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727B1 - 음료 디스펜서와, 이를 위한 가열 유닛 - Google Patents

음료 디스펜서와, 이를 위한 가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727B1
KR101700727B1 KR1020107029126A KR20107029126A KR101700727B1 KR 101700727 B1 KR101700727 B1 KR 101700727B1 KR 1020107029126 A KR1020107029126 A KR 1020107029126A KR 20107029126 A KR20107029126 A KR 20107029126A KR 101700727 B1 KR101700727 B1 KR 101700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verage dispenser
heating element
insert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3522A (ko
Inventor
로마누스 에두아르드 버호벤
Original Assignee
브라빌로 홀딩 베.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빌로 홀딩 베.베. filed Critical 브라빌로 홀딩 베.베.
Publication of KR20110013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hereby the powder ingredients and the water are delivered to a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Packag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따뜻한 인스턴트 음료의 마련을 위한 음료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음료 디스펜서는, 온수용의 가열 유닛; 인스턴트 재료용의 컨테이너 홀더; 상기 컨테이너 홀더로부터의 인스턴트 재료를 상기 가열 유닛으로부터의 온수와 혼합하는 혼합 유닛; 및 상기 음료를 전달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 유닛은, 용기 벽에 의해 모든 측부에 둘러싸이며, 바닥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부, 천정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부, 및 상기 하측부와 상기 상측부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방향 중앙 라인을 갖는 폐쇄형 용기; 가열 요소; 입구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입수구; 및 출구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의 내부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출수구;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 요소는 상기 바닥부 위의 거리에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위치설정된다. 상기 입구 개구는 상기 가열 요소 아래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된다. 상기 출구 개구는 상기 가열 요소 위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된다.

Description

음료 디스펜서와, 이를 위한 가열 유닛{Beverage dispenser}
본 발명은,
온수용의 히터 유닛;
인스턴트 재료용의 컨테이너 홀더;
상기 컨테이너 홀더로부터의 인스턴트 재료를 상기 가열 유닛으로부터의 온수와 혼합하는 혼합 유닛; 및
상기 음료를 전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따뜻한 인스턴트 음료의 마련을 위한 음료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음료 디스펜서는 예컨대 NL 1.013.769호에 잘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음료 디스펜서는 따뜻한 인스턴트 음료를 짧은 대기시간에 전달하기 위해 온수를 항상 분배하도록 배치된 가열 유닛을 갖는다. 가열 유닛 내의 물은 소정의 온도로 영구적으로 보유되므로, 비교적 높은 양의 에너지를 소모하는 열손실을 초래한다. 또한, 사용을 위해 온수가 분배되는 경우, 가열 유닛은 새로운 물로 재충진되어야 하고, 온수 공급부의 온도를 소정의 레벨로 유지하기 위해 물이 신속하게 가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로서, 따뜻한 음료가 음료 디스펜서로부터 분배되는 경우에도 소정의 온도를 갖는 온수량의 공급이 효율적으로 제공되는 음료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쉽게 제조될 수 있고 가동 상의 확실성을 갖는 음료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정한 목적은 이중 벽을 갖는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 벽 내에 함유된 격리 재료를 통해 또는 상기 벽들 사이에 존재하는 가압으로부터 주위로의 누설 가능성이 감소되는 음료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따뜻한 인스턴트 음료의 마련을 위한 음료 디스펜서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되며, 상기 음료 디스펜서는,
온수용의 가열 유닛;
인스턴트 재료용의 컨테이너 홀더;
상기 컨테이너 홀더로부터의 인스턴트 재료를 상기 가열 유닛으로부터의 온수와 혼합하는 혼합 유닛; 및
상기 음료를 전달하는 노즐;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의 상기 가열 유닛은,
용기 벽에 의해 모든 측부에 둘러싸이며, 바닥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부, 천정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부, 및 상기 하측부와 상기 상측부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방향 중앙 라인을 갖는 폐쇄형 용기;
가열 요소;
입구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입수구; 및
출구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의 내부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출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 요소는 상기 바닥부 위의 거리에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위치설정되고,
