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977B1 -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 - Google Patents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977B1
KR101698977B1 KR1020140107479A KR20140107479A KR101698977B1 KR 101698977 B1 KR101698977 B1 KR 101698977B1 KR 1020140107479 A KR1020140107479 A KR 1020140107479A KR 20140107479 A KR20140107479 A KR 20140107479A KR 101698977 B1 KR101698977 B1 KR 101698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pectacle
loupe
frames
spectacle len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009A (ko
Inventor
강두현
Original Assignee
강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두현 filed Critical 강두현
Priority to KR1020140107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97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6Auxiliary lenses located directly on a main spectacle lens or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main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8Lens systems mounted to specta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형 루페 안경의 렌즈의 위치를 각각의 착용자의 두눈에 맞도록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한 쌍의 안경렌즈 장착공(100a,100b)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안경렌즈 장착공(100a,100b)의 내주면을 따라 양측면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장착홈(114,124)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장착홈(114,124)의 내부에서 렌즈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여유공간부(116,126)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안경테(110,120)를 구비한 안경테 프레임(100)과; 내부에 루페 장착홀(210,22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프론트(140a,140b)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일정 길이의 제1 슬릿홈(230,24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경테 프레임(100)의 한 쌍의 안경테(110,120)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와; 상기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루페 장착홀(210,220)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루페(300a,300b)와;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홀(170a,170b)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의 제1 슬릿홈(230,240)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체결부재(400a,4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Loupes glasses for adjusting focus distance of two eyes}
본 발명은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에 관한 것으로, 고정형 루페안경에 구비된 안경 렌즈를 착용자의 초점거리에 맞게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페(loupes)는 보석의 감정 및 시계수리 등과 같이 정밀부품을 확대하여 볼 수 있는 감정 및 수리용과 수술이나 치료시에 시술부위를 확대하여 보기 위한 의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의료용 루페는 의사들이 시술부위를 보다 용이하게 확대하여 볼 수 있어 많은 의사들이 안경처럼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루페 안경은 크게 안경 렌즈에 관통홀을 형성시킨 후 관통홀에 루페가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고정형 루페(Through The Lens: TTL 타입)와 통상의 안경테의 상단부에 설치된 거치대에 이동가능하도록 거치하는 거치형 루페(Flip UP 타입)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거치형 루페는 통상의 안경테에 루페를 탈부착할 수 있는 거치대가 별도로 설치된 상태에서 좌우 루페의 거리를 조절하는 장치와 대상물에 대한 좌우 루페의 각도를 조절하는 관절을 착용자의 두눈의 촛점거리에 맞도록 조절하여 사용하는데, 고정형 루페보다는 상대적으로 제품가격이 저렴하고 두눈의 촛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여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고정형 루페에 비해서 무겁고, 착용자의 이동이나 움직임에 따라 루페의 각도가 미세하게 틀어지져 결국 최초 설정된 착용자의 촛점을 일관적으로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고정형 루페는 착용자의 좌측 눈과 우측 눈의 촛점간의 거리를 미리 측정기구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산출된 촛점거리(PD)를 계산하여 좌측과 우측의 안경 렌즈에 관통홀을 뚫고 루페의 접안부를 관통홀에 조립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거치형 루페 보다 착용감이 가볍게 느낄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촛점거리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관통홀의 위치에 허용치 이상의 오차가 발생되면 새로운 안경 렌즈에 관통홀을 다시 형성하여 루페를 재조립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측정된 좌측 및 우측 루페의 촛점거리가 착용자 마다 다르기 때문에 오직 한명의 착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제품이어서 거치형 루페 보다는 상대적으로 비싼 단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형 루페 안경의 렌즈의 위치를 각각의 착용자의 두눈에 맞도록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형 루페 안경의 안경테(립)의 