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473A -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 Google Patents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473A
KR20170083473A KR1020160113631A KR20160113631A KR20170083473A KR 20170083473 A KR20170083473 A KR 20170083473A KR 1020160113631 A KR1020160113631 A KR 1020160113631A KR 20160113631 A KR20160113631 A KR 20160113631A KR 20170083473 A KR20170083473 A KR 20170083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glass
earring
contact
ea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준
Original Assignee
박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준 filed Critical 박서준
Priority to KR1020160113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3473A/ko
Publication of KR20170083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4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8Side-members reinforce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으로, 렌즈 또는 안경림에 연결되어 귀에 거는 안경다리를 포함하고, 안경다리는 렌즈 또는 안경림에서 연결되는 안경다리의 축 방향 부분인 안경다리길이부 및 귀에 걸리는 귀걸이부를 포함하며, 렌즈, 안경림 또는 코걸이의 위치가 착용자의 코로부터 이격되는 상태가 유지되어 렌즈 또는 안경림이 착용자의 코에 접촉되지 않거나 렌즈 또는 안경림의 하중이 착용자의 코에 실리지 않도록 하여 착용자에게 안경 착용시 쾌적성을 제공하고, 귀걸이부와 안경다리길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을 통해 렌즈 또는 안경림이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귀걸이부와 안경다리길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을 통해 렌즈 또는 안경림이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안경 착용시 귀에 걸리는 귀걸이에 별도의 귀걸이를 더 구비하여 안경의 착용 위치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안이나 화장 등의 이유로 얼굴 주요 부위로부터 안경을 이격시키는 경우나, 근시 등의 이유로 렌즈를 통하지 않고 사물을 보는 경우에도 안경을 착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LEG UNIT, FRAME HAVING THE LEG UNIT AND GLASSES HAVING THE LEG UNIT}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 착용시 귀에 걸리는 귀걸이에 별도의 귀걸이를 더 구비하여 안경의 착용 위치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안이나 화장 등의 이유로 얼굴 주요 부위로부터 안경을 이격시키는 경우나, 근시 등의 이유로 렌즈를 통하지 않고 사물을 보는 경우에도 안경을 착용할 수 있음에 따라 안경을 벗지 않은 채로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효과를 가질 수 있고, 안경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귀걸이를 기존의 귀걸이에 접거나 펼칠 수 있어 착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렌즈 또는 안경림의 위치가 착용자의 코로부터 이격되는 상태가 유지되어 렌즈, 안경림 또는 코걸이가 착용자의 코에 접촉되지 않거나 렌즈 또는 안경림의 하중이 착용자의 코에 실리지 않도록 하여 착용자에게 안경 착용시 쾌적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비이격(鼻離隔)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안경 착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거나 안경 착용자의 눈을 자외선과 적외선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에는 생활환경과 생활 패턴 등의 변화로 인하여 시력 교정이나 눈의 보호가 필요한 사람들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안경이 패션 소품으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시력 교정이나 눈의 보호와 상관없는 사람들도 안경을 자주 착용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기존의 안경들은 렌즈의 무게로 인하여 무게 중심이 전방에 있으므로, 안경의 장시간 착용시 안경 착용자의 코 부분이 안경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안경들은 안경테의 형상이 일정한 구조이다. 따라서, 안경 착용자는 안경 판매점에서 자신에게 맞는 안경테를 골라서 착용하고 있다. 즉, 안경 착용자의 얼굴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안경 착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안경테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안경 착용자가 세안이나 화장 등의 이유로 얼굴 주요 부위로부터 안경을 이격시키는 경우나, 근시 등의 이유로 렌즈를 통하지 않고 사물을 보기 위해 안경을 벗게 되는데, 이 경우, 안경을 벗는 동작이 크고, 벗어 놓은 안경을 마땅히 거치하는 곳을 찾기 힘들거나, 벗어 놓은 안경을 잊어버림으로 인해서 잃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91713호(2001. 03. 15. 등록, 발명의 명칭: 안경 안경다리 상에 설치된 접이식 부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렌즈, 안경림 또는 코걸이의 위치가 착용자의 코로부터 이격되는 상태가 유지되어 렌즈 또는 안경림이 착용자의 코에 접촉되지 않거나 렌즈 또는 안경림의 하중이 착용자의 코에 실리지 않도록 하여 착용자에게 안경 착용시 쾌적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비이격(鼻離隔)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안경 착용시 귀에 걸리는 기존의 귀걸이에 별도의 귀걸이를 더 구비하여 안경의 착용 위치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안이나 화장 등의 이유로 얼굴 주요 부위로부터 안경을 이격시키는 경우나, 근시 등의 이유로 렌즈를 통하지 않고 사물을 보는 경우에도 안경을 착용할 수 있음에 따라 안경을 완전히 벗는 동작을 줄이고, 벗어 놓은 안경을 거치하는 곳을 찾는 불편을 덜고, 안경의 분실을 방지하고자 하는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의 귀걸이와 별도의 귀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안경다리길이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지 보수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별도의 귀걸이를 기존의 귀걸이에 접거나 펼칠 수 있어 착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은: 렌즈 또는 안경림에 연결되어 귀에 거는 안경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안경다리는, 상기 렌즈 또는 상기 안경림에서 연결되는 상기 안경다리의 축 방향 부분인 안경다리길이부, 및 귀에 걸리는 귀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렌즈 또는 안경림의 위치가 착용자의 코로부터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착용자의 코에 가해지는 안경림 또는 렌즈의 하중에 의한 압박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귀걸이부와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을 통해 상기 렌즈 또는 상기 안경림이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위치가 착용자의 코로부터 이격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귀걸이부는 비이격귀걸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에서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 둘레에 걸리는 비이격귀걸이부; 및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비이격귀걸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하부유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유지부는 귀 전측에 접하여 지지되는 경우, 상기 안경림 없는 렌즈 또는 코받침 없는 안경림 또는, 코받침이 코에서 이격되어지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코에 가해지는 안경림 또는 렌즈의 하중에 의한 압박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귀걸이부는 안경림이 없는 경우의 렌즈 또는 코받침이 없는 경우의 안경림 또는, 코받침이 코에서 이격되어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렌즈 또는 상기 안경림 부분이 상기 귀걸이부를 피봇 중심으로 하향 회전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안경다리회전방지부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경다리회전방지부는, 상기 하부유지부에서 귀 후측 둘레면에 연장되어, 안경림 없는 렌즈 또는 코받침 없는 안경림 또는, 코받침이 착용자의 코와 이격된 상태인 상기 안경다리를 지지하는 절곡연장부; 및 상기 절곡연장부에 연장 형성되어 귀 후측과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밀착됨으로써, 안경림 없는 렌즈 또는 코받침 없는 안경림 또는, 코받침이 상기 코와 유격된 상태에서 상기 안경다리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밀착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경다리회전방지부는,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비이격귀걸이부의 하측면 또는, 상기 하부유지부의 상측면에 돌출되어 귀 상부 둘레면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안경다리가 하향되려는 것을 방지하는 덧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렌즈 또는 상기 안경림과 연결되는 측의 전방 안경다리길이부, 및 상기 귀걸이부와 연결되는 측의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안경다리길이부에 대해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렌즈 또는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를 조절 가능한 회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귀걸이부는 길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와 상기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전체 길이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전방 안경다리길이부에 구비되고, 리브를 형성한 커넥터; 상기 리브를 수용하도록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에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리브와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안경다리길이부에 대한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의 회동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가 코와의 밀접 상태 또는 이격 상태를 유지하는 피벗을 포함한다.
