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829B1 - 커넥터부가 마련된 청진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부가 마련된 청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829B1
KR101701829B1 KR1020160059044A KR20160059044A KR101701829B1 KR 101701829 B1 KR101701829 B1 KR 101701829B1 KR 1020160059044 A KR1020160059044 A KR 1020160059044A KR 20160059044 A KR20160059044 A KR 20160059044A KR 101701829 B1 KR101701829 B1 KR 101701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diaphragm
connector
soun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운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제이 filed Critical (주)아이티제이
Priority to KR1020160059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829B1/ko
Priority to PCT/KR2017/005009 priority patent/WO20171961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신체의 생체 음향이 획득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생체 음향을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한 제1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제1 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마이크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에 착탈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부가 마련된 청진 장치{AUSCULT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신체의 생체 음향을 획득하고 단말기에 제공하는 청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행위에 있어서, 의사는 환자를 진단할 때에 종종 청진기를 이용한다. 청진기에 의한 진단에 의하여 폐포 호흡음(肺胞 呼吸音), 기관지 호흡음(氣管支呼吸音), 저음성 연속음(低音性連續音), 잡음(스쿼크 squawk), 수포음(水泡音) 등 환자의 생체음(生體音)으로 여러 가지 병상(病狀)을 파악할 수 있다. 청진기로부터의 생체음에 의하여 심장이나 호흡기계(呼吸器系)의 병상뿐만 아니라, 다른 오장육부(五臟六腑)의 여러 가지 병상까지 파악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012772호에는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획득된 소리를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하는 청진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스피커부를 통한 청각적 출력만으로는 획득된 소리를 명확하게 판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스피커부로 인해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012772호
본 발명은 생산성 개선을 위해 간소한 구조를 가지며,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청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신체의 생체 음향이 획득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생체 음향을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한 제1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제1 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마이크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에 착탈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하나의 케이스에 인터페이스부, 마이크, 커넥터부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의 구동 전력은 커넥터부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단말기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케이스 내부에 배터리 등의 전원 공급 수단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구성이 간소하고 경량화, 생산성에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사용자가 의복을 입고 있는 상태에서 심박음 등의 생체 음향을 획득하도록, 신체 또는 의복에 쓸리는 마찰음과 같은 잡음이 배제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리트랙터블 릴을 이용해 커넥터부에 연결된 와이어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청진 장치의 케이스로부터 커넥터부를 끌어낸 다음 단말기에 장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청진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청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청진 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청진 장치의 일부를 나타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청진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청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청진 장치는 인터페이스부, 마이크(130), 커넥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생체 음향을 처리할 수 처리부가 마련된 단말기(30)로 생체 음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단말기(30)의 처리부는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음파 또는 생체 음향을 직접 처리하지 못하고 전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생체 음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마이크(130)가 이용될 수 있다.
마이크(130)는 사용자의 심박음 또는 태아의 심박음 등의 생체 음향을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30)에서 처리 가능한 전기적인 제1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신체(50)의 심박음과 같은 생체 음향은 매우 미세한 소리로 마이크(130)를 직접 신체(50)에 접촉하더라도 마이크(130)에서 생체 음향을 직접 획득하기는 어렵다.
