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376B1 -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376B1
KR102483376B1 KR1020200091069A KR20200091069A KR102483376B1 KR 102483376 B1 KR102483376 B1 KR 102483376B1 KR 1020200091069 A KR1020200091069 A KR 1020200091069A KR 20200091069 A KR20200091069 A KR 20200091069A KR 102483376 B1 KR102483376 B1 KR 102483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thoscope
unit
receiver
sound
auscul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2034A (ko
Inventor
백민호
Original Assignee
(주)에어사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사운드 filed Critical (주)에어사운드
Priority to KR1020200091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376B1/ko
Priority to PCT/KR2020/017033 priority patent/WO2022019393A1/ko
Publication of KR20220012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using specific filters therefor, e.g. Kalman or adaptiv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26Stethoscopes comprising more than one sound coll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제안기술은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진이 원거리에서 환자의 청진음을 확인할 수 있는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Stethoscope unit and Wireless stethoscope system, and stethoscope sound outputting method using same}
제안기술은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진이 원거리에서 환자의 청진음을 확인할 수 있는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청진기는 진단의 수단으로서, 인간 또는 동물의 심장, 폐, 위장 등에서 나오는, 몸에서 나는(body-borne) 사운드를 증폭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청진기를 사용하여, 청취자는 정상적인 그리고 비정상적인 호흡기, 심장, 흉막, 동맥, 정맥, 자궁, 태아, 및 창자 사운드를 들을 수 있다.
대부분의 청진기는 다음의 부품: 이어팁(eartip), 이어튜브(eartube), 튜브, 헤드셋(headset), 스템(stem), 체스트 피스(chest piece), 다이어프램(diaphragm), 및 벨(bell)을 갖는다. 몸으로부터의 사운드는 벨 또는 다이어프램을 통해 수동적으로 증폭되어 공기 체적부(air volume)에 전송된다. 다이어프램 메커니즘은 대부분의 진단적 응용에 대해 선호된다.
이러한 구조의 청진기는 의료진이 환자의 몸에 청진기를 접촉시켜 헤드셋을 통해 수신된 청진음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이때, 의료진은 환자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염병에 감염된 환자의 청진음 확인 시 의료진이 전염병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1870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의료진이 원거리에서 환자의 청진음을 확인할 수 있는 무선 청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전염병 차단을 위해 의료진이 착용하는 방호복에 적용할 수 있는 수신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진 유닛에 있어서,
원형상의 홀에 의해 상하가 개방된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적층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단을 폐쇄시키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상측에 적층되는 음집부;
상기 음집부 상에 위치하는 마이크;
상기 음집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택트(tact) 스위치;
상기 음집부의 상측을 가로지르며, 하단 중앙부에 상기 마이크가 접촉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 하단에 연결되는 충전단자;
상기 인쇄회로시판의 상면에 적층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청진 시스템에 있어서,
인체에 접촉되어 청진음을 수집하고, 수집된 청진음을 전송하는 청진 유닛;
청진 유닛으로부터 청진음을 수신하고, 출력하는 수신기;를 포함하고,
청진 유닛과 수신기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수신기는 의료진의 의복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청진 시스템을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에 있어서,
청진 유닛과 수신기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된 전원이 온(on)되는 단계;
청진 유닛과 수신기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단계;
청진 유닛이 인체에 접촉되는 단계;
청진 유닛에 인체의 음파가 진동으로 감지되는 단계;
청진 유닛의 마이크에 진동이 수집되는 단계;
수집된 진동 중 일정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노이즈가 로우 패스 필터에서 제거되는 필터링 단계;
로우 패스 필터에서 필터링 된 진동이 안테나를 통해 상기 수신기로 전송되는 단계;
수신기에서 진동인 청진음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기에서 청진음이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진이 원거리에서 환자의 청진음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전염병에 감염된 환자 등의 진찰 시 전염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청진 시스템 중 청진 유닛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청진 시스템 중 수신기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진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진 유닛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진 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진 유닛의 하부케이스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청진 유닛의 음집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집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청진 유닛의 상부케이스 제거 시 상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청진 유닛의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 제거 시 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진이 원거리에서 환자의 청진음을 확인할 수 있는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청진 시스템 중 청진 유닛의 블록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청진 시스템 중 수신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무선 청진 시스템은 인체에 접촉되어 청진음을 수집하고 수집된 청진음을 전송하는 청진 유닛(2)과, 상기 청진 유닛(2)으로부터 청진음을 수신하고 출력하는 수신기(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진 유닛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진 유닛의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진 유닛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청진 유닛(2)은 원형상의 홀에 의해 상하가 개방된 하부케이스(4)와, 상기 하부케이스(4)의 상단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4)와 상기 상부케이스(40)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케이스(4)의 내부에 적층되어 상기 하부케이스(4)의 하단을 폐쇄시키며 상기 인체의 음파를 진동으로 감지하는 진동판(8)과, 상기 진동판(8)의 상측에 적층되는 음집부(12)와, 상기 진동판(8)의 진동을 수집하는 마이크(24)와, 상기 음집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청진 유닛(2)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택트(tact) 스위치(26)와, 상기 음집부의 상측을 가로지르며, 하단 중앙부에 상기 마이크(24)가 접촉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28)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 하단에 연결되는 충전단자(36)와, 상기 인쇄회로기판(28)의 상면에 적층되며, 상기 충전단자(36)를 통해 충전되는 배터리(38)가 구비된다.
