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775B1 -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775B1
KR101701775B1 KR1020140168462A KR20140168462A KR101701775B1 KR 101701775 B1 KR101701775 B1 KR 101701775B1 KR 1020140168462 A KR1020140168462 A KR 1020140168462A KR 20140168462 A KR20140168462 A KR 20140168462A KR 101701775 B1 KR101701775 B1 KR 101701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film
unit
ship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4630A (ko
Inventor
전미리
오태진
하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8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775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75Manipulators for painting o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4Preventing hull fouling
    • B63B59/045Preventing hull fouling by wrapping the submerged hull or part of the hull with an impermeable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10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4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positively actuated mov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표면을 따라 주행하는 제1 주행 유닛을 구비하여, 상기 선박의 표면에 필름을 도포하는 제1 캐리지; 및 상기 제1 캐리지를 따라 주행하는 제2 주행 유닛을 구비하여, 상기 선박의 표면에 도포된 필름을 가압하여 부착하는 제2 캐리지를 포함하는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A film attaching apparatus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캐리지를 이용하여 평면 및 곡면에 필름을 부착할 수 있는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표면은 해수와 접촉하기 때문에, 해수에 의한 부식 등이 발생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선박의 표면에는 액체 도료(paint)를 도장함으로써, 선박의 부식을 방지한다. 이러한 선박 도장작업은 숍 프라이머(shop primer), 에칭 프라이머(etching primer) 등의 액체 도료를 5~7회에 걸쳐 도막을 형성시켜 완성되고, 선박의 최종 품질 및 건조 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선박도장작업은 여러 회에 걸쳐 작업을 진행해야 하며 각 도장 회차 마다 일정시간의 도막 건조 시간이 소요되며, 각각 독립적인 특성을 갖는 도료들이 도장 작업에 사용됨에 따라, 도장 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양한 특성의 도료를 분사(spray)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방식을 택함에 따라, 도료 성분이 분사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고, 주위 환경을 오염시키며, 분산된 도료만큼 재료비 손실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간이 직접 도장 작업을 수행하기에, 선박 도장 품질에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선박 도장작업의 효율성 증대, 작업자의 안전성 증대 및 선박 도장 품질 결함 방지 등을 위한 해결책이 요구되는 추세이다.
일본등록공보 제3408694호 (JP 3408694) 한국등록공보 제10-1325697호 (KR 10-132569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한 쌍의 캐리지를 이용하여 평면 및 곡면에 필름을 부착할 수 있는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는, 선박의 표면을 따라 주행하는 제1 주행 유닛을 구비하여, 상기 선박의 표면에 필름을 도포하는 제1 캐리지; 및 상기 제1 캐리지를 따라 주행하는 제2 주행 유닛을 구비하여, 상기 선박의 표면에 도포된 필름을 가압하여 부착하는 제2 캐리지를 포함한다.
또한,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는, 상기 제1 캐리지와 상기 제2 캐리지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 유닛은, 상기 제1 캐리지 및 상기 제2 캐리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캐리지와 상기 제2 캐리지 간의 간격을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 및 상기 거리 감지 센서에서 수신된 간격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캐리지와 상기 제2 캐리지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 주행 유닛과 상기 제2 주행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 감지 센서는,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박의 표면이 평면일 때, 상기 제1 캐리지와 상기 제2 캐리지 간의 간격이 제1 간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주행 유닛 및 상기 제2 주행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선박의 표면이 곡면일 때, 상기 제1 캐리지와 상기 제2 캐리지 간의 간격이 제2 간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주행 유닛 및 상기 제2 주행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간격 거리는, 상기 제1 간격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 유닛은, 상기 제1 캐리지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의 곡률을 감지하는 곡률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캐리지는, 상기 선박의 표면에 도포되는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피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캐리지는, 상기 선박의 표면에 도포된 필름을 가압하여 부착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캐리지는, 상기 필름 피더에서 공급된 필름에 텐션을 제공하는 필름 텐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캐리지는, 상기 선박의 표면에 가압하여 부착된 필름을 가열하는 가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캐리지는, 상기 필름에 부착된 하측 이형지를 제거하는 제1 이형지 제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캐리지는, 상기 필름에 부착된 상측 이형지를 제거하는 제2 이형지 제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선박 도장을 위해 필름을 선박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도장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선박 도장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 쌍의 캐리지를 이용하여, 평면인 선박과 곡면인 선박에 필름을 정확하게 부착할 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의 제1 캐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의 제2 캐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피더에서 공급하는 필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가 평면인 선박에 필름을 부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가 곡면인 선박에 필름을 부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10)는 제1 캐리지(100) 및 제2 캐리지(200)를 포함한다.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10)는 간격 조절 유닛(300)을 포함한다.
