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193B1 -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193B1
KR102309193B1 KR1020200117769A KR20200117769A KR102309193B1 KR 102309193 B1 KR102309193 B1 KR 102309193B1 KR 1020200117769 A KR1020200117769 A KR 1020200117769A KR 20200117769 A KR20200117769 A KR 20200117769A KR 102309193 B1 KR102309193 B1 KR 102309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ylinder
outside air
image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김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경 filed Critical 김은경
Priority to KR1020200117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01C21/3815Road data
    • G01C21/3822Road feature data, e.g. slope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33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data
    • G01C21/3841Data obtained from two or more sources, e.g. probe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33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data
    • G01C21/3848Data obtained from both position sensors and additional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33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data
    • G01C21/3852Data derived from aerial or satellite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Abstract

본 발명은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심지에 집중된 지형물인 각종 건물의 지형물이미지를 실제 지형물에 준하게 도화해서 도화이미지 내 정확한 위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되, 항공촬영텀이 길고 고비용이 지출되는 비행기를 이용한 항공촬영 대신 값싸고 주기적인 촬영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하여 수시로 변화되는 지형지물 영상이미지를 신속히 반영하여 신뢰도 있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고, 특히 관리서버를 구성하는 모듈들을 실장하기 편리하게 하면서 발열로부터 열화되는 것을 예방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하고 처리 오류를 사전에 차단하도록 하면서 불측의 사유로 통신불능시 항상 통신이 가능한 위성 통신을 활용하여 업무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된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A spatial image-drawing system that maps chang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reference points}
본 발명은 공간영상 도화 기술 분야 중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심지에 집중된 지형물인 각종 건물의 지형물이미지를 실제 지형물에 준하게 도화해서 도화이미지 내 정확한 위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되, 항공촬영텀이 길고 고비용이 지출되는 비행기를 이용한 항공촬영 대신 값싸고 주기적인 촬영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하여 수시로 변화되는 지형지물 영상이미지를 신속히 반영하여 신뢰도 있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고, 특히 관리서버를 구성하는 모듈들을 실장하기 편리하게 하면서 발열로부터 열화되는 것을 예방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하고 처리 오류를 사전에 차단하도록 하면서 불측의 사유로 통신불능시 항상 통신이 가능한 위성 통신을 활용하여 업무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된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도화이미지는 지도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해를 돕고 시각적인 거부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간단한 이미지로 제작된다.
특히,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사용자가 모니터에 출력되고 있는 도화이미지를 쉽고 빠르게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 기기의 경우에는 도화이미지의 배경이 실제 모습과는 확연한 차이를 갖는다.
도 1(도화된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의 (a)는 지형 정보를 최대한 단순화시킨 도화이미지이고, (b)는 실제 지형의 모습을 보인 도화이미지이다.
도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a)의 경우에는 해당 지형의 도로 상태와 지형물이미지(B)의 배치모습 등이 이용자에 의해 쉽고 빠르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나, 실제 현장에서 해당 도화이미지와 지형을 비교할 경우, 서로 상이한 지형물이미지(B, B')와 지형물 간의 모습으로 인해 이용자는 실제 현장과 도화이미지의 동일성 여부에 혼란을 느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화이미지에 대한 수정 및 갱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된 바 있다.
이 시스템은 현장의 실제 지형물에 위치측정기를 설치해서 지형물의 이미지를 확인하고, GPS에서 위치측정기의 좌표값과 위치정보를 별도로 수집하며, 영상도화기는 이렇게 확인된 지형물의 이미지와, 별도로 측정된 좌표값 및 위치정보를 서로 결합시켜서 수치지도DB에 저장되어 있던 기존 도화이미지를 갱신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위치측정기는 현장에서 GPS와 결합된 상태로 작업이 진행되므로, 각종 지형물에 의한 가림이 없는 광야 또는 상대적으로 한적한 도외지 전용으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고층건물이 집중된 도심에서는 GPS위성과의 통신이 곤란하고, 수많은 방해 전파가 범람하며, 이로 인한 각종 센서의 오작동 발생이 빈번한 도심지에서는 지형물에 대한 정확한 위치측정이 불가능했다.
또한, 매 건물마다 위치측정기를 설치하는 것도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항공촬영은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자주 촬영할 수 없어 수시로 변화되는 지형지물의 형상 특성을 신속하게 반영하기 어렵다는 한계에도 봉착해 있다.
