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654A -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654A
KR20130061654A KR1020120138626A KR20120138626A KR20130061654A KR 20130061654 A KR20130061654 A KR 20130061654A KR 1020120138626 A KR1020120138626 A KR 1020120138626A KR 20120138626 A KR20120138626 A KR 20120138626A KR 20130061654 A KR20130061654 A KR 20130061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tifier
power supply
current inverter
control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사비에르 마틴
헨드리크 노악
데틀레프 빙클러
Original Assignee
아에게 파워 솔루션즈 베.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에게 파워 솔루션즈 베.파우 filed Critical 아에게 파워 솔루션즈 베.파우
Publication of KR20130061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4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4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4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 H02M5/45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45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5/458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a rectifier with controlled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7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 H02J3/0073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for providing alternative feeding paths between load and source when the main path fails, e.g. transformers, bus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정류기(1), 전기 에너지의 저장을 위한 에너지 저장기(2), 전류 인버터(3), 스위칭 수단(4) 및 제어장치(5, 6)를 구비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정류기(1)는 정류기 입력부에 의해 전력 공급망(AC1)에 접속될 수 있고, 상기 에너지 저장기(2)는 상기 정류기(1)의 정류기 출력부 및 상기 전류 인버터(3)의 전류 인버터 입력부에 접속되고, 상기 전류 인버터(3)의 전류 인버터 출력부에 보호할 전력망(AC3) 또는 보호할 컨슈머가 접속될 수 있고, 상기 정류기 입력부 또는 상기 전력 공급망(AC1)은 상기 스위칭 수단(4)을 통해 상기 전류 인버터 출력부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정류기(1), 상기 전류 인버터(2) 및 상기 스위칭 수단(4)은 상기 제어장치(5, 6)에 의해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장치는 전압 및/또는 전류 측정을 위한 센서들(10)을 포함하고, 각각의 센서(10)는 센서(10)의 센서 출력부를 통해 정확히 하나의 제어부(5, 6)에 연결되고, 각각의 센서에 의해 측정될 값은 저전압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이 발명은 정류기, 전기 에너지 저장을 위한 에너지 저장기, 전류 인버터, 스위칭 수단 및 제어장치를 구비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류기는 정류기 입력부에 의해 전력 공급망에 접속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기는 정류기의 정류기 출력부 및 전류 인버터의 전류 인버터 입력부에 접속된다. 전류 인버터의 전류 인버터 출력부에 보호할 전력망 또는 보호할 컨슈머가 접속될 수 있다. 정류기 입력부 또는 전력 공급망은 스위칭 수단을 통해 전류 인버터 출력부에 연결될 수 있고, 정류기, 전류 인버터 및 스위칭 수단은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 또는 조절될 수 있다.
선행기술에 간단히 UPS라고 하는, 무정전 전류 공급을 위한 다수의 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특히 오프라인 UPS형과 온라인 UPS형이 구별된다.
전압 및 주파수 의존성 UPS(Voltage and Frequency Dependent UPS;VFD-UPS) 또는 패시브 UPS라고도 하는 오프라인 작동식 UPS는 전력 공급망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직접 전력 공급망으로부터 폐쇄된 스위칭 수단, 보호할 전력망 또는 보호할 부하 장치 등을 통해 전류를 공급한다. 또한, 전기 에너지 저장기를 충전하는 정류기의 입력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전원 공급 장치에 장애가 발생하면, 스위칭 수단에 의해 전환되고, 정류기 또는 에너지 저장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류 인버터의 출력부는 보호할 전력망 또는 보호할 부하 장치에 연결된다.
전압 및 주파수 자립성 UPS(Voltage and Frequency Independent UPS:VFI-UPS) 또는 연속 작동식 UPS, 이중 변환 UPS 등이라고도 하는 온라인 작동식 UPS의 경우 전력 공급망은 에너지 저장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정류기의 입력부에 안내된다. 보호할 전력망 또는 보호할 컨슈머는 전류 인버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전류 인버터는 전력 공급망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즉 정류기 입력부에 공급 전압이 제공되는 경우에 정류기를 통해 필요한 에너지를 얻고, 공급망 고장 시에는 에너지 저장기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전류 인버터 출력부의 교류 전압은 전류 인버터를 통해 정류기와 전류 인버터 사이의 소위 중간 회로의 직류 전압으로부터 얻어진다.