제1 캐리지(100)는 선박의 표면을 따라 주행하는 제1 주행 유닛(120)을 구비하여, 선박의 표면에 필름(20)을 도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자세한 사항은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캐리지(200)는 제1 캐리지(100)를 따라 주행하는 제2 주행 유닛(220)을 구비하여, 선박의 표면에 도포된 필름(20)을 가압하여 부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자세한 사항은 도 4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간격 조절 유닛(300)은 제1 캐리지(100)와 제2 캐리지(200)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간격 조절 유닛(300)은 거리 감지센서 및 컨트롤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리 간격 조절 유닛(300)은 곡률 감지 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소정의 실시예에서 간격 조절 유닛(300)은 제1 캐리지(100)와 제2 캐리지(200)를 연결하는 연결줄(미도시)과, 상기 연결줄(미도시)이 연결되는 고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줄(미도시)은 제1 캐리지(100)와 제2 캐리지(200)간의 거리가가 소정 거리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고리(미도시)는 제1 캐리지(100)의 후방 및 제2 캐리지(200)의 전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거리 감지 센서(310)는 제1 캐리지(100) 및 제2 캐리지(2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제1 캐리지(100)와 제2 캐리지(200) 간의 간격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거리 감지 센서(310)는 제1 캐리지(100)의 후방에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거리 감지 센서(310)는 제2 캐리지(200)의 전방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거리 감지 센서(310)는 제1 캐리지(100)의 후방과 후술할 제2 몸체(210)의 전방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거리 감지 센서(310)는 제1 캐리지(100)의 후방과 제2 캐리지(200)의 전방에 배치된 가압 유닛(230)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도 있다.
거리 감지 센서(310)는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거리 감지 센서(310)는 레이저 센서로 이루어진다. 레이저 센서는 직진성이 뛰어나고, 어두운 환경에서도 제1 캐리지(100)와 제2 캐리지(200) 간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레이저 센서는 제1 캐리지(100)에서 제2 캐리지(200)로 레이저를 송출하여 반사되는 신호가 돌아오는 시간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제1 캐리지(100)및 제2 캐리지(200)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곡률 감지 센서(330)는 제1 캐리지(100)의 전방에 구비된다. 즉, 곡률 감지 센서(330)는 제1 캐리지(100)의 주행 방향 측에 구비된다. 곡률 감지 센서(330)는 제1 캐리지(100)가 주행하는 선박의 곡률을 감지한다. 따라서, 컨트롤러(320)는 곡률 감지 센서(330)에서 감지한 곡률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박이 평면인지 곡면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곡률 감지 센서(330)는 감지된 선박의 곡률 정보를 전술한 컨트롤러(320)로 전송한다
컨트롤러(320)는 거리 감지 센서(310)에서 수신된 제1 캐리지(100)와 제2 캐리지(200) 간의 간격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캐리지(100)와 제2 캐리지(200)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컨트롤러(320)는 거리 감지 센서(310)에서 수신된 간격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캐리지(100)와 제2 캐리지(200)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제1 주행 유닛(120)과 제2 주행 유닛(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320)는 곡률 감지 센서(330)에서 감지한 선박의 곡률 정보를 수신한다. 