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897B1 -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897B1
KR101698897B1 KR1020157000189A KR20157000189A KR101698897B1 KR 101698897 B1 KR101698897 B1 KR 101698897B1 KR 1020157000189 A KR1020157000189 A KR 1020157000189A KR 20157000189 A KR20157000189 A KR 20157000189A KR 101698897 B1 KR101698897 B1 KR 101698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support
driver
construction machine
footres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999A (ko
Inventor
김강태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50035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운전실 내의 운전자가 운전중, 또는 경사지 등에서 작업중에 몸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운전실용 풋 레스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에 있어서, 운전실의 전방 기둥부재에 일단이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발판 지지대와, 힌지핀 하방으로 기둥부재에 형성되고 발판 지지대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그립과, 기둥부재에 연장 형성되어 발판 지지대가 고정되는 브라킷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판 지지대를 수평 방향으로 선회시킬 경우 전방으로 전진 이동되어 발판 지지대의 상면을 가압하는 고정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실용 풋 레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FOOTREST FOR CONSTRUCTION MACHINE OPERATING ROOM}
본 발명은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실 내의 운전자가 운전중, 또는 경사지 등에서 작업중에 몸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와 같은 건설장비는 경사지에서 작업하거나 또는 경사지로 이동할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 된다. 또한 굴삭기를 장거리 이동시킬 경우 수송트럭에 굴삭기를 탑재시켜 수송하는 경우도 발생 된다.
이와 같이 경사지에서 작업하거나 또는 수송트럭에 굴삭기를 탑재시킬 경우에, 운전실 내의 운전자는 운전석의 심한 경사로 인해 몸이 장비 앞쪽으로 쏠리게 된다. 이때 운전자의 몸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운전실 바닥면에 장착된 발판보다 높은 위치의 발판이 필요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는,
운전중 또는 이동중에 운전실(1) 내의 운전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운전실(1)의 전방 좌,우측 기둥부재(2)에 봉 형상의 발판 지지대(3)의 양단을 용접에 의해 일체형으로 고정하게 된다.
전술한 발판 지지대(3)는 운전석 전방에 항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외관미를 떨어트리고, 작업으로 인해 발판 지지대(3)를 사용하지않을 경우에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작업중 운전자 전방 시야를 간섭하게 되고, 평상시 운전자 발의 움직임을 제한하므로 불편함을 감수하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는,
운전중 또는 이동중에 운전실(1) 내의 운전자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 지지대(5)가 주행페달(6)의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운전실(1) 바닥면에 고정된 봉 형상의 한 쌍의 고정대(7)에 발판 지지대(5)를 각각 장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발판 지지대(5)가 운전실(1) 바닥면에 장착된 발판(8)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되므로, 장비의 경사도에 따라 운전자 발을 올려놓아 몸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발판 지지대(5) 역시 운전석 전방에 항시 위치하므로 외관미가 떨어지고, 작업중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간섭하게 되며, 발판 지지대(5)를 사용하지않을 경우 운전자 발의 움직임을 제한하므로 불편함을 감수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운전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운전조건에서만 발판 지지대를 사용하고, 발판 지지대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운전실의 기둥부재에 발판 지지대를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발판 지지대로 인한 운전자의 전방 시야 간섭을 방지하고, 운전자의 발 움직임이 자유롭게 되며, 외관불량 요인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는,
운전실 내의 운전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에 있어서,
운전실의 전방 기둥부재에 일단이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발판 지지대와,
힌지핀 하방으로 기둥부재에 형성되고, 발판 지지대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그립과,
기둥부재에 연장 형성되어 발판 지지대가 고정되는 브라킷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발판 지지대를 수평 방향으로 선회시킬 경우, 전방으로 전진 이동되어 발판 지지대의 상면을 가압하는 고정핀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고정핀 외측단에 형성되는 노브를 구비하며,
발판 지지대를 기둥부재쪽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노브를 전면 유리창의 반대쪽으로 잡아당길 경우, 발판 지지대로부터 고정핀이 이탈되어 발판 지지대는 자중에 의해 힌지핀을 중심축으로 회동되어 기둥부재쪽으로 선회될 수 있다.
