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355B1 -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 및 젠더 일체형 이어셋 - Google Patents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 및 젠더 일체형 이어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355B1
KR101604355B1 KR1020140083564A KR20140083564A KR101604355B1 KR 101604355 B1 KR101604355 B1 KR 101604355B1 KR 1020140083564 A KR1020140083564 A KR 1020140083564A KR 20140083564 A KR20140083564 A KR 20140083564A KR 101604355 B1 KR101604355 B1 KR 101604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arphone
plug
jack
stetho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225A (ko
Inventor
조정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그테크
Priority to KR1020140083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35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스마트폰 등의 휴대통신단말기에 연결하여 이어셋 또는 청진기 세트를 연결하여 통화를 하거나 환자의 심박음을 휴대통신단말기에 저장하거나 휴대통신단말기를 통해 원격지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젠더는, 마이크 단자와 음향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단말기의 이어폰잭에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플러그;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마이크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청진기 세트를 연결하기 위한 청진기 잭;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각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잭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젠더를 이어셋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젠더 일체형 이어셋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 및 젠더 일체형 이어셋 {Gender changer and earset for detachable stethoscope}
본 발명은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 및 이어셋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통신단말기에 연결하여 이어셋 또는 청진기 세트를 연결하여 통화를 하거나 환자의 심박음을 휴대통신단말기에 저장하거나 휴대통신단말기를 통해 원격지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 및 젠더 일체형 이어셋에 관한 것이다.
원격진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의 휴대통신단말기를 원격진료에 활용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원격진료를 위해서는 환자의 심음(심장박동음)을 원격지의 의사에게 전송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휴대통신단말기에 청진기를 연결하여 청진기에서 취득한 심음 신호를 휴대통신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2448호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 청진기 장치를 연결하여 청진기 장치를 전화통화를 위한 이어폰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심음/심전도 측정 장치로 사용하는 발명을 제안하고 있다. 이 발명에서 청진기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에서 이어폰 모드를 선택하면 이어폰 모듈이 동작하고, 심음/심전도 측정 모드를 선택하면 심음/심전도 측정 모듈이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발명에서는 청진기 장치를 이어폰 모드로 사용하거나 청진기 모드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청진기 기능을 위한 부품으로 인하여 무게가 무거우므로이어폰 모드로 사용할 때는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어셋 또는 청진기 세트를 휴대통신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젠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젠더와 이어셋이 일체화된 이어셋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젠더는, 마이크 단자와 음향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단말기의 이어폰잭에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플러그;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마이크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청진기 세트를 연결하기 위한 청진기 잭;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각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잭을 구비한다. 또한, 이어폰 플러그의 음향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한 스피커 잭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 플러그, 청진기 잭, 이어폰 잭 및 스피커 잭은 젠더가 전체적으로 십자 형태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젠더는, 마이크 단자와 음향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단말기의 이어폰잭에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플러그; 상기 이어폰 플러그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마이크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청진기 커넥터와,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각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잭을 구비하는 콘트롤 박스를 구비한다. 콘트롤 박스는 상기 청진기 커넥터에 청진기 세트를 연결하기 위한 청진기 플러그가 삽입되면 상기 이어폰 플러그에서 상기 이어셋 마이크로의 전기적 접속을 끊기 위한 스위치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젠더를 이어셋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젠더 일체형 이어셋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젠더를 휴대통신단말기에 꽂고 필요에 따라 이어셋, 청진기 세트, 스피커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젠더와 이어셋이 일체화된 젠더 일체형 이어셋을 사용하면 평상시에는 이어셋처럼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청진기 세트 및/또는 스피커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어셋에 청진기 세트를 연결하였을 때에 이어셋의 마이크로폰에서 휴대통신단말기로의 신호 연결이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이어셋을 청진기로 사용할 때에 이어셋의 마이크로폰으로 들어오는 소리에 의해 청진기를 통해 들어오는 심음 신호가 간섭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의 외형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의 사용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 내부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젠더와 이어셋이 일체화된 젠더 일체형 이어셋을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의 