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826B1 - 스피커가 마련된 청진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가 마련된 청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826B1
KR101701826B1 KR1020160058679A KR20160058679A KR101701826B1 KR 101701826 B1 KR101701826 B1 KR 101701826B1 KR 1020160058679 A KR1020160058679 A KR 1020160058679A KR 20160058679 A KR20160058679 A KR 20160058679A KR 101701826 B1 KR101701826 B1 KR 101701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peaker
microphone
soun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운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제이 filed Critical (주)아이티제이
Priority to KR1020160058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826B1/ko
Priority to PCT/KR2017/005010 priority patent/WO201719615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6Special adaptations for use as contact microphones, e.g. on musical instrument, on stethosco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신체의 생체 음향이 획득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생체 음향을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한 제1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신체의 생체 음향을 상기 마이크로 전달하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파를 상기 신체로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커가 마련된 청진 장치{AUSCULT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신체의 생체 음향을 획득하고 단말기에 제공하는 청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행위에 있어서, 의사는 환자를 진단할 때에 종종 청진기를 이용한다. 청진기에 의한 진단에 의하여 폐포 호흡음(肺胞 呼吸音), 기관지 호흡음(氣管支呼吸音), 저음성 연속음(低音性連續音), 잡음(스쿼크 squawk), 수포음(水泡音) 등 환자의 생체음(生體音)으로 여러 가지 병상(病狀)을 파악할 수 있다. 청진기로부터의 생체음에 의하여 심장이나 호흡기계(呼吸器系)의 병상뿐만 아니라, 다른 오장육부(五臟六腑)의 여러 가지 병상까지 파악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012772호에는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획득된 소리를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하는 청진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스피커부를 통한 청각적 출력만으로는 획득된 소리를 명확하게 판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스피커부로 인해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012772호
본 발명은 생산성 개선을 위해 간소한 구조를 가지며,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청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신체의 생체 음향이 획득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생체 음향을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한 제1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신체의 생체 음향을 상기 마이크로 전달하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파를 상기 신체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하나의 케이스에 인터페이스부, 마이크, 스피커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부터 출력된 음파는 생체 음향을 획득하는 인터페이스를 거쳐 신체 피부에 직접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태아에게 태교 음악을 효과적으로 들려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 및 스피커의 구동 전력은 커넥터부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단말기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케이스 내부에 배터리 등의 전원 공급 수단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구성이 간소하고 경량화, 생산성에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리트랙터블 릴을 이용해 커넥터부에 연결된 와이어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청진 장치의 케이스로부터 커넥터부를 끌어낸 다음 단말기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마이크와 스피커의 동작을 선택하는 스위치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커넥터부에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를 통해 마이크의 출력 신호와 스피커의 입력 신호가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 요구되는 스위치가 커넥터에 설치되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스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청진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청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청진 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청진 장치의 일부를 나타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청진 장치를 구성하는 회로 소자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청진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청진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청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청진 장치는 인터페이스부, 마이크(130), 스피커(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생체 음향을 처리할 수 처리부가 마련된 단말기(30)로 생체 음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단말기(30)에서 제공된 음향을 신체(50)로 전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단말기(30)의 처리부는 사람이 귀로 들을 수 있는 음파 또는 생체 음향을 직접 처리하지 못하고 전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생체 음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마이크(130)가 이용될 수 있다.
마이크(130)는 사용자의 심박음 또는 태아의 심박음 등의 생체 음향을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30)에서 처리 가능한 전기적인 제1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신체(50)의 심박음과 같은 생체 음향은 매우 미세한 소리로 마이크(130)를 직접 신체(50)에 접촉하더라도 마이크(130)에서 생체 음향을 직접 획득하기는 어렵다.
인터페이스부는 마이크(130)에서 요구하는 수준으로 사람 또는 동물의 신체(50)의 생체 음향을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130)로부터 출력된 제1 신호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해서 단말기(3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구성을 간소화하고 마이크(130)의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배제하기 위해 전기가 소통되는 와이어(90)를 이용한 유선 방식으로 제1 신호를 단말기(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90)의 단부에는 커넥터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90)는 마이크(130)뿐만 아니라 스피커(140)도 커넥터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수 있다.
