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304B1 - 컨버터 및 전력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컨버터 및 전력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304B1
KR101698304B1 KR1020167021983A KR20167021983A KR101698304B1 KR 101698304 B1 KR101698304 B1 KR 101698304B1 KR 1020167021983 A KR1020167021983 A KR 1020167021983A KR 20167021983 A KR20167021983 A KR 20167021983A KR 101698304 B1 KR101698304 B1 KR 101698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unit
detecting
value
un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2727A (ko
Inventor
마사노리 가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2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02M7/0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arranged for operation in parall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conversion of ac into d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3Measuring mean values of current or voltage during a given time inter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4Measuring peak values or amplitude or envelope of ac or of pul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using analogue/digital converters of the type with conversion of voltage or current into frequency and measuring of this frequenc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4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4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4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 H02M5/45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45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02M2001/0009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12상 정류용 트랜스(2)의 Δ결선과 Y 결선의 2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회로부(11)와, 컨버터 회로부(11)에 의해 출력된 직류 모선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기(12)와, 전류 검출기(12)에 의해 검출한 Δ결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와 Y 결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사이에 불평형이 생기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불평형 검출부(13)를 구비한다. Δ결선 측의 다이오드 브릿지에 흐르는 전류와 Y 결선 측의 다이오드 브릿지에 흐르는 전류에 발생한 불평형을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버터 및 전력 변환 장치{CONVERTER AND POWER CONVERSION DEVICE}
본 발명은,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및 전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 변환 장치는 교류 계통으로의 고조파의 유출을 억제하기 위해서, 12상정류용 트랜스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12상 정류용 트랜스는, 일차 측을 Y 결선으로 하고 2차 측을 Δ결선과 Y 결선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일차 측을 Δ결선으로 하고 2차 측을 Δ결선과 Y 결선으로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12상 정류용 트랜스는 2차 측에 있어서, 30도의 위상차의 삼상 교류를 생성하고, 전파 정류함으로써 12상 정류를 실시한다(특허 문헌 1을 참조).
특허 문헌 1: JP 특개 2008-295155호 공보
그런데, 12상 정류용 트랜스의 2차 측에 있어서, Δ결선으로부터 출력된 교류 전압과, Y 결선으로부터 출력된 교류 전압에 차이가 생겨 Δ결선 측의 다이오드 브릿지에 흐르는 전류와 Y 결선 측의 다이오드 브릿지에 흐르는 전류에 불평형이 발생했을 경우, 한쪽의 다이오드 브릿지에 전류가 집중해 버린다. 이런 상태가 장시간 계속되면, 열에 의해 한쪽의 다이오드 브릿지를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Δ결선 측의 다이오드 브릿지에 흐르는 전류와 Y 결선 측의 다이오드 브릿지에 흐르는 전류에 발생한 불평형을 검출할 수 있는 컨버터 및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12상 정류용 트랜스의 Δ결선과 Y 결선의 2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회로부와, 컨버터 회로부에 의해 출력된 직류 모선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전류 검출부에 의해 검출한 Δ결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와 Y 결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에 불평형이 생긴 것을 검출하는 불평형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컨버터는, Δ결선 측의 다이오드 브릿지에 흐르는 전류와 Y 결선 측의 다이오드 브릿지에 흐르는 전류에 발생한 불평형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컨버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컨버터의 동작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다이오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컨버터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컨버터의 동작의 설명에 제공되는 그림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컨버터 및 전력 변환 장치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컨버터(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컨버터(1)의 동작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다이오드 모듈(100)의 단면도이다.
컨버터(1)는 12상 정류용 트랜스(2)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한 직류 전압을 인버터(3)에 공급한다. 인버터(3)는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동기(4)에 공급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12상 정류용 트랜스(2)의 일차 측을 Δ결선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Y 결선으로 구성해도 괜찮다.
컨버터(1)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회로부(11)와, 직류 모선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기(12)와, 전류의 불평형을 검출하는 불평형 검출부(13)와, 리플 성분을 저감하는 직류 리액터(14)와, 전압을 평활하는 평활 콘덴서(15)를 구비한다.
