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690B1 - 자동차 어셈블리의 이동 가능한 체결을 위한 어셈블리 마운트 및 자동차 어셈블리의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어셈블리의 이동 가능한 체결을 위한 어셈블리 마운트 및 자동차 어셈블리의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690B1
KR101698690B1 KR1020150159094A KR20150159094A KR101698690B1 KR 101698690 B1 KR101698690 B1 KR 101698690B1 KR 1020150159094 A KR1020150159094 A KR 1020150159094A KR 20150159094 A KR20150159094 A KR 20150159094A KR 101698690 B1 KR101698690 B1 KR 101698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ssembly
fastening bolt
opening
pressur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695A (ko
Inventor
얀 핑스트
파트릭 샤입
크리스티안 랑에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60058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 F16F13/102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lexible walls of equilibration chambers; decoupling or self-tu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 F16F13/105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partitions between two working chambers
    • F16F13/106Design of constituent elastomeric parts, e.g. decoupling valve elements, or of immediate abutments therefor, e.g.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2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어셈블리의, 특히, 자동차 엔진의 이동 가능한 체결을 위한 어셈블리 마운트(10)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에 연결 가능한 하우징(12)과; 자동차 어셈블리에 연결 가능하며 하우징 개구(14)를 통하여 하우징(12) 내로 돌출되는 체결 볼트(16)와; 하우징(12) 및 체결 볼트(16)에 연결되고 특히 엘라스토머 블록의 형태인 하중 지지 스프링(18)으로서, 적어도 하우징 개구(14) 내에서의 하우징 개구(14)의 개구 평면에서 체결 볼트(16)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하중 지지 스프링(18)과; 하우징(12)에 대하여 그리고 체결 볼트(16)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며 개구 평면에서의 하우징 개구(14) 내의 체결 볼트(16)의 이동 유격을 변화시키기 위한 보상 요소(21)를 갖는 어셈블리 마운트를 제공한다. 자동차 어셈블리의 원치 않는 상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 볼트(16)의 이동 유격을 감소하도록 이동 가능한 보상 요소(21)가 하우징 개구(14) 내로 이동될 수 있어서, 자동차 내의 자동차 어셈블리의 낮은 기계적 부하을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어셈블리의 이동 가능한 체결을 위한 어셈블리 마운트 및 자동차 어셈블리의 장착 방법{ASSEMBLY MOUNT FOR THE MOVABLE FASTENING OF A MOTOR VEHICLE ASSEMBLY, AND METHOD FOR THE MOUNTING OF A MOTOR VEHICLE ASSEMBLY}
본 발명은 자동차 어셈블리의, 특히 자동차 엔진의 이동 가능한 체결을 위한 어셈블리 마운트와, 이러한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 마운트에 의해 자동차의 차체에 체결된 자동차 어셈블리를, 특히, 자동차 엔진을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경우 자동차의 작동 중, 예를 들면 열 팽창 효과를 보상하기 위해, 자동차 어셈블리가 적절한 유격을 가지면서 자동차에 체결될 수 있다.
DE 10 2009 026 713 A1로부터, 자동차 엔진의 체결을 위한 어셈블리 마운트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 어셈블리 마운트의 경우, 자동차 엔진에 체결 가능한 체결 볼트가, 엘라스토머 블록에 의해 모든 좌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다. 체결 볼트는 하우징 내에 구비된 하우징 개구를 통하여 하우징 내로 돌출된다. 하우징 개구 내에는, 체결 볼트 주위로 연장되며 엘라스토머 재료를 통해 하우징에 연결되는 버퍼 유닛이 구비되어, 하우징 개구 내에서의 체결 볼트의 횡방향 접합이 버퍼 유닛에 의해 댐핑될 수 있다.
