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818B1 -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 및 그 이중화 제어기 - Google Patents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 및 그 이중화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818B1
KR101442818B1 KR1020120157389A KR20120157389A KR101442818B1 KR 101442818 B1 KR101442818 B1 KR 101442818B1 KR 1020120157389 A KR1020120157389 A KR 1020120157389A KR 20120157389 A KR20120157389 A KR 20120157389A KR 101442818 B1 KR101442818 B1 KR 101442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power
control signal
stat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6652A (ko
Inventor
김준성
최종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20157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818B1/ko
Priority to PCT/KR2013/012341 priority patent/WO2014104835A1/ko
Publication of KR20140086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6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via a high-tension dc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60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or generators via a high voltage DC link [HV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계통연계형 시스템의 제어를 제어하는 이중화 제어기에 전원을 온/오프하는 경우 전원의 상태영역 및 제어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제어신호가 시스템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원의 오프영역 및 과도영역에서의 이상신호 발생을 억제하고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 및 그 이중화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에서의 제어신호 출력방법은, 전력 계통연계형 시스템 제어를 위한 이중화 제어기에서, 제1 제어기에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시스템을 운전하는 단계; 제2 제어기로 전원을 인가(ON)하는 경우 상기 제2 제어기로 인가되는 전원의 상태영역을 감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제어기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제어기에서 상기 인가전원의 상태영역이 정상영역이고 상기 동작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를 상기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 및 그 이중화 제어기{DUAL CONTROLLER AND METHOD FOR OUTPUTTING CONTROL SIGNAL OF THE SAME}
본 발명은 이중화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력 계통연계형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이중화 제어기에 전원을 온/오프하는 경우 전원의 상태영역 및 제어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인 제어신호가 시스템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원의 오프영역 및 과도영역에서의 이상신호 발생을 억제하고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 및 그 이중화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력 계통연계형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태양전지모듈로부터 발전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계통과 연계함으로써 축전지가 필요없게 된다. 이러한 계통연계형 시스템은 인버터뿐만 아니라, 예컨대 고압직류(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시스템, 무효전력보상기(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시스템, 전력변환시스템(PCS:Power Conditioning System)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교류 전력계통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서는 무효전력의 보상이 필수적이다. 최근에 교류 전력계통에서는 무효전력의 보상을 위해 전력전자소자의 빠른 속응성을 이용한 무효전력보상기(STATCOM)가 전력계통의 순동 무효전력원으로 투입되고 있다. 인버터 기술을 이용한 무효전력보상기(STATCOM)는 펄스폭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방식과 다중레벨펄스(Multi Level Pulse)방식이 사용된다.
초기에 이들 각종 계통연계형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제어기는 단일 제어기로서 해당 제어기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시스템 손상을 보호하기 위해 시스템 전체가 계통으로부터 분리되었다. 그러나, 높은 가동률(Availability)를 요구하는 계통연계형 시스템의 특성상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이중화 제어기가 제시되었다. 이중화 제어기는 하나의 제어기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유지보수시에 다른 제어기로 시스템을 운전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중단없이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중화 제어기를 통한 시스템의 운전 중 하나의 제어기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해당 제어기에 전원을 오프(OFF)하였다가 장애복구 후 또는 유지보수 후에 전원을 다시 온(ON)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전원이 오프영역(11)에서 정상영역(13)으로 가는 도중 과도영역(12)에서 의도하지 않은 각종 이상신호가 자주 발생하여 시스템 운전에 각종 오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오프영역(11)에서는 제어신호가 차단(A)되지만 과도영역(12)과 정상영역(13)에서는 제어신호가 출력(B)되는데 과도영역(12)에서는 작은 전원이나 불안전한 전원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신호가 발생되는 것이다.