이에 더하여, 항공촬영은 항공기가 촬영지점을 고속으로 지나가 버리기 때문에 촬영지역에 머무를 수 없어 필요하다면 항공기를 선회시켜 매번 재촬영해야 하는 번거로움, 그에 따른 시간상, 비용상 매우 큰 낭비가 초래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8078호(2011.02.21.)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영상도화 합성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도심지에 집중된 지형물인 각종 건물의 지형물이미지를 실제 지형물에 준하게 도화해서 도화이미지 내 정확한 위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되, 항공촬영텀이 길고 고비용이 지출되는 비행기를 이용한 항공촬영 대신 값싸고 주기적인 촬영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하여 수시로 변화되는 지형지물 영상이미지를 신속히 반영하여 신뢰도 있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고, 특히 관리서버를 구성하는 모듈들을 실장하기 편리하게 하면서 발열로부터 열화되는 것을 예방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하고 처리 오류를 사전에 차단하도록 하면서 불측의 사유로 통신불능시 항상 통신이 가능한 위성 통신을 활용하여 업무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된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좌표기준점 기능을 수행하도록 RF발신기(R1,R2,R3)와 GPS수신기(G1,G2,G3)를 탑재한 적어도 3대의 이동가능한 차량(100,102,104)과; 상기 RF발신기(R1,R2,R3)로부터 수신된 RF를 통해 각 RF발신기(R1,R2,R3)를 식별하고 GPS수신기(G1,G2,G3)로부터 수신된 좌표정보를 촬영존에 맞춰 RF발신기(R1,R2,R3) 별로 코딩한 촬영이미지를 생성하는 드론(200)과; 상기 드론(200)이 생성한 촬영이미지를 수신하여 도화를 수행하는 도화모듈(330)을 갖춘 관리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100,102,104)에는 소형 위성통신용 기지국이 탑재되되, 상기 소형 위성통신용 기지국은 차량 차량(100,102,104)의 상면 일부에 고정되는 승강실린더(1100)와, 상기 승강실린더(1100)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강부재(1200)와, 상기 승강부재(1200)의 상단 둘레면 중 어느 한 면에 고정된 슬라이딩모터(1300)와, 상기 슬라이딩모터(1300)의 모터축에 고정된 동작기어(1400)와, 상기 동작기어(1400)에 치결합된 스크류샤프트(1500)와, 상기 스크류샤프트(1500)에 고정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고정루프(1600)와, 상기 고정루프(1600)에 탑재되는 위성기지국유닛(GUT)를 포함하는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300)는 원격지의 서버룸(ROM)에 설치되고, 상기 서버룸(ROM)의 전방 천정과 후방 천정에는 각각 대칭되게 환기유닛(600)이 설치되며;
상기 환기유닛(600)은 유닛하우징(610)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하우징(610)은 사각박스 형상이며, 중앙에는 환기챔버(620)가 형성되고, 상기 환기챔버(62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각각 외기흡입구(630)와 내기배출구(642), 내기흡입구(640)와 외기급출구(632)가 형성되며, 외기흡입구(630)와 내기배출구(642) 각각 및 내기흡입구(640)와 외기급출구(632) 각각은 제1,2분할벽(D1,D2)에 의해 서로 분리 구획되고, 상기 환기챔버(620)에는 육각형상의 환기열교환통(700)이 설치되되 환기열교환통(700)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격벽(W1,W2)에 의해 좌우로 분할된 공간을 갖도록 구획되며, 상기 환기열교환통(700)의 양측 꼭지점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2수평벽(H1,H2)이 각각 고정되어 환기챔버(620)를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만들고, 제1분할벽(D1)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내기배출구(642)의 상부공간을 구획하는 제1상부벽(R1)과, 제2분할벽(D2)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외기급출구(632)의 상부공간을 구획하는 제2상부벽(R2)이 형성되며;
상기 환기열교환통(700)은 그 양단을 구성하는 제1통(710)과, 상기 제1통(710)에 면접촉되게 배치된 제2통(720)과, 상기 제2통(720)과 면접촉되게 배치된 제3통(730)과, 상기 제2통(720)과 제3통(730)이 교대로 다수개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을 결속하는 장볼트(7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통(710)과 제3통(730)은 육각형상의 환기열교환통(700)의 상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제1면, 제2면, 제3면, 제4면, 제5면, 제6면을 구성할 때 제2면과 제5면에 각각 제1홀(GO1)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710)은 일측면이 밀폐된 상태로 성형되고, 타측면은 개방된 상태의 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3통(730)은 양측면이 모두 뚫려 있는 상태로 성형되고; 상기 제2통(720)도 제3통(730)과 동일한 형상이지만 제3면과 제6면에 각각 제2홀(GO2)이 형성된다는 점만 다르며; 상기 제1,2,3통(710,720,730)의 모서리 부근에는 장볼트공(742)이 천공되어 장볼트(740)를 끼워 고정하고; 상기 제1통(710)의 개방면, 제2,3통(720,730)의 양측면은 각각 한지(750)가 부착되며;
상기 위성기지국유닛(GUT)은 고정루프(1600)에 고정되는 고정블럭(300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블럭(3000)의 양측면 상측에는 각각 편상의 고정브라켓(3200)이 볼트 고정되며, 상기 고정브라켓(3200)에는 회전유동편(3300)이 덧대어지는 방식으로 일측면에 겹쳐지고, 회전유동편(3300)의 중심을 관통한 회전축(3400)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32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전유동편(3300)에는 상기 회전축(3400)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호 형상의 안내슬릿(350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내슬릿(3500)에는 이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브라켓(3200)에 고정되어 회전유동편(33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임볼트(3600)가 끼윰 고정되며, 상기 회전유동편(3300)의 일측에는 메인고정판(3700)이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메인고정판(3700)의 원중심 일측면에는 부쉬(380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부쉬(3800)에는 통축(3900)이 끼워지고, 상기 통축(3900)은 상기 메인고정판(3700)의 타측에서 메인고정판(3700)에 면접촉되게 걸리는 체결구(3920)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부쉬(380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통축(3900)의 반대단에는 위성안테나통(4000)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위성안테나통(4000)을 마주보는 부쉬(3800)의 일측면에는 탄성끼움구(4100)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끼움구(4100)와 대응되는 위치의 위성안테나통(4000)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 간격을 두고 걸림홈(42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심지에 집중된 지형물인 각종 건물의 지형물이미지를 실제 지형물에 준하게 도화해서 도화이미지 내 정확한 위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되, 항공촬영 텀이 길고 고비용이 지출되는 비행기를 이용한 항공촬영 대신 값싸고 주기적인 촬영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하여 수시로 변화되는 지형지물 영상이미지를 신속히 반영하여 신뢰도 있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고, 특히 관리서버를 구성하는 모듈들을 실장하기 편리하게 하면서 발열로부터 열화되는 것을 예방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하고 처리 오류를 사전에 차단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방식으로 도화된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구성하는 연산기의 연산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중 관리서버의 구현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관리서버 내부 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의 환기용 환기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를 구성하는 블럭형 보드의 냉각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차량에 탑재되는 위성통신 기지국 구현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은 좌표기준점 기능을 수행하도록 RF발신기(R1,R2,R3)와 GPS수신기(G1,G2,G3)를 탑재한 적어도 3대의 이동가능한 차량(100,102,104)과; 상기 RF발신기(R1,R2,R3)로부터 수신된 RF신호를 통해 각 RF발신기(R1,R2,R3)를 식별하고 GPS수신기(G1,G2,G3)로부터 수신된 좌표정보를 촬영존에 맞춰 RF발신기(R1,R2,R3) 별로 코딩한 촬영이미지를 생성하는 드론(200)과; 상기 드론(200)이 생성한 촬영이미지를 수신하여 도화를 수행하는 도화모듈(330)을 갖춘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차량(100,102,104)은 도 3의 예시와 같이, 메모리가 실장된 차량제어기(110)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제어기(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RF를 발신하는 RF발신기(R1,R2,R2)가 각 차량에 하나씩 설치된다.