VFI-UPS의 경우, 전력 공급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정류기와 전류 인버터의 결함 없는 작동시 전력 공급망을 정류기와 전류 인버터를 통해 보호할 전력망 또는 보호할 컨슈머에 연결하는 스위칭 수단은 소위 바이패스-스위칭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바이패스-스위칭은 전력 공급망 및 보호할 전력망 또는 보호할 컨슈머를 스위칭 수단을 통해 정류기와 전류 인버터를 우회하여 연결한다. 정류기 또는 전류 인버터에 결함 발생시 접속된 컨슈머는 상기 바이패스로 스위칭되어 계속해서 전력을 공급받는다.
오프라인 UPS 및 온라인 UPS의 토폴로지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스위칭 수단의 상이한 위치와 과제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UPS 구성요소들의 적절한 설계와 적절한 제어시 오프라인 UPS는 온라인 UPS로 및 그 반대로 변환될 수 있다.
출원인이 제조하여 판매하는 온라인 UPS의 경우에, 제어장치는 CAN-버스를 통해 연결된 3개의 제어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들 중 하나의 제어부는 정류기의 제어 및/또는 조절을 위해 제공되고, 하나의 제어부는 전류 인버터의 제어 및/또는 조절을 위해 제공되고, 하나의 제어부는 스위칭 수단의 제어 및/또는 조절을 위해 제공된다. 각각의 제어부는 통합된 고유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제어부에 보조 전류가 공급된다. 하나의 제어부 또는 다른 제어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보조 전원 공급 장치가 손상되면, 상기 제어부는 UPS에 접속된 전력망 또는 부하 장치의 전력 공급을 지원할 수 없다.
또한, 각각의 제어부에 센서들이 통합되고, 상기 센서들에 의해 정류기 또는 전류 인버터의 입력부 또는 출력부에서 또는 UPS의 다른 위치에서 상이한 전기량이 측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제어부는 측정 라인을 통해 측정 위치에 연결된다. 측정 라인에 부분적으로 높은 전압이 인가하고, 상기 전압은 때로는 간섭원에 노출되고, 측정의 간섭에 대한 충분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으면, 이는 잘못된 측정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이 발명의 과제는, 더 높은 신뢰성과 더 낮은 간섭 감도가 달성되도록 전술한 무정전 전류 공급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특히 전기량 측정의 간섭 감도는 감소되어야 한다.
상기 과제는 전압 및/또는 전류 측정을 위한 센서들을 포함하는 이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해결되고, 이 경우 각각의 센서는 센서의 센서 출력부를 통해 정확히 하나의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고, 측정될 값이 각각의 센서에 의해 저전압 신호, 특히 안전 저전압 신호로 변환될 수 있고, 상기 신호는 센서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라인을 통해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센서들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쌍으로 할당될 수 있고, 이 경우 센서 쌍의 센서들은 동일한 전기량을 측정하기 위해 장치의 콘택 또는 라인에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센서 쌍의 하나의 센서는 제 1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고, 센서 쌍의 다른 센서는 제 2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센서들에 의해 정류기 입력부, 정류기 출력부, 에너지 저장기, 전류 인버터 입력부, 전류 인버터 출력부, 전력 공급망을 향한 스위칭 수단의 측면 및/또는 보호할 전력망 또는 보호할 부하 장치를 향한 스위칭 수단의 측면에서 전압이 측정될 수 있다. 제어부들에서 정류기, 전류 인버터 및/또는 스위칭 수단의 조절 및/또는 제어를 위해 측정 신호들이 이용될 수 있다.
