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830B1 -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그 제어방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그 제어방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830B1
KR101637830B1 KR1020150061498A KR20150061498A KR101637830B1 KR 101637830 B1 KR101637830 B1 KR 101637830B1 KR 1020150061498 A KR1020150061498 A KR 1020150061498A KR 20150061498 A KR20150061498 A KR 20150061498A KR 101637830 B1 KR101637830 B1 KR 101637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ound
acoustic signal
signal
helmholtz reso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은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61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여러 진찰부위를 선택적으로 관찰하거나 비교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정확한 진단을 도와줄 수 있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는, 환자의 제 1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1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1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1 집음부; 일단은 상기 제 1 집음부와 연결되고, 내부로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제 1 튜브; 상기 제 1 진찰부위와 이격된 제 2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2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2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2 집음부; 일단은 상기 제 2 집음부와 연결되고, 내부로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제 2 튜브; 및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을 유도하는 흡음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그 제어방법 및 그 제조방법{STETHOSCOPE USING HELMHOLTZ RESONAN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여러 진찰부위를 선택적으로 관찰하거나 비교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정확한 진단을 도와줄 수 있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와 그 제어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진기는 환자의 몸안에서 들리는 소리를 들어서 질병의 진단을 하는 데 사용하는 의료 기기이다. 내과에서 내장의 질병 여부를 진단할 때 주로 쓰인다.
청진기는 일반적으로 체내에서 발생하는 심음이나 호흡음을 비롯하여 동맥음, 장잡음, 혈관음을 청취하여 정상적인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혈압을 측정할 때는 상완동맥음을 청취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청진은 일찍이 그리스 시대에 히포크라테스가 환자의 몸에 자기의 귀를 대어 체내의 음을 직접 청취한 데서 비롯되었다.
라에네크는 어린이의 놀이에서 힌트를 얻어 종이로 만든 통을 귀에 대고 청진에 응용하였더니 그 효과가 큰 데 놀라 이것을 목제통으로 개량함으로써 1819년 청진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양이형 청진기는 그 뒤 에레아드에 의해 개발된 것이다. 그 후 여러 가지로 개량되어 모양도 다종다양해졌으며, 트라우베 청진기로 총칭되는 관상인 것과 쌍이형 청진기로 크게 구별한다.
트라우베 청진기는 편이식이며, 청진할 수 있는 부위가 어느 정도 한정되어 있고, 또 옆을 향해서 청취해야 하는 등의 결점이 있다. 그러나 양이식보다 잡음이 적어서 태아심음 등을 청취하는 데 알맞으므로 현재도 산부인과에서 사용되는 일이 있다.
양이형에는 상아를 파서 만든 것, 금속성인 벨형, 막을 붙인 막면형이 있으며 각각 장단점이 있는데, 최근에는 막면형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 밖에 양이형 청진기에 보청기와 같은 측미음계를 장치하여 성능을 좋게 한 것, 확대하여 여러 사람이 동시에 들을 수 있도록 한 것, 또는 옷을 벗지 않고 옷 위로 청진할 수 있도록 음을 증폭하는 전자청진기 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청진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청진기는 체내음을 듣기 위해 환자의 피부 표면에 대어 소리를 수신하는 소리수신부재와, 소리수신부재와 튜브를 통해 연결되는 청취부를 포함하고, 이때 소리수신부재는 종 모양의 벨과 다이어프램(diaphragm)으로 구성된다.
대한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95004호는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에서 측정된 현재상태 음파데이터와, 저장되어 있는 질병별 음파데이터 및 사용자의 정상상태 음파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현재의 건강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자가진단 형 디지털 청진기 및 그 방법과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의 청진음을 집음하기 위한 집음 수단; 상기 집음된 청진음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 발생수단; 상기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처리 수단; 변환수단과 사용자에 대한 현재 상태 음파데이터, 정상상태 음파데이터 및 질병 별 음파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입/출력을 수행하는 입/출력수단; 및 디지털 청진기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재 음파데이터와 저장된 질병별 음파데이터 및 정상상태 음파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건강상태를 진단한 후, 상기 진단결과를 상기 출력 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중앙처리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신체 각 부위의 현재 음파를 측정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질병별 음파데이터나 정상상태 음파데이터를 비교하여 자신의 건강상태를 검진하는 효과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5266호의 디지털 청진기는 청진마이크가 내장된 집음판에 의해 검출된 청진 데이터를 필터에 의해 잡음을 여과하고 증폭기에 의해 증폭한 다음 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된 표준 청진음과 비교회로에 의해 비교한 다음 그 결과의 병명을 기록 저장하는 동시 음향과 도형으로 표시하게 된 것이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US2004/0092846호의 심장질환의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은 그래픽칼 유저(graphical user) 및 보이스 가이드 프로토콜(voice guide protocol)이 결합된 것으로 표준 진단 순서를 나타낸 도형의 지시된 신체부위에 청진기를 대고 청진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를 여과 및 증폭하여 기록하는 동시에 예비된 표준프로토콜과 대비하여 분석한 다음 그 결과가 도형으로 표시되어 표준 도형과 비교하면서 도형에 의해 진단결과를 파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4595호의 전자청진기는 신체에서 발생되는 음향에 따라 진동되는 다이아프램(diaphragm)의 진동을 전기음향으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및 전기 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되 이어피스 내부에 구비하고 마이크로폰에 의한 전기적 신호는 제1증폭기에 의해 증폭되고 제1, 제2, 제3필터기구에 의해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리하고 분리된 음향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모드선택 스위치에 의해 선택한 다음 제2증폭기에 의해 증폭되고 스피커에 의해 음향 신호를 출력하거나 컴퓨터에 입력시키어 환자의 생체음 데이터를 저장하고 원격 진료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9531호의 유에스비포트를 이용한 무선 디지털 청진기는 인체의 흉부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집음하는 집음기와 상기 집음기를 거친 미약한 전기음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전기 음향 신호 중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흉부의 심호흡음 신호를 고주파수로 변조하는 변조기 및 상기 변조기를 통해 변조된 신호를 발진기와 대역통과 필터 및 안테나를 통해 흉부음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 등을 구비한 송신부청진기 및 상기 송신부 청진기에서 전송된 흉부음을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와 수신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한 후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는 UHF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흉부음과 관련된 디지털 신호를 외부 접속장치로 전달하는 USB포트를 구비한 수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생체신호분석 프로그램에 의해 흉부음과 음의 파형을 눈으로 확인하고 소리로 들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46667호의 청진신호의 환경잡음을 감소하고 청진기로 환자를 청진하면서 코멘트들을 기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청진기에 구비된 마이크에 의해 청진음과 환경음을 수신하는 수단과 환자의 머리맡에 설치된 인터폰에 구비된 마이크에 의해 환경음을 수신하는 수단을 어플리케이션에 연결하여 청진기의 마이크에 의해 수신된 청진음에 믹싱된 환경음을 소거하여 청진음만을 청진기의 이어폰에 송신하여 들을 수 있게 하고 인터폰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환경음 중 특히 의사의 코멘트를 음성 인식회로에 의해 음성 주파수를 주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의사의 코멘트 음성을 기록하여 의사가 청진하면서 코멘트사항을 기록지에 기록하는 불편을 제거하고 보다 편리하게 청진할 수 있게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이다.