인터페이스부는 마이크(130)에서 요구하는 수준으로 사람 또는 동물의 신체(50)의 생체 음향을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130)로부터 출력된 제1 신호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해서 단말기(3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구성을 간소화하고 마이크(130)의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배제하기 위해 전기가 소통되는 와이어(90)를 이용한 유선 방식으로 제1 신호를 단말기(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90)의 단부에는 커넥터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부(150)는 제1 신호가 출력되는 마이크(130)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단말기(30)에 착탈될 수 있다. 일 예로, 커넥터부(150)에는 단말기(30)의 이어폰 잭에 삽입되는 연결 핀(151), 보조 잭(152)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150)에는 연결 핀(151) 및 보조 잭(152)이 지지되는 제2 기판(159)과 제2 기판(159)을 덮는 하우징(155)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기판(159)에는 리트랙터블 릴(190)로부터 인출된 와이어(90)가 본딩될 수 있다. 제2 기판(159)에 본딩된 와이어(90)는 제2 기판(159)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의해 연결 핀(151) 또는 보조 잭(1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부(150)의 연결 핀(151)이 단말기(30)의 이어폰 잭에 삽입되면, 단말기(30)의 이어폰 잭에 삽입되는 별도의 이어폰 등을 이용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커넥터부(150)에는 별도의 이어폰이 연결될 수 있는 보조 잭(152)이 마련되므로, 커넥터부(150) 및 이어폰이 단말기(30)의 이어폰 잭에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부(150)는 전기가 흐르는 와이어(90)를 통해 마이크(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90)를 통해 마이크(130)에 유선으로 연결된 커넥터부(150)는 단말기(30)의 전력 또는 전기 신호를 마이크(13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130)는 커넥터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말기(30)의 전력 또는 전기 신호를 이용해서 구동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청진 장치에는 별도의 배터리나 무선 통신 모듈이 마련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이 간소해지고,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인터페이스부와 마이크(130)가 설치되는 케이스(210, 22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는 사용자가 손으로 감싸쥘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마이크(130)와 커넥터부(1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와이어(90)가 수납되는 리트랙터블 릴(190)(retractable reel)을 포함할 수 있다. 리트랙터블 릴(190)은 마이크(130)와 함께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리트랙터블 릴(190)은 태엽의 힘 또는 탄성체의 힘에 의해 커넥터부(150)에 연결된 와이어(90)를 되감을 수 있다. 또한, 리트랙터블 릴(190)은 외력에 의해 와이어(90)를 풀 수 있도록 형성되며, 풀린 와이어(90)가 원하지 않게 되감기지 않도록 설정 구간마다 풀린 와이어(90)가 되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리트랙터블 릴(190)은 소위 자동 줄자와 유사한 원리로 구동될 수 있다.
리트랙터블 릴(190)에 의해 리트랙터블 릴(190)로부터 커넥터부(150)까지 연장되는 와이어(90)의 길이는 가변될 수 있다. 리트랙터블 릴(190)이 케이스에 고정될 때, 커넥터부(150)는 케이스에 대해 다양한 자유도로 움직일 수 있다.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90)에 의해 커넥터부(150)는 마이크(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케이스에 마련된 수용부(239)에 삽입될 수 있다. 만약 커넥터부(150)를 잡아당기는 외력이 작용하면, 커넥터부(150)는 수용부(239)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케이스에는 인터페이스부 및 마이크(130)가 설치되는 중간부(230), 중간부(230)가 설치되는 제1 커버(210), 제1 커버(210)와 중간부(230)를 덮는 제2 커버(2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220)는 청진 장치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중간부(230)는 인터페이스부 및 마이크(13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부 및 마이크(130)가 제1 커버(210) 또는 제2 커버(220)에 설치되는 대신 중간부(230)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1 커버(210) 또는 제2 커버(220)는 중간부(230)를 덮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크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와 구별되는 별도의 중간부(230)에 생체 음향을 획득하는 인터페이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130)와 커넥터부(1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와이어(90)가 수납되는 리트랙터블 릴(190)(retractable reel)은 케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리트랙터블 릴(190)로부터 커넥터부(150)까지의 와이어(90)의 길이는 리트랙터블 릴(190)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90)에 의해 커넥터부(150)는 중간부(230)에 장착되거나 중간부(23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중간부(230)에는 커넥터부(150)가 장착되는 수용부(239)가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90)에 연결된 커넥터부(150)의 일면에는 단말기(30)에 착탈되는 연결 핀(151)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커넥터부(150)의 어느 일면에는 연결 핀(151)과 와이어(90)가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수용부(239)에는 커넥터부(150)에 연결된 와이어(9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는 관통 홀(238)과 연결 핀(151)이 삽입되는 삽입 홀(237)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230)에서 삽입 홀(237)에 대면되는 위치에는 삽입 홀(237)을 통해 중간부(230)의 안쪽으로 진입하는 연결 핀(151)의 진입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236)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에서 마이크(130)가 설치되는 면에는 리트랙터블 릴(190)이 거치되는 거치부(232), 거치부(232)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리트랙터블 릴(190)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231)가 마련될 수 있다. 거치부(232)는 리트랙터블 릴(190)의 밑면에 대면되고, 삽입부(231)는 리트랙터블 릴(190)의 측면에 대면될 수 있다.