형상에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는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형 루페 안경의 자체 무게로 인해 착용자의 안면부에 걸리는 하중을 줄여줄 수 있는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착용자의 개인 시력에 맞는 디옵터 렌즈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우 눈동자의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은, 한 쌍의 안경렌즈 장착공(100a,100b)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안경렌즈 장착공(100a,100b)의 내주면을 따라 양측면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장착홈(114,124)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장착홈(114,124)의 내부에서 렌즈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여유공간부(116,126)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안경테(110,120)와, 상기 한 쌍의 안경테(110,120)를 서로 연결시키는 소정 형상의 브릿지(130)와, 상기 한 쌍의 안경테(110,120)의 외측 상단부에 각각 위치한 한 쌍의 프론트(140a,140b)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다리부(150,160)와, 상기 프론트(140a,140b)에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 체결홀(170a,170b)로 이루어진 안경테 프레임(100)과; 내부에 루페 장착홀(210,22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프론트(140a,140b)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일정 길이의 제1 슬릿홈(230,24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경테 프레임(100)의 한 쌍의 안경테(110,120)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와; 상기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루페 장착홀(210,220)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루페(300a,300b)와;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홀(170a,170b)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의 제1 슬릿홈(230,240)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체결부재(400a,4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착용자가 상기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를 상기 안경테(110,120)의 여유공간부(116,126) 내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촛점 대상물을 향하는 상기 한 쌍의 루페(300a,300b)의 각도는 상기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의 곡면 형상 및 좌우 눈동자의 촛점이 조절되는 구간에 위치하는 상기 안경테 프레임(100)의 상단부(110a,120a)의 곡면 형상을 통하여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루페안경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루페 안경에 구비된 안경 렌즈를 각각의 착용자의 두 눈에 맞도록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착용자의 두 눈의 초점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ㄷ다.
둘째, 고정형 루페 안경의 안경테(립)의 형상이 반테, 온테, 절단테 등 안경테의 형상에 무관하게 다양한 형상의 안경테에 루페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셋째,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고정형 루페 안경을 착용자의 안면에서 살짝 들리도록 눈섭 거치대를 장착할 수 있어, 루페의 자체 무게로 인해 착용자의 코등에 걸리는 하중을 줄여줄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고정형 루페 안경을 일반 안경 같이 편리하게 착용하면서 원하는 작업에 집중할 수 있다.
넷째, 착용자의 개인 시력에 맞는 디옵터 렌즈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착용자의 시력에 변동이 발생할 경우 변동된 시력으로 편리하게 교체하여사용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의 장착홈 및 여유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에 눈섭 거치대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루페안경에 장착될 다양한 안경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의 렌즈에 루페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에서 한 쌍의 렌즈의 위치가 조절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루페안경에서 한 쌍의 렌즈의 위치가 조절되는 경우의 대상물에 대한 루페의 조절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루페안경에 반테 안경테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테 안경테를 구비한 루페 안경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루페안경에 온테 안경테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온테 안경테를 구비한 루페 안경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온테 안경테에 안경 렌즈가 장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온테 안경테에 안경 렌즈가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온테 안경테의 전방테와 후방테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의 장착홈 및 여유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에 눈섭 거치대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 프레임(100), 안경테 프레임(100)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루페(300a,300b), 위치 조절된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를 안경테 프레임(100)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체결부재(400a,400b)로 구성된다.