미국 등록특호공보 제5,548,651호의 스트레오 청진기는 증폭기가 내장된 본체의 하단부에 2개의 신체 접촉판이 구비된 지지 관을 형성하고 지지관의 내단부에 각각 마이크를 장착하여 신체 기관의 운동음을 입체음으로 청진할 수 있는 동시 녹음장치에 녹음하게 된 것이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5,599,261호의 스트레오 청진기는 좌우 양측 귀에 꽂는 이어피스가 연결된 접속구에 청진 센서가 각각 구비된 2개의 도관을 관접하여 각 센서에 의해 검출된 청진음을 좌 우 양측 귀로 각 각 들을 수 있게 하고 또 하나의 접속구에 이어 피스를 연결하여 2 사람이 청진음을 들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9500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526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4666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45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9531호 미국 공개특허공보 US2004/0092846호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5,548,651호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5,599,261호
본 발명은 환자의 여러 진찰부위를 선택적으로 관찰하거나 비교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정확한 진단을 도와줄 수 있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와 그 제어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음부에서 수집되는 음향신호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이 유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진찰부위별로 별도로 진단을 수행하게 되는 번거로움을 완화시킬 수 있고, 환자의 상태를 세밀하게 비교하거나 진단할 수 있으며, 구성상 복잡성이 크지 않아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한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는, 환자의 제 1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1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1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1 집음부; 일단은 상기 제 1 집음부와 연결되고, 내부로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제 1 튜브; 상기 제 1 진찰부위와 이격된 제 2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2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2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2 집음부; 일단은 상기 제 2 집음부와 연결되고, 내부로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제 2 튜브; 및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을 유도하는 흡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부는, 상기 제 1 튜브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튜브 내부를 진행하는 상기 제 1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제 1 흡음부; 및 상기 제 2 튜브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튜브 내부를 진행하는 상기 제 2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제 2 흡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흡음부와 상기 제 2 흠음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흡음부는, 상기 제 1 튜브로부터 분지되는 제 1 연결관; 및 상기 제 1 연결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헬름홀츠 공명의 유도를 위하여 내부가 밀폐되도록 형성된 제 1 공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관은,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관을 개폐시키는 제 1 판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제 1 개방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제 1 개방명령에 대응하는 제 1 개방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1 개방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판막은 상기 제 1 연결관을 개방하여 상기 제 1 튜브 내부를 진행하는 상기 제 1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공명부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제 1 폐쇄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제 1 폐쇄명령에 대응하는 제 1 폐쇄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1 폐쇄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판막은 상기 제 1 연결관을 폐쇄하여 상기 제 1 공명부 내부로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제 1 연결관의 단면적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관의 단면적이 조절된 경우, 상기 조절된 단면적에 의하여 상기 헬름홀츠 공명의 공명 주파수가 조정된다.
또한, 상기 제 2 흡음부는, 상기 제 2 튜브로부터 분지되는 제 2 연결관; 및 상기 제 2 연결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헬름홀츠 공명의 유도를 위하여 내부가 밀폐되도록 형성된 제 2 공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관은,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 연결관을 개폐시키는 제 2 판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제 2 개방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제 2 개방명령에 대응하는 제 2 개방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2 개방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판막은 상기 제 2 연결관을 개방하여 상기 제 2 튜브 내부를 진행하는 상기 제 2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공명부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제 2 폐쇄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제 2 폐쇄명령에 대응하는 제 2 폐쇄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2 폐쇄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판막은 상기 제 2 연결관을 폐쇄하여 상기 제 2 공명부 내부로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제 2 연결관의 단면적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관의 단면적이 조절된 경우, 상기 조절된 단면적에 의하여 상기 헬름홀츠 공명의 공명 주파수가 조정된다.
또한, 상기 제 1 튜브의 타단과 상기 제 2 튜브의 타단이 연결된 순환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튜브 내부에서 진행된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튜브 내부에서 진행된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순환기에 입력된다.
또한, 사용자에게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헤드셋;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셋은, 제 1 출력관; 상기 제 1 출력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제 1 이어캡; 상기 제 1 출력관과 분기된 제 2 출력관; 및 상기 제 2 출력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제 2 이어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스테레오 모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음향신호는 상기 제 1 출력관으로 진행되고, 상기 제 2 음향신호는 상기 제 2 출력관으로 진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레오 모드 명령이 입력된 제어부에 동시 출력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음향신호와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각각 상기 제 1 이어캡과 상기 제 2 이어캡을 통하여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레오 모드 명령이 입력된 제어부에 이시 출력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 1 시간 동안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상기 제 1 이어캡을 통하여 출력되고, 상기 제 1 시간이 경과된 후 제 2 시간 동안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상기 제 2 이어캡을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시간 및 상기 제 2 시간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 가능하다.
