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794B1 - 탄화수소의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탄화수소의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794B1
KR101698794B1 KR1020127014526A KR20127014526A KR101698794B1 KR 101698794 B1 KR101698794 B1 KR 101698794B1 KR 1020127014526 A KR1020127014526 A KR 1020127014526A KR 20127014526 A KR20127014526 A KR 20127014526A KR 101698794 B1 KR101698794 B1 KR 101698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delete delete
cathode
water
op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5147A (ko
Inventor
스티븐 알란 울포비츠
Original Assignee
에프에프지에프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에프지에프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프에프지에프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15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3/00Electrolytic production of organic compounds
    • C25B3/20Processes
    • C25B3/25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9/00Aliphatic saturated hydrocarbons
    • C07C9/02Aliphatic saturated hydrocarbons with one to four carbon atoms
    • C07C9/04Methan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25B1/04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producing mixed hydrogen and oxygen gas, e.g. Brown's gas [HHO]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3/00Electrolytic production of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Electrodes For Compound Or Non-Metal Manufa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 및 두개의 별개의 반응기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 및 물로부터 탄화수소를 생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1 반응기(14)는 양극, 및 물과 이온화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전해 매질을 함유한다. 제 2 반응기(12)는 음극, 및 물과 이산화탄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전해 매질을 함유한다. 반응기들은 전자 및/또는 이온들이 제 1 및 제 2 반응기의 전해 매질들 사이를 통과하게 하는 연결 수단으로 연결된다. 양극 및 음극에 직류가 인가되어 탄화수소(전형적으로 메탄); 및 산소를 생성시킨다.

Description

탄화수소의 생성 방법{THE PRODUCTION OF HYDROCARBON}
지구는 현재 지구와 지구상의 사람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큰 문제, 즉,
과도한 이산화탄소 생성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 및
지나치게 높은 원유 가격 및 이에 따른 높은 석유 및 디젤 가격
에 의해 시달리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미래 세계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화석 연료 사용 엔진의 생산 증가는 원유에 대한 과도한 수요를 초래하였고, 이어서 지나치게 높은 가격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연료의 소비는 지구 온난화를 유발하는 이산화탄소 생성량을 증가시켰다. 수목에 의한 이산화탄소 흡수 및 이에 따른 산소 방출은 방대한 숲이 사라짐으로써 약화되었다. 이러한 불균형은 지구의 생태를 혼란에 빠지게 하였으며, 계속해서 점점 더 그러한 혼란에 빠지게 하고 있다.
엔진의 효율을 개선시키고, 화석 연료 산물의 낭비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인구 및 사람들의 열망때문에 그러한 상황을 개선시킬 가능성이 거의 없다. 다른 기술을 적극적으로 찾고 있는 중이다.
상기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하기를 포함한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 감소;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탄소 제품의 사용)의 감소; 및
원유 및 그 밖의 화석 연료에 대한 수요 감소(대용물을 찾음으로써 그것들의 가격을 낮추게 함).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감소에 기여하는 공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연료를 포함하는, 탄화수소를 생성시키기 위한 화학적 원료 공급원을 제공한다.
발명의 개요
이산화탄소 및 물로부터 탄화수소를 생성시키는 방법은
(a) 양극, 및 물 및 이온화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전해 매질을 함유하는 제 1 반응기(14)를 제공하는 단계;
(b) 음극, 및 물과 이산화탄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전해 매질을 함유하는 제 2 반응기(12)를 제공하는 단계;
(c) 제 1 반응기 및 제 2 반응기를, 전자 및/또는 이온이 제 1 반응기 및 제 2 반응기의 전해 매질들 사이를 통과하게 하는 연결 수단으로 연결시키는 단계;
(d) 양극 및 음극에 직류를 인가하여
● 전자가 반응기들(12 및 14)내 전해 매질을 통해 캐소드에서 애노드로 흐르게 하고(또는 전하를 원자로부터 인접하는 원자로 전달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원자를 이온화하고 탈이온화함);
● 제 2 반응기에서 수소, 탄소의 이온화를 수행하여, 양으로 하전된 수소 및 탄소 이온을 생성시키고, 이들이 결합하여 탄화수소(전형적으로, 메탄), 및 가능하게는 탄소, 수소 및 일산화탄소를 형성시키고;
● 제 1 반응기에서 산소의 이온화를 수행하고, 이를 결합하여 산소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탄화수소(전형적으로 메탄)은 제 2 반응기(12)로부터 회수된다.
산소는 제 1 반응기(14)로부터 회수된다.
반응기들(12 및 14)은 동일한 내압으로 작동되고, 상이한 온도에서 작동될 수 있다.
연결 수단은 액체 전해 매질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전자 및 가능하게는 소정의 이온은 통과시키나 원자는 통과시키지 않는 멤브레인(mebrane)이 제공될 수 있다.