안경테 프레임(100)은, 한 쌍의 안경렌즈 장착공(100a,100b)이 형성되며, 한 쌍의 안경렌즈 장착공(100a,100b)의 양측 내주면을 따라 장착홈(114,124)이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장착홈(114,124)의 내부에서 렌즈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여유공간부(116,126)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안경테(110,120)와, 한 쌍의 안경테(110,120)를 서로 연결시키는 소정 형상의 브릿지(130)와, 한 쌍의 안경테(110,120)의 외측에 각각 위치한 프론트(140a,140b)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다리부(150,160)과, 프론트(140a,140b)에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 체결홀(170a,170b)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한 쌍의 안경테(110,120)의 외측 테두리에는 절단된 한 쌍의 절단면(113a,113b)(123a,123b)이 각각 형성되고, 한 쌍의 절단면(113a,113b)(123a,123b)에는 각각의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제2 체결부재(410,420)를 통하여 분리되거나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안경테(110)의 좌측 장착홈(114)의 내부에는 좌측 렌즈(200a)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1~5mm의 범위 내에서 각각 형성된 좌측 여유 공간(114a) 및 우측 여유공간(114b)이 형성되며, 이와 동일한 구조로 우측 안경테(120)의 우측 장착홈(124)의 내부에는 우측 렌즈(200b)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1~5mm의 범위 내에서 각각 형성된 좌측 여유 공간(124a) 및 우측 여유공간(124b)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착용자가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를 안경테(110,120)의 여유공간부(116,126) 내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가 안경테(110,120)의 여유공간부(116,126) 내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때 안경테(110,120)가 외측방향으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많이 이동시킬 수 있으려면 안경테(110,120)의 두께를 두껍게 만들어야 하지만 이 경우엔 전체 안경의 외관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안경테(110,120)의 각각의 좌측 여유 공간(114a,124a) 및 우측 여유공간(114b,124b)은 3mm 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착용자는 두 눈의 촛점거리(PD)의 기준을 예를 들어 61mm 로 정하고,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에 한 쌍의 루페(300a,300b)를 장착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1.5mm 씩 이동하면 전체 이동거리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3mm를 이동할 수 있어, 결국 착용자의 두 눈의 촛점거리(PD)는 적게는 58mm 크게는 64mm 범위 내에서 조절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착용자가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를 안경테(110,120)의 내부에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착용자는 한 쌍의 루페(300a,300b)를 한손 또는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착용자가 대상물(P1)을 바라볼 때 한 쌍의 루페(300a,300b)의 각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촛점 조절구간(A1,A2)에서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의 촛점 대상물(P1)을 향하는 한 쌍의 루페(300a,300b)의 각도는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의 곡면 형상 및 좌우 눈동자의 촛점이 조절되는 구간(A1,A2)에 위치하는 안경테 프레임(100)의 상단부(110a,120a)의 수평 곡면 형상을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7에서 PD57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가 착용자의 코를 중심으로 가장 가깝게 이동된 경우의 두 눈의 최소 촛점거리를 나타내며, PD75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가 착용자의 코를 중심으로 가장 멀게 이동된 경우의 두 눈의 최대 촛점거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브릿지(13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안경테(110,120)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안경테(110,120)를 코에서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코패드(미도시)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릿지(130)의 내측면에는 거치대 장착홈(132)이 일정 깊이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대 장착홈(132)에는 눈섭 거치대(18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며 눈섭 거치대(180)의 타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양측 눈썹부분을 지지하도록 착용자의 눈썹을 따라 상단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다리부(150,160)의 끝단부에는 사용자의 귀등에 밀착 장착되는 한 쌍의 팁(tip)(152,162)이 각각 형성되는데, 한 쌍의 팁(152,162)은 각각의 다리부(150,160)의 끝단부에 삽입방식으로 착탈되거나, 한 쌍의 팁(152,162)이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다리부(150,160)의 끝단부에 삽입방식으로 착탈되는 착탈형인 경우에는 한 쌍의 팁(152,162)의 내부에 변형가능한 금속재가 삽입되어 사용자가 한 쌍의 팁(tip)(152,162)을 적당히 구부려서 눈섭 거치대(180)를 눈썹에 고정할 수 있는 반면, 각각의 다리부(150,160)의 끝단부에 한 쌍의 팁(152,162)이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팁(152,162)의 끝단부에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밴드(190)를 이용하여 눈섭 거치대(180)를 눈썹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다리부(150,160)는 프론트(140a,140b)의 끝단과 힌지(미도시)를 통하여 연결되어, 사용자가 필요시 각각의 다리부(150,160)을 접거나 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안경테 프레임(100)의 프론트(140a,140b)에 형성된 제1 체결홀(170a,170b)은 한 쌍의 제1 체결부재(400a,400b)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것을 나타냈지만, 필요에 따라 제2 체결홀(170c,170d)을 형성시키고, 별도의 제2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도 있을 것이다.
