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0934A -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0934A
KR20050030934A KR1020050019214A KR20050019214A KR20050030934A KR 20050030934 A KR20050030934 A KR 20050030934A KR 1020050019214 A KR1020050019214 A KR 1020050019214A KR 20050019214 A KR20050019214 A KR 20050019214A KR 20050030934 A KR20050030934 A KR 20050030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frequency
sound wave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찬희
Original Assignee
한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찬희 filed Critical 한찬희
Priority to KR1020050019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0934A/ko
Publication of KR2005003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93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6Special adaptations for use as contact microphones, e.g. on musical instrument, on stethoscope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에 관한 것으로,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내의 진동음파를 무선으로 청취하고, 해당 음량을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정확하게 환자의 신체상태를 파악하며, 줄이 걸리적거리지 않아서 자유롭게 청진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줄에 의한 소음으로부터 자유로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그 신체의 진동파에 의해 공진되는 진동판이 구성되고, 그 진동판의 후단에는 진동판의 파장을 변조하기 위한 송신모듈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송신모듈의 후단에는 전파를 특정 주파수로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구비된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송된 전파를 수신하고 증폭하여 의사가 청취하기 위해 그 외부에는 의사의 귀에 밀착하기 위한 이어피스와, 그 양측의 이어피스를 연결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성되고, 그 지지대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송된 전파를 신호처리하고 그 외부에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조절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하단에는 각각 전원버튼과, 사용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가 구비된 수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혈압환자를 포함한 각종 질병 환자의 신체 음파를 청취하기 위해 의사가 몸을 굽힐 필요가 없으므로 정확한 자세에서 환자를 진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유아 또는 중환자 등의 진찰시에도 소망하는 음량으로 증폭시켜 환자의 신체음파를 청취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료가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다. 또한, 동일 환자에 대해 다수 의사가 동시에 진찰할 수 있으므로 오진의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초음파의 경우에도 가청주파수로 변환하여 청취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료 행위가 가능해진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WIRELESS STETHOSCOPE}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내의 진동음파를 무선으로 청취하고, 해당 음량을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정확하게 환자의 신체상태를 파악하며, 줄이 걸리적거리지 않아서 자유롭게 청진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줄에 의한 소음으로부터 자유로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환자의 내환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의사에게 전달하는 청진기는 최신 영상진단 장치인 MRI(Magnetic Resonanee Imaging System)나 CT(Computerized Tomography)등의 보급에도 불구하고, 의료진단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이용률이 높은 의료기구이다.
이러한 종래의 청진기를 살펴보면, 음파탐지부에 약 40㎝ 길이의 한정된 합성수지 튜브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써 청진시, 의료진은 튜브의 길이 때문에 고개를 숙여 청진해야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혈압측정시 청진기의 줄은 방해가 될뿐더러 잡음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종래의 청진기는 그 부피가 클뿐더러, 소리의 크기 역시 일정한 크기로 제한되어져 있었으므로 음량의 크기에도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1명의 환자는 1명의 의사가 청진기를 이용하여 진찰하였으므로 오진이 발생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었으며, 가청 주파수 대역을 벗어나는 음파는 의사가 청취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내의 진동음파를 무선으로 청취하고, 해당 음량을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정확하게 환자의 신체상태를 파악하며, 줄이 걸리적거리지 않아서 자유롭게 청진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줄에 의한 소음으로부터 자유로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1명의 환자 신체내의 진동음파를 무선으로 다수의 의사가 동시에 청취할 수 있으며, 가청주파수 대역을 벗어난 음파를 가청주파수 대역의 파장으로 변경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그 신체의 진동파에 의해 공진되는 진동판이 구성되고, 그 진동판의 후단에는 진동판의 파장을 변조하기 위한 송신모듈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송신모듈의 후단에는 전파를 특정 주파수로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구비된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송된 전파를 수신하고 증폭하여 의사가 청취하기 위해 그 외부에는 의사의 귀에 밀착하기 위한 이어피스와, 그 양측의 이어피스를 연결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성되고, 그 지지대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송된 전파를 신호처리하고 그 외부에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조절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하단에는 각각 전원버튼과, 사용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가 구비된 수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신부는 진동판을 매개로 환자의 신체 진동파를 인가받기 위한 음파입력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음파입력부의 후단에는 음파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파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증폭하는 음파증폭부가 구비되고, 상기 음파증폭부의 후단에는 그 음파증폭부로부터 인가된 전기적 파장을 반송파에 싣기 위한 변조부가 구성되고, 