또한, 상기 차량(100,102,104) 각각에는 상기 차량제어기(110)의 제어신호하에 위성과 통신하여 위치정보, 즉 좌표정보를 확인하는 GPS수신기(G1,G2,G3)도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100,102,104) 각각의 지붕에는 차량용 스테레오카메라(120)가 더 설치되어 입체 영상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는 높이가 높은 건물의 경우 그 직상방에서 드론(200)이 촬영할 경우 측면 이미지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측면 이미지를 입체 영상이미지로 획득한 후 평면 이미지와 합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외관이미지를 3차원 입체 이미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데, 이때 활용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RF발신기(R1,R2,R3)는 RF를 발진시켜 드론(200)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발진된 신호는 RF발신기(R1,R2,R3) 별로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을 갖는 고유한 RF를 포함하므로 드론(200)은 수신한 RF를 통해 당해 RF를 발진한 RF발신기(R1,R2,R3)를 식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RF발신기(R1,R2,R3)는 드론(200)이 촬영대상 지면(즉, 촬영존)에 진입하면 각 차량(100,102,104)에 설치된 차량제어기(110)에 의해 각각 제어되어 단발 또는 일정간격을 두고 연발로 지속해서 발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론(200)은 관리서버(300) 및 차량(100,102,104)과의 무선통신을 비롯한 기능 구현에 필요한 제어를 위해 드론제어기(210)를 탑재한다.
이때, 상기 드론제어기(210)는 촬영존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211)와, RF발신기(R1,R2,R3)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RF수신기(212)와, 드론(200)이 위치한 고도를 측정하는 고도계(213)와, 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드론(200)이 현재 위치한 지점의 지피에스 좌표를 확인하는 좌표계(214)와, RF수신기(212)가 수신한 위치정보와 좌표계(214)가 확인한 위치정보 및 고도계(213)에서 확인된 고도정보를 이용하여 각 RF발신기(R1,R2,R3)까지의 지면상 거리를 산출하는 연산기(215)와, 상기 연산기(215)가 연산한 거리정보와 RF수신기(212)가 수신한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여 촬영존의 촬영이미지 상에 위치정보를 합성하는 위치정보합성기(216)와, 합성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드론메모리(21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211)는 촬영존의 촬영을 위한 일반적인 카메라로, 아날로그 방식 또는 디지털 방식이 적용될 수 있지만,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입체영상 이미지 확보를 위해 드론용 스테레오카메라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RF수신기(212)는 RF발신기(R1,R2,R3)가 발신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여 발진신호에 포함된 RF를 확인하여 구별하며, 구별 정보는 드론제어기(210)가 인식한다.
아울러, 상기 연산기(215)는 도 4의 예시와 같이, 촬영존의 둘레중 적어도 3곳에 배치된 RF발신기(R1,R2,R3)와 GPS수신기(G1,G2,G3)를 탑재한 차량(100,102,104)과, 촬영존 내의 상부 일정높이에서 호버링하고 있는 드론(200)이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촬영존, 즉 드론(200)에 장착된 카메라(211)가 한번에 촬영할 수 있는 단위공간의 크기에 대한 영상이미지에 좌표값, 다시 말해 위치정보를 삽입하여 도화모듈(330)이 도화할 때 정확한 도화가 가능하도록 차량(100,102,104)의 위치정보를 정확히 하기 위해 드론(200)을 기준으로 얼마만큼 떨어져 있는지를 계산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드론(200)의 위치는 좌표계(214)를 통해 알고 있고, 또한 촬영존의 드론(200) 직하방 지면 지점은 고도계(213)를 통해 알고 있으며, 각 RF발신기(R1,R2,R3)까지의 거리는 RF의 속도와 RF수신기(212)가 수신한 시간을 통해 알 수 있으므로 결국 촬영존 내의 드론(200) 직하방 지면 지점으로부터 각 RF발신기(R1,R2,R3)까지의 거리는 직각삼각형을 형성하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산출되게 된다.