또한,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의 내부에는 루페 장착홀(210,220)이 각각 형성되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140a,140b)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단 외측면에서 내측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제1 슬릿홈(230,240)이 각각 형성되고, 안경테(100)의 한 쌍의 안경테(110,120)에 각각 장착된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의 상단 외측면에 한 쌍의 제1 슬릿홈(230,240)이 각각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 쌍의 제1 슬릿홈(230,240)와 좌우 대칭구조로 한 쌍의 제2 슬릿홈(230a,240a)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안경 렌즈(200a,200b)를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한 쌍의 제1 슬릿홈(230,240) 또는 한 쌍의 제2 슬릿홈(230a,240a)이 안경 렌즈(200a,200b)의 중심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었으나, 도 4c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 쌍의 슬릿(232,242 또는 234,244)가 안경 렌즈(200a,200b)의 내부에서만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한 쌍의 루페(300a,300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루페 장착홀(210,220)에 각각 장착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한 쌍의 루페(300a,300b)의 접안부를 통하여 대상물을 볼 수 있으며, 한 쌍의 루페(300a,300b)의 안전한 장착을 위하여 안경 렌즈(200a,200b)의 루페 장착홀(210,220)과 루페(300a,300b)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루페(300a,300b)의 상단 외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착용자가 디옵터 렌즈(330a,330b)를 수조작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돗수를 갖는 디옵터 렌즈(330a,330b)를 사용자의 시력이 변동되어도 변동된 시력에 맞춰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한 쌍의 제1 체결부재(400a,400b)는 안경테(110,120)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 체결홀(170a,170b)을 통하여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의 제1 슬릿홈(230,240)에 각각 삽입되어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b 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슬릿홈(230,240)와 좌우 대칭구조로 한 쌍의 제2 슬릿홈(230a,240a)(232,242 또는 234,244)이 추가적으로 형성된 경우, 안경 렌즈(200a,200b)에 한 쌍의 제1 체결부재(400a,400b)와 좌우 대칭구조로 한 쌍의 제2 체결홀(170c,170d)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작업자는 한 쌍의 제2 체결부재(400c,400d)를 이용하여 한 쌍의 제1 슬릿홈(230,240)과 제2 슬릿홈(230a,240a)에 각각 삽입하여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를 양측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제1 체결부재(400a,400b) 또는 제2 체결부재(400c,400d)는 리벳, 볼트, 나사 중에서 선택되며, 외주면에 숫나사산 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설명된 한 쌍의 안경테(110,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단테가 사용되지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테나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온테가 사용될 수 도 있을 것이다.
먼저,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한 쌍의 안경테(110,120)가 반테인 경우에는 한 쌍의 안경렌즈 장착공을 형성하기 위해 하단부로 연장되면서 내곡 형상으로 형성되는 양측 단면부(112,122)가 각각 절단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를 안경테(110,120)의 밑면에서 상부방향으로 장착홈(114,124)에 삽입 장착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는 내곡 형성된 안경테(110,120)의 양측 단면부(112,122)에 의해 쉽게 빠지지는 않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후 안경테(110,120)에 장착된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는 여유공간부(116,126) 내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한 쌍의 제1 체결부재(400a,400b) 또는 제2 체결부재(400c,400d)를 이용하여 한 쌍의 제1 슬릿홈(230,240) 또는 제2 슬릿홈(230a,240a)에 각각 삽입하여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의 외측면 또는 양측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온테 형상의 한 쌍의 안경테(110,120)는 대상물 또는 착용자의 두 눈을 향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서로 일체형의 대칭구조로 형성된 전방테(110a,110b)와 후방테(120a,120b)로 구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착용자의 눈에 직면한 후방테(120a,120b)의 직경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테(110a,110b)의 직경 보다 더 크게 형성되면서도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의 직경 보다 같거나 다소 크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를 후방테(120a,120b)에 착용자의 두 눈의 촛점을 조정하도록 위치시킨 후 실리콘이나 접합제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한 쌍의 안경테(110,120)의 전방테(110a,110b)와 후방테(120a,120b) 사이에 형성된 장착홈(114,124)의 내부에 형성된 여유공간부(116,126) 내에서 안경 렌즈(200a,200b)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는 한 쌍의 제1 체결부재(400a,400b) 또는 제2 체결부재(400c,400d)를 이용하여 한 쌍의 제1 슬릿홈(230,240) 또는 제2 슬릿홈(230a,240a)에 각각 삽입하여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의 외측면 또는 양측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 내에서 당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안경테 프레임