도 6a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진 유닛의 하부케이스 상측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진 유닛의 하부케이스 하측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4)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원형 단면을 일측이 돌출된 달걀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4)의 외측면은 상하방향으로 곡선을 갖는 것으로, 상기 하부케이스(4)의 외경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한다. 즉,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4)의 하면과 상면을 관통하는 홀은 원형상인 것으로,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향하여 제1직경의 홀이 일정 깊이 연장되다가 상기 일정 깊이 부분부터는 상기 제1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직경의 홀이 일정 깊이 연장되어 상기 하부케이스(4)의 하면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하부케이스(4)에서 내측 하면과 상기 제1직경을 갖는 내경면의 내측 하단이 접하는 모서리에는 사각 단면을 갖는 일정 높이의 단차부(6)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4)의 내측 하면에는 상기 진동판(8)의 하면 둘레부가 맞닿아 적층되며, 상기 진동판(8)의 하면 중앙부는 상기 하부케이스(4)의 하면에 형성된 홀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4)의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상기 진동판의 상면 가장자리부에는 고무링(10)이 적층되며, 상기 고무링(10)은 압착 시 상기 단차부(6)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도 7a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진 유닛의 음집부 상측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진 유닛의 음집부 하측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집부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음집부(12)는 상기 마이크(24)로 수집되는 진동을 보다 음집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상의 지지부(14)와, 상기 지지부(14)의 상면에 적층되며, 상기 지지부(14)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중앙에는 일정 직경의 중앙홀(18)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부(16)와, 상기 중앙홀(18)의 둘레부로부터 일정 높이 연장되며,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중앙홀(18) 및 상기 지지부(14)와 동축인 일정 직경의 삽입홀(22)이 형성되는 돌출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부(16)의 하면 중 상기 지지부(14)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플레이트부(16)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14)의 내경부와 맞닿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돌출부(20)를 향하여 상방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24)는 상기 삽입홀(22)에 끼워맞춤되며 이때, 상기 삽입홀(22)의 상단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다.
상기 택트 스위치(26)는 상기 플레이트부(16)의 일측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음집부(12)는 상기 지지부(14)의 하면이 상기 고무링(10) 및 상기 단차부(6)의 상면에 맞닿아 적층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14)의 외경면은 상기 하부케이스(4)에서 상기 제1직경을 갖는 내경면에 맞닿으며, 상기 플레이트부(16)에서 상기 지지부(14)의 외측 하면은 상기 하부케이스(4)의 상면에 맞닿게 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진 유닛의 상부케이스 제거 시 상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진 유닛의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 제거 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8)은 상기 청진 유닛 및 수신기(48)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MCU)(30)과, 상기 마이크(24)에서 수집된 진동 중 일정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32)와, 상기 로우 패스 필터(32)에서 필터링 된 상기 진동을 상기 수신기(48)로 전송하는 안테나(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택트 스위치(26)와 연결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청진음을 수신하는 수신기(48)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칩(bluetooth chi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8)의 일측 하단에 연결되는 충전단자(36)는 상기 플레이트부(16)의 외경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부케이스(40)의 둘레부 일측에는 상기 충전단자(36)와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충전단자(36)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충전단자홀(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40)의 둘레부 중 상기 충전단자홀(42)이 형성되지 않는 일측에는 일정 크기의 전원버튼홀(44)이 형성된다.
상기 전원버튼홀(44)에는 상기 택트 스위치(26)를 상기 상부케이스(40)의 외부에서 온/오프(on/off)시키기 위한 전원버튼케이스(46)가 끼워맞춤된다.