상기 귀걸이부는, 착용자의 귀 둘레에 걸리는 비접촉귀걸이 유닛; 및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귀 둘레에 걸리는 경우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를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과 다르게 하여 착용자의 코에서 이격되도록 하거나 착용자의 코에 가해지는 안경림 또는 렌즈의 하중에 의한 압박을 완화시키는 비이격귀걸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에 대해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의 회동을 허용하는 회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에서 하나 이상 연장되는 비이격연장부; 및 상기 안경림이 착용자의 코에서 이격되어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상기 비이격연장부에서 연장되는 비이격귀걸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림이 눈의 시야 전방 안에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비접촉귀걸이부; 및 상기 비접촉귀걸이부를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에 연결하는 비접촉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과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 중 어느 하나는 귀 둘레의 상부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보다 상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을 귀 둘레 상측에 지지되도록 안경을 착용할 경우, 상기 안경림이 시야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안경림이 시야 상측 외부에 위치하도록 안경을 착용할 경우,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과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 사이에 착용자의 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는,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에 구비되고, 리브를 돌출 형성한 커넥터; 및 상기 리브와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에 삽입되어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에 대한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의 회동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가 착용자의 코에서 이격 상태 또는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피벗을 포함한다.
상기 회동부에 의해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이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 측으로 회동되고,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과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은 두부의 측면에 근접 또는 밀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안경림과 연결되는 측의 전방 안경다리길이부 및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 및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방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에서 회전되며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이 귀 둘레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보다 후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은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 또는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와 일체이거나,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 또는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림이 눈의 시야 전방 안에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비접촉귀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접촉귀걸이부는 상기 비이격귀걸이부가 귀에 걸릴 때 착용자 안면의 측면, 귀의 전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하여 상기 안경림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안경림은 렌즈를 끼우는 안경테의 테두리 또는 렌즈의 가장자리일 수 있다.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상기 비이격연장부 및 상기 비이격귀걸이부 중 적어도 둘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상기 비접촉연결부 및 상기 비접촉귀걸이부 중 적어도 둘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는 수동 또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동되고, 상기 길이조절부는 수동 또는 모터의 동력으로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귀걸이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가 착용자의 코에서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안경다리의 회전을 방지하는 안경다리회전방지부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경다리회전방지부는, 상기 귀걸이부가 귀 하측에 접할 경우, 상기 귀걸이부에서 귀 둘레면에 접하도록 연장되어, 귀 둘레면과 두부에 접하여 비이격 상태인 상기 안경다리를 지지하는 절곡연장부; 및 상기 절곡연장부에 연장 형성되어 귀 후측과 상측에 밀착됨으로써 비이격 상태인 상기 안경다리가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밀착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는 초점이 상이한 보조렌즈를 연장 형성하여, 상기 귀걸이부와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을 통해 착용 위치가 조정될 경우, 상기 보조렌즈가 시야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는: 렌즈 또는 안경림에 연결되어 귀에 거는 부분인 안경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안경다리는, 상기 렌즈 또는 상기 안경림에서 연결되는 상기 안경다리의 길이 방향 부분인 안경다리길이부, 및 귀에 걸리는 귀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또는 안경림의 위치가 착용자의 코로부터 이격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귀걸이부와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을 통해 상기 안경림이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위치가 착용자의 코로부터 이격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귀걸이부는 비이격귀걸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에서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 둘레에 걸리는 비이격귀걸이부; 및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비이격귀걸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하부유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유지부는 귀 전측에 접하여 지지되는 경우, 상기 안경림 없는 렌즈 또는 코받침 없는 안경림 또는, 코받침이 코에서 이격되어지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코에 가해지는 안경림 또는 렌즈의 하중에 의한 압박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귀걸이부는 안경림이 없는 경우의 렌즈 또는 코받침이 없는 경우의 안경림 또는, 코받침이 코에서 이격되어 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렌즈 또는 상기 안경림 부분이 상기 귀걸이부를 피봇 중심으로 하향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경다리회전방지부를 연장 형성한다.
상기 안경다리회전방지부는, 상기 하부유지부에서 귀 후측 둘레면에 연장되어, 안경림 없는 렌즈 또는 코받침 없는 안경림 또는, 코받침이 착용자의 코와 이격된 상태인 상기 안경다리를 지지하는 절곡연장부; 및 상기 절곡연장부에 연장 형성되어 귀 후측과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밀착됨으로써, 안경림 없는 렌즈 또는 코받침 없는 안경림 또는, 코받침이 상기 코와 유격된 상태에서 상기 안경다리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밀착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경다리회전방지부는,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비이격귀걸이부의 하측면 또는, 상기 하부유지부의 상측면에 돌출되어 귀 상부 둘레면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안경다리가 하향되려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덧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렌즈 또는 상기 안경림과 연결되는 측의 전방 안경다리길이부, 및 상기 귀걸이부와 연결되는 측의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에 대해 상기 전방 안경다리길이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를 조절 가능한 회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귀걸이부는 길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와 상기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전체 길이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에서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 둘레에 걸리는 비접촉귀걸이 유닛; 및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귀 둘레에 걸리는 경우,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를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과 다르게 하여 착용자의 코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비이격귀걸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에 대해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의 회동을 허용하는 회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에서 하나 이상 연장되는 비이격연장부; 및 상기 안경림이 착용자의 코에서 이격되어 눈의 시야 전방 안 이외에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상기 비이격연장부에서 연장되는 비이격귀걸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림이 착용자의 코와 접촉되어 눈의 시야 전방 안에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비접촉귀걸이부; 및 상기 비접촉귀걸이부를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에 연결하는 비접촉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가 착용자의 코에서 이격되어 시야외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안경다리의 회전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안경다리회전방지부를 연장 형성한다.