100a, 100b : 안경렌즈 장착공
114,124 : 장착홈
116,126 : 여유공간부
110,120 : 안경테
110a,120a : 안경프레임의 곡면부
130 : 브릿지
140a,140 : 프론트
170a,170b : 제1 체결홀
200a,200b : 안경 렌즈
210, 220 : 루페 장착홀
230,240 : 슬릿홈
300a,300b : 루페
330a,330b : 디옵터 렌즈
400a,400b : 제1 체결부재

Claims (8)

  1. 한 쌍의 안경렌즈 장착공(100a,100b)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안경렌즈 장착공(100a,100b)의 내주면을 따라 양측면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장착홈(114,124)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장착홈(114,124)의 내부에서 렌즈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여유공간부(116,126)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안경테(110,120)와, 상기 한 쌍의 안경테(110,120)를 서로 연결시키는 소정 형상의 브릿지(130)와, 상기 한 쌍의 안경테(110,120)의 외측 상단부에 각각 위치한 한 쌍의 프론트(140a,140b)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다리부(150,160)와, 상기 프론트(140a,140b)에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 체결홀(170a,170b)로 이루어진 안경테 프레임(100)과;
    내부에 루페 장착홀(210,22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프론트(140a,140b)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일정 길이의 제1 슬릿홈(230,24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경테 프레임(100)의 한 쌍의 안경테(110,120)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와;
    상기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루페 장착홀(210,220)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루페(300a,300b)와;
    상기 한 쌍의 제1 체결홀(170a,170b)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의 제1 슬릿홈(230,240)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체결부재(400a,400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착용자가 상기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를 상기 안경테(110,120)의 여유공간부(116,126) 내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촛점 대상물을 향하는 상기 한 쌍의 루페(300a,300b)의 각도는 상기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의 곡면 형상 및 좌우 눈동자의 촛점이 조절되는 구간에 위치하는 상기 안경테 프레임(100)의 상단부(110a,120a)의 곡면 형상을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130)의 내측면에는 거치대 장착홈(132)이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거치대 장착홈(132)에 삽입 고정되며 타단은 사용자의 양측 눈썹부분을 지지하는 눈썹 거치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눈동자의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다리부(150,160)의 끝단부에는 사용자의 귀에 밀착 장착되는 한 쌍의 팁(tip)(152,16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팁(152,162)의 내부에는 변형가능한 금속재가 삽입되거나, 상기 한 쌍의 팁(152,162)의 끝단부에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홈(230,240)은 일측단이 개방된 상태로 상단 외측면에서 내측 수평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개방홈이거나, 상기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의 상단 외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닫힌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는, 각각의 상단 외측면에 형성된 제1 슬릿홈(230,240)에 좌우 대칭구조로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2 슬릿홈(230a,240a)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경테 프레임(100)의 프론트(140a,140b)에는 상기 한 쌍의 제2 슬릿홈(230a,240a)에 상응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관통 형성된 한 쌍의 제2 체결홀(170c,170d)이 더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체결홀(170c,170d)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안경 렌즈(200a,200b)의 제2 슬릿홈(230a,240a)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제2 체결부재(400a,400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안경테(110,120)는,
    (1) 하단부로 연장되면서 내곡 형상으로 형성되는 양측 단면부(112,122)가 각각 절단된 반테;