하기에서는 상기 청진 유닛(2)을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무선 청진 시스템은 상기 청진 유닛(2)과, 상기 청진 유닛(2)으로부터 전송된 청진음을 수신하고 출력하는 수신기(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신기(48)는 상기 청진 유닛(2)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청진음을 수신하는 수신부(50)와 상기 청진음을 출력하는 출력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신부(50)와 상기 출력부(52)가 하나의 케이스에 구성되는 경우, 상기 출력부(52)는 스피커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케이스는 상기 청진음을 확인하는 의료진의 의복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의복은 전염병을 차단하기 위한 방호복 일 수 있다.
상기 의료진은 상기 청진음을 보다 정확하게 듣기 위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이어폰 연결부에 유선 이어폰을 꽂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무선 이어폰을 상기 케이스 내의 상기 수신기(48)와 연결하여 상기 청진음을 들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신기(48)는 무선 이어폰일 수 있다. 상기 수신부(50)와 상기 출력부(52)가 상기 무선 이어폰 내에 구성되어 보다 간편하게 환자의 청진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청진 유닛(2)과 상기 수신기(48)는 상기 블루투스 칩(30) 및 상기 안테나(34)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외에도 상기 청진 유닛(2)과 상기 수신기(48)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상기 청진음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이라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상기 청진 유닛(2)과 상기 수신기(48)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 스위치가 구성되는 것으로, 하나의 상기 전원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청진 유닛(2)과 상기 수신기(48) 모두를 온/오프(on/off)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청진 유닛(2)에 상기 택트 스위치(26)가 구성된다.
즉,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on)이 되면, 상기 청진 유닛(2)과 상기 수신기(48)는 모두 온(on)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off)가 되면, 상기 청진 유닛(2)과 상기 수신기(48)는 모두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청진 유닛(2)과 상기 수신기(48)는 충전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유선 충전 또는 무선 충전을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진 유닛(2)과 상기 수신기(48) 각각에는 상기 청진 유닛(2)과 상기 수신기(48)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등이 구성된다.
상기 수신기(48)에는 상기 청진음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조절버튼, 상기 청진음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감도조절버튼 등이 구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무선 청진 시스템을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청진음 출력 방법은,
상기 청진 유닛(2)과 상기 수신기(48)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된 전원 스위치가 온(on)되는 단계;
상기 청진 유닛(2)과 상기 수신기(48)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단계;
상기 청진 유닛(2)이 인체에 접촉되는 단계;
상기 청진 유닛(2)의 상기 진동판(8)에 상기 인체의 음파가 진동으로 감지되는 단계;
상기 청진 유닛(2)의 마이크(24)에 상기 진동이 수집되는 단계;
상기 청진 유닛(2)의 수집된 상기 진동 중 일정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노이즈가 로우 패스 필터(32)에서 제거되는 필터링 단계;
수집된 상기 진동 중 일정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노이즈가 로우 패스 필터(32)에서 제거되는 필터링 단계;
상기 수신기(48)에서 상기 진동인 청진음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48)에서 상기 청진음이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먼저, 환자 또는 의료진이 상기 청진 유닛(2) 또는 상기 수신기(48)에 구성된 상기 전원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키면, 상기 청진 유닛(2)과 상기 수신기(48)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이때, 상기 청진 유닛(2)과 상기 수신기(48)의 연결은 상기 상태 표시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환자의 청진음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청진 유닛(2)을 상기 환자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청진 유닛(2)은 상기 환자에 의해 상기 환자의 인체에 접촉된다.
즉, 상기 청진 유닛(2)과 인체의 접촉은 상기 청진음이 수집되어야 하는 상기 인체의 당사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청진 유닛(2)이 상기 환자에 접촉되면, 상기 진동판(8)에서는 상기 인체의 음파를 진동으로 감지하게 되고, 상기 진동은 상기 마이크(24)에 수집된다.
상기 진동은 상기 로우 패스 필터(32)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일정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노이즈가 제거된다.
상기 로우 패스 필터(32)에서 필터링 된 상기 진동은 상기 안테나(34)를 통해 상기 수신기(48)로 전송된다.
