단부(301)는 스위칭부(311), 전원검출부(320), 표시부(330), 사용자입력부(340), 메모리부(350), 인터페이스부(36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구성 중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은 제1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전원출력부(201)는 제1전원케이블(21)이 접속되는 제1본체접속부(210)와, 제2전원케이블(22)이 접속되는 제2본체접속부(220)를 포함한다. 이에, 전원출력부(201)는 교류 전원을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에 대해 각각 출력한다.
스위칭부(311)는 전원입력부(10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제1본체접속부(210) 및 제2본체접속부(220)에 각각 출력한다. 스위칭부(311)는 제어부(370)에 의해 전원 출력을 차단하도록 제어되면, 제1본체접속부(210) 및 제2본체접속부(220)에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모두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전원중계유닛(31)을 외부 전원(3)에 접속시키고, 이 전원중계유닛(31)에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를 각각 접속시킨다. 전원중계유닛(31)의 메모리부(350)에는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에 모두 대응하는 이상 전원 패턴의 프로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370)가 교류 전원의 이상 전원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에 관해서는 제1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교류 전원의 패턴이 이상 전원 패턴에 대응하는 경우, 이러한 교류 전원은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의 고장 원인이 된다. 이에, 제어부(370)는 스위칭부(311)를 제어하여 제1본체접속부(210) 및 제2본체접속부(220)에 대한 교류 전원의 출력을 차단한다. 이에 의하여, 이상 전원으로부터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를 모두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의 제2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이상 전원 패턴에 대응하여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를 함께 보호하는 구성을 표현하였다. 그러나,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에 대응하는 이상 전원 패턴이 각각 상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한 전원중계유닛(32)의 구성을 제3실시예로 하고,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3실시예에 따른 전원중계유닛(32)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전원중계유닛(32)은 외부 전 원(3)으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입력부(101)와, 전원입력부(101)로부터 분기하여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에 대해 각각 출력하는 전원출력부(201)와, 전원입력부(101)로부터 분기하여 출력되는 각각의 교류 전원을 차단 가능하게 설치된 제1전원차단부(303) 및 제2전원차단부(304)를 포함한다.
전원입력부(101)는 외부 전원(3)으로부터의 교류 전원을 복수 라인, 본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라인으로 분기 출력한다. 분기 출력되는 각 교류 전원은 전원출력부(201)의 제1본체접속부(210) 및 제2본체접속부(220)로 출력된다.
제1본체접속부(210) 및 제2본체접속부(220)는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전원입력부(101)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에 각각 공급한다.
제1전원차단부(303) 및 제2전원차단부(304)는 전원입력부(101)로부터 제1본체접속부(210)에 출력되는 교류 전원 및 전원입력부(101)로부터 제2본체접속부(220)에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각각 차단한다. 제1전원차단부(303) 및 제2전원차단부(304)의 자세한 구성은 제1실시예의 전원차단부(300)를 응용할 수 있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전원차단부(303)는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의 동작 환경에 대응하는 이상 전원 패턴에 관한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다. 반면, 제2전원차단부(304)는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의 동작 환경에 대응하는 이상 전원 패턴에 관한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다.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의 동작 환경이 상이하므로, 각각의 프로파일은 서로 상이한 특성의 패턴을 가진다.
즉, 교류 전원이 나타내는 전원 패턴은,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 모두에 있어서 이상 전원이 아니거나,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 모두에 있어서 이상 전원이거나,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이상 전원인 세 가지 케이스 중 하나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세 가지 케이스에 모두 대응이 가능하며, 특히 전원입력부(101)로부터 분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각각 통제함으로써, 세 번째 케이스에 대해 대처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중계유닛(32)이 이상 전원에 대해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를 개별적으로 보호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전원중계유닛(32)을 설치하는 방법은 제2실시예의 도 5를 응용할 수 있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소정의 전원 패턴을 가지는 교류 전원이 전원입력부(101)에서 출력되어 제1전원차단부(303) 및 제2전원차단부(304)에 각각 입력된다.
제1전원차단부(303)는 기 설정된 전원 패턴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교류 전원의 이상 전원 여부를 판단하며, 이상 전원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1본체접속부(210)에 대한 교류 전원의 출력을 차단시킨다.