연결 수단은 하나 이상의 튜브(들), 예컨대 모세관(들)로 규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수단에는 스탑퍼(stopper) 수단, 예컨대 밸브 또는 밸브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각 튜브의 내경 대 길이의 비는 0.00001:1 내지 0.1:1, 바람직하게는 0.00001:1 내지 0.001:1이다.
제 1 반응기(14) 내 양극은 한 단부가 폐쇄되고, Pt로 이루어져 있는 중공의 미세다공성 실린더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제 2 반응기(12) 내 음극은 한 단부가 폐쇄되고, CuPt 아말감(amalgam) 또는 Pt로 이루어져 있는 중공의 미세다공성 실린더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제 1 반응기(14) 및 제 2 반응기(12) 내 전해 매질의 액체 상태는 적합한 고압 및 적합한 온도 하에서 반응기를 작동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반응기(14) 및 제 2 반응기(12)는 5.1 atm 초과, 5.1 내지 1000 atm, 전형적으로 10 atm 내지 400at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atm의 압력에서 작동되어야 한다.
반응기들(12 및 14)은 상이한 온도에서 작동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1 반응기(14)는 20℃ 내지 200℃, 전형적으로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작동될 수 있고; 제 2 반응기(12)는 -50℃ 내지 200℃, 전형적으로 -10℃ 내지 70℃의 온도에서 작동될 수 있다.
보통, 제 1 반응기(14)는 주위 온도(20℃ 내지 30℃)에서 작동되고, 제 2 반응기의 온도는 요망되는 온도로 조절되며, 예를 들어, -50℃ 내지 10℃로 냉각되거나, 50℃ 내지 200℃로 가열될 수 있다.
양극 및 음극에 걸쳐 인가되는 전압은 -0.5v 내지 -20v, -0.5v 내지 -10v, -0.5v 내지 -6v, 또는 -0.5v 내지 -3v일 수 있다.
양극 및 음극에 걸쳐 인가되는 직류는 50 내지 500mA, 전형적으로 100 내지 200mA일 수 있다.
다중 전극의 격자가 평행하게 배선되는 경우, 양극 및 음극에 걸쳐 인가되는 직류는 0.1 내지 10amp 또는 그 초과일 수 있다.
제 2 반응기 내 이산화탄소 및 물은 하기 식에 따른 화학량론적(또는 그 초과의) 비율로 또는 1:1 내지 1:2의 부피비로 혼합될 수 있다:
CO2 + 2H20 → CH4 + 2O2.
제 2 반응기의 전해 매질로부터 분리된 이산화탄소, 물 및 일산화탄소는 제 2 반응기로 재순환될 수 있다.
제 1 반응기의 전해 매질로부터 분리된 물은 제 2 반응기로 재순환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반응기(12)내 물과 이산화탄소의 혼합물이 초임계 유체인 상태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및 물로부터 탄화수소를 생성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물을 액체 상태로 함유하기 위한 제 1 반응기(14);
이산화탄소와 물의 혼합물을 액체 상태로 함유하기 위한 제 2 반응기(12);
제 1 반응기(14) 내에 위치하는 양극;
제 2 반응기(12) 내에 위치하는 음극; 및
제 1 및 제 2 반응기(14 및 12) 내 전해 매질을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결 수단은 액체 전해 매질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전자를 통과시키고, 가능하게는 소정의 이온을 통과시키나 원자는 통과시키지 않는 멤브레인이 제공될 수 있다.
연결 수단은 하나 이상의 튜브(들), 예컨대 모세관(들)로 규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수단에는 스탑퍼 수단, 예컨대 밸브 또는 밸브들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 두 반응기 내 압력을 평형화시키기 위한 고압 증압기(high pressure intensifier)를 포함한다.
고압 증압기는 바람직하게는 CO2로 가압되고, 제 2 반응기(12)를 직접적으로 CO2로 가압하고, 제 1 반응기(14)를 H2O로 가압하기 위해 고압 축압기가 구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반응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상태도이다.
도 3은 이산화탄소에 대한 밀도-압력 프로파일이다.
도 4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이다.
국제 특허 출원 번호 PCT/IB2009/053136(이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및 물로부터 수소, 산소 및 탄화수소를 생성시키는 공정을 기술하고 있다:
(a) 양극 및 음극을 함유하는, 고압 및 고온을 견딜 수 있는 용기에서 이산화탄소와 액체 상태의 물을 혼합하여 액체 전해 매질을 제공하는 단계;
(b) 양극 및 음극에 직류를 인가하여 수소, 탄소 및 산소의 이온화를 수행하고, 양으로 하전된 수소 및 탄소 이온 및 음으로 하전된 산소 이온을 생성시키는 단계;
(c) 용이하게는 산소 이온의 양극으로의 잉동 및 수소 및 탄소 이온의 음극으로의 이동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산소 이온으로부터 수소 및 탄소 이온을 분리시키는 단계;
(d) 탄소 및 수소 이온으로부터 수소, 가능하게는 탄소 및 탄화수소(전형적으로 메탄)가 형성되고, 산소 이온으로부터 산소가 형성되는 단계; 및
(e) 수소, 탄소 수소 및 산소 생성물을 별개의 용기에서 수거하는 단계(탄소 또한 수거될 수 있음).
