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212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212B1
KR101943212B1 KR1020170093950A KR20170093950A KR101943212B1 KR 101943212 B1 KR101943212 B1 KR 101943212B1 KR 1020170093950 A KR1020170093950 A KR 1020170093950A KR 20170093950 A KR20170093950 A KR 20170093950A KR 101943212 B1 KR101943212 B1 KR 101943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nose
nose pad
eyeglasses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명희
Original Assignee
안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명희 filed Critical 안명희
Priority to KR1020170093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의 착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안경렌즈테에 설치되는 코기둥에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는 받침부재와 연결된 연결구를 취부하기 위하여 간격을 두고 2~4개 형성된 취부공과,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2~4개의 취부공에 결합된 연결구가 이동할 때 취부공이 확장 또는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을 주고, 연결구가 지나갈 수 있도록 취부공을 연결하는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받침부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안경을 착용시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코받침부재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안경을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초점 안경에 적용시 안경 착용자가 원거리와 근거리를 볼 때 그에 알맞게 코받침의 위치를 조절하여 눈과 렌즈의 각도를 맞춰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물을 정확하게 볼 수 있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Height adjustable nose pad for glasses}
본 발명은 일반 안경을 착용시 착용자의 코 높이 또는 취향에 따라 코받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특히 다초점 안경을 착용시 원거리와 근거리를 볼 때 안경을 상하로 이동시켜 사물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의 코받침은 안경 착용시 안경의 무게에 의해 안경이 미끄러져 밑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안경과 눈 사이 일정한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안경테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종래 상기와 같은 안경 코받침은, 안경렌즈테에 받침부재가 일체화되어 사출되어 구성된 것과, 안경렌즈테에 결합된 코기둥에 받침부재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이 있다.
상기에서 안경렌즈테에 받침부재가 일체화되어 사출되어 구성된 경우에는 받침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안경을 착용시 착용자의 코 높이 또는 취향에 따라 코받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안경렌즈테에 결합된 코기둥에 받침부재가 연결되어 구성된 경우에는 안경 착용자가 취향에 따라 코받침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데, 별도의 조절수단이 없기 때문에 코기둥을 굽히거나 펴는 방법으로 코받침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였다.
그러면, 착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코받침부재를 옮겨놓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여러차례 코기둥을 굽히거나 펼쳐주는 과정에서 안경렌즈테에 결합된 코기둥이나 코받침부재가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 특허 제10-1696512호가 개시되었으나, 결합부재를 조이고 풀어 준 다음, 코받침부재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비싸게 형성될 수밖에 없고, 사용시에도 결합부재를 조작해야하는 불편 등의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96512호(2017년01월09일.등록)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04651호(2017년01월11일.공개)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일반 안경을 착용시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또는 다초점 안경을 착용시 원거리와 근거리를 볼 때 안경의 착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 구조를 간단하게 제공하여 사용시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안경용 코받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경렌즈테에 설치되는 코기둥에는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코받침부재와 연결된 연결구를 취부하기 위한 간격을 두고 취부공이 2~4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연결구를 취부하기 위한 취부공이 확장 또는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을 주고, 연결구가 지나갈 수 있도록 브라켓과 취부공, 그리고 취부공과 취부공 사이는 절개선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브라켓의 취부공에 취부되는 받침부재가 구비된 연결구는 받침부재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킬 때 용이하고 일정한 위치에 받침부재가 고정되도록 타원형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브라켓의 취부공에 설치된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받침부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안경을 착용시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코받침부재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안경을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초점 안경에 적용시 안경 착용자가 원거리와 근거리를 볼 때 그에 알맞게 코받침의 위치를 조절하여 눈과 렌즈의 각도를 맞춰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물을 정확하게 볼 수 있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받침부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사용시 편의를 제공하고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이 장착된 안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의 요부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의 작용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의 작용을 보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에 대한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을 구성시, 안경렌즈테에 설치되는 코기둥(2)에는 브라켓(3)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받침부재(10)와 연결된 연결구(11)를 취부하기 위하여 간격을 두고 2~4개의 취부공(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2~4개의 취부공(1)에 결합된 연결구(11)가 이동할 때 취부공(1)이 확장 또는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을 주고, 연결구(11)가 지나갈 수 있도록 취부공(1)을 연결하는 절개선(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취부공(1)에 취부되는 받침부재(10)가 구비된 연결구(11)는 받침부재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킬 때 용이하고 일정한 위치에 받침부재(10)가 고정되도록 단면이 타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11)를 취부하기 위한 브라켓에 형성된 취부공(1)의 단면도도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30은 안경다리, 31은 안경렌즈테, 32는 렌즈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에 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이 구비된 안경(일반 안경 및 (누진)다초점 안경)을 사용시, 안경렌즈테(31)를 콧등의 상측으로 올려서 착용하고자할 때에는 받침부재(10)를 손가락으로 잡고 상부로 밀어올린다.
그러면, 받침부재(1)가 구비된 연결구(11)가 브라켓(3)에 형성된 취부공(1)을 연결하고 있는 절개선(4)을 따라 상측에 있는 취부공으로 이동하여 상부에 있는 취부공에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받침부재(10)가 구비된 연결구(11)가 안경렌즈테(31)의 상부에 안착되어 안경을 착용시 받침부재(10)가 콧등의 상측에 걸리게 되므로 안경렌즈테(31)가 콧등의 상측에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안경(일반 안경 및 (누진)다초점 안경)을 아래방향으로 내려서 착용하고자할 때에는 받침부재(10)를 손가락으로 잡고 하부로 밀어 내린다.
그러면, 받침부재(1)가 구비된 연결구(11)가 브라켓(3)에 형성된 취부공(1)을 연결하고 있는 절개선(4)을 따라 하측에 있는 취부공으로 이동하여 하부에 있는 취부공에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받침부재(10)가 구비된 연결구(11)가 안경렌즈테(31)의 하부에 안착되어 안경 착용시 받침부재(10)가 콧등의 하측에 걸리게 되므로 안경렌즈테(31)가 콧등의 상측에 올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할 때 브라켓(3)의 취부공(1)이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연결구(11)의 경우에도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부재 및 연결구가 일정한 위치에 정지되면서 받침부재(10)가 안경렌즈테의 상측 또는 하측에 정확하게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받침부재가 구비된 연결구(11)가 취부공 내에서 이동할 때 취부공 사이에 형성된 절개선(4)에 의해서 취부공이 확장 또는 원위치로 복귀되는 작용으로 연결구가 취부공에서 원활하게 이동하고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 취부공
2: 코기둥
3: 브라켓
4: 절개선
10: 받침부재
11: 연결구

