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532B1 -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532B1
KR101699532B1 KR1020150082035A KR20150082035A KR101699532B1 KR 101699532 B1 KR101699532 B1 KR 101699532B1 KR 1020150082035 A KR1020150082035 A KR 1020150082035A KR 20150082035 A KR20150082035 A KR 20150082035A KR 101699532 B1 KR101699532 B1 KR 101699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antenna
stator
vehicl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5412A (ko
Inventor
김영식
장태호
이진석
이무홍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엑스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엑스엠더블유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2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532B1/ko
Publication of KR2016014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8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two co-ordinates of the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35Collapsible supports; Means for erecting a rigid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8Means for stabilising antennas on an unstable plat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7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vehicle, e.g. on roof, hood, tru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기어를 대체한 와이어를 이용하여 기어 마모 및 기어 백래쉬 없이 안테나의 방위와 기울기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또한 차량에 탑재하되, 이동시에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위치시키고, 안테나의 사용시 차량의 루프로 자동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AN ANTENNA ASSEMBLY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어를 대체한 와이어를 이용하여 기어 마모 및 기어 백래쉬 없이 안테나의 방위와 기울기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또한 차량에 탑재하되, 이동시에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위치시키고, 안테나의 사용시 차량의 루프로 자동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를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안테나용 3축 포지셔너(공개특허: 제2012-0042703호)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안테나용 3축 포지셔너는 안테나의 위치 제어를 위해 동력부품들이 매우 복잡하여 장치의 소형화가 어렵고 제조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인 안테나용 3축 포지셔너는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하지 못하고 동력전달이 기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어의 백래쉬 오차에 따른 정밀한 방위나 기울기를 찾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부품이 간소화시키고, 기어의 백래쉬를 방지하면서 무게가 무거운 안테나의 위치를 신뢰성 있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한 안테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술된 종래기술을 이동하기 편리하게 하기 위해 차량의 루프에 탑재시킬 경우에는, 안테나의 공기저항으로 인해 안테나가 파손될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지상고가 낮은 터널이나 고가도로 아래의 차도에는 안테나의 높이로 인해 차량이 진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기어를 대체한 와이어를 이용하여 기어 마모 및 기어 백래쉬 없이 안테나의 방위와 기울기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또한 와이어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제조비용 및 외부 충격에 강한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차량에 탑재하되, 이동시에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위치시키고, 안테나의 사용시 차량의 루프로 자동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 회전드럼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플레이트; 일체로 연결되는 원형드럼을 갖고, 안테나에 결합되는 제 1지지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부면 에 고정되어, 상기 원형드럼에 결합된 제 1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권회된 와이어가 상기 원형드럼의 둘레에 연결되는 제 2회전축; 상기 브라켓의 측면에 배치 고정되고, 연결된 서보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제 2회전축에 전달하는 제 1감속기;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측 상부면에 결합되고, 서보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는 제 2감속기; 상기 제 2감속기의 저면에 결합되고, 권회된 와이어가 상기 회전드럼의 둘레에 연결되는 제 3회전축; 및 해치백 차량의 테일 게이드에 설치된 제 1고정자와, 차량의 루프에 설치된 제 2고정자, 및 상기 제 1고정자와 상기 제 2고정자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가동자를 구비하는 선형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가동자에 탑재되며, 상기 제1 및 제2고정자는 상기 테일 게이드가 오픈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회전축 및 제 3회전축에는 나선 형상의 와이어 삽입홈이 표면에 형성된 부싱이 더 결합된다.
