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935B1 -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935B1
KR101702935B1 KR1020140192752A KR20140192752A KR101702935B1 KR 101702935 B1 KR101702935 B1 KR 101702935B1 KR 1020140192752 A KR1020140192752 A KR 1020140192752A KR 20140192752 A KR20140192752 A KR 20140192752A KR 101702935 B1 KR101702935 B1 KR 101702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value
control command
controllers
comman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026A (ko
Inventor
강효진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40192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935B1/ko
Priority to EP15875682.5A priority patent/EP3242172A4/en
Priority to US15/539,484 priority patent/US20170371310A1/en
Priority to PCT/KR2015/014424 priority patent/WO2016108588A1/ko
Priority to BR112017013931A priority patent/BR112017013931A2/pt
Publication of KR20160080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9/00Safety arrangements
    • G05B9/02Safety arrangements electric
    • G05B9/03Safety arrangements electric with multiple-channel loop, i.e. redundant control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4Quantitative history assessment, e.g. mathematical relationships between available data; Functions therefo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Partial least square [PLS]; Statistical classifiers, e.g. Bayesian networks, linear regression or correlation analysis; Neural networ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77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using redundant signals or contr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rocessing functionality is redundant
    • G06F11/2023Failover techniques
    • G06F11/2028Failover techniques eliminating a faulty processor or activating a spa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4Plc safety
    • G05B2219/14014Redundant processors and I-O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182Redundanc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183If error, spare unit takes over, message to master, confirm new configur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187Redundant processors run identical progra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4Director, elements to supervisory
    • G05B2219/34427Diagnostic, monitoring incorporated in controll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2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 G05B23/023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based on parallel systems, e.g. comparing signals produced at the same time by same type systems and detect faulty ones by noticing differences among their respons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43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model based detection method, e.g. first-principles knowledge model
    • G05B23/024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model based detection method, e.g. first-principles knowledge model based on a qualitative model, e.g. rule based; if-then decisions
    • G05B23/0251Abstraction hierarchy, e.g. "complex systems", i.e. system is divided in subsystems, subsystems are monitored and results are combined to decide on status of whole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화 제어기의 상태를 감시하여 제어기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고 정상적인 제어기로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은, 제1 및 제2 제어기의 제어명령 출력값을 dq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의 제어명령 출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의 변화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제1 및 제2 제어기로 피드백되는 피드백 입력값을 dq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제어기의 피드백 입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의 평균변화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기의 제어명령 출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의 평균변화율과 상기 제1제어기의 피드백 입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의 평균변화율이 동일하면 상기 제1제어기를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서로 다르면 고장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제어기의 제어명령 출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의 평균변화율과 상기 제2제어기의 피드백 입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의 평균변화율이 동일하면 상기 제2제어기를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서로 다르면 고장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고장상태의 제어기를 스탠바이로 설정하고 정상상태의 제어기를 액티브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METHOD FOR OPERATING DUAL CONTROLLER}