정반응:
C + O2 → CO2
은 유리하게는 열역학적 사항으로 인해 역으로 일어난다.
유사하게, 반응:
2H2O +CO2 → CH4 + 2O2
은 역반응보다 더욱 힘든 전체 열역학적 요건을 갖는다.
후자의 공정 중 메탄(및 그 밖의 탄화수소)를 수득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 중 하나는, 생성물들이 재결합하여 반응을 역전시킬 수 없도록 일단 형성된 생성물을 분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성물들이 상이한 반응기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재결합할 수 없는 방식으로 공정 중에 생성물 성분을 분리시킴으로써 제 2(후기) 반응 생성물을 얻는 개선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과 관련하면, 반응기 시스템(일반적으로 부호(10)로 표시됨)에 두개의 별개의 반응기들(12 및 14)이 구비되며, 이들 반응기는 좁은 모세관(16)(1.2 내지 1.5 mm의 내경 및 약 2 m의 길이를 가짐으로써 모세관의 내경 대 길이의 비는 0.00001:1 내지 0.1:1일 수 있다)에 의해 결합되고, 전자는 통과시키나, CO2 및 산소 전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선택적 멤브레인을 접합 지점(18 및/또는 20)에서 함유할 수 있다. 모세관(16)은 상이한 온도 조건이 별개의 반응기들(12 및 14) 내에 유지될 수 있도록 그 안에 있는 물질을 통해 온도 전도를 제한하는 작은 치수를 갖는다. 모세관(16)에는 밸브(22)가 구비된다. 전자 흐름, 또는 전달, 전류가 물리적 이온 전달과 함께 모세관(16)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 병렬로 배열되는 다수의 모세관이 존재할 수 있다.
반응기(12)에는 액체 CO2(24), 액체 H2O(26) 및 가능하게는 소량의 이산화황 또는 염화나트륨이 물의 동결 온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리고 추가의 이온화 물질로서 CO2와 H2O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액체 전해 매질(28)을 제공하기 위해 공급된다.
반응 용기(14)에는 H2O(26)가 공급되고, 소량의 이온화 물질, 예컨대 산이 공급되고, 소량의 이산화황, 염화나트륨, 또는 전해질, 예컨대 NaKHCO3 또는 KHCO3(0.1 내지 0.5M)이 H2O를 함유하는 액체 전해 매질(30)을 제공하기 위해 촉매로서 첨가될 수 있다.
모세관(16)은 액체 전해 매질(28 또는 30), 또는 이 둘의 혼합물, 또는 전도성 겔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할 수 있다.
반응기(12)는 5.1 atm 초과, 전형적으로 5.1 내지 1000 atm의 고압, 및 -50℃의 저온 내지 200℃ 이하의 고온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저온은 반응기(12)를 냉장고 안에 둠으로써 달성되고, 고온은 반응기(12) 내에 위치하는 가열 요소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반응기(12)에는 음극(32)이 배치된다. 음극(32)은 한 단부가 폐쇄되어 있고, 66%/34% CuPt 아말감 또는 Pt로 제조될 수 있는 중공의 미세다공성 실린더의 형태로 존재한다.
반응기(14)는 5.1 atm 초과 내지 1000 atm의 고압 및 주위 온도(20℃ 내지 30℃, 전형적으로 25℃)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반응기(14) 내에는 Pt로 이루어진 양극(34)이 위치한다. 양극(34)은 한 단부가 폐쇄되어 있는 중공의 미세다공성 실린더 형태로 존재한다.
반응기(14) 내 압력을 조절하고/거나 이것의 내압과 반응기(12) 내의 압력을 평형화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다:
압력 증압기(36)에는 CO2(38)가 구비되고, 반응기(12)에 직접 연결되며, 반응기(12)를 CO2(24)로 가압한다. 고압 증압기(36)는 C02가 반응기(14)의 내용물과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압 축압기(42)를 통해 반응기(14)에 연결된다. 고압 축압기(42)는 압력 증압기(36)로부터의 이산화탄소(44)로 가압되고, 반응기(14)를 물(46)로 가압한다. 이 시스템은 반응기들(12 및 14)을 가압하여 모세 연결기를 통해 동등하게 반응기(12)와 반응기(14) 간에 전해질이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가압은 전해 반응이 개시되기 전 초기에는 두 반응기(12 및 14) 사이에 있는 밸브(22)를 닫음으로써 안정화될 수 있다. 고압 축압기(42)는 매질 분리기로서 작용하여 이산화탄소가 제 2 반응기(12)의 챔버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동시에 두 반응기(12 및 14) 내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도록 한다.