Claims (2)

  1. 안경렌즈테에 설치되는 코기둥(2)에 형성된 브라켓(3)과, 상기 브라켓에는 받침부재(10)와 연결된 연결구(11)를 취부하기 위하여 간격을 두고 2~4개 형성된 취부공이 형성되고, 상기 취부공(1)에 결합된 연결구(11)가 이동할 때 취부공(1)이 확장 또는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을 주고, 연결구(11)가 지나갈 수 있도록 취부공(1)을 연결하여 구성되며,
    브라켓에 형성된 취부공에 결합된 받침부재(10)가 구비된 연결구(11)는 취부공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킬 때 용이하고 일정한 위치에 연결구(11)가 고정되도록 연결구(11)와 취부공(1)의 단면이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
  2. 삭제
KR1020170093950A 2017-07-25 2017-07-25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 KR101943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950A KR101943212B1 (ko) 2017-07-25 2017-07-25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950A KR101943212B1 (ko) 2017-07-25 2017-07-25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212B1 true KR101943212B1 (ko) 2019-01-28

Family

ID=6526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950A KR101943212B1 (ko) 2017-07-25 2017-07-25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2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2408A (zh) * 2020-10-21 2021-01-01 潍坊歌尔电子有限公司 智能眼镜及其调节装置、调节系统和调节方法
KR20210021749A (ko) * 2019-08-19 2021-03-02 안정빈 눈썹안경
KR20210132392A (ko) * 2020-04-27 2021-11-04 김도훈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749A (ko) * 2019-08-19 2021-03-02 안정빈 눈썹안경
KR102252906B1 (ko) * 2019-08-19 2021-05-18 안정빈 눈썹안경
KR20210132392A (ko) * 2020-04-27 2021-11-04 김도훈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 구조
KR102391257B1 (ko) 2020-04-27 2022-04-26 김도훈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 구조
CN112162408A (zh) * 2020-10-21 2021-01-01 潍坊歌尔电子有限公司 智能眼镜及其调节装置、调节系统和调节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5235B2 (en) Through-the-lens (TTL) loupes with improved declination angle
US8480226B2 (en) Frame construction for eyewear
KR10194321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
JP2016509682A5 (ko)
US10838229B2 (en) Bifocal glasses-shaped frame
KR20150142675A (ko) 코받침 조립체 및 대응 안경테
KR102196106B1 (ko)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JP6268247B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US8876282B2 (en) Eyewear system
KR102027312B1 (ko) 사용자맞춤 코받침대 구비형 안경
US20170139228A1 (e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eyeglasses on the face of a user
JP6330090B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US9395561B2 (en) Eyeglasses having flip-up lenses
JP3134235U (ja) 遠近両用眼鏡
US11126010B2 (en) Spectacle frame and temple thereof
US7828428B1 (en) Eyeglasses
JP3210521U (ja) 明視用付加メガネ
JP3174311U (ja) メガネフレーム
WO2008039011B1 (en) Spectacles
CN212255913U (zh) 一种防掉落的眼镜
KR20060095753A (ko) 안경다리에 탄력성 받침구를 구비한 안경
JP6407385B2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6268263B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CN208224642U (zh) 眼镜腿
JP6170993B2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