리트랙터블 릴(190)의 유동을 방지하고, 리트랙터블 릴(190)의 설치 편의를 위해 삽입부(231)에는 정렬 홈(235)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리트랙터블 릴(190)의 외면에는 정렬 홈(235)에 삽입되는 정렬 돌기(191)가 마련될 수 있다. 제조의 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정렬 홈(235) 및 정렬 돌기(191)는 제1 커버(210)로부터 제2 커버(2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트랙터블 릴(190)로부터 와이어(90)의 양단이 인출될 수 있으며, 일단은 커넥터부(150)에 연결되고 타단은 마이크(130)에 연결될 수 있다.
리트랙터블 릴(190)로부터 인출된 와이어(90)를 직접 마이크(130)에 연결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리트랙터블 릴(190)과 마이크(130) 사이에는 와이어(90)가 납땜되는 제1 기판(18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기판(180)의 일측에는 리트랙터블 릴(190)로부터 인출된 와이어(90)가 납땜되고, 제1 기판(180)의 타측에는 마이크(130)로부터 인출된 보조선(80)이 납땜될 수 있다. 제1 기판(180)의 일측과 타측은 패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제1 기판(180)은 리트랙터블 릴(190)이 거치되는 거치부(232) 내부에 설치되거나, 리트랙터블 릴(190)과 거치부(23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에는 신체(50)에 일면이 대면되는 진동판(111), 진동판(111)의 타면에 설치되는 집음기(11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집음기(113)는 중간부(23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커버(210)에 대면되는 중간부(230)의 일면에는 집음기(113)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230)에는 집음기(113)와 제2 커버(220)에 대면되는 중간부(230)의 타면을 연결하는 소통 홀(119)이 마련될 수 있다. 평면상으로 집음기(113)는 원 등의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통 홀(119)은 집음기(113)의 가운데에 형성될 수 있다. 집음기(113)에서 집음된 생체 음향은 집음기(113)의 가운데에 형성된 소통 홀(119)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30)는 중간부(230)의 타면에 소통 홀(119)에 대면되게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130)가 소통 홀(119)에 대면되게 설치되므로, 집음기(113)에서 집음된 소리는 소통 홀(119)을 거쳐 마이크(130)로 확실하게 입력될 수 있다.
중간부(230)의 타면 측으로부터 마이크(130)로 잡음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부(230)의 타면에 노출된 마이크(130)는 밀봉재(10)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트랙터블 릴(190)은 중간부(230)의 타면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90)가 되감기거나 풀릴 때, 자체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의 소음이 마이크(130)로 입력될 수 있는데, 밀봉재(10)에 의하면 이러한 염려가 없다.
제1 커버(210)에는 진동판(111)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진동판(111) 또는 집음기(113)에 대면되는 위치에 통공(2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청진 장치에 따르면, 마이크(130)와 커넥터부(150)는 와이어(90)에 의해 연결되므로, 마이크(130)는 해당 와이어(90)를 이용해서 단말기(30)로부터 구동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청진 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와이어(90)에 의해 마이크(130)와 커넥터부(150) 간의 거리가 고정되면 커넥터부(150)에 연결된 단말기(30)와 청진 장치를 함께 움직이며 생체 음향을 획득해야 하는 불편함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130)와 커넥터부(150) 간의 거리는 리트랙터블 릴(190)에 의해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에 편리한 길이만큼 케이스로부터 커넥터부(150)를 빼낸 후 단말기(30)에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부(150)에 연결된 단말기(30)와 케이스 간의 거리가 충분하게 확보되면, 케이스만 손에 쥐고 신체(50)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용이해진다.