종래의 제어기가 단일로 운전될 경우, 시스템이 오프(OFF)인 상태(계통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제어기에 전원을 온/오프하게 되므로 전체 시스템 측면에서 영향이 없지만, 이중화 제어기를 통한 시스템이 계통에 연계되어 정상운전 중인 상태에서 제어기에 전원을 온/오프하게 되면 그 과정에서 상기와 같은 과도영역(12)에서 의도하지 않은 제어신호가 운전중인 계통연계형 시스템에 인가될 수 있어 시스템의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력 계통연계형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이중화 제어기에서 전원의 상태영역을 감시하여 정상영역에서만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 및 그 이중화 제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화 제어기에서 전원을 온(ON)시킬 때 전원의 상태영역정보 및 제어기의 상태정보를 검출하고 두 정보가 정상일 경우에만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중화 제어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은,
전력 계통연계형 시스템 제어를 위한 이중화 제어기에서, 제1 제어기에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시스템을 운전하는 단계; 제2 제어기로 전원을 인가(ON)하는 경우 상기 제2 제어기로 인가되는 전원의 상태영역을 감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제어기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제어기에서 상기 인가전원의 상태영역이 정상영역이고 상기 동작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를 상기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의 상태영역은 상기 제2 제어기로 전원이 인가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제어기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1 범위로서 상기 제2 제어기가 동작하기 전의 오프영역, 상기 제2 제어기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2 범위로서 이상신호의 발생으로 인해 상기 제2 제어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과도영역 및 상기 제2 제어기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3 범위로 상기 제2 제어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정상영역으로 구분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제어기에서 상기 인가전원의 상태영역이 정상영역이 아니거나 또는 상기 동작상태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은,
전력 계통연계형 시스템 제어를 위한 이중화 제어기에서, 제1 제어기에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시스템을 운전하는 단계; 제2 제어기로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경우 상기 제2 제어기에서 전원의 상태영역이 오프영역 또는 과도영역인지를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의 상태영역이 오프영역 또는 과도영역이면 상기 제2 제어기에서 상기 시스템으로의 제어신호 출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의 상태영역은 상기 제2 제어기로 전원이 인가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제어기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1 범위로서 상기 제2 제어기가 동작하기 전의 오프영역, 상기 제2 제어기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2 범위로서 이상신호의 발생으로 인해 상기 제2 제어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과도영역 및 상기 제2 제어기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3 범위로 상기 제2 제어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정상영역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는,
전력 계통연계형 시스템 제어를 위한 이중화 제어기에 있어서, 입력된 전원의 상태영역을 감시하는 전원감시부; 상기 제어기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동작감시부; 상기 시스템으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및 상기 전원감시부에서 감시된 전원의 상태영역이 정상영역이고 상기 동작감시부에서 감시된 제어기의 동작상태가 정상이면 제어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시스템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의 상태영역은 상기 이중화 제어기 중 제2 제어기로 전원이 인가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제어기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1 범위로서 상기 제2 제어기가 동작하기 전의 오프영역, 상기 제2 제어기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2 범위로서 이상신호의 발생으로 인해 상기 제2 제어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과도영역 및 상기 제2 제어기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3 범위로 상기 제2 제어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정상영역으로 구분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감시부에서 감시된 전원의 상태영역이 오프영역 또는 과도영역이거나 상기 동작감시부에서 감시된 제어기의 동작상태가 비정상이면 상기 시스템으로의 제어신호 출력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 및 그 이중화 제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계통연계형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이중화 제어기에서 어느 한쪽 제어기의 장애복구 또는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전원을 오프(OFF)하거나, 장애복구 또는 유지보수가 완료된 후에 전원을 다시 온(ON)하는 경우 전원의 과도영역에서 의도하지 않은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중화 제어기의 전원이 온/오프될 때 전원 및 제어기의 상태정보를 확인하여 두 상태정보가 정상상태인 경우에만 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시스템으로 출력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제어기의 오류를 방지하고 시스템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 제어기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제어신호 특성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가 구비된 계통연계형 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중화 제어기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제어신호의 특성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에서의 제어신호 출력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가 구비된 계통연계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러한 계통연계형 시스템은 예컨대 인버터, 고압직류(HVDC) 시스템, 무효전력보상기(STATCOM)시스템 또는 전력변환시스템(PCS) 등이 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110)가 구비된 계통연계형 시스템은 제1제어기(110a)와 제2제어기(110b)를 포함한다. 이들 제1제어기(110a)와 제2제어기(110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어기이다. 이러한 이중화 제어기(110)에서는 제1 및 제2 제어기(110a,110b) 간에 서로 연동함으로써 각종 정보공유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정보공유를 통해 둘 중 어느 하나가 메인제어기로 동작하여 바람직하게는 시스템을 상시 운전하도록 설정되고 다른 하나는 보조제어기로 동작하여 바람직하게는 메인제어기의 장애발생시나 유지보수 시에 긴급 투입된다.