전술한 발판 지지대는,
운전실의 전방 좌,우측 기둥부재중 어느 하나의 기둥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발판 지지대는,
운전실의 전방 좌,우측 기둥부재에 대향되도록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고정핀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압하는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발판 지지대를 수평 방향으로 선회시 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선회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발판 지지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브라킷의 내측면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와, 발판 지지대의 일측면에 연장형성되며, 발판 지지대를 수평 방향으로 선회시 스토퍼에 의해 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선회되는 것이 방지되는 걸림편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운전조건에 따라 발판 지지대를 전개시켜 발을 올려놓고, 불필요한 경우에는 발판 지지대를 운전실의 기둥부재에 밀착상태로 고정시키므로, 운전중 발판 지지대로 인한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발판 지지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판 지지대로 인한 운전자의 전방 시야 간섭을 받지않아 작업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운전자의 발 움직임이 자유롭게 되며, 외관불량 요인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되므로, 유저로부터 장비의 신뢰성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의 사용상태도,
도 2는 종래 다른 기술에 의한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의 장착됨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의 사용상태도,
도 5(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에서, 발판 지지대의 수납 및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 운전실
11,12; 기둥부재
13; 힌지핀
14,15; 발판 지지대
16; 고정 그립
17; 브라킷
18; 전면 유리창(front glass)
19; 고정핀
20; 노브(knob)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5(a,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는,
운전실 내의 운전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에 있어서,
운전실(10)의 전방 좌,우측 기둥부재(11,12)에 브라킷(17,17a)을 연장형성하되, 브라킷(17,17a)에 일단이 힌지핀(1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각각 고정되는 발판 지지대(14,15)와,
힌지핀(13) 하방으로 기둥부재(11,12)에 형성되고, 발판 지지대(14,15)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그립(16)과,
브라킷(17)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발판 지지대(14,15)를 수평 방향으로 선회시킬 경우, 전방(운전실(10)의 전면 유리창(18)쪽을 말함)으로 전진 이동되어 발판 지지대(14,15)의 상면을 가압하는 고정핀(19)을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고정핀(19)의 외측단에 형성되는 노브(20)를 구비하며,
발판 지지대(14,15)를 기둥부재(11,12)쪽으로 각각 회동시키기 위해 노브(20)를 전면 유리창(18)의 반대쪽으로 잡아당길 경우, 발판 지지대(14,15)로부터 고정핀(19)이 이탈되며, 발판 지지대(14,15)는 자중에 의해 힌지핀(13)을 중심축으로 회동되어 기둥부재(11,12)쪽으로 선회될 수 있다.
전술한 고정핀(19)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압하는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21)(일 예로서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발판 지지대(14,15)를 수평 방향으로 선회시 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선회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발판 지지대(14,15)가 고정되는 브라킷(17a)의 내측면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22)와, 발판 지지대(14,15)의 일측면에 연장형성되며, 발판 지지대(14,15)를 수평 방향으로 선회시 스토퍼(22)에 의해 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선회되는 것이 방지되는 걸림편(23)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발판 지지대(14,15)는,