상기 제 1,2감속기는 서보모터에 결합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에 치차 결합되어 상기 제 2,3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휠기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싱에 권회된 와이어는 "
Figure 112016080261468-pat00001
"형태로 양측이 교차된 상태로 상기 원형드럼 및 회전드럼의 원주면에 결합되되, 상기 원형드럼 및 회전드럼의 원주면에는 상기 와이어의 양측을 개별적으로 결합시키는 2개의 고정형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자의 타측에는 가동자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블럭이 더 결합되고, 타단에는 안테나를 접이 시 안테나의 면상에 접촉되는 제 1지지블럭이 더 결합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의 바깥쪽으로 노출된 상기 제 1회전축에는 피드혼이 결합된 제 2지지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되, 상기 브라켓과, 제 2지지대는 실린더 및 실린더로드를 통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선형모터의 제 1고정자에는 제 1지지블럭과 더불어 탄성부재가 결합된 제 2지지블럭이 더 결합되되, 상기 제 2지지블럭은 상기 제 1지지블럭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구성되어 안테나의 접이 시 제 2지지대의 면상에 접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에 따르면, 와이어로 안테나의 방위각과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어 기어의 백래쉬 및 기어마모에 따른 오차를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를 사용하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고, 무게를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외부충격에 의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와이어를 "
Figure 112015056067116-pat00002
"형태로 양측이 교차되게 연결시켜 "⊂" 형태의 연결 방식보다, 와이어의 견인력이 양방향으로 배분되어 안테나의 기울기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에 탑재하되, 이동 시에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접이 시켜 위치시키고, 안테나의 사용시 차량의 루프로 자동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주행 중 지상고가 낮은 터널과 같은 차량 높이 제한이 있는 지점을 제약 없이 이동 할 수 있는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가 차량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서 발췌된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의 확대도,
도 5는 도 3에서 발췌된 제 1감속기의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발췌된 제 2감속기의 사시도,
도 7은 제 2,3회전축에 와이어 연결되는 회전드럼 및 원형드럼의 작동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된다",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에서 기재되는 각(各)은 복수개의 구성요소를 개별적으로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가 차량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서 발췌된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발췌된 제 1감속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발췌된 제 2감속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제 2,3회전축에 와이어 연결되는 회전드럼 및 원형드럼의 작동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어를 대체한 와이어를 적용하여 기어 마모 및 기어 백래쉬 없이 안테나의 방위와 기울기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또한 차량에 탑재하되, 이동시에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위치시키고, 안테나의 사용시 차량의 루프로 자동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는 선형모터(80)와, 베이스플레이트(10)와, 회전플레이트(20)와, 제 1지지대(40)와, 브라켓(22)과, 제 1감속기(60a) 및 제 2감속기(60b)로 구성된다.
상기 선형모터(80)는 해치백 차량의 테일 게이드(210)에 나란히 설치된 2개의 제 1고정자(81a)와 차량의 루프(220)에 나란히 설치된 2개의 제 2고정자(81b), 및 상기 제 1고정자(81a)와 상기 제 2고정자(81b)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가동자(8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2고정자(81b)는 차량의 테일 게이드(210)가 오픈 시 상기 제 1고정자(81a)와 연설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자(82)는 상기 제 1,2구동자(81a, 81b)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선형모터(80)의 상기 가동자(82)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고정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에는 안테나(30)가 탑재되어 구성된 것으로, 차량이 이동할 때는 안테나(30)가 차량의 테일 게이드(210)에 위치되고, 안테나(30)의 사용 시 테일 게이드(210)를 오픈시켜 선형모터(80)의 각 제 1,2고정자(81a, 81b)를 수평선상으로 나란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동자(82)를 이동시켜 차량의 루프(220)로 안테나(30)가 자동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선형모터(80)를 이루는 상기 제 1고정자(81a)의 타측에는 상기 가동자(82)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블럭(83)이 더 결합되고, 타단에는 안테나(30)를 접이 시 안테나(30)의 면상에 접촉되는 제 1지지블럭(84)이 더 결합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제 1지지블럭(84)의 상단부에는 안테나(30)와 접촉시 충격흡수를 위한 탄성부재(86)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이 이동할 경우, 상기 안테나(30)는 접이되어 제 1지지블럭(84)의 탄성부재(86)에 접촉된 상태로 차량의 테일 게이드(210)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 회전드럼(2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안테나(30)의 방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지지대(40)는 안테나(30)를 지지하기 위해 2개로 분리되는 구조이고, 상기 각 제 1지지대(40)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원형드럼(41)을 갖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각 원형드럼(41)의 양측으로는 안테나가 기울기(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 1회전축(411)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브라켓(22)은 "
Figure 112016080261468-pat00003
"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데,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전플레이트(2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원형드럼(41)의 양측에 결합된 제 1회전축(41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각(各) 브라켓(22)의 바깥쪽으로 노출된 상기 제 1회전축(411)에는 피드혼(51)이 결합된 제 2지지대(50)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각 브라켓(2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S)가 결합되고, 상기 제 2지지대(50)에는 실린더로드(SR)가 결합되어 상기 피드혼(51)과 안테나(30)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선형모터(80)의 제 1고정자(81a)에는 제 1지지블럭(84)과 더불어 탄성부재(86)가 결합된 제 2지지블럭(85)이 더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 2지지블럭(85)은 상기 제 1지지블럭(84)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구성되며, 안테나(30)의 접이 시 피드혼(51)이 차량의 테일 게이드(210)에 충돌되지 않도록 제 2지지대(50)의 면상에 접촉된다.
