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845B1 -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 Google Patents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845B1
KR101582845B1 KR1020140138638A KR20140138638A KR101582845B1 KR 101582845 B1 KR101582845 B1 KR 101582845B1 KR 1020140138638 A KR1020140138638 A KR 1020140138638A KR 20140138638 A KR20140138638 A KR 20140138638A KR 101582845 B1 KR101582845 B1 KR 101582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ring
eyeglass
ear
earring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수 filed Critical 박현수
Priority to KR1020140138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으로, 안경림에 연결되어 귀에 거는 부분인 안경다리, 및 이 안경다리에 구비되어 귀에 걸리는 부위를 달리함으로써 안경림의 착용 위치를 조절 가능한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안경 착용시 귀에 걸리는 귀걸이에 별도의 귀걸이를 더 구비하여 안경의 착용 위치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안이나 화장 등의 이유로 얼굴 주요 부위로부터 안경을 이격시키는 경우나, 근시 등의 이유로 안경알를 통하지 않고 사물을 보는 경우에도 안경을 착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LEG UNIT, FRAME HAVING THE LEG UNIT AND GLASSES HAVING THE LEG UNIT}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 착용시 귀에 걸리는 귀걸이에 별도의 귀걸이를 더 구비하여 안경의 착용 위치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안이나 화장 등의 이유로 얼굴 주요 부위로부터 안경을 이격시키는 경우나, 근시 등의 이유로 안경알을 통하지 않고 사물을 보는 경우에도 안경을 착용할 수 있음에 따라 안경을 벗지 않은 채로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효과를 가질 수 있고, 안경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안경 착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거나 안경 착용자의 눈을 자외선과 적외선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에는 생활환경과 생활 패턴 등의 변화로 인하여 시력 교정이나 눈의 보호가 필요한 사람들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안경이 패션 소품으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시력 교정이나 눈의 보호와 상관없는 사람들도 안경을 자주 착용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기존의 안경들은 안경알의 무게로 인하여 무게 중심이 전방에 있으므로, 안경의 장시간 착용시 안경 착용자의 코 부분이 안경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안경들은 안경테의 형상이 일정한 구조이다. 따라서, 안경 착용자는 안경 판매점에서 자신에게 맞는 안경테를 골라서 착용하고 있다. 즉, 안경 착용자의 얼굴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안경 착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안경테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안경 착용자가 세안이나 화장 등의 이유로 얼굴 주요 부위로부터 안경을 이격시키는 경우나, 근시 등의 이유로 안경알을 통하지 않고 사물을 보기 위해 안경을 벗게 되는데, 이 경우, 안경을 벗는 동작이 크고, 벗어 놓은 안경을 마땅히 거치하는 곳을 찾기 힘들거나, 벗어 놓은 안경을 잊어버림으로 인해서 잃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91713호(2001. 03. 15. 등록, 발명의 명칭: 안경 안경다리 상에 설치된 접이식 부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안경 착용시 귀에 걸리는 기존의 귀걸이에 별도의 귀걸이를 더 구비하여 안경의 착용 위치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안이나 화장 등의 이유로 얼굴 주요 부위로부터 안경을 이격시키는 경우나, 근시 등의 이유로 안경알을 통하지 않고 사물을 보는 경우에도 안경을 착용할 수 있음에 따라 안경을 완전히 벗는 동작을 줄이고, 벗어 놓은 안경을 거치하는 곳을 찾는 불편을 덜고, 안경의 분실을 방지하고자 하는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의 귀걸이와 별도의 귀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안경다리길이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지 보수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야외귀걸이 유닛은: 안경의 안경림에 연결되어 귀에 거는 부분인 안경다리에 구비되어, 귀에 걸리는 부위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를 조절 가능한 귀걸이부로서, 상기 안경림에서 연결되는 안경다리의 길이 방향 부분인 안경다리길이부에서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 둘레에 걸리는 시야내귀걸이 유닛과 별도로,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귀 둘레에 걸리는 경우,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를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과 다르게 하여 착용자의 시야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다.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에서 하나 이상 연장되는 시야외연장부; 및 상기 안경림이 눈의 시야 전방 안 이외에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상기 시야외연장부에서 연장되는 시야외귀걸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림이 눈의 시야 전방 안에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시야내귀걸이부; 및 상기 시야내귀걸이부를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에 연결하는 시야내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과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 중 어느 하나는 귀 둘레의 상부에 거치 고정되고,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보다 상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을 귀 둘레 상측에 지지되도록 안경을 착용할 경우, 상기 안경림이 시야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안경림이 시야 상측 외부에 위치하도록 안경을 착용할 경우,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과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 사이에 착용자의 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안경림과 연결되는 측의 전방 안경다리길이부 및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 및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방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에서 회전되며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이 귀 둘레에 걸릴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은: 안경림; 상기 안경림에 연결되어 귀에 거는 부분인 안경다리; 및 상기 안경다리에 구비되어 귀에 걸리는 부위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를 조절 가능한 귀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안경림에서 연결되는 상기 안경다리의 길이 방향 부분인 안경다리길이부에서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 둘레에 걸리는 시야내귀걸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귀 둘레에 걸리는 경우,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를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과 다르게 하여 착용자의 시야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유지하는 시야외귀걸이 유닛을 더 포함한다.