    (2) 서로 대칭구조로 형성된 전방테(110a,120a)와 후방테(110b,120b) 중 상기 후방테(110b,120b)의 직경이 상기 안경 렌즈(200a,200b)가 장착 가능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 온테;
    (3) 양측 단면부가 부분적으로 각각 절단된 절단면에 제2 체결부재(410,420)를 통하여 체결되는 절단테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장착홈(114,124)의 내부에는,
    상기 렌즈(200a)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1~5mm의 범위 내에서 각각 형성된 제1 여유 공간(114a,114b)과; 상기 다른 렌즈(200b)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1~5mm의 범위 내에서 형성된 제2 여유 공간(124a,124b)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
  8.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루페(300a,300b)의 상단 외면에는 미리 설정된 돗수를 갖는 디옵터 렌즈(330a,330b)가 각각 탈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
KR1020140107479A 2014-08-19 2014-08-19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 KR101698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479A KR101698977B1 (ko) 2014-08-19 2014-08-19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479A KR101698977B1 (ko) 2014-08-19 2014-08-19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009A KR20160022009A (ko) 2016-02-29
KR101698977B1 true KR101698977B1 (ko) 2017-01-23

Family

ID=55448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479A KR101698977B1 (ko) 2014-08-19 2014-08-19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958A (ko) 2018-08-06 2020-02-14 원현두 루페를 상측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안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2809B (zh) * 2015-12-03 2018-06-15 赵益民 双目放大镜的调节机构、使用方法和双目放大镜
CN109791269B (zh) * 2016-10-05 2021-06-08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放大镜和放大镜单元
NL2019943B1 (en) * 2017-11-20 2019-05-24 Cornelis Oosthuizen Pieter Spectacles as ergonomical aid
JP7133320B2 (ja) * 2018-02-20 2022-09-08 きく子 米澤 双眼ルーペ及びその製作方法
GB2582325A (en) * 2019-03-19 2020-09-23 Derek Snelgrove John Universal spectacle lens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7802A (ja) 2004-03-09 2005-09-22 Keeler & Wainaa:Kk ルーペ取付用支持体及びこの支持体を用いたルーペ
KR200401619Y1 (ko) 2005-09-08 2005-11-21 유경곤 의료용 루페
JP2006011208A (ja) 2004-06-29 2006-01-12 Keeler & Wainaa:Kk 眼鏡用補助光学部材の取付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938U (ko) * 2007-03-13 2008-09-19 유덕상 초점 가변이 용이한 루페안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7802A (ja) 2004-03-09 2005-09-22 Keeler & Wainaa:Kk ルーペ取付用支持体及びこの支持体を用いたルーペ
JP2006011208A (ja) 2004-06-29 2006-01-12 Keeler & Wainaa:Kk 眼鏡用補助光学部材の取付機構
KR200401619Y1 (ko) 2005-09-08 2005-11-21 유경곤 의료용 루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5958A (ko) 2018-08-06 2020-02-14 원현두 루페를 상측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009A (ko)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977B1 (ko)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
US9256080B2 (en) Receptor and lock for glasses with removable lenses
KR20180001691U (ko) 초점 조절형 루페안경
JP6259765B2 (ja) 装着式双眼鏡
GB2458514A (en) Removable spectacles counterbalance with universal attachment.
KR10194321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
KR101562750B1 (ko) 머리고정형 안경
KR20170013163A (ko) 디바이스를 부착할 수 있는 안경 프레임
KR20080003938U (ko) 초점 가변이 용이한 루페안경
KR100797546B1 (ko) 쓰루더 렌즈 타입 의료용 루페장치
CN210465885U (zh) 一种镜腿可调节的眼镜
KR101819068B1 (ko) 초점 가변 안경
KR20180003028A (ko) 단안별 동공 및 광학중심 간 거리보정 가능한 접이식 쥬얼리안경
KR101582845B1 (ko)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KR20190071872A (ko) 눈꺼풀 고정 안경
CN212160251U (zh) 调节眼镜
JP7199094B2 (ja) オーバーグラス
CN220752430U (zh) 一种镜架结构、眼镜框架及眼镜
JP3178090U (ja) ハイカーブ用トライアルフレーム
KR101773428B1 (ko) 보조렌즈를 구비한 안경
KR200350075Y1 (ko) 각도조절 장치가 있는 안경테
JP2001350123A (ja) 拡大鏡付きメガネ
CN201595867U (zh) 手术放大镜用隐形铰链
KR20200015958A (ko) 루페를 상측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안경
KR20160043886A (ko)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착용 위치 조절이 가능한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