상기 안경다리회전방지부는, 상기 귀걸이부가 귀 하측에 접할 경우, 상기 귀걸이부에서 귀 둘레면에 접하도록 연장되어, 귀 둘레면과 두부에 접하여 비이격 상태인 상기 안경다리를 지지하는 절곡연장부; 및 상기 절곡연장부에 연장 형성되어 귀 후측과 상측에 밀착됨으로써 비이격 상태인 상기 안경다리가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밀착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는 초점이 상이한 보조렌즈를 연장 형성하여, 상기 귀걸이부와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을 통해 착용 위치가 조정될 경우, 상기 보조렌즈가 시야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이격귀걸이 유닛은: 안경의 렌즈 또는 안경림에 연결되어 귀에 거는 부분인 안경다리에 결합되어, 귀에 걸리는 부위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를 조절 가능한 귀걸이부로서, 상기 귀걸이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렌즈 또는 상기 안경림이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안경림에서 연결되는 안경다리의 길이 방향 부분인 안경다리길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렌즈 또는 상기 안경림과 연결되는 측의 전방 안경다리길이부 및 상기 귀걸이부와 연결되는 측의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에 대해 상기 전방 안경다리길이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렌즈 또는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를 조절 가능한 회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귀걸이부는 길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와 상기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전체 길이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착용자의 귀 둘레에 걸리는 비접촉귀걸이 유닛과 별도로,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귀 둘레에 걸리는 경우,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를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과 다르게 하여 착용자의 코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에 대해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의 회동을 허용하는 회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다리길이부 또는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에서 하나 이상 연장되는 비이격연장부; 및 상기 안경림이 착용자의 코에서 이격되어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상기 비이격연장부에서 연장되는 비이격귀걸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은, 상기 안경림이 눈의 시야 전방 안에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비접촉귀걸이부; 및 상기 비접촉귀걸이부를 상기 안경다리길이부에 연결하는 비접촉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과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 중 어느 하나는 귀 둘레의 상부에 거치 고정되고,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보다 상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을 귀 둘레 상측에 지지되도록 안경을 착용할 경우, 상기 안경림이 착용자의 코에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안경림이 시야 상측 외부에 위치하도록 안경을 착용할 경우,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과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 사이에 착용자의 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안경림과 연결되는 측의 전방 안경다리길이부 및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비접촉귀걸이 유닛 및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방 안경다리길이부는 상기 후방 안경다리길이부에서 회전되며 상기 비이격귀걸이 유닛이 귀 둘레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안경림의 착용 위치가 착용자의 코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안경다리의 회전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안경다리회전방지부를 연장 형성한다.
상기 안경다리회전방지부는, 상기 귀걸이부가 귀 하측에 접할 경우, 상기 귀걸이부에서 귀 둘레면에 접하도록 연장되어, 귀 둘레면과 두부에 접하여 비이격 상태인 상기 안경다리를 지지하는 절곡연장부; 및 상기 절곡연장부에 연장 형성되어 귀 후측과 상측에 밀착됨으로써 비이격 상태인 상기 안경다리가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밀착지지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은 종래 기술과 달리 안경 착용시 귀에 걸리는 기존의 귀걸이에 별도의 귀걸이를 더 구비하여 안경의 착용 위치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안이나 화장 등의 이유로 안경으로부터 얼굴 주요 부위를 이격시키거나, 근시 등의 이유로 렌즈를 통하지 않고 사물을 보는 등의 경우에도 안경을 착용할 수 있음에 따라 안경을 완전히 벗는 동작을 줄이고, 벗어 놓은 안경을 거치하는 곳을 찾는 불편을 덜고, 안경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의 귀걸이와 별도의 귀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안경다리길이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지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별도의 귀걸이를 기존의 귀걸이에 접거나 펼칠 수 있어 착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전방 착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올려 착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귀걸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귀걸이부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귀걸이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전방 착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올려 착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귀걸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전방 착용하는 상태의 안경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올려 착용하는 상태의 안경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회동부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안경다리부의 길이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안경다리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회동부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전방 착용하는 상태의 안경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올려 착용하는 상태의 안경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회동부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회동부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회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전방 착용하는 상태의 안경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올려 착용하는 상태의 안경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전방 착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올려 착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전방 착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올려 착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착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전방 착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올려 착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귀걸이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귀걸이부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귀걸이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안경(10)은 안경림(20), 안경다리길이부(30) 및 귀걸이부(100)를 포함한다.
안경림(20)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에 거는 부분인 안경다리(15)는, 안경림(20)에서 연결되는 안경다리(15)의 길이 방향 부분인 안경다리길이부(30)와 귀에 걸리는 부분인 귀걸이부(100)를 포함한다.
안경다리길이부(30)는 안경림(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안경다리길이부(30)는 안경림(20)의 후면 측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접거나 착용자의 귀에 거치할 수 있도록 펼치는 등 안경림(2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안경림(20)은 한 쌍의 렌즈(22)에 접하여 구비된다. 렌즈(22)는 안경(10)의 착용자에게 원시, 근시 및 노안 등을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안경림(20)은 렌즈(22)의 가장자리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안경림(20)은 렌즈(22)를 감싸는 안경테 또는 안경테 없는 렌즈(22)의 가장자리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편의상, 안경림(20)은 렌즈(22)의 둘레면 전체를 감싸는 안경테인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안경림(20)은 렌즈(22)에 인접되는 위치에 코받침(24)을 구비한다. 코받침(24)은 안경(10)을 전방 착용시 착용자의 코에 접하게 된다. 여기서, '전방 착용'은 렌즈(22)에 대응되는 착용자의 눈이 렌즈(22)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물론, 안경림(20), 렌즈(22), 코받침(24) 및 안경다리길이부(3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귀걸이부(100)는 안경(10)을 착용시 귀에 걸림으로써 안경림(20)이 하부 방향으로 하강하거나 또는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안경림(20)은 귀걸이부(100)와 코받침(24)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하강하거나 또는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귀걸이부(100)는 안경다리(15)에 구비되어 귀에 걸리는 부위를 달리함으로써 안경림(20)의 착용 위치를 조절 가능한 역할을 한다.
귀걸이부(100)는 비접촉(鼻接觸)귀걸이 유닛(110)을 포함한다.
여기서, '비접촉(鼻接觸)'은 코받침(24), 안경림(20) 및 렌즈(22) 중 어느 하나가 착용자의 코 부위에 접촉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은 안경다리길이부(30)에서 연결되어 귀에 걸리게 된다. 이때,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은 안경(10)을 전방으로 정상 착용시에 귀에 걸리는 것이다. 여기서, '전방으로 정상 착용'은 코받침(24)이 코등의 양측에 각각 접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은 한 쌍의 안경다리길이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경다리길이부(30) 일측에 구비될 수 있는데, 편의상, 한 쌍의 안경다리길이부(30)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특히,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은 비접촉(鼻接觸)연결부(112) 및 비접촉(鼻接觸)귀걸이부(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비접촉연결부(112)는 비접촉귀걸이부(11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안경다리길이부(30)는 비접촉연결부(1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은 안경다리길이부(30)에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그래서, 비접촉귀걸이부(114)는 전방으로 정상 착용시 귀의 상측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비접촉귀걸이부(114)는 비접촉연결부(112)에서 연장된다. 그래서, 비접촉귀걸이부(114)는 안경림(20)에 구비된 렌즈(22)가, 착용자의 눈의 시야 전방 안에 위치한 상태로 귀에 지지되게 된다. 특히, 비접촉귀걸이부(114)는 귀의 후측을 감싸도록 호 궤적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비접촉연결부(112)에서 직선으로 연장되거나, 절곡된 채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비접촉귀걸이부(11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귀의 상측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안경(10)을 전방 착용시, 비접촉귀걸이부(114)가 귀에 걸림으로써, 안경(10)은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된다.
이때, 안경 렌즈를 착용자의 시야 외에 위치하게 하는 시야외귀걸이 유닛인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의 적어도 일부가 안경 렌즈를 착용자의 시야 내에 위치하게 하는 시야내귀걸이 유닛인 비접촉귀걸이 유닛(110)보다 상방측에 위치된다.