커넥터부(150)는 제1 신호가 출력되는 마이크(130)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단말기(30)에 착탈될 수 있다. 일 예로, 커넥터부(150)에는 단말기(30)의 오디오 잭에 삽입되는 연결 핀(151), 보조 잭(152)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150)에는 연결 핀(151) 및 보조 잭(152)이 지지되는 제2 기판(159)과 제2 기판(159)을 덮는 하우징(155)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기판(159)에는 리트랙터블 릴(190)로부터 인출된 와이어(90)가 본딩될 수 있다. 제2 기판(159)에 본딩된 와이어(90)는 제2 기판(159)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의해 연결 핀(151) 또는 보조 잭(1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부(150)의 연결 핀(151)이 단말기(30)의 오디오 잭에 삽입되면, 단말기(30)의 오디오 잭에 삽입되는 별도의 이어폰 등을 이용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커넥터부(150)에는 별도의 이어폰이 연결될 수 있는 보조 잭(152)이 마련되므로, 커넥터부(150) 및 이어폰이 단말기(30)의 오디오 잭에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부(150)는 전기가 흐르는 와이어(90)를 통해 마이크(130) 또는 스피커(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90)를 통해 마이크(130) 또는 스피커(140)에 유선으로 연결된 커넥터부(150)는 단말기(30)의 전력 또는 전기 신호를 마이크(130) 또는 스피커(14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130)와 스피커(140)는 커넥터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말기(30)의 전력 또는 전기 신호를 이용해서 구동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청진 장치에는 마이크(130)와 스피커(140)의별도의 배터리나 무선 통신 모듈이 마련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이 간소해지고,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인터페이스부, 마이크(130) 및 스피커(140)가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는 사용자가 손으로 감싸쥘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케이스는 휴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마이크(130) 및 스피커(140)를 커넥터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와이어(90)가 수납되는 리트랙터블 릴(190)(retractable reel)을 포함할 수 있다. 리트랙터블 릴(190)은 마이크(130) 및 스피커(140)와 함께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리트랙터블 릴(190)은 태엽의 힘 또는 탄성체의 힘에 의해 커넥터부(150)에 연결된 와이어(90)의 가운데를 자동으로 감을 수 있다. 또한, 리트랙터블 릴(190)은 외력에 의해 와이어(90)를 풀 수 있도록 형성되며, 풀린 와이어(90)가 원하지 않게 되감기지 않도록 설정 구간마다 풀린 와이어(90)가 되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리트랙터블 릴(190)은 소위 자동 줄자와 유사한 원리로 구동될 수 있다.
리트랙터블 릴(190)에 의해 리트랙터블 릴(190)로부터 커넥터부(150)까지 연장되는 와이어(90)의 길이는 가변될 수 있다. 리트랙터블 릴(190)이 케이스에 고정될 때, 커넥터부(150)는 케이스에 대해 다양한 자유도로 움직일 수 있다.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90)에 의해 커넥터부(150)는 마이크(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케이스에 마련된 수용부(239)에 삽입될 수 있다. 만약 커넥터부(150)를 잡아당기는 외력이 작용하면, 커넥터부(150)는 수용부(239)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리트랙터블 릴(190)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90)의 양 단을 각각 제1 와이어(91)와 제2 와이어(92)라 정의하기로 한다.
제1 와이어(91)는 리트랙터블 릴(190)로부터 인출되고 커넥터부(150)에 연결된 와이어(90)이며, 리트랙터블 릴(190)에 의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커넥터부(150)는 길이가 가변되는 제1 와이어(91)에 의해 케이스에 착탈될 수 있다.