운전실(10)의 전방 좌,우측 기둥부재(11,12)중 어느 하나의 기둥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5(a)에서와 같이, 굴삭기를 이용하여 경사지 등에서 작업하거나, 또는 수송트럭에 굴삭기를 탑재시켜 수송시킬 경우에, 운전실(10) 내의 운전자는 운전석의 심한 경사로 인해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소정높이의 발판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운전실(10)의 전방 좌,우측 기둥부재(11,12)에 소정높이를 유지하여 장착된 발판 지지대(14,15)에 발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즉 유저에 의해 발판 지지대(14,15)를 파지하여 기둥부재(11,12)에 형성된 고정 그립(16)으로부터 각각 이탈시킨 후, 힌지핀(13)을 중심축으로 하여 발판 지지대(14,15)를 90각도로 수평 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이때 발판 지지대(14,15)의 걸림편(23) 외측면을 각각 가압하고 있는 고정핀(19)의 단부는, 발판 지지대(14,15)의 외측면을 타고 미끄러지므로, 회동되는 발판 지지대(14,15)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즉 발판 지지대(14,15)를 기둥 부재(11,12)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선회시킬 경우에는, 발판 지지대(14,15)를 원터치 조작에 의해 힌지핀(13)을 중심축으로 회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판 지지대(14,15)을 수평 방향으로 선회시킬 경우, 브라킷(17a)에 형성된 스토퍼(22)와, 발판 지지대(14,15)에 연장형성된 걸림편(23)에 의해, 발판 지지대(14,15)가 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수평 방향으로 선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기둥부재(11,12)에 연장형성된 브라킷(17)에 장착되는 고정핀(19)이 탄성부재(21)의 탄성력에 의해 전면 유리창(18)쪽으로 이동되므로, 고정핀(19) 끝단이 발판 지지대(14,15)의 상면에 놓이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판 지지대(14,15)가 수직 방향에서 힌지핀(13)을 중심축으로 수평 방향으로 선회된 후, 고정핀(19)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된 발판 지지대(14,15) 위에 운전자 발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5(b)에서와 같이, 경사지 등에서 굴삭기를 이용한 작업이 종료되어 발판 지지대(14,15)의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 발판 지지대(14,15)를 초기위치로 회동시켜 기둥부재(11,12)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즉 고정핀(19)의 외측단에 형성된 노브(20)를 파지하여 운전석쪽으로 잡아당길 경우(이때 탄성부재(21)는 압축력을 받게 된다), 고정핀(19) 끝단이 발판 지지대(14,15)로부터 이탈되어진다.
이로 인해, 발판 지지대(14,15)는 이의 자중에 의해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선회 된다(이때 노브(20)를 잡아당긴 외력을 제거하는 경우, 고정핀(19)은 탄성부재(21)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쪽으로 가압되므로, 고정핀(19)의 단부는 발판지지대(14,15)의 측면에 닿게 된다). 운전자에 의해 발판 지지대(14,15)를 고정 그립(16)에 끼워넣는 경우, 발판 지지대(14,15)를 기둥부재(11,12)에 대해 최대한 근접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지 등에서 작업하는 운전조건에서는 운전실(10)의 전방 좌,우측 기둥부재(11,12)에 장착된 발판 지지대(14,15)를 수평 방향으로 선회시켜 유저의 발을 올려놓게 되므로, 운전석에서 운전자 신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발판 지지대(14,15)의 사용이 불필요한 운전조건에서는 발판 지지대(14,15)를 수직 방향으로 선회시킨 후 기둥부재(11,12)에 밀착시켜 고정 그립(16)에 의해 고정시키므로, 운전자의 전방 시계 간섭이 방지되므로 작업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협소한 운전실 공간에서 운전자의 발 움직임이 자유롭고, 절첩식 발판 지지대(14,15)로 인한 외관불량 요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조건에 따라 발판 지지대를 전개시켜 발을 올려놓고, 불필요한 경우에는 발판 지지대를 운전실의 기둥부재에 밀착상태로 고정시키므로, 운전중 발판 지지대로 인한 간섭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판 지지대로 인한 운전자의 전방 시야 간섭을 받지않아 작업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운전자의 발 움직임이 자유롭게 되며, 외관불량 요인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고가 있다.