비접촉연결부(112)는 대응되는 안경다리길이부(30)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나사 결합 등에 의해 대응되는 안경다리길이부(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안경다리길이부(30), 비접촉연결부(112) 및 비접촉귀걸이부(114) 중 적어도 둘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착용자가 세안이나 화장 등의 이유로 얼굴 주요 부위로부터 안경을 이격시키는 경우나, 근시 등의 이유로 렌즈(22)를 통하지 않고 사물을 보는 경우에도 안경(10)을 착용하고 있어야 안경을 벗는 큰 동작을 피하고, 벗어 놓은 안경을 거치하는 곳을 찾는 수고와,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귀걸이부(100)는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비이격(鼻離隔)의 이격(離隔)은 코받침(24), 안경림(20) 및 렌즈(22) 중 어느 하나가 착용자의 코 부위와 접촉이 일어나지 않으며 코 부위에서 이격(떨어짐)되거나, 착용자의 코 부위와 접촉은 이루어지되 코 부위에서 이격되려는 상태에서 착용자의 코 부위에 가하는 하중이 경감되도록 압박이 줄어든 상태를 의미한다.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은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귀에 걸리는 위치를 달리하며 안경림(20)의 착용 위치를 비접촉귀걸이 유닛(110)과 달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착용자는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을 활용하여 세안이나 화장 등의 이유로 얼굴 주요 부위로부터 안경(10)을 이격시키는 경우나, 근시 등의 이유로 렌즈(22)를 통하지 않고 사물을 보는 경우에도 안경(10)을 머리 위 등 착용자의 코에서 이격되어 착용자의 시야를 벗어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즉,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은 안경다리길이부(30)에서 연장되어 착용자의 귀 둘레에 걸리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과 별도로,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귀 둘레에 걸리는 경우 안경림(20)의 착용 위치를 비접촉귀걸이 유닛(110)과 다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은 비이격(鼻離隔)연장부(122) 및 비이격(鼻離隔)귀걸이부(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비이격연장부(122)는 비이격귀걸이부(12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안경다리길이부(30)는 비이격연장부(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비이격연장부(122)는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에서 하나 이상 연장된다. 편의상, 비이격연장부(122)는 비접촉연결부(112)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비이격연장부(122)는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비접촉연결부(112)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경다리길이부(30)와 비접촉연결부(112)는 일직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비이격귀걸이부(124)는 렌즈(22)가 착용자의 코에서 이격되어 착용자의 눈의 시야 전방 안 이외에 위치한 상태로 귀에 지지되도록 비이격연장부(122)에서 연장된다. 그래서, 비이격귀걸이부(124)는 세안 등에 의해 안경(10)을 세우는 등으로 착용시 귀의 상측에 접하게 된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착용자가 눈 이외에 위치한 상태로 안경(10)을 착용하는 것을 세워서 착용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언급한다.
그리고, 비이격귀걸이부(124)는 비이격연장부(122)에서 연장된다. 그래서, 비이격귀걸이부(124)는 안경림(20)에 구비된 렌즈(22)가 대응되는 눈 이외에 위치한 상태에 놓이도록 안경을 귀에 걸리게 된다. 특히, 비이격귀걸이부(124)는 귀의 후측을 감싸도록 호 궤적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비이격연장부(122)에서 직선으로 연장되거나, 절곡된 채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비이격귀걸이부(12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귀의 상측에 걸리게 된다.
다시 말해서, 비이격귀걸이부(124)는 안경림(20)이 착용자의 코에서 이격되어 눈의 시야 전방 내(內) 이외에 위치한 상태로 귀 둘레에 지지되도록 비이격연장부(122)에서 연장된다.
*즉, 착용자가 비접촉귀걸이 유닛(110)과 비이격귀걸이 유닛(1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귀 둘레의 상부에 거치하여 고정하고,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의 적어도 일부가 비접촉귀걸이 유닛(110)보다 상방측에 위치된다.
이때, 안경다리길이부(30), 비이격연장부(122) 및 비이격귀걸이부(124) 중 적어도 둘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을 귀 둘레 상측에 지지되도록 안경(10)을 착용할 경우, 안경림(20)이 착용자의 코에서 이격되어 시야 상부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안경(10)을 전방 이외의 상태로 착용시, 비이격귀걸이부(124)가 귀에 걸려 안경(1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안경(10)은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된다.
즉, 착용자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과 비이격귀걸이 유닛(1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귀 둘레의 상부에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의 적어도 일부가 비접촉귀걸이 유닛(110)보다 상방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이 귀 둘레에 거치됨으로써, 안경다리길이부(30)가 안경림(20)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승되게 기울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안경림(20)이 착용자의 코에서 이격되어 시야 상측 외부에 위치하도록 안경(10)을 착용할 경우, 비이격귀걸이 유닛(120)과 비접촉귀걸이 유닛(110) 사이에 착용자의 귀가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비접촉귀걸이 유닛(110)과 비이격귀걸이 유닛(120) 중 어느 하나는 귀 둘레의 상부에 거치된다.
아울러, 비이격연장부(122)가 비접촉연결부(112)에서 상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의 비이격연장부(122) 및 비이격귀걸이부(124)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보다 상방측에 위치된다.
이때,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을 귀 둘레 상측에 지지되도록 안경(10)을 착용할 경우, 안경림(20)이 시야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특히, 안경림(20)이 시야 상측 외부에 위치하도록 안경(10)을 착용할 경우, 비이격귀걸이 유닛(120)과 비접촉귀걸이 유닛(110) 사이에 착용자의 귀가 위치된다.
또한, 비이격연장부(122)는 비접촉연결부(112)의 결합점에서 피봇 연결되어 비이격연장부(122)로 안경 착용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어, 안경림(20)이 시야 상측 외부에 위치하게 안경(10)을 착용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비이격연장부(122)는 대응되는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나사 결합 등에 의해 대응되는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비접촉귀걸이 유닛(110) 또는 안경다리길이부(30)는 비이격연장부(122)에 축 삽입되고, 비접촉귀걸이 유닛(110) 또는 안경다리길이부(30)는 단면상 다각형 또는 타원형이며, 비이격연장부(122)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 또는 안경다리길이부(3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수용공간부(123)를 형성할 수 있다.
예로서, 비이격연장부(122)에 원형이 아닌 다각형 또는 타원형인 비접촉연결부(112)가 삽입되고, 비접촉연결부(112)의 단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수용공간부(123)에 비접촉연결부(112)를 삽입함에 따라, 비접촉연결부(112) 축의 원주 방향으로 비이격연장부(122)의 회전이 방지 또는 억제된다.
물론, 비이격연장부(122)가 비접촉연결부(112)에 축 삽입될 수도 있다.
비이격연장부(122)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 또는 안경다리길이부(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부(123) 측으로 연결되는 삽입구(125)를 형성할 수 있다. 시비접촉귀걸이 유닛(110) 또는 안경다리길이부(30)는 삽입구(125)에 억지 삽입되며 수용공간부(123)에 수용된다.
