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983B1 -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983B1
KR102291983B1 KR1020210026389A KR20210026389A KR102291983B1 KR 102291983 B1 KR102291983 B1 KR 102291983B1 KR 1020210026389 A KR1020210026389 A KR 1020210026389A KR 20210026389 A KR20210026389 A KR 20210026389A KR 102291983 B1 KR102291983 B1 KR 102291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guide
driving
drive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구
Original Assignee
위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6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8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two co-ordinates of the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8Adaptation for use in or on aircraft, missiles, satellites, or balloons
    • H01Q1/288Satellite antenn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성안테나의 구동장치에 설치되어 앙각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안테나가 고정된 구동 샤프트와, 기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앙각 조절 모터와, 상기 앙각 조절 모터의 출력축에 마련되어 출력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 기어와, 원호 형상이되 내측면에 기어 이가 형성된 형태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면에 구동 샤프트와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 및 고정된 가이드 기어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기어와 구동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기어의 내측면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가이드 블록과, 상기 가이드기어와 가이드 블록 사이를 경유하며,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움직이는 구동 체인과, 상기 가이드 기어와 구동 체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 체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이드 기어를 따라 선회하는 유성 기어 및 일단은 상기 유성기어와 구동샤프트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백래시 현상이 없고 정확한 앙각조절이 가능하면서도 내열성, 내유성, 내습성이 있는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 장치{Elevation angle adjustment device of satellite antenna}
본 발명은 앙각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성안테나로 하여금 인공위성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성안테나는 특정 영역대의 전자기파를 인공위성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며, 주파수와 통신 거리 특성상 고이득 지향성 안테나로 위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기준 방향에서 좌우 방향으로 인공위성을 향하도록 하는 각도인 방위각과, 안테나가 위성을 올려다보는 상하각도, 즉 앙각을 맞추어야한다.
그런데 자동차나 선박, 기차 등의 이동체에 설치되는 위성 안테나의 경우, 이동체가 이동함에 따라 인공위성과 안테나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는 바, 인공위성의 신호를 추적하기 위한 장치들이 추가로 요구되므로 전자적으로 방위각과 앙각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안테나 구동 장치라 한다.
앙각조절장치는 크게 기어를 이용한 방식과, 리니어모터방식 및 벨트를 이용한 방식의 3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먼저, 기어를 이용한 방식은 기어드 모터가 앙각축에 결합되어 안테나를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의 앙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는 반면, 앙각조절시 안테나가 관성에 의해 흔들리게 되는 벡래시(Back-lash)현상이 커, 안정적인 앙각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기어드모터의 기어와 앙각축의 기어가 맞물린 상태로 구동력이 전달되므로 안테나의 앙각 조절 자체도 정밀하게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방식은 안테나를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의 앙각축에서 일정 이격된 지점에 리니어모터의 축을 직접 피봇 결합시키거나 지지 브래킷과 프레임 사이에 별도의 링크기구를 설치하고 이 링크기구의 일측에 리니어모터의 축을 연결하여 리니어모터의 축을 신축되도록 하여 링크기구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안테나의 앙각을 조절하는 구조로, 앙각축과 안테나의 앙각을 조절하기 위한 힘의 작용점이 별도로 형성되어 벡래시 현상이 다소 감소하기는 하나, 여전히 벡래시 현상이 있으며 구조적으로 복잡한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벨트를 이용한 방식은 안테나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의 양단에 벨트를 연결하고 구동수단을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켜 앙각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이는 벡래시 현상이 없으나, 벨트를 적용하기 위해 많은 공간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보다 높은 공간효율을 발휘할 수 있는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564073호("위성안테나의 앙각조절장치") 2. 한국등록특허 제10-1699532호("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92715호("백래시 조절구조를 갖는 웜기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팝업 안테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백래시 현상이 없고 정확한 앙각조절이 가능하면서도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는, 위성안테나의 구동장치에 설치되어 앙각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안테나가 고정된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장치 바닥면에 대해 기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에 배치되는 앙각 조절 모터; 상기 앙각 조절 모터의 출력축에 마련되어 출력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 기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면에 구동 샤프트와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 및 고정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와의 대향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기어 이가 형성된 형태의 가이드 기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기어와 구동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기어와 