따라서 안테나(30)가 접이된 상태에서는 제 1지지블럭(84)의 탄성부재(86)가 안테나(30)의 면상에 접촉되고, 제 2지지블럭(85)의 탄성부재(86)는 제 2지지대(50)의 면상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피드혼(51)은 제 2지지대(50)가 제 2지지블럭(85)을 통해 차량의 테일 게이트(210)에서 이격된 상태이므로, 차량의 테일 게이드(210)에 비접촉 상태가 되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제 1회전축(411)은 상기 각 브라켓(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권회된 와이어(W)가 상기 각 원형드럼(41)의 둘레에 각각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22)의 측면에 배치 고정되는 것이 제 1감속기(60a)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브라켓(22)이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상기 각 브라켓(22)의 사이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 1감속기(60a)는 연결된 제 1서보모터(61a)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제 2회전축(631)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에서 제 1감속기(60a)는 도 5와 같이, 제 1서보모터(61a)에 결합되는 제 1웜기어(62a)와, 상기 제 1웜기어(62a)에 치차 결합되어 상기 제 2회전축(6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휠기어(63a)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휠기어(63a)의 양측에는 제 2회전축(631)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술된 제 2회전축(631)의 양측에는 나선 형상의 제 1와이어 삽입홈(641)이 표면에 형성된 제 1부싱(64a)이 더 결합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상기 제 1부싱(64a)에 와이어(W)가 권회되고, 권회된 상기 와이어(W)는 제 1지지대(40)의 원형드럼(41)의 둘레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각 제 1부싱(64a)에 권회된 와이어(W)는 도 7과 같이, "
Figure 112015056067116-pat00004
"형태로 양측이 교차된 상태로 상기 각 원형드럼(41)에 결합되는데, 상기 각 원형드럼(41)에는 상기 와이어(W)의 양측이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2개의 고정형판(70)이 더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제 1감속기(60a)의 제 1서보모터(61a)가 회전하면, 제 1웜기어(62a)와 결합된 제 1휠기어(63a)를 통해 제 2회전축(631)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며, 상기 제 2회전축(631)의 제 1부싱(64a)에 권회된 와이어(W)가 고정형판(70)을 당겨 원형드럼(41)을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상기 원형드럼(41)이 회전하면, 상기 제 1지지대(40)는 전/후 방향으로 선회되고, 제 1지지대(40)에 결합된 안테나(30)는 기울기가 조절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교차 방식의 와이어는 "⊂" 형태의 연결 방식보다, 와이어의 견인력이 양방향으로 배분되어 안테나(30)의 기울기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또한 교차 방식의 와이어(W)를 사용함으로써, 기어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기어 마모 및 기어 백래쉬에 따른 오차를 줄일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제 2감속기(60b)는 상기 회전플레이트(20)의 일측 상부면에 결합되고, 서보모터(61)의 회전수를 감속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제 2감속기(60b) 역시 도 6과 같이, 제 2서보모터(61b)에 결합되는 제 2웜기어(62b)와, 상기 제 2웜기어(62b)에 치차 결합되는 제 2휠기어(63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휠기어(63b)의 저면에는 권회된 와이어(W)가 상기 회전드럼(21)의 둘레에 연결되는 제 3회전축(632)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 3회전축(632) 역시 도 7과 같이, 나선 형상의 제 2와이어 삽입홈(642)이 표면에 형성된 제 2부싱(64b)이 더 결합되고, 상기 제 2부싱(64b)에 결합된 와이어(W)가 "
Figure 112015056067116-pat00005
"형태로 상기 회전드럼(21)의 둘레에 결합되는 형태이다.