상기 변조부의 후단에는 변조가 이루어진 파장을 증폭시키는 증폭부가 마련되어져 있으며, 그 증폭부의 후단에는 변조된 신호를 지정된 체배수의 고주파로 발진하기 위한 발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부는 변조된 신호를 원래의 음파 신호로 변경시키기 위한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부가 구비되며, 상기 복조부의 후단에는 신호에 포함된 잡음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부가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필터링부의 후단에는 잡음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증폭부에 음량조절부가 접속되어져 있어 음량조절부의 조작에 따라 증폭부의 증폭도가 조절되게 된 음량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부는 다수개가 구비되고, 동일한 단일의 송신부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동시에 다수개의 수신부가 수신 가능함으로써 다수의 의사가 단일 환자의 신체 음파를 동시에 청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신부에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로 주파수 변경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주파수 조절부와; 주파수 대역의 레벨다운 처리를 행하는 주파수 변경부와; 초음파와 대응하는 가청주파수로의 변경 기준데이터 또는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주파수 조절부로부터 주파수 조절을 시도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데이터저장부로부터 해당 초음파에 대응하는 가청주파수 변경데이터를 독취하여 상기 복조부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상기 주파수 변경부에서 일일이 변경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2)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내의 진동음파를 무선으로 청취하고, 해당 음량을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정확하게 환자의 신체상태를 파악하며, 줄이 걸리적거리지 않아서 자유롭게 청진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줄에 의한 소음으로부터 자유로운 청진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1명의 환자 신체내의 진동음파를 무선으로 다수의 의사가 동시에 청취할 수 있으므로 오진의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청진기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2)는 크게 환자의 신체 음파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10)와, 그 송신부(10)로부터 전송된 전파를 수신하고 증폭하여 의사가 청취하기 위한 수신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송신부(10)는 기존의 청진기에도 구비되어져 있으며, 실제로 환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그 신체의 진동파에 의해 공진되는 진동판(102)이 구성되고, 그 진동판(102)의 후단에는 진동판(102)의 파장을 변조하기 위한 송신모듈(104)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송신모듈(104)의 후단에는 전파를 특정 주파수로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106)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20)는 그 송신부(10)로부터 전송된 전파를 수신하고 증폭하여 의사가 청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외부에는 의사의 귀에 밀착하기 위한 이어피스(ear piece; 210)와, 그 양측의 이어피스(210)를 연결 지지하는 지지대(202)가 구성되고, 그 지지대(202)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송신부(10)로부터 전송된 전파를 신호처리하고 그 외부에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조절부(204)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하단에는 각각 전원버튼(206)과, 사용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208)가 구비되어져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의 송신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의 수신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의 송신부(10)는 먼저 상기 진동판(102)을 매개로 환자의 신체 진동파를 인가받기 위한 음파입력부(108)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음파입력부(108)의 후단에는 음파입력부(108)를 통해 입력된 음파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증폭하는 음파증폭부(110)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음파증폭부(110)의 후단에는 그 음파증폭부(110)로부터 인가된 전기적 파장을 반송파에 싣기 위한 변조부(112)가 구성되는 바, 보다 높은 주파수를 그 반송파로 하여 상기 음파증폭부(110)를 통해 인가된 전기적 음파를 반송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한편, 상기 변조부(112)의 후단에는 변조가 이루어진 파장을 증폭시키는 증폭부(114)가 마련되어져 있으며, 그 증폭부(114)의 후단에는 변조된 신호를 지정된 체배수의 고주파로 발진하기 위한 발진부(116)가 구비되어져 있고, 그 발진부(116)에서 발진된 고주파 신호는 안테나(106)를 매개로 공중으로 송출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신부(20)는 상기 송신부(10)의 안테나(106)를 통해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12)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수신부(212)의 후단에는 변조된 신호를 원래의 음파 신호로 변경시키기 위한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부(214)가 구비되며, 상기 복조부(214)의 후단에는 신호에 포함된 잡음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부(216)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필터링부(216)의 후단에는 잡음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218)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증폭부(218)에 음량조절부(204)가 접속되어져 있어 음량조절부(204)의 조작에 따라 증폭부(218)의 증폭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유아 등과 같이 신호가 약한 환자의 신체 진동 음파를 증폭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대해 전원을 투입하기 위해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투입하는 전원투입부(220)가 구비되어져 있고, 그 전원투입부(220)의 전원 투입을 스위칭하는 전원버튼(206)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전원투입부(220)와 접속되어 전원 투입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LED(208) 및 LED구동부(222)가 각각 구비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2)로는 의사가 먼저 상기 수신부(20)의 이어피스(210)를 귀에 장착하고, 그 수신부(20)의 전원버튼(206)을 조작하면 상기 수신부(20)는 주파수를 인가받을 상태인 스탠바이 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송신부(10)를 파지하고 그 진동판(102)을 환자의 신체에 밀착시키면, 상기 송신부(10)의 진동판(102)은 신체 진동파와 동조하여 진동하고, 그 진동파를 음파입력부(108)로 인가시킨다. 그러면, 상기 음파증폭부(110)는 그 음파입력부(108)를 통해 입력된 음파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증폭한다.