삭제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에서 하나 이상 연장되는 시야외연장부; 및 상기 안경림이 눈의 시야 전방 안 이외에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상기 시야외연장부에서 연장되는 시야외귀걸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림이 눈의 시야 전방 안에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시야내귀걸이부; 및 상기 시야내귀걸이부를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에 연결하는 시야내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과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 중 어느 하나는 귀 둘레의 상부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보다 상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을 귀 둘레 상측에 지지되도록 안경을 착용할 경우, 상기 안경림이 시야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안경림이 시야 상측 외부에 위치하도록 안경을 착용할 경우,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과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 사이에 착용자의 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안경림과 연결되는 측의 전방 안경다리길이부 및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 및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방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에서 회전되며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이 귀 둘레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보다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은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 또는 안경다리길이부와 일체이거나,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 또는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 또는 상기 안경다리길이부는 단면상 다각형 또는 타원형이고, 상기 시야외연장부는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 또는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수용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시야외연장부는 상기 시야외연장부에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 또는 상기 안경다리길이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시야외연장부는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림이 눈의 시야 전방 안에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시야내귀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야내귀걸이부는 상기 시야외귀걸이부가 귀에 걸릴 때 착용자 안면의 측면, 귀의 전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하여 상기 안경림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안경림은 안경테나 안경알의 가장자리일 수 있다.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상기 시야외연장부 또는 상기 시야외귀걸이부 중 적어도 둘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상기 시야내연결부 또는 상기 시야내귀걸이부 중 적어도 둘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는: 안경림; 상기 안경림에 연결되어 귀에 거는 부분인 안경다리; 및 상기 안경다리에 구비되어 귀에 걸리는 부위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를 조절 가능한 귀걸이부를 갖는 안경에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은 종래 기술과 달리 안경 착용시 귀에 걸리는 기존의 귀걸이에 별도의 귀걸이를 더 구비하여 안경의 착용 위치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안이나 화장 등의 이유로 안경으로부터 얼굴 주요 부위를 이격시키거나, 근시 등의 이유로 안경알을 통하지 않고 사물을 보는 등의 경우에도 안경을 착용할 수 있음에 따라 안경을 완전히 벗는 동작을 줄이고, 벗어 놓은 안경을 거치하는 곳을 찾는 불편을 덜고, 안경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의 귀걸이와 별도의 귀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안경다리길이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지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전방 착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올려 착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귀걸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부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전방 착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올려 착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귀걸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전방 착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올려 착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귀걸이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부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10)은 안경림(20), 안경다리길이부(30) 및 귀걸이부(100)를 포함한다.
안경림(20)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에 거는 부분인 안경다리(15)는, 안경림(20)에서 연결되는 안경다리(15)의 길이 방향 부분인 안경다리길이부(30)와 귀에 걸리는 부분인 귀걸이부(100)를 포함한다.