본 발명은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화로 구성된 두 제어기의 상태를 감시하여 제어기의 고장여부를 판별하고 정상적인 제어기로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력 계통연계형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계통연계형 시스템에는 인버터뿐만 아니라 고전압 직류(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시스템, 무효전력보상기(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시스템, 전력변환시스템(PCS:Power Conditioning System)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모듈러 멀티레벨 컨버터(MMC:Modular Multilevel Converter)를 이용한 HVDC시스템과 STATCOM 등에서는 시스템 운용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제어기를 이중화하여 사용한다. 이중화 제어기는 하나의 제어기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유지보수시에 다른 제어기로 시스템을 운전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중단없이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제어기 이중화 시스템은 메인제어기가 동작할 때 서브제어기는 메인제어기에 고장이 발생하는지를 항상 감시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메인제어기와 서브제어기 간에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모듈이 설치되어야 한다. 예컨대, 공개특허 제10-2012-0020867호에는 메인제어기와 서브제어기 간에 제어신호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메모리가 별도로 설치된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메인제어기의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메인제어기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이 예컨대 등록특허 제10-096407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10-0964070호에서는 메인제어기가 복수의 구동기로 통신데이터를 전송한 후 메인제어기가 복수의 구동기로 다시 통신데이터를 전송하는 경과시간을 서브제어기가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한 경과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일 경우에 메인제어기의 고장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고장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HVDC나 STATCOM 시스템과 같이 고속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시스템에서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액티브(active) 상태인 메인제어기가 동작하고 스탠바이(standby)상태인 서브제어기는 대기상태에 있다가 메인제어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동작하게 되는데, 메인제어기만 고장여부를 판단하여 서브제어기와 절체가 이루어지는데 서브제어기에도 고장이 발생하는지에 대한 판단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서브제어기에도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HVDC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있어 심각한 신뢰성의 저하가 문제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0867호 등록특허공보 제10-0964070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개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중화된 두 개의 제어기를 동시에 이상여부를 판단하여 고장상태의 제어기는 스탠바이로 설정하고 정상상태의 제어기로 운전하도록 하는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은,
이중화로 구성된 제1 및 제2 제어기가 다수의 하위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의 제어명령 출력값을 dq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의 제어명령 출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의 변화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제1 및 제2 제어기로 피드백되는 피드백 입력값을 dq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제어기의 피드백 입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의 평균변화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기의 제어명령 출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의 평균변화율과 상기 제1제어기의 피드백 입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의 평균변화율이 동일하면 상기 제1제어기를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서로 다르면 고장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제어기의 제어명령 출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의 평균변화율과 상기 제2제어기의 피드백 입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의 평균변화율이 동일하면 상기 제2제어기를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서로 다르면 고장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고장상태의 제어기를 스탠바이로 설정하고 정상상태의 제어기를 액티브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명령 출력값은 VDC, VAC, iAC, P, Q 값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드백 입력값은 상기 하위모듈의 계통측에서서 측정된 계통측 전류(iac) 및 전압(Vac)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중화된 제어기를 동시에 이상여부를 판단하여 고장상태의 제어기는 스탠바이로 설정하고 정상상태의 제어기로 운전하도록 하기 때문에 시스템 운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제어기는 상위에서 입력받는 기준값과 하위에서 피드백 받은 입력값을 비교하여 두 제어기 간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상태진단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의 출력을 설명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 시스템의 제1제어기(110), 제2제어기(120), 상위제어기(130), ARM제어기(140) 및 다수의 하위모듈(15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제어기(110,120)는 제어기의 이중화를 위해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제어기(110,120)는 상위제어기(130)로부터 수신된 제어목표값에 따라 다수의 하위모듈(150)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위제어기(130)는 각 하위모듈(150)별로 제어목표값을 할당하여 제1,2제어기(110,120)로 전달하고 제1,2제어기(110,120)는 이러한 제어목표값에 도달하기 위해 각 하위모듈(15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제어기(110,120)는 각각 자신의 상태를 감시하고 그 상태감시 결과에 따라 고장상태의 제어기는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되고 정상상태의 제어기가 액티브 상태가 되어 시스템 운전에 참여하도록 설정한다.
ARM제어기(140)는 제1 및 제2 제어기(110,120)로부터 각각 수신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다수의 하위모듈(150)으로 전달하고, 역으로 다수의 하위모듈(150)로부터 전송받은 피드백정보를 수신하여 제1,2제어기(110,120)로 전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달된 피드백정보를 이용하여 하위모듈(150)의 운전상황, 상태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출력과정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에서는 제1제어기(110) 및 제2제어기(120)가 동시에 상위제어기(130)으로부터 제어목표값을 수신한다. 그러면 제1 및 제2 제어기(110,120)는 그 수신된 제어목표값에 따라 하위모듈(15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출력한다. 이때, 제어기(110,120)는 제어명령 출력값과 하위모듈(150)로부터 피드백되어 입력되는 피드백 입력값을 수신하고, 이러한 제어명령 출력값과 피드백 입력값을 이용하여 내부 컨트롤러(111,121)에서 하위모듈(150)의 상태에 맞게 제어명령을 보정하여 새롭게 업데이트된 제어명령을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제어기에서의 제어명령 출력값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제어기(110,120)는 각각 상위제어기(130)로부터 제어하고자 하는 다수의 제1입력변수를 입력받는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입력변수는 Pref, Qref, VDC_ref, VAC_ref로서, 이는 하위모듈(150)에 대한 제어목표값이다. 즉, Pref는 유효전력의 제어목표값, Qref는 무효전력의 제어목표값, VDCref는 직류전압의 제어목표값, 그리고, VACref는 교류전압의 제어목표값이다. 또한, 제1 및 제2 제어기(110,120)는 하위모듈(150)로부터 다수의 제2입력변수를 입력받는다. 본 실시 예에서 제2입력변수는 iac, vac로서, 이는 하위모듈(150)에서 측정된 계통의 전압과 전류의 계측값이다.