사용시, 밸브(22)는 닫히고, 액체 상태의 CO2(24)(고압 CO2 증압기(36)으로부터의) 및 액체 상태의 H2O(26)이 반응기(12)에 전달되고; H2O(26)가 반응기(14)에 전달되어 반응기(12 및 14) 각각에 전해 유체(28 및 30)를 제공한다. 고압 증압기(36)는 반응기(12 및 14) 내에 높고 같은 압력, 및 두 반응기 내의 액체 상태 조건을 적용시키고 유지시키는데 사용된다. 반응기들(12 및 14) 내 압력이 동일하게 되면, 밸브(22)는 열릴 수 있고, 반응기들(12 및 14) 간에 최소의 유체 흐름만 있을 것이다. 액체 상태의 전해 유체(28 및 30)는 반응기들(12 및 14) 내 적합한 상태의 압력 및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반응기들(12 및 14) 내 압력은 5.1 atm 내지 1000 atm, 10 atm 내지 400 at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atm로 유지된다.
반응기(14)는 주위 온도(20℃ 내지 30℃, 전형적으로 25℃)로 유지된다.
전해 반응은 전기 회로(35) 상에서 양극(34) 및 음극(32)를 걸쳐 -0.5 내지 -10v의 직류 전압 및 50 내지 500mA의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개시된다. 인가된 전하는 전해 매질(28 및 30) 내의 원자를 이온화시킨다. 전자(e-)는 전극들(34 및 32) 사이에서, 그리고 이에 따라 모세관(16)을 따라 이온으로부터 인접하는 이온으로 흐른다. 이론에 의해 결부되는 것을 바라지 않지만, H+,(OH)-, O2 - 이온들이 반응기(14)에서 형성되고, H+, C4 +.(CO)2- 이온들이 반응기(12)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반응기(12)에서, 탄소 및 수소 이온은 결합하여 탄화수소, 특히 메탄, 및 그 밖의 탄화수소를 형성한다. 전해 공정의 개시는 발생기(이온화된) 수소 이온이 전해질(30) 중에 존재하는 H2O로부터 형성되게 하며, 탄소 이온들은 전해질(28) 중의 CO2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CO2가 반응기(12)에서 감소한다. 반응기(14)에서, 전자는 음하전된 산소 이온이 그 안에 있는 양하전된 전극(34)로 유인되게 하고, 이로써 산소 분자가 전극에서 유리된다. 또한, H2가 반응기(14)에서 형성될 수 있다.
단방향-흐름(unidirectional-flow) 산소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모세관(16)은 전자 전달을 허용하고, 거기에 있는 탄소 및/또는 수소와의 재결합을 피하기 위해 반응기(12)로부터 이격되어 반응기(14) 내의 유리된 산소를 유지시키는데 필요하다. 또한, 모세관(16)의 작은 치수는 반응기들(12 및 14)에 상이한 온도 조건이 유지되어 그 안에서 발생되는 상이한 반응을 증진시키고 용이하게 하고, 에너지 비용을 절약하도록 열 전도 전달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두 반응기를 분리하는 모세관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이온들이 생성(이온화)되는 경우, 양하전된 이온(탄소 & 수소)는 그 자체/서로와 반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반응기(12)에서 요망하는 생성물(탄화수소)을 생성할 수 있다.
고압(> 5.1atm)은 추가로 반응물을 액체 상태로 유지시키고, 이에 따라 보다 적은 장치가 사용되어 가스상 상태로 가능한 것보다 더 많은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도록 생성된 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모세관(16)은 원자들이 상호반응하여 새로운 요망하는 생성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성분 원자를 이온화시키는 전자의 전달을 허용하는데 필요하다. 분리됨으로써 이온들이 생성(이온화)되는 경우, 양하전된 이온(탄소 & 수소)는 단지 자체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요망하는 생성물(탄화수소)을 생성할 수 있는 반면, 음이온(산소)는 이들로부터 분리되어 단지 그 자체로 결합하여 산소 분자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은 단지 전자의 최종 전달이 종결되는 전극에서 유리될 수 있다.
압력 차에 의해, 반응기(12)로부터의 전해 액체는 팽창기(48)로 도입된다. 팽창기(48)는 탄화수소 50(전형적으로 반응기(12)에서 형성된 메탄), 탄소(52) 및 CO2, H20 및 CO을 함유하는 스트림(54)을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다수의 분리 수단이 있을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고 가능하게는 각 생성물의 상이한 온도 및 압력에서의 액화 또는 가스화일 것이다. CO2, H2O 및 CO을 함유하는 스트림(54)은 -ve 전극(32)을 함유하는 반응기(12)로 재환되어 공정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압력 차에 의해 반응기(14)로부터 전해 액체는 용기(56)으로 도입된다. 용기(56)은 산소(58), 및 H20 및 가능하게는 H2를 함유하는 스트림(60)을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분리는 원심분리기 또는 상 변화 파라미터 차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H20 및 가능하게는 H2를 함유하는 스트림(60)은 -ve 전극(32)을 함유하는 반응기(12)로 재순환되어 공정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1 atm = 1,01325 bar
1 atm = 101,325 kPa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체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언급된 특징에 도면 부호가 따르는 경우, 이러한 부호는 특허청구범위의 명료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만 포함되는 것이고, 특허청구범위의 번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결코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제 하기의 비제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 1
1. 계산
1.1 전기 화학
환원 반응
Figure 112012044675069-pct00001
Figure 112012044675069-pct00002
실제 환원 반쪽 반응
Figure 112012044675069-pct00003
산화 반쪽 반응
Figure 112012044675069-pct00004
실제 레독스 반응
Figure 112012044675069-pct00005
상기 반응에 따라, 표준 조건(실온, 대기압)에서 이산화탄소로부터 메탄을 생성할 수 있는데 필요한 전위차는 1.77V이다. 전기화학적 거동은 부분적으로 상기 조건 하에서의 제한된 조사로 인해 조사된 조건 하에서 잘 이해되지 않았다. 개선된 실험 계획을 위해서는 추가 조사가 필요할 것이다.