자동차 내의 자동차 어셈블리의 기계적인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내의 자동차 어셈블리의 낮은 기계적 부하을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부를 갖는 어셈블리 마운트 및 청구항 8의 특징부를 갖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는, 각각 본 발명의 양태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는, 종속 청구항 및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화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어셈블리의, 특히 자동차 엔진의 이동 가능한 체결을 위한 어셈블리 마운트에 있어서, 차체에 연결 가능한 하우징과; 자동차 어셈블리에 연결 가능하며 하우징 개구를 통하여 하우징 내로 돌출되는 체결 볼트와; 하우징 및 체결 볼트에 연결되고 특히 엘라스토머 블록의 형태인 하중 지지 스프링으로서, 적어도 하우징 개구 내에서의 하우징 개구의 개구 평면에서 체결 볼트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하중 지지 스프링과; 하우징에 대하여 그리고 체결 볼트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며 개구 평면에서의 하우징 개구 내의 체결 볼트의 이동 유격을 변화시키기 위한 보상 요소를 갖는 어셈블리 마운트가 제공된다.
특히, 자동차 어셈블리가 자동차 엔진이어야 하는 경우, 차가운 자동차 엔진과 작동 온도로 가열된 자동차 엔진 사이에서 자동차 엔진의 열 팽창에 의해 자동차 엔진에 연결되는 체결 볼트의 하우징에 대한 상대 위치가 현저히 변동될 수 있다. 하우징 개구의 개구 평면에서 그리고/또는 체결 볼트의 종방향으로의 하우징 개구의 개구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체결 볼트의 상대 이동성으로 인하여, 특히 열 팽창 효과로 인해, 자동차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체결 볼트의 하우징에 대한 상대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체결 볼트는 제한된 범위에서 어긋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특히 급작스런 횡방향 가속이 이루어지는 경우, 예를 들면 하우징 개구에서의 체결 볼트의 원치 않는 위치 변동 및/또는 소음을 일으키는 접합을 야기할 수 있는 유격이 자동차 어셈블리에 대해 남게되는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엔진의 급작스런 횡방향 위치 변화는 토크 전달 부품들의 결합을 바람직하지 않은 상대 위치로 유도할 수 있고, 이는 기계적 부하를 증가시키고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동 가능한 보상 요소에 의해, 하우징 개구 내의 체결 볼트의 현재의 유격이 원하는 시점에 감소될 수 있거나 심지어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엔진이 작동 온도에 도달한 이후 더 이상의 열 팽창이 예상되지 않는 경우에, 하우징 개구 내에서의 체결 볼트의 유격은 보상 요소에 의해 적어도 감소될 수 있어서, 자동차의 코너링 또는 방향 전환(swerving) 조작 중 횡방향 힘, 특히 원심력 또는 관성력이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 자동차 엔진의 상대 이동이 신뢰성 있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규모의 현재의 그리고/또는 예상되는 횡방향 힘이 검출되는 경우, 자동차 엔진이 여전히 작동 온도로 워밍업되는 과정에 있는 동안, 이동 가능한 보상 요소에 의해 유격이 일시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이후에 다시 복구될 수 있다. 특히, 유격을 줄이기 위해 체결 볼트 및 하우징 사이의 보상 요소가 하우징 개구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상 요소는 체결 볼트 및/또는 하우징을 위한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댐핑되는 횡방향 정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자동차 어셈블리의 원치 않는 상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가능한 보상 요소는 체결 볼트의 이동 유격이 감소되도록 하우징 개구 내로 이동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자동차 내의 자동차 어셈블리의 낮은 기계적 부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하중 지지 스프링은, 특히 모든 좌표 방향으로 하우징에 대한 체결 볼트의 충분한 상대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하중 지지 스프링은 특히 체결 볼트에 의해 도입되는 부하를 하우징 상으로 완전히 분산시킬 수 있다. 특히, 하중 지지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강성의 코어, 예를 들면, 강 인서트로 강화된 엘라스토머 재료를 갖는다. 강 인서트는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엘라스토머 재료 내로 인서트 몰딩된다. 강 인서트가 바람직하게는 체결 볼트에 체결되어, 특히 체결 볼트가 강 대 강 연결을 통해 하중 지지 스프링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은, 차체에, 특히 차체의 하중 지지 구조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은 바람직하게 하중 지지 스프링에 접하는 제어 챔버를 형성하며, 제어 챔버는 특히 체결 볼트로부터 먼 하중 지지 스프링의 측면에 제공된다. 