외형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콘트롤 박스 내의 전기적인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a)는 청진기 플러그와 스피커 플러그가 청진기 커넥터와 스피커 커넥터에 삽입되지 않았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며, (b)는 청진기 플러그와 스피커 플러그가 청진기 커넥터와 스피커 커넥터에 각각 삽입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7은 청진기 커넥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a)는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 (b)는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 제1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의 외형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젠더(100)는 휴대통신단말기의 이어폰잭에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플러그(110)와, 청진기 세트를 연결하기 위한 청진기 잭(120)과, 이어폰 또는 이어셋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잭(140)을 구비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한 스피커 잭(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이어폰 플러그(110), 청진기 잭(120), 이어폰 잭(140) 및 스피커 잭(130)은 젠더(100)의 형태가 전체적으로 십자 형태를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스피커 잭(130)을 구비하지 않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젠더(100)의 형태가 전체적으로 'ㅏ'자 형태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이어폰 플러그(110)는 이어폰 잭(14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청진기 잭(120)과 이어폰 잭(140)이 이루는 각도를 90도가 아닌 예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제1 실시예의 젠더(100)의 이어폰 플러그(110)를 휴대통신단말기(10)(이하, '단말기'라 함)에 연결하고, 청진기 잭(120)에 청진기 세트(20)를, 스피커 잭(130)에 스피커(30)를, 이어폰 잭(140)에 이어셋(40)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이어폰 플러그(110)는 마이크 단자(M)와 음향출력 단자(R, L) 및 접지단자(G)를 포함하며, 청진기 잭(120)은 이어폰 플러그(110)의 마이크 단자(M)와 접지단자(G)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어폰 잭(140)은 이어폰 플러그(110)의 각 단자(R, L, M, G)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피커 잭(130)은 이어폰 플러그(110)의 음향출력단자(R 및/또는 L) 및 접지단자(G)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어폰 잭(140)에 이어셋(40)을 연결하면 단말기(10)의 이어폰 잭에 이어셋(40)을 바로 연결한 것과 동일하게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이어셋(40)이 이어폰 잭(140)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청진기 세트(20)를 청진기 잭(120)에 연결하면 청진기 세트(20)를 통해 입력되는 환자의 심음 신호가 단말기(10)의 이어폰 잭을 통해 단말기(10)로 전달된다. 다만, 이어셋(40)을 통해 주변 잡음이 같이 단말기(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청진기 세트(20)를 청진기 잭(12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동안에는 이어셋(40)을 이어폰 잭(140)에 연결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청진기 세트(20)를 청진기 잭(12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동안에 단말기(10)로입력되는 심음 신호를 단말기(10)에서 증폭하여 음향출력단자로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스피커(30)가 스피커 잭(130)에 연결되어 있으면 스피커(30)를 통해 환자의 심음을 들을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해진다. 또한, 이어폰 또는 이어셋(40)을 이어폰 잭(140)에 연결하여 음악을 듣거나 통화를 하는 경우에도 스피커(30)를 스피커 잭(130)에 연결하면 주변에 있는 사람들도 음악이나 전화통화를 들을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의 젠더(100)를 이어셋과 일체화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도 1의 젠더(100)의 이어폰 잭(140) 대신에 이어셋을 젠더에 일체화한 젠더 일체형 이어셋(200)을 구성할 수 있다. 젠더 일체형 이어셋(200)은 단말기의 이어폰잭에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플러그(210)와, 청진기 세트를 연결하기 위한 청진기 잭(220)과,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한 스피커 잭(230)과, 도 1의 이어폰 잭(140) 자리에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마이크(242)와 좌우 이어폰(243, 244)를 구비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젠더 일체형 이어셋(200)의 젠더부의 형상은 십자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스피커 잭이 없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ㅏ'자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청진기 잭(120)과 이어폰 잭(140)이 이루는 각도를 90도가 아닌 예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 제2 실시예 >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의 외형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 실시예의 젠더(300)는, 단말기의 이어폰잭에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플러그(310)와 콘트롤 박스(320)를 구비한다. 콘트롤 박스(320)는 이어폰 플러그(3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청진기 세트(20)를 연결하기 위한 청진기 커넥터(321) 및 이어폰 또는 이어셋(40)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잭(323)을 포함한다. 또한, 콘트롤 박스(320)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한 스피커 커넥터(3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청진기 커넥터(321)와 스피커 커넥터(322)는 콘트롤 박스(320)의 동일한 면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들을 서로 다른 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경우에도, 이어폰 플러그(310)는 이어폰 잭(323)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에서 이어폰 플러그(310), 청진기 커넥터(321), 스피커 커넥터(322) 및 이어폰 잭(323)의 전기적인 연결은 도 3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청진기 커넥터(321)에 청진기 세트(20)가 연결되면 이어폰 잭(323)으로의 전기적인 연결이 끊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콘트롤 박스 내의 전기적인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a)는 청진기 플러그와 스피커 플러그가 청진기 커넥터와 스피커 커넥터에 삽입되지 않았을 때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며, (b)는 청진기 플러그와 스피커 플러그가 청진기 커넥터와 스피커 커넥터에 각각 삽입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준다.