제2 와이어(92)는 리트랙터블 릴(190)로부터 인출되고 마이크(130)와 스피커(140)에 연결된 와이어(90)이고,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케이스에는 인터페이스부 및 마이크(130)가 설치되는 중간부(230), 중간부(230)가 설치되는 제1 커버(210), 제1 커버(210)와 중간부(230)를 덮는 제2 커버(2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220)는 청진 장치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중간부(230)는 인터페이스부 및 마이크(13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부 및 마이크(130)가 제1 커버(210) 또는 제2 커버(220)에 설치되는 대신 중간부(230)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1 커버(210) 또는 제2 커버(220)는 중간부(230)를 덮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크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와 구별되는 별도의 중간부(230)에 생체 음향을 획득하는 인터페이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130)/스피커(140)와 커넥터부(1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와이어(90)가 수납되는 리트랙터블 릴(190)(retractable reel)은 케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리트랙터블 릴(190)로부터 커넥터부(150)까지의 와이어(90)의 길이는 리트랙터블 릴(190)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90)에 의해 커넥터부(150)는 중간부(230)에 장착되거나 중간부(23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중간부(230)에는 커넥터부(150)가 장착되는 수용부(239)가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90)에 연결된 커넥터부(150)의 일면에는 단말기(30)에 착탈되는 연결 핀(151)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커넥터부(150)의 어느 일면에는 연결 핀(151)과 와이어(90)가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수용부(239)에는 커넥터부(150)에 연결된 와이어(9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는 관통 홀(238)과 연결 핀(151)이 삽입되는 삽입 홀(237)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230)에서 삽입 홀(237)에 대면되는 위치에는 삽입 홀(237)을 통해 중간부(230)의 안쪽으로 진입하는 연결 핀(151)의 진입 방향을 가이드(236)하는 가이드(236)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에서 마이크(130)가 설치되는 면에는 리트랙터블 릴(190)이 거치되는 거치부(232), 거치부(232)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리트랙터블 릴(190)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231)가 마련될 수 있다. 거치부(232)는 리트랙터블 릴(190)의 밑면에 대면되고, 삽입부(231)는 리트랙터블 릴(190)의 측면에 대면될 수 있다.
리트랙터블 릴(190)의 유동을 방지하고, 리트랙터블 릴(190)의 설치 편의를 위해 삽입부(231)에는 정렬 홈(235)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리트랙터블 릴(190)의 외면에는 정렬 홈(235)에 삽입되는 정렬 돌기(191)가 마련될 수 있다. 제조의 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정렬 홈(235) 및 정렬 돌기(191)는 제1 커버(210)로부터 제2 커버(2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트랙터블 릴(190)로부터 와이어(90)의 양단이 인출될 수 있으며, 일단은 커넥터부(150)에 연결되고 타단은 마이크(130)에 연결될 수 있다.
리트랙터블 릴(190)로부터 인출된 와이어(90)를 직접 마이크(130) 또는 스피커(140)에 연결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마이크(130), 스피커(140) 및 리트랙터블 릴(190) 사이에는 제1 기판(180)이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130)의 출력단, 스피커(140)의 입력단, 제2 와이어(92)의 단부는 제1 기판(180)에 본딩될 수 있다. 제1 기판(180)에는 마이크(130)의 출력단과 제2 와이어(9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패턴, 스피커(140)의 입력단과 제2 와이어(9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리트랙터블 릴(190)과 마이크(130) 사이에는 와이어(90)가 납땜되는 제1 기판(18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기판(180)의 일측에는 리트랙터블 릴(190)로부터 인출된 와이어(90)가 본딩되고, 제1 기판(180)의 타측에는 마이크(130)로부터 인출된 보조선(80)이 본딩될 수 있다. 제1 기판(180)의 일측과 타측은 패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제1 기판(180)은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판(180)은 리트랙터블 릴(190)이 거치되는 거치부(232) 내부에 설치되거나, 리트랙터블 릴(190)과 거치부(23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에는 신체(50)에 일면이 대면되는 진동판(111), 진동판(111)의 타면에 설치되는 집음기(11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집음기(113)는 중간부(23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커버(210)에 대면되는 중간부(230)의 일면에는 집음기(113)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230)에는 집음기(113)와 제2 커버(220)에 대면되는 중간부(230)의 타면을 연결하는 소통 홀(119)이 마련될 수 있다. 편면상으로 집음기(113)는 원 등의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통 홀(119)은 집음기(113)의 가운데에 형성될 수 있다. 집음기(113)에서 집음된 생체 음향은 집음기(113)의 가운데에 형성된 소통 홀(119)을 통해 집음기(113)의 타면 측으로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30)는 중간부(230)의 타면에 소통 홀(119)에 대면되게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130)가 소통 홀(119)에 대면되게 설치되므로, 집음기(113)에서 집음된 소리는 소통 홀(119)을 거쳐 마이크(130)로 확실하게 입력될 수 있다.