1.2 화학량론적 양
각각의 시약의 화학량론적 양을 명시된 조건 하에서 각 시약의 밀도를 고려함으로써 산출하였다. 모든 실험에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물의 밀도는 온도 및 압력의 변화를 각각 고려하여 밀도를 산출하는 하기 식(1) 및(2)를 사용함으로써 산출하였다:
Figure 112012044675069-pct00006
상기 식에서, β는 부피 온도 팽창 계수(m3/m3·℃)이고, T는 온도(℃)이고, ρ는 밀도(kg/m3)이다.
Figure 112012044675069-pct00007
상기 식에서, P는 압력(N/m2)(Pa)이고, E는 유체 체적탄성률(bulk modulus fluid elasticity)(N/m2)이고, ρ는 밀도(kg/m3)이다.
몰 밀도는 하기 식(3)에 따라 계산한다:
Figure 112012044675069-pct00008
상기 식에서, ν는 몰 밀도(cm3/mol)이고, ρ는 밀도(kg/m3)이고, M은 몰 질량(g/mol)이다.
각 시약의 양은 해당 섹션에서 작동 조건과 함께 기재된다.
1.3 초임계점
물과 이산화탄소의 화학량론적 혼합물에 대해, 혼합물의 임계점이 하기 식(4) 및(5)에 의해 추산될 수 있다. 이러한 추산치가 하기 표 1에 요약된다.
Figure 112012044675069-pct00009
표 1: 식(4) 및(5)를 사용한 초임계점 결과
Figure 112012044675069-pct00010
1.4 이산화탄소
도 2 및 3은 실험이 수행되는 평형 조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A"는 초임계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실시예 1A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고, "C"는 에 대한 상태를 나타낸다.
실시예 1A - 모세관을 갖는 두 챔버 시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세관으로 연결된 두개의 챔버 반응기 시스템을 셋업하고, -6v의 전기 전압 및 대략 120mA의 전류로 440분 동안 작동시켰다. 실시예 1A에 대한 시험 조건은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두 반응기(12 및 14)를 주위 온도(25℃)에서 작동시켰다.
표 1
Figure 112012044675069-pct00011
검출가능한 양의 메탄이 반응기(12)에서 생성되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생성된 결과가 도 4에 도시된다.
크로마토그래피는 하기 성분들을 나타낸다:
공기: 체류 시간 2.27, 폭 7.20, 면적 8354522.0, 결과 20.9
메탄: 체류 시간 4.76, 폭 9.60, 면적 116449.8, 결과 0.3
CO2: 체류 시간 7.43, 폭 24.00, 면적 31502188.0, 결과 78.8
이들 결과는 분석된 샘플이 소량이기 때문에 정량적 방식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 반응의 몇몇 영향은 캐소드 상에서 관찰된 탄소 침전물 및 캐소드 전해질의 착색였다. 애노드는 영향을 받지 않고 남아 있었으나, 전해질의 약간의 착색이 보였다.
실시예 1B-1I에 대한 시험 조건은 하기 표 2에 제공된다. 각각의 경우, 반응기(14)는 주위 온도(22℃)에서 작동되었다. 표 2에 기재된 온도는 반응기(12)의 온도이다.
기체상 샘플에서 메탄을 검출하기 위해 하기 조건을 사용하였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HP 5890A
컬럼: 60/80 Carboxen-1000, 15'x 1/8"SS(2.1mm ID)
오븐 온도: 45℃(5.5분)에서 200℃(10℃/분으로)
주입기 온도: 80℃
검출기: TCD
검출기 온도: 250℃
주입기 부피: 0.3 내지 1.0ml
체류 시간: 1. 산소: 5.00분
2. 질소: 5.49분
3. 일산화탄소: 7.37분
4. 메탄: 13.27분
5. 이산화탄소: 17.47분
메탄이 하기 조건 하에서 생성되었다.
