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064B1 -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064B1
KR101698064B1 KR1020150119850A KR20150119850A KR101698064B1 KR 101698064 B1 KR101698064 B1 KR 101698064B1 KR 1020150119850 A KR1020150119850 A KR 1020150119850A KR 20150119850 A KR20150119850 A KR 20150119850A KR 101698064 B1 KR101698064 B1 KR 101698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height
link
seat cush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석
정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
Priority to KR1020150119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는: 착석 가능하게 시트쿠션이 구비되는 시트프레임과, 시트프레임에 구비되어 제1레버를 통해 시트쿠션의 전방 높이를 조절하는 전방높이조절부와, 시트프레임에 구비되어 제2레버를 통해 시트쿠션의 후방 높이를 조절하는 후방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DEVICE FOR CONTROL SEAT HEIGHT OF VEHICLE}
본 발명은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높이조절부와 후방높이조절부를 이용하여 시트쿠션의 전후방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 자세를 자유롭게 하여 운전 피로감을 개선하고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 버스 등의 일반 차령과, 지게차,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 차량에는 운전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구비되어 있다. 시트는 사람이 않을 수 있는 시트쿠션과, 등을 지지할 수 잇는 시트백과, 시트쿠션을 지지하는 시트프레임과, 시트프레임의 저면에 구비되어 차량 바닥에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자동차에는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슬라이딩 장치 및 시트백 경사각도조절장치 등이 구비되어 운전자의 편의를 최대한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지게차,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 차량은 고속 운전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시트에 운전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중장비 차량의 시트는 운전자 체형을 고려하지 않고 그 높이가 정형화되어 있어 운전자 신체와 맞지 않는 시트에 장시간 않을 때, 불편하고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하며, 전방 시야 확보의 저하로 인해 조종성이 떨어져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1289호(발명의 명칭: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높이조절장치, 2013.10.16: 공개)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전방높이조절부와 후방높이조절부를 이용하여 시트쿠션의 전후방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 자세를 자유롭게 하여 운전 피로감을 개선하고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는, 착석 가능하게 시트쿠션이 구비되는 시트프레임; 상기 시트프레임에 구비되어 제1레버를 통해 상기 시트쿠션의 전방 높이를 조절하는 전방높이조절부; 및 상기 시트프레임에 구비되어 제2레버를 통해 상기 시트쿠션의 후방 높이를 조절하는 후방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전방높이조절부는, 상기 시트쿠션의 저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안착브라켓; 상기 시트쿠션의 전방부위를 승강하도록 상기 제1안착브라켓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 상기 제1링크부를 승강하도록 상기 시트프레임에 축 연결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제1레버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하는 제1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제1안착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지지링크; 상기 제1지지링크에 경사지게 축 연결되는 제1중간링크; 및 상기 제1중간링크에 일측이 축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회전축에 고정되는 제1회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작동부는, 상기 제1레버에 축 연결되어 상기 시트프레임에서 회전하는 제1구동기어; 및 상기 제1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1구동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부채꼴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높이조절부는, 상기 시트쿠션의 저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2안착브라켓; 상기 시트쿠션의 후방부위를 승강하도록 상기 제2안착브라켓에 연결되는 제2링크부; 상기 제2링크부를 승강하도록 상기 시트프레임에 축 연결되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2레버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회전축을 회전하는 제2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제2안착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지지링크; 및 상기 제2지지링크에 경사지게 일측이 축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회전축에 고정되는 제2회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작동부는, 상기 제2레버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구동기어; 상기 제2구동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시트프레임에서 힌지축에 의해 회전되는 제2부채꼴기어; 상기 제2부채꼴기어의 지지축에 의해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부채꼴기어의 회동에 의한 편심작동으로 당겨지거나 밀려지는 로드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의 타단에 축 연결되고, 상기 로드부재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회전축을 회동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레버와 상기 제2레버는 텐션조절부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회동시 조작 안정감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션조절부는, 상기 제1회전축에 고정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는 설치브라켓;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된 회전부재의 반대 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재; 및 상기 설치브라켓에 일측이 걸리고, 타측이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시트쿠션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상기 제1,제2레버의 하방 회동시, 늘어나면서 인장력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시트쿠션의 높이를 높이기 위해 상기 제1,제2레버의 상방 회동시, 오므려지면서 인장력이 감소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브라켓과 걸림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의 고리가 걸려지는 걸이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부채꼴기어는 회동제한부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시트프레임에 원호 형상으로 상기 제1,제2부채꼴기어의 기어치 범위 내에서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는 원호슬롯부; 및 상기 제1,제2부채꼴기어의 구비되고, 상기 원호슬롯부에 삽입되어 상단과 하단에 걸림에 따라 상기 제1,제2부채꼴기어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는, 전방높이조절부와 후방높이조절부를 이용하여 시트쿠션의 전후방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 자세를 자유롭게 하여 운전 피로감을 개선하고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측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전체 승강 상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전체 하강 상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전방 상승 및 후방 하강 상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전방 하강 및 후방 상승 상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측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전체 승강 상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전체 하강 상태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전방 상승 및 후방 하강 상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의 전방 하강 및 후방 상승 상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는, 시트프레임(100), 전방높이조절부(200) 및 후방높이조절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는, 운전석 시트쿠션(20)에 적용한다.
시트프레임(100)은 착석 가능하게 시트쿠션(20)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시트프레임(100)은 복수의 브라켓과, 브라켓을 연결 지지하는 다수개의 연결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시트쿠션(20)은 시트프레임(100)의 상측에 안착된다.