제어 챔버는 하중 지지 스프링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 챔버 내의 압력은 예를 들면 유압식으로 또는 공압식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중 지지 스프링의 스프링 특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또한 어셈블리 마운트를 이용하여 하나의 자동차 어셈블리가 다른 자동차 어셈블리에 체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오일 펌프가 자동차 엔진에 체결될 수 있다. 개구 평면은, 하우징의 하우징 개구가 배치되고 하우징 개구의 법선 평면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평탄한 평면을 의미한다. 특히, 개구 평면이 체결 볼트의 반경 방향 평면에 위치되며, 근본적으로 체결 볼트가 또한 개구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진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개구 평면에 대한 체결 볼트의 경사 상태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특히, 체결 볼트는,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볼트의 단부에서, 어셈블리 마운트가 자동차 어셈블리에 나사 결합될 수 있게 하는 수나사산을 갖는다.
특히, 보상 요소는 체결 볼트의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며, 보상 요소는 종방향으로 달라지는 단면을 갖는다. 보상 요소는, 예를 들면, 쐐기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있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쐐기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보상 요소가 하우징 개구 내로 전혀 돌출되지 않거나 쐐기 선단만 돌출되면, 체결 볼트에 큰 유격이 구비될 수 있다. 종방향으로 보상 요소의 특히 선형이거나 나선형의 이동 이후에, 보상 요소는 하우징 개구 내로 쐐기 선단으로부터 더 떨어진 상대적으로 더 넓은 영역을 가지고 돌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체결 볼트의 유격을 줄이거나 심지어 제거할 수 있다. 하우징 개구 내에서의 체결 볼트의 유격은 필요에 따라 신속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구조적으로 간단히 구현되는 이동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상 요소는 체결 볼트를 둘러싸는, 종방향으로 달라지는 외경을 갖는 슬리브로서 설계되며, 특히 보상 요소는 쐐기 형상의 벽 및/또는 종방향으로 단차진 벽을 갖는다. 보상 요소는 특히 중공의 원추 또는 원뿔대로 설계되며, 보상 요소는 바람직하게 체결 볼트의 종방향으로 진행하는, 특히 원통형의 가이드 개구를 갖고 이 개구를 통해 체결 볼트가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상 요소는 체결 볼트 상에서 종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특히 소실 방지식으로 그리고 종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 볼트에 부착될 수 있다.
보상 요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압력 챔버 벽에 연결되며, 압력 챔버 벽은, 특히, 체결 볼트의 종방향으로, 과압 및/또는 부압의 인가에 의해 유압 및/또는 공압으로 하우징에 대하여 그리고 체결 볼트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연한 압력 챔버 벽에 의해, 압력 챔버 벽은 압력 챔버 벽에 의해 한정된 압력 챔버 내의 압력이 변경될 때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상 요소와 압력 챔버 벽의 연결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체결 볼트 상에서 안내되는 보상 요소가 하우징 개구 내에서의 체결 볼트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해 공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압력 챔버 벽에 가해지는 압력은 특히 신속하게 변화될 수 있어, 보상 요소도 압력 변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특정 검출된 상황에서 자동차 어셈블리의 원치 않은 상대 이동이 특히 신속하게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보상 요소는 압력 매체의 연결을 위한 연결 개구를 갖는 압력 챔버 벽의 유지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체결 볼트는 유지 플레이트의 관통 개구를 통하여 연장되고, 관통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유연한 내측 벨로우즈가 체결 볼트 및 유지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압력 챔버 벽에 의해 한정되는 압력 챔버를 밀봉하기 위한 유연한 외측 벨로우즈가 유지 플레이트 및 하우징에 연결된다. 유지 플레이트는 충분히 안정적이며 비유연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충분한 밀봉으로 압력 포트가 유지 플레이트의 관통 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지 플레이트는, 예를 들면 나사산을 구비하고 관통 개구를 형성하는 적합한 연결편을 가질 수 있다. 