또한, 일단이 상기 순환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헤드셋에 연결된 제 3 튜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순환기에 입력된 음향신호는 상기 제 3 튜브의 내부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기는, 상기 순환기에 입력된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및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전기신호를 상기 헤드셋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은, WLAN(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RFID 및 적외선 통신 중 하나이고, 상기 무선 인터넷 통신은, CDMA, W-CDMA, HSDPA, OFDMA, Wibro, Wimax 및 LTE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어방법은, 제 1 집음부가 환자의 제 1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1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1 음향신호를 수집하고, 제 2 집음부가 상기 제 1 진찰부위와 이격된 제 2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2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2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일단이 상기 제 1 집음부와 연결된 제 1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고, 일단이 상기 제 2 집음부와 연결된 제 2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단계; 및 흡음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이 유도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부는 상기 제 1 튜브에 결합되는 제 1 흡음부와 상기 제 2 튜브에 결합되는 제 2 흡음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흡음부는 상기 제 1 튜브 내부를 진행하는 상기 제 1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고, 상기 제 2 흡음부는 상기 제 2 튜브 내부를 진행하는 상기 제 2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제 1 흡음부와 상기 제 2 흠음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흡음부는, 상기 제 1 튜브로부터 분지되는 제 1 연결관 및 상기 제 1 연결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헬름홀츠 공명의 유도를 위하여 내부가 밀폐되도록 형성된 제 1 공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 판막이 상기 제 1 연결관을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흡음부는, 상기 제 2 튜브로부터 분지되는 제 2 연결관 및 상기 제 2 연결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헬름홀츠 공명의 유도를 위하여 내부가 밀폐되도록 형성된 제 2 공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2 판막이 상기 제 2 연결관을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튜브의 타단과 상기 제 2 튜브의 타단은 순환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튜브 내부에서 진행된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튜브 내부에서 진행된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순환기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헤드셋은 사용자에게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셋은, 제 1 출력관, 상기 제 1 출력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제 1 이어캡, 상기 제 1 출력관과 분기된 제 2 출력관 및 상기 제 2 출력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제 2 이어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조방법은, 제 1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1 집음부에 제 1 튜브의 일단을 연결하고, 제 2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2 집음부에 제 2 튜브의 일단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을 유도하는 흡음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음향신호는 환자의 제 1 진찰부위에서 발생되고, 상기 제 2 음향신호는 상기 제 1 진찰부위와 이격된 제 2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며, 상기 제 1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고, 상기 제 2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부는 상기 제 1 튜브에 결합되는 제 1 흡음부와 상기 제 2 튜브에 결합되는 제 2 흡음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흡음부는 상기 제 1 튜브 내부를 진행하는 상기 제 1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고, 상기 제 2 흡음부는 상기 제 2 튜브 내부를 진행하는 상기 제 2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제 1 흡음부와 상기 제 2 흠음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흡음부는, 상기 제 1 튜브로부터 분지되는 제 1 연결관 및 상기 제 1 연결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헬름홀츠 공명의 유도를 위하여 내부가 밀폐되도록 형성된 제 1 공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 판막이 상기 제 1 연결관을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흡음부는, 상기 제 2 튜브로부터 분지되는 제 2 연결관 및 상기 제 2 연결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헬름홀츠 공명의 유도를 위하여 내부가 밀폐되도록 형성된 제 2 공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2 판막이 상기 제 2 연결관을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튜브의 타단과 상기 제 2 튜브의 타단은 순환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튜브 내부에서 진행된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튜브 내부에서 진행된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순환기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헤드셋은 사용자에게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상기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어방법은, 제 1 집음부가 환자의 제 1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1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1 음향신호를 수집하고, 제 2 집음부가 상기 제 1 진찰부위와 이격된 제 2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2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2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일단이 상기 제 1 집음부와 연결된 제 1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고, 일단이 상기 제 2 집음부와 연결된 제 2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단계; 및 흡음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이 유도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상기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어방법은, 제 1 집음부가 환자의 제 1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1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1 음향신호를 수집하고, 제 2 집음부가 상기 제 1 진찰부위와 이격된 제 2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2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2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일단이 상기 제 1 집음부와 연결된 제 1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고, 일단이 상기 제 2 집음부와 연결된 제 2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단계; 및 흡음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이 유도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상기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조방법은, 제 1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1 집음부에 제 1 튜브의 일단을 연결하고, 제 2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2 집음부에 제 2 튜브의 일단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을 유도하는 흡음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음향신호는 환자의 제 1 진찰부위에서 발생되고, 상기 제 2 음향신호는 상기 제 1 진찰부위와 이격된 제 2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며, 상기 제 1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고, 상기 제 2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진행할 수 있다.
한편,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상기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조방법은, 제 1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1 집음부에 제 1 튜브의 일단을 연결하고, 제 2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2 집음부에 제 2 튜브의 일단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을 유도하는 흡음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음향신호는 환자의 제 1 진찰부위에서 발생되고, 상기 제 2 음향신호는 상기 제 1 진찰부위와 이격된 제 2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며, 상기 제 1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고, 상기 제 2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여러 진찰부위를 선택적으로 관찰하거나 비교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정확한 진단을 도와줄 수 있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와 그 제어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음부에서 수집되는 음향신호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이 유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진찰부위별로 별도로 진단을 수행하게 되는 번거로움을 완화시킬 수 있고, 환자의 상태를 세밀하게 비교하거나 진단할 수 있으며, 구성상 복잡성이 크지 않아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한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청진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에 적용될 수 있는 집음부 구조의 일 실시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에 적용될 수 있는 흡음부 구조의 일 실시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를 제작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에 적용 가능한 변형례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구성>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는 집음부(10, 20), 튜브(30, 32, 34), 흡음부(40, 50), 헤드셋(8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집음부(10, 20)는 환자와 접촉되어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 1 집음부(10)는 환자의 제 1 진찰부위에 접촉되며, 제 1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1 음향신호를 수집한다. 제 2 집음부(20)는 환자의 제 2 진찰부위에 접촉되며, 제 2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2 음향신호를 수집한다. 여기서, 제 1 진찰부위와 제 2 진찰부위는 진찰의 대상이 되는 환자 몸의 일부분으로서 서로 이격된 부분이라고 가정한다.