Claims (6)

  1. 운전실의 전방 기둥부재에 일단이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발판 지지대와,
    상기 힌지핀 하방으로 상기 기둥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발판 지지대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그립과,
    상기 기둥부재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발판 지지대가 고정되는 브라킷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판 지지대를 수평 방향으로 선회시킬 경우, 전방으로 전진 이동되어 상기 발판 지지대의 상면을 가압하는 고정핀을 구비하여, 운전실 내의 운전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발판 지지대를 수평 방향으로 선회시 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선회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상기 발판 지지대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브라킷의 내측면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와, 상기 발판 지지대의 일측면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발판 지지대를 수평 방향으로 선회시 상기 스토퍼에 의해 설정각도를 초과하여 선회되는 것이 방지되는 걸림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7000189A 2012-07-12 2012-07-12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 KR101698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5532 WO2014010766A1 (ko) 2012-07-12 2012-07-12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999A KR20150035999A (ko) 2015-04-07
KR101698897B1 true KR101698897B1 (ko) 2017-01-23

Family

ID=49916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189A KR101698897B1 (ko) 2012-07-12 2012-07-12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46699B2 (ko)
EP (1) EP2873557B1 (ko)
KR (1) KR101698897B1 (ko)
BR (1) BR112015000248A2 (ko)
CA (1) CA2876578A1 (ko)
WO (1) WO20140107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02791S1 (en) * 2016-02-23 2017-11-14 Up Homes Co. Prefabricated home
DE102018001267A1 (de) 2018-02-19 2019-08-22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Fahrerkabine
US11202510B2 (en) * 2019-09-05 2021-12-21 Reinhold Industries, Inc. Passenger seating foot pedestal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80118A (en) * 1943-06-24 1945-07-10 Lester L Felker Footrest
US3784247A (en) * 1971-11-02 1974-01-08 B Mills Foot rest for trucks
USD288187S (en) * 1984-03-19 1987-02-10 Morris Larry D Vehicle operator's fold up foot rest
JPH0175174U (ko) * 1987-11-10 1989-05-22
JPH02129465U (ko) * 1989-03-30 1990-10-25
JPH0578633U (ja) 1992-03-31 1993-10-26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のフットレスト
JPH07268907A (ja) 1994-03-28 1995-10-1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用走行機械
JPH0892998A (ja) 1994-09-22 1996-04-0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ステップ
KR970036987A (ko) 1995-12-28 1997-07-22 김태구 자동차 실내에 설치되는 풋 레스트(foot rest)장치
US6152474A (en) * 1998-02-12 2000-11-28 Rupert; Gary A. Adjustable motorcycle foot rest
JP4576594B2 (ja) * 2000-09-27 2010-11-10 ヤンマー建機株式会社 旋回作業車
KR101424048B1 (ko) 2008-03-21 2014-07-28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회동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굴삭기용 운전실캡
CN103180518B (zh) 2010-10-20 2015-11-25 沃尔沃建造设备有限公司 具有倾翻保护结构的施工机械驾驶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0766A1 (ko) 2014-01-16
EP2873557A4 (en) 2016-03-16
CN104379402A (zh) 2015-02-25
BR112015000248A2 (pt) 2017-06-27
US9446699B2 (en) 2016-09-20
CA2876578A1 (en) 2014-01-16
EP2873557B1 (en) 2017-05-10
KR20150035999A (ko) 2015-04-07
EP2873557A1 (en) 2015-05-20
US20150329034A1 (en)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5617B2 (ja) 乗物用シート
JP3667276B2 (ja) 足載せ装置
CA2778062C (en) Transformable chair equipped with a movable deck
CA2703293A1 (en) Grip latch and hinge mechanism for a flip table
KR101698897B1 (ko) 건설기계 운전실용 풋 레스트
JP6378991B2 (ja) 乳母車
JP4491374B2 (ja) 便器用手すり
KR101649984B1 (ko) 전동휠체어
TWI603820B (zh) 可收折的支撐架
KR20170073866A (ko) 2중 회동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101424048B1 (ko) 회동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굴삭기용 운전실캡
KR101780427B1 (ko) 가구용 전도방지장치
DE60328825D1 (de) Fahrzeugzubehörteil
CN209938589U (zh) 一种罩板侧挂式全封闭结构地铁列车司机操控台
JP4544137B2 (ja) キャスター付ワゴン
JP4944665B2 (ja) シート装置
CN220423525U (zh) 一种座板角度可调的座椅
CN210822552U (zh) 一种扶手总成及使用其的助行车
JP5244306B2 (ja) 折り畳みテーブル
JP2006034502A (ja) 建設機械における運転席のアームレスト
TWI576104B (zh) Suitable for installation on the vehicle balance maintenance device
JP2007135616A (ja) キャスター付ワゴン
JP4401350B2 (ja) シート装置
KR101767776B1 (ko) 차량용 시트
KR200444345Y1 (ko) 철도차량용 컴퓨터 탑재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