컨버터 회로부(11)는 12상 정류용 트랜스(2)의 Δ결선과 Y 결선의 2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컨버터 회로부(11)는 Δ결선의 출력전압을 전파 정류하는 다이오드 브릿지(21)와 결선의 출력전압을 전파 정류하는 다이오드 브릿지(22)를 구비한다. 다이오드 브릿지(21)는 6개의 다이오드 소자(21a, 21b, 21c, 21d, 21e, 21f)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이오드 브릿지(22)는 6개의 다이오드 소자(22a, 22b, 22c, 22d, 22e, 22f)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이하에서는, 다이오드 소자(21a, 21b, 21c, 21d, 21e, 21f) 및, 다이오드 소자(22a, 22b, 22c, 22d, 22e, 22f)를 다이오드 소자군으로 총칭한다.
전류 검출기(12)는 컨버터 회로부(11)에 의해 출력된 직류 모선의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한 검출치를 불평형 검출부(13)에 출력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전류 검출기(12)가 직류 리액터(14)의 전단에 배치되어 있지만, 직류 리액터(14)의 후단에 전류 검출기(12)가 배치되어도 괜찮다. 또한, 12상 정류용 트랜스(2)의 일차 측을 Δ결선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Y 결선으로 구성해도 괜찮다.
불평형 검출부(13)는 전류 검출기(12)에 의해 검출된 Δ결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와 Y결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사이에 불평형이 생긴 것을 검출한다. 불평형 검출부(13)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직류 리액터(14)는 컨버터 회로부(11)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류를 평활하여 리풀 성분을 저감한다.
평활 콘덴서(15)는 컨버터 회로부(11)에 의해 변환 된 직류 전압의 리플 성분을 없앰으로써 직류 전압을 평활한다.
여기서, 불평형 검출부(13)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불평형 검출부(13)는 직류 전류 S3를 검출하는 직류 전류 검출부(31)와, 피크치를 검출하는 피크치 검출부(32)와, 보텀(bottom)치를 검출하는 보텀치 검출부(33)와, 피크치와 보텀치의 차분 S5를 검출하는 차분 검출부(34)와, 임계치 S4를 설정하는 설정부(35)와, 차분 검출부(34)의 출력과 설정부(35)의 출력을 비교하는 비교부(36)와, 알람 신호 S6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37)를 구비한다.
직류 전류 검출부(31)는 전류 검출기(12)에 의해 검출된 검출치에 기초하여 직류 전류 S3를 검출한다.
피크치 검출부(32)는 직류 전류 검출부(31)에 의해 검출한 직류 전류 S3의 피크치를 검출한다. 피크치 검출부(32)는 검출한 피크치에 기초하여 피크 홀드 신호 S1를 생성한다.
보텀치 검출부(33)는 직류 전류 검출부(31)에 의해 검출한 직류 전류 S3의 보텀치를 검출한다. 보텀치 검출부(33)는 검출한 보텀치에 기초하여 보텀 홀드 신호 S2를 생성한다.
차분 검출부(34)는 피크 홀드 신호 S1와 보텀 홀드 신호 S2에 기초하여 피크치와 보텀치와의 차분 S5를 검출한다.
설정부(35)는 직류 전류의 피크치와 보텀치와의 차분의 임계치 S4를 설정하고, 임계치 S4를 비교부(36)에 출력한다.
비교부(36)는 설정부(35)에 의해 설정된 임계치 S4와 차분 검출부(34)에 의해 검출된 차분 S5를 비교한다.
신호 출력부(37)는 비교부(36)에 의해 비교한 결과, 차분 검출부(34)에 의해 검출한 차분 S5가 설정부(35)에 의해 설정된 임계치 S4를 넘는 경우에는, 알람 신호 S6를 인버터(3)에 출력한다. 인버터(3)는 알람 신호 S6의 입력에 기초하여 전동기(4)의 동작을 정지한다.
여기서, 시각 t1에 있어서, 12상 정류용 트랜스(2)의 2차 측을 구성하는 Δ결선으로부터 출력된 교류 전압과 Y 결선으로부터 출력된 교류 전압에 차이가 생겨 다이오드 브릿지(21)에 흐르는 전류와 다이오드 브릿지(22)에 흐르는 전류에 불평형이 발생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덧붙여 이하에서는, 다이오드 브릿지(21)에 전류가 집중했을 경우를 고려한다.