대향하는 면이 상기 구동 샤프트와 동심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기어의 내측면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가이드 블록; 상기 가이드기어와 가이드 블록 사이를 경유하며, 일측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구동기어의 구동에 따라 움직이는 구동 체인; 상기 가이드 기어와 구동 체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 체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이드 기어를 따라 선회하는 유성 기어; 및 일단은 상기 유성기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움직임을 구동샤프트에 전달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 체인의 내부 일측은 상기 구동 기어가 맞물리고, 내부 타측은 상기 가이드 블록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구동 샤프트와 대향하는 면이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는, 상기 가이드 블록과 구동 샤프트 사이에서, 상기 구동 샤프트와 가이드 블록 각각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 및 고정되는 접촉 방지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체인은, 상기 가이드 블록과 접촉 방지 블록 사이를 경유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동 체인이 상기 구동 샤프트와의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기어와, 가이드 블록과, 접촉 방지 블록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 방지 블록은, 상기 가이드 블록과의 대향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기어는, 상기 구동 기어가 배치된 측 끝단이 구동 기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안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내부는, 그 둘레를 따라 체인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 체인이 상기 안내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기어는, 그 둘레를 따라 체인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 체인이 상기 가이드 기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성기어는, 다수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위성안테나의 구동장치에 설치되어 앙각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안테나가 고정된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장치 바닥면에 대해 기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에 배치되는 앙각 조절 모터; 상기 앙각 조절 모터의 출력축에 마련되어 출력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 기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면에 구동 샤프트와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 및 고정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와의 대향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기어 이가 형성된 형태의 가이드 기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기어와 구동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기어와 대향하는 면이 상기 구동 샤프트와 동심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기어의 내측면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가이드 블록; 상기 가이드기어와 가이드 블록 사이를 경유하며, 일측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구동기어의 구동에 따라 움직이는 구동 벨트; 상기 가이드 기어와 구동 벨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 벨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이드 기어를 따라 선회하는 유성 기어; 및 일단은 상기 유성기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움직임을 구동샤프트에 전달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위성안테나 앙각 조절장치는 가이드 기어와, 가이드 블록과, 유성기어의 구성을 통해 축간거리가 먼 곳에만 적용될 수 있는 체인과 벨트를 적용할 수 있어 공간효율이 높고 벡래시 현상이 없는 위성안테나 앙각 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체인의 구성을 통해 정확한 앙각조절이 가능하면서도 내열성, 내유성, 내습성이 있고 전동효율이 좋은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가 적용된 위성안테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가 적용된 위성안테나의 구동장치커버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앙각 조절장치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가 적용된 위성안테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앙각 조절장치에 의해 안테나의 각도가 조절된 모습을 도시한 위성안테나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앙각 조절장치에 의해 안테나의 각도가 조절된 모습을 도시한 위성안테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가 적용된 위성안테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의 설명에 앞서, 이해를 돕기 위해 앙각 조절장치가 적용되는 위성안테나의 구조에 대한 설명을 먼저 하도록 한다.
위성안테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구동장치(10)와, 안테나(20)와, LNB(Low Noise Block downconverter)(22)와, 하부 플레이트(30)로 이루어진다.
안테나(20)는 접시 형태로 형성되어 입사된 전파를 포물면에 반사시켜 집점으로 집속하는 역할을 하고, LNB(22)는 전파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구동장치(10)는 안테나의 앙각과 방위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하부 플레이트(30)는 구동장치(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위성안테나(1)가 설치면에 설치될 수 있게끔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1000)는 구동장치(10)에 포함된다.
구동장치(10)는 외부 오염물 차단을 위해 구동장치 커버(11)가 있을 수 있지만, 이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가 적용된 위성안테나의 구동장치커버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동자치 커버(11)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앙각 조절장치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가 적용된 위성안테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1000)의 각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1000)는 크게 구동 샤프트(100)와, 베이스 플레이트(150)와, 앙각 조절 모터(200)와, 구동 기어(220)와, 가이드 기어(300)와, 가이드 블록(400)과, 접촉 방지 블록(500)과, 구동 체인(600)과, 유성 기어(700), 및 연결 플레이트(800)를 포함한다.