컨트롤러(320)는 수신된 상기 곡률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캐리지(100)가 주행 중인 선박이 평면인지 곡률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320)는 기 설정된 데이터 테이블(data table)의 곡률 정보와 감지한 곡률 정보를 비교하여 곡면인지 평면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데이터 테이블(data table)에는 감지된 곡률 값에 따라 상이한 간격 거리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테이블에 기 저장된 간격 거리는 감지된 곡률 값이 클수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320)는 선박의 표면이 평면일 때, 제1 캐리지(100)와 제2 캐리지(200) 간의 간격이 제1 간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제1 주행 유닛(120) 및 제2 주행 유닛(2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20)는 선박의 표면이 곡면일 때, 제1 캐리지(100)와 제2 캐리지(200)의 간격이 제2 간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제1 주행 유닛(120) 및 제2 주행 유닛(2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선박의 표면이 평면일 때, 제1 캐리지(100)와 제2 캐리지(200)의 간격이 작아도 제2 캐리지(200)의 가압 유닛(230)이 선박의 표면에 도포된 필름(20)을 가압할 수 있다. 하지만, 선박의 표면이 곡면일 때, 제1 캐리지(100)와 제2 캐리지(200)의 간격이 작으면, 제2 캐리지(200)의 가압 유닛(230)이 선박의 표면에 도포된 필름(20)을 가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선박의 표면이 곡면일 때, 제2 간격 거리는 제1 간격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의 제1 캐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캐리지(100)는 선박의 표면을 따라 주행하는 제1 주행 유닛(120)을 구비하여, 선박의 표면에 필름(20)을 도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캐리지(100)는 제1 몸체(110), 제1 주행 유닛(120), 필름 피더(130), 필름 텐션 유닛(140), 제1 이형지 제거 유닛(150) 및 곡률 감지 센서(330)를 포함한다.
제1 몸체(110)에는 제1 주행 유닛(120), 필름 피더(130), 필름 텐션 유닛(140), 제1 이형지 제거 유닛(150)이 설치된다.
제1 주행 유닛(120)은 제1 캐리지(100)에 구비되어, 제1 캐리지(100)를 선박의 표면을 따라 주행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주행 유닛(120)은 제1 몸체(11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제1 휠(121) 및 복수의 제1 휠(121)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 모터(122)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휠(121)은 제1 몸체(1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제1 구동 모터(122)는 제1 몸체(110)에 설치되며, 제1 휠(121)과 연결되어 제1 휠(121)을 회전시킨다. 즉, 제1 구동 모터(122)는 복수의 제1 휠(121)을 구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1 구동 모터(122)는 제1 캐리지(100)가 선박의 표면을 따라 주행되도록 하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주행 유닛(120)은 스틸 성분을 포함하는 선박과 자력이 작용하는 자성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미도시)는 제1 휠(121)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제1 휠(121)의 표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자성체(미도시)가 제1 휠(121)에 배치됨에 따라, 제1 주행 유닛(120)은 제1 캐리지(100)를 선박의 벽면, 천정면 등에서도 부착된 상태로 주행시킬 수 있다.
필름 피더(130)는 선박의 표면에 부착되는 필름(20)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필름 피더(130)는 제1 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회전 가능한 공급 릴(131)을 구비한다. 공급 릴(131)에는 선박에 부착되는 필름(20)이 감겨져 있으며, 양측에는 공급 릴(131)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3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32)는 몸체(110)에 설치된다.