상기 입구 개구는 상기 가열 요소 아래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출구 개구는 상기 가열 요소 위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용기 벽은 삽입부 내에 수용된 인서트를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는 상기 용기 벽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의 외부로부터 상기 용기의 내부로 상기 용기 벽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온도 센서, 입수구, 가열 요소, 출수구와 같은 상기 용기 내에 존재하는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컨덕트는 상기 인서트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폐쇄형 용기, 가열 요소, 상기 가열 요소 내의 입수구 및 상기 용기 외부의 출수구를 포함하는 가열 유닛에 의해, 상기 용기 내의 온수를 갖고 상기 출수구와 상기 입수구를 통해 온수가 전달될 때 물 공급부를 재충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열 요소에 의해, 상기 용기 내의 물의 온도는 소정의 온도로 유지되거나, 또는 새로운 물이 도입될 때 물이 소정의 온도가 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열 요소는 상기 용기의 바닥부 위의 거리에 상기 용기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입수구의 입구 개구는 상기 가열 요소 아래의 상기 용기 내에 제공되고, 상기 출수구의 출구 개구는 상기 가열 요소보다 높게 제공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열은 상승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따뜻한 액체층이 차가운 액체층의 상부에 놓이는 경향을 갖게 한다. 상기 가열 요소 위에서 상기 용기로부터 온수를 전달하는 상기 출구 개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용기의 비교적 따뜻한 부분으로부터 온수가 전달된다. 상기 가열 요소 아래에서 새로운 물을 상기 용기에 제공하는 상기 입구 개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새로운 물이 상기 용기의 비교적 차가운 부분에 공급되는 한편, 상기 용기의 보다 따뜻한 부분 내의 물의 온도는 비교적 제한된 방식으로 영향을 받는다. 물리적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비교적 차가운 새로운 물은 상기 용기의 바닥부로 흐른다. 상기 비교적 차가운 물을 상기 용기의 하부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새로운 차가운 물은 상기 출구 개구 근방의 따뜻한 층을 통과하지 않아, 음료를 마련하기 위해 전달하기 유용한 온수가 식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출수구와 상기 입수구 사이에 상기 가열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용기의 바닥부로부터의 차가운 물은 상기 용기의 보다 따뜻한/가열된 부분으로 상승할 수 있기 전에 상기 가열 요소를 통과해야 할 것이다. 이는 음료(들)를 위한 가열된 물의 "직접 전달"이 효과적인 방식으로 소정의 온도로 마련되게 한다. 이는 뜨거운 음료를 전달하기 위한 대기시간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전력 사용을 보다 낮춘다.
제조를 이유로, 상기 천정부 또는 상기 바닥부에 모든 컨덕트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컨덕트는 별개로 형성된 인서트를 통과한다. 상기 인서트를 통해 상기 컨덕트를 배치한 후에, 상기 인서트는, 플러그와 마찬가지로, 상기 용기 벽 내의 삽입부 내에 전체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용기 벽은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폐쇄되는 문제에 대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은 상기 용기가 이중 벽을 갖는 용기인 경우 특히 관련이 있으며, 그 사이의 공간은 진공이다. 이러한 이점은 상기 사이 공간이 격리 가스로 충진되는 경우에 존재하며, 상기 가스는 특히 공기와는 상이한 가스이다. 이는 상기 인서트를 삽입하기 위해서만 상기 용기 벽을 통해 통로를 형성하게 한다. 이러한 단일 통로는 상기용기의 제조 동안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로를 이후에 형성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으며, 따뜻한 누설에 대한 밀도 등의 상기 용기 벽의 온전한 상태에 영향을 주게 된다. 유사한 용기의 상기 이중 벽의 온전한 상태가 영향을 받게 되면, 그 격리 특성의 손실 또는 부분적인 손실을 초래한다. 인서트를 통해 가능한 한 멀리 상기 컨덕트를 배치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용기 벽 내의 삽입부에 전체적으로 상기 인서트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용기 벽의 온전한 상태에 대한 영향이 완전히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용기의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요소들 사이의 수직방향의 상호 관계, 즉 상기 입구 개구는 상기 가열 요소보다 낮게 놓이고, 상기 출구 개구는 상기 가열 요소보다 높게 놓이는 것에 의해 상기 용기의 바닥부 또는 상기 용기의 천정부 내에 상기 인서트를 위치설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하기에 설명되는 이유로 인해, 상기 입구, 상기 가열 요소 및 온도 센서의 컨덕트를 위치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인서트는 상기 바닥부에 위치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열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용기의 주위에 대해 상기 용기의 내부를 열적으로 격리함으로써 상기 용기를 대체로 열적으로 격리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열적 격리는 가열 유닛을 위해 공지된 것으로서, 열적으로 격리하는 발포체 또는 또 다른 재료로 상기 용기를 팩킹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열적 격리는 상기 용기를 대체로 이중 벽으로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이중 벽들 사이에는 격리 재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스 또는 진공(가스가 없는 것이 아니라 주위 압력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압력의 열적 격리의 기술에 따름)인 상기 이중 벽들 사이의 공간을 충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중 벽을 갖는 가스 충진되고 진공의 용기를 위해, 이중 벽을 갖는 상기 용기의 벽들 중 적어도 하나를 금속층, 특히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 코팅 등의 열 반사층으로 코팅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상기 이중 벽의 내부 공간 내에 코팅을 제공하는 것이 실현가능하다. 유리 벽의 경우, 상기 층은 통상적으로 상기 벽들 중 하나 쪽으로 지향된 측부 상에 제공된 코팅을 포함한다. 금속 벽의 경우, 상기 층은 상기 사이 공간 내에 제공된 열 반사 호일(heat reflecting foil)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컨덕트를 상기 바닥부 내의 상기 입수구에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컨덕트는 달리 열 격리된 용기로부터의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열 가이드를 형성한다. 바닥부, 즉 상기 용기의 보다 차가운 부분 내에 상기 입수구용의 상기 컨덕트를 제공함으로써, 열 손실이 최소화된다.