먼저, 구동 샤프트(100)는 안테나(20)의 회전중심이 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안테나(20)의 일측이 고정된다. 이때, 구동 샤프트(100)는 위성안테나의 설치면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구동 샤프트(100)의 양단이 구동장치 커버(11) 외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구동 샤프트(100)에 안테나(20)의 일측이 고정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안테나(20)의 일측이 구동 샤프트(100)의 중앙부에 고정되는 형태나 구동 샤프트(100)의 일단에 고정되는 형태 등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50)는 구동장치 바닥면에 대해 기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판형상의 구조물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50)는 후술할 구동 기어(220)와, 가이드 기어(300)와, 가이드 블록(400)과, 접촉 방지 블록(500)이 설치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 샤프트(100)가 관통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앙각 조절 모터(200)는 안테나(20)의 앙각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구동장치 베이스 플레이트(150) 일측에 마련된다.
도면에서는 앙각 조절 모터(200)의 출력축(210)이 베이스 플레이트(150)를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50)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앙각 조절 모터(200)의 출력축(210)이 베이스 플레이트(150)를 반드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구동 기어(220)는 앙각 조절 모터(200)의 출력축(210)에 결합되어, 출력축(2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구동 기어(220)는 앙각 조절 모터(200)의 구동력을 후술할 구동 체인(6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기어(300)는 후술할 유성 기어(700)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이다. 가이드 기어(300)는 베이스 플레이트(150) 일측면에 고정되, 구동 샤프트와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가이드 기어(300)는 원호 형상이며, 구동 샤프트(100)와의 대향면인 내측면에는 기어 이가 형성된 형태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기어(300)의 중심각도는 안테나의 앙각 조절범위를 고려하여 90도 내지 180도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가이드 기어(300)는 원호 형상이라 하였으나, 구동 샤프트(100)와의 대향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어 이가 형성 된다면 어떤 형상으로든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가이드 기어(300)의 일측 끝단, 더욱 정확하게는 구동 기어(220)가 배치된 지점과 가까운 측 끝단은 구동 기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안내부(310)를 형성하는데, 안내부(310)의 역할 및 자세한 형태에 대해서는 구동 체인(600)과 가이드 블록(400)의 설명 이후에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가이드 블록(400)은 후술한 구동 체인(600)이 걸쳐져, 구동 체인(600)이 정해진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가이드 블록은 가이드 기어(300)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플레이트(150) 일측면에 고정되되, 가이드 기어(300)와 구동 샤프트(100)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블록(400)의 가이드 기어(300)와의 대향면은 구동 샤프트(100)와 동심인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이드 기어(300)와의 대향면과 가이드 기어(300)의 내측면 사이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가이드 기어(300)의 내측면과 가이드 기어(300)가 가이드 블록(400)과 대향하는 면은 모두 구동 샤프트(100)와 동심인 원호 형태이므로, 가이드 기어(300)의 내측면 각 지점에서 가이드 블록(400)의 가이드 기어(300)에 대한 대향면은 모두 같은 간격으로 이격됨은 물론이다.
가이드 블록(400)의 구동 샤프트(100)와의 대향면 양 끝단은 가이드 블록(400)의 양단을 연결한 선의 중앙점에서 가이드 블록(400)의 양단을 연결한 선과 수직한 방향과 소정 구간 평행하게 형성되며, 중앙부분은 가이드 블록 측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U"자 형태, 즉, 아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블록의 구동샤프트와의 대향면 중앙부분은 가이드 기어(300)와의 대향면보다 작은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블록의 구동샤프트와의 대향면 형상은 후술할 접촉 방지 블록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이드 블록(400)은 그 외주면을 따라 체인 안착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체인 안착홈(410)은 후술할 구동 체인(600)이 안착되며, 가이드 블록(400)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동 체인(600)은 구동 기어(220)의 구동력을 구동 샤프트(10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 중 하나이다. 구동 체인(600)은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 일측은 구동 기어(220)가 맞물리고, 내부 타측은 상기 가이드 블록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구동 체인(600)은 가이드 기어(300)와 가이드 블록(400) 사이를 경유한다.