또한, 필름 피더(130)는 공급 릴(131)을 회전시키는 서보 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서보 모터(미도시)는 제1 주행 유닛(120)과 연동하여 공급 릴(13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서보 모터(미도시)는 공급 릴(13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서보 모터(미도시)는 제1 캐리지(100)의 이동 속도에 대응하여 공급 릴(13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보 모터(미도시)는 제1 캐리지(100)의 이동 속도가 빠를 때, 공급 릴(131)을 빠르게 회전시키고, 제1 캐리지(100)의 이동 속도가 느릴 때, 공급 릴(131)을 느리게 회전 시킨다. 따라서, 필름 피더(130)의 필름 공급 속도와 제1 캐리지(100)의 이동 속도 편차에 따른 필름 꼬임 현상, 필름이 늘어나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필름 텐션 유닛(140)은 필름 피더(130)에서 공급되는 필름(20)을 일 방향으로 지지하여 필름(20)에 균일한 장력을 가한다. 이에 따라, 필름 텐션 유닛(140)은 필름 피더(130)에서 공급된 필름(20)에 텐션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필름 텐션 유닛(140)은 제1 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필름 피더(13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필름 텐션 유닛(140)은 필름 피더(130)와 제1 이형지 제거 유닛(150)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필름 텐션 유닛(140)은 필름 피더(130)에서 공급되는 필름(20)에 텐션을 가하여, 필름이 팽팽하게 펴지도록 할 수 있다. 필름(20)이 팽팽하게 펴짐에 따라, 제1 이형지 제거 유닛(150)은 필름(20)에서 하측 이형지(23)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필름 텐션 유닛(140)은 필름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측 텐션 롤러부(142), 필름(20)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측 텐션 롤러부(141), 하측 텐션 롤러부(142)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텐션 롤러부(142)는 상측 텐션 롤러부(141)의 후방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측 텐션 롤러부(142)는 힌지부(143)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시, 필름(20)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필름(20)의 텐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하측 텐션 롤러부(142)는 힌지부(143)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시, 필름(20)을 느슨하게 하여 필름(20)의 텐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이형지 제거 유닛(150)은 필름(20)의 하측 표면에 구비된 하측 이형지(23)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1 이형지 제거 유닛(150)은 필름(20)에서 하측 이형지(23)를 제거하여, 필름(20)에서 접착제(22)가 드러나도록 한다.
제1 이형지 제거 유닛(150)은 제1 몸체(110)에 설치된다. 또한, 제1 이형지 제거 유닛(150)은 필름(20)의 하측 표면에서 하측 이형지(23)를 분리하는 박리부(미도시), 필름(20)의 하측 표면에서 박리된 하측 이형지(23)를 회수하는 제1 회수릴 및 상기 제1 회수릴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의 제2 캐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캐리지(200)는 제1 캐리지(100, 도 1 참조)를 따라 주행하는 제2 주행 유닛(220)을 구비하여, 선박의 표면에 도포된 필름(20)을 가압하여 부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캐리지(200)는 제2 몸체(210), 제2 주행 유닛(220), 가압 유닛(230), 가열 유닛(240) 및 제2 이형지 제거 유닛(250)을 포함한다.
제2 몸체(210)에는 제2 주행 유닛(220), 가압 유닛(230), 가열 유닛(240) 및 제2 이형지 제거 유닛(250)이 설치된다.
제2 주행 유닛(220)은 제2 캐리지(200)에 구비되어, 제2 캐리지(200)를 제1 캐리지(100, 도 1 참조)를 따라 주행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주행 유닛(220)은 제2 몸체(21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제2 휠(221) 및 복수의 휠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 모터(222)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휠(221)은 제2 몸체(2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제2 구동 모터(222)는 제2 몸체(210)에 설치되며, 제2 휠(221)과 연결되어 제2 휠(221)을 회전시킨다. 즉, 제2 구동 모터(222)는 복수의 제2 휠(221)을 구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2 구동 모터(222)는 제2 캐리지(200)라 제1 캐리지(100, 도 1 참조)를 따라 주행되도록 하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주행 유닛(220)은 스틸 성분을 포함하는 선박과 자력이 작용하는 자성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미도시)는 제2 휠(221)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제2 휠(221)의 표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자성체(미도시)가 제2 휠(221)에 배치됨에 따라 제2 주행 유닛(220)은 제2 캐리지(200)를 선박의 벽면, 천장면 등에서도 부착된 상태로 주행시킬 수 있다.