상기 수신기(48)의 수신부(50)에서는 상기 진동인 청진음을 수신하고, 상기 출력부(52)를 통해 상기 청진음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수신부(50)에서 수신된 상기 청진음은 실시간으로 해당 환자의 서버에 저장되어 추후 언제든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진이 상기 청진 유닛(2) 및 상기 수신기(48)와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하여 상기 청진 유닛(2)으로부터 상기 수신기(48)로 전송된 상기 청진음을 실시간으로 들을 수 없는 상황일 때에도 상기 서버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상기 청진음을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서버에 연결할 수 있는 장소라면 어디에서도 상기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청진음에 대해서 별도의 패턴 인식에 특화된 신경망 알고리즘을 통해 추가적인 기계 학습(learning)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학습을 통해, 상기 서버에서는 청진음에 따른 환자의 상태 추정을 1차적으로 수행하고, 후술하는 것과 같이 의료진의 정밀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예를 들어 천식 등의 질병이 의심된다고 기계 학습이 추정하는 경우)에만 의료진에게 추가적인 정성 분석 등을 요청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상기 신경망 알고리즘은 특정한 질병별로 고유한 청진음의 패턴이 형성된다고 가정하고, 이 때의 청진음 패턴을 트레이닝시켜, 이후 입력되는 청진음과 해당 패턴과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상기 신경망 알고리즘에서 유사하다고 판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패턴의 유사성과 관련된 상기 신경망 알고리즘으로는 SVM(Supported Vector Machine),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청진음의 신경망 학습을 위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을 추가적으로 수행하고, SVM을 수행하는 것이 패턴의 정확도 등에서 좀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무선 청진 시스템은 일정 거리 이상의 원거리에서도 의료진이 환자의 청진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전염병 환자의 청진음 확인 시 의료진이 전염병에 노출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48)를 의료진이 착용한 방호복에 일체로 적용하여 환자의 청진음을 보다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 청진 유닛
4 : 하부케이스
6 : 단차부
8 : 진동판
10 : 고무링
12 : 음집부
14 : 지지부
16 : 플레이트부
18 : 중앙홀
20 : 돌출부
22 : 삽입홀
24 : 마이크
26 : 택트 스위치
28 :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30 :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32 :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
34 : 안테나
36 : 충전단자
38 : 배터리
40 : 상부케이스
42 : 충전단자홀
44 : 전원버튼홀
46 : 전원버튼케이스
48 : 수신기
50 : 수신부
52 : 출력부

Claims (23)

  1. 인체에 접촉되어 청진음을 수집하기 위한 청진 유닛에 있어서,
    원형상의 홀에 의해 상하가 개방된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적층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단을 폐쇄시키며, 상기 인체의 음파를 진동으로 감지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상측에 적층되는 음집부;
    상기 진동판의 진동을 수집하는 마이크;
    상기 음집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택트(tact) 스위치;
    상기 음집부의 상측을 가로지르며, 하단 중앙부에 상기 마이크가 접촉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 하단에 연결되는 충전단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적층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음집부는,
    원통형상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적층되며, 상기 지지부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중앙에는 일정 직경의 중앙홀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중앙홀의 둘레부로부터 일정 높이 연장되며,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중앙홀 및 상기 지지부와 동축인 일정 직경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경면과 내측 하면이 접하는 모서리에는 사각 단면을 갖는 일정 높이의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외경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 하면에는 상기 진동판의 하면 둘레부가 맞닿아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의 상면 둘레부에는 고무링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 유닛.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삽입홀에 끼워맞춤되며, 상기 삽입홀의 상단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택트 스위치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 상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 유닛.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면이 상기 고무링 및 상기 단차부의 상면에 맞닿아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경면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경면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면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면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 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청진 유닛 및 수신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MCU);
    상기 마이크에서 수집된 진동 중 일정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로우 패스 필터;
    상기 로우 패스 필터에서 필터링 된 상기 진동을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 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자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외경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둘레부 일측에는 상기 충전단자와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충전단자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충전단자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 유닛.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둘레부 일측에는 일정 크기의 전원버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 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버튼홀에는 상기 택트 스위치를 온/오프(on/off)시키기 위한 전원버튼케이스가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 유닛.