이때 상기 회전드럼(21) 역시 상기 와이어(W)의 양측이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2개의 고정형판(70) 더 결합되어 회전플레이트(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20)가 회전함에 따라 안테나(30)의 방위각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베이스플레이트
20: 회전플레이트 21: 회전드럼 22: 브라켓
30: 안테나
40: 제 1지지대 41: 원형드럼 411: 제 1회전축
50: 제 2지지대 51: 피드혼
60a: 제 1감속기 61a: 제 1서브모터 62a: 제 1웜기어
63a: 제 1휠기어 631: 제 2회전축
64a: 제 1부싱 641: 제 1와이어 삽입홈
60b: 제 2감속기 61b: 제 2서보모터 62b: 제 2윔기어
63b: 제 2휠기어 632: 제 3회전축
64b: 제 2부싱 642: 제 2와이어 삽입홈
70: 고정형판
80: 선형모터 81a: 제 1고정자 81b: 제 2고정자
82: 가동자 83: 스토퍼블럭
84: 제 1지지블럭 85: 제 2지지블럭
86: 탄성부재
W: 와이어 S: 실린더 SR: 실린더로드
200: 차량 210: 테일 게이트 220: 루프

Claims (7)

  1. 베이스플레이트(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 회전드럼(2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플레이트(20);
    일체로 연결되는 원형드럼(41)을 갖고, 안테나(30)에 결합되는 제 1지지대(40);
    상기 회전플레이트(2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원형드럼(41)에 결합된 제 1회전축(4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22);
    상기 브라켓(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권회된 와이어(W)가 상기 원형드럼(41)의 둘레에 연결되는 제 2회전축(631);
    상기 브라켓(22)의 측면에 배치 고정되고, 연결된 서보모터(61)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제 2회전축(631)에 전달하는 제 1감속기(60a);
    상기 회전플레이트(20)의 일측 상부면에 결합되고, 서보모터(61)의 회전수를 감속하는 제 2감속기(60b);
    상기 제 2감속기(60b)의 저면에 결합되고, 권회된 와이어(W)가 상기 회전드럼(21)의 둘레에 연결되는 제 3회전축(632); 및
    해치백 차량의 테일 게이드(210)에 설치된 제 1고정자(81a)와, 차량의 루프(220)에 설치된 제 2고정자(81b), 및 상기 제 1고정자(81a)와 상기 제 2고정자(81b)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가동자(82)를 구비하는 선형모터(8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상기 가동자(82)에 탑재되며,
    상기 제1 및 제2고정자(81a, 81b)는 상기 테일 게이드(210)가 오픈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회전축(631) 및 제 3회전축(632)에는 나선 형상의 와이어 삽입홈(641, 642)이 표면에 형성된 부싱(64a, 64b)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감속기(60a, 60b)는 서보모터(61a, 61b)에 결합되는 웜기어(62a, 62b)와, 상기 웜기어(62a, 62b)에 치차 결합되어 상기 제 2,3회전축(631, 63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휠기어(63a, 63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64a 64b)에 권회된 와이어(W)는 "
    Figure 112016080261468-pat00006
    "형태로 양측이 교차된 상태로 상기 원형드럼(41) 및 회전드럼(21)의 원주면에 결합되되,
    상기 원형드럼(41) 및 회전드럼(21)의 원주면에는 상기 와이어(W)의 양측을 개별적으로 결합시키는 2개의 고정형판(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자(81a)의 타측에는 가동자(82)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블럭(83)이 더 결합되고, 타단에는 안테나(30)를 접이 시 안테나(30)의 면상에 접촉되는 제 1지지블럭(84)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2)의 바깥쪽으로 노출된 상기 제 1회전축(411)에는 피드혼(51)이 결합된 제 2지지대(50)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되, 상기 브라켓(22)과, 제 2지지대(50)는 실린더(S) 및 실린더로드(SR)를 통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모터(80)의 제1고정자(81a)에는 제 1지지블럭(84)과 더불어 탄성부재(86)가 결합된 제 2지지블럭(85)이 더 결합되되,
    상기 제 2지지블럭(85)은 상기 제 1지지블럭(84)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구성되어 안테나(30)의 접이 시 제 2지지대(50)의 면상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KR1020150082035A 2015-06-10 2015-06-10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KR101699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035A KR101699532B1 (ko) 2015-06-10 2015-06-10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035A KR101699532B1 (ko) 2015-06-10 2015-06-10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412A KR20160145412A (ko) 2016-12-20
KR101699532B1 true KR101699532B1 (ko) 2017-01-25

Family