시각 t1에 있어서, 다이오드 브릿지(21)에 흐르는 전류와 다이오드 브릿지(22)에 흐르는 전류에 불평형이 발생하면, 도 2(a)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전류가 평형하고 있을 때와 비교하여, 다이오드 브릿지(21)에 흐르는 전류 I1는 작아지고, 다이오드 브릿지(22)에 흐르는 전류 I2는 커진다. 이것은, 도 2(b)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컨버터 회로부(11)로부터 출력된 직류 모선의 전류의 리플 성분이 증가함으로써, 직류 전류 검출부(31)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 S3의 리플 성분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다이오드 브릿지(21)에 흐르는 전류와 다이오드 브릿지(22)에 흐르는 전류에 불평형이 발생했을 경우, 피크치 검출부(32)로부터 출력되는 피크 홀드 신호 S1가 증가하고, 보텀치 검출부(33)로부터 출력되는 보텀 홀드 신호 S2가 감소하기 때문에, 도 2(b)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피크 홀드 신호 S1와 보텀 홀드 신호 S2의 차분 S5가 커진다.
비교부(36)는 설정부(35)에 의해 설정된 임계치 S4와 차분 검출부(34)에 의해 검출된 차분 S5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를 신호 출력부(37)에 출력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도 2(b)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시각 t2에 있어서, 차분 S5가 임계치 S4를 넘었을 경우를 고려하고 있다.
신호 출력부(37)는 비교부(36)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차분 S5가 임계치 S4를 넘은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도 2(c)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알람 신호 S6를 인버터(3)에 출력한다.
인버터(3)는 알람 신호 S6에 기초하여, 전동기(4)의 운전을 정지한다. 인버터(3)에 의한 전동기(4)의 운전의 정지에 의해서, 컨버터(1)의 다이오드 브릿지(21) 및 다이오드 브릿지(22)에 인가되는 전류가 영이 된다.
따라서, 컨버터(1)는 Δ결선 측의 다이오드 브릿지(21)에 흐르는 전류와 Y 결선 측의 다이오드 브릿지(22)에 흐르는 전류에 불평형이 발생했을 경우, 단시간에 불평형 검출부(13)에 의해 전류의 불평형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컨버터(1)는 불평형 검출부(13)에 의해 전류의 불평형을 검출했을 경우, 알람 신호 S6를 인버터(3)에 출력하여, 전동기(4)의 운전을 정지시키므로, 한쪽의 다이오드 브릿지에 장시간 전류가 집중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열에 의해 한쪽의 다이오드 브릿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이오드 브릿지(21) 및 다이오드 브릿지(22)를 구성하는 다이오드 모듈(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다이오드 모듈(100)의 단면도이다. 다이오드 모듈(100)은 기판(101)에 형성되어 있는 구리배선(102)과 다이오드 소자군을 납땜(103)으로 고정하고 있다. 다이오드 모듈(100)은 방열용의 그리스(104)에 의해서 냉각 핀(105)에 고정되고 있다. 또한, 냉각 핀(105)은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106)가 장착되어 있다.
컨버터(1)는 온도 센서(106)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설정치를 넘었을 경우, 다이오드 브릿지(21) 또는 다이오드 브릿지(22)에 이상발열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해, 전류의 불평형을 검출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당해 구성에서는, 다이오드 브릿지(21) 및 다이오드 브릿지(22)가 다이오드 모듈(10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한쪽의 다이오드 브릿지에 발열이 생겨도, 열간섭에 의해 온도가 평균화되거나, 열용량이 큰 냉각 핀(105)에 열이 빼앗기거나 하여, 발열을 검출할 수 없는 또는, 검출에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실시 형태 1에 관한 컨버터(1)는, 다이오드 브릿지(21)와 다이오드 브릿지(22) 사이의 열간섭 및 냉각 핀(105)의 열용량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단시간에 전류의 불평형을 검출하여, 전동기(4)의 운전을 정지시키므로, 열에 의해 다이오드 브릿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이오드 소자군은 상한치를 넘는 온도 상승과 하한치를 넘는 온도 하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피로 파괴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시 형태 1에 관한 컨버터(1)는 단시간에 전류의 불평형을 검출하여, 전동기(4)의 운전을 정지시키므로, 상한치를 넘지 않고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다이오드 소자군의 피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4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컨버터(5)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컨버터의 동작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컨버터(5)는 12상 정류용 트랜스(2)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해, 변환한 직류 전압을 인버터(3)에 공급한다. 인버터(3)는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동기(4)로 공급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12상 정류용 트랜스(2)의 일차 측을 Δ결선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Y 결선으로 구성해도 괜찮다.