중간부(230)의 타면 측으로부터 마이크(130)로 잡음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부(230)의 타면에 노출된 마이크(130)는 밀봉재(10)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트랙터블 릴(190)은 중간부(230)의 타면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90)가 되감기거나 풀릴 때, 자체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의 소음이 마이크(130)로 입력될 수 있는데, 밀봉재(10)에 의하면 이러한 염려가 없다.
제1 커버(210)에는 진동판(111)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진동판(111) 또는 집음기(113)에 대면되는 위치에 통공(2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청진 장치에 따르면, 마이크(130)와 커넥터부(150)는 와이어(90)에 의해 연결되므로, 마이크(130)는 해당 와이어(90)를 이용해서 단말기(30)로부터 구동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청진 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와이어(90)에 의해 마이크(130)와 커넥터부(150) 간의 거리가 고정되면 커넥터부(150)에 연결된 단말기(30)와 청진 장치를 함께 움직이며 생체 음향을 획득해야 하는 불편함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130)와 커넥터부(150) 간의 거리는 리트랙터블 릴(190)에 의해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에 편리한 길이만큼 케이스로부터 커넥터부(150)를 빼낸 후 단말기(30)에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부(150)에 연결된 단말기(30)와 케이스 간의 거리가 충분하게 확보되면, 케이스만 손에 쥐고 신체(50)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용이해진다.
마이크(130)로부터 출력된 제1 신호 ①은 와이어(90), 커넥터부(150)를 순서대로 거쳐 단말기(30)로 입력될 수 있다. 단말기(30)로부터 출력된 제2 신호 ②는 커넥터부(150) 및 와이어(90)를 순서대로 거쳐 청진 장치의 스피커(14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청진 장치의 일부를 나타난 단면도이다.
인터페이스부에는 신체(50)에 일면이 대면되는 진동판(111), 진동판(111)의 타면에 설치되는 집음기(113)가 마련될 수 있다. 진동판(111)의 가장자리는 중간부(230)에 접착될 수 있다.
제1 커버(210)가 신체(50)에 밀착되면, 진동판(111)은 신체(50)의 진동에 의해 진동될 수 있다.
진동판(111)에 대면되는 일면이 깔대기 형상으로 함몰된 집음기(113)는 진동판(111)의 진동에 의해 형성된 생체 음향을 마이크(130)를 향해 집음시킬 수 있다. 이때, 진동판(111)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고, 진동판(111)과 마이크(130) 간의 마찰음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크(130)와 스피커(140)는 진동판(111)과 집음기(113) 사이의 음향 공간(117)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마이크(130)와 스피커(140)는 집음기(113)의 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집음기(113)에서 집은된 생체 음향은 집음기(113)의 가운데에 형성된 소통 홀(119)을 통해 마이크(130)로 입력될 수 있다. 스피커(140)로부터 출력된 음파는 집음기(113)의 일면과 집음기(113)의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보조 홀(118)을 통해 음향 공간(117)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진동판(111)이 신체(50) 또는 의복에 쓸리는 마찰음과 같은 잡음을 배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밀착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170)는 제1 커버(2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170)는 신체(50)에 밀착되는 요소로, 신체(50)에 대면 설치되는 진동판(111)과 신체(5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둘 사이에 개재되는 밀착부(170)에 의해 진동판(111)은 신체(5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신체(5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진동판(111)은 신체(50) 또는 신체(50)에 입혀진 의복과의 접촉이 배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밀착부(170)에 의해 신체(50) 또는 의복과 진동판(111)의 접촉으로 인해 유발되는 잡음이 원천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등의 부가 수단이 케이스 또는 단말기(30)에 마련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이 간소해지는 장점이 있다.