튜브(30, 32, 34)는 제 1 집음부(10)와 연결된 제 1 튜브(32), 제 2 집음부(20)와 연결된 제 2 튜브(34) 및 제 3 튜브(36)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3 튜브(36)는 임의적 구성이다.
제 1 튜브(32)의 일단은 제 1 집음부(10)와 연결되고, 제 1 튜브(32)의 타단은 순환기(36)에 연결된다. 제 2 튜브(34)의 일단은 제 2 집음부(20)와 연결되고, 제 2 튜브(34)의 타단은 순환기(36)에 연결된다.
흡음부(40, 50)는 헬름홀츠 공명을 유도하는 구성으로서, 제 1 집음부(10)에 설치되는 제 1 흡음부(40)와 제 2 집음부(20)에 설치되는 제 2 흡음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흡음부(40)는 제 1 튜브(32)에 결합되며, 제 1 튜브(32) 내부를 진행하는 제 1 음향신호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을 유도하여 제 1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제 2 흡음부(50)는 제 2 튜브(34)에 결합되며, 제 2 튜브(34) 내부를 진행하는 제 2 음향신호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을 유도하여 제 2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헤드셋(80)은 사용자에게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내부로 음향신호가 진행되는 제 1 출력관(82)과 제 2 출력관(86)으로 구성된다. 제 1 출력관(82)의 단부에는 제 1 이어캡(84)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 2 출력관(86)의 단부에는 제 2 이어캡(88)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이어캡(84)과 제 2 이어캡(88)은 각각 사용자의 양측 귀에 삽입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는 제어부(60), 출력부(62), 통신부(64), 메모리(66), 인터페이스부(68)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제어부(60)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와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60)는 헬름홀츠 공명이 유도되는 제 1 흡음부(40)와 제 2 흡음부(50)의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60)는 제 1 연결관(41)을 개폐시키는 제 1 판막(43)이나 제 2 연결관을 개폐시키는 제 2 판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 1 연결관(41)이나 제 2 연결관의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제 1 연결관(41)이나 제 2 연결관의 단면적이 조절되면, 헬름홀츠 공명의 공명 주파수가 조정된다. 사용자는 공명 주파수를 원하는 수치로 제어함으로써 흡음부(40, 50)에서 제거되는 음향신호의 양을 알맞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단면적과 공명 주파수의 관계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5042385394-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c는 음속이고,S는 연결관의 단면적이며, h는 연결관의 길이이고, V는 공명부의 부피이다.
출력부(62)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 모듈, 알람부,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본 발명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의 제 1 집음부(10)나 제 2 집음부(20)에서 수집된 제 1 음향신호나 제 2 음향신호에 대한 파형을 디스플레이하여 환자의 상태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는 정상 상태에 대한 파형이 표시되어 환자의 상태가 정상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게 도와줄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집음부(10, 20)로부터 수집되거나 메모리(66)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본 발명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에는 스피커(speaker), 이어폰(earphon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환자로부터 수집된 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다르게 출력하거나 그 크기를 다르게 출력하여 사용자가 음향을 듣고서 환자의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 모듈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발생되는 신호음으로서 환자로부터 수집된 음향신호가 빠르게 진동할수록 신호음의 간격을 빠르게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알람부는 본 발명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환자의 상태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 등이 있다.
알람부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진동은 디스플레이부나 음성 출력 모듈, 햅틱 모듈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음성 출력 모듈, 햅틱 모듈은 알람부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통신부(64)는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4)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서,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위치 정보 모듈은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 모듈이 있다.
메모리(66)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 매체이다. 상기 메모리(66)에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68)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68)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68)에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68)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컨텐트들을 선택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과 관련된 아이콘을 생성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입력부는 방향키,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에 적용될 수 있는 집음부 구조의 일 실시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 1 집음부(10)는 소리수신부재(11), 소리전달부재(12a, 12b), 흡음부재(1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집음부(20)도 마찬가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집음부(10)를 중심으로 서술한다.
환자와 접촉되는 부분인 제 1 집음부(10)의 하판은, 환자의 피부 또는 옷에 접촉되어 체내음을 청취하기 위한 하나의 체스트 피스(chest piece)로서, 청진기의 움직임에 따른 마찰 소음과 주변의 생활 소음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 1 집음부(10)의 하판은 신체에 접촉되는 접촉판과, 소리를 수신하여 증폭부에 전달하는 소리수신부재(11)와, 소리수신부재(11)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소리전달부재(12a, 12b)와, 소리수신부재(11)와 소리전달부재(12a, 12b)가 그 내부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소리를 흡수하는 흡음부재(13)와, 접촉판에 설치되며 소리수신부재(11)와 소리전달부재(12a, 12b) 및 흡음부재(13)를 모두 감싸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접촉판은 신체 또는 옷에 직접 접촉되어 체내음을 전달하는 얇은 판(벨로우즈)으로 이루어진다.
소리수신부재(11)는 전자청진기에 통상 사용되는 피에조 센서(piezo sensor) 또는 강유전체 센서(ferroelectric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피에조 센서로 구성되는 예로는 피에조폴리머(piezopolymer) 필름을 사용하는 방안이 있는데, 피에조폴리머 필름은 심음도를 측정하는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특히 혈압측정에서 와류에 의한 소리(korotkoff sound)를 검출하는데에도 사용되고 있다.