이렇게, 촬영존 내의 드론(200) 직하방 지면 지점을 기준으로 각 GPS수신기(G1,G2,G3)가 획득한 좌표값과, 기준점으로부터 RF발신기(R1,R2,R3)까지의 거리정보를 알기 때문에 결국 촬영된 촬영존의 영상이미지에 RF발신기(R1,R2,R3)의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촬영존의 영상이미지를 도화할 때 각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도화하게 되면 정확한 도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론메모리(217)는 위치정보가 합성된 촬영이미지를 저장물 형태로 기록한 후 드론제어기(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화모듈(33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드론메모리(217)는 이를 테면 RAM과 같이 임시 저장기능을 갖는 외장형 디스크(USB방식으로 탈부착되는 기록매체, 또는 SD 카드 형태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고, 일반적인 디스크일 수도 있으며, 탈부착이 가능한 하드드라이브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300)는 원격지의 서버룸(ROM, 도 5 참조)에 설치되고, 메인제어부인 서버제어기(310)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제어기(310)에는 상기 드론(200)과 무선통신하여 도화에 필요한 영상이미지를 수신하는 서버통신부(320)와, 상기 서보통신부(320)를 통해 수신한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도화하는 도화모듈(330)과, 상기 서버제어기(310)에 연결되고 송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메모리(340)가 탑재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300)에는 상기 도화모듈(330) 외에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ata Base), 연산에 필요한 처리모듈(MOD, 도 6 참조)들을 다수 구비하고 있지만,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도 5 및 도 6의 예시와 같이, 도화모듈(330)을 포함한 다수의 처리모듈(MOD)은 블럭형 보드(500)에 실장되며, 블럭형 보드(500)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서버룸(ROM) 내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서버룸(ROM)은 일종의 데이터센터와 같이 일정 크기의 공간내에서 도화를 위한 자료처리, 저장, 갱신, 이중화 백업작업 등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서버룸(ROM)은 데이터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열 때문에 항상 건조공기로 냉각할 필요가 있으며, 분진이나 먼지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이것을 자칫 쇼트를 일으켜 정전사고나 전원사고를 일으키게 되면 처리작업을 못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데이터 복구비용 등이 현저히 많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때문에, 습기가 포함된 냉각공기를 배제한 채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고 내기를 배기할 수 있는 환기수단이 요구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환기수단으로 환기유닛(600)을 서버룸(ROM)의 전방 천정과 후방 천정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300)는 바닥면인 베이스플레이트(400) 위에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유지보수가 쉽도록 구비된다. 다만, 이러한 장탈착구조는 공지된 다수의 구조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굳이 한정할 필요가 없어 도시 설명을 생략하였다.
아울러, 상기 블럭형 보드(500)는 일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슬롯(510)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510)에는 상술한 관리서버(300)를 구성하는 DB 혹은 도화모듈(330)을 포함한 모듈들, 즉 상기 처리모듈(MOD)이 실장된다.
이 경우, 상기 처리모듈(MOD)들은 나사고정되어 안정적인 접속관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블럭형 보드(500)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용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바, 이는 일반적인 보드 실장구조를 블럭형태로 확장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또한, 상기 환기유닛(600)은 도 5 및 도 7 내지 도 9의 예시와 같이, 유닛하우징(610)를 포함한다.
상기 유닛하우징(610)은 사각박스 형상이고, 중앙에는 환기챔버(620)가 형성되며, 상기 환기챔버(62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각각 외기흡입구(630)와 내기배출구(642), 내기흡입구(640)와 외기급출구(632)가 형성되고, 외기흡입구(630)와 내기배출구(642) 각각 및 내기흡입구(640)와 외기급출구(632) 각각은 제1,2분할벽(D1,D2)에 의해 서로 분리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환기챔버(620)에는 육각형상의 환기열교환통(700)이 설치되되, 환기열교환통(700)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격벽(W1,W2)에 의해 좌우로 분할된 공간을 갖도록 구획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환기열교환통(700)의 양측 꼭지점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2수평벽(H1,H2)이 각각 고정되어 환기챔버(620)를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만든다.
이 상태에서, 제1분할벽(D1)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내기배출구(642)의 상부공간을 구획하는 제1상부벽(R1)과, 제2분할벽(D2)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외기급출구(632)의 상부공간을 구획하는 제2상부벽(R2)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외기흡입구(630)와 환기챔버(620) 사이의 공간은 외기도입방(S1)이 되고, 상기 내기흡입구(640)와 환기챔버(620) 사이의 공간은 내기도입방(S2)이 되며, 상기 내기배출구(642)와 환기챔버(620) 사이의 공간은 내기배출방(S3)이 되고, 상기 외기급출구(632)와 환기챔버(620) 사이의 공간은 외기급출방(S4)이 된다.
때문에, 외기도입방(S1)으로 도입된 외기는 환기챔버(620)과 연통된 상측으로만 흘러갈 수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환기열교환통(700)의 외기흡기부로 흡입될 수 있게 된다. 즉, 도 8의 설명도에서와 같이, 환기열교환통(700)의 제2면으로 도입된 후 제5면을 통해 배출된 후 외기급출방(S4)으로 유입된 다음 외기급출구(632)를 통해 서버룸(ROM)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반면, 서버룸(ROM)의 내기는 내기흡입구(640)로 도입된 후 내기도입방(S2)을 거쳐 환기열교환통(700)의 제6면으로 유입되고, 내부에서 흘러가는 외기와 열교환된 후 제3면을 통해 배출된 후 내기배출방(S3)으로 유입된 다음 내기배출구(6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내기배출방(S3)에는 배출송풍팬(FN1)이 설치되고, 상기 외기급출방(S4)에는 급출송풍팬(FN2)이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외기도입방(S1)에는 교체가능한 외기프리필터(FT1)가 내장되고, 상기 내기도입방(S2)에는 교체가능한 내기프리필터(FT2)가 내장된다.