밀착부(170)는 평면상으로 진동판(111)을 둘러싼 중공(179)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170)는 신체(50)로부터 진동판(111)을 향해 갈수록 중공(179)의 직경이 감소하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깔대기 형상의 밀착부(170)에 따르면, 신체(50)의 생체 음향이 밀착부(170)에 의해서도 일부 집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진 장치에는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된 제2 신호 ②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1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는 스피커(140)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신체(50)로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130)와 스피커(140)가 함께 마련되고 동시에 동작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가 둘 모두에 반응하므로 제2 신호 ②에 의한 잡음이 제1 신호 ①에 포함되거나, 제1 신호 ①에 의한 잡음이 제2 신호 ②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신호 ①과 제2 신호 ②가 서로 잡음으로 작용하는 간섭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스위치(15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53)는 마이크(130)의 출력단 및 스피커(140)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마이크(130) 또는 스피커(140)를 커넥터부(150)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153)는 마이크(130)와 스피커(140) 중 선택된 하나와 커넥터부(1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나머지 하나와 커넥터부(150) 간의 전기적 연결을 해제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위치(153)는 일시점에서 마이크(130)만 커넥터부(150)에 연결시키거나, 스피커(140)만 커넥터부(15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커넥터부(150)는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90)에 의해 마이크(130) 및 스피커(140)에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부(150)는 길이가 가변되는 와이어(90)에 의해 케이스로부터 이탈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153)는 사용 편의 및 유지 보수를 고려해서 커넥터부(150)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스위치(153)는 커넥터부(150)에 마련된 제2 기판(159)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마이크(130) 및 스피커(140)로부터 커넥터부(150)까지 와이어(90)로 연결되는 단순한 구조를 취하므로, 고장의 가능성이 낮다. 고장 가능성이 높은 요소로, 사용자에 의해 자주 조작되는 스위치(153)가 고려될 수 있다. 스위치(153)가 케이스에 설치되면 스위치(153)의 고장 발생시 케이스를 분해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가 어렵다. 아울러, 한 손으로 케이스를 파지한 상태에서 자신의 배나 심장 부근에 청진 장치를 대고 있는 사용자는 해당 손을 이용해서 스위치(153)를 조작하기 어려울 수 있다. 다른 손을 이용해서 케이스에 마련된 스위치(153)를 조작하려고 해도 케이스를 잡고 있는 손을 피해서 스위치(153)를 조작해야 하므로 불편하다.
반면, 스위치(153)가 커넥터부(150)에 설치되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또한, 어느 한 손을 이용해서 청진 장치를 신체(50)에 대고 있는 중이라도 다른 손을 이용해서 커넥터부(150)의 스위치(153)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스피커(140)로부터 출력된 음파는 진동판(111)과 집음기(113) 사이의 음향 공간(117)으로 출력될 수 있다. 집음기(113)에는 마이크(130)에 대면되는 위치에 소통 홀(119)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통 홀(119)의 옆에는 보조 홀(118)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홀(118)은 스피커(140)가 대면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피커(140)로부터 출력된 음파는 보조 홀(118)을 거쳐 음향 공간(117)으로 출력될 수 있다.
진동판(111)은 마이크(130)가 구동되면 생체 음향을 마이크(130)로 전달할 수 있다. 진동판(111)은 스피커(140)가 구동되면 음향 공간(117)으로 출력된 음파에 의해 진동될 수 있다. 음파에 의한 진동판(111)의 진동은 신체(5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신체(50) 내에 위치한 태아가 들을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청진 장치에 마련된 마이크(130)를 이용해서 태아의 심박음을 획득할 수 있으며, 청진 장치에 마련된 스피커(140)를 이용해서 태아에게 태교 음악을 들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판(111)은 신체(50)의 진동에 확실하게 반응하는 재질 및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대로 진동판(111)을 스피커(140)에 의해 진동시키면 신체(50)를 적절하게 진동시킬 수 있고, 해당 진동은 신체(50)를 거쳐 태아가 들을 수 있는 음향으로 변환되어 태아에게 전달될 수 있다.
마이크(130)와 스피커(140)가 공통의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므로, 구성이 간소해지고 태아의 심박음을 획득하거나 태교 음악 등을 태아에게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마이크(130)와 스피커(140)가 하나의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므로, 특수한 기구 구조 및 회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기구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진동판(111)과 집음기(113) 사이의 음향 공간(117)에 형성된 소통 홀(119)과 보조 홀(118)에 마이크(130)와 스피커(140)가 밀착되고 있다.