마이크(130)로부터 출력된 제1 신호 ①은 와이어(90), 커넥터부(150)를 순서대로 거쳐 단말기(30)로 입력될 수 있다. 청진 장치에 스피커(140)가 포함된 경우 단말기(30)로부터 출력된 제2 신호 ②는 커넥터부(150) 및 와이어(90)를 순서대로 거쳐 청진 장치의 스피커(14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청진 장치의 일부를 나타난 단면도이다.
인터페이스부에는 신체(50)에 일면이 대면되는 진동판(111), 진동판(111)의 타면에 설치되는 집음기(113)가 마련될 수 있다. 진동판(111)의 가장자리는 중간부(230)에 접착될 수 있다.
제1 커버(210)가 신체(50)에 밀착되면, 진동판(111)은 신체(50)의 진동에 의해 진동될 수 있다.
집음기(113)는 진동판(111)의 진동에 의해 형성된 생체 음향을 마이크(130)를 향해 집음시킬 수 있다. 이때, 진동판(111)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고, 진동판(111)과 마이크(130) 간의 마찰음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크(130)는 진동판(11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진동판(111)이 신체(50) 또는 의복에 쓸리는 마찰음과 같은 잡음을 배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밀착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170)는 제1 커버(2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170)는 신체(50)에 밀착되는 요소로, 신체(50)에 대면 설치되는 진동판(111)과 신체(5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둘 사이에 개재되는 밀착부(170)에 의해 진동판(111)은 신체(5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신체(5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진동판(111)은 신체(50) 또는 신체(50)에 입혀진 의복과의 접촉이 배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밀착부(170)에 의해 신체(50) 또는 의복과 진동판(111)의 접촉으로 인해 유발되는 잡음이 원천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등의 부가 수단이 케이스 또는 단말기(30)에 마련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이 간소해지는 장점이 있다.
밀착부(170)는 평면상으로 진동판(111)을 둘러싼 중공(179)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170)는 신체(50)로부터 진동판(111)을 향해 갈수록 중공(179)의 직경이 감소하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깔대기 형상의 밀착부(170)에 따르면, 신체(50)의 생체 음향이 밀착부(170)에 의해서도 일부 집음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청진 장치에는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된 제2 신호 ②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는 스피커(140)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신체(50)로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130)와 스피커(140)가 함께 마련되고 동시에 동작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가 둘 모두에 반응하므로 제2 신호 ②에 의한 잡음이 제1 신호 ①에 포함되거나, 제1 신호 ①에 의한 잡음이 제2 신호 ②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신호 ①과 제2 신호 ②가 서로 잡음으로 작용하는 간섭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스위치(15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53)는 마이크(130) 또는 스피커(140)를 커넥터부(150)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153)는 마이크(130)와 스피커(140) 중 선택된 하나와 커넥터부(1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나머지 하나와 커넥터부(150) 간의 전기적 연결을 해제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위치(153)는 일시점에서 마이크(130)만 커넥터부(150)에 연결시키거나, 스피커(140)만 커넥터부(15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커넥터부(150)는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90)에 의해 마이크(130) 및 스피커(140)에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부(150)는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90)에 의해 케이스로부터 이탈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153)는 사용 편의 및 유지 보수를 고려해서 커넥터부(150), 구체적으로 커넥터부(150)의 제2 기판(159)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마이크(130) 및 스피커(140)로부터 커넥터부(150)까지 와이어(90)로 연결되는 단순한 구조를 취하므로, 고장의 가능성이 낮다. 고장 가능성이 높은 요소로, 사용자에 의해 자주 조작되는 스위치(153)가 고려될 수 있다. 스위치(153)가 케이스에 설치되면 스위치(153)의 고장 발생시 케이스를 분해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가 어렵다. 아울러, 한 손으로 케이스를 파지한 상태에서 자신의 배나 심장 부근에 청진 장치를 대고 있는 사용자는 해당 손을 이용해서 스위치(153)를 조작하기 어려울 수 있다. 다른 손을 이용해서 케이스에 마련된 스위치(153)를 조작하려고 해도 케이스를 잡고 있는 손을 피해서 스위치(153)를 조작해야 하므로 불편하다.