센서들은 동일하게 구성된 회로 장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의 제어장치는 2개의 제어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들은 적어도 스위칭 수단에 대해서 중복으로 형성되고, 제 1 제어부에 의해 동시에 정류기와 스위칭 수단이 제어 또는 조절될 수 있고, 제 2 제어부에 의해 전류 인버터와 스위칭 수단이 제어 또는 조절될 수 있다. 하나의 제어부 또는 2개의 제어부들이 정류기 및/또는 전류 인버터에 대해서도 중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정류기 또는 전류 인버터에 대해서도 중복되는 제어부에 의해 동시에 정류기, 전류 인버터 및 스위칭 수단이 제어 또는 조절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선행기술과 달리 3개의 제어부들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2개의 제어부들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들은 적어도 스위칭 수단이 각각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 및/또는 조절되도록 그리고 정류기, 전류 인버터 및 스위칭 수단도 하나의 제어부 또는 각각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장치의 작동을 위해서는 하나의 제어부로 충분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라 중복으로 제공됨으로써 선행기술에 비해 제어부의 개수가 감소됨에도 불구하고 더 높은 신뢰성이 달성된다.
제어부들이 전류 인버터, 정류기 및 스위칭 수단의 제어 또는 조절을 위해 제공되지 않더라도, 바람직하게 제어부들은 동일하게 구성된 회로 장치에 의해 형성된다. 이로 인해, 2개의 제어부들은 적어도 스위칭 수단 그리고 또는 전류 인버터, 정류기 및 스위칭 수단의 제어 또는 조절을 담당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동일한 회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장치의 제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제어부들은 프로그래밍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들의 프로그래밍은, 2개의 제어부들 중 제 1 제어부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제 1 제어부에 의해 적어도 정류기가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고, 2개의 제어부들 중 제 2 제어부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제 2 제어부에 의해 적어도 전류 인버터가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는 점에서 다를 수 있다. 각각의 제어부에는 프로그래밍에 의해 정류기 또는 전류 인버터가 할당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는 제어장치가 장애 없이 작동할 때 할당된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예를 들어 다른 제어부의 고장시 스위칭 수단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가 할당될 수도 있다.
제어장치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제 1 제어부에 정류기가 할당되고 제 2 제어부에 전류 인터버가 할당됨으로써, 제어장치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들이 완전히 부하를 받지 않는 것, 특히 열 부하를 받지 않는 것이 보장되고, 이는 회로 부분들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제 1 제어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전류 인버터와 스위칭 수단 및 경우에 따라서 정류기는 제 2 제어부에 의해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고, 제 2 제어부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정류기와 스위칭 수단 및 경우에 따라서 전류 인버터는 제 1 `에 의해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는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적어도 2개의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각각의 수단은 제 1 제어부의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입력부 및 제 2 제어부의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입력부에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제어부들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는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적어도 2개의 수단, 즉 각각 2개의 출력부를 가진,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제 1 및 제 2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에서 보조 전압이 탭될 수 있다.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제 1 및 제 2 수단의 2개의 출력부들 중 제 1 출력부는 제 1 제어부의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입력부에 연결될 수 있고,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제 1 및 제 2 수단의 2개의 출력부들 중 제 2 출력부는 제 2 제어부의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입력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수단의 2개의 출력부들은, 예를 들어 단락에 의해 하나의 출력부의 장애시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동일한 수단의 다른 출력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 서로 디커플링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어부들의 2개의 입력부들도 디커플링되므로,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하나의 입력부의 장애가 동일한 제어부의 다른 입력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는 대안으로서 각각 하나의 출력부를 가진,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적어도 2개의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출력부에서 보조 전압이 탭될 수 있고, 이 경우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수단의 각각의 출력부는 제 1 제어부 및 제 2 제어부의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입력부에 연결된다.