안경다리길이부(30)는 안경림(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안경다리길이부(30)는 안경림(20)의 후면 측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접거나 착용자의 귀에 거치할 수 있도록 펼치는 등 안경림(2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안경림(20)은 한 쌍의 안경알(22)에 접하여 구비된다. 안경알(22)은 안경(10)의 착용자에게 원시, 근시 및 노안 등을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안경림(20)은 안경알(22)의 가장자리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안경림(20)은 안경알(22)을 감싸는 안경테 또는 안경테 없는 안경알(22)의 가장자리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편의상, 안경림(20)은 안경알(22)의 둘레면 전체를 감싸는 안경테인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안경림(20)은 안경알(22)에 인접되는 위치에 코받침(24)을 구비한다. 코받침(24)은 안경(10)을 전방 착용시 착용자의 코에 접하게 된다. 여기서, '전방 착용'은 안경알(22)에 대응되는 착용자의 눈이 안경알(22)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물론, 안경림(20), 안경알(22), 코받침(24) 및 안경다리길이부(3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귀걸이부(100)는 안경(10)을 착용시 귀에 걸림으로써 안경림(20)이 하부 방향으로 하강하거나 또는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안경림(20)은 귀걸이부(100)와 코받침(24)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하강하거나 또는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귀걸이부(100)는 안경다리(15)에 구비되어 귀에 걸리는 부위를 달리함으로써 안경림(20)의 착용 위치를 조절 가능한 역할을 한다.
귀걸이부(100)는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을 포함한다.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은 안경다리길이부(30)에서 연결되어 귀에 걸리게 된다. 이때,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은 안경(10)을 전방 착용시에 귀에 걸리는 것이다.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은 한 쌍의 안경다리길이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경다리길이부(30) 일측에 구비될 수 있는데, 편의상, 한 쌍의 안경다리길이부(30)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특히,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은 시야내연결부(112) 및 시야내귀걸이부(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야내연결부(112)는 시야내귀걸이부(11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안경다리길이부(30)는 시야내연결부(1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은 안경다리길이부(30)에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그래서, 시야내귀걸이부(114)는 전방 착용시 귀의 상측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시야내귀걸이부(114)는 시야내연결부(112)에서 연장된다. 그래서, 시야내귀걸이부(114)는 안경림(20)에 구비된 안경알(22)이, 착용자의 눈의 시야 전방 안에 위치한 상태로 귀에 지지되게 된다. 특히, 시야내귀걸이부(114)는 귀의 후측을 감싸도록 호 궤적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시야내연결부(112)에서 직선으로 연장되거나, 절곡된 채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시야내귀걸이부(11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귀의 상측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안경(10)을 전방 착용시, 시야내귀걸이부(114)가 귀에 걸림으로써, 안경(10)은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된다.
이때,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의 적어도 일부가 시야내귀걸이 유닛(110)보다 상방측에 위치된다.
시야내연결부(112)는 대응되는 안경다리길이부(30)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나사 결합 등에 의해 대응되는 안경다리길이부(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착용자가 세안이나 화장 등의 이유로 얼굴 주요 부위로부터 안경을 이격시키는 경우나, 근시 등의 이유로 안경알을 통하지 않고 사물을 보는 경우에도 안경(10)을 착용하고 있어야 안경을 벗는 큰 동작을 피하고, 벗어 놓은 안경을 거치하는 곳을 찾는 수고와,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귀걸이부(100)는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을 더 포함한다.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은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귀에 걸리는 위치를 달리하며 안경림(20)의 착용 위치를 시야내귀걸이 유닛(110)과 달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착용자는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을 활용하여 세안이나 화장 등의 이유로 얼굴 주요 부위로부터 안경(10)을 이격시키는 경우나, 근시 등의 이유로 안경알(22)을 통하지 않고 사물을 보는 경우에도 안경(10)을 머리 위 등 착용자의 시야를 벗어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즉,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은 안경다리길이부(30)에서 연장되어 착용자의 귀 둘레에 걸리는 시야내귀걸이 유닛(110)과 별도로,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귀 둘레에 걸리는 경우 안경림(20)의 착용 위치를 시야내귀걸이 유닛(110)과 다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은 시야외연장부(122) 및 시야외귀걸이부(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야외연장부(122)는 시야외귀걸이부(12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안경다리길이부(30)는 시야외연장부(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시야외연장부(122)는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에서 하나 이상 연장된다. 편의상, 시야외연장부(122)는 시야내연결부(112)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시야외연장부(122)는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시야내연결부(112)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경다리길이부(30)와 시야내연결부(112)는 일직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시야외귀걸이부(124)는 안경알(22)이 착용자의 눈의 시야 전방 안 이외에 위치한 상태로 귀에 지지되도록 시야외연장부(122)에서 연장된다. 그래서, 시야외귀걸이부(124)는 세안 등에 의해 안경(10)을 세우는 등으로 착용시 귀의 상측에 접하게 된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착용자가 눈 이외에 위치한 상태로 안경(10)을 착용하는 것을 세워서 착용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언급한다.