이때, 둘 중 어느 하나의 제어기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정기적인 유지보수 시에는 다른 제어기에서 정상적으로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한 상태에서 장애발생 또는 유지보수를 위한 제어기에서는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OFF)되고 장애복구 후 또는 유지보수 완료 후에 다시 전원이 인가(ON)되도록 함으로써 다시 정상적인 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제어기에서 전원의 오프(OFF) 및 온(ON)에 따른 전원의 상태영역을 감시하고, 또한 해당 제어기의 동작상태를 감시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에서만 제어신호가 시스템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과도영역에서의 비정상 신호로 인한 시스템 불안정을 해소하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중화 제어기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제어신호의 특성 그래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110)는 전원감시부(111), 동작감시부(112), 제어부(113), 제어신호생성부(114), 출력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이중화 제어기(110)는 계통연계형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각종 제어보드, IC칩, 전기전자소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구성들은 본 발명의 핵심적 특징이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원감시부(111)는 내부로 인가된 전원을 감시한다. 특히 전원감시부(111)는 전원이 온/오프될 때 전원의 상태영역을 감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전원의 상태영역은 도 4에서와 같이 제어기(110)로 전원이 인가되는 과정에서 제어기(110)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1 범위(0~V1)로서 해당 제어기(110)가 동작을 시작하기 전의 오프영역(21)과, 제어기(110)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2 범위(V1~V2)로서 이상신호의 발생으로 인해 제어기(110)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과도영역(22)와, 그리고 제어기(110)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3 범위(V2~V3)로서 제어기(1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정상영역(2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는 제어기(110)에 전원이 인가(ON)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0부터 V3까지 시간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고, 이와 같이 증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원의 영역을 순서대로 오프영역(21), 과도영역(22), 정상영역(23)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반대로 제어기(110)에서 전원이 제거(OFF)될 때는 전원이 V3부터 0까지 시간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고, 이와 같이 감소되는 과정에서 정상영역(23), 과도영역(22), 오프영역(21)의 순으로 전원의 상태영역이 변화된다. 따라서, 전원감시부(111)는 이처럼 전원의 온(ON)/오프(OFF)시 전원의 상태영역을 감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동작감시부(112)는 제어기(110)의 동작상태를 감시한다. 이러한 동작상태는 제어기(1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감시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기(110)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내부 구성요소에 이상이 있는지, 시스템의 제어신호가 제대로 출력되는지 등과 같이 제어기(110)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를 감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어기(110)의 동작상태 감시는 감지용 전용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다.
제어부(113)는 제어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실시 예의 제어부(113)는 전원감시부(111)에서 감시된 전원의 상태영역이 정상영역이고 동작감시부(112)에서 감시된 제어기(110)의 동작상태가 정상이면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를 후술하는 출력부(115)를 통해 시스템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10)에서 전원이 인가(ON)되거나 또는 차단(OFF)되는 경우 전원의 상태영역이 오프영역(21)이나 과도영역(22)에서는 제어신호를 시스템으로 출력하지 않고 정상영역일 경우에만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기(110)의 동작상태를 감시하여 동작상태가 정상일 때만 제어신호를 시스템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원의 상태영역과 제어기의 동작상태를 감시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제어부(113)는 전원의 상태영역이 정상상태인 제1조건과 제어기의 동작상태가 정상인 제2조건 중 둘 다 만족하는 경우에 제어신호를 시스템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두 조건 중 적어도 하나만 만족해도 제어신호를 시스템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제어신호생성부(114)는 시스템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는 각종 반도체, IC칩, 전기전자소자 등에서 생성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신호에 의해 계통연계형 시스템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진다.
출력부(115)는 제어부(113)의 제어에 의해 제어신호생성부(114)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시스템 제어에 맞는 신호로 변환하여 시스템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출력부(115)는 신호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제어기(110)의 전원의 상태영역이 오프영역(21)과 과도영역(22)일 경우에는 제어신호가 차단(A')되며 정상영역(23)일 경우에만 제어신호가 출력(B')되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과도영역에서의 불안전한 전원에 의한 이상신호가 발생하지 않아 시스템으로 불안전한 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되어 시스템 오류나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에서의 제어신호 출력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110)에서는 두 개의 제어기 중에서 하나의 제어기, 즉 제1 제어기(110a)에서 전력 계통연계형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그 시스템으로 출력함으로써 해당 시스템을 운전하는 도중에 다른 제어기, 즉 제2 제어기(110b)에 전원을 인가(ON)하거나 또는 전원을 제거(OFF)하는 경우에 제2 제어기(110b)에서 시스템으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제어하도록 한다. 제2 제어기(110b)의 전원 제거는 예컨대, 제2 제어기(110b)의 장애발생 또는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전원을 오프(OFF)하는 경우이고, 제2 제어기(110b)의 전원 인가는 장액복구 또는 유지보수 완료 후 전원을 온(ON)하는 경우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110)의 제어신호 출력방법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2 제어기(110b)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S101), 전원감시부(111)에서 제2 제어기(110b)의 전원의 상태영역을 감시한다(S103). 이때 전원의 상태영역은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인가 또는 차단될 때 시간에 따른 전원의 크기에 따라 오프영역(21), 과도영역(22) 및 정상영역(23)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의 일례에서는 전원이 0~V1의 범위일 때 오프영역(21), V1~V2의 범위일 때 과도영역(22), V2~V3의 범위일 때 정상영역(23)으로 구분된다.