선행기술과 달리 제어장치와 분리된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다수의 수단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수단은 선행기술에서와 달리 특히 하나의 제어부에 할당되지도 않고, 제어부의 일체형 부분들도 아니다. 따라서 이 발명의 제어부에는 보조 전원 공급 장치의 입력부에 인가하고 보조 전원 공급 장치가 통합된 종래의 제어부의 경우에도 제어부에 인가하는 비교적 높은 전압이 제공되지 않는다. 오히려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각각의 수단은 제 1 제어부 및/또는 제 2 제어부에 보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전원 공급 장치도 중복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보조 전원 공급 장치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보조 전류 제공을 위한 2개의 수단들은, 필요한 전력의 절반만 제공하도록 작동되고, 이는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수단의 더 작은 부하, 특히 더 작은 열 부하를 야기하고 따라서 보조 전원 공급을 위한 수단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바람직하게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수단은 동일하게 구성된 회로 장치이고, 이는 특히 이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조를 간단하게 한다.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각각의 수단은 제 1 입력부, 제 2 입력부 및 제 3 입력부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제 4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들을 통해 상기 수단은 정류기 입력부, 전류 인버터 출력부, 에너지 저장기 또는 스위칭 수단의 입력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수단의 전력 공급은 각각 3개 또는 4개의 입력부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들은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CAN-버스와 같은 통신 버스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하기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온라인 UPS의 개략도.
이 발명에 따른 UPS가 도 1에 단극으로 도시된다. 즉, UPS의 상도체만 도시되고 UPS의 중성 도체는 도시되지 않는다. 또한, 직류 전압만 2극으로 도시된다.
이 발명에 따른 UPS는 정류기(1), 에너지 저장기(2), 전류 인버터(3) 및 스위칭 수단(4)을 포함한다. 정류기(1)의 입력부는 전력 공급망(AC1)에 연결된다. 정류기(1)의 출력부는 한편으로는 에너지 저장기(2)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류 인버터(3)의 입력부에 연결된다. 전류 인버터(2)의 출력부는 보호할 전력망(AC3)에 연결된다.
스위칭 수단(4)은 스위칭 위치에 따라 전력 공급망(AC1, AC2)을 보호할 전력망(AC3)과 연결할 수 있다. 정류기(1)와 전류 인터버(3)가 장애 없이 작동하고 전력 공급망(AC1)에도 장애가 없는 경우, 보호할 전력망(AC3)은 정류기(1) 및 전류 인버터(3)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스위칭 수단은 전력 공급망(AC1, AC2)과 보호할 전력망(AC3) 사이의 직접 접속을 차단한다. 동시에 에너지 저장기(2)는 정류기(1)를 통해 정류기(1)의 출력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정류기(1)와 전류 인버터(3)를 통해 전력 공급망(AC1)에 의한 보호할 전력망(AC3)의 전력 공급이 전류 인버터(3)의 장애로 인해 중단되고 동시에 전력 공급 망(AC1, AC2)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으면, 스위칭 수단(4)에 의해 전력 공급망(AC1, AC2)과 보호할 전력망(AC3) 사이의 직접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전력 공급은 정류기(1)와 전류 인버터(3)를 우회하여 이루어진다.
그와 달리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는 전력 공급망(AC1)에 장애가 발생하고 적어도 에너지 저장기(2)와 전류 인버터(3)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스위칭 수단(4)은 바람직하게 개방되고, 보호할 전력망의 전력 공급은 전류 인버터(3)를 통해 에너지 저장기(2)로부터 이루어진다.
결국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는 전력 공급망(AC1), 전력 공급망(AC2) 및 에너지 저장기(2) 또는 전류 인버터(3)에 장애가 발생하면, 보호할 전력망(AC3)의 전력 공급은 중단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UPS는 종래의 온라인 UPS에 해당한다.
이 발명에 따른 UPS와 전술한 종래의 UPS와 차이점은 제어장치, 보조 전력 공급 및 측정값 검출의 새로운 방식에 있다.
새로운 제어장치는 제 1 제어부(5)와 제 2 제어부(6)에 의해 형성된다. 제어부들(5, 6)은 회로 장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회로 장치는 회로 캐리어에 배치된다. 회로 장치들은 바람직하게 동일하게 구성되고, 프래그래밍에 의해서만 구별되고, 이 경우 프로그래밍은 개별 소자들의 선택, 스위치 설정 또는 점퍼(Jumper)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
제어부들(5, 6)은, 정류기(1), 전류 인버터(3) 및 스위칭 수단(4)을 제어 또는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들(5, 6)은 라인을 통해 3개의 구성 요소, 즉 정류기(1), 전류 인버터(3) 및 스위칭 수단(4)에 연결된다.