그리고, 시야외귀걸이부(124)는 시야외연장부(122)에서 연장된다. 그래서, 시야외귀걸이부(124)는 안경림(20)에 구비된 안경알(22)이 대응되는 눈 이외에 위치한 상태에 놓이도록 안경을 귀에 걸리게 된다. 특히, 시야외귀걸이부(124)는 귀의 후측을 감싸도록 호 궤적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시야외연장부(122)에서 직선으로 연장되거나, 절곡된 채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시야외귀걸이부(12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귀의 상측에 걸리게 된다.
다시 말해서, 시야외귀걸이부(124)는 안경림(20)이 눈의 시야 전방 내(內) 이외에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시야외연장부(122)에서 연장된다.
즉, 사용자가 시야내귀걸이 유닛(110)과 시야외귀걸이 유닛(1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귀 둘레의 상부에 거치하여 고정하고,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의 적어도 일부가 시야내귀걸이 유닛(110)보다 상방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을 귀 둘레 상측에 지지되도록 안경(10)을 착용할 경우, 안경림(20)이 시야 상부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안경(10)을 전방 이외의 상태로 착용시, 시야외귀걸이부(124)가 귀에 걸려 안경(1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안경(10)은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된다.
즉, 착용자는 시야내귀걸이 유닛(110)과 시야외귀걸이 유닛(1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귀 둘레의 상부에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의 적어도 일부가 시야내귀걸이 유닛(110)보다 상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이 귀 둘레에 거치됨으로써, 안경다리길이부(30)가 안경림(20)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승되게 기울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안경림(20)이 시야 상측 외부에 위치하도록 안경(10)을 착용할 경우, 시야외귀걸이 유닛(120)과 시야내귀걸이 유닛(110) 사이에 착용자의 귀가 위치된다.
또한, 시야외연장부(122)는 시야내연결부(112)의 결합점에서 피봇 연결되어 시야외연장부(122)로 안경 착용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어, 안경림(20)이 시야 상측 외부에 위치하게 안경(10)을 착용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시야외연장부(122)는 대응되는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나사 결합 등에 의해 대응되는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시야내귀걸이 유닛(110) 또는 안경다리길이부(30)는 시야외연장부(122)에 축 삽입되고, 시야내귀걸이 유닛(110) 또는 안경다리길이부(30)는 단면상 다각형 또는 타원형이며, 시야외연장부(122)는 시야내귀걸이 유닛(110) 또는 안경다리길이부(3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수용공간부(123)를 형성할 수 있다.
예로서, 시야외연장부(122)에 원형이 아닌 다각형 또는 타원형인 시야내연결부(112)가 삽입되고, 시야내연결부(112)의 단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수용공간부(123)에 시야내연결부(112)를 삽입함에 따라, 시야내연결부(112) 축의 원주 방향으로 시야외연장부(122)의 회전이 방지된다.
물론, 시야외연장부(122)가 시야내연결부(112)에 축 삽입될 수도 있다.
시야외연장부(122)는 시야내귀걸이 유닛(110) 또는 안경다리길이부(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부(123) 측으로 연결되는 삽입구(125)를 형성할 수 있다. 시시야내귀걸이 유닛(110) 또는 안경다리길이부(30)는 삽입구(125)에 억지 삽입되며 수용공간부(123)에 수용된다.
시야외연장부(122)는 시야내귀걸이 유닛(110) 또는 안경다리길이부(30)에 용이하게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시야내연결부(112) 또는 안경다리길이부(30)의 축 방향을 따라 시야외연장부(122)가 이동하는 것이 다양한 방식에 의해 방지되고, 시야내연결부(112) 또는 안경다리길이부(3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방지되도록 위치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시야외연장부(122)는 시야내연결부(112)에서 절곡되는 시야내귀걸이부(114) 연결 부위에 걸려 시야내연결부(112)의 축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이탈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착용자가 안경(10)을 전방 착용시에는, 코받침(24)이 착용자의 코에 접하여 안경림(20)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안경(10)이 착용자 얼굴의 하부 방향으로 쉽게 내려가지 못한다.