비이격연장부(122)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 또는 안경다리길이부(30)에 용이하게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비접촉연결부(112) 또는 안경다리길이부(30)의 축 방향을 따라 비이격연장부(122)가 이동하는 것이 다양한 방식에 의해 방지되고, 비접촉연결부(112) 또는 안경다리길이부(3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방지되도록 위치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비이격연장부(122)는 비접촉연결부(112)에서 절곡되는 비접촉귀걸이부(114) 연결 부위에 걸려 비접촉연결부(112)의 축 방향으로 이탈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착용자가 안경(10)을 전방 착용시에는, 코받침(24)이 착용자의 코에 접하여 안경림(20)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안경(10)이 착용자 얼굴의 하부 방향으로 쉽게 내려가지 못한다.
비이격귀걸이부(124)가 귀에 걸린 상태인, 안경(10)이 세워진 채로 착용된 경우에는, 비이격귀걸이부(124)가 안경림(20)이 착용자 얼굴 하부 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하지만, 코받침(24)의 경우 착용자의 코로부터 이격되어 안경림(20)이 착용자 얼굴 하부 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이 착용자의 귀에 걸려 안경(10)이 세워진 채로 착용된 경우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은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이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것과 함께, 귀의 전측에 접하여 안경림(20)을 지지할 수 있으며, 안경림(20)은 머리나 얼굴로부터 쉽게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특히,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은, 비이격귀걸이부(124)가 귀에 걸릴 때, 착용자 안면의 측면, 귀의 전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하여 안경림(20)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은 착용자의 귀 형상에 따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질이 가요성(可撓性)인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은 안경다리길이부(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귀걸이부(100)는 두부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세히, 비접촉귀걸이부(114) 및 비이격귀걸이부(124)는 두부의 측면에 밀착되게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안경림(20)과 렌즈(22)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안경테는 안경림(20), 안경림(20)에 연결되는 안경다리길이부(30), 및 안경다리길이부(30)의 일측에 구비되어 귀에 걸리는 부위를 달리함으로써 안경림(20)의 착용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귀걸이부(100)를 포함하는 안경(10)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렌즈(22) 둘레에 안경테가 없는 무테안경의 경우, 안경림(20)은 렌즈(22)의 가장자리로서 안경다리길이부(30)를 연결할 수 있다.
귀걸이부(100)는 안경다리길이부(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의 재질은 착용자의 귀 형상에 따라 변형 가능하도록 가요성(可撓性)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전방 착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올려 착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귀걸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안경(10)은 안경림(20), 안경다리길이부(30) 및 귀걸이부(100)를 포함한다.
안경림(20)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에 거는 부분인 안경다리(15)는, 안경림(20)에서 연결되는 안경다리의 길이 방향 부분인 안경다리길이부(30)와 귀에 걸리는 부분인 귀걸이부(100)를 포함한다.
안경림(20) 및 안경다리길이부(3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안경림(20)은 렌즈(22)를 감싸는 안경테 또는 렌즈(22)의 가장자리일 수 있다. 편의상, 안경림(20)은 렌즈(22)의 둘레면 전체를 감싸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귀걸이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접촉귀걸이 유닛(110) 및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은 비접촉연결부(112) 및 비접촉귀걸이부(114)를 포함하고,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은 비이격연장부(122) 및 비이격귀걸이부(124)를 포함한다.
비접촉귀걸이 유닛(110)과 비이격연장부(122)는 일체 또는 결합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비이격연장부(122)는 비이격귀걸이부(12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안경다리길이부(30)는 비이격연장부(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안경다리길이부(30)는 안경림(20)에 연결되는 부위인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 및,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에 연결되어, 귀걸이부(100)를 연결하는 부위인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를 포함한다.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에 연결되는 귀걸이부(100)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 및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을 포함한다.
비접촉연결부(112)는 안경다리길이부(30)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비접촉귀걸이부(114)는 비접촉연결부(112)에서 연장된다. 그래서, 비접촉귀걸이부(114)는 안경림(20)에 구비된 렌즈(22)가, 착용자의 눈의 시야 전방 안에 위치한 상태로 귀에 지지되게 된다. 특히, 비접촉귀걸이부(114)는 귀의 후측을 감싸도록 호 궤적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비접촉연결부(112)에서 직선으로 연장되거나, 절곡된 채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비접촉귀걸이부(11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귀의 상측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안경(10)을 전방 착용시, 비접촉귀걸이부(114)가 귀에 걸림으로써, 안경(10)은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된다.
이때,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의 적어도 일부가 비접촉귀걸이 유닛(110)보다 후방측에 위치된다.
특히, 귀걸이부(100)는 두부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의 비접촉귀걸이부(114)와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의 비이격연장부(122)와 비이격귀걸이부(124)는 두부의 측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됨에 따라 두부의 측면에 밀착된다.
한편,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이 착용자의 귀에 걸릴 때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은 착용자 안면의 측면, 귀의 전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하여 안경림(20)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비이격연장부(122)는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비접촉연결부(112)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비이격연장부(122)는 비접촉연결부(112)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그리고, 비이격귀걸이부(114)는 비이격연장부(122)에서 연장된다.
그래서, 착용자가 안경(10)의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를 결속핀(127) 등으로 회전하여 세워서 착용시, 비이격연장부(122)와 비이격귀걸이부(124)가 귀의 전측 상부와 상측 및 후측 상부를 감싸고, 안경림(20)은 머리나 이마 등에 밀착되며,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비이격귀걸이부(124)는 렌즈(22)가 착용자의 코에서 이격되어 착용자의 눈의 시야 전방 안 이외에 위치한 상태로 귀에 지지된다.
물론, 비접촉연결부(112)와 비이격연장부(122)는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비접촉귀걸이 유닛(110)과 비이격귀걸이 유닛(120) 중 어느 하나는 귀 둘레의 상부에 거치되는데,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의 비이격연장부(122)와 비이격귀걸이부(124)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의 비접촉귀걸이부(114)의 상방측에 위치한다. 이때,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을 귀 둘레 상측에 지지되도록 안경(10)을 착용할 경우, 안경림(20)이 시야 상부에 위치한다.
특히,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의 비이격귀걸이부(124)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의 비접촉귀걸이부(114)보다 후방측에 위치된다.
한편,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은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이 파손이나 변형시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예로서,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은 볼트 등 기계체결요소에 의해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와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속핀(127) 등으로 연결된다.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이 귀 둘레에 걸리게 하여 안경(10)을 착용할때는,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를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로부터 결속핀(127) 등의 방법으로 회전하여,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와 연결되는 안경림(20)이 착용자의 얼굴에서 크게 이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의 적어도 일부가 비접촉귀걸이 유닛(110)보다 후방측에 위치하게 되어,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이 귀에 걸릴 때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은 착용자의 귀의 전측에 접하여 안경림(20)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비이격귀걸이부(124)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귀걸이부(100)는 안경다리길이부(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의 재질은 착용자의 귀 형상에 따라 변형 가능하도록 가요성(可撓性)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안경테는 안경림(20), 안경림(20)에 연결되는 안경다리길이부(30), 및 안경다리길이부(30)의 일측에 구비되어 귀에 걸리는 부위를 달리함으로써 안경림(20)의 착용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귀걸이부(100)를 포함하는 안경(10)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렌즈(22) 둘레에 안경테가 없는 무테 안경의 경우, 안경림(20)은 렌즈(22)의 가장자리일 수 있고, 안경다리길이부(30)를 연결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전방 착용하는 상태의 안경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올려 착용하는 상태의 안경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회동부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안경다리부의 길이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안경다리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회동부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의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안경(10)은 안경림(20), 안경다리길이부(30) 및 귀걸이부(100)를 포함한다.