이때, 상기 외기프리필터(FT1)와 내기프리필터(FT2)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닛하우징(610)의 상부를 밀폐하는 커버(미도시)를 분리하면 쉽게 들어 올려 교체할 수 있는 슬라이딩 삽입식으로 조립되어 교체 사용시 쉽도록 구성된다.
다른 한편, 상기 환기열교환통(700)은 도 8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열교환통(700)의 양단을 구성하는 제1통(710)과, 상기 제1통(710)에 면접촉되게 배치된 제2통(720)과, 상기 제2통(720)과 면접촉되게 배치된 제3통(730)과, 상기 제2통(720)과 제3통(730)이 교대로 다수개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을 결속하는 장볼트(7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통(710)과 제3통(730)은 육각형상의 환기열교환통(700)의 상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제1면, 제2면, 제3면, 제4면, 제5면, 제6면이라고 칭했을 때, 제2면과 제5면에 각각 제1홀(GO1)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통(710)은 일측면이 밀폐된 상태로 성형되고, 타측면은 개방된 상태의 통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3통(730)은 양측면이 모두 뚫려 있는 상태로 성형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통(720)도 제3통(730)과 동일한 형상이지만, 제3면과 제6면에 각각 제2홀(GO2)이 형성된다는 점만 다를 뿐이다.
나아가, 상기 제1,2,3통(710,720,730)의 모서리 부근에는 장볼트공(742)이 천공되어 있어 장볼트(740)를 끼워 고정하기 쉽도록 구성된다.
때문에, 환기열교환통(700)의 용량을 얼마든지 자유롭게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통(710)의 개방면, 제2,3통(720,730)의 양측면은 각각 한지(750)가 부착된다.
상기 한지(750)는 단순한 한지가 아니라, 조습성을 갖도록 하면서 내구성을 갖추어 외기와 내기가 간접적으로 열교환될 때 외기에 함유된 수분이 한지(750)에 흡수되면서 건조한 공기를 급기할 수 있도록 하고, 온도상승된 내기가 배출되면서 조습된 한지를 건조시켜 내기와 외기가 완전히 차단되는 것이 아니라 한지(750)를 통해 미세하게 직접적인 열교환도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 현상도 막고, 그로 인해 생기는 곰팡이 서식도 차단하며, 서버룸(ROM) 내부로는 건조한 공기만 공급할 수 있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한지를 만드는 원지를 알로펜(Allophane) 분말 15.0중량%, 오산화인 5.0중량%, 아비에스틴산 3.5중량%,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6.5중량%, 아인산염 5.5중량%, 페트로레이텀 4.0 및 나머지 수산화알루미늄-멜라민 혼합액으로 이루어진 침지액에 1시간 침지시킨 후 건조한 후 사용한다.
이때, 상기 알로펜(Allophane) 분말 다공질의 알로펜 점토광물을 0.01mm 이하의 입도를 갖도록 분쇄하여 미분화시킨 것으로, 알로펜은 다공질의 미세한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어 뛰어난 조습기능을 가지고 있다.
알려지 바에 따르면, 조습벽지의 15배에 이르는 흡, 방습 능력을 지닌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 이러한 특성을 본 발명에서는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여기에서, 조습이란 바싹 마르기도 하고 축축히 젖기도 하는 성질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한지이다. 즉, 습도가 올라가면 흡습하여 결로를 방지하고, 습도가 내려가면 머금은 습기를 방출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특성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오산화인은 종이의 경질화를 억제하여 유연성을 유지하고,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아비에스틴산은 물과 반응하여 불용성의 칼슘 비누화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강고한 지막을 형성함으로써 수밀성을 강화시키지만 알로펜분말에 의한 미세기공은 유지되므로 조습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방오성을 강화시킨다.
아울러,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는 액의 침착성을 높여 원지의 굴곡탄성율을 강화시킴으로써 스크래치 방지, 찢어짐 방지를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아인산염(Phosphites)은 내화학성이 뛰어나고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에서의 열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페트로레이텀(Petrolatum)은 연질과 중질 유분을 혼합한 겔 형태의 석유 제품으로서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을 억제하여 열변형을 차단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산화알루미늄-멜라민 혼합액은 내열성과 난연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수산화알루미늄과 멜라민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수분 제거, 습기 제거를 위한 설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우수한 환기가 가능하여 서버룸(ROM) 내부의 온도를 떨어뜨려 안정화시키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하게 된다.
즉, 냉각기를 이용하여 냉기를 공급할 경우 습기를 제거한 채 건조공기만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설비를 더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냉각기에 더하여 수분 혹은 습기제거 설비를 갖추는데 드는 비용과 그것들을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 등을 감안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환기유닛은 부피 측면에서나 공간 효율성 측면은 물론 비용면에서도 매우 합리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0의 예시와 같이, 환기열교환통(70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각각 스텝모터(M1,M2)를 설치하고, 상기 스텝모터(M1,M2)의 회전축에는 제습필터(RF)의 일단에 고정되게 하여 스텝모터(M1,M2)의 회전방향에 따라 외기가 도입되는 환기열교환통(700)의 도입구, 즉 제2면과 제5면에 각각 형성된 제1홀(GO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비가 오거나 습도가 높은 날에는 습도센서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토대로 제습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제습필터(RF)를 통해 도입되는 외기가 한 번 더 여과되도록 하여 습기가 서버룸(ROM)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습필터(RF)는 다수의 통공(772)이 형성된 필터하우징(770) 내부에 볼형상을 갖는 다수의 실리카겔(774)이 충전되고, 필터하우징(770)의 외부는 부직포(776)로 덧씌워진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습필터(RF)는 회전축(ROT)에 수직하게 고정된 고정축대(780) 상에 분해가능하게 나사조립된다.