앞서 설명한 안내부(310)는 구동 기어(22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 기어(300)와 가이드 블록(400) 사이로 슬라이딩 된 구동 체인(600)이 가이드 블록(400)에 밀착되어 처짐 없이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안내부(3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기어(220)의 내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그 외면이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안내부(310)는 그 둘레를 따라 구동 체인(600)이 안착될 수 있는 체인 안착홈(311)이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구동 체인(600)은 체인 안착홈(311)에 안착되어 안내부(31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유성 기어(700)는 가이드 기어(300)와 구동 체인(600) 사이에 마련되며, 가이드 기어(300)와 구동 체인(600)과 치합되어 구동 체인(600)의 움직임에 따라 가이드 기어(300)를 따라 선회한다. 유성 기어(700)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마련되어 벡래시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유성기어가 다수개일 경우 마찰력과 기어의 이가 서로 치합되는 힘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유성기어를 다수개 사용할 경우, 강풍 등에 의한 외력에 대해 안테나의 앙각이 변형되는 문제 또한 예방할 수 있다.
참고로, 각각의 유성기어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800)는 일단은 유성 기어(700)의 중심축에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구동샤프트에 고정된 형태로, 유성기어가 가이드 기어를 따라 선회함에 따라 구동 샤프트(100)와 안테나(20)가 함께 회전하여 양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접촉 방지 블록(500)은 가이드 기어(300)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플레이트(150) 일측면에 고정되되, 가이드 블록(400)과 구동 샤프트(100) 사이에서, 구동 샤프트(100)와 가이드 블록(400) 각각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더욱 정확하게는 가이드 블록(400)과 구동 샤프트(100) 사이 간격이 가장 큰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접촉 방지 블록(500)은 가이드 블록(400)과의 대향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구동 체인(600)은 가이드 블록(400)과 접촉 방지 블록(500) 사이를 경유하도록 배치되어, 구동 체인(600)이 구동 샤프트(10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1000)는 앙각 조절 모터(200)에 의해 구동력을 발휘한다.
앙각 조절 모터(200)가 구동될 경우, 앙각 조절 모터(200)의 출력축(210) 및 이에 결합된 구동 기어(220)는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반향으로 회전한다.
앙각 조절 모터(200) 구동되기 전의 상태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라면, 앙각 조절 모터(200)가 구동될 경우는, 도 5, 앙각 조절장치에 의해 안테나의 각도가 조절된 모습을 도시한 위성안테나의 측단면도 및 도 6, 앙각 조절장치에 의해 안테나의 각도가 조절된 모습을 도시한 위성안테나의 사시도에 나타난 바와 같다. 참고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상태가 된 경우, 출력축(210)과 구동 기어(2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를 나타낼 것이다.
구동 기어(220)가 회전하면, 구동 기어(220)에 맞물리도록 배치된 구동 체인(600)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구동 기어(220)를 지나친 구동 체인(600)은 안내부(310)의 체인 안착홈(311)을 통해 가이드 블록(400)의 하측면(가이드 블록이 가이드 기어와 대향하는 면을 하측면이라 명명하도록 한다.)을 지나게 된다. 이때 역시 구동 체인(600)은 가이드 블록(400)의 체인 안착홈(410)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됨은 물론이다.
구동 체인(600)이 가이드 블록(400) 하측면을 슬라이딩할 때, 구동 체인(600)은 가이드 블록(400)과 가이드 기어(300) 사이에 맞물린 유성 기어(700)를 밀어내는데, 이에 따라 유성 기어(700)는 구동 샤프트(100)를 회전의 중심으로 가이드 기어(300)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유성 기어(700)는 연결 플레이트(800)에 의해 구동 샤프트(10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유성 기어(700)의 이동은 구동 샤프트(1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고, 구동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는 안테나(20)는 앙각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가이드 기어(300)의 하측면을 지난 구동 체인(600)은 가이드 블록(400)의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 블록(400)이 구동 샤프트(100)와 대향하는 면을 지나는데, 가이드 블록(400)과 구동 샤프트(100) 사이에는 접촉 방지 블록(500)이 마련되어, 구동 체인(600)이 구동 샤프트(100)에 접촉하여 구동 샤프트(10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체인(600)은 구동 벨트(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다.