안경림(20)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에 거는 부분인 안경다리(15)는, 안경림(20)에서 연결되는 안경다리(15)의 길이 방향 부분인 안경다리길이부(30)와 귀에 걸리는 부분인 귀걸이부(100)를 포함한다.
특히, 귀걸이부(100)와 안경다리길이부(30)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을 통해, 렌즈(22) 또는 안경림(20)이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안경다리길이부(30)는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 및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를 포함한다.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는 렌즈(22) 또는 안경림(20)과 연결되고,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는 귀걸이부(100)와 연결된다.
한편, 안경다리길이부(30)는 회동부(200)를 포함한다.
회동부(200)는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에 대해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렌즈(22) 또는 안경림(20)의 착용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회동부(200)는 커넥터(210), 수용부(220) 및 피벗(230)을 포함한다.
커넥터(210)는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의 단부 또는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그리고, 커넥터(210)는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 방향으로 리브(212)를 돌출 형성한다. 물론, 커넥터(210)와 리브(21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수용부(220)는 리브(212)를 수용하도록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에 형성된다. 물론, 리브(212)는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의 측면(둘레면)에 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피벗(230)은 수용부(220)의 내측에 위치한 리브(212)와,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에 삽입되어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에 대한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와 리브(212)에 삽입된다. 이때,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는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에 대해 억지 회동된다. 이에 따라, 피벗(230)은 안경림(20)의 착용 위치가 비접촉의 상태 또는 비이격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리브(212)를 돌출한 커넥터(210)가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에 구비되고, 수용부(220)가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회동부(200)는 커넥터(210)와 피벗(23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피벗(230)의 구속력이 약화될 경우, 또는 안경림(20)과 렌즈(22)의 자중에 의해,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가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의 축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상향 경사진 후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는 다각형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제 1다각면부(240)를 둘레면 특히, 전측에 구비한다.
아울러, 커넥터(210)는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에 대한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다각면부(240)를 면접하여 지지하기 위해 제 2다각면부(250)를 형성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동부(200) 중 커넥터(210)는 수동 또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에 대해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다각면부(240)와 제 2다각면부(250)가 면접된 상태에서,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가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에 대한 회동이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피벗(230)이 삽입되는 커넥터(210) 또는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는 슬롯홀(232)을 형성할 수 있다. 피벗(230)이 슬롯홀(232)의 범위 내에서 이동될 수 있음에 따라, 커넥터(210)가 피벗(230)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6에서처럼, 제 1다각면부(240)와 제 2다각면부(250)가 유격된 상태에서, 회동된 후 면접되며 회동 방지된다. 이 후,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는 전진 이동됨에 따라, 제 1다각면부(240)와 제 2다각면부(250)가 접하게 된다. 그래서,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에 대한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가 임의로 회전 방지된다.
편의상, 슬롯홀(232)은 커넥터(210)의 리브(212)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동부(200) 중 커넥터(210)는 수동 또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에 대해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귀걸이부(100)는 길이조절부(300)에 의해 안경다리길이부(30)와 귀걸이부(100)를 포함하는 전체 길이가 조절 가능하다.
편의상, 길이조절부(300)는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와 귀걸이부(100)의 연결부위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길이조절부(300)는 출입부(310) 및 구속부(320)를 포함한다.
출입부(310)는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가 슬라이드 삽입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귀걸이부(100)에 축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다. 물론,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는 가장자리가 귀걸이부(100)의 둘레면을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속부(320)는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가 출입부(310)에 설정 길이만큼 삽입 또는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구속부(320)는 구속돌기(322) 및 걸림부(324)를 포함한다.
구속돌기(322)는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의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돌출된다. 특히, 구속돌기(322)는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의 둘레면에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돌출되는데, 개수 및 크기는 한정하지 않는다. 물론, 구속돌기(32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걸림부(324)는 구속돌기(322)를 수용하여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를 위치 고정하기 위해 출입부(310)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귀걸이부(100)에 형성된다. 이때, 걸림부(324)는 구속돌기(322)의 개수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의의 구속돌기(322) 또는 하나인 구속돌기(322)가 하나의 걸림부(324) 또는 임의의 걸림부(324)에 걸림으로써,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는 설정치 이하의 당기는 힘에 의해 귀걸이부(100) 내부로 더 이상 삽입되거나, 귀걸이부(100)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길이조절부(300)에 의해, 노출되는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와 귀걸이부(100) 전체의 길이가 설정될 수 있다.
물론, 구속부(320)는 홀이나 홈 또는 요철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길이조절부(300)는 수동 또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귀걸이부(10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즉,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는 수동 또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귀걸이부(100)의 출입부(310)에 출입될 수 있다.
아울러, 귀걸이부(100)는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가 외측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재(105)를 연장할 수 있다. 지지부재(105)는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의 외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는 귀걸이부(100)의 직선 구간에서 축 방향을따라 안정적으로 왕복 이동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귀걸이부(100)는 가이드홈부(332)를 함몰 형성한다. 특히, 가이드홈부(332)는 출입부(310)의 내측면에서 축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는 가이드홈부(332)를 따라 직진 안내되는 가이드돌부(334)를 돌출한다. 이때, 가이드돌부(334)는 가이드홈부(332)를 따라 왕복 이동됨에 따라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가 귀걸이부(10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도 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전방 착용하는 상태의 안경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올려 착용하는 상태의 안경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회동부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회동부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회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안경(10)은 안경림(20), 안경다리길이부(30) 및 귀걸이부(100)를 포함한다.
안경림(2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안경다리길이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 및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를 포함한다.
아울러, 귀걸이부(100)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 및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을 포함한다.
특히,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은 비접촉연결부(112) 및 비접촉귀걸이부(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비접촉연결부(112)는 비접촉귀걸이부(11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안경다리길이부(30)는 비접촉연결부(1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은 안경다리길이부(30)에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그래서, 비접촉귀걸이부(114)는 전방 착용시 귀의 상측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비접촉귀걸이부(114)는 비접촉연결부(112)에서 연장된다. 그래서, 비접촉귀걸이부(114)는 안경림(20)에 구비된 렌즈(22)가, 착용자의 눈의 시야 전방 안에 위치한 상태로 귀에 지지되게 된다. 특히, 비접촉귀걸이부(114)는 귀의 후측을 감싸도록 호 궤적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비접촉연결부(112)에서 직선으로 연장되거나, 절곡된 채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비접촉귀걸이부(11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귀의 상측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안경(10)을 전방 착용시, 비접촉귀걸이부(114)가 귀에 걸림으로써, 안경(10)은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된다.