따라서, 제습필터(RF)는 교체 사용이 쉽고, 실리카겔(774)을 교환하기도 쉽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11의 예시와 같이, 그리고,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내부에는 공기유로(570)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로(570)의 하단은 팬박스(520)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형태의 송풍구(580)와 연통되게 배치되며, 상기 팬박스(520) 내부에는 크로스플로우팬(592)이 내장되며, 상기 크로스플로우팬(592)은 팬모터(590)에 의해 회전구동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팬박스(520)의 일측면에는 흡입공(522)이 형성되고, 상기 블럭형 보드(500)의 슬롯(510)들 사이의 벽면에는 상기 공기유로(570)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출공(524)이 형성된다.
때문에, 상기 크로스플로우팬(592)이 가동되면 건조한 실내공기가 흡입공(522)으로 흡입된 후 송풍구(580)를 거쳐 공기유로(570), 배출공(524)을 순차로 흐르면서 배출되어 슬롯(510)에 장착되어 있는 처리모듈(MOD)들을 냉각시키게 된다.
특히, 작은 구멍을 강한 압력으로 통과할 때 온도 강하 현상이 나타나므로 압력을 높이면 더욱 더 효과적인 약간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킬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차량(100,102,104)에 위성통신 기지국을 갖추어 국내 이동통신기지국과 통신이 불가능한 섬지역 혹은 이동통신기지국 자체 문제로 통신이 두절될 경우 이를 보완하여 상시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업무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12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추가되는 소형 위성통신용 기지국은 차량(100,102,104)의 상면 일부에 고정되는 승강실린더(1100)와, 상기 승강실린더(1100)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강부재(1200)와, 상기 승강부재(1200)의 상단 둘레면 중 어느 한 면에 고정된 슬라이딩모터(1300)와, 상기 슬라이딩모터(1300)의 모터축에 고정된 동작기어(1400)와, 상기 동작기어(1400)에 치결합된 스크류샤프트(1500)와, 상기 스크류샤프트(1500)에 고정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고정루프(1600)와, 상기 고정루프(1600)에 탑재되는 위성기지국유닛(GUT)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크류샤프트(1500)는 상기 승강부재(1200)의 상단 둘레면중 일면에 배치되며, 양단이 베어링고정되어 제자리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샤프트(1500)가 설치된 면과 대향되는 면상에는 가이드봉(1700)이 브라켓에 의해 지지된 채 설치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루프(1600)는 '∧'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는 비어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경량화는 물론 우천시 배수가 잘되게 하고, 이물질이 잘 부착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루프(1600)의 일측하단에는 스크류브라켓(2500)이 고정되고, 타측하단에는 봉브라켓(2700)이 고정된다.
그리하여, 스크류브라켓(2500)은 스크류샤프트(1500)와 치결합되어 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움직이면서 일체를 이루고 있는 고정루프(16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봉브라켓(2700)은 가이드봉(1700)이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안내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크류브라켓(2500)은 슬라이딩모터(1300)와 떨어져 있는 쪽 고정루프(160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모터(1300) 쪽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나만 설치되며, 슬라이딩모터(1300)에 근접했을 때 고정루프(1600)는 승강부재(1200)의 상부를 거의 2/3 정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루프(1600)의 상단 정점에는 노즐본체(2800)가 설치되고, 상기 노즐본체(2800)의 양단면에는 다수의 분사노즐(2810)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루프(1600)의 내부에는 공기펌프(2820)가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공기를 분사시켜 오염물질이 고정루프(1600)의 표면에 부착되지 못하도록 청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위성기지국유닛(GUT)은 고정루프(1600)에 고정되는 고정블럭(300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블럭(3000)은 사각형상으로 내부가 채워진 형태지만, 작업자 한 사람이 들 수 있는 중량이며, 고정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고정블럭(300)의 양측면에는 웨이트(3100)를 더 부착할 수도 있다.
이것은 고정블럭(3000)의 무게중심이 최대한 후측 아래에 있게 하여 고정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물론 고정부재를 통해 견고히 고정될 경우에는 불필요하며, 필요한 경우는 그냥 안착시켜 설치하는 경우에 한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블럭(3000)의 양측면 상측에는 각각 편상의 고정브라켓(3200)이 볼트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3200)에는 회전유동편(3300)이 덧대어지는 방식으로 일측면에 겹쳐지고, 회전유동편(3300)의 중심을 관통한 회전축(3400)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32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상기 회전유동편(3300)의 회전중심은 상기 회전축(3400)이 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유동편(3300)에는 상기 회전축(3400)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호 형상의 안내슬릿(350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내슬릿(3500)에는 이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브라켓(3200)에 고정되는 조임볼트(3600)가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회전유동편(3300)이 일정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고정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조임볼트(3600)는 회전유동편(33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일종의 각도 조절구이다.