한편, 제2전원차단부(304)는 제1전원차단부(303)와 상이하게 기 설정된 전원 패턴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교류 전원의 이상 전원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1전원차단부(303) 및 제2전원차단부(304)가 참조하는 전원 패턴 프로파일이 상이하다. 따라서, 제1전원차단부(303)에 의해 이상 전원으로 판단된 교류 전원에 대해, 제2전원차단부(304)는 이상 전원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전원차단부(304)는 제2본체접속부(220)에 대한 해당 교류 전원의 출력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교류 전원의 전원 패턴이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본체(11, 12) 중에서 일부에 대해서만 이상 전원으로 작용하는 경우, 이상 전원으로 판단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1)에 대한 교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나머지 화상형성장치 본체(12)에 대해서는 교류 전원 공급을 허용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상이한 구성으로 전원차단부(305)를 구현할 수 있는 바, 이를 제4실시예로 하고,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원중계유닛(33)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중계유닛(33)은 외부 전원(3)으로부터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100)와, 전원입력부(100)로부터의 교류 전원을 화상형성장치 본체(10)로 출력하는 전원출력부(200)와, 전원출력부(200)에 대한 교류 전원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전원차단부(305)를 포함한다.
전원차단부(305)는 전원입력부(100) 및 전원출력부(200) 사이의 전원 경로 상에 설치되며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기 설정된 고장 시 전력특성에 대응하여 이 전원 경로의 전원 흐름을 차단하는 는 전원차단소자(380)와, 전원차단소자(380)에 의해 전원이 차단된 것을 표시부(330)에 표시하는 제어부(361)를 포함한다.
전원차단소자(38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이상 전원 패턴의 교류 전원이 흐를 경우, 자체적으로 단락됨으로써 해당 교류 전원이 전원출력부(2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전원차단소자(38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동작 환경에 대응하여, 제조자에 의해 그 단락 특성이 선택되어 적용된다.
전원차단소자(380)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며, 퓨즈(fuse), 바이메탈(bimetal)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전원차단소자(380)를 흐르는 교류 전원이 전원차단소자(380)의 단락 특성에 대응하여 이상 전원인 경우, 전원차단소자(380)가 단락되어 교류 전원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로써, 이상 전원이 디바이스본체(10)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제4실시예는 전원출력부(200)에 하나의 화상형성장치 본체(10)가 접속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본체(11, 12)가 접속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관한 구성을 제5실시예로 하고, 이하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은 제5실시예에 따른 전원중계유닛(35)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실시예에 따른 전원중계유닛(35)은 전원출력 부(201)에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가 접속되어 각각 교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전원출력부(201)의 구성은 제2실시예의 도 6의 경우를 응용할 수 있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전원차단소자(380)는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 모두에 대응하는 단락 특성을 가진다. 전원차단소자(380)는 이상 전원이 흐르면 단락됨으로써 전원출력부(201)에 대한 전원 출력을 차단한다.
이에 의하여,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에 대하여 이상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5실시예와 상이하게,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에 대한 교류 전원 차단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제6실시예로 하여, 이하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6실시예에 따른 전원중계유닛(36)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중계유닛(36)은 외부 전원(3)으로부터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101)와, 전원입력부(101)로부터 분기하여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에 각각 출력하는 전원출력부(201)와, 전원입력부(101)로부터 분기하여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개별적으로 차단 가능하게 설치된 제1전원차단소자(381) 및 제2전원차단소자(382)를 포함한다.