  17. 인체에 접촉되어 청진음을 수집하고, 수집된 청진음을 전송하는 청진 유닛;
    상기 청진 유닛으로부터 청진음을 수신하고, 출력하는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청진 유닛과 상기 수신기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상기 수신기는 의료진의 의복에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청진 유닛은,
    원형상의 홀에 의해 상하가 개방된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적층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단을 폐쇄시키며, 상기 인체의 음파를 진동으로 감지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상측에 적층되는 음집부;
    상기 진동판의 진동을 수집하는 마이크;
    상기 음집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택트(tact) 스위치;
    상기 음집부의 상측을 가로지르며, 하단 중앙부에 상기 마이크가 접촉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 하단에 연결되는 충전단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적층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음집부는,
    원통형상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적층되며, 상기 지지부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중앙에는 일정 직경의 중앙홀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중앙홀의 둘레부로부터 일정 높이 연장되며,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중앙홀 및 상기 지지부와 동축인 일정 직경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청진음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청진음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청진 유닛과 상기 수신기 각각에는 상기 청진 유닛과 상기 수신기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등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에 수신된 상기 청진음은 실시간으로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무선 청진 시스템을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에 있어서,
    청진 유닛과 수신기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된 전원이 온(on)되는 단계;
    상기 청진 유닛과 상기 수신기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단계;
    상기 청진 유닛이 인체에 접촉되는 단계;
    상기 청진 유닛에 상기 인체의 음파가 진동으로 감지되는 단계;
    상기 청진 유닛의 마이크에 상기 진동이 수집되는 단계;
    수집된 상기 진동 중 일정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노이즈가 로우 패스 필터에서 제거되는 필터링 단계;
    상기 로우 패스 필터에서 필터링 된 상기 진동이 안테나를 통해 상기 수신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수신기에서 상기 진동인 청진음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에서 상기 청진음이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을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
  22. 삭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에서 상기 진동인 청진음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청진음은 실시간으로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을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

KR1020200091069A 2020-07-22 2020-07-22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 KR102483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069A KR102483376B1 (ko) 2020-07-22 2020-07-22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
PCT/KR2020/017033 WO2022019393A1 (ko) 2020-07-22 2020-11-27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069A KR102483376B1 (ko) 2020-07-22 2020-07-22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034A KR20220012034A (ko) 2022-02-03
KR102483376B1 true KR102483376B1 (ko) 2022-12-30

Family

ID=7972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069A KR102483376B1 (ko) 2020-07-22 2020-07-22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3376B1 (ko)
WO (1) WO202201939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829B1 (ko) * 2016-05-13 2017-02-02 (주)아이티제이 커넥터부가 마련된 청진 장치
KR101957110B1 (ko) * 2018-10-25 2019-03-11 김종수 무선 청진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702A (ko) 2001-08-31 2003-03-06 김동준 피디에이를 이용한 전자 청진 시스템
PL2559383T3 (pl) * 2010-04-16 2020-04-30 Wuxi Kaishun Medical Device Manufacturing Co., Ltd. Głowica stetoskopu o regulowanej częstotliwości audio
KR101550676B1 (ko) * 2014-01-06 2015-09-08 (주)피지오랩 패치형 무선청진시스템
KR20160030650A (ko) * 2014-09-11 2016-03-2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829B1 (ko) * 2016-05-13 2017-02-02 (주)아이티제이 커넥터부가 마련된 청진 장치
KR101957110B1 (ko) * 2018-10-25 2019-03-11 김종수 무선 청진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9393A1 (ko) 2022-01-27
KR20220012034A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3131469T3 (en) Broadband auscultation device
Lee et al. Advances in microsensors and wearable bioelectronics for digital stethoscopes in health monitoring and disease diagnosis
CN104138275A (zh) 电子蓝牙听诊器
JP2005520605A (ja) 生態組織上の単一の共通の部位からの電気信号及び関連する音声信号を検出し送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210282739A1 (en) Stethoscope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physical examination of a patient
KR101407049B1 (ko) 소음신호가 중첩된 청진기의 검출신호로부터 생체신호를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
CN106419953A (zh) 一种基于双频采集及振动还原的无线听诊系统
US20030208130A1 (en) Chest piece for stethoscopes, and methods of utilizing stethoscopes for monitoring the physiological conditions of a patient
KR102483376B1 (ko) 청진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청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청진음 출력 방법
CN203988121U (zh) 电子蓝牙听诊器
KR101637830B1 (ko)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 그 제어방법 및 그 제조방법
CN113520450B (zh) 一种无线听诊器
KR20220102231A (ko) 심전도(ecg) 장치 결합 전자청진기
JP3222551U (ja) 聴診器
CN106073817A (zh) 一种基于无线网络便于携带的智能听诊器
JPH0928702A (ja) 電子式聴診装置
KR101697424B1 (ko) 헬름홀츠 공명을 이용한 청진기와 연결되는 휴대단말 시스템, 그 제어방법 및 그 제조방법
CN208659397U (zh) 心肺音采集装置
KR200388387Y1 (ko) 청진기용 집음 헤드
KR101372383B1 (ko) 청음기
KR100779199B1 (ko) 다중 센서를 이용한 전자 청진 시스템
KR200325515Y1 (ko) 스피커 내장형 무선청진기
CN213046975U (zh) 一种听诊器
CN212729836U (zh) 一种无线听诊器
CN212382637U (zh) 低噪电子听诊器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