상기 가열 요소는, 특히 전원 해제된 경우에 상기 용기로부터 열 손실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유사한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컨덕트를 상기 바닥부 내의 상기 가열 요소에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용기로부터의 열 손실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유사한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용기의 내부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갖는 상기 가열 요소를 제공하고, 상기 컨덕트를 상기 바닥부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출수구는 상기 용기로부터의 열 손실원일 수 있다. 유사한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컨덕트를 상기 바닥부 내의 상기 출수구에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우선, 상기 출수구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용기의 비교적 따뜻한 부분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상기 바닥부로의 도중에, 상기 용기의 비교적 차가운 부분을 통과해야 하고, 상기 용기의 보다 따뜻한 부분으로부터 수용되는 열의 일부는 상기 용기의 외부에 도달하기 전에 차가워질 것이다. 상기 출수구에 대해, 상기 용기의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천정부를 통하는 대신에, 상기 컨덕트를 제공하도록, 특히 상기 입수구의 입구 개구가 상기 용기의 바닥부에 또는 상기 바닥부에 근접하게 위치설정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이는 유지보수 등을 위해 단순한 방식으로 용기 및 음료 디스펜서를 비우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 유닛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 1 온도 센서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 2 온도 센서를 포함하며, 양자의 온도 센서는 상기 가열 요소 위에 수직방향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 1 온도 센서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보다 상기 가열 요소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된다. 상기 가열 요소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설정된 상기 제 1 온도 센서는 상기 가열 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용기 내의 온도를 제어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2 온도 센서는 그 온도의 트랙을 유지하고 또한 상기 온도가 너무 낮지 않은지의 여부를 횡단하도록 상기 용기로부터 분배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 상기 용기로부터의 온수 전달이 연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온도 센서는 비등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 내의 물을 계속 지켜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의 비등은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고려된다.
상기 가열 요소의 양호한 제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직방향으로 제공되는 상기 제 1 온도 센서를 상기 가열 요소 위의 2 cm 이하로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공급부로부터 분배되는 온수의 온도를 양호하게 검출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방향으로 제공되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를 상기 출구 개구 아래의 2 cm 이하로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새로이 공급되는 비교적 차가운 물을 상기 바닥부에 가능한 한 많이 근접하게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비교적 차가운 물이 보다 따뜻한 지대 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지향되는 상기 입수구의 입구 개구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비교적 차가운 새로운 물을 상기 용기 내에서 가능한 한 낮게 공급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바닥부 근방의 차가운 물 층 및 상기 용기 내의 천정부 근방의 따뜻한 물 층에 대한 상술한 바람직한 효과를 보다 최적화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닥부,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부의 최하측부 근방에 상기 입구 개구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 요소와 상기 바닥부 사이의 거리는 35 mm 이하, 바람직하게 25 mm 이하 등의 30 mm 이하이다. 이는 상기 가열 요소가 상기 용기의 바닥부 근방에 수집된 비교적 차가운 물에 도달할 수 있게 보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 요소와 상기 바닥부 사이의 상기 지시된 거리는 5 mm 이상, 바람직하게 8 mm 이상, 예컨대 15 mm 이상이다. 이는 새로운 비교적 차가운 물을 상기 용기의 바닥부에 그리고 상기 가열 요소 아래에 공급하여 수집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가열 요소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충분한 공간(용적)을 제공할 것이다.