이때 구동 벨트는 양면벨트, 특히 양면 타이밍 벨트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구동 기어와 가이드 기어 역시 풀리로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다.
구동 벨트가 적용된 실시예에서 각부 구성의 역할 및 작용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구동 체인을 포함하는 실시예와 구동 벨트를 포함하는 실시예 두 가지 모두가 가능하나, 구동 체인을 포함하는 실시예로 실시한다면, 기존 벨트를 적용했을 시 나타나는 문제, 즉, 벨트의 사용기한이 길어지거나 고온의 환경에 노출될 경우 벨트가 이완되어 정확한 구동이 어렵고, 반대로 저온의 환경에서는 끊어지는 문제, 습한 환경에서는 미끌림이, 건조한 환경에서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전동효율이 나쁜 문제 역시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에 체인을 적용하지 못한 이유로는 체인의 경우 일정 이상의 축간 거리가 필요한 것에 반해, 위성안테나의 구동장치는 한정적이고 좁은 공간제약이 있어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구동장치 11: 구동장치 커버
20: 안테나
21: LNB암 22: LNB
30: 하부 플레이트
100: 구동 샤프트 150: 베이스 플레이트
200: 앙각 조절 모터 210: 출력축
220: 구동 기어
300: 가이드 기어
310: 안내부 311: 체인 안착홈
400: 가이드 블록 410: 체인 안착홈
500: 접촉 방지 블록
600: 구동 체인
700: 유성 기어
800: 연결 플레이트
1000: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

Claims (10)

  1. 위성안테나의 구동장치에 설치되어 앙각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안테나가 고정된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장치 바닥면에 대해 기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에 배치되는 앙각 조절 모터;
    상기 앙각 조절 모터의 출력축에 마련되어 출력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 기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면에 구동 샤프트와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 및 고정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와의 대향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기어 이가 형성된 형태의 가이드 기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기어와 구동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기어와 대향하는 면이 상기 구동 샤프트와 동심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기어의 내측면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가이드 블록;
    상기 가이드기어와 가이드 블록 사이를 경유하며, 일측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구동기어의 구동에 따라 움직이는 구동 체인;
    상기 가이드 기어와 구동 체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 체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이드 기어를 따라 선회하는 유성 기어; 및
    일단은 상기 유성기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움직임을 구동샤프트에 전달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체인의 내부 일측은 상기 구동 기어가 맞물리고, 내부 타측은 상기 가이드 블록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구동 샤프트와 대향하는 면이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는,
    상기 가이드 블록과 구동 샤프트 사이에서, 상기 구동 샤프트와 가이드 블록 각각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 및 고정되는 접촉 방지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체인은, 상기 가이드 블록과 접촉 방지 블록 사이를 경유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동 체인이 상기 구동 샤프트와의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어와, 가이드 블록과, 접촉 방지 블록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지 블록은,
    상기 가이드 블록과의 대향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어는,
    상기 구동 기어가 배치된 측 끝단이 구동 기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안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각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그 둘레를 따라 체인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 체인이 상기 안내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어는,
    그 둘레를 따라 체인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 체인이 상기 가이드 기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는,
    다수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
  10. 위성안테나의 구동장치에 설치되어 앙각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안테나가 고정된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장치 바닥면에 대해 기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에 배치되는 앙각 조절 모터;
    상기 앙각 조절 모터의 출력축에 마련되어 출력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 기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면에 구동 샤프트와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 및 고정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와의 대향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기어 이가 형성된 형태의 가이드 기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기어와 구동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기어와 대향하는 면이 상기 구동 샤프트와 동심인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기어의 내측면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가이드 블록;
    상기 가이드기어와 가이드 블록 사이를 경유하며, 일측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구동기어의 구동에 따라 움직이는 구동 벨트;
    상기 가이드 기어와 구동 벨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 벨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이드 기어를 따라 선회하는 유성 기어; 및
    일단은 상기 유성기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움직임을 구동샤프트에 전달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장치.