소리수신부재(11)의 상하부에 각각 1개씩 위치하는 한 쌍의 소리전달부재(12a, 12b)는 소리가 입력됨에 따라 진동하는 얇은 막 형상의 탄성재부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탄성부재는 청진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울림판의 재질 중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선택 적용된다.
이때 하부쪽에 위치하는 소리전달부재(12b)는 접촉판과 접촉이 유지되도록 설치되어 이 접촉판으로부터 체내음이 소리전달부재(12b)에 그대로 입력된다. 그리고 상부쪽에 위치하는 소리전달부재(12a)의 상면은 후술하는 하우징에 접촉 설치되며, 이에 의해 체내음 이외의 하우징으로부터 입력되는 생활 소음 등이 소리전달재(12a)에 그대로 입력된다.
그리고 소리수신부재(11)와 이 소리수신부재(11)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소리전달부재(12a, 12b)의 외부는 그 내면에 소리수신부재(11)와 소리전달부재(12a, 12b)가 거치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흡음부재(13)에 의해 감싸지는데, 이러한 흡음부재(13)는 좌우 한 쌍이 조합하여 원통형을 이루며, 이때 흡음부재(13)는 방음효과가 우수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텔, 멜라민, 유리섬유 및 직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혼합하여 제조된다.
소리수신부재(11), 소리전달부재(12a, 12b) 및 흡음부재(13)는 반구형의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 고정되며, 이 하우징의 하부에는 접촉판이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데, 이때 상부쪽에 위치하는 소리전달부재(12a)의 상면은 하우징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반면에 하부쪽에 위치하는 소리전달부재(12b)의 하면은 접촉판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어회로와 접촉형 마이크 등이 내장되어 있어 소리수신부재(11)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에 적용될 수 있는 흡음부 구조의 일 실시례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흡음부(40)는, 제 1 튜브(32)로부터 분지되는 제 1 연결관(41)과 제 1 연결관(41)의 단부에 설치된 제 1 공명부(42), 제 1 연결관(41)을 개폐시키는 제 1 판막(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공명부(42)는 제 1 음향신호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의 유도를 위하여 내부가 밀폐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흡음부(50)는, 제 2 튜브(34)로부터 분지되는 제 2 연결관과 제 2 연결관의 단부에 설치된 제 2 공명부, 제 2 연결관을 개폐시키는 제 2 판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공명부는 제 2 음향신호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의 유도를 위하여 내부가 밀폐되어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제 1 흡음부(40)를 중심으로 서술하며, 제 2 흡음부(50)의 구성은 제 1 흡음부(40)로부터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제 1 연결관(41)은 제 1 음향신호가 제 1 공명부(4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제어부(60)에 제 1 개방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60)는 입력된 제 1 개방명령에 대응하는 제 1 개방신호를 생성하게 되며, 상기 생성된 제 1 개방신호에 따라 제 1 판막(43)은 제 1 연결관(41)을 개방하여 제 1 튜브(32) 내부를 진행하는 제 1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공명부(42)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한다.
제어부(60)에 제 1 폐쇄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60)는 입력된 제 1 폐쇄명령에 대응하는 제 1 폐쇄신호를 생성하게 되며, 상기 생성된 제 1 폐쇄신호에 따라 제 1 판막(43)은 제 1 연결관(41)을 폐쇄하여 제 1 공명부(42) 내부로 제 1 음향신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60)에 제 2 개방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60)는 입력된 제 2 개방명령에 대응하는 제 2 개방신호를 생성하게 되며, 상기 생성된 제 2 개방신호에 따라 제 2 판막은 제 2 연결관을 개방하여 제 2 튜브(34) 내부를 진행하는 제 2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공명부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한다.
제어부(60)에 제 2 폐쇄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60)는 입력된 제 2 폐쇄명령에 대응하는 제 2 폐쇄신호를 생성하게 되며, 상기 생성된 제 2 폐쇄신호에 따라 제 2 판막은 제 2 연결관을 폐쇄하여 제 2 공명부 내부로 제 1 음향신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어방법 및 제작방법>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제 1 집음부(10)가 환자의 제 1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1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1 음향신호를 수집하고, 제 2 집음부(20)가 상기 제 1 진찰부위와 이격된 제 2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제 2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2 음향신호를 수집한다(S100).
이어서, 제 1 집음부(10)와 연결된 제 1 튜브(32)의 내부로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고, 제 2 집음부(20)와 연결된 제 2 튜브(34)의 내부로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진행한다(S110).
이어서, 흡음부(40, 50)에 의하여 제 1 음향신호 및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이 유도된다(S120).
제 1 음향신호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을 유도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제 1 개방명령이 입력한다. 제 1 개방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60)는 제 1 개방신호를 생성하게 되며, 제 1 개방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판막(43)이 제 1 연결관(41)을 개방시키게 된다.
제 2 음향신호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을 유도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제 2 개방명령이 입력한다. 제 2 개방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60)는 제 2 개방신호를 생성하게 되며, 제 2 개방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판막이 제 2 연결관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어서, 헤드셋(80)을 통하여 제 1 음향신호 및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130).