도 6의 (a)는 제2 실시예의 젠더(300)에 이어셋을 연결하여 사용할 때의 내부 회로 연결을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이어폰 플러그(310)의 음향출력단자(R, L) 및 마이크 단자(M)는 이어폰 잭(323)의 대응되는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6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접지 단자는 생략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청진기 플러그(21)와 스피커 플러그(31)가 청진기 커넥터(321)와 스피커 커넥터(322)에 각각 삽입되면, 도 6의 (b)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이어폰 플러그(310)의 음향출력단자(R, L) 중의 어느 하나는 스피커 커넥터(3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어폰 잭(323)의 음향출력단자(R', L') 중의 어느 하나로의 전기적 연결은 끊어진다. 또한, 이어폰 플러그(310)의 마이크 단자(M)는 청진기 플러그(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어폰 잭(323)의 마이크 단자(M')로의 전기적 연결은 끊어진다.
따라서, 청진기 플러그(21)가 콘트롤 박스(320)에 연결되면 이어폰 잭(323)의 마이크 단자(M')와 이어폰 플러그(310)의 마이크 단자(M)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면서, 단말기(10)로는 청진기 세트(20)에서 입력되는 환자의 심박음 신호만이 입력되게 된다.
한편, 도 6에서는 스피커 플러그(31)가 콘크롤 박스(320)에 연결되는 경우에 어느 한쪽의 음향출력단자(R', L')로의 연결만이 끊어지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양 음향출력단자(R', L')로의 연결이 모두 끊어지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어느 쪽도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청진기 플러그(21)가 콘트롤 박스(320)의 청진기 커넥터(321)에 삽입되었을 때 이어폰 잭(323)의 마이크 단자(M')와 이어폰 플러그(310)의 마이크 단자(M)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도록 하는 구성의 일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a)는 청진기 커넥터(321)의 단면도이다. 도 7에서 청진기 커넥터는 잭(jack)의 형태로 형성된다. 도 7의 청진기 커넥터(321)에는 내부에 3개의 단자가 있으며, 잭의 입구에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한 제1단자(321a)는 이어폰 플러그(310)의 접지 단자(G)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단자(321a)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제2단자(321b)는 이어폰 플러그(310)의 마이크 단자(M)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2단자(321b)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제3단자(321c)는 이어폰 잭(323)의 마이크 단자(M')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3단자(321c)는 함몰되어 위치하여 청진기 플러그(21)가 삽입되었을 때 청진기 플러그(21)에 접촉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청진기 커넥터(321)의 내부에는 스위치 수단(321d)이 구비된다. 스위치 수단(321d)은 일단은 제2단자(321b)에 연결되고 타단은 탄성을 가지고 돌출되어 제3단자(321c)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청진기 플러그(21)가 청진기 커넥터(321)에 삽입되면 청진기 플러그(21)의 팁(tip) 부분이 스위치 수단(321d)을 밀면서 들어가게 되어, 청진기 플러그(21)가 청진기 커넥터(321) 내에 끝까지 삽입되면 도 7의 (b)에 도시한 것처럼 스위치 수단(321d)의 타단과 제3단자(321c)와의 접촉이 끊어지게 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청진기 플러그(21)의 마이크 단자(21b)는 제2단자(321b)에 접촉하고 청진기 플러그(21)의 접지 단자(21a)는 제1단자(321a)에 접촉하게 되므로, 청진기 세트(20)에서 획득한 환자의 심박음 신호가 제2단자(321b)를 통해 이어폰 플러그(310)의 마이크 단자(M)로 입력되게 된다.
도 7의 구성은 스피커 커넥터(32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이어폰 플러그(310)의 음향출력단자가 우측음향단자(R)와 좌측음향단자(L)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 경우에 스피커 커넥터(322)의 제3단자는 우측음향단자(R)와 좌측음향단자(L) 중의 하나에 연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어폰 플러그(310)가 스테레오가 아닌 모노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커넥터(322)가 스테레오 음향용 커넥터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제2 실시예의 젠더(300)도 제1 실시예의 젠더(100)와 마찬가지로 이어셋과 일체화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젠더 일체형 이어셋(200)과 젠더부만 도 5의 젠더로 교체하면 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 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단말기.