가장 높은 가능한 위치에서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비교적 따뜻한 물을 분배 또는 전달하기 위해 그리고 이미 지시된 바람직한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해, 상기 천정부, 바람직하게 상기 천정부 내에 1 cm 이하로 (상기 천정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 상기 출구 개구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개략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이용하여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용의 가열 유닛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용의 가열 유닛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용의 가열 유닛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용의 가열 유닛(100)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용의 가열 유닛(100)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가열 유닛(100)은 모든 측부로부터 용기 벽(9, 10, 11)에 의해 둘러싸인 용기(1)를 포함한다. 용기 벽은 용기의 하측부를 형성하는 바닥부(9), 용기의 상측부를 형성하는 천정부(10), 및 바닥부(9)와 천정부(10)를 연결하는 측벽(11)을 갖는다. 용기는 일반적으로 폐쇄된다. 사용 시에 용기는 수직방향으로 위치설정, 즉 중앙 라인(13)이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위치설정된다. 또한, 용기(1)는 도 1에서 이중 벽을 갖는 용기이며, 내벽(2), 외벽(4) 및 이들 사이의 중간층(3)을 갖는 금속 용기(1)이다. 열 격리를 개선하기 위해, 내벽(2)과 외벽(4) 사이의 공간은 진공, 적어도 진공, 또는 보다 낮은 압력으로 배치된다. 중간층(3)은 소정 위치에 고정되지만, 외벽(3)의 내측 벽(2)과의 연결부가 (거의) 없도록 다수의 위치에 장착된 포일이다. 가능하더라도, 중간층(3)은 포일(3)의 대향측부 상의 2개의 완전히 분리된 공간에서 내벽(2)과 외벽(4) 사이의 공간을 대체로 분할하지 않는다. 열 격리를 개선하기 위해, 중간층(3)은 열반사 포일로서 특히 배치된다. 중간층(3)은 금속층, 특히 구리를 포함하는 금속층의 코팅으로 용기 쪽으로 배향된 측부 상에 제공된 목적을 위한 것이다.
가열 유닛은 용기(1)의 외부, 용기(1)의 외측 환경에 전기 전원단자(6, 7)와 함께 용기(1)의 내부(8)에 완전하게 위치설정된 전기 가열 요소(4)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 요소(5)의 (바닥측부)로부터 용기(1)의 바닥부(9)로의 거리(A)는 대략 15 mm로 도시한 바와 같다.
용기의 하측부에는, 입수구(12)가 용기 내의 입구 개구(14)를 적어도 구비한다. 입구 개구(14)는 바람직하게 반경방향, 즉 중앙 라인(13)에 수직하게 개방되며, 다수의 입구 개구(14)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 개구(14)는 가열 요소(5) 아래에 위치설정된다.
용기(1)의 상측부에는, 따뜻한 음료를 마련하기 위해 용기로부터의 온수가 출수구 내로 흐르는 출구 개구(16)를 구비한다. 출구 개구(16)는 천정부(10)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설정되거나, 또는 천정부(10)의 내주에 적어도 내려온다.
용기(1)에는, 제 1 온도 센서(17)와 제 2의 보다 높은 온도 센서(18)가 수용된다. 제 1 온도 센서(17)는 가열 요소 위의 거리(B)에 위치설정되도록 배치된 지지부(19) 상에 장착된다. 거리(B)는 2 cm, 예컨대 1 cm 이하이다. 제 2 온도 센서(18)는 출구 개구(16) 아래의 거리(C)에 위치설정되도록 배치된 지지부(20) 상에 장착된다. 거리(C)는 2 cm, 예컨대 1 cm 이하이다.
단순한 조립을 허용하기 위해, 가열 요소(8), 온도 센서(17, 18) 및 입수구(12)의 컨덕트(22, 23, 24, 25, 26)는 인서트(21)를 통해 그 내에 수용된다. 인서트는 별도 부품이며, 플라스틱, 금속 또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서트가 용기의 바닥부 내의 삽입부(28)에 장착되기 전에, 가열 요소(8), 온도 센서(17, 18) 및 입수구(12)는 인서트에 고정, 즉 이들 요소들이 인서트를 통과하여 고정된다. 장착된 가열 요소(8), 온도 센서(17, 18) 및 입수구(12)를 갖는 인서트(21)는 용기(1)의 바닥부(8) 내에서 바닥부 전체에 장착된다.