전원의 상태영역이 정상영역인 것으로 판단되면(S105), 동작감시부(112)에서 제2 제어기(110b)의 동작상태를 감시한다(S107). 그 감시결과 제2 제어기(110b)의 동작상태가 정상이면(S109), 제어부(113)는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가 출력부(115)를 통해 시스템 제어용 신호로 변환되어 시스템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111,S113).
그러나, 상기 S105 단계 또는 S109 단계에서 전원의 상태영역이 정상영역이 아니거나 제2 제어기(110b)의 동작상태가 정상이 아닌 경우, 제어부(113)에서는 출력부(115)를 통해 시스템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가 시스템으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S115).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이중화 제어기(110) 중 제1제어기(110a)에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계통연계형 시스템을 운전하는 도중에 제2제어기(110b)로 전원을 온/오프하는 경우 제2제어기(110b)의 전원의 상태영역이 오프영역 또는 과도영역인지를 감시하여 그 전원의 상태영역이 오프영역 또는 과도영역이면 제어부(113)가 제2제어기(110b)에서 시스템으로의 제어신호 출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중화 제어기를 이용하여 전력 계통연계형 시스템을 제어하는 경우 이중화 제어기 중 어느 하나의 제어기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유지보수할 경우에 전원을 제거(OFF)하는 과정이나 또는 장애복구 이후나 유지보수가 완료된 이후에 전원을 인가(ON)하는 과정에서 전원의 크기에 따라 전원의 상태영역을 결정하고 전원이 정상영역에 있을 경우, 즉 제어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전원이 될 경우에만 해당 시스템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오류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전원의 상태영역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제어기의 동작상태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제어기의 동작상태가 정상인 경우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두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시스템에 정상적인 제어신호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시스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많은 장점으로 인해 전력 계통연계형 시스템의 기술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이중화 제어기에서의 제어방법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중화 제어기의 경우 연속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의 운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장애복구 이후나 유지보수 이후에 전원의 재공급에 따른 시스템 불안정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제어기는 전원의 재공급시 전원의 오프영역과 과도영역이 아닌 정상영역에서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으로 정상적인 출력신호만이 출력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시스템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전력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21 : 오프영역 22 : 과도영역
23 : 정상영역 110 : 이중화 제어기
110a : 제1제어기 110b : 제2제어기
111 : 전원감시부 112 : 동작감시부
113 : 제어부 114 : 제어신호생성부
115 : 출력부

Claims (7)

  1. 전력 계통연계형 시스템 제어를 위한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에 있어서,
    제1 제어기에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시스템을 운전하는 단계;
    제2 제어기로 전원을 인가(ON)하는 경우 상기 제2 제어기로 인가되는 전원의 상태영역을 감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제어기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제어기에서 상기 인가전원의 상태영역이 정상영역이고 상기 동작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를 상기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의 상태영역은, 상기 제2 제어기로 전원이 인가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제어기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1 범위로서 상기 제2 제어기가 동작하기 전의 오프영역, 상기 제2 제어기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2 범위로서 이상신호의 발생으로 인해 상기 제2 제어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과도영역 및 상기 제2 제어기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3 범위로 상기 제2 제어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정상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에서 상기 인가전원의 상태영역이 정상영역이 아니거나 또는 상기 동작상태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
  4. 전력 계통연계형 시스템 제어를 위한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에 있어서,
    제1 제어기에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시스템을 운전하는 단계;
    제2 제어기로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경우 상기 제2 제어기에서 전원의 상태영역이 오프영역 또는 과도영역인지를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의 상태영역이 오프영역 또는 과도영역이면 상기 제2 제어기에서 상기 시스템으로의 제어신호 출력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의 상태영역은, 상기 제2 제어기로 전원이 인가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제어기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1 범위로서 상기 제2 제어기가 동작하기 전의 오프영역, 상기 제2 제어기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2 범위로서 이상신호의 발생으로 인해 상기 제2 제어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과도영역 및 상기 제2 제어기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3 범위로 상기 제2 제어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정상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
  5. 전력 계통연계형 시스템 제어를 위한 이중화 제어기에 있어서,
    입력된 전원의 상태영역을 감시하는 전원감시부;
    상기 제어기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동작감시부;
    상기 시스템으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및
    상기 전원감시부에서 감시된 전원의 상태영역이 정상영역이고 상기 동작감시부에서 감시된 제어기의 동작상태가 정상이면 제어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시스템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의 상태영역은, 상기 이중화 제어기 중 제2 제어기로 전원이 인가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제어기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1 범위로서 상기 제2 제어기가 동작하기 전의 오프영역, 상기 제2 제어기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2 범위로서 이상신호의 발생으로 인해 상기 제2 제어기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과도영역 및 상기 제2 제어기의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3 범위로 상기 제2 제어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정상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제어기.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감시부에서 감시된 전원의 상태영역이 오프영역 또는 과도영역이거나 상기 동작감시부에서 감시된 제어기의 동작상태가 비정상이면 상기 시스템으로의 제어신호 출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제어기.