20 청진기 세트,
30 스피커,
100 젠더,
110 이어폰 플러그,
120 청진기 잭,
130 스피커 잭,
140 이어폰 잭,
200 젠더 일체형 이어셋,
300 젠더,
310 이어폰 플러그,
320 콘트롤 박스.

Claims (20)

  1. 마이크 단자와 음향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단말기의 이어폰잭에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플러그;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마이크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청진기 세트를 연결하기 위한 청진기 잭;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각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잭;
    을 구비하는 젠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음향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한 스피커 잭를 더 포함하는 젠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플러그, 상기 청진기 잭, 상기 이어폰 잭 및 상기 스피커 잭은 상기 젠더가 전체적으로 십자 형태를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플러그는 상기 이어폰 잭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5. 마이크 단자와 음향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단말기의 이어폰잭에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플러그;
    상기 이어폰 플러그와 직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마이크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청진기 세트를 연결하기 위한 청진기 잭;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반대편에 전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음향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마이크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크;
    을 구비하는 이어셋.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청진기 잭의 반대편에 위치하면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음향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한 스피커 잭를 더 포함하는 이어셋.
  7. 마이크 단자와 음향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단말기의 이어폰잭에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플러그;
    상기 이어폰 플러그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마이크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청진기 커넥터와,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각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잭을 구비하는 콘트롤 박스;
    를 구비하는 젠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박스는 상기 청진기 커넥터에 청진기 세트를 연결하기 위한 청진기 플러그가 삽입되면 상기 이어폰 플러그에서 상기 이어폰 잭으로의 전기적 접속을 끊기 위한 스위치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젠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청진기 커넥터는 잭(jack)의 형태로 형성되며, 잭의 입구에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하고 이어폰 플러그의 접지 단자에 연결된 제1단자와, 상기 제1단자보다 안쪽에 위치하며 이어폰 플러그의 마이크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단자와, 이어폰 잭의 마이크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보다 상대적으로 안쪽으로 함몰되어 위치하여 청진기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청진기 플러그에 접촉되지 않는 제3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수단은 일단은 상기 제2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탄성을 가지고 돌출되어 상기 제3단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청진기 플러그가 상기 청진기 커넥터에 삽입되면 상기 청진기 플러그에 의해 상기 스위치 수단의 타단과 상기 제3단자와의 접촉이 끊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박스는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음향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한 스피커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젠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박스는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한 스피커 플러그가 상기 스피커 커넥터에 삽입되면 상기 콘트롤 박스에서 상기 이어폰 잭으로의 전기적 접속을 끊기 위한 스위치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젠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커넥터는 잭(jack)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스피커 커넥터는, 스피커 커넥터의 입구에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하고 이어폰 플러그의 접지 단자에 연결된 제1단자와, 상기 제1단자보다 안쪽에 위치하며 이어폰 플러그의 음향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단자와, 이어폰 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보다 상대적으로 안쪽으로 함몰되어 위치하여 스피커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스피커 플러그에 접촉되지 않는 제3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수단은 일단은 상기 제2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탄성을 가지고 돌출되어 상기 제3단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피커 플러그가 상기 스피커 커넥터에 삽입되면 상기 스피커 플러그에 의해 상기 스위치 수단의 타단과 상기 제3단자와의 접촉이 끊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음향출력단자는 우측음향단자와 좌측음향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3단자는 상기 우측음향단자와 좌측음향단자 중의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이어폰은 각각 상기 우측음향단자와 상기 좌측음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우측 이어폰과 좌측 이어폰을 포함하며,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우측 이어폰과 좌측 이어폰 중의 하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14. 단말기의 이어폰잭에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플러그;
    상기 이어폰 플러그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마이크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청진기 커넥터를 구비하는 콘트롤 박스;
    상기 콘트롤 박스에서 연장되는 전선에 연결되어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음향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마이크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어셋 마이크;