표 2
Figure 112012044675069-pct00012
실시예 1J -저온 조건에서의 시험
실시예 1A에서 사용된 동일한 시스템 셋업을 또한 반응기(12)를 대략 7℃ 아래로 냉각시킴으로써 비교적 저온에서 사용하였다. 반응기(14)는 주위 온도(22℃)였다. 시험 조건은 하기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표 3
Figure 112012044675069-pct00013
140 bar 및 7℃에서 검출가능한 메탄이 생성되지 않았지만, 이 온도에서 약간의 메탄이 보다 낮은 압력(65 bar)에서 검출될 수 있었다. 조사시, 두 전극은 깨끗한 것으로 나타났고, 두 반응기로부터 전해질은 투명하였다.
결론
관찰된 결과로부터, 하기와 같이 결론지을 수 있다:
- 모세관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챔버 구조를 사용하여 검출가능한 양의 메탄이 생성될 수 있다.
- 동일한 내압 및 상이한 온도에서 반응기들(12 및 14)을 작동시켜 검출가능한 양의 메탄이 생성될 수 있다.

Claims (53)

  1. 이산화탄소 및 물로부터 탄화수소를 생성시키는 방법으로서,
    (a) 양극과 물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액체 전해 매질을 함유하는 제 1 반응기(14)를 제공하는 단계;
    (b) 음극, 및 물과 이산화탄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전해 매질을 함유하는 제 2 반응기(12)를 제공하는 단계;
    (c) 제 1 반응기(14) 및 제 2 반응기(12)를 연결 수단으로 연결시키는 단계로서, 연결 수단은 액체 전해 매질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튜브(들)로 규정되고, 튜브(들)은 전자는 통과시키나 분자를 통과시키지 않는 선택적인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튜브(들)에 스탑퍼(stopper) 수단이 구비되는 단계;
    (d) 양극 및 음극에 직류를 인가하여
    ● 제 2 반응기(12) 내의 음극 부분에서 탄화수소를 형성시키고;
    ● 제 1 반응기(14) 내의 양극 부분에서 산소를 형성시키며;
    제 2 반응기(12) 및 제 1 반응기(14)가 5.1 atm 초과의 압력 및 상이한 온도에서 작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d) 단계에서 형성된 탄화수소가 메탄인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제 2 반응기(12) 및 제 1 반응기(14)가 동일한 내압에서 작동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스탑퍼 수단이 밸브 또는 밸브들인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반응기(14) 및 제 2 반응기(12) 내 전해 매질이 액체 상태로 유지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제 1 반응기(14) 및 제 2 반응기(12)가 5.1 내지 1000 atm의 압력에서 작동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반응기(14)가 2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작동되는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제 2 반응기(12)가 -5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작동되는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양극 및 음극에 걸쳐 인가되는 전압이 -0.5v 내지 -20v인 방법.
  10. 제 1항 있어서, 양극 및 음극에 걸쳐 인가되는 직류가 50 내지 500mA인 방법.
  11. 이산화탄소 및 물로부터 탄화수소를 생성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5.1 atm 초과의 고압에서 작동되며, 물을 액체 상태로 함유하기 위한 제 1 반응기(14);
    5.1 atm 초과의 고압에서 작동되며, 이산화탄소와 물의 혼합물을 액체 상태로 함유하기 위한 제 2 반응기(12);
    제 1 반응기(14) 내에 위치하는 양극;
    제 2 반응기(12) 내에 위치하는 음극; 및
    제 1 반응기(14) 및 제 2 반응기(12) 내 전해 매질을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연결 수단은 전해 매질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튜브(들)로 규정되며, 튜브(들)은 전자는 통과시키나 분자를 통과시키지 않는 선택적인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튜브(들)에 스탑퍼 수단이 구비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스탑퍼 수단이 밸브 또는 밸브들인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제 2 반응기(12) 및 제 1 반응기(14) 내 압력을 평형화시키기 위한 고압 증압기를 포함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고압 증압기가 CO2로 가압되고, 제 2 반응기(12)를 직접적으로 CO2로 가압하며, 제 1 반응기(14)를 H2O로 가압하기 위해 고압 축압기가 구비되는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KR1020127014526A 2009-11-04 2010-11-04 탄화수소의 생성 방법 KR101698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ZA200907752 2009-11-04
ZA2009/07752 2009-11-04
ZA2010/06338 2010-09-03
ZA201006338 2010-09-03
PCT/IB2010/055001 WO2011055322A1 (en) 2009-11-04 2010-11-04 The production of hydrocarb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147A KR20140015147A (ko) 2014-02-06
KR101698794B1 true KR101698794B1 (ko) 2017-01-23

Family

ID=43589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526A KR101698794B1 (ko) 2009-11-04 2010-11-04 탄화수소의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9469910B2 (ko)
EP (1) EP2496735B1 (ko)
JP (1) JP5934649B2 (ko)
KR (1) KR101698794B1 (ko)
CN (1) CN102648307B (ko)
AU (1) AU2010316702B2 (ko)
BR (1) BR112012010622B1 (ko)
CA (1) CA2779952C (ko)
CY (1) CY1119130T1 (ko)
DK (1) DK2496735T3 (ko)
ES (1) ES2625273T3 (ko)
HR (1) HRP20170693T1 (ko)
HU (1) HUE034403T2 (ko)
LT (1) LT2496735T (ko)
MX (1) MX345123B (ko)