KR1020120157389A 2012-12-28 2012-12-28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 및 그 이중화 제어기 KR101442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389A KR101442818B1 (ko) 2012-12-28 2012-12-28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 및 그 이중화 제어기
PCT/KR2013/012341 WO2014104835A1 (ko) 2012-12-28 2013-12-27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 및 그 이중화 제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389A KR101442818B1 (ko) 2012-12-28 2012-12-28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 및 그 이중화 제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652A KR20140086652A (ko) 2014-07-08
KR101442818B1 true KR101442818B1 (ko) 2014-09-24

Family

ID=5102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389A KR101442818B1 (ko) 2012-12-28 2012-12-28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 및 그 이중화 제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2818B1 (ko)
WO (1) WO20141048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3442B (zh) * 2014-10-13 2015-09-23 国家电网公司 一种跨大区电网交流联络线头摆功率冲击的抑制方法
KR101704787B1 (ko) * 2014-12-31 2017-02-22 주식회사 효성 제어기의 이중화 시스템
KR101769664B1 (ko) 2015-03-10 2017-08-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의 이중화 제어 장치
CN107196342B (zh) * 2017-07-17 2020-02-07 重庆大学 增强弱电网条件下三相并网逆变器稳定性的电流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930B1 (ko) * 2005-12-16 2007-06-1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이중화 시스템의 절체 회로
KR20100002965A (ko) * 2008-06-30 2010-01-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중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5335A (ja) * 1988-03-28 1989-09-29 Hitachi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多重化システム
KR101085175B1 (ko) * 2009-10-29 2011-11-1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디지털 삼중화 제어기와 이중화 정류기를 이용한 원자력발전소의 비상디젤발전기 디지털 여자시스템과, 그 운전모드 변경 방법 및, 급기동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930B1 (ko) * 2005-12-16 2007-06-1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이중화 시스템의 절체 회로
KR20100002965A (ko) * 2008-06-30 2010-01-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중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652A (ko) 2014-07-08
WO2014104835A1 (ko)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528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ion
US11190047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connected in parallel
KR101442818B1 (ko) 이중화 제어기의 제어신호 출력방법 및 그 이중화 제어기
US1141805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ion
US20210328454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JP2013162699A (ja) 分散型電源システム及び電力変換装置
KR101282863B1 (ko) 이중화 무정전 전원장치
KR20160044353A (ko)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JP3876562B2 (ja) 自然エネルギ発電装置の系統連係方法
KR101744119B1 (ko)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4024731A1 (ja) 連系系統切替装置及び電力制御システム
JP2008005638A (ja) 電源装置
JP5749632B2 (ja) 直流給電機能付き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818969B1 (ko) 그리드 전원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핫 스왑 장치
KR102407417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시스템
WO2019076152A1 (zh) 一种安全保护光伏系统的方法及系统
US11469611B2 (en) Power supply system
JP6082667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ー
WO2012014315A1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
US20220115902A1 (en) Power supply system
US20220052551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CN109247034B (zh) 系统互连用电力变换系统
KR102548220B1 (ko) 핫스왑을 지원하는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 방법
CN115632389B (zh) 关断器及其控制方法、光伏发电系统
KR20170142238A (ko) 정전을 대비하기 위한 전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