유지 플레이트는, 충분한 밀봉 작용으로, 유연한 내측 벨로우즈를 통하여 체결 볼트에 연결될 수 있고 유연한 외측 벨로우즈를 통하여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으며, 유지 플레이트의 충분한 상대 이동 및 특히 유지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보상 요소의 충분한 상대 이동은 내측 벨로우즈 및 외측 벨로우즈에 의해 허용될 수 있다. 유지 플레이트의 관통 개구를 통하여, 체결 볼트는 압력 챔버 벽에 의해 한정된 압력 챔버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고, 압력 챔버의 외측에서 자동차 어셈블리에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챔버 벽에 의해 한정된 압력 챔버가 하우징 내에서 하중 지지 스프링에 의해 밀봉된다. 이에 따라, 하중 지지 스프링은 압력 챔버의 일측을 한정할 수 있어서, 압력 챔버 벽은 압력 챔버의 대응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을 한정하면 된다. 특히, 하우징은 마찬가지로 압력 챔버의 일부를 한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 챔버 벽에 대한 재료의 사용이 적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보상 요소에 작용하는 복원 스프링이 보상 요소를 정의된 초기 위치로 포지셔닝하기 위해 구비되며, 특히 복원 스프링은 체결 볼트 또는 하우징에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지지된다. 특히, 정의된 초기 위치에서, 보상 요소에 의해 제공된 체결 볼트의 유격이 하우징 개구 내에서 최대로 설정된다. 초기 위치에서 압력 챔버 내에는 주변 압력이 우세할 수 있어서, 초기 위치에서 특정 과압 또한 부압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에너지 사용이 낮게 유지될 수 있고/있거나 압력 챔버 내의 압력 조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특히, 하중 지지 스프링은 하우징 개구 내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하중 지지 스프링은 하우징 개구 내에서의 체결 볼트의 횡방향 댐핑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어서, 하우징 개구 내에서의 체결 볼트의 단단한 접합으로 인한 불필요한 소음 방출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설계되고 개선된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 마운트를 통하여 자동차의 차체에 체결되는, 자동차 어셈블리, 특히, 자동차 엔진을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동차 어셈블리에 현재 작용하고 그리고/또는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횡방향 힘이 그 횡방향 힘에 대한 임계값 미만이면, 하우징 개구 내에서의 체결 볼트의 상대적으로 더 큰 유격이 어셈블리 마운트 내에 제공되며, 자동차 어셈블리에 현재 작용하고 그리고/또는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횡방향 힘이 그 횡방향 힘에 대한 임계값을 초과하면, 하우징 개구 내에서의 체결 볼트의 상대적으로 더 작은 유격이 어셈블리 마운트 내에 제공되며, 특히 하우징 개구 내에서의 체결 볼트의 유격이 제거되는, 장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어셈블리의 원치 않는 상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 볼트의 이동 유격을 감소하도록 어셈블리 마운트의 이동 가능한 보상 요소가 하우징 개구 내로 이동될 수 있어서, 자동차 내의 자동차 어셈블리의 낮은 기계적 부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자동차 어셈블리에 현재 작용하고 그리고/또는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횡방향 힘은, 자동차 스티어링 휠의 조향 입력 각도의 측정 및/또는 자동차의 요 레이트(yaw rate) 및/또는 피치 레이트(pitch rate) 및/또는 롤 레이트(roll rate)의 측정에 의해 결정된다. 이로써, 하우징 개구 내에서의 체결 볼트의 유격의 일시적인 감소를 통하여, 자동차의 코너링 및/또는 가능한 방향 전환 상황의 급작스런 시작 및/또는 중력의 방향에 대한 자동차의 경사 상태가 조기에 식별될 수 있고, 열 팽창 효과에 의하여 발생하지 않되 중력 및/또는 관성력에 의해 발생되는 자동차 어셈블리의 상대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고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준으로 아래에서 예로서 설명되며, 이하 제시되는 특징들은 각각 개별적이거나 조합되어 본 발명의 양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큰 유격을 갖는 위치에서의 어셈블리 마운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작은 유격을 갖는 위치에서의 도 1의 어셈블리 마운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어셈블리 마운트(10)는, 체결 볼트(16)가 하우징(12)의 내부로 돌출되는 하우징 개구(14)를 갖는 하우징(12)을 갖는다. 하우징(12)에는, 부분적으로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며 강 인서트(20)를 갖는 하중 지지 스프링(18)이 연결되며, 강 인서트`는 엘라스토머 내로 인서트 몰딩되고, 체결 볼트(16)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중공 원추형 보상 요소(21)가 체결 볼트(16) 상에서 체결 볼트(16)의 종방향으로 안내되며, 보상 요소는, 도시된 초기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더 얇은 재료 두께로 하우징 개구(14) 내로 돌출된다.