*이때, 안경다리길이부(30), 비접촉연결부(112) 및 비접촉귀걸이부(114) 중 적어도 둘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은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귀에 걸리는 위치를 달리하며 안경림(20)의 착용 위치를 비접촉귀걸이 유닛(110)과 달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착용자는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을 활용하여 세안이나 화장 등의 이유로 얼굴 주요 부위로부터 안경(10)을 이격시키는 경우나, 근시 등의 이유로 렌즈(22)를 통하지 않고 사물을 보는 경우에도 안경(10)을 머리 위 등 착용자의 시야를 벗어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은 안경다리길이부(30)에서 연장되어 착용자의 귀 둘레에 걸리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과 별도로,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에 하나 이상 연결되어 귀 둘레에 걸리는 경우 안경림(20)의 착용 위치를 비접촉귀걸이 유닛(110)과 다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은 비이격연장부(122) 및 비이격귀걸이부(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비이격연장부(122)는 비이격귀걸이부(12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안경다리길이부(30)는 비이격연장부(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안경다리길이부(30)는 회동부(200)를 포함한다.
회동부(200)는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에 대해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렌즈(22) 또는 안경림(20)의 착용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은 미사용시 비접촉위걸이 유닛(110)에 접하도록 접힘에 따라 미관을 향상시키고, 미사용시 두부의 측부위에 접하는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회동부(200)는 커넥터(210) 및 피벗(230)을 포함한다.
커넥터(210)는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의 단부나 가장자리, 또는 비접촉연결부(112)에 구비된다. 편의상, 커넥터(210)는 비접촉연결부(112)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커넥터(210)는 가장자리에 서포터(214)를 연장 형성한다. 물론, 커넥터(210)와 서포터(21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피벗(230)은 후방 안경다리길이부(34)에 대한 전방 안경다리길이부(32)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비이격연장부(122)와 서포터(214)에 삽입된다. 이때,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은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에 대해 억지 회동된다. 이에 따라, 피벗(230)은 안경림(20)의 착용 위치가 비접촉의 상태 또는 비이격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피벗(230)의 구속력이 약화될 경우, 또는 안경림(20)과 렌즈(22)의 자중에 의해,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이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에 대해 소정 각도 상향 경사진 후 임의적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비이격연장부(122)는 커넥터(210)와 접하는 단부에 다각형 궤적의 제 1다각면부(240)를 형성한다.
제 1다각면부(240) 중 어느 한 평면부위가 커넥터(210)의 표면에 면접촉함에 따라, 비이격연장부(122)는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커넥터(210)는 제 1다각면부(240)를 면접하여 지지하기 위해 제 2다각면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할 수도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전방 착용하는 상태의 안경 측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올려 착용하는 상태의 안경 측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안경(10)은 안경림(20), 안경다리길이부(30) 및 귀걸이부(100)를 포함한다.
안경림(20)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에 거는 부분인 안경다리(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경림(20)에서 연결되는 안경다리(15)의 길이 방향 부분인 안경다리길이부(30)와 귀에 걸리는 부분인 귀걸이부(100)를 포함한다.
특히, 귀걸이부(100)와 안경다리길이부(30)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을 통해, 렌즈(22) 또는 안경림(20)이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한편, 귀걸이부(100)가 착용자의 귀 상측, 또는 귀 상측과 귀 후측에 접할 때, 렌즈(22)는 비접촉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귀걸이부(100)가 착용자의 귀 하측, 또는 귀 후측과 귀 후측에 접할 때, 렌즈(22)는 비이격에 위치하게 된다.
렌즈(22)가 비이격에 위치한 경우, 귀걸이부(100)와 안경다리길이부(30)가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고, 귀걸이부(100)의 일부와 안경다리길이부(30)가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22)와 안경다리길이부(30)는 하중에 의해 비접촉 위치로 하향 회전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귀걸이부(100)는 안경림(20)의 착용 위치가 비이격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안경다리(15)의 회전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안경다리회전방지부(400)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안경다리회전방지부(400)는 절곡연장부(410) 및 밀착지지부(420)를 포함한다.
절곡연장부(410)는 귀걸이부(100)에서 연장 형성된다. 특히, 절곡연장부(410)는 귀걸이부(100)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귀걸이부(100)가 귀 하측에 접하며, 렌즈(22)가 비이격에 위치할 경우, 절곡연장부(410)는 귀 후측 둘레면과 두부에 접하게 된다.
또한, 밀착지지부(420)는 절곡연장부(410)에 연장 형성되어, 렌즈(22)가 비이격에 위치할 경우 귀 후측과 상측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비이격(鼻離隔) 상태인 안경다리(15)가 시야내 방향으로 회전운동이 방지 또는 억제된다.
즉, 밀착지지부(420)가 비이격 상태인 안경다리(15)를 지지함으로써, 안경다리(15)는 비접촉(鼻接觸) 상태로 회전운동이 방지 또는 억제된다. 물론, 밀착지지부(4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전방 착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올려 착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안경(10)은 안경림(20), 안경다리길이부(30) 및 귀걸이부(100)를 포함한다.
특히, 안경림(20)과 안경다리길이부(30)는 제 1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귀걸이부(100)는, 제 1실시예에 상술한 바와 같이, 비접촉귀걸이 유닛(110)과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을 포함한다.
이때, 렌즈(22)가 시야외에 위치한 경우, 즉, 비이격연장부(122)와 비이격귀걸이부(124)가 귀의 상측에 위치할 경우, 귀걸이부(100)와 안경다리길이부(30)가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또는 귀걸이부(100)의 일부와 안경다리길이부(30)가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 경우, 렌즈(22)와 안경다리길이부(30)는 하중에 의해 시야내 위치로 하향 회전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귀걸이부(100)의 비접촉귀걸이 유닛(110) 또는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은 안경림(20)의 착용 위치가 시야외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안경다리(15)의 회전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안경다리회전방지부(400)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편의상, 안경다리회전방지부(400)는 비접촉귀걸이 유닛(110)의 비접촉귀걸이부(114)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여기서, 안경다리회전방지부(400)는 절곡연장부(410) 및 밀착지지부(420)를 포함한다.
절곡연장부(410)는 비접촉귀걸이부(114)에서 연장 형성된다. 특히, 절곡연장부(410)는 비접촉귀걸이부(114)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비접촉귀걸이부(114)가 귀 하측에 접하며, 렌즈(22)가 시야외에 위치할 경우, 절곡연장부(410)는 귀 후측 둘레면과 두부에 접하게 된다.
또한, 밀착지지부(420)는 절곡연장부(410)에 연장 형성되어, 렌즈(22)가 시야외에 위치할 경우 귀 후측과 상측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비이격 상태인 안경다리(15)가 시야내 방향으로 회전이 방지 또는 억제된다.
즉, 밀착지지부(420)가 비이격 상태인 안경다리(15)를 지지함으로써, 안경다리(15)는 비접촉 상태로 회전 방지 또는 억제된다. 물론, 밀착지지부(4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전방 착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28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올려 착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안경(10)은 안경림(20), 안경다리길이부(30) 및 귀걸이부(100)를 포함한다.