시야외귀걸이부(124)가 귀에 걸린 상태인, 안경(10)이 세워진 채로 착용된 경우에는, 시야외귀걸이부(124)가 안경림(20)이 착용자 얼굴 하부 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하지만, 코받침(24)의 경우 착용자의 코로부터 이격되어 안경림(20)이 착용자 얼굴 하부 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이 착용자의 귀에 걸려 안경(10)이 세워진 채로 착용된 경우는,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은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이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것과 함께, 귀의 전측에 접하여 안경림(20)을 지지할 수 있으며, 안경림(20)은 머리나 얼굴로부터 쉽게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특히,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은, 시야외귀걸이부(124)가 귀에 걸릴 때, 착용자 안면의 측면, 귀의 전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하여 안경림(20)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은 착용자의 귀 형상에 따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질이 가요성(可撓性)인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은 안경다리길이부(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안경테는 안경림(20), 안경림(20)에 연결되는 안경다리길이부(30), 및 안경다리길이부(30)의 일측에 구비되어 귀에 걸리는 부위를 달리함으로써 안경림(20)의 착용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귀걸이부(100)를 포함하는 안경(10)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안경알(22) 둘레에 안경테가 없는 무테안경의 경우, 안경림(20)은 안경알(22)의 가장자리로서 안경다리길이부(30)를 연결할 수 있다.
귀걸이부(100)는 안경다리길이부(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의 재질은 착용자의 귀 형상에 따라 변형 가능하도록 가요성(可撓性)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전방 착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올려 착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귀걸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10)은 안경림(20), 안경다리길이부(30) 및 귀걸이부(100)를 포함한다.
안경림(20)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에 거는 부분인 안경다리(15)는, 안경림(20)에서 연결되는 안경다리의 길이 방향 부분인 안경다리길이부(30)와 귀에 걸리는 부분인 귀걸이부(100)를 포함한다.
안경림(20) 및 안경다리길이부(3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안경림(20)은 안경알(22)을 감싸는 안경테 또는 안경알(22)의 가장자리일 수 있다. 편의상, 안경림(20)은 안경알(22)의 둘레면 전체를 감싸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귀걸이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야내귀걸이 유닛(110) 및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은 시야내연결부(112) 및 시야내귀걸이부(114)를 포함하고,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은 시야외연장부(122) 및 시야외귀걸이부(124)를 포함한다.
시야내귀걸이 유닛(110)과 시야외연장부(122)는 일체 또는 결합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시야외연장부(122)는 시야외귀걸이부(12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안경다리길이부(30)는 시야외연장부(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안경다리길이부(30)는 안경림(20)에 연결되는 부위인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 및,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에 연결되어, 귀걸이부(100)를 연결하는 부위인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를 포함한다.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에 연결되는 귀걸이부(100)는 시야내귀걸이 유닛(110) 및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을 포함한다.
시야내연결부(112)는 안경다리길이부(30)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시야내귀걸이부(114)는 시야내연결부(112)에서 연장된다. 그래서, 시야내귀걸이부(114)는 안경림(20)에 구비된 안경알(22)이, 착용자의 눈의 시야 전방 안에 위치한 상태로 귀에 지지되게 된다. 특히, 시야내귀걸이부(114)는 귀의 후측을 감싸도록 호 궤적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시야내연결부(112)에서 직선으로 연장되거나, 절곡된 채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시야내귀걸이부(11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귀의 상측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안경(10)을 전방 착용시, 시야내귀걸이부(114)가 귀에 걸림으로써, 안경(10)은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된다.
이때,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의 적어도 일부가 시야내귀걸이 유닛(110)보다 후방측에 위치된다.
한편,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이 착용자의 귀에 걸릴 때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은 착용자 안면의 측면, 귀의 전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하여 안경림(20)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시야외연장부(122)는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시야내연결부(112)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시야외연장부(122)는 시야내연결부(112)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그리고, 시야외귀걸이부(114)는 시야외연장부(122)에서 연장된다.
그래서, 착용자가 안경(10)의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를 피벗(127) 등으로 회전하여 세워서 착용시, 시야외연장부(122)와 시야외귀걸이부(124)가 귀의 전측 상부와 상측 및 후측 상부를 감싸고, 안경림(20)은 머리나 이마 등에 밀착되며,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시야외귀걸이부(124)는 안경알(22)이 착용자의 눈의 시야 전방 안 이외에 위치한 상태로 귀에 지지된다.