가압 유닛(230)은 선박의 표면에 도포된 필름(20)을 가압하여 부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가압 유닛(230)은, 제1 캐리지(100, 도 1 참조)에서 선박의 표면에 도포한 필름(20)을 가압하여, 선박의 표면에 부착한다.
가압 유닛(230)은 제2 몸체(210)의 전방에 설치된다. 가압 유닛(230)은 필름(20)에 접촉하여 필름(20)을 선박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롤러(231) 및 가압 롤러(231)를 회동시키는 회동 부재(2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압 유닛(230)은 필름(20)을 선박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이 가압 롤러(231)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압 유닛(230)은 필름(20)은 선박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이 가압 플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롤러(231)는 필름(20)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필름(20)의 폭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필름(20)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 롤러(231)는 필름(20)의 폭 방향 전체 길이에 균일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회동 부재(232)는 제2 몸체(210)에 설치되며, 가압 롤러(231)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가압 롤러(231)는 회동 부재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시, 필름(20)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되고, 회동 부재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시, 필름(20)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가열 유닛(240)은 선박의 표면에 가압하여 부착된 필름(20)을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열 유닛(240)은 제2 몸체(210)에 설치되며, 복사, 대류 또는 전도의 방법으로 필름(20)을 가열한다. 가열 유닛(240)은 필름(20)의 폭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가열 유닛(240)은 필름(20)의 폭 방향 전체 길이에 균일한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이형지 제거 유닛(250)은 필름(20)의 상측 표면에 구비된 상측 이형지(24)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2 이형지 제거 유닛(250)은 필름(20)에서 상측 이형지(24)를 제거하여, 필름(20)에서 도장 필름(21)이 드러나도록 한다.
제2 이형지 제거 유닛(250)은 제2 몸체(210)에 설치된다. 또한, 제2 이형지 제거 유닛(250)은 필름(20)의 상측 표면에서 상측 이형지(24)를 분리하는 박리부(미도시), 필름(20)의 상측 표면에서 박리된 하측 이형지(23)를 회수하는 제2 회수릴 및 상기 제2 회수릴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피더(130)에서 공급하는 필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피더(130)에서 공급되는 필름(20)은 도장 필름(21), 접착제(22) 및 이형지(23, 24)를 포함한다. 필름(20)은 도료가 도포되지 않은 선박의 표면에 부착된다. 즉, 필름(20)은 도료를 대신하여 선박의 표면에 부착된다.
도장 필름(21)은 선박의 표면에 도장되는 필름으로써, 선박을 해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장 필름(21)은 상측에는 후술할 상측 이형지(24)가 배치되고, 하측에는 접착제(22)가 배치된다.
접착제(22)는 도장 필름(21)을 선박의 표면에 부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접착제(22)는 상측에는 도장 필름(21)이 배치되고, 하측에는 후술할 하측 이형지(23)가 배치된다.
접착제(22)는 가열, 용융 상태에서 접착하는 고체 상태의 핫멜트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우레탄 계열 또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22)는 고체 상태에서 가열 유닛(240)에 의해 용융될 수 있고, 용융된 핫멜트 접착제(22)가 응고되면 도장 필름(21)은 선박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형지(23, 24)는 도장 필름(21)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이형지(24) 및 접착제(22)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이형지(23)를 포함한다. 이형지(23, 24)는 필름(20)을 선박의 표면에 부착하기 전에 도장 필름(21) 및 접착제(22)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형지(23, 24)는 필름(20)의 표면에 배치되며. 제1 이형지 제거 유닛(150) 및 제2 이형지 제거 유닛(250)에 의해 필름에서 제거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가 평면인 선박에 필름을 부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10)가 선박의 표면에 필름(20)을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1 캐리지(100)는 제1 주행 유닛(120)에 의해 선박의 표면을 주행한다. 제1 캐리지(100)는 필름 피더(130)에서 공급된 필름(20)에서 하측 이형지(23)를 제거하고, 하측 이형지(23)가 제거된 필름을 선박의 표면에 도포한다.