특히, 안경림(20)과 안경다리길이부(30) 및 귀걸이부(100)는 제 3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렌즈(10)는 초점이 상이한 보조렌즈(23)를 하측이나 상측으로 연장 형성한다. 편의상, 보조렌즈(23)는 렌즈(10)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래서, 귀걸이부(100)와 안경다리길이부(30)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을 통해 착용 위치가 조정될 경우, 보조렌즈(23)가 시야내에 위치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착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안경(10)은 안경림(20), 안경다리길이부(30) 및 귀걸이부(100)를 포함한다.
안경림(20) 및 안경다리길이부(3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귀걸이부(100)는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을 포함하고, 비이격귀걸이 유닛(120)은 비이격귀걸이부(124) 및 하부유지부(140)를 포함한다.
비이격귀걸이부(124)는 안경다리길이부(30)에서 연결되어 착용자의 귀 둘레에 걸린다. 즉, 비이격귀걸이부(124)는 안경(10)을 정상 착용시 귀의 상측 또는 귀의 상측과 귀 후측 둘레면에 접하게 된다. 여기서, '정상 착용'은 렌즈(22)가 시야내에 위치하고, 안경림(20) 없는 렌즈(22) 또는 코받침(24) 없는 안경림(20) 또는, 코받침(24)이 착용자의 코에 접하지 않거나, 접하더라도 착용자의 코에 작용하는 하중이 경감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안경 부위가 코에 접하지 않기 때문에 코받침(24)이 안경에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하부유지부(140)는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비이격귀걸이부(124)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때 하부연결부(140)가 귀 전측에 접하여 지지되는 경우, 안경림(20) 없는 렌즈(22) 또는 코받침(24) 없는 안경림(20) 또는, 코받침(24)이 코에서 이격되어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코에 가해지는 안경림(20) 또는 렌즈의 하중에 의한 압박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물론, 하부유지부(14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비이격귀걸이부(12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부유지부(140)는 안경림(20) 없는 렌즈(22), 코받침(24) 없는 안경림(20) 또는 코받침(24)이 코에서 이격되어 있거나, 이격되려 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렌즈 또는 안경림(20) 부분이 귀걸이부(100)를 피봇 중심으로 하향 회전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안경다리회전방지부(400)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안경다리회전방지부(400)는 절곡연장부(410), 밀착지지부(420) 및 덧살부재(4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절곡연장부(410)는 하부유지부에서 귀 후측 둘레면에 연장되어, 안경림(20) 없는 렌즈(22) 또는 코받침(24) 없는 안경림(20) 또는, 코받침(24)이 착용자의 코와 이격된 상태인 안경다리(15)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비이격귀걸이부(124)는 귀 상측과 접촉 또는 유격될 수 있다. 물론, 절곡연장부(4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밀착지지부(420)는 절곡연장부(410)에 연장 형성되어 귀 후측과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밀착됨으로써, 안경림(20) 없는 렌즈(22) 또는 코받침(24) 없는 안경림(20) 또는, 코받침(24)이 착용자의 코와 유격된 상태에서 안경다리(15)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밀착지지부(420)와 절곡연장부(410) 중 적어도 하나가 귀의 후측 둘레면과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밀착되어 안경다리(15)의 하부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렌즈(22)는 비접촉 상태에서, 안경림(20) 없는 렌즈(22), 코받침(24) 없는 안경림(20) 또는 코받침(24)이 코에서 이격 또는 이격되려고 하는 상태가 된다.
물론, 밀착지지부(42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덧살부재(430)는 안경다리길이부(30) 또는 비이격귀걸이부(124)의 하측면 또는, 하부유지부(140)의 상측면에 돌출되어 귀 상부 둘레면에 지지됨에 따라, 정상 착용 상태인 안경림(20) 없는 렌즈(22), 코받침(24) 없는 안경림(20) 또는 코받침(24)이 코와 유격된 상태 또는 유격 방향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안경다리(15)가 하향되려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덧살부재(4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안경 15: 안경다리
20: 안경림 22: 렌즈
24: 코받침 30: 안경다리길이부
32: 전방 안경다리길이부 34: 후방 안경다리길이부
100: 귀걸이부 110: 비접촉귀걸이 유닛
112: 비접촉연결부 114: 비접촉귀걸이부
120: 비이격귀걸이 유닛 122: 비이격연장부
123: 수용공간부 124: 비이격귀걸이부
125: 삽입구 127: 결속핀
140: 하부지지부 200: 회동부
210: 커넥터 220: 수용부
230: 피벗 240: 제 1다각면부
250: 제 2다각면부 300: 길이조절부
310: 출입부 320: 구속부
322: 구속돌기 324: 걸림부
400: 안경다리회전방지부
410: 절곡연장부 420: 밀착지지부
430: 덧살부재

Claims (1)

  1. 렌즈 또는 안경림에 연결되어 귀에 거는 안경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안경다리는, 상기 렌즈 또는 상기 안경림에서 연결되는 상기 안경다리의 축 방향 부분인 안경다리길이부, 및 귀에 걸리는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KR1020160113631A 2016-09-05 2016-09-05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KR201700834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631A KR20170083473A (ko) 2016-09-05 2016-09-05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631A KR20170083473A (ko) 2016-09-05 2016-09-05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923A Division KR101757351B1 (ko) 2015-01-08 2016-01-08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473A true KR20170083473A (ko) 2017-07-18

Family

ID=59442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631A KR20170083473A (ko) 2016-09-05 2016-09-05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34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17398A1 (en) Nose-separation earpiece unit, eyeglass frame having the same, and eyeglasses having the same
US9122075B2 (en) Eyeglasses with alternative wearing means
US9229245B2 (en) Earpiece-less eyeglass apparatus and strap attachment mechanism
KR101757351B1 (ko)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US20240111176A1 (en) Eyewear with adjustable temples angle and detachable the temple
KR101787328B1 (ko) 안면받침부를 구비한 안경
US20050039240A1 (en) Multi-usage eyewear supportable on a cap
US20190265516A1 (en) Eyeglasses structure
KR101942089B1 (ko) 범용 보조안경
JPS622292B2 (ko)
KR20170083473A (ko)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JP6829515B2 (ja) 眼鏡フレーム
KR20200122109A (ko) 안경다리의 귀걸이 각도조절장치
KR101582845B1 (ko)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KR20170017243A (ko) 보조 안경테
KR102357980B1 (ko) 안경다리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패션 안경
EP3913423A1 (en) Adjustable lens holder for protective eyewear
KR101602051B1 (ko) 안경용 받침수단
KR20160043886A (ko)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착용 위치 조절이 가능한 안경
KR200433694Y1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테
KR20160003557U (ko) 안경테
KR101648408B1 (ko) 측부고정구가 구비된 안경
KR101853486B1 (ko) 안경 다리용 힌지 장치
CN216248641U (zh) 框架眼镜
KR20100131090A (ko) 이중 힌지부와 길이조절부를 갖는 브릿지 분할형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