헤드셋(80)은 순환기(36)로부터 음향신호를 전송받는데, 헤드셋(80)은 제 3 튜브(30)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거나 통신부(64)에 의하여 순환기(36)와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헤드셋(80)이 제 3 튜브(30)와 직접 연결된 경우에는 순환기(36)에 입력된 음향신호는 제 3 튜브(30)의 내부로 진행하게 되며, 이는 헤드셋(8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헤드셋(80)이 순환기(36)와 통신적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통신부(64)를 이용하게 된다. 순환기(36)에 입력된 음향신호는 신호 변환부에 의하여 전기신호로 변환되며, 통신부(64)는 상기 전기신호를 근거리 통신이나 무선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여 헤드셋(8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WLAN(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RFID 및 적외선 통신 중 하나이고, 무선 인터넷 통신은, CDMA, W-CDMA, HSDPA, OFDMA, Wibro, Wimax 및 LTE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에 스테레오 모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 1 음향신호는 제 1 출력관(82)으로 진행되고, 제 2 음향신호는 제 2 출력관(86)으로 진행되도록 제어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동시 출력 명령이나 이시 출력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동시 출력 명령이 선택되면 제 1 음향신호와 제 2 음향신호가 각각 제 1 이어캡(84)과 제 2 이어캡(88)을 통하여 동시에 출력된다. 이시 출력 명령이 선택되면 제 1 시간 동안 제 1 음향신호가 제 1 이어캡(84)을 통하여 출력되고, 제 1 시간이 경과된 후 제 2 시간 동안 제 2 음향신호가 제 2 이어캡(88)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시간과 제 2 시간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 가능하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를 제작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제 1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1 집음부(10)에 제 1 튜브(32)의 일단을 연결하고, 제 2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2 집음부(20)에 제 2 튜브(34)의 일단을 연결한다(S200).
이어서, 제 1 음향신호 및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을 유도하는 흡음부(40, 50)를 결합시킨다(S210). 즉, 제 1 흡음부(40)는 제 1 튜브(32)에 결합되어 제 1 튜브(32) 내부를 진행하는 제 1 음향신호의 일부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을 유도할 수 있으며, 제 2 흡음부(50)는 제 2 튜브(34)에 결합되어 제 2 튜브(34) 내부를 진행하는 제 2 음향신호의 일부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을 유도할 수 있다.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변형례 >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변형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에 적용 가능한 변형례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100)에 적용 가능한 제 1 흡음부(40)는 제 1 튜브(32)를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 1 흡음부(40)의 몸통을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의 다양한 형태로도 사용 가능하다.
제 2 흡음부(50) 역시 제 1 흡음부(40)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흡음부(40)를 중심으로 서술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튜브(32) 내부를 진행하는 제 1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연결관(41)을 통하여 제 1 공명부(4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 1 연결관(41)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제 1 흡음부(40)의 단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연결관(41)에는 제 1 판막이 설치되어 제 1 연결관(41)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9에서는 제 1 연결관(41)을 개구된 홀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관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9의 제 1 연결관(41) 위치에서 내부와 외부로 돌출되도록 격벽을 그리는 경우와 같이, 제 1 연결관(41)을 관 형상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례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례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제 1 집음부
20: 제 2 집음부
30: 제 3 튜브
32: 제 1 튜브
34: 제 2 튜브
36: 순환기
40: 제 1 흡음부
50: 제 2 흡음부
80: 헤드셋
82: 제 1 출력관
84: 제 1 이어캡
86: 제 2 출력관
88: 제 2 이어캡
100: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Claims (50)

  1. 환자의 제 1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1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1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1 집음부;
    일단은 상기 제 1 집음부와 연결되고, 내부로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제 1 튜브;
    상기 제 1 진찰부위와 이격된 제 2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2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2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2 집음부;
    일단은 상기 제 2 집음부와 연결되고, 내부로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제 2 튜브; 및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을 유도하는 흡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상기 제 1 튜브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튜브 내부를 진행하는 상기 제 1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제 1 흡음부; 및
    상기 제 2 튜브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튜브 내부를 진행하는 상기 제 2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제 2 흡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음부와 상기 제 2 흠음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음부는,
    상기 제 1 튜브로부터 분지되는 제 1 연결관; 및
    상기 제 1 연결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헬름홀츠 공명의 유도를 위하여 내부가 밀폐되도록 형성된 제 1 공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관은,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관을 개폐시키는 제 1 판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제 1 개방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제 1 개방명령에 대응하는 제 1 개방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1 개방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판막은 상기 제 1 연결관을 개방하여 상기 제 1 튜브 내부를 진행하는 상기 제 1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공명부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제 1 폐쇄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제 1 폐쇄명령에 대응하는 제 1 폐쇄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1 폐쇄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판막은 상기 제 1 연결관을 폐쇄하여 상기 제 1 공명부 내부로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제 1 연결관의 단면적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관의 단면적이 조절된 경우,
    상기 조절된 단면적에 의하여 상기 헬름홀츠 공명의 공명 주파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흡음부는,
    상기 제 2 튜브로부터 분지되는 제 2 연결관; 및
    상기 제 2 연결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헬름홀츠 공명의 유도를 위하여 내부가 밀폐되도록 형성된 제 2 공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관은,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 연결관을 개폐시키는 제 2 판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제 2 개방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제 2 개방명령에 대응하는 제 2 개방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2 개방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판막은 상기 제 2 연결관을 개방하여 상기 제 2 튜브 내부를 진행하는 상기 제 2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공명부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제 2 폐쇄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제 2 폐쇄명령에 대응하는 제 2 폐쇄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2 폐쇄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판막은 상기 제 2 연결관을 폐쇄하여 상기 제 2 공명부 내부로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제 2 연결관의 단면적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관의 단면적이 조절된 경우,
    상기 조절된 단면적에 의하여 상기 헬름홀츠 공명의 공명 주파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1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의 타단과 상기 제 2 튜브의 타단이 연결된 순환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튜브 내부에서 진행된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튜브 내부에서 진행된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순환기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헤드셋;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은,
    제 1 출력관;
    상기 제 1 출력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제 1 이어캡;
    상기 제 1 출력관과 분기된 제 2 출력관; 및
    상기 제 2 출력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제 2 이어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스테레오 모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음향신호는 상기 제 1 출력관으로 진행되고, 상기 제 2 음향신호는 상기 제 2 출력관으로 진행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모드 명령이 입력된 제어부에 동시 출력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음향신호와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각각 상기 제 1 이어캡과 상기 제 2 이어캡을 통하여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모드 명령이 입력된 제어부에 이시 출력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 1 시간 동안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상기 제 1 이어캡을 통하여 출력되고, 상기 제 1 시간이 경과된 후 제 2 시간 동안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상기 제 2 이어캡을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및 상기 제 2 시간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25. 제 19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순환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헤드셋에 연결된 제 3 튜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순환기에 입력된 음향신호는 상기 제 3 튜브의 내부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26.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기는,
    상기 순환기에 입력된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및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변환된 전기신호를 상기 헤드셋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WLAN(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RFID 및 적외선 통신 중 하나이고,
    상기 무선 인터넷 통신은, CDMA, W-CDMA, HSDPA, OFDMA, Wibro, Wimax 및 LTE 중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28. 제 1 집음부가 환자의 제 1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1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1 음향신호를 수집하고, 제 2 집음부가 상기 제 1 진찰부위와 이격된 제 2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2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2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일단이 상기 제 1 집음부와 연결된 제 1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고, 일단이 상기 제 2 집음부와 연결된 제 2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단계; 및
    흡음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이 유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어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상기 제 1 튜브에 결합되는 제 1 흡음부와 상기 제 2 튜브에 결합되는 제 2 흡음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흡음부는 상기 제 1 튜브 내부를 진행하는 상기 제 1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고,
    상기 제 2 흡음부는 상기 제 2 튜브 내부를 진행하는 상기 제 2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어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제 1 흡음부와 상기 제 2 흠음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어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음부는,
    상기 제 1 튜브로부터 분지되는 제 1 연결관 및
    상기 제 1 연결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헬름홀츠 공명의 유도를 위하여 내부가 밀폐되도록 형성된 제 1 공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어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 판막이 상기 제 1 연결관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어방법.