용기 벽에 수직한 방향에서, 인서트는 용기(1)의 외부(30)로부터 용기(1)의 내부(8) 내로 연장된다. 용기가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으로 제조되면, 인서트는 용기의 벽을 제조한 금속, 특히 스테인리스강 등과 동일한 금속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서트는 삽입부 내에 (경질) 땜납 또는 용접될 수 있다. 경질 땜납의 경우에는 은이 사용된다. 인서트(21)를 용기(1)의 벽(2, 4)과 동일한 재료로 제조함으로써, 상이한 팽창계수에 따른 문제점이 회피되고, 용기의 벽(2, 4)과 인서트(21) 사이에서 (누설될 수 있는) 별도의 개스킷을 없앨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용의 가열 유닛(200)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가열 유닛은 별도의 참조번호 "200"으로 지칭되지만, 편의를 위해 동일한 참조부호가 도 1에서와 마찬가지의 부품에 사용된다. 가열 유닛(200)과 가열 유닛(200) 사이의 주요한 차이점은, 가열 유닛(200)에서는 가열 요소(5), 온도 센서(17, 18), 입수구(12) 및 출수구(15)의 모든 컨덕트가 천정부(10)를 통해, 특히 도 1에서 인서트(21)와 유사한 인서트(21)를 통해 배치된다는 것이다. 지시된 가장 중요한 차이점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차이점은 용기(1)의 용기 벽이 이중 벽이지만, 중간층이 존재하지 않고, 음료 디스펜서 내에 장착을 위해 장착 프레임(27)이 용기(1) 둘레에 배치된다는 것이다. 가열 유닛(200)의 용기(1)는 특히 유리로 제조된다. 가열 유닛(200)에 대한 가열 유닛(100)의 이점은, 가열 유닛(100)이 용기를 기울이거나 또는 용기를 뒤집지 않고서 비교적 쉽게 비워진다. 가열 유닛(100)의 또 다른 이점은, 컨덕트가 용기의 바닥부에 제공되는, 즉 용기 내에 보유되는 가열된 물이 비교적 가장 차가운 부분인 용기의 부분이라는 점이다. 컨덕트를 통한 열 누설(손실)은 가열 유닛(200)에 대해 가열 요소(100)에서 덜할 것이다. 가열 유닛(200)은 용기가 상측부에 있는 열 격리된 벽을 통한 하나만의 통로를 갖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통로는, 특히 진공에 의해 격리된 이중 벽을 갖는 용기를 위해 가열 유닛을 열적 조절할 때 약한 링크를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용의 가열 유닛(300)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가열 유닛은 별도의 참조번호 "300"으로 지칭되지만, 편의를 위해 동일한 참조부호가 도 1 및 도 2에서와 마찬가지의 부품에 사용된다. 가열 유닛(300)의 용기(1)는 특히 유리로 제조된다. 도 2에서의 가열 유닛(200)과의 주요한 차이점은, 인서트(21)가 바닥부(9) 근방의 가열 유닛(300) 내에 제공되고, 그 결과 가열 요소(5)는 인서트(21)에 보다 근접하게 위치설정되고, 도 2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입구 및 출구는 상호 교환된다는 것이다.
출수구(15)를 통해 상부 영역에서 가열 유닛(100, 200 또는 300)으로부터 온수가 동시에 또는 바로 후에 이용되거나 전달되면, 입수구(12)를 통해 비교적 차가운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된 보다 차가운 물은 보다 따뜻한 물이 용기 내에서 보다 높은 상태에서 제한된 방식으로 혼합되거나 혼합되지 않을 것이다. 이는 용기의 상부 내에 이미 존재하는 온수가 탭핑된 따뜻한 물과 다소 동일한 온도로 유지되는 점을 보장한다. 온수의 제 1 부분 바로 후에, 온수의 다음 부분이 용기로부터 탭핑될 수 있다. 용기 벽의 바닥부 근방에 공급된 보다 따뜻한 물은 바닥부로부터 상승할 때 가열 요소를 통과할 것이고,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어, 소정의 온도에서 가열 요소 위에 도달하여 상승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이중 벽을 갖는 용기가 임의의 단면을 가질 수 있지만, 단면은 [즉, 수직방향 중앙 라인(13)에 수직한 평면에서) 도 1 및 도 2에 대응하는 둥근 형상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유닛까지만 기술하였다. 가열 유닛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와 조합하여 사용되도록 의도되지만, 다른 적용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 디스펜서 또는 또 다른 장치와 별개인 가열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음료 디스펜서(400)는 도 1에 따른 가열 유닛(100)을 구비하지만, 도 2에 따른 가열 유닛(200), 도 3에 따른 가열 유닛(300)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가열 유닛이 도시한 가열 유닛을 대체할 수 있다.
음료 디스펜서(400)는 가열 유닛(100); 커피, 차, 우유, 스프 등의 인스턴트 음료를 마련하기 위해 인스턴트 성분으로 충전된 용기 홀더(40); 혼합 유닛(46); 마련된 음료를 예컨대 컵(50) 내에 분배하기 위한 노즐(49); 음료 디스펜서(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41); 파워 네트에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42)를 포함한다. 몇몇의 제어 와이어는 길게 뻗은 것으로 도시되지만, 별도의 참조부호를 가지지 않는다.