보상 요소(21)는 압력 챔버 벽(24)의 유지 플레이트(22)에 체결된다. 유지 플레이트(22) 및 하중 지지 스프링(18)의 강 인서트(20)에는 나선형 스프링 형태의 복원 스프링(26)이 작용하며, 복원 스프링은 체결 볼트(16)가 하우징 개구(14) 내에서 큰 유격을 갖는 도시된 초기 위치로 압력 챔버 벽(24)을 자동으로 이동시킨다. 압력 챔버 벽(24)은, 체결 볼트(16)에 대해 유지 플레이트(22)를 밀봉하는 유연한 내측 벨로우즈(28)를 갖는다. 또한, 압력 챔버 벽(24)은, 하우징(12)에 대해 유지 플레이트(22)를 밀봉하는 유연한 외측 벨로우즈(30)를 갖는다. 이로써, 압력 챔버 벽(24), 하우징(12) 및 하중 지지 스프링(18)은, 유지 플레이트(22) 내에 제공된 연결 개구(34)를 통해서만 접근 가능한 압력 챔버(32)를 한정한다.
부압이 연결 개구(34)를 통하여 압력 챔버(32)에 인가되면, 압력 챔버(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할 수 있다. 이 경우, 압력 챔버 벽(24)의 유지 플레이트(22)가 복원 스프링(26)의 스프링 힘에 반대로 하중 지지 스프링(18)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써 보상 요소(21)는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재료 두께로 하우징 개구(14) 내에 돌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 개구(14) 내의 체결 볼트(16)의 유격을 줄이거나 심지어 제거할 수 있다.

Claims (10)

  1. 자동차 어셈블리의 이동 가능한 체결을 위한 어셈블리 마운트로서,
    차체에 연결 가능한 하우징(12),
    상기 자동차 어셈블리에 연결 가능하며 하우징 개구(14)를 통하여 하우징(12) 내로 돌출되는 체결 볼트(16),
    하우징(12) 및 체결 볼트(16)에 연결된 하중 지지 스프링으로서, 적어도 하우징 개구(14) 내에서의 하우징 개구(14)의 개구 평면에서 체결 볼트(16)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하중 지지 스프링(18), 및
    하우징(12)에 대하여 그리고 체결 볼트(16)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며 개구 평면에서의 하우징 개구(14) 내의 체결 볼트(16)의 이동 유격을 변화시키기 위한 보상 요소(21)를 갖는 어셈블리 마운트.
  2. 제1항에 있어서, 보상 요소(21)는 체결 볼트(16)의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며, 보상 요소(21)는 종방향으로 달라지는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마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상 요소(21)는, 체결 볼트(16)를 둘러싸며 종방향으로 달라지는 외경을 갖는 슬리브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마운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상 요소(21)는 압력 챔버 벽(24)에 연결되며, 압력 챔버 벽(24)은, 과압 또는 부압의 인가에 의해 유압 또는 공압으로 하우징(12)에 대하여 그리고 체결 볼트(16)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마운트.