UPS의 3개의 구성 요소들(1, 3, 4) 또는 2개의 구성 요소들의 제어 또는 조절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구성 요소들(1, 3, 4) 중 하나만 제어 또는 조절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들(5, 6)의 프로그래밍에 의해, 예를 들어 제 1 제어부(5)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어부(5)가 적어도 정류기(1)를 제어 및/또는 조절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제어부(6)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어부(6)가 적어도 전류 인버터(3)를 제어 및/또는 조절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2개의 제어부들(5, 6) 중 하나가 손상되는 즉시, 다른 제어부(5, 6)는 손상된 제어부(5, 6)의 기능을 온전하게 담당할 수 있다.
제어부(5)와 다른 제어부(6)의 통신을 위해 2개의 제어부들(5, 6)은 버스, 바람직하게는 CAN-버스(7)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2개의 제어부들(5, 6)은 보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작동을 위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보조 전원 공급 장치는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2개의 수단들(8, 9)에 의해 형성된다.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2개의 수단들(8, 9)은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수단들은 각각 하나의 출력부를 갖고, 상기 출력부에서 제어부들(5, 6)의 작동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가 제공된다.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수단들(8, 9)은 가용성에 따라 전력 공급망(AC1), 보호할 전력망(AC3) 또는 에너지 저장기(2)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취하고, 따라서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2개의 수단들(8, 9)은 입력부 및 라인을 통해 전력 공급망(AC1), 보호할 전력망(AC3) 및 에너지 저장기(2)에 연결된다.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수단들(8, 9)은, 제 1 제어부(5)와 제 2 제어부(6)에 동시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수단들(8, 9)은 물론 바람직하게 프로그래밍에 의해, 상기 수단들이 2개의 제어부들(5, 6)에 의해 동시에 소비되는 전력의 절반만 제공하고, 따라서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수단들(8, 9)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공칭 출력의 절반까지만 부하를 받도록 형성되고, 이는 더 높은 부하에 대해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수단들(8, 9)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또한, 2개의 제어부들(5, 6)은 센서들(10)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들에 의해 정류기(1)의 및/또는 전류 인버터(3)의 입력부 및/또는 출력부, 에너지 저장기(2) 또는 스위칭 수단(4)에서 전기량이 측정되어 전기 저전압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저전압 신호는 라인을 통해 제어부(5, 6)에 안내된다. 정류기(1), 전류 인버터(2) 및/또는 스위칭 수단(4)을 제어 및/또는 조절하거나 또는 정류기(1), 에너지 저장기(2), 전류 인버터(3) 및/또는 스위칭 수단(4)의 상태를 테스트하고 장애를 검출하기 위해, 제어부(5, 6)에서 저전압 신호가 처리된다.
센서들(10)은 서로 쌍으로 할당되고, 이 경우 하나의 쌍의 센서들(10)은 동일한 전기량을 측정한다. 센서 쌍의 하나의 센서(10)가 하나의 제어부(5)에 할당되는 한편, 센서 쌍의 다른 하나의 센서(10)는 다른 제어부(6)에 연결되므로, 2개의 제어부들(5, 6)에 동일한 전기량이 제공된다. 이로 인해 센서들도 중복으로 제공된다.
센서들(10)은 바람직하게 동일하게 구성된다.