ID=5773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035A KR101699532B1 (ko) 2015-06-10 2015-06-10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5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1661A1 (en) 2018-01-31 2019-08-07 Chan Goo Park Worm gear assembly having backlash control structure and pop-up antenna including the same
KR102291983B1 (ko) 2021-02-26 2021-08-23 위월드 주식회사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 장치
KR102309193B1 (ko) * 2020-09-14 2021-10-06 김은경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672B1 (ko) * 2017-02-08 2020-05-07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용 안테나 유닛, 및 작업 차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349B1 (ko) 2005-05-30 2007-05-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3축 위성 안테나
KR101120985B1 (ko) 2011-11-18 2012-03-05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항공이미지와 지피에스 합성형 영상처리시스템의 영상도화처리를 이용한 매설물의 전자맵 제작방법
KR200465418Y1 (ko) 2008-04-14 2013-03-05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회전 기능이 개선된 능동안테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9441A (ko) * 2013-04-29 2014-11-07 (주)엑스엠더블유 정밀위치 제어가 가능한 안테나 포지셔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349B1 (ko) 2005-05-30 2007-05-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3축 위성 안테나
KR200465418Y1 (ko) 2008-04-14 2013-03-05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회전 기능이 개선된 능동안테나 장치
KR101120985B1 (ko) 2011-11-18 2012-03-05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항공이미지와 지피에스 합성형 영상처리시스템의 영상도화처리를 이용한 매설물의 전자맵 제작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1661A1 (en) 2018-01-31 2019-08-07 Chan Goo Park Worm gear assembly having backlash control structure and pop-up antenna including the same
KR20190092715A (ko) 2018-01-31 2019-08-08 위월드 주식회사 백래시 조절구조를 갖는 웜기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팝업 안테나
KR102309193B1 (ko) * 2020-09-14 2021-10-06 김은경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291983B1 (ko) 2021-02-26 2021-08-23 위월드 주식회사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412A (ko)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532B1 (ko)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CN202608859U (zh) 车辆转向装置
US8469380B2 (en) Extending and retracting device and vehicle step apparatus having the same
EP1785288B1 (en) Suspension apparatus
EP1721808A1 (en) Variable wheelbase type vehicle
JP7089975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180872B1 (ko) 한 쌍의 진자를 가지는 구형로봇
US10266214B2 (en) Variable spoiler apparatus of rear bumper for vehicle
US7854293B2 (en) Steering operated by linear electric device
JP2008528385A5 (ko)
CN102059696A (zh) 并联机构
CN101631711A (zh) 独立悬挂转向系统
CN105307902A (zh) 运动机构及用于设有该运动机构的车辆的后视镜
KR101432046B1 (ko) 추력을 이용하는 구형로봇
CN105992724B (zh) 借助致动器可转向的车辆后轮的独立悬架
CN105109598A (zh) 一种儿童电动车
CN110654287B (zh) 用于车辆座椅的腿部支撑件
ES2755943T3 (es) Coche con eje de ruedas montado giratorio para una atracción ferial y procedimiento para el mando de un eje de ruedas montado giratorio de un coche de este tipo
KR101747227B1 (ko) 수륙양용 차량의 후방 플랩 시스템
CN115416744B (zh) 转向管柱及车辆
KR101864328B1 (ko) 차량의 현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륙양용 차량
JP2015128960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20120021999A (ko) 다목적 중량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CN104884845A (zh) 换档杆系统
KR101423730B1 (ko)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리어 스포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