이로써, 제1 및 제2 제어기(110,120)는 제1입력변수 및 제2입력변수를 각각 dq변환하고, 그 변환된 dq변환값을 이용하여 소정의 프로그래을 통해 제어명령 출력값 VDC, VAC, iAC, P, Q의 값을 각각 출력하도록 한다. 즉, VDC는 직류전압의 제어명령 출력값, VAC는 교류전압의 제어명령 출력값, iAC는 교류전류의 제어명령 출력값, P는 유효전력의 제어명령 출력값, 그리고Q는 무효전력의 제어명령 출력값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에서는 이중화로 구성된 제1 및 제2 제어기(110,120)가 각각 독립적으로 자신의 상태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제1제어기(110)는 자신의 제어명령 출력값을 입력받아 이를 dq 변환한다(S101,S103). 본 실시 예에서 제어명령 출력값은 VDC, VAC, iAC, P, Q 값를 포함한다. 이후에 상기와 같이 제1제어기(110)의 제어명령 출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제1 dq변환값)의 평균변화율을 계산한다(S105).
또한, 하위모듈(150)로부터 제1제어기(110)로 피드백되는 피드백 입력값을 입력받아 이를 dq 변환한다(S107,S109).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피드백 입력값은 하위모듈(150)로부터 피드백되는 값으로서 계통측 전류(iac) 및 전압(Vac)의 측정값이다. 이후에 제1제어기(110)의 피드백 입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제2 dq변환값)의 평균변화율을 계산한다(S111).
상기의 과정은 제2제어기(1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제2제어기(120)의 제어명령 출력값을 입력받아 이를 dq 변환하고(S113,S115), 그 dq 변환값(제3 dq변환값)의 평균변화율을 계산한다(S117). 또한, 하위모듈(150)로부터 제2제어기(120)로 피드백되는 피드백 입력값을 입력받아 이를 dq 변환하고(S119,S121), 제2제어기(120)의 피드백 입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제4 dq변환값)의 평균변화율을 계산한다(S123).
계속해서, 상기의 제1 및 제2 dq변환값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S125), 또한 제3 및 제4 dq변환값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127). 만약, 제1 및 제2 dq변환값이 일치하면 제1제어기(110)를 정상상태로 판단하고(S129), 반대로 일치하지 않으면 제1제어기(110)를 고장상태로 판단한다(S131). 이와 동일하게 제3 및 제4 dq변환값이 일치하면 제2제어기(120)를 정상상태로 판단하고(S133), 일치하지 않으면 제2제어기(120)를 고장상태로 판단한다(S135).
이러한 판단결과의 조합에 따라 고장상태의 제어기를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되고(S137), 정상상태의 제어기를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어(S139) 정상상태의 제어기만으로 운전을 수행하도록 한다(S141).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중화로 구성된 제1 및 제2 제어기(110,120)가 각각 독립적으로 자신의 제어명령 출력값과 하위모듈(150)로부터 피드백된 피드백 입력값을 이용하여 자신이 정상상태인지 고장상태인지를 각자 독립적으로, 스스로 판단하고, 각각 자신이 고장상태라고 판단하면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되고, 자신이 정상상태라고 판단되면 계속 운전에 참여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신의 상태를 스스로 판단함에 있어서,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판단 기준을 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제1제어기 120 : 제2제어기
130 : 상위제어기 140 : ARM제어기
150 : 하위모듈

Claims (3)

  1. 이중화로 구성된 제1 및 제2 제어기가 다수의 하위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의 제어명령 출력값을 dq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의 제어명령 출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의 변화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제어기로 피드백되는 피드백 입력값을 dq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제어기의 피드백 입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의 평균변화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기의 제어명령 출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의 평균변화율과 상기 제1제어기의 피드백 입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의 평균변화율이 동일하면 상기 제1제어기를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서로 다르면 고장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제어기의 제어명령 출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의 평균변화율과 상기 제2제어기의 피드백 입력값에 대한 dq 변환값의 평균변화율이 동일하면 상기 제2제어기를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서로 다르면 고장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고장상태의 제어기를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고 정상상태의 제어기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 출력값은 VDC, VAC, iAC, P(유효전력), Q(무효전력) 값을 포함하는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입력값은 상기 하위모듈의 계통측에서 측정된 전류(iac) 및 전압(Vac)을 포함하는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
KR1020140192752A 2014-12-29 2014-12-29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 KR101702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752A KR101702935B1 (ko) 2014-12-29 2014-12-29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
EP15875682.5A EP3242172A4 (en) 2014-12-29 2015-12-29 Method for operating dual controller
US15/539,484 US20170371310A1 (en) 2014-12-29 2015-12-29 Method for operating dual controller
PCT/KR2015/014424 WO2016108588A1 (ko) 2014-12-29 2015-12-29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
BR112017013931A BR112017013931A2 (pt) 2014-12-29 2015-12-29 método para operar um controlador dupl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752A KR101702935B1 (ko) 2014-12-29 2014-12-29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026A KR20160080026A (ko) 2016-07-07