그리고, 상기 변조부(112)는 그 음파증폭부(110)로부터 인가된 전기적 파장을 반송파에 싣는 처리를 행하며, 보다 높은 주파수에 반송시킨다.
그리고, 상기 증폭부(114)를 통해 변조가 이루어진 파장을 증폭시키고, 상기 발진부(116)를 통과하면서 변조된 신호를 지정된 체배수의 고주파로 발진하게 된다. 그리고, 발진된 신호는 상기 안테나(106)를 매개로 공중으로 송출된다.
그러면, 상기 청진기 수신부(20)는 상기 송신부(10)의 안테나(106)를 통해 송출된 신호를 내부 수신부(212)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복조부(214)를 통해 변조된 신호를 원래의 음파 신호로 변경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부(216)을 통과하면서 신호에 포함된 잡음신호를 제거하며, 증폭부(218)를 통해 잡음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증폭하게 된다.
이때, 의사가 상기 증폭부(218)과 접속된 음량조절부(204)를 조절하게 되면 증폭부(218)의 증폭도가 조절되게 되어 유아나 중환자 등과 같이 신호가 약한 환자의 신체 진동 음파의 음량을 더욱 증폭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2)는 동일 주파수 대역이면서 해당 통신 가능한 반경에 포함된 의사는 다수의 청진기를 통해서 동일 환자의 신체에 밀착된 단일의 송신부(10)로부터의 전파를 공동으로 수신할 수 있으므로 해당 환자에 대한 다수 의사의 진찰이 동시에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의 수신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는 가청주파수 대역을 벗어난 음파를 가청주파수 대역의 파장으로 변경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는 주파수 조절부(304)와, 주파수 변경부(302), 제어부(308), 데이터저장부(306)가 더 구비되어져 있다.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3에 먼저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주파수 조절부(304)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로 주파수 변경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반적으로 사람의 가청주파수는 20∼2만Hz이며, 이것의 상한(上限) 주파수인 2만Hz를 초과한 주파수의 음파를 초음파(超音波)라 칭한다. 초음파신호의 경우에 가청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주파수를 낮은 대역으로 낮춰야하는 바, 이러한 주파수 대역의 레벨다운 처리를 행하는 수단은 주파수 변경부(302)이다.
즉, 상기 주파수 변경부(302)에서는 특정한 형태로 변경되는 파장의 초음파와 대응하는 가청주파수로 인가된 초음파를 변경 처리하게 되며, 이러한 초음파와 대응하는 가청주파수로의 변경 기준데이터 또는 모델링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저장부(306)에 저장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8)는 상기 주파수 조절부(304)로부터 주파수 조절을 시도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데이터저장부(306)로부터 해당 초음파에 대응하는 가청주파수 변경데이터를 독취하여 상기 복조부(214)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상기 주파수 변경부(302)에서 일일이 변경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초음파 신호도 의사는 본 발명의 무선 청진기를 이용하여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하여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환자의 진료 및 진찰을 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는 혈압환자를 포함한 각종 질병 환자의 신체 음파를 청취하기 위해 의사가 몸을 굽힐 필요가 없으므로 정확한 자세에서 환자를 진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유아 또는 중환자 등의 진찰시에도 소망하는 음량으로 증폭시켜 환자의 신체음파를 청취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료가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다. 또한, 동일 환자에 대해 다수 의사가 동시에 진찰할 수 있으므로 오진의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초음파의 경우에도 가청주파수로 변환하여 청취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료 행위가 가능해진다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의 송신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의 수신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의 수신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송신부, 20:수신부,
102:진동판, 104:송신모듈,
106:안테나, 204:음량조절부,
206:전원버튼, 208:LED.