1 정류기
2 에너지 저장기
3 전류 인버터
4 스위칭 수단
5, 6 제어부
10 센서

Claims (13)

  1. 정류기(1), 전기 에너지의 저장을 위한 에너지 저장기(2), 전류 인버터(3), 스위칭 수단(4) 및 제어장치(5, 6)를 구비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로서, 상기 정류기(1)는 정류기 입력부에 의해 전력 공급망(AC1)에 접속될 수 있고, 상기 에너지 저장기(2)는 상기 정류기(1)의 정류기 출력부 및 상기 전류 인버터(3)의 전류 인버터 입력부에 접속되고, 상기 전류 인버터(3)의 전류 인버터 출력부에 보호할 전력망(AC3) 또는 보호할 컨슈머가 접속될 수 있고, 상기 정류기 입력부 또는 상기 전력 공급망(AC1)은 상기 스위칭 수단(4)을 통해 상기 전류 인버터 출력부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정류기(1), 상기 전류 인버터(2) 및 상기 스위칭 수단(4)은 상기 제어장치(5, 6)에 의해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에서,
    상기 장치는 전압 및/또는 전류 측정을 위한 센서들(10)을 포함하고, 각각의 센서(10)는 상기 센서(10)의 하나의 센서 출력부를 통해 정확히 하나의 제어부(5, 6)에 연결되고, 각각의 센서에 의해 측정될 값이 저전압 신호로 변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2. 제 1 항에서, 상기 센서들(10)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쌍으로 할당되고, 하나의 센서 쌍의 상기 센서들(10)은 동일한 전기량의 측정을 위해 상기 장치의 콘택 또는 라인에 연결되고, 하나의 센서 쌍의 하나의 센서는 제 1 제어부(5)에 연결되고, 센서 쌍의 다른 센서(10)는 상기 제 2 제어부(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3.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서, 상기 센서들(10)에 의해 상기 정류기 입력부, 상기 정류기 출력부, 상기 에너지 저장기(2), 상기 전류 인버터 입력부, 전류 인버터 출력부, 전력 공급망(AC2)을 향한 상기 스위칭 수단의 측면 및/또는 상기 보호할 전력망(AC3) 또는 보호할 부하 장치를 향한 상기 스위칭 수단(4)의 측면에서 전압이 측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센서들(10)은 동일하게 구성된 회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장치는 2개의 출력부를 가진,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적어도 2개의 수단들(8, 9)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에서 보조 전압이 텝될 수 있고, 각각의 출력부는 상기 제 1 제어부(5) 또는 상기 제 2 제어부(6)의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입력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6. 제 5 항에서,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상기 수단들(8, 9)은 동일하게 구성된 회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서, 보조 전류 공급을 위한 각각의 수단(8, 9)은 상기 수단을 상기 정류기 입력부에 연결하는 제 1 입력부, 상기 수단을 상기 전류 인버터 출력부에 연결하는 제 2 입력부 및 상기 수단을 상기 에너지 저장기(2)에 연결하는 제 3 입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어장치(5, 6)는 2개의 제어부들(5, 6)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들은 중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들(5, 6)에 의해 동시에 상기 정류기(1)와 상기 스위칭 수단(4) 또는 상기 전류 인버터(3)와 상기 스위칭 수단(4)이 제어 또는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9. 제 8 항에서, 상기 제어부들(5, 6)은 동일하게 구성된 회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서, 상기 제어부들(5, 6)은 프로그래밍되고, 설치되거나 또는 출력부들을 통해 나머지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들(5, 6)의 상기 제 1 제어부(5)는, 상기 제 1 제어부(5)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적어도 상기 정류기(1)가 상기 제 1 제어부(5)에 의해 제어 및/또는 제어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되고, 설치되거나 또는 출력부들을 통해 나머지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들(5, 6)의 상기 제 2 제어부(6)는, 상기 제 2 제어부(6)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적어도 상기 전류 인버터(3)가 상기 제 2 제어부(6)에 의해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되고, 설치되거나 또는 출력부들을 통해 나머지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11. 제 10 항에서, 상기 제어부들(5, 6)은, 상기 제 1 제어부(5)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전류 인버터(3)와 상기 스위칭 수단(4)이 상기 제 2 제어부(6)에 의해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제 2 제어부(6)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정류기(1)와 상기 스위칭 수단(4)이 상기 제 1 제어부(5)에 의해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되고, 설치되거나 또는 출력부들을 통해 나머지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어부들(5, 6)은 통신 버스, 예를 들어 CAN-버스(8)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어부들(5, 6)은, 상기 제 1 제어부(5)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전류 인버터(3), 상기 정류기(1) 및 상기 스위칭 수단(4)이 상기 제 2 제어부(6)에 의해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도록 및/또는 상기 제 2 제어부(6)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전류 인버터(3), 상기 정류기(1) 및 상기 스위칭 수단(4)이 상기 제 1 제어부(5)에 의해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되고, 설치되거나 또는 출력부들을 통해 나머지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KR1020120138626A 2011-12-01 2012-12-01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KR201300616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91483.4 2011-12-01