컨버터(5)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회로부(11)와, 직류 모선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기(12)와, 전류의 불평형을 검출하는 불평형 검출부(41)와, 리플 성분을 저감하는 직류 리액터(14)와, 전압을 평활하는 평활 콘덴서(15)를 구비한다.
실시 형태 2에 관한 컨버터(5)와 실시 형태 1에 관한 컨버터(1)는 불평형 검출부(41)와 불평형 검출부(13)의 구성이 다르다. 불평형 검출부(41) 이외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불평형 검출부(4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불평형 검출부(41)는, 전류 검출기(12)에 의해 검출된 검출치에 기초한 전류에 불평형이 생긴 것을 검출한다. 불평형 검출부(41)는 직류 전류 S11를 검출하는 직류 전류 검출부(51)와, 직류 전류 S11의 리플 주파수 S12를 산출하는 리플 주파수 산출부(52)와, 직류 전류 S11의 평균치 S13를 산출하는 평균치 산출부(53)와, 임계치 S14를 설정하는 설정부(54)와, 전류에 불평형이 생긴 것을 검출하는 전류 불평형 검출부(55)와, 알람 신호 S15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56)를 구비한다.
직류 전류 검출부(51)는 전류 검출기(12)에 의해 검출된 검출치에 기초하여 직류 전류 S11를 검출한다.
리플 주파수 산출부(52)는 직류 전류 검출부(51)에 의해 검출된 직류 전류 S11의 리플 주파수 S12를 산출한다. 여기서, 리플 주파수 산출부(52)에 의해 산출되는 직류 전류의 리플 주파수 S12에 대해 설명한다. 컨버터(5)는 12상 정류용 트랜스(2)로부터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있다. 따라서, 리플 주파수 산출부(52)에 의해 산출되는 리플 주파수 S12는, 평형 상태에 대해 전원 전압 주파수의 12배가 된다. 그러나, 다이오드 브릿지(21)에 흐르는 전류와 다이오드 브릿지(22)에 흐르는 전류에 불평형이 발생했을 경우, 리플 주파수 산출부(52)에 의해 산출되는 리플 주파수 S12는, 전원 전압 주파수의 6배로 감소한다. 덧붙여 리플 주파수는, 측정 정밀도에 따라서 오차가 생기지만, 전원 전압 주파수의 12배 또는 6배가 된다.
평균치 산출부(53)는 직류 전류 검출부(51)에 의해 검출된 직류 전류 S11의 평균치 S13를 산출한다. 설정부(54)는 임계치 S14를 설정한다.
전류 불평형 검출부(55)는, 리플 주파수 산출부(52)에 의해 산출된 직류 전류의 리플 주파수 S12가 전원 전압 주파수의 12배가 되지 않고, 또한, 평균치 산출부(53)에 의해 산출된 직류 전류의 평균치 S13가 설정부(54)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 S14를 넘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전류 검출기(12)에 의해 검출된 검출치에 기초하여 전류에 불평형이 생기고 있는 것을 검출한다.
신호 출력부(56)는, 전류 불평형 검출부(55)에 의해 전류의 불평형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알람 신호 S15를 인버터(3)에 출력한다. 인버터(3)는 알람 신호 S15의 입력에 기초하여 전동기(4)의 동작을 정지한다.
여기서, 시각 t1에 있어서, 다이오드 브릿지(21)에 흐르는 전류와 다이오드 브릿지(22)에 흐르는 전류에 불평형이 발생하고, 또한, 시각 t2에 있어서, 다이오드 브릿지(21) 또는 다이오드 브릿지(22)에 큰 발열이 생겼을 경우를 고려하여 설명한다.