입수구(12)에는, 새로운 비교적 차가운 물을 용기(1)에 공급하며 그를 제어하게 하기 위해, 신호 와이어를 거쳐 펌프 또는 밸브(43)가 제어 유닛(41)과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출수구(15)는, 용기(1)로부터 온수의 탭핑을 제어하기 위해 신호 와이어를 거쳐 제어 유닛(41)과 연결되는 펌프 또는 밸브(44)를 구비한다.
온수는 혼합 유닛(46)으로 이송된다. 인스턴트 성분은 용기 홀더(40)로부터 혼합 유닛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공급은 파이프(51)에 의해 형성되고, 이송 장치(45)를 관리하는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혼합 유닛(46)에서는, 노즐(49)을 통해 컵(50) 내로 분배되는 소정의 인스턴트 음료를 마련하도록 온수와 인스턴트 성분이 혼합된다. 혼합 유닛(46)은 혼합 공정을 제어하기 위해 로터(4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로터는 제어 유닛(41)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48)로 구동된다.
온도 센서(17, 18)는 신호 배선을 거쳐 제어 유닛(41)에 연결된다. 온도 센서(17)는 제어 유닛(41)으로부터 가열 요소(5)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온도 열센서(18)는 다수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용기의 상부 영역에서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게 한다. 가열된 물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가열 요소의 "부수적인" 제어를 위해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가열된 물이 요구되는 경우, 온도 센서(18)로부터의 이러한 신호는 공급된 물의 온도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온수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충분한 가열이 이루어질 때까지 온수의 공급이 연기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17 및/또는 18)는 용기 내의 물의 비등을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용기 내의 물의 비등은 요구되지 않는다. 비등이 감지되면, 제어 유닛은 예컨대 가열 요소의 전원을 끔을 수 있다.

Claims (18)

  1. 따뜻한 인스턴트 음료의 마련을 위한 음료 디스펜서(400)에 있어서,
    온수용의 가열 유닛(100, 200, 300);
    인스턴트 재료용의 컨테이너 홀더(40);
    상기 컨테이너 홀더(40)로부터의 인스턴트 재료를 상기 가열 유닛(100, 200, 300)으로부터의 온수와 혼합하는 혼합 유닛(46); 및
    상기 음료를 전달하는 노즐(49);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 유닛(100, 200, 300)은,
    용기 벽(9, 10, 11)에 의해 모든 측부에 둘러싸이며, 바닥부(9)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부, 천정부(10)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부, 및 상기 하측부와 상기 상측부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방향 중앙 라인(13)을 갖는 폐쇄형 용기(1);
    가열 요소(5);
    입구 개구(14)를 통해 상기 용기(1)의 내부(8)로 배출하기 위한 입수구(12); 및
    출구 개구(16)를 통해 상기 용기(1)의 내부(8)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출수구(15);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 요소(5)는 상기 바닥부(9) 위의 거리(A)에서 상기 용기(1)의 내부(8)에 위치설정되고,
    상기 입구 개구(14)는 상기 가열 요소(5) 아래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출구 개구(16)는 상기 가열 요소(5) 위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용기(1)는 이중 벽을 갖는 용기(1)이며, 상기 용기(1) 주위에 대해 상기 용기(1)의 내부(8)를 열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해 열적으로 격리되고, 상기 이중 벽은 내벽(2)과 외벽(4)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벽은 삽입부(28) 내에 수용된 인서트(21)를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21)는 상기 용기 벽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별개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21)는 상기 용기(1)의 외부(30)로부터 상기 용기(1)의 내부(8)로 상기 용기 벽(9, 10, 11)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용기(1)의 바닥부(9) 내에 제공되고,
    상기 용기 내에 존재하는 상기 입수구(12), 출수구(15), 가열 요소(5) 및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17, 18)의 컨덕트(22, 23, 24, 25, 26)는 상기 인서트(21) 내에 수용되고, 상기 컨덕트를 갖는 상기 인서트는 상기 용기의 바닥부(9) 내의 삽입부(28) 내에 전체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인서트(21)는 상기 용기의 벽(2, 4)과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벽을 갖는 상기 용기는 상기 이중 벽들 사이에 진공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유닛(100, 200, 300)은 상기 용기(1)의 내부(8) 내에 수용되는 제 1 온도 센서(17)와, 상기 용기(1)의 내부(8) 내에 수용되는 제 2 온도 센서(18)를 포함하며,
    양자의 온도 센서(17, 18)는 상기 가열 요소(5) 위에 수직방향으로 제공되고, 상기 수직방향으로 제공되는 상기 제 1 온도 센서(17)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18)보다 상기 가열 요소(5)에 더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으로 제공되는 상기 제 1 온도 센서(17)는 상기 가열 요소 위에서 2 cm 이하의 거리(B)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으로 제공되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18)는 상기 출구 개구(16) 아래에서 2 cm 이하의 거리(C)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개구(14)는 상기 바닥부(9) 내에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5)와 상기 바닥부(9) 사이의 상기 거리(A)는 35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5)와 상기 바닥부(9) 사이의 상기 거리(A)는 5 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개구(16)는 상기 천정부(10) 아래에 1 cm 이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12)의 상기 입구 개구(14)는 수평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400)용의 가열 유닛(100, 200, 300)에 있어서,
    상기 가열 유닛(100, 200, 300)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400)의 가열 요소에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유닛.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07029126A 2008-05-27 2009-05-26 음료 디스펜서와, 이를 위한 가열 유닛 KR101700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01620 2008-05-27
NL2001620A NL2001620C2 (nl) 2008-05-27 2008-05-27 Drankbereidingsinrichting.