반면, 스위치(153)가 커넥터부(150)에 설치되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또한, 어느 한 손을 이용해서 청진 장치를 신체(50)에 대고 있는 중이라도 다른 손을 이용해서 커넥터부(150)의 스위치(153)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스피커(140)로부터 출력된 음파는 진동판(111)과 집음기(113) 사이의 음향 공간(117)으로 출력될 수 있다. 집음기(113)에는 마이크(130)에 대면되는 위치에 소통 홀(119)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통 홀(119)의 옆에는 보조 홀(118)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홀(118)은 스피커(140)가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피커(140)로부터 출력된 음파는 보조 홀(118)을 거쳐 음향 공간(117)으로 출력될 수 있다.
진동판(111)은 마이크(130)가 구동되면 생체 음향을 마이크(130)로 전달할 수 있다. 진동판(111)은 스피커(140)가 구동되면 음향 공간(117)으로 출력된 음파에 의해 진동될 수 있다. 음파에 의한 진동판(111)의 진동은 신체(5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신체(50) 내에 위치한 태아가 들을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청진 장치에 마련된 마이크(130)를 이용해서 태아의 심박음을 획득할 수 있으며, 청진 장치에 마련된 스피커(140)를 이용해서 태아에게 태교 음악 또는 엄마의 목소리 등을 들려줄 수 있다. 태교 음악 또는 엄마의 목소리는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신호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엄마의 목소리는 보조 잭에 연결된 별도의 마이크를 통해 직접 수신되고, 커넥터부, 와이어를 거쳐 스피커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판(111)은 신체(50)의 진동에 확실하게 반응하는 재질 및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대로 진동판(111)을 스피커(140)에 의해 진동시키면 신체(50)를 적절하게 진동시킬 수 있고, 해당 진동은 신체(50)를 거쳐 태아가 들을 수 있는 음향으로 변환되어 태아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단말기(30)에 유선 방식으로 착탈되는 커넥터부(150), 커넥터부(150)와 마이크(130) 간의 유선 연결, 커넥터부(150)와 마이크(130)를 연결하는 와이어(90)의 길이 가변, 밀착부(170)를 이용한 불필요한 잡음 배제, 마이크(130)와 스피커(140)가 공통의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는 점 등일 수 있다.