제2 캐리지(200)는 제2 주행 유닛(220)에 의해 제1 캐리지(100)를 따라 선박의 표면을 주행한다. 제2 캐리지(200)는 제1 캐리지(100)가 도포한 필름(20)을 가압 유닛(230)을 통해 선박의 표면에 가압한다.
제2 캐리지(200)는 선박의 표면에 가압된 필름(20)을 가열 유닛(240)을 통해 가열하여, 고체의 접착제(22)를 용융 상태로 형성한다. 제2 캐리지(200)는 가열된 필름(20)으로부터 상측 이형지(24)를 제거한다.
상측 이형지(24)가 제거된 필름(20)은 용융된 접착제(22)가 응고됨으로써, 선박의 표면에 부착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선박의 표면이 평면 경우와 곡면인 경우에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1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1 캐리지(100)의 전방에 구비된 곡률 감지 센서(330)가 선박의 곡률을 감지한다. 간격 조절 유닛(300)의 컨트롤러(320)는 감지된 곡률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박의 표면이 곡면인지 평면인지를 판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표면이 평면일 때, 컨트롤러(320)는 제1 주행 유닛(120)을 제어하여, 제1 캐리지(100)와 제2 캐리지(200) 간의 간격이 제1 간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표면이 곡면일 때, 컨트롤러(320)는 제1 주행 유닛(120)을 제어하여, 제1 캐리지(100)와 제2 캐리지(200) 간의 간격이 제2 간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제2 간격 거리는 제1 간격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선박의 표면이 평면일 때, 제1 캐리지(100)와 제2 캐리지(200)의 간격이 작아도 제2 캐리지(200)의 가압 유닛(230)이 선박의 표면에 도포된 필름(20)을 가압할 수 있다. 하지만, 선박의 표면이 곡면일 때, 제1 캐리지(100)와 제2 캐리지(200)의 간격이 작으면, 제2 캐리지(200)의 가압 유닛(230)이 선박의 표면에 도포된 필름(20)을 가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선박의 표면이 곡면일 때, 제2 간격 거리는 제1 간격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간격 거리는 곡률 감지 센서(330)에서 감지한 곡률 값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간격 거리는 감지된 곡률 값이 클수록 거리가 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100: 제1 캐리지
110: 제1 몸체 120: 제1 주행 유닛
121: 제1 휠 122: 제1 구동 모터
130: 필름 피더 131: 공급 릴
132: 지지부 140: 필름 텐션 유닛
141: 상측 텐션 롤러부 142: 하측 텐션 롤러부
143: 힌지부 150: 제1 이형지 제거 유닛
200: 제2 캐리지 210: 제2 몸체
220: 제2 주행 유닛 221: 제2 휠
222: 제2 구동 모터 230: 가압 유닛
231: 가압 롤러 232: 회동 부재
240: 가열 유닛 250: 제2 이형지 제거 유닛
300: 간격 조절 유닛 310: 거리 감지 센서
320: 컨트롤러 330: 곡률 감지 센서

Claims (11)

  1. 선박의 표면을 따라 주행하는 제1 주행 유닛을 구비하여, 상기 선박의 표면에 필름을 도포하는 제1 캐리지;
    상기 제1 캐리지를 따라 주행하는 제2 주행 유닛을 구비하여, 상기 선박의 표면에 도포된 필름을 가압하여 부착하는 제2 캐리지; 및
    상기 제1 캐리지와 상기 제2 캐리지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간격 조절 유닛은,
    상기 제1 캐리지 및 상기 제2 캐리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캐리지와 상기 제2 캐리지 간의 간격을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 및
    상기 거리 감지 센서에서 수신된 간격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캐리지와 상기 제2 캐리지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 주행 유닛과 상기 제2 주행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감지 센서는,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박의 표면이 평면일 때, 상기 제1 캐리지와 상기 제2 캐리지 간의 간격이 제1 간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주행 유닛 및 상기 제2 주행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선박의 표면이 곡면일 때, 상기 제1 캐리지와 상기 제2 캐리지 간의 간격이 제2 간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주행 유닛 및 상기 제2 주행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간격 거리는, 상기 제1 간격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유닛은, 상기 제1 캐리지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의 곡률을 감지하는 곡률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지는,
    상기 선박의 표면에 도포되는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피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캐리지는,
    상기 선박의 표면에 도포된 필름을 가압하여 부착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지는,