시각 t1에 있어서, 다이오드 브릿지(21)에 흐르는 전류와 다이오드 브릿지(22)에 흐르는 전류에 불평형이 발생하면, 도 5(a)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불평형이 생기지 않을 때에 비교하여, 직류 전류 검출부(51)에 의해 검출되는 직류 전류 S11의 리플 성분이 커진다.
또한, 전동기(4)의 부하가 가볍고, 축출력이 작은 경우에는, 다이오드 브릿지(21) 또는 다이오드 브릿지(22)의 한쪽에 집중하는 전류는 작기 때문에, 열에 의해서 다이오드 소자군을 훼손할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전동기(4)의 부하가 무겁고, 축출력이 큰 경우에는, 컨버터 회로부(11)로 정류하는 전류가 커지기 때문에, 다이오드 브릿지(21) 또는 다이오드 브릿지(22)의 한쪽에 집중하는 전류가 커져, 열에 의해서 다이오드 소자군을 훼손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류 불평형 검출부(55)는, 도 5(b), (c)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리플 주파수 산출부(52)에 의해 산출한 직류 전류의 리플 주파수 S12가 전원 전압 주파수의 12배가 되지 않은, 즉 6배가 되는 것을 검출해, 평균치 산출부(53)에 의해 산출된 직류 전류 S11의 평균치 S13가 설정부(54)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 S14를 넘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전류 검출기(12)에 의해 검출된 검출치에 기초하는 전류에 불평형이 생기고 있는 것을 검출한다. 덧붙여 실시 형태 2에서는, 시각 t3에 있어서, 전류의 불평형을 검출한 것으로 한다.
신호 출력부(56)는, 전류 불평형 검출부(55)에 의해 전류의 불평형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도 5(d)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알람 신호 S15를 인버터(3)에 출력한다.
인버터(3)는 알람 신호 S15에 기초하여 전동기(4)의 운전을 정지한다. 인버터(3)에 의한 전동기(4)의 운전의 정지에 의해서, 컨버터(5)의 다이오드 브릿지(21) 및 다이오드 브릿지(22)에 인가되는 전류가 영이 된다.
따라서, 컨버터(5)는, Δ결선 측의 다이오드 브릿지(21)에 흐르는 전류와 Y 결선 측의 다이오드 브릿지(22)에 흐르는 전류에 불평형이 발생했을 경우, 단시간에 불평형 검출부(41)에 의해 전류의 불평형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컨버터(5)는, 불평형 검출부(41)에 의해 전류의 불평형을 검출했을 경우, 알람 신호 S15를 인버터(3)에 출력하여, 전동기(4)의 운전을 정지시키므로, 한쪽의 다이오드 브릿지에 장시간 전류가 집중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열에 의해 한쪽의 다이오드 브릿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컨버터, 2 12상정류용 트랜스,
3 인버터, 4 전동기,
11 컨버터 회로부, 12 전류 검출기,
13, 41 불평형 검출부, 14 직류 리액터,
15 평활 콘덴서, 21, 22 다이오드 브릿지,
21a, 21b, 21c, 21d, 21e, 21f, 22a, 22b, 22c, 22d, 22e, 22f 다이오드 소자,
31, 51 직류 전류 검출부, 32 피크치 검출부,
33 보텀치 검출부, 34 차분 검출부,
35, 54 설정부, 36 비교부,
37, 56 신호 출력부, 52 리플 주파수 산출부,
53 평균치 산출부, 55 전류 불평형 검출부.