KR101702935B1 true KR101702935B1 (ko) 2017-02-06

Family

ID=56284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752A KR101702935B1 (ko) 2014-12-29 2014-12-29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371310A1 (ko)
EP (1) EP3242172A4 (ko)
KR (1) KR101702935B1 (ko)
BR (1) BR112017013931A2 (ko)
WO (1) WO20161085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787B1 (ko) * 2014-12-31 2017-02-22 주식회사 효성 제어기의 이중화 시스템
WO2019069394A1 (ja) * 2017-10-04 2019-04-1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US11378934B2 (en) * 2019-09-09 2022-07-05 Baker Hughes Oilfield Operations Llc Shadow function for protection monitoring systems
JP7276265B2 (ja) * 2020-06-30 2023-05-18 株式会社安川電機 生産システム、上位制御装置、制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6072A (ja) 2004-06-21 2006-01-05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 Corp 電力変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4098949A (ja) 2012-11-13 2014-05-29 Hitachi Ltd 制御システム及び二重化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1501A (ja) * 1992-11-17 1994-06-07 Hitachi Ltd 機器の制御装置
JP3122299B2 (ja) * 1994-02-15 2001-01-09 株式会社東芝 制御部を二重化したインバータ装置
DE10247520A1 (de) * 2002-10-11 2004-04-22 Siemens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Prozessautomatisierung mit Steuergeräten zur Ansteuerung von Peripheriegeräten über ein Bussystem
WO2007094808A1 (en) * 2005-08-05 2007-08-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for a distributed and recoverable digital control system
KR100964070B1 (ko) 2008-03-20 2010-06-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제어기의 이중화 장치
JP5590955B2 (ja) * 2010-04-26 2014-09-1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制御システム
KR20120020867A (ko) 2010-08-31 2012-03-0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이중화 구조를 갖는 제어기 및 그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6072A (ja) 2004-06-21 2006-01-05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 Corp 電力変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4098949A (ja) 2012-11-13 2014-05-29 Hitachi Ltd 制御システム及び二重化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2172A4 (en) 2018-08-29
WO2016108588A1 (ko) 2016-07-07
BR112017013931A2 (pt) 2018-04-17
KR20160080026A (ko) 2016-07-07
US20170371310A1 (en) 2017-12-28
EP3242172A1 (en)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07797C (en) Wind far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nd farm
JP4486772B2 (ja) フィールドバス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送信速度の調整方法
KR101702935B1 (ko)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
US8547668B2 (en) Management techniques for electric power generation equipment
KR102044510B1 (ko) Mmc 컨버터 초기충전시 서브모듈 상태 진단방법
US10079491B2 (en) Dispersed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conditioner
US10741860B2 (en) Fuel cell apparatus, fuel cel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fuel cell system
US20140132070A1 (en) Rack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US9935463B2 (en) Redundant point of common coupling (PCC) to reduce risk of microgrid's islanding
KR20180103178A (ko) 직류 전력 망 전압 제어 방법
US10866583B2 (en) Dual controller system
EP306117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in a microgrid and arrangement comprising distributed generators
CN104914908A (zh) 一种基于can总线通信的自主均流数字控制方法
KR101442818B1 (ko)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 및 그 이중화 제어기
US11303131B2 (en) Autonomous operation of an energy supply device
KR102105090B1 (ko) 무정전전원장치 병렬운전을 위한 출력위상 궤환 동기화 장치 및 방법
CN104092208B (zh) 一种直流输电工程双阀组并联运行的控制方法和装置
KR20130061653A (ko)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CN109256954B (zh) 一种无实时通信的串联型电力电子变压器分布式控制器
KR101816185B1 (ko) 다중화 아날로그 출력 제어 시스템
KR20130061654A (ko)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CN105226630A (zh) 一种直流微网系统的控制方法及系统
CN113439374A (zh) 用于直流电压网的能量源、用于运行这种能量源的方法、具有多个这种能量源的直流电压网和用于运行这种直流电压网的方法
KR20130061652A (ko)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CA29051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circulating current and phase-to-phase imbalance in a parallel modular conver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