  33.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흡음부는,
    상기 제 2 튜브로부터 분지되는 제 2 연결관 및
    상기 제 2 연결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헬름홀츠 공명의 유도를 위하여 내부가 밀폐되도록 형성된 제 2 공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어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2 판막이 상기 제 2 연결관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어방법.
  35.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의 타단과 상기 제 2 튜브의 타단은 순환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튜브 내부에서 진행된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튜브 내부에서 진행된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순환기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어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헤드셋은 사용자에게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어방법.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은,
    제 1 출력관,
    상기 제 1 출력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제 1 이어캡,
    상기 제 1 출력관과 분기된 제 2 출력관 및
    상기 제 2 출력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는 제 2 이어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어방법.
  38. 제 1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1 집음부에 제 1 튜브의 일단을 연결하고, 제 2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2 집음부에 제 2 튜브의 일단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을 유도하는 흡음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음향신호는 환자의 제 1 진찰부위에서 발생되고, 상기 제 2 음향신호는 상기 제 1 진찰부위와 이격된 제 2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며,
    상기 제 1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고, 상기 제 2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조방법.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상기 제 1 튜브에 결합되는 제 1 흡음부와 상기 제 2 튜브에 결합되는 제 2 흡음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흡음부는 상기 제 1 튜브 내부를 진행하는 상기 제 1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고,
    상기 제 2 흡음부는 상기 제 2 튜브 내부를 진행하는 상기 제 2 음향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조방법.
  40. 제 39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제 1 흡음부와 상기 제 2 흠음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조방법.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음부는,
    상기 제 1 튜브로부터 분지되는 제 1 연결관 및
    상기 제 1 연결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헬름홀츠 공명의 유도를 위하여 내부가 밀폐되도록 형성된 제 1 공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조방법.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 판막이 상기 제 1 연결관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조방법.
  43.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흡음부는,
    상기 제 2 튜브로부터 분지되는 제 2 연결관 및
    상기 제 2 연결관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헬름홀츠 공명의 유도를 위하여 내부가 밀폐되도록 형성된 제 2 공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조방법.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2 판막이 상기 제 2 연결관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조방법.
  45.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의 타단과 상기 제 2 튜브의 타단은 순환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튜브 내부에서 진행된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튜브 내부에서 진행된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순환기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조방법.
  46. 제 45항에 있어서,
    헤드셋은 사용자에게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조방법.
  47.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어방법은,
    제 1 집음부가 환자의 제 1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1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1 음향신호를 수집하고, 제 2 집음부가 상기 제 1 진찰부위와 이격된 제 2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2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2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일단이 상기 제 1 집음부와 연결된 제 1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고, 일단이 상기 제 2 집음부와 연결된 제 2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단계; 및
    흡음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이 유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8.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어방법은,
    제 1 집음부가 환자의 제 1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1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1 음향신호를 수집하고, 제 2 집음부가 상기 제 1 진찰부위와 이격된 제 2 진찰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제 2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는 제 2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일단이 상기 제 1 집음부와 연결된 제 1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고, 일단이 상기 제 2 집음부와 연결된 제 2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단계; 및
    흡음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이 유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49.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조방법은,
    제 1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1 집음부에 제 1 튜브의 일단을 연결하고, 제 2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2 집음부에 제 2 튜브의 일단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을 유도하는 흡음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음향신호는 환자의 제 1 진찰부위에서 발생되고, 상기 제 2 음향신호는 상기 제 1 진찰부위와 이격된 제 2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며,
    상기 제 1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고, 상기 제 2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50.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의 제조방법은,
    제 1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1 집음부에 제 1 튜브의 일단을 연결하고, 제 2 음향신호를 수집하는 제 2 집음부에 제 2 튜브의 일단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음향신호 및 상기 제 2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헬름홀츠 공명을 유도하는 흡음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음향신호는 환자의 제 1 진찰부위에서 발생되고, 상기 제 2 음향신호는 상기 제 1 진찰부위와 이격된 제 2 진찰부위에서 발생되며,