    상기 필름 피더에서 공급된 필름에 텐션을 제공하는 필름 텐션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리지는,
    상기 선박의 표면에 가압하여 부착된 필름을 가열하는 가열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지는,
    상기 필름에 부착된 하측 이형지를 제거하는 제1 이형지 제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캐리지는,
    상기 필름에 부착된 상측 이형지를 제거하는 제2 이형지 제거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KR1020140168462A 2014-11-28 2014-11-28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KR101701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462A KR101701775B1 (ko) 2014-11-28 2014-11-28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462A KR101701775B1 (ko) 2014-11-28 2014-11-28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630A KR20160064630A (ko) 2016-06-08
KR101701775B1 true KR101701775B1 (ko) 2017-02-02

Family

ID=5619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462A KR101701775B1 (ko) 2014-11-28 2014-11-28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7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1977B (zh) * 2017-07-24 2019-07-09 李�昊 无损伤船壳贴膜防护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8694B2 (ja) 1996-07-25 2003-05-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接着塗装装置
KR101129684B1 (ko) * 2009-08-13 2012-03-28 이종수 선박용 보호필름
KR101325697B1 (ko) 2011-12-16 2013-1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378900B1 (ko) * 2012-03-23 2014-04-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접착제 도포장치
KR101411938B1 (ko) * 2012-08-10 2014-06-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630A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34262B2 (ja) デジタル印刷システムのための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7201345B2 (en) Reeled material splicing method and apparatus
JP4323443B2 (ja) 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CN102873995B (zh) 卷筒状介质输送装置、卷筒状介质输送方法及记录装置
CN108712942B (zh) 将密封型材利用粘接层安装在车身或车身部分上的方法
US7413626B2 (en) Adhesive film removal method and apparatus
US20120073748A1 (en) Device for Coating a Workpiece
KR101690969B1 (ko)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DK2976209T3 (en) Foil Embossing device
JP2010500191A5 (ko)
KR101701775B1 (ko) 선박용 필름 부착 장치
AU2019202920A1 (en) Large surface laminating system and method
EP2754559B1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US9216565B2 (en) Flexible film application for decorative coatings
EP3359385A1 (en) Tape coating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JP4913378B2 (ja) ラベル供給装置及び供給方法
NL2001381C2 (nl) Werkwijze voor het aanbrengen van een in hoofdzaak uit fotopolymeer vervaardigde flexibele drukplaat op een drager, en inrichting voor toepassing van een dergelijke werkwijze.
CN207154048U (zh) 热熔胶卷材涂布生产系统
US10494124B2 (en) Device for applying around groups of two or more containers a tape provided on one surface with adhesive without discontinuities
US9381757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sheet transfer method
US201703129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heat-activated double-sided adhesive tape to a support
JP7214200B2 (ja) 印刷塗工装置
CN106733393A (zh) 双错位涂布方法及装置
JP3668045B2 (ja) 帯状部材の張力制御装置
JP2005059340A (ja) 箔押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