유선 방식으로 착탈되는 커넥터부(150), 커넥터부(150)와 마이크(130) 간의 유선 연결에 따르면, 청진 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와이어(90)의 길이 가변을 통해 청진 장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밀착부(170)를 이용해 마찰음과 같은 잡음이 원천적으로 배제되므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등이 정진 장치에 마련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마이크(130)와 스피커(140)가 공통의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므로, 구성이 간소해지고 태아의 심박음을 획득하거나 태교 음악 등을 태아에게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밀봉재 30...단말기
50...신체 80...보조선
90...와이어 111...진동판
113...집음기 117...음향 공간
118...보조 홀 119...소통 홀
130...마이크 140...스피커
150...커넥터부 151...연결 핀
152...보조 잭 153...스위치
155...하우징 159...제2 기판
170...밀착부 179...중공
180...제1 기판 190...리트랙터블 릴
191...정렬 돌기 210...제1 커버
219...통공 220...제2 커버
230...중간부 231...삽입부
232...거치부 235...정렬 홈
236...가이드 237...삽입 홀
238...관통 홀 239...수용부

Claims (13)

  1. 신체의 생체 음향이 획득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생체 음향을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한 제1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제1 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마이크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에 착탈되는 커넥터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
    상기 마이크 또는 상기 스피커를 상기 커넥터부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치;
    상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마이크, 상기 스피커가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 중 선택된 하나와 상기 커넥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나머지 하나와 상기 커넥터부 간의 전기적 연결을 해제시키며,
    상기 커넥터부는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에 의해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에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상기 와이어에 의해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탈 가능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커넥터부에 설치되는 청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는 상기 신체에 일면이 대면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타면에 설치되는 집음기가 마련되고,
    상기 진동판은 상기 신체의 진동에 의해 진동되며,
    상기 집음기는 상기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 형성된 상기 생체 음향을 상기 마이크를 향해 집음시키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진동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청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에는 상기 신체에 대면 설치되는 진동판이 마련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진동판과 상기 신체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밀착부에 의해 상기 진동판은 상기 신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신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신체 또는 상기 신체에 입혀진 의복과의 접촉이 배제되며,
    상기 밀착부에 의해 상기 신체 또는 상기 의복과 상기 진동판의 접촉으로 인해 유발되는 잡음이 배제되는 청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평면상으로 상기 진동판을 둘러싼 중공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신체로부터 상기 진동판을 향해 갈수록 상기 중공의 직경이 감소하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청진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는 상기 신체에 일면이 대면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타면에 설치되는 집음기가 마련되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파는 상기 진동판과 상기 집음기 사이의 음향 공간으로 출력되며,
    상기 진동판은 상기 마이크가 구동되면 상기 생체 음향을 상기 마이크로 전달하고, 상기 스피커가 구동되면 상기 음향 공간으로 출력된 상기 음파에 의해 진동되는 청진 장치.
  9. 신체의 생체 음향이 획득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생체 음향을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한 제1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제1 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마이크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에 착탈되는 커넥터부;
    상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마이크가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와 상기 커넥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와이어가 수납되는 리트랙터블 릴(retractable reel);을 포함하고,
    상기 리트랙터블 릴은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를 되감거나 풀며,
    상기 리트랙터블 릴에 의해 상기 커넥터부까지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가변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상기 와이어에 의해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마이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에 마련된 수용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청진 장치.
  10. 삭제
  11. 신체의 생체 음향이 획득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생체 음향을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한 제1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제1 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마이크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에 착탈되는 커넥터부;
    상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마이크가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와 상기 커넥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와이어가 수납되는 리트랙터블 릴(retractable reel);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마이크가 설치되는 중간부, 상기 중간부가 설치되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중간부를 덮는 제2 커버가 마련되며,
    상기 리트랙터블 릴로부터 상기 커넥터부까지의 상기 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리트랙터블 릴에 의해 가변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상기 와이어에 의해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중간부에 장착되거나 상기 중간부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중간부에는 상기 커넥터부가 장착되는 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상기 커넥터부의 일면에는 상기 단말기에 착탈되는 연결 핀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는 관통 홀과 상기 연결 핀이 삽입되는 삽입 홀이 형성된 청진 장치.
  12. 신체의 생체 음향이 획득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생체 음향을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한 제1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제1 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마이크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에 착탈되는 커넥터부;
    상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마이크가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마이크가 설치되는 중간부, 상기 중간부가 설치되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중간부를 덮는 제2 커버가 마련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에는 상기 신체에 일면이 대면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타면에 설치되는 집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커버에 대면되는 상기 중간부의 일면에는 상기 집음기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에는 상기 집음기와 상기 제2 커버에 대면되는 상기 중간부의 타면을 연결하는 소통 홀이 마련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중간부의 타면에 상기 소통 홀에 대면되게 설치되며,
    상기 중간부의 타면에 노출된 상기 마이크는 밀봉재에 의해 밀봉되고,
    상기 제1 커버에는 상기 진동판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진동판 또는 집음기에 대면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는 청진 장치.