    를 구비하는 이어셋.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박스는 상기 청진기 커넥터에 청진기 세트를 연결하기 위한 청진기 플러그가 삽입되면 상기 이어폰 플러그에서 상기 이어셋 마이크로의 전기적 접속을 끊기 위한 스위치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어셋.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청진기 커넥터는 잭(jack)의 형태로 형성되며, 잭의 입구에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하고 이어폰 플러그의 접지 단자에 연결된 제1단자와, 상기 제1단자보다 안쪽에 위치하며 이어폰 플러그의 마이크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단자와, 이어셋 마이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보다 상대적으로 안쪽으로 함몰되어 위치하여 청진기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청진기 플러그에 접촉되지 않는 제3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수단은 일단은 상기 제2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탄성을 가지고 돌출되어 상기 제3단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청진기 플러그가 상기 청진기 커넥터에 삽입되면 상기 청진기 플러그에 의해 상기 스위치 수단의 타단과 상기 제3단자와의 접촉이 끊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박스는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음향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한 스피커 잭을 더 포함하는 이어셋.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박스는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한 스피커 플러그가 상기 스피커 잭에 삽입되면 상기 콘트롤 박스에서 상기 이어폰으로의 전기적 접속을 끊기 위한 스위치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어셋.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잭은, 스피커 잭의 입구에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하고 이어폰 플러그의 접지 단자에 연결된 제1단자와, 상기 제1단자보다 안쪽에 위치하며 이어폰 플러그의 음향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단자와, 이어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단자 및 제2단자보다 상대적으로 안쪽으로 함몰되어 위치하여 스피커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스피커 플러그에 접촉되지 않는 제3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 수단은 일단은 상기 제2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탄성을 가지고 돌출되어 상기 제3단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피커 플러그가 상기 스피커 잭에 삽입되면 상기 스피커 플러그에 의해 상기 스위치 수단의 타단과 상기 제3단자와의 접촉이 끊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플러그의 음향출력단자는 우측음향단자와 좌측음향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3단자는 상기 우측음향단자와 좌측음향단자 중의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이어폰은 각각 상기 우측음향단자와 상기 좌측음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우측 이어폰과 좌측 이어폰을 포함하며,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우측 이어폰과 좌측 이어폰 중의 하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KR1020140083564A 2014-07-04 2014-07-04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 및 젠더 일체형 이어셋 KR101604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564A KR101604355B1 (ko) 2014-07-04 2014-07-04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 및 젠더 일체형 이어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564A KR101604355B1 (ko) 2014-07-04 2014-07-04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 및 젠더 일체형 이어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225A KR20160005225A (ko) 2016-01-14
KR101604355B1 true KR101604355B1 (ko) 2016-03-28

Family

ID=5517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564A KR101604355B1 (ko) 2014-07-04 2014-07-04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 및 젠더 일체형 이어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829B1 (ko) * 2016-05-13 2017-02-02 (주)아이티제이 커넥터부가 마련된 청진 장치
KR101701826B1 (ko) * 2016-05-13 2017-02-02 (주)아이티제이 스피커가 마련된 청진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469Y1 (ko) 1999-12-02 2000-05-15 심재선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청진기
KR200429062Y1 (ko) 2006-07-25 2006-10-17 최수영 이어폰 어뎁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1311U (ja) * 1991-12-13 1993-07-09 誠人 小林 聴診器
KR20020042980A (ko) * 2000-12-01 2002-06-08 김기원 컴퓨터용 멀티어댑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469Y1 (ko) 1999-12-02 2000-05-15 심재선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청진기
KR200429062Y1 (ko) 2006-07-25 2006-10-17 최수영 이어폰 어뎁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225A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7037B2 (en) Wireless earphone
US20170295421A1 (en) Wireless earphone set
CN102547512B (zh) 用于语音通信的头戴式耳机
US20160037248A1 (en) Wireless headset having ear hook
SE542485C2 (en) Charging and storage of wireless earbuds
US20200029149A1 (en) In ear stereo headphones with integrated charging means
US10911859B2 (en) Audio streaming charging case
US20180109864A1 (en) Bluetooth Headphone With Charging and Analog Pass Through Connector
CN108260063A (zh) 用于助听器的组件
US20140018013A1 (en) Hands-Free Communication Devices For Cord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O2016023132A1 (en) Headphone with a connector for detaching a headband from a transducer
KR101604355B1 (ko)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 및 젠더 일체형 이어셋
CN103891310A (zh) 包括具有独立的插座的头戴式耳机的音频附件
US20170111724A1 (en) Dual Purpose Power and Headset Interface System
EP3119106A1 (en) A passive audio headset compatible with binaural recording and off-headset noise cancellation
US20090185707A1 (en) Audio headset assembly with built-in jack
KR101557793B1 (ko)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이어셋
WO2013123992A1 (en) Left-right side-indifferent hearing aid connector
US20230276156A1 (en) Sound output device
US20170374447A1 (en) Earbuds for use both wirelessly and with a wired connection
US20130016869A1 (en) Type of Headphone Device
US20160073190A1 (en) Headphones with junction receptacle
CN213126426U (zh) 一种降噪tws耳机
US20230345188A1 (en) Combined charging contact and antenna for hearing instruments
KR200363850Y1 (ko) 디지털 녹음 청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