PCT/NL2009/050291 WO2009145625A1 (en) 2008-05-27 2009-05-26 Beverage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522A KR20110013522A (ko) 2011-02-09
KR101700727B1 true KR101700727B1 (ko) 2017-01-31

Family

ID=4028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126A KR101700727B1 (ko) 2008-05-27 2009-05-26 음료 디스펜서와, 이를 위한 가열 유닛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9010576B2 (ko)
EP (1) EP2285260B1 (ko)
JP (1) JP5543438B2 (ko)
KR (1) KR101700727B1 (ko)
CN (2) CN105686663A (ko)
AU (1) AU2009251984B2 (ko)
BR (1) BRPI0912031B1 (ko)
CA (1) CA2725685C (ko)
DK (1) DK2285260T3 (ko)
ES (1) ES2527524T3 (ko)
IL (1) IL209605A (ko)
MX (1) MX2010013002A (ko)
NL (1) NL2001620C2 (ko)
NZ (1) NZ589556A (ko)
RU (1) RU2492790C2 (ko)
TW (1) TW201000833A (ko)
WO (1) WO2009145625A1 (ko)
ZA (1) ZA2010085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06361C2 (nl) * 2011-03-09 2012-09-11 Bravilor Holding Bv Drankbereidingsinrichting met een vervormbaar uitstroomkanaal.
KR101725621B1 (ko) * 2015-03-19 201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 배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6876013B2 (ja) * 2018-02-28 2021-05-26 株式会社エフ・エム・アイ 飲料ディスペンサー
US11047597B2 (en) * 2018-08-21 2021-06-2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Electric hot water heater having a separated temperature sensor and heating el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4468A (ja) 2003-11-22 2007-06-07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飲料又は類似した製品を調合するための加圧気体供給を備える移動式又は携帯型装置
JP2007186216A (ja) 2006-01-11 2007-07-26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36009A (en) * 1922-05-10 1922-11-21 Daniel J Butterfield Automatic mixer for beverage-vending machines
JPS5486399A (en) * 1977-12-21 1979-07-09 Toshiba Machine Co Ltd Hot drink extrcting device
US4191101A (en) * 1977-12-21 1980-03-04 Toshiba Kika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preparing a cup of hot drink
US4624395A (en) * 1984-05-11 1986-11-25 Lykes Pasco Packing Co. Hot beverage dispensing machine
JPS6146844A (ja) * 1984-08-10 1986-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温水タンク
IT1211178B (it) * 1988-01-25 1989-10-06 Gaggia Brevetti Generatore di acqua calda costituito da almeno due elementi modulari di caldaia collegati in serie per ridurre di depositi calcarei in macchine per laproduzione di caffe' espresso e di bevande calde, con o senza schiuma.
US5019690A (en) * 1989-09-15 1991-05-28 Bunn-O-Matic Corporation Boiling water dispenser having improved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DE3937000C2 (de) * 1989-11-07 1995-05-04 Willi Marco Kaffeemaschine zur wahlweisen Zubereitung von Espresso-Kaffee oder Filterkaffee
US5372061A (en) * 1993-04-14 1994-12-13 Avanti Espresso U.S.A., Inc. Espresso/cappuccino apparatus and method
JPH078395A (ja) * 1993-06-28 1995-01-13 Nippon Sanso Kk 金属製真空二重容器とその製造方法
NL1003276C2 (nl) * 1996-06-05 1997-12-10 Bravilor Bonamat B V Inrichting voor het leveren van warm water.