Claims (4)

12상 정류용 트랜스의 Δ결선과 Y 결선의 2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회로부와,
상기 컨버터 회로부에 의해 출력된 직류 모선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기와,
상기 전류 검출기에 의해 검출한 Δ결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와 Y 결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사이에 불평형이 생기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불평형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평형 검출부는,
상기 전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검출치에 기초하여 직류 전류를 검출하는 직류 전류 검출부와,
상기 직류 전류의 피크치를 검출하는 피크치 검출부와,
상기 직류 전류의 보텀(bottom)치를 검출하는 보텀치 검출부와,
상기 피크치와 상기 보텀치의 차분을 검출하는 차분 검출부와,
상기 직류 전류의 피크치와 보텀치의 차분의 임계치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임계치와 상기 차분 검출부에 의해 검출한 차분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 의해 비교한 결과, 상기 차분 검출부에 의해 검출한 차분이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임계치를 넘는 경우에는,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구비하는 컨버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불평형 검출부는,
상기 전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검출치에 기초하여 직류 전류를 검출하는 직류 전류 검출부와,
상기 직류 전류 검출부에 의해 검출한 직류 전류의 리플 주파수를 산출하는 리플 주파수 산출부와,
상기 직류 전류 검출부에 의해 검출한 직류 전류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평균치 산출부와,
임계치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리플 주파수 산출부에 의해 산출한 직류 전류의 리플 주파수가 전원 전압 주파수의 12배가 되지 않고, 상기 평균치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직류 전류의 평균치가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임계치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전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검출치에 기초하는 전류에 불평형이 생기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전류 불평형 검출부와,
상기 전류 불평형 검출부에 의해 전류의 불평형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구비하는 컨버터.
청구항 1의 컨버터와,
상기 컨버터로부터 출력된 알람 신호가 입력되는 인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KR1020167021983A 2015-03-11 2015-03-11 컨버터 및 전력 변환 장치 KR101698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7192 WO2016143100A1 (ja) 2015-03-11 2015-03-11 コンバータおよび電力変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727A KR20160122727A (ko) 2016-10-24
KR101698304B1 true KR101698304B1 (ko) 2017-01-19

Family

ID=5687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983A KR101698304B1 (ko) 2015-03-11 2015-03-11 컨버터 및 전력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41094B2 (ko)
JP (1) JP6058213B1 (ko)
KR (1) KR101698304B1 (ko)
CN (1) CN106165281B (ko)
DE (1) DE112015000404B4 (ko)
TW (1) TWI605679B (ko)
WO (1) WO20161431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4061B (zh) * 2015-02-25 2018-06-08 三菱电机株式会社 转换器装置
US9893644B1 (en) 2016-11-15 2018-0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 power devices with automatically established input voltage connection configuration
CN112715001B (zh) * 2018-09-28 2024-05-14 三菱电机株式会社 直流电源装置、马达驱动装置、送风机、压缩机以及空气调节机
CN109671249A (zh) * 2018-11-30 2019-04-23 石狮市瑞力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温控自我保护且能够进行漏电检测的变频器
JP7366571B2 (ja) 2019-04-02 2023-10-23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寿命予測装置、空調システム、寿命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28132B2 (ja) * 2019-12-03 2023-08-1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Dcリンク電圧変動の原因を判定するモータ駆動装置
CN116935599B (zh) * 2023-09-14 2024-01-23 厦门优迅高速芯片有限公司 一种性能对工艺变化不敏感的报解警电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5484A (en) 1970-01-06 1971-06-15 D T E Imperial Corp Axial ampere-turn balancing in multiple, segregated secondary winding transformers
JP2007252087A (ja) 2006-03-16 2007-09-27 Hitachi Ltd 12相ダイオード整流装置
JP2008295155A (ja) 2007-05-23 2008-12-04 Shinko Electric Co Ltd 12相整流回路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675A (en) 1979-06-27 1981-01-23 Toshiba Corp Controlling system for controlled converter device
JPS5967874A (ja) 1982-10-12 1984-04-17 Toshiba Corp 半導体整流装置
US4638416A (en) 1984-03-01 1987-01-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voltage D.C. transmission with a bypass circuit for malfunctions
JP3128742B2 (ja) 1992-04-20 2001-0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源装置
CA2230500C (en) * 1995-09-08 2007-01-30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power converting method
JP3422218B2 (ja) 1996-10-11 2003-06-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コンバータ