KR1020210026389A 2021-02-26 2021-02-26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 장치 KR102291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389A KR102291983B1 (ko) 2021-02-26 2021-02-26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389A KR102291983B1 (ko) 2021-02-26 2021-02-26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983B1 true KR102291983B1 (ko) 2021-08-23

Family

ID=7749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389A KR102291983B1 (ko) 2021-02-26 2021-02-26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9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9265A (zh) * 2022-09-06 2022-10-04 西安华运天成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卫星导航的信号增强天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073B1 (ko) 2004-06-09 2006-03-24 위월드 주식회사 위성안테나의 앙각조절장치
KR20140129441A (ko) * 2013-04-29 2014-11-07 (주)엑스엠더블유 정밀위치 제어가 가능한 안테나 포지셔너
KR101699532B1 (ko) 2015-06-10 2017-01-2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KR101825357B1 (ko) * 2017-08-09 2018-02-06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자동 및 수동 겸용 위성지향각 조절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페데스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터블 위성통신용 안테나
KR20190092715A (ko) 2018-01-31 2019-08-08 위월드 주식회사 백래시 조절구조를 갖는 웜기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팝업 안테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073B1 (ko) 2004-06-09 2006-03-24 위월드 주식회사 위성안테나의 앙각조절장치
KR20140129441A (ko) * 2013-04-29 2014-11-07 (주)엑스엠더블유 정밀위치 제어가 가능한 안테나 포지셔너
KR101699532B1 (ko) 2015-06-10 2017-01-2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안테나 조립체
KR101825357B1 (ko) * 2017-08-09 2018-02-06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자동 및 수동 겸용 위성지향각 조절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페데스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터블 위성통신용 안테나
KR20190092715A (ko) 2018-01-31 2019-08-08 위월드 주식회사 백래시 조절구조를 갖는 웜기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팝업 안테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9265A (zh) * 2022-09-06 2022-10-04 西安华运天成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卫星导航的信号增强天线
CN115149265B (zh) * 2022-09-06 2023-02-07 西安华运天成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卫星导航的信号增强天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5914B2 (en) Pan tilt drive device and camera device
JP4119352B2 (ja) レンズアンテナ装置
EP3055726B1 (en) Near-linear drive systems for positioning reflectors
KR102291983B1 (ko) 위성안테나의 앙각 조절 장치
US11056782B2 (en) Linked locking mechanism and antenna down-tilt angle control device
CN107366715B (zh) 具有可选择联动件的致动器齿轮箱
EP1246296B1 (en) Support for directing a satellite antenna
KR101114767B1 (ko) 페데스탈 장치
KR102287802B1 (ko) 트랜스미션 장치 및 안테나 다운틸트의 제어 시스템
EP2996197A1 (en) Wide scan steerable antenna
JP2012205306A (ja) 変形可能な反射面を有するアンテナ反射器の起動システム
MXPA04004447A (es) Red de antenas para vehiculos en movimiento.
KR100769988B1 (ko) 기계적 제어방식의 이동형 위성추적 안테나시스템과 이를적용한 이동수단
CN111264001B (zh) 具有多个同步可移动馈送的天线系统
WO2014173701A1 (en) Epicyclic gear train
WO2022108565A1 (en) A movement mechanism for use in antenna
US4866456A (en) Horizon-to-horizon satellite antenna drive mechanism
US20110156956A1 (en) Subreflector Track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flector Antenna
US10156290B2 (en) Belt drive tensioning system
JP2020025157A (ja) アンテナ装置
KR102458976B1 (ko) 항력 저감기능을 구비한 안테나
US2916739A (en) Scanner for antenna system
KR102604146B1 (ko) 가상 회전축 풀리를 이용한 안테나 회전 구조체
KR102500374B1 (ko) 다중밴드 피더를 구비한 안테나
NL2029152B1 (en) Adjustment mechanism for adjusting two adjustment members relative to each ot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