다음으로 회로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청진 장치를 구성하는 회로 소자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청진 장치에 포함된 회로 소자는 마이크(130), 스피커(140), 보조선(80), 제1 기판(180), 제2 와이어(92), 제1 와이어(91), 제2 와이어(92)와 제1 와이어(91)를 구분지으며 제1 와이어(91)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리트랙터블 릴(190), 제2 기판(159), 연결 핀(151), 보조 잭(152), 스위치(1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로 구조는 잡음을 제거하는 필터, 신호를 증폭시키는 앰프 등이 배제된 매우 간소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청진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에는 제1 기판(180), 와이어(90), 제2 기판(159), 스위치(153), 연결 핀(151), 보조 잭(152)이 포함된 회로도가 나타나고 있다.
제1 기판(180)의 일측에는 마이크(130)의 출력단 M+, G와 스피커(140)의 입력단 G, S+가 연결되는 단자 J8, J9, J10, J11이 마련되고 있다. 이때, 마이크(130)의 출력단 G와 스피커(140)의 입력단 G는 공통 접지단으로 처리될 수 있다.
제1 기판(180)의 타측에는 4개의 와이어(90)에 연결되는 단자 J5, J6, J14, J7이 마련될 수 있다. 4개의 와이어(90)는 색깔에 의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마이크(130)의 출력단에 연결된 와이어(90)는 파란색(BLUE), 공통 접지단에 연결된 와이어(90)는 빨간색(RED), 널(NULL) 단자 NC에 연결된 와이어(90)는 초록색(GREEN), 스피커(140)의 입력단에 연결된 와이어(90)는 금색(GOLD) 또는 노란색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기판(159)에는 4개의 와이어(90)의 단부가 각각 본딩되는 단자 J2, J8, J15, J4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진 장치는 단말기(30)에 착탈되는 커넥터부(150)에 스위치(153)가 마련되고, 커넥터부(150)에 제2 기판(159), 연결 핀(151), 보조 잭(152)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기판(159)에는 마이크(130)와 스피커(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와이어(91)의 일단이 본딩될 수 있다. 연결 핀(151)은 제2 기판(159)에 설치되고 단말기(30)의 오디오 잭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 핀(151)에는 신체(50)로부터 획득된 생체 음향에 대응되는 제1 신호가 출력되는 제1 단자, 단말기(30)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제2 신호가 입력되는 제2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153)는 제1 단자에 마이크(130)의 출력단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선택 모드와, 제2 단자에 스피커(140)의 입력단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선택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연결 핀(151)에는 4개의 단자, MIC, GND(접지단), R, L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중 MIC가 제1 단자일 수 있다. R과 L이 제2 단자일 수 있으며, 제2 단자가 R과 L 2개인 것은 스테레오 음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진 장치에서 제2 단자를 통해 수신된 제2 신호는 신체(50)에 밀착된 인터페이스부에 마련된 진동판(111)을 스피커(140)로 진동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진동판(111)을 효과적으로 진동시키기 위해 R과 L 중 1개만 제2 단자로 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L 단자를 제2 단자로 이용하고 있다.
보조 잭(152)은 연결 핀(151)과 동일한 규격의 핀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잭(152) 역시 연결 핀(151)에 대응하여 4개의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연결 핀(151)의 제1 단자는 보조 잭(152)의 출력 단자 MIC에 전기적으로 단절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보조 잭(152)에 별도의 이어폰이 삽입된 경우, 해당 이어폰을 통해 입력된 음향이 단말기(30)로 전달되지 못한다. 따라서, 별도의 이어폰이 보조 잭(152)에 꼽힌 경우에도, 본 발명의 마이크(130)를 통해 출력된 제1 신호만이 단말기(30)로 입력될 수 있다. 이때, 보조 잭(152)의 출력 단자를 통해 유입되는 잡음이 배제되도록, 보조 잭(152)의 출력 단자 MIC는 커넥터부(150)의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
반면, 연결 핀(151)의 제2 단자는 보조 잭(152)의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신호가 태교 음악에 대응되는 경우, 사용자는 태아와 함께 해당 음악을 청취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태아에게 제공되는 현재 음악이 어떤 음악인지 청각적으로 확인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연결 핀(151)이 단말기(30)에 꼽히고, 이어폰이 보조 잭(152)에 꼽힌 상태에서 단말기(30)로부터 태교 음악이 제공되면 해당 태교 음악은 제2 신호의 형태로 연결 핀(151)의 제2 단자로 입력될 수 있다. 제2 단자로 입력된 태교 음악은 스위치(153)와 보조 잭(152)으로 분기될 수 있다.