CN2300850Y (zh) * 1997-03-08 1998-12-16 王咏宁 全自动电热开水器
CN2314702Y (zh) * 1997-10-21 1999-04-21 中外合作南海立昌家用电器有限公司 一种新型电热开水器
NL1011826C2 (nl) * 1999-04-19 2000-10-23 Henri Bernard Peteri Op de waterleiding aan te sluiten heetwatertoestel met vacuümisolatie.
NL1013769C2 (nl) * 1999-12-06 2001-06-07 Bravilor Holding Bv Inrichting voor het verdelen van vloeistof over een aantal gebruikers alsmede drankenautomaat voorzien van een dergelijke inrichting.
JP3079863U (ja) * 2001-02-27 2001-08-31 株式会社日本イトミック 湯沸用電気ヒーター
US6694739B2 (en) * 2001-10-12 2004-02-24 Mesosystems Technology, Inc. Modular water heater
ITMO20020343A1 (it) * 2002-11-28 2004-05-29 Lord S R L Macchina per distribuire bevande.
GB2396603B (en) * 2002-12-23 2006-01-11 Ebac Ltd Reservoirs for bottled liquid dispensers
EP1646306B1 (en) * 2003-07-15 2007-08-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everage maker suitable for use at high altitudes
JP4529531B2 (ja) * 2004-04-27 2010-08-25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給湯装置
JP2006105538A (ja) * 2004-10-07 2006-04-20 Tiger Vacuum Bottle Co Ltd 給湯タンクおよびそれに用いる真空二重構造を持った断熱タンク体の製造方法
US20060261088A1 (en) * 2005-05-20 2006-11-23 Qin's, Inc. Container systems for beverages and other fluid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4468A (ja) 2003-11-22 2007-06-07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飲料又は類似した製品を調合するための加圧気体供給を備える移動式又は携帯型装置
JP2007186216A (ja) 2006-01-11 2007-07-26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27524T3 (es) 2015-01-26
WO2009145625A1 (en) 2009-12-03
NL2001620C2 (nl) 2009-11-30
RU2010152833A (ru) 2012-07-10
EP2285260A1 (en) 2011-02-23
BRPI0912031B1 (pt) 2019-07-30
JP5543438B2 (ja) 2014-07-09
CA2725685C (en) 2017-01-03
DK2285260T3 (en) 2015-02-09
KR20110013522A (ko) 2011-02-09
EP2285260B1 (en) 2015-01-07
BRPI0912031A2 (pt) 2015-10-06
AU2009251984B2 (en) 2016-11-24
RU2492790C2 (ru) 2013-09-20
CA2725685A1 (en) 2009-12-03
IL209605A0 (en) 2011-02-28
JP2011523390A (ja) 2011-08-11
ZA201008565B (en) 2011-08-31
IL209605A (en) 2014-07-31
NZ589556A (en) 2013-05-31
AU2009251984A1 (en) 2009-12-03
US20110079611A1 (en) 2011-04-07
CN102083348A (zh) 2011-06-01
CN105686663A (zh) 2016-06-22
US9010576B2 (en) 2015-04-21
TW201000833A (en) 2010-01-01
MX2010013002A (es) 201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727B1 (ko) 음료 디스펜서와, 이를 위한 가열 유닛
US9127881B2 (en) Point of dispense chilling for blended iced beverage machines
KR20170066347A (ko) 음료 칠러와, 관련 시스템 및 방법
US200702719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illing Draught Beverages
US4457217A (en) Hot drink makers
JP2013528069A (ja) ダイナミック二重回路インラインヒータ
JP2019508329A (ja) 飲料自動注出装置のための付加機器
CN214230940U (zh) 用于提供热水的装置
US9938127B2 (en) Beverage system ice maker and ice and water reservoir
US11889946B2 (en) Heating devices and apparatus
JP2810436B2 (ja) 飲料供給機
WO1996027552A1 (en) Refrigerated drinks dispenser
WO2010043251A1 (en) An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JP2828679B2 (ja) 飲料供給機
RU2555577C2 (ru) Бочонок с функцией самостоятель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и самостоятельного розлива жидкостей
US20140169774A1 (en) Water heat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JP2023530441A (ja) コーヒー・ディスペンサ・システム
JP2015107202A (ja) 給湯装置
WO2009125224A1 (en) A fluid delivery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