제1전원차단소자(381) 및 제2전원차단소자(382)는 각각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 및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의 이상 전원 패턴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단 락 특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전원입력부(101)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은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에 대해서는 이상 전원이 아니지만,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에 대해서는 이상 전원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전원차단소자(381)는 단락되지 않고 교류 전원의 흐름을 허용하는 반면, 제2전원차단소자(382)는 단락됨으로써 교류 전원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에 의하여, 제1화상형성장치 본체(11)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고, 제2화상형성장치 본체(12)에 교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이상 전원 패턴이 다른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본체(11, 12)에 대해 하나의 전원중계유닛(35, 36)을 적용하여 대응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중계유닛(30)이 화상형성장치(1)에 적용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장치, 예를 들면 스캐너, 복합기, 복사기, TV, 컴퓨터본체, 냉장고나 세탁기 등의 생활가전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장치에 전원중계유닛(30)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전원중계유닛의 전원 전달 및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중계유닛을 적용 시, 전원중계유닛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예시도,
도 6은 도 5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전원중계유닛의 전원 전달 및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원중계유닛의 전원 전달 및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원중계유닛의 전원 전달 및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원중계유닛의 전원 전달 및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원중계유닛의 전원 전달 및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상형성장치 10 : 화상형성장치 본체
19 : 케이블접속부 20 : 전원케이블
30 : 전원중계유닛 100 : 전원입력부
200 : 전원출력부 300 : 전원차단부
310 : 스위칭부 320 : 전원검출부
330 : 표시부 340 : 사용자입력부
350 : 메모리부 360 : 인터페이스부
370 : 제어부 380 : 전원차단소자

Claims (19)

  1. 외부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전달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중계유닛에 있어서,
    외부 전원에 접속되며,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와;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전원입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출력하는 전원출력부와;
    상기 전원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전원출력부에 입력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전원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차단부는,
    상기 전원출력부에 대한 상기 교류 전원의 입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특성을 검출하는 전원검출부와;
    기 설정된 전력 특성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에 억세스할 수 있게 마련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전원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력 특성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력 특성 정보와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로부터 상기 검출된 전력 특성이 기 설정된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고장 시 전력특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업데이트용 전력 특성 정보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전력 특성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중계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작동 환경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이상 전원 패턴에 대응하면,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고장 시 전력특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중계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기 설정된 이상 전원 패턴의 프로파일이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원 패턴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이상 전원 패턴의 프로파일에 대응하면,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고장 시 전력특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중계유닛.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메모리가 장착되는 메모리 포트와, 로컬 또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통신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중계유닛.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차단부는,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교류 전원의 출력이 차단되는 것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중계유닛.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출력부는,
    복수의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가 각각 상기 교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본체가 각각 접속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중계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교류 전원은 상기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각각 대응하여 분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중계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차단부는,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각각 대응하여 분기되는 각각의 상기 교류 전원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중계유닛.
  10.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입력 커맨드에 대응하여 상기 교류 전원을 스위칭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중계유닛.
  11.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소정 시간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 시간의 경과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중계유닛.
  12.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외부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전달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원중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외부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전기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전원중계유닛에 있어서,
    외부 전원에 접속되며,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와;
    전기 디바이스의 전원입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상기 전기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전원출력부와;
    상기 전원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교류 전원이 상기 전원출력부에 입력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전원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차단부는,
    상기 전원출력부에 대한 상기 교류 전원의 입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특성을 검출하는 전원검출부와;
    기 설정된 전력 특성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에 억세스할 수 있게 마련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전원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력 특성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력 특성 정보와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로부터 상기 검출된 전력 특성이 기 설정된 상기 전기 디바이스의 고장 시 전력특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업데이트용 전력 특성 정보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전력 특성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중계유닛.
  14. 외부 전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전자기기로 전달하는 전원전달유닛에 사용되는 전원차단유닛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의 입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교류전원의 전원특성을 감지하는 전원감지부와;
    기 설정된 전원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에 억세스할 수 있게 마련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전원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전원특성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기 설정된 전원특성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로부터 상기 감지된 전원특성이 상기 전자기기의 에러 상태인 기 설정된 전원특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업데이트용 전원특성 정보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전원특성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기 설정된 비정상 전원패턴의 프로파일을 저장하며,
    상기 전원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전원패턴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비정상 전원패턴의 상기 프로파일에 대응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류전원이 상기 전자기기의 에러 상태인 전원특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유닛.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메모리가 장착되는 메모리포트와, 로컬 통신 또는 네트워크 통신 가능한 통신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유닛.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어부를 자동적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전원패턴 프로파일이 저장된 USB 메모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유닛.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이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유닛.