스위치(153)가 스피커(140)와 연결 핀(151)을 연결하는 제2 선택 모드이면, 태교 음악은 보조 잭(152)뿐만 아니라 청진 장치의 스피커(140)로도 출력되므로, 사용자와 태아가 함께 태교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반면, 스위치(153)가 마이크(130)와 연결 핀(151)을 연결하는 제1 선택 모드이면, 태교 음악은 스피커(140)로 출력되지 못하고, 보조 잭(152)을 통해 이어폰으로만 제공될 수 있다. 대신, 사용자는 이어폰을 통해 태교 음악을 들으면서, 태아의 심박음을 획득할 수 있다. 보조 잭(152)에 이어폰이 꼽히고, 스위치(153)가 제1 선택 모드인 경우, 스피커(140)로부터 출력된 제1 신호는 이어폰으로 직접 제공되지 못하고 단말기(30)로 입력될 수 있다. 단말기(30)는 해당 제1 신호를 처리한 후 이어폰으로 듣기 좋은 소리로 가공한 후 이어폰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어폰에 제공되는 소리는 스위치(153)에 의해 청진 장치의 스피커(140)로 전달되지 못하므로, 태아에게 불필요한 소리를 들려주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밀봉재 30...단말기
50...신체 80...보조선
90...와이어 91...제1 와이어
92...제2 와이어 111...진동판
113...집음기 117...음향 공간
118...보조 홀 119...소통 홀
130...마이크 140...스피커
150...커넥터부 151...연결 핀
152...보조 잭 153...스위치
155...하우징 159...제2 기판
170...밀착부 179...중공
180...제1 기판 190...리트랙터블 릴
191...정렬 돌기 210...제1 커버
219...통공 220...제2 커버
230...중간부 231...삽입부
232...거치부 235...정렬 홈
236...가이드 237...삽입 홀
238...관통 홀 239...수용부

Claims (10)

  1. 신체의 생체 음향이 획득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생체 음향을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한 제1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신체의 생체 음향을 상기 마이크로 전달하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파를 상기 신체로 전달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에는 상기 신체에 일면이 대면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타면에 설치되는 집음기가 마련되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파는 상기 진동판과 상기 집음기 사이의 음향 공간으로 출력되며,
    상기 진동판은 상기 마이크가 구동되면 상기 생체 음향을 상기 마이크로 전달하고, 상기 스피커가 구동되면 상기 음향 공간으로 출력된 상기 음파에 의해 진동되고,
    상기 진동판에 대면되는 상기 집음기의 일면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는 상기 집음기의 타면에 설치되며,
    상기 집음기에서 집음된 상기 생체 음향은 상기 집음기의 가운데에 형성된 소통 홀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 입력되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파는 상기 집음기의 일면과 상기 집음기의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보조 홀을 통해 상기 음향 공간으로 출력되는 청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신체의 생체 음향이 획득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생체 음향을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한 제1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
    상기 마이크의 출력단 및 상기 스피커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신체의 생체 음향을 상기 마이크로 전달하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상기 음파를 상기 신체로 전달하며,
    상기 스위치에는 상기 단말기에 연결되는 커넥터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 중 선택된 하나와 상기 커넥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나머지 하나와 상기 커넥터부 간의 전기적 연결을 해제시키는 청진 장치.
  5. 삭제
  6. 신체의 생체 음향이 획득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생체 음향을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한 제1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
    상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가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단말기에 착탈되는 커넥터부;
    상기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를 상기 커넥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와이어;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가운데를 자동으로 감는 리트랙터블 릴(retractable reel);
    상기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 중 하나를 상기 커넥터부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리트랙터블 릴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에 연결된 제2 와이어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며,
    상기 리트랙터블 릴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제1 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리트랙터블 릴에 의해 가변되고,
    상기 커넥터부는 길이가 가변되는 상기 제1 와이어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착탈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착탈되는 상기 커넥터부에 마련되는 청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상기 스피커, 상기 리트랙터블 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의 출력단, 상기 스피커의 입력단, 상기 제2 와이어의 단부는 상기 제1 기판에 본딩되며,
    상기 제1 기판에는 상기 마이크의 출력단과 상기 제2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패턴과 상기 스피커의 입력단과 상기 제2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크는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청진 장치.