PL (1) PL2496735T3 (ko)
PT (1) PT2496735T (ko)
RS (1) RS56020B1 (ko)
RU (1) RU2555841C2 (ko)
SI (1) SI2496735T1 (ko)
WO (1) WO20110553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8803A1 (de) * 2012-05-31 2013-12-05 Hettich Holding Gmbh & Co. Oh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lektrolytischen synthese von methanol und/oder methan
US9243264B2 (en) 2012-07-27 2016-01-26 Ffgf Limited Production of methane
US10280378B2 (en) * 2015-05-05 2019-05-07 Dioxide Materials, Inc System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renewable fuels and chemicals
DE102015212503A1 (de) 2015-07-03 2017-01-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Reduktionsverfahren und Elektrolysesystem zur elektrochemischen Kohlenstoffdioxid-Verwertung
JP6870956B2 (ja) 2016-10-27 2021-05-12 株式会社東芝 電気化学反応装置
FR3131589A1 (fr) 2021-12-31 2023-07-07 Mickaël ARNOLD Procede de reduction electrochimique de co2 liquide ou supercritiqu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1234A (ja) * 2001-08-24 2005-01-13 アプレラ コーポレイション 電気泳動デバイスおよび電気浸透デバイスのためのバブルフリー電極および圧力発生電極
JP2009511740A (ja) * 2005-10-13 2009-03-19 マントラ エナジー オールターナティヴス リミテッド 二酸化炭素の連続並流電気化学還元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868A (en) * 1902-04-22 1903-08-18 Arthur Coppell Process of decomposing water by electrolysis.
US813105A (en) * 1904-11-08 1906-02-20 Thomas A Darby Process for decomposing water by electrolysis.
US1581944A (en) * 1923-11-17 1926-04-20 Hausmeister Paul Production of compressed gases by electrolysis
US3374158A (en) * 1964-04-01 1968-03-19 Trw Inc High pressure electrolysis system and process for hydrogen-oxygen generation
US3401099A (en) * 1966-04-27 1968-09-10 Air Prod & Chem Electrolytic method of gas separation
US4042481A (en) * 1974-12-24 1977-08-16 Kelly Donald A Pressure-electrolysis cell-unit
US4086393A (en) * 1976-11-24 1978-04-25 Energy Development Associates Gas phase free liquid chlorine electrochemical systems
JPS5462928A (en) * 1977-10-31 1979-05-21 Uemura Kogyo Kk Supersonic washing method of metal surface
US4242193A (en) * 1978-11-06 1980-12-30 Innova, Inc. Layered membrane and processes utilizing same
US4242183A (en) * 1979-04-13 1980-12-30 The Dow Chemical Company Highly active silver cathode, preparation of same and use to make 2,3,5-trichloropyridine
US4381985A (en) * 1981-03-09 1983-05-03 Innova, Inc. Membrane construction
US4545872A (en) * 1984-03-27 1985-10-08 Texaco Inc. Method for reducing carbon dioxide to provide a product
US4897167A (en) * 1988-08-19 1990-01-30 Gas Research Institute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O2 to CH4 and C2 H4
US4921585A (en) * 1989-03-31 1990-05-0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Electrolysis cell and method of use
US5326445A (en) * 1989-05-01 1994-07-05 Hewlett-Packard Company Vacuum injection capillary electrophoresis
DE4126349C2 (de) 1991-08-09 1999-07-01 Andreas Dr Bandi Verfahren zur elektrolytischen Herstellung von Methanol und Methan durch Reduktion von Kohlendioxid
JP3410099B2 (ja) * 1993-03-05 2003-05-26 パウリスジン,ジャヌーズ,ビー 担体両性電解質を使用しない等電点電気泳動方法及び装置
JP3343601B2 (ja) * 1993-10-26 2002-11-11 関西電力株式会社 炭酸ガスから炭化水素を製造する方法
US5968337A (en) * 1996-04-18 1999-10-19 Battelle Memorial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ant flow oxidizing of organic materials
EP0982780B1 (en) * 1998-01-23 2003-09-24 Josuke Nakata Photoelectrolytic device
US6942766B2 (en) * 2003-01-16 2005-09-13 Chris Alan Lemke Chlorine generator
FR2856080B1 (fr) 2003-06-12 2005-09-09 Joan Favre Procede de production de gaz a partir de l'eau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du procede
DE102004035860A1 (de) * 2004-07-23 2006-02-16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Alkin-1 acetalen
US20070170051A1 (en) * 2005-12-27 2007-07-26 Schlaikjer Carl R Chamber for reaction of lithium and deuterium
GB0615731D0 (en) * 2006-08-08 2006-09-20 Itm Fuel Cells Ltd Fuel synthesis