Claims (5)

  1. 환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그 신체의 진동파에 의해 공진되는 진동판이 구성되고, 그 진동판의 후단에는 진동판의 파장을 변조하기 위한 송신모듈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송신모듈의 후단에는 전파를 특정 주파수로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구비된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송된 전파를 수신하고 증폭하여 의사가 청취하기 위해 그 외부에는 의사의 귀에 밀착하기 위한 이어피스와, 그 양측의 이어피스를 연결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성되고, 그 지지대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송된 전파를 신호처리하고 그 외부에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조절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하단에는 각각 전원버튼과, 사용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가 구비된 수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진동판을 매개로 환자의 신체 진동파를 인가받기 위한 음파입력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음파입력부의 후단에는 음파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음파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증폭하는 음파증폭부가 구비되고, 상기 음파증폭부의 후단에는 그 음파증폭부로부터 인가된 전기적 파장을 반송파에 싣기 위한 변조부가 구성되고, 상기 변조부의 후단에는 변조가 이루어진 파장을 증폭시키는 증폭부가 마련되어져 있으며, 그 증폭부의 후단에는 변조된 신호를 지정된 체배수의 고주파로 발진하기 위한 발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변조된 신호를 원래의 음파 신호로 변경시키기 위한 복조 처리를 행하는 복조부가 구비되며, 상기 복조부의 후단에는 신호에 포함된 잡음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부가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필터링부의 후단에는 잡음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증폭부에 음량조절부가 접속되어져 있어 음량조절부의 조작에 따라 증폭부의 증폭도가 조절되게 된 음량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다수개가 구비되고, 동일한 단일의 송신부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동시에 다수개의 수신부가 수신 가능함으로써 다수의 의사가 단일 환자의 신체 음파를 동시에 청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에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로 주파수 변경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주파수 조절부와; 주파수 대역의 레벨다운 처리를 행하는 주파수 변경부와; 초음파와 대응하는 가청주파수로의 변경 기준데이터 또는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주파수 조절부로부터 주파수 조절을 시도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데이터저장부로부터 해당 초음파에 대응하는 가청주파수 변경데이터를 독취하여 상기 복조부를 통해 인가된 신호를 상기 주파수 변경부에서 일일이 변경시키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
KR1020050019214A 2005-03-08 2005-03-08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 KR20050030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214A KR20050030934A (ko) 2005-03-08 2005-03-08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214A KR20050030934A (ko) 2005-03-08 2005-03-08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934A true KR20050030934A (ko) 2005-03-31

Family

ID=37387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214A KR20050030934A (ko) 2005-03-08 2005-03-08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09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857A1 (en) * 2012-07-05 2014-01-09 Pulmonary Apps, Llc Wireless stethoscop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436732B1 (ko) * 2013-04-05 2014-09-0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무선 공청 청진 시스템
WO2015102436A1 (ko) * 2014-01-06 2015-07-09 주식회사 피지오랩 패치형 무선청진시스템
WO2023096383A1 (ko) * 2021-11-25 2023-06-01 배상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폐질환을 발견하는 방법 및 스마트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857A1 (en) * 2012-07-05 2014-01-09 Pulmonary Apps, Llc Wireless stethoscop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8956305B2 (en) 2012-07-05 2015-02-17 Pulmonary Apps, Llc Wireless stethoscop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974515B2 (en) 2012-07-05 2018-05-22 Pulmonary Apps, Llc Wireless stethoscop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0433812B2 (en) 2012-07-05 2019-10-08 Pulmonary Apps, Llc Wireless stethoscop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0925574B2 (en) 2012-07-05 2021-02-23 Pulmonary Apps, Llc Wireless stethoscop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0987082B2 (en) 2012-07-05 2021-04-27 Pulmonary Apps, Llc Wireless stethoscop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436732B1 (ko) * 2013-04-05 2014-09-0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무선 공청 청진 시스템
WO2015102436A1 (ko) * 2014-01-06 2015-07-09 주식회사 피지오랩 패치형 무선청진시스템
WO2023096383A1 (ko) * 2021-11-25 2023-06-01 배상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폐질환을 발견하는 방법 및 스마트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2084B1 (en) Wireless physiological pressure sensor and transmitter with capability of short range radio frequency transmissions
US20120190303A1 (en) Cell-phone compatible wireless stethoscope
CN101123915B (zh) 声监控器
US20190083056A1 (en) A system for converting a passive stethoscope into a wireless and tubeless stethoscope
KR20110047181A (ko)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한 무선 전자 청진기
US20210282739A1 (en) Stethoscope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physical examination of a patient
KR101550676B1 (ko) 패치형 무선청진시스템
KR20050030934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 청진기
KR101308417B1 (ko) 전자청진기
AU2005100352A4 (en) Tubeless Stethoscope
EP0295318B1 (en) Electronic stethoscopic apparatus
JP2006255410A (ja) 無線電子医療装置のチャンネル切換え方法
JP2004261264A (ja) 電子聴診器及びその遠隔モニタシステム
CN214387499U (zh) 一种基于蓝牙技术的电子听诊器
KR20000030132A (ko)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초음파 감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원격 진료 시스템
JPH0928702A (ja) 電子式聴診装置
CN109044397B (zh) 一种无线传输的听诊器
KR20200002297U (ko) 청진기, 체온계 및 심전도 측정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장치
CN213097964U (zh) 一种无线蓝牙听诊器
WO1998034530A2 (en) Body sounds observation system
KR100404595B1 (ko) 전자청진기
KR200395777Y1 (ko) 교육용 전자청진 시스템
JP2819252B2 (ja) 双方向性胎児信号装置
JPH0728509U (ja) 聴診器
KR200323815Y1 (ko) 청진기와 한 조가 된 핸즈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