KR1020090096810A 2009-10-12 2009-10-12 전원중계유닛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1703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810A KR101703631B1 (ko) 2009-10-12 2009-10-12 전원중계유닛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US12/801,549 US8358943B2 (en) 2009-10-12 2010-06-14 Electric power relay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10105039512A CN102043360A (zh) 2009-10-12 2010-10-12 电力中继单元和具有电力中继单元的图像形成装置
US13/718,383 US8626010B2 (en) 2009-10-12 2012-12-18 Electric power relay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810A KR101703631B1 (ko) 2009-10-12 2009-10-12 전원중계유닛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804A KR20110039804A (ko) 2011-04-20
KR101703631B1 true KR101703631B1 (ko) 2017-02-08

Family

ID=4385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810A KR101703631B1 (ko) 2009-10-12 2009-10-12 전원중계유닛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358943B2 (ko)
KR (1) KR101703631B1 (ko)
CN (1) CN1020433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631B1 (ko) * 2009-10-12 2017-02-08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전원중계유닛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CN104459305B (zh) * 2013-09-17 2018-08-3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功率侦测电路
CN104135475B (zh) * 2014-07-18 2017-05-24 国家电网公司 一种面向移动互联网的电力信息安全防护方法
KR102550413B1 (ko) * 2016-01-13 2023-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구동 장치 및 조명 장치
US11231448B2 (en) 2017-07-20 2022-01-25 Targus International Ll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mote power management and discovery
GB2594173B (en) 2018-12-19 2023-10-04 Targus International Llc Display and docking apparatus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BR112022002917A2 (pt) 2019-08-22 2022-05-10 Targus International Llc Sistemas e métodos para videoconferência controlada por participantes
BR112022004289A2 (pt) 2019-09-09 2022-08-09 Targus International Llc Sistemas e métodos para estações de ancoragem fixáveis de modo removível a aparelhos de exibição e conjuntos de suporte de ancoragem
US10908862B1 (en) * 2020-03-12 2021-02-0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system and voltage adjustment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9888A (ja) * 2004-11-11 2006-06-22 Tohoku Ricoh Co Ltd 印刷装置
JP2007147677A (ja) * 2005-11-24 2007-06-1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8172962A (ja) * 2007-01-12 2008-07-24 Ricoh Co Ltd 電源制御回路、機能拡張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88Y2 (ja) * 1987-07-11 1994-01-26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除細動装置
JPH10125423A (ja) 1996-10-24 1998-05-15 Shigehisa Murata 電源サージ保護アダプター
US6836396B1 (en) * 2000-09-13 2004-12-28 General Electric Company World wide web enabled and digital rating plug
KR20030060343A (ko) 2002-01-08 2003-07-16 주식회사 다원기술 다기능멀티탭
JP4021407B2 (ja) * 2003-12-16 2007-12-12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KR101033567B1 (ko) * 2003-12-26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JP2008046708A (ja) * 2006-08-11 2008-02-28 Sharp Corp データ処理装置、プログラム管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更新方法、プログラム管理方法、プログラム管理システム、更新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886562B2 (ja) * 2007-03-19 2012-02-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力変換器及び多入出力電力変換器
US20090021879A1 (en) * 2007-07-17 2009-01-22 Rivers Jr Cecil Apparatus and method for fault current interruption
JP5319246B2 (ja) * 2008-11-14 2013-10-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イッチング電源保護システム及び計算機
KR101703631B1 (ko) * 2009-10-12 2017-02-08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전원중계유닛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9888A (ja) * 2004-11-11 2006-06-22 Tohoku Ricoh Co Ltd 印刷装置
JP2007147677A (ja) * 2005-11-24 2007-06-1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8172962A (ja) * 2007-01-12 2008-07-24 Ricoh Co Ltd 電源制御回路、機能拡張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85816A1 (en) 2011-04-14
US20130108305A1 (en) 2013-05-02
US8358943B2 (en) 2013-01-22
CN102043360A (zh) 2011-05-04
US8626010B2 (en) 2014-01-07
KR20110039804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631B1 (ko) 전원중계유닛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US7582989B2 (en) Safety relay having independently testable contacts
JP5059747B2 (ja) ホットメルト接着剤ホースアセンブリのヒーター回路及び温度センサ用の冗長性を有する制御回路
US10454280B2 (en) Modular power supply with hot swappable portion
US9084294B2 (en) Hea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20083764A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보호장치 및 방법과,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7206527B2 (en) Information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fixing unit
KR101145218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790360B (zh) 充电电路、电子设备及信息处理方法
JP2010288325A (ja) コンデンサ収容装置
JP2006094580A (ja) 給電装置
US7277654B2 (en) Electrophotographic power supply configuration for supplying power to a fuser
JP2003021981A (ja) 定着装置
JP2005045889A (ja) コンデンサ充電装置、加熱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18927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ical equipment
KR20120042070A (ko) 전자기기
JP200917278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39800A (ja) 画像形成装置
US2024014290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utdown method at time of power cut-off
JP4687034B2 (ja) 画像形成装置
GB2381393A (en) High voltage network having a monitoring system
JP4207513B2 (ja) 電源供給監視装置および電源供給監視方法
KR100872866B1 (ko) 자가 진단을 수행하는 조광기 시스템
KR100624486B1 (ko) 화상형성기기에서의 과열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214163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기 과열 방지 온도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