때문에, 상기 안내슬릿(3500)의 위치에 대응되게 상기 고정브라켓(3200) 상에는 회전유동편(3300)을 기울일 수 있는 각도를 미리 정하고 해당 위치에 볼트공(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조임볼트(3600)를 끼워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조임볼트(3600)는 볼트머리, 즉 볼트헤드의 직경이 일반적인 볼트보다 3배 이상 크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유동편(3300)의 편면을 강하게 조여 압착고정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동편(3300)의 일측에는 메인고정판(3700)이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메인고정판(3700)의 원중심 일측면에는 부쉬(3800)가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부쉬(3800)에는 통축(3900)이 끼워지고, 상기 통축(3900)은 상기 메인고정판(3700)의 타측에서 메인고정판(3700)에 면접촉되게 걸리는 체결구(392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부쉬(380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통축(3900)의 반대단에는 위성안테나통(4000)이 일체로 고정된다.
결국, 상기 위성안테나통(4000)은 상기 통축(3900)을 기점으로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편파(Skew)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회전축(3400)을 기점으로 안내슬릿(3500)과 조임볼트(3600)의 안내에 따라 고정블럭(3000)의 측면에서 상면으로 폴딩가능하므로 방위각(Azimuth)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위성안테나통(400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위성안테나통(400)을 마주보는 부쉬(3800)의 일측면에는 탄성끼움구(4100)가 구비되고, 그와 대응되는 위치의 위성안테나통(4000)에는 원주방향으로 15도 혹은 30도 혹은 45도의 각도간격을 두고 걸림홈(4200)이 형성된다.
때문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움직이는 공지의 탄성끼움구(4100)는 상기 걸림홈(4200)에 들락걸리면서 위성안테나통(4000)이 일정 위치에 있도록 위치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위성안테나통(4000) 내부에는 편파방식으로 위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듈들이 내장된다.
특히, 와이파이 모듈을 더 내장하면, 주변에 모인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비상시 와이파이망을 통해 무선통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0: 차량
200: 드론
300: 관리서버

Claims (1)

  1. 좌표기준점 기능을 수행하도록 RF발신기(R1,R2,R3)와 GPS수신기(G1,G2,G3)를 탑재한 적어도 3대의 이동가능한 차량(100,102,104)과; 상기 RF발신기(R1,R2,R3)로부터 수신된 RF를 통해 각 RF발신기(R1,R2,R3)를 식별하고 GPS수신기(G1,G2,G3)로부터 수신된 좌표정보를 촬영존에 맞춰 RF발신기(R1,R2,R3) 별로 코딩한 촬영이미지를 생성하는 드론(200)과; 상기 드론(200)이 생성한 촬영이미지를 수신하여 도화를 수행하는 도화모듈(330)을 갖춘 관리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100,102,104)에는 소형 위성통신용 기지국이 탑재되되, 상기 소형 위성통신용 기지국은 차량 차량(100,102,104)의 상면 일부에 고정되는 승강실린더(1100)와, 상기 승강실린더(1100)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강부재(1200)와, 상기 승강부재(1200)의 상단 둘레면 중 어느 한 면에 고정된 슬라이딩모터(1300)와, 상기 슬라이딩모터(1300)의 모터축에 고정된 동작기어(1400)와, 상기 동작기어(1400)에 치결합된 스크류샤프트(1500)와, 상기 스크류샤프트(1500)에 고정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고정루프(1600)와, 상기 고정루프(1600)에 탑재되는 위성기지국유닛(GUT)를 포함하는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300)는 원격지의 서버룸(ROM)에 설치되고, 상기 서버룸(ROM)의 전방 천정과 후방 천정에는 각각 대칭되게 환기유닛(600)이 설치되며;
    상기 환기유닛(600)은 유닛하우징(610)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하우징(610)은 사각박스 형상이며, 중앙에는 환기챔버(620)가 형성되고, 상기 환기챔버(62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각각 외기흡입구(630)와 내기배출구(642), 내기흡입구(640)와 외기급출구(632)가 형성되며, 외기흡입구(630)와 내기배출구(642) 각각 및 내기흡입구(640)와 외기급출구(632) 각각은 제1,2분할벽(D1,D2)에 의해 서로 분리 구획되고, 상기 환기챔버(620)에는 육각형상의 환기열교환통(700)이 설치되되 환기열교환통(700)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격벽(W1,W2)에 의해 좌우로 분할된 공간을 갖도록 구획되며, 상기 환기열교환통(700)의 양측 꼭지점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2수평벽(H1,H2)이 각각 고정되어 환기챔버(620)를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만들고, 제1분할벽(D1)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내기배출구(642)의 상부공간을 구획하는 제1상부벽(R1)과, 제2분할벽(D2)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외기급출구(632)의 상부공간을 구획하는 제2상부벽(R2)이 형성되며;
    상기 환기열교환통(700)은 그 양단을 구성하는 제1통(710)과, 상기 제1통(710)에 면접촉되게 배치된 제2통(720)과, 상기 제2통(720)과 면접촉되게 배치된 제3통(730)과, 상기 제2통(720)과 제3통(730)이 교대로 다수개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을 결속하는 장볼트(7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통(710)과 제3통(730)은 육각형상의 환기열교환통(700)의 상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제1면, 제2면, 제3면, 제4면, 제5면, 제6면을 구성할 때 제2면과 제5면에 각각 제1홀(GO1)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710)은 일측면이 밀폐된 상태로 성형되고, 타측면은 개방된 상태의 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3통(730)은 양측면이 모두 뚫려 있는 상태로 성형되고; 상기 제2통(720)도 제3통(730)과 동일한 형상이지만 제3면과 제6면에 각각 제2홀(GO2)이 형성된다는 점만 다르며; 상기 제1,2,3통(710,720,730)의 모서리 부근에는 장볼트공(742)이 천공되어 장볼트(740)를 끼워 고정하고; 상기 제1통(710)의 개방면, 제2,3통(720,730)의 양측면은 각각 한지(750)가 부착되며;