  13. 삭제
KR1020160059044A 2016-05-13 2016-05-13 커넥터부가 마련된 청진 장치 KR101701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044A KR101701829B1 (ko) 2016-05-13 2016-05-13 커넥터부가 마련된 청진 장치
PCT/KR2017/005009 WO2017196153A1 (ko) 2016-05-13 2017-05-15 커넥터부가 마련된 청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044A KR101701829B1 (ko) 2016-05-13 2016-05-13 커넥터부가 마련된 청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829B1 true KR101701829B1 (ko) 2017-02-02

Family

ID=5815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044A KR101701829B1 (ko) 2016-05-13 2016-05-13 커넥터부가 마련된 청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1829B1 (ko)
WO (1) WO20171961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393A1 (ko) * 2020-07-22 2022-01-27 (주)에어사운드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6450A (zh) * 2021-07-16 2021-11-02 广州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咳嗽监测装置及咳嗽监测系统
CN114259252B (zh) * 2021-11-18 2022-09-06 浙江大学滨江研究院 一种听诊器套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2772A (ko) 2006-02-13 2007-01-29 다카시 요시미네 청진장치
KR20080001260U (ko) * 2006-11-17 2008-05-22 김순남 수유 청진기
KR20150007738A (ko) * 2013-07-12 2015-01-21 스마트사운드주식회사 청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085A (ja) * 2001-10-26 2003-05-07 Iscg Kk 内診用集音マイク付電子聴診器
KR200366476Y1 (ko) * 2004-07-22 2004-11-10 주순애 리트랙터블 코드 릴 조립체
KR101604355B1 (ko) * 2014-07-04 2016-03-28 주식회사 시그테크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 및 젠더 일체형 이어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2772A (ko) 2006-02-13 2007-01-29 다카시 요시미네 청진장치
KR20080001260U (ko) * 2006-11-17 2008-05-22 김순남 수유 청진기
KR20150007738A (ko) * 2013-07-12 2015-01-21 스마트사운드주식회사 청진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393A1 (ko) * 2020-07-22 2022-01-27 (주)에어사운드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 방법
KR20220012034A (ko) * 2020-07-22 2022-02-03 (주)에어사운드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 방법
KR102483376B1 (ko) * 2020-07-22 2022-12-30 (주)에어사운드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6153A1 (ko)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3813A (en) Electronic sound amplifier stethoscope with visual heart beat and blood flow indicator
US4723555A (en) Multi-functional radio/wire stethoscopic apparatus
AU2012256009B2 (en) Medical examination apparatus
US20050014999A1 (en) Device for verifying and monitoring vital parameters of the body
KR101701829B1 (ko) 커넥터부가 마련된 청진 장치
BRPI0808261A2 (pt) "biossensores eletrônicos modulares"
WO2019241645A1 (en) Device for monito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to determine a condition and diagnosis of the human brain and body
JPS63501618A (ja) 電気フィルタ付き聴診器
US20150226816A1 (en) Patient Communication in Magnetic Resonance Tomography
JP2008049111A (ja) 補聴機能付聴診器
KR101701826B1 (ko) 스피커가 마련된 청진 장치
WO2009101142A1 (en) Receiver module for a hearing device, hearing device and hearing device earpiece
CN116919446A (zh) 可穿戴设备
HU224949B1 (en) Acoustic coupling device and apparatus
KR101300676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청진기
CN115103282A (zh) 包括一个或多个用于生物统计测量的传感器的助听器
JP3122639U (ja) 電子聴診器
JP6471391B2 (ja) Mri用通話装置
KR101637830B1 (ko)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그 제어방법 및 그 제조방법
US20090326418A1 (en) Microphone matrix for recording body sounds
CN219803729U (zh) 一种降噪听诊器
CN219048579U (zh) 一种听诊器及听诊系统
CN219109507U (zh) 腕带设备的交互装置和腕带设备
CN215067583U (zh) 一种红外听诊眼镜装置
CN219353953U (zh) 一种智能听诊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