    상기 제 1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1 음향신호가 진행하고, 상기 제 2 튜브의 내부로 상기 제 2 음향신호가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150061498A 2015-04-30 2015-04-30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그 제어방법 및 그 제조방법 KR101637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498A KR101637830B1 (ko) 2015-04-30 2015-04-30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그 제어방법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498A KR101637830B1 (ko) 2015-04-30 2015-04-30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그 제어방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830B1 true KR101637830B1 (ko) 2016-07-07

Family

ID=5650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498A KR101637830B1 (ko) 2015-04-30 2015-04-30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그 제어방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8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1648A (zh) * 2017-10-22 2018-03-20 河南善仁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人体生理声音的传感器
CN109217728A (zh) * 2018-09-14 2019-01-15 西南交通大学 一种噪声发电装置及自供电传感器
CN107811648B (zh) * 2017-10-22 2024-05-31 河南善仁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人体生理声音的传感器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89868A (en) * 1943-10-29 1945-11-27 Harry F. Olson Acoustic Stethoscope
US4997055A (en) * 1990-04-23 1991-03-05 Grady Daniel J Multiple channel stethoscope
US5548651A (en) 1994-03-28 1996-08-20 Long; Howard F. Stereophonic stethoscope
US5599261A (en) 1995-12-04 1997-02-04 Fitness Master, Inc. Exercise device with two-way articulation
KR20020095004A (ko) 2001-06-11 2002-12-20 정훈 자가진단형 디지털 청진기 및 그 방법과 통신망을 이용한원격 진단 방법
KR100404595B1 (ko) 2001-03-09 2003-11-03 정상진 전자청진기
US20040092846A1 (en) 2002-10-31 2004-05-13 Watrous Raymond L.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voice-guided protocol for an auscultatory diagnostic decision support system
KR100669531B1 (ko) 2004-07-15 2007-01-15 박기영 유에스비포트를 이용한 무선 디지털청진기
KR20070025266A (ko) 2005-09-01 2007-03-08 이병훈 디지털 청진기
JP2009095670A (ja) * 2007-10-16 2009-05-07 General Electric Co <Ge> 患者を含む対象に対する可聴検査と超音波検査を組み合わせ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00000466A (ko) * 2008-06-25 2010-01-06 김봉현 소아 진단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소아 진단 방법
KR20110034666A (ko) 2008-08-04 2011-04-0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용 관리 장치 및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용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89868A (en) * 1943-10-29 1945-11-27 Harry F. Olson Acoustic Stethoscope
US4997055A (en) * 1990-04-23 1991-03-05 Grady Daniel J Multiple channel stethoscope
US5548651A (en) 1994-03-28 1996-08-20 Long; Howard F. Stereophonic stethoscope
US5599261A (en) 1995-12-04 1997-02-04 Fitness Master, Inc. Exercise device with two-way articulation
KR100404595B1 (ko) 2001-03-09 2003-11-03 정상진 전자청진기
KR20020095004A (ko) 2001-06-11 2002-12-20 정훈 자가진단형 디지털 청진기 및 그 방법과 통신망을 이용한원격 진단 방법
US20040092846A1 (en) 2002-10-31 2004-05-13 Watrous Raymond L.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voice-guided protocol for an auscultatory diagnostic decision support system
KR100669531B1 (ko) 2004-07-15 2007-01-15 박기영 유에스비포트를 이용한 무선 디지털청진기
KR20070025266A (ko) 2005-09-01 2007-03-08 이병훈 디지털 청진기
JP2009095670A (ja) * 2007-10-16 2009-05-07 General Electric Co <Ge> 患者を含む対象に対する可聴検査と超音波検査を組み合わせ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00000466A (ko) * 2008-06-25 2010-01-06 김봉현 소아 진단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소아 진단 방법
KR20110034666A (ko) 2008-08-04 2011-04-0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용 관리 장치 및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용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1648A (zh) * 2017-10-22 2018-03-20 河南善仁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人体生理声音的传感器
CN107811648B (zh) * 2017-10-22 2024-05-31 河南善仁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人体生理声音的传感器
CN109217728A (zh) * 2018-09-14 2019-01-15 西南交通大学 一种噪声发电装置及自供电传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6041B2 (en) Adhesive patch having multiple acoustic sensors for monitoring acoustic signals
JP3957636B2 (ja) イヤーマイクロホンの装置および方法
US20120190303A1 (en) Cell-phone compatible wireless stethoscope
ES2748669T3 (es) Sistema de adquisición, comunicación y evaluación de datos de auscultación que incorpora instalaciones móviles
WO2015105641A1 (en) Mobile device-based stethoscope system
US11375976B2 (en) Wireless stethoscope for transmitting, recording, storing and diagnostic capabilities including an earpiece
KR20030065228A (ko) 청진음향신호를 표시하는 출력시스템
KR101407049B1 (ko) 소음신호가 중첩된 청진기의 검출신호로부터 생체신호를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01009A (ko) 휴대용 무선 디지털 전자 청진기를 이용한 휴대 단말 진단 시스템
KR101637830B1 (ko)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그 제어방법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82951A (ko) 환자 객담을 확인할 수 있는 환자 감시 장치
KR101697424B1 (ko)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와 연결되는 휴대단말 시스템, 그 제어방법 및 그 제조방법
KR101300676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청진기
Joshi et al. Bluetooth-based wireless digital stethoscope
KR20200002297U (ko) 청진기, 체온계 및 심전도 측정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장치
JPH0928702A (ja) 電子式聴診装置
KR20220102231A (ko) 심전도(ecg) 장치 결합 전자청진기
KR100779199B1 (ko) 다중 센서를 이용한 전자 청진 시스템
JP2819252B2 (ja) 双方向性胎児信号装置
US20200305833A1 (en) System for recording chest signals and method using said system
KR20010097170A (ko) 전자 청진기
WO2006101375A1 (en) Visual stethoscope
KR102483376B1 (ko)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
CN210472166U (zh) 基于筛查先天性心脏病的听诊器
KR20100094042A (ko) 탈부착식 청진부를 이용하는 무선 청진음 전송 전자 청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