물론, 시야내연결부(112)와 시야외연장부(122)는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은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이 파손이나 변형시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예로서,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은 볼트 등 기계체결요소에 의해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와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피벗(127) 등으로 연결된다.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이 귀 둘레에 걸리게 하여 안경(10)을 착용할때는,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를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로부터 피벗(127) 등의 방법으로 회전하여,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와 연결되는 안경림(20)이 착용자의 얼굴에서 크게 이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의 적어도 일부가 시야내귀걸이 유닛(110)보다 후방측에 위치하게 되어,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이 귀에 걸릴 때 시야내귀걸이 유닛(110)은 착용자의 귀의 전측에 접하여 안경림(20)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시야외귀걸이부(124)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귀걸이부(100)는 안경다리길이부(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시야외귀걸이 유닛(120)의 재질은 착용자의 귀 형상에 따라 변형 가능하도록 가요성(可撓性)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안경테는 안경림(20), 안경림(20)에 연결되는 안경다리길이부(30), 및 안경다리길이부(30)의 일측에 구비되어 귀에 걸리는 부위를 달리함으로써 안경림(20)의 착용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귀걸이부(100)를 포함하는 안경(10)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안경알(22) 둘레에 안경테가 없는 무테 안경의 경우, 안경림(20)은 안경알(22)의 가장자리일 수 있고, 안경다리길이부(30)를 연결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안경 20: 안경림
22: 안경알 24: 코받침
30: 안경다리길이부 32: 전방 안경다리길이부
34: 후방 안경다리길이부 100: 귀걸이부
110: 시야내귀걸이 유닛 112: 시야내연결부
114: 시야내귀걸이부 120: 시야외귀걸이 유닛
122: 시야외연장부 124: 시야외귀걸이부
123: 수용공간부 125: 삽입구
127: 피벗 15: 안경다리

Claims (25)

  1. 안경림; 상기 안경림에 연결되어 귀에 거는 부분인 안경다리; 및 상기 안경다리에 구비되어 귀에 걸리는 부위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를 조절 가능한 귀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안경림에서 연결되는 상기 안경다리의 길이 방향 부분인 안경다리길이부에서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 둘레에 걸리는 시야내귀걸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귀 둘레에 걸리는 경우,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를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과 다르게 하여 착용자의 시야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유지하는 시야외귀걸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에서 하나 이상 연장되는 시야외연장부; 및
    상기 안경림이 눈의 시야 전방 안 이외에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상기 시야외연장부에서 연장되는 시야외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림이 눈의 시야 전방 안에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시야내귀걸이부; 및
    상기 시야내귀걸이부를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에 연결하는 시야내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과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 중 어느 하나는 귀 둘레의 상부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보다 상방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을 귀 둘레 상측에 지지되도록 안경을 착용할 경우, 상기 안경림이 시야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림이 시야 상측 외부에 위치하도록 안경을 착용할 경우,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과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 사이에 착용자의 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안경림과 연결되는 측의 전방 안경다리길이부 및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 및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방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에서 회전되며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이 귀 둘레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보다 후방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은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 또는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와 일체이거나,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 또는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 또는 상기 안경다리길이부는 단면상 다각형 또는 타원형이고,
    상기 시야외연장부는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 또는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외연장부는 상기 시야외연장부에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 또는 상기 안경다리길이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외연장부는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림이 눈의 시야 전방 안에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시야내귀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야내귀걸이부는 상기 시야외귀걸이부가 귀에 걸릴 때 착용자 안면의 측면, 귀의 전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하여 상기 안경림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림은 안경테나 안경알의 가장자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상기 시야외연장부 또는 상기 시야외귀걸이부 중 적어도 둘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상기 시야내연결부 또는 상기 시야내귀걸이부 중 적어도 둘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9. 제 1항에 따른 안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20. 안경의 안경림에 연결되어 귀에 거는 부분인 안경다리에 구비되어,
    귀에 걸리는 부위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를 조절 가능한 귀걸이부로서,
    상기 안경림에서 연결되는 안경다리의 길이 방향 부분인 안경다리길이부에서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 둘레에 걸리는 시야내귀걸이 유닛과 별도로,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귀 둘레에 걸리는 경우,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를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과 다르게 하여 착용자의 시야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외귀걸이 유닛.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에서 하나 이상 연장되는 시야외연장부; 및
    상기 안경림이 눈의 시야 전방 안 이외에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상기 시야외연장부에서 연장되는 시야외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외귀걸이 유닛.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림이 눈의 시야 전방 안에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시야내귀걸이부; 및
    상기 시야내귀걸이부를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에 연결하는 시야내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외귀걸이 유닛.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과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 중 어느 하나는 귀 둘레의 상부에 거치 고정되고,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보다 상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을 귀 둘레 상측에 지지되도록 안경을 착용할 경우, 상기 안경림이 시야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외귀걸이 유닛.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림이 시야 상측 외부에 위치하도록 안경을 착용할 경우,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과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 사이에 착용자의 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외귀걸이 유닛.