DE102007049871A1 (de) 2007-10-18 2009-04-23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Ändern der Querschnittsform einer extrudierten Rundschnur aus einer Kautschukmischung
US8500987B2 (en) * 2010-03-19 2013-08-06 Liquid Light, Inc. Purification of carbon dioxide from a mixture of gases
WO2012077198A1 (ja) * 2010-12-08 2012-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製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1234A (ja) * 2001-08-24 2005-01-13 アプレラ コーポレイション 電気泳動デバイスおよび電気浸透デバイスのためのバブルフリー電極および圧力発生電極
JP2009511740A (ja) * 2005-10-13 2009-03-19 マントラ エナジー オールターナティヴス リミテッド 二酸化炭素の連続並流電気化学還元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ui Li등, The electro-reduction of carbon dioxide in a continuous reactor, Journal of Applied Electrochemistry, 35, 955~965쪽 (20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69910B2 (en) 2016-10-18
EP2496735A1 (en) 2012-09-12
PL2496735T3 (pl) 2017-10-31
JP5934649B2 (ja) 2016-06-15
AU2010316702B2 (en) 2016-07-21
CN102648307B (zh) 2015-05-27
DK2496735T3 (en) 2017-05-22
KR20140015147A (ko) 2014-02-06
AU2010316702A1 (en) 2012-05-31
US20120228148A1 (en) 2012-09-13
BR112012010622B1 (pt) 2019-08-06
CY1119130T1 (el) 2018-02-14
SI2496735T1 (sl) 2017-08-31
BR112012010622A2 (pt) 2016-03-29
LT2496735T (lt) 2017-06-12
HRP20170693T1 (hr) 2017-07-28
EP2496735B1 (en) 2017-02-15
CA2779952A1 (en) 2011-05-12
WO2011055322A1 (en) 2011-05-12
CA2779952C (en) 2017-12-19
PT2496735T (pt) 2017-05-25
CN102648307A (zh) 2012-08-22
RU2012122605A (ru) 2013-12-10
ES2625273T8 (es) 2017-08-14
JP2013510238A (ja) 2013-03-21
RU2555841C2 (ru) 2015-07-10
MX2012005236A (es) 2012-08-15
RS56020B1 (sr) 2017-09-29
ES2625273T3 (es) 2017-07-19
MX345123B (es) 2017-01-18
HUE034403T2 (en)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794B1 (ko) 탄화수소의 생성 방법
Kumar et al. Incipient hydrate phase equilibrium for ga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carbon dioxide and propane
RU2493293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ОЕДИНЕНИЙ ТИПА CxHyOz ВОССТАНОВЛЕНИЕМ ДИОКСИДА УГЛЕРОДА (CO2) И/ИЛИ МОНОКСИДА УГЛЕРОДА (СО)
JP6564778B2 (ja) 有効な電力がない状態においてメタンの生成のためにsoecタイプのスタック反応器を作動させる方法
US20120043219A1 (en) Electrochemical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ynthesis gas using atmospheric air and water
Lee et al. Hydrogen separation using electrochemical method
EP2898114B1 (en) Hydrogen production
Siavashi et al. Purge gas recovery of ammonia synthesis plant by integrated configuration of catalytic hydrogen-permselective membrane reactor and solid oxide fuel cell as a novel technology
KR102645750B1 (ko) 일산화탄소 및/또는 합성가스의 전기화학적 생성
KR20200006994A (ko) 하이드로포밀화 플랜트에서 사용하기 위한 합성가스의 생성 방법
Al-Juboori et al. Sustainable conversion of carbon dioxide into diverse hydrocarbon fuels via molten salt electrolysis
JP2014231711A (ja) メタンハイドレート層からのガス回収方法およびガス回収システム
Huang et al. On-board removal of CO and other impurities in hydrogen for PEM fuel cell applications
US9169569B2 (en) Alternating voltage electrochemical reforming
Sun et al. A bifunctional solid oxide electrolysis cell for simultaneous CO 2 utilization and synthesis gas production
JP2006151731A (ja) 水の分解方法とその装置及び水の分解用触媒
Al-Juboori et al. The effect of variable operating parameters for hydrocarbon fuel formation from CO2 by molten saltselectrolysis 2
JP5641814B2 (ja) 水素発生装置並びにその装置を用いた自動車用燃料発電装置
Grigoriev et al. Characterization of PEM electrochemical hydrogen compressors
JP7435953B2 (ja) 高圧水素発生方法
EP4252888A1 (en) Electrolytic regeneration of amine based co2 absorbent
EP281858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ynthetic gas by electrolysis of a particular electrolyte
Gong et al. Development of CuCl-HCl electrolysis for hydrogen production via Cu-Cl thermochemical cycle
Kuzmin et al. Partial oxidation of ethane in H 2/O 2 fuel cell under mild conditions
JP2011119050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及び水素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