  5. 제4항에 있어서, 보상 요소(21)는 압력 챔버 벽(24)의 압력 매체의 연결을 위한 연결 개구(34)를 갖는 유지 플레이트(22)에 연결되고, 체결 볼트(16)는 유지 플레이트(22)의 관통 개구를 통하여 연장되고, 체결 볼트(16) 및 유지 플레이트(22)에는 관통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유연한 내측 벨로우즈(28)가 연결되고, 유지 플레이트(22) 및 하우징(12)에는 압력 챔버 벽(24)에 의해 한정되는 압력 챔버(32)를 밀봉하기 위한 유연한 외측 벨로우즈(3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마운트.
  6. 제4항에 있어서, 압력 챔버 벽(24)에 의해 한정되는 압력 챔버(32)가 하우징(12) 내에서 하중 지지 스프링(18)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마운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상 요소(21)에 작용하는 복원 스프링(26)이 보상 요소(21)를 정의된 초기 위치로 포지셔닝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마운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중 지지 스프링(18)은 하우징 개구(14) 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마운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어셈블리 마운트(10)를 통하여 자동차의 차체에 체결된 자동차 어셈블리를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자동차 어셈블리에 현재 작용하거나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횡방향 힘이 그 횡방향 힘에 대한 임계값 미만이면, 하우징 개구(14) 내에서의 체결 볼트(16)의 상대적으로 더 큰 유격이 어셈블리 마운트(10) 내에 제공되며,
    자동차 어셈블리에 현재 작용하거나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횡방향 힘이 그 횡방향 힘에 대한 임계값을 초과하면, 하우징 개구(14) 내에서의 체결 볼트(16)의 상대적으로 작은 유격이 어셈블리 마운트(10) 내에 제공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자동차 어셈블리에 현재 작용하거나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횡방향 힘은, 자동차 스티어링 휠의 조향 입력 각도의 측정, 또는 자동차의 요 레이트(yaw rate), 피치 레이트(pitch rate) 및 롤 레이트(roll rate) 중 하나 이상의 측정에 의해 결정되는, 방법.
KR1020150159094A 2014-11-17 2015-11-12 자동차 어셈블리의 이동 가능한 체결을 위한 어셈블리 마운트 및 자동차 어셈블리의 장착 방법 KR101698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16754.6 2014-11-17
DE102014116754.6A DE102014116754A1 (de) 2014-11-17 2014-11-17 Aggregatlager zur bewegbaren Befestigung eines Kraftfahrzeugaggregats sowie Verfahren zum Lagern eines Kraftfahrzeugaggrega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695A KR20160058695A (ko) 2016-05-25
KR101698690B1 true KR101698690B1 (ko) 2017-01-20

Family

ID=5585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094A KR101698690B1 (ko) 2014-11-17 2015-11-12 자동차 어셈블리의 이동 가능한 체결을 위한 어셈블리 마운트 및 자동차 어셈블리의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69695B2 (ko)
KR (1) KR101698690B1 (ko)
CN (1) CN105605145B (ko)
DE (1) DE1020141167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4264B2 (en) * 2015-11-18 2018-01-2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agnetic field activated powertrain mount
KR102496492B1 (ko) 2016-12-12 2023-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마운트
DE102022100636A1 (de) 2021-10-22 2023-04-27 VON ARDENNE Asset GmbH & Co. KG Schwingungsisolierungssystem, Verfahren und Prozessiervorrich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8750B2 (ja) 1991-11-06 1998-05-13 豊田合成株式会社 防振マウント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5133A (ja) * 1984-04-11 1985-10-28 Nissan Motor Co Ltd 流体入りパワ−ユニツトマウント装置
DE3719435C2 (de) * 1986-06-20 1995-03-30 Volkswagen Ag Lager zur Drehmomentenabstützung eines Antriebsaggregats
JP3194345B2 (ja) * 1995-03-29 2001-07-30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流体封入式マウント装置