US6137700A (en) 1997-10-08 2000-10-24 Daikin Industries, Ltd. Converter with a high power factor using a DC center point voltage
US5963440A (en) * 1998-01-12 1999-10-05 Eaton Corporation Controlled three-phase rectifier with current comparison between rectifier segments
US5963441A (en) * 1998-09-03 1999-10-05 Eaton Corporation Alternating current rectifier bridge and system for measuring average current per bridge segment
JP3769963B2 (ja) * 1999-02-12 2006-04-26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12パルス電力変換装置
JP2000333361A (ja) 1999-05-21 2000-11-30 Meidensha Corp 電力変換装置の保護継電装置
JP3488684B2 (ja) 1999-11-30 2004-01-19 三菱電機株式会社 整流回路および圧縮機駆動装置
JP3473569B2 (ja) 2000-11-10 2003-12-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
JP2005016958A (ja) * 2003-06-23 2005-01-20 Fanuc Ltd モータ駆動装置
US7012823B2 (en) 2004-07-26 2006-03-14 Eaton Corporation Method and control system employing conduction monitors for detecting unbalanced current condition of alternating current phases
KR101533560B1 (ko) * 2008-09-22 2015-07-09 삼성전자 주식회사 3상 역률 보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U2009344066B2 (en) * 2009-04-09 2015-08-06 Abb Schweiz Ag An arrangement for exchanging power
WO2012099176A1 (ja) * 2011-01-18 2012-07-26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電力変換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2957151A (zh) * 2011-08-22 2013-03-06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可再生能源系统的功率补偿装置及其方法
CN102624248B (zh) * 2012-04-01 2014-07-23 广东易事特电源股份有限公司 基于自耦移相变压器和双六脉波整流的ups电源
US20140043870A1 (en) * 2012-08-07 2014-02-13 Yaskawa America, Inc. Three phase boost converter to achieve unity power factor and low input current harmonics for use with ac to dc rectifiers
US9712084B2 (en) * 2014-01-06 2017-07-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 power conversion device
CN103762582B (zh) * 2014-01-20 2016-04-13 华中科技大学 一种立体式直流-直流变换器
US9484826B2 (en) * 2014-03-25 2016-11-01 Huazh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ultiport DC-DC autotransformer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d using the same
WO2016063132A1 (en) * 2014-10-24 2016-04-28 Tractive Power Corporation Multi-engine locomotive propuls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5484A (en) 1970-01-06 1971-06-15 D T E Imperial Corp Axial ampere-turn balancing in multiple, segregated secondary winding transformers
JP2007252087A (ja) 2006-03-16 2007-09-27 Hitachi Ltd 12相ダイオード整流装置
JP2008295155A (ja) 2007-05-23 2008-12-04 Shinko Electric Co Ltd 12相整流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58213B1 (ja) 2017-01-11
CN106165281B (zh) 2018-03-23
TW201644176A (zh) 2016-12-16
DE112015000404T5 (de) 2016-11-03
WO2016143100A1 (ja) 2016-09-15
JPWO2016143100A1 (ja) 2017-04-27
KR20160122727A (ko) 2016-10-24
TWI605679B (zh) 2017-11-11
CN106165281A (zh) 2016-11-23
DE112015000404B4 (de) 2020-01-02
US20170005588A1 (en) 2017-01-05
US9641094B2 (en) 201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304B1 (ko) 컨버터 및 전력 변환 장치
US9444373B2 (en) Motor control device having protective unit of charging resistor
US8773876B2 (en) Three-level inverter, power conditioner, and power generating system
JP6461874B2 (ja) 接続順序の判断方法、欠相判断方法
US8988906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TWI705647B (zh) 變換器及馬達控制裝置
JP2010154642A (ja) 3相インバータの電源回路保護装置
JP6323635B1 (ja) 並列電源装置
WO2010098084A1 (en)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with overcurrent protection
JP6159271B2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変換装置の制御方法
US11063530B2 (en) Method for removing direct current component at output terminal of MMC converter
JP2008187874A (ja) 三相交流電源の欠相検出装置
JP6886764B2 (ja) 電力変換装置
EP334045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inverter
JP6344558B2 (ja) 半導体電力変換器の故障検出装置
JP5985126B1 (ja) コンバータ装置
JP4466346B2 (ja) 半導体電力変換装置の地絡検出回路
KR20160032857A (ko) 서지 전압 보호 기능을 구비한 dc 리액터 내장형 인버터
JP7219665B2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異常検出方法
EP3340452B1 (en) Power conversion device
JP2011155782A (ja) 溶接電源装置
JP2010148326A (ja) 電源回路の故障検出装置
JP2013005641A (ja) 電力変換装置
KR20110121215A (ko) 저전압 직류 변환 장치의 불 평형 검출 회로 및 검출 방법
JP2016010245A (ja) 電源高調波抑制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