EP20110191483 EP2600491A1 (de) 2011-12-01 2011-12-01 Anordnung zur unterbrechungsfreien Stromversorg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654A true KR20130061654A (ko) 2013-06-11

Family

ID=4521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626A KR20130061654A (ko) 2011-12-01 2012-12-01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30399B2 (ko)
EP (1) EP2600491A1 (ko)
JP (1) JP2013118813A (ko)
KR (1) KR20130061654A (ko)
CN (1) CN103138337A (ko)
CA (1) CA2797870A1 (ko)
RU (1) RU20121515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4008B2 (en) * 2016-09-13 2019-05-07 Abb Schweiz Ag Isolated parallel ups system with fault location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3432B2 (ja) * 1995-07-20 2004-07-14 株式会社明電舎 無停電電源装置
US5982652A (en) 1998-07-14 1999-11-09 American Power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nterruptible power using a power controller and a redundant power controller
JP4219516B2 (ja) * 1999-12-20 2009-02-04 富士通株式会社 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4575480B2 (ja) * 2001-02-09 2010-11-04 株式会社東芝 変電機器保護制御システム
CN100541994C (zh) * 2002-03-25 2009-09-16 电力设备公司 利用平衡器电路的电源变换设备和方法
US7432615B2 (en) * 2004-01-29 2008-10-07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Uninterruptable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US7142950B2 (en) * 2004-05-28 2006-11-28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distributing standby power
JP2006042530A (ja) * 2004-07-28 2006-02-09 Densei Lambda Kk 無停電電源装置および無停電電源装置の並列運転システム
US7265458B2 (en) * 2005-04-08 2007-09-04 Eaton Power Qualit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ordinated static switch operations for load transfers i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s
US7667351B2 (en) 2007-04-27 2010-02-23 Liebert Corporation Method for pulse width modulation synchronization in a parallel UPS system
GB2463919A (en) 2008-09-30 2010-03-31 D4 Technology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ger
JP2011125124A (ja) 2009-12-09 2011-06-23 Sanyo Electric Co Ltd サーバーとサーバーに収納される無停電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18813A (ja) 2013-06-13
CN103138337A (zh) 2013-06-05
CA2797870A1 (en) 2013-06-01
US20130140897A1 (en) 2013-06-06
US9130399B2 (en) 2015-09-08
EP2600491A1 (de) 2013-06-05
RU2012151519A (ru)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6768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 of parallel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ES2742680T3 (es) Procedimientos de protección y conmutadores en sistemas de alimentación ininterrumpida
KR101507213B1 (ko) 전력 보상기용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US9722425B2 (en) Determining a string configuration in a multistring-inverter
KR20140060401A (ko)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82850B1 (ko) Hvdc 시스템의 전원 이중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935463B2 (en) Redundant point of common coupling (PCC) to reduce risk of microgrid's islanding
JP2018107890A (ja) 電力供給装置、電力供給装置の制御方法、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通信基地局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KR101651772B1 (ko) 다수의 에너지 저장의 전력 제어 시스템
KR101702935B1 (ko) 이중화 제어기의 운전방법
KR20130061653A (ko)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JP6620937B2 (ja) 蓄電システム、運転方法
KR20130061654A (ko)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US10418819B2 (en) Control method for power control system, power control system, and power control apparatus
KR20130061652A (ko)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JP5146514B2 (ja) 切替装置、切替装置制御方法、切替装置制御プログラム
JP7299095B2 (ja) 無停電電源装置
TW201334364A (zh) 無中斷電流供應裝置(一)
JP5324151B2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TW201334366A (zh) 無中斷電流供應裝置(三)
WO2023089683A1 (ja) モジュール型無停電電源装置および無停電電源システム
US2013015437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arallel line-interactiv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