    상기 위성기지국유닛(GUT)은 고정루프(1600)에 고정되는 고정블럭(300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블럭(3000)의 양측면 상측에는 각각 편상의 고정브라켓(3200)이 볼트 고정되며, 상기 고정브라켓(3200)에는 회전유동편(3300)이 덧대어지는 방식으로 일측면에 겹쳐지고, 회전유동편(3300)의 중심을 관통한 회전축(3400)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32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전유동편(3300)에는 상기 회전축(3400)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호 형상의 안내슬릿(350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내슬릿(3500)에는 이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브라켓(3200)에 고정되어 회전유동편(33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임볼트(3600)가 끼윰 고정되며, 상기 회전유동편(3300)의 일측에는 메인고정판(3700)이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메인고정판(3700)의 원중심 일측면에는 부쉬(380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부쉬(3800)에는 통축(3900)이 끼워지고, 상기 통축(3900)은 상기 메인고정판(3700)의 타측에서 메인고정판(3700)에 면접촉되게 걸리는 체결구(3920)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부쉬(380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통축(3900)의 반대단에는 위성안테나통(4000)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위성안테나통(4000)을 마주보는 부쉬(3800)의 일측면에는 탄성끼움구(4100)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끼움구(4100)와 대응되는 위치의 위성안테나통(4000)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 간격을 두고 걸림홈(42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200117769A 2020-09-14 2020-09-14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309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769A KR102309193B1 (ko) 2020-09-14 2020-09-14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769A KR102309193B1 (ko) 2020-09-14 2020-09-14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193B1 true KR102309193B1 (ko) 2021-10-06

Family

ID=7807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769A KR102309193B1 (ko) 2020-09-14 2020-09-14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1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256B1 (ko) 2021-10-14 2022-05-23 (주)엔토포스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9700B1 (ko) * 1996-03-21 1999-02-01 배순훈 위성방송 수신 안테나의 앙각 및 방위각 조절장치
KR101018078B1 (ko) 2010-10-01 2011-03-02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영상도화 합성시스템
KR101486467B1 (ko) * 2014-07-22 2015-01-28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Gps 위치좌표에 대한 지형구조 변화 확인용 측지측량 데이터 업데이트 처리 시스템
KR101659938B1 (ko) * 2016-06-27 2016-09-26 주식회사 고산자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1699532B1 (ko) * 2015-06-10 2017-01-2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KR101846519B1 (ko) * 2017-10-30 2018-04-09 (주)국토해양기술 지형지물의 기준점 설정 위치별 이미지의 공간영상도화 오차보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9700B1 (ko) * 1996-03-21 1999-02-01 배순훈 위성방송 수신 안테나의 앙각 및 방위각 조절장치
KR101018078B1 (ko) 2010-10-01 2011-03-02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영상도화 합성시스템
KR101486467B1 (ko) * 2014-07-22 2015-01-28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Gps 위치좌표에 대한 지형구조 변화 확인용 측지측량 데이터 업데이트 처리 시스템
KR101699532B1 (ko) * 2015-06-10 2017-01-2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KR101659938B1 (ko) * 2016-06-27 2016-09-26 주식회사 고산자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1846519B1 (ko) * 2017-10-30 2018-04-09 (주)국토해양기술 지형지물의 기준점 설정 위치별 이미지의 공간영상도화 오차보정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256B1 (ko) 2021-10-14 2022-05-23 (주)엔토포스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236B1 (ko) 지피에스 정보를 포함하는 지형정보 영상이미지의 영상처리 시스템
KR102361332B1 (ko) 기준점별 지형지물의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Bendea et al. Mapping of archaeological areas using a low-cost UAV. The Augusta Bagiennorum test site
KR102309193B1 (ko) 지리정보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형정보 변화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887625B1 (ko) 영상이미지와 수치데이터를 처리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05121965A (zh) 干燥剂空气调节方法和系统
Pfeifer et al. Direct georeferencing with on board navigation components of light weight UAV platforms
US8994822B2 (en) Infrastructure mapping system and method
KR102362553B1 (ko) 영상데이터를 실시간 업데이트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JP6224061B2 (ja) 水位測定システムおよび水位制御システム、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水位測定方法および水位制御方法
KR102280851B1 (ko) 지형지물의 기준점별 영상을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948802B1 (ko)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N101151188A (zh) 无人驾驶直升机
KR102400256B1 (ko) 드론과 항공측량용 이미지를 이용한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제공방법
KR101893078B1 (ko) 측정된 수치정보데이터를 처리하는 3차원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10487253A (zh) 一种基于多旋翼无人机高精度不动产测量方法
KR101815260B1 (ko) 기준점 위치확인과 지형정보를 응용한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259752B1 (ko)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CA2880229A1 (en) Infrastructure mapping system and method
KR102323924B1 (ko) 수시로 변화되는 지형정보를 신속하게 반영하여 신뢰도 있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10162032A (zh) 车辆地图数据采集系统和方法
KR102280852B1 (ko) 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280850B1 (ko) 기준점 위치와 지형물의 정보를 이용한 공간영상도화 보정시스템
KR102347356B1 (ko) 기준점 데이터를 적용한 영상 이미지의 영상처리 시스템
JP2019035728A (ja) ネジ付き対空標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