  8. 신체의 생체 음향이 획득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생체 음향을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한 제1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
    상기 단말기에 착탈되는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에 마련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에는 상기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의 일단이 본딩되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단말기의 오디오 잭에 삽입되는 연결 핀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 핀에는 상기 제1 신호가 출력되는 제1 단자,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는 제2 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단자에 상기 마이크의 출력단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선택 모드와, 상기 제2 단자에 상기 스피커의 입력단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선택 모드를 제공하는 청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착탈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에는 상기 단말기의 오디오 잭에 삽입되는 연결 핀, 상기 연결 핀과 동일한 규격의 핀이 삽입되는 보조 잭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 핀에는 상기 제1 신호가 출력되는 제1 단자,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는 제2 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보조 잭의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단절되며,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보조 잭의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청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잭의 출력 단자는 상기 커넥터부의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청진 장치.
KR1020160058679A 2016-05-13 2016-05-13 스피커가 마련된 청진 장치 KR101701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679A KR101701826B1 (ko) 2016-05-13 2016-05-13 스피커가 마련된 청진 장치
PCT/KR2017/005010 WO2017196154A1 (ko) 2016-05-13 2017-05-15 스피커가 마련된 청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679A KR101701826B1 (ko) 2016-05-13 2016-05-13 스피커가 마련된 청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826B1 true KR101701826B1 (ko) 2017-02-02

Family

ID=5815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679A KR101701826B1 (ko) 2016-05-13 2016-05-13 스피커가 마련된 청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1826B1 (ko)
WO (1) WO201719615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476Y1 (ko) * 2004-07-22 2004-11-10 주순애 리트랙터블 코드 릴 조립체
KR20070012772A (ko) 2006-02-13 2007-01-29 다카시 요시미네 청진장치
KR20150007738A (ko) * 2013-07-12 2015-01-21 스마트사운드주식회사 청진 장치
KR20160005225A (ko) * 2014-07-04 2016-01-14 주식회사 시그테크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 및 젠더 일체형 이어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551Y1 (ko) * 2005-02-25 2005-05-16 이병훈 청진마이크의 외장형 휴대폰-청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476Y1 (ko) * 2004-07-22 2004-11-10 주순애 리트랙터블 코드 릴 조립체
KR20070012772A (ko) 2006-02-13 2007-01-29 다카시 요시미네 청진장치
KR20150007738A (ko) * 2013-07-12 2015-01-21 스마트사운드주식회사 청진 장치
KR20160005225A (ko) * 2014-07-04 2016-01-14 주식회사 시그테크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젠더 및 젠더 일체형 이어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6154A1 (ko)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5963B2 (en) Bone-conduction microphone built-in headset
US8548174B2 (en) Modular electronic biosensor with interface for receiving disparate modules
US20080205679A1 (en) In-Ear Auditory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1089412B2 (en) Hearing device comprising a sensor configuration detector
EP2577984A1 (en) Intra-oral tissue conduction microphone
US5832093A (en) Universal stethoscope amplifier with graphic equaliz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ports
CN106963548A (zh) 带有用于采集生物数据的传感器的听力系统
US20220142575A1 (en) Apparatus, which is insertable into an ear canal, for detecting physiological parameters
KR101701829B1 (ko) 커넥터부가 마련된 청진 장치
US5347583A (en) Electronic stethoscope having binaural earpiece
JP2012152377A (ja) 体内音取得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聴診器
JP2008049111A (ja) 補聴機能付聴診器
KR101701826B1 (ko) 스피커가 마련된 청진 장치
WO2009101142A1 (en) Receiver module for a hearing device, hearing device and hearing device earpiece
CN214387499U (zh) 一种基于蓝牙技术的电子听诊器
KR20050030934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
JP6232541B2 (ja) 電子聴診器
JP3122639U (ja) 電子聴診器
JP2819252B2 (ja) 双方向性胎児信号装置
CN215067583U (zh) 一种红外听诊眼镜装置
KR101372383B1 (ko) 청음기
JP6471391B2 (ja) Mri用通話装置
RU20638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станционной аускультации пациентов
CN219353890U (zh) 一种健康监测与辅听装置
US20030156710A1 (en) Sound-transmit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