  25.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안경림과 연결되는 측의 전방 안경다리길이부 및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시야내귀걸이 유닛 및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방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에서 회전되며 상기 시야외귀걸이 유닛이 귀 둘레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외귀걸이 유닛.
KR1020140138638A 2014-10-14 2014-10-14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KR101582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638A KR101582845B1 (ko) 2014-10-14 2014-10-14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638A KR101582845B1 (ko) 2014-10-14 2014-10-14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959A Division KR20160043886A (ko) 2015-01-07 2015-01-07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착용 위치 조절이 가능한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845B1 true KR101582845B1 (ko) 2016-01-07

Family

ID=55169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638A KR101582845B1 (ko) 2014-10-14 2014-10-14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7523A (zh) * 2015-07-01 2018-05-11 朴序晙 鼻分离的耳承单元、具有所述耳承单元的眼镜框和具有所述耳承单元的眼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2312A (ja) * 2000-09-08 2002-03-22 Yuriko Motoi メークアップ用眼鏡
KR20050033998A (ko) * 2003-10-07 2005-04-14 지전근 유니코 안경
KR20090092397A (ko) * 2008-02-27 2009-09-01 최부영 코받침이 없는 안경
JP2009294491A (ja) * 2008-06-06 2009-12-17 Hasegawa Bicoh Co Ltd 支持角度可変耳当て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2312A (ja) * 2000-09-08 2002-03-22 Yuriko Motoi メークアップ用眼鏡
KR20050033998A (ko) * 2003-10-07 2005-04-14 지전근 유니코 안경
KR20090092397A (ko) * 2008-02-27 2009-09-01 최부영 코받침이 없는 안경
JP2009294491A (ja) * 2008-06-06 2009-12-17 Hasegawa Bicoh Co Ltd 支持角度可変耳当て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7523A (zh) * 2015-07-01 2018-05-11 朴序晙 鼻分离的耳承单元、具有所述耳承单元的眼镜框和具有所述耳承单元的眼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9245B2 (en) Earpiece-less eyeglass apparatus and strap attachment mechanism
CN104126145B (zh) 具有可替换附件的眼镜
CN108027523A (zh) 鼻分离的耳承单元、具有所述耳承单元的眼镜框和具有所述耳承单元的眼镜
EP2234568A2 (en) Pendant eye-wear
KR101698977B1 (ko) 좌우 눈동자의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루페안경
US5956115A (en) Sport glasses
KR101757351B1 (ko)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US20050039240A1 (en) Multi-usage eyewear supportable on a cap
KR101582845B1 (ko)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GB2458514A (en) Removable spectacles counterbalance with universal attachment.
KR20160043886A (ko)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착용 위치 조절이 가능한 안경
KR20200122109A (ko) 안경다리의 귀걸이 각도조절장치
KR200479812Y1 (ko) 착탈형 안경
US7828428B1 (en) Eyeglasses
KR20160118884A (ko)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KR102101100B1 (ko) 교체형 안경
KR200433694Y1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테
KR101648408B1 (ko) 측부고정구가 구비된 안경
KR20090005955U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탈부착식 코 받침대
KR20100131090A (ko) 이중 힌지부와 길이조절부를 갖는 브릿지 분할형 안경
JP3232313U (ja) メガネ
KR20160022025A (ko) 안경용 받침수단
KR20190071872A (ko) 눈꺼풀 고정 안경
KR20170083473A (ko)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KR102495079B1 (ko) 안경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