JP3038138B2 (ja) * 1995-07-07 2000-05-08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流体封入式エンジンマウント
JP3669647B2 (ja) * 1995-12-05 2005-07-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液体封入式防振マウント装置
JPH10231885A (ja) * 1997-02-18 1998-09-02 Tokai Rubber Ind Ltd 液体封入式防振装置
US6422546B1 (en) * 1999-06-18 2002-07-2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ctive vibration isolating support device
JP2001304329A (ja) * 2000-04-19 2001-10-31 Tokai Rubber Ind Ltd 流体封入式能動型エンジンマウント
CA2533817C (en) * 2005-01-26 2012-12-18 The Pullman Company Hydraulically damped body mount with bolt-through construction
DE102007057873B4 (de) * 2007-11-29 2014-02-06 Carl Freudenberg Kg Lager
CN102245927B (zh) * 2008-12-18 2014-03-19 东海橡塑工业株式会社 流体封入式隔振装置
DE102009026713B4 (de) 2009-06-04 2012-09-20 Zf Friedrichshafen Ag Hydraulisch dämpfendes Motorlager
JP2011094750A (ja) * 2009-10-30 2011-05-12 Tokai Rubber Ind Ltd 流体封入式能動型エンジンマウント
US20120061890A1 (en) * 2009-12-16 2012-03-15 Goudie Robert J Hydraulic body mount
KR101551951B1 (ko) * 2010-09-17 2015-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댐핑 마운트
CN202056241U (zh) * 2010-12-31 2011-11-30 宁波泛亚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发动机悬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8750B2 (ja) 1991-11-06 1998-05-13 豊田合成株式会社 防振マウ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69695B2 (en) 2017-06-06
US20160138670A1 (en) 2016-05-19
KR20160058695A (ko) 2016-05-25
CN105605145B (zh) 2018-03-16
CN105605145A (zh) 2016-05-25
DE102014116754A1 (de)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690B1 (ko) 자동차 어셈블리의 이동 가능한 체결을 위한 어셈블리 마운트 및 자동차 어셈블리의 장착 방법
KR920008871Y1 (ko) 감쇠력의 선형 변화 특성에 맞는 예비 하중이 작용된 밸브를 갖는 유압식 완충기
US8965632B2 (en)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US10875373B2 (en) Axial ball joint and length-adjustable two-point link with such an axial ball joint
US9702427B2 (en) Damper device
US20070137913A1 (en) Active chassis for a motor vehicle
EP0805055B1 (en) Positioning device for stabilizing bars, stabilizing bar and stabilization system for vehicles using this device
US7681897B2 (en) Wheel suspension
US20210061043A1 (en)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vehicle
CN104417304A (zh) 车辆悬架系统和控制悬架系统的方法
KR20170046177A (ko) 압력-활성화가능한 프리텐셔닝 요소를 갖는 밀봉 장치
US6412615B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for motor vehicles
WO2019007627A1 (de) Luftfederbein mit abgedichtetem verschlussdeckel
US6279693B1 (en) Friction dampener particularly adapted to railway vehicle motion control
US20180187768A1 (en) Gear unit for a motor vehicle
US20230375038A1 (en) Bearing assembly for bearing a device
CN104482099A (zh) 分体式阻尼的减震总成
CA2925253C (en) Hydraulic shock absorber
US5259600A (en) Elastic connection device for motor vehicle suspension systems
US5938238A (en) Pneumatic lift control device
JPH08326822A (ja) 流体および/または電気信号供給装置および方法
EP1375204B1 (en) Piston rod seal for airlift damper
US6357734B1 (en) Suspension damper with vehicle spring preload
US20190048966A1 (en) Shock absorber
KR102551674B1 (ko) 차량용 롤로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