기존의 중장비용 운전석 시트쿠션(20)은 고정타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운전자의 자세에 맞춰 조절되는 것이 어려우므로 신체 체형이나 자세에 맞출 수 없어 장시간 운전시 운전자가 쉽게 피로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는,운전자의 체형과 자세에 따라 시트쿠션(20)의 전방 및 후방의 시트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 자세를 교정할 수 있어 장시간 작업시 운전자가 쉽게 피로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쿠션(2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운전자의 전방시야 확보가 용이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전방높이조절부(200)는 시트프레임(100)에 구비되어 제1레버(205)를 통해 시트쿠션(20)의 전방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전방높이조절부(200)는 시트쿠션(20)의 저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안착브라켓(210)과, 시트쿠션(20)의 전방부위를 승강하도록 제1안착브라켓(210)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220)와, 제1링크부(220)를 승강하도록 시트프레임(100)에 축 연결되는 제1회전축(230)과, 제1레버(205)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제1회전축(230)을 회전하는 제1작동부(240)를 포함한다.
제1안착브라켓(210)은 구멍이 형성되어 시트쿠션(20)의 저면에 구비되는 장착브라켓(미도시)에 나사 결합된다. 제1안착브라켓(210)은 시트쿠션(20)의 너비방향으로 한 쌍 형성된다. 제1링크부(220) 역시 한 쌍 형성된다.
제1회전축(230)은 시트프레임(100)의 너비방향으로 연결되어 후술하는 제1작동부(240)의 작동으로 상방(내측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또는 하방(내측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제1작동부(240)는 기어방식으로 제1회전축(230)을 회동시킨다.
제1링크부(220)는 제1안착브라켓(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지지링크(222)와, 제1지지링크(222)에 경사지게 축 연결되는 제1중간링크(224)와, 제1중간링크(224)에 일측이 축 연결되고, 타측이 제1회전축(230)에 고정되는 제1회전링크(226)를 포함한다.
제1지지링크(222)는 제1안착브라켓(2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지지링크(222)는 수평으로 배치된 제1안착브라켓(210)의 가장자리에서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수직으로 연결된다.
제1지지링크(222)는 상측부위가 넓고 하측부위가 협소한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중간링크(224)는 제1지지링크(222)의 하측부위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제1회전링크(226)에 힌지 연결된다. 제1중간링크(224)는 경사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제1지지링크(222)를 통해 시트쿠션(2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제1회전링크(226)는 제1중간링크(224)의 타측이 중간부위의 설치구멍(227)에 연결된다. 만약, 제1회전링크(225)의 단부의 설치구멍(227)에 제1중간링크(224)의 타측이 연결되는 경우, 제1회전축(230)으로부터 회전반경이 커짐에 따라 시트쿠션(20)의 승하강 높낮이가 더 커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치구멍(227)의 개수를 2개 도시하지만, 설치구멍(227)의 개수는 증감할 수 있다.
이와 겉이, 제1회전링크(226)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설치구멍(227)을 구비하여 시트쿠션(20)의 승하강 높낮이를 작게 하고자 하는 경우, 제1회전축(230)에서 가까운 설치구멍(227)에 제1중간링크(224)의 타측을 연결하도록 하고, 시트쿠션(20)의 승하강 높낮이를 크게 하고자 하는 경우, 제1회전축(230)에서 멀리 떨어진 설치구멍(227)에 제1중간링크(224)의 타측을 연결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1회전링크(226)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설치구멍(227)에 선택적으로 제2중간링크(224)의 타측을 설치함에 따라 시트쿠션(20)의 승하강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작동부(240)는 제1레버(205)에 축 연결되어 시트프레임(100)에서 회전하는 제1구동기어(242)와, 제1회전축(230)에 고정되고, 제1구동기어(242)에 치합되어 제1회전축(230)을 회전시키는 제1부채꼴기어(244)를 포함한다.
제1구동기어(242)는 피니언기어로서, 로터리타입의 제1레버(205)에 축 연결되어 제1레버(205)의 상방(시계방향) 또는 하방(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사트쿠션(20)을 상승 또는 하강 시킨다.
제1부채꼴기어(244)는 제1구동기어(242)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회전축(230)을 회전시킨다.
한편,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205)를 하방(반시계방향) 회전하는 경우를 살펴 본다. 제1레버(20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부채꼴기어(242)는 제1회전축(23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회전축(230)에 축 결합된 제1링크부(220)의 제1회전링크(226)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중간링크(224)와 제1지지링크(222)를 하강하여 시트쿠션(20)의 높이를 낮추어 준다.
그리고, 제1레버(205)를 상방(시계방향) 회전하는 경우를 살펴 본다. 제1레버(20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부채꼴기어(242)는 제1회전축(23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회전축(230)에 축 결합된 제1링크부(220)의 제1회전링크(225)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중간링크(224)와 제1지지링크(222)를 상승하여 시트쿠션(20)의 높이를 높여준다.
후방높이조절부(300)는 시트프레임(100)에 구비되어 제2레버(305)를 통해 시트쿠션(20)의 후방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후방높이조절부(300)는 시트쿠션(20)의 저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2안착브라켓(310)과, 시트쿠션(20)의 후방부위를 승강하도록 제2안착브라켓(310)에 연결되는 제2링크부(320)와, 제2링크부(320)를 승강하도록 시트프레임(100)에 축 연결되는 제2회전축(330)과, 제2레버(305)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제2회전축(330)을 회전하는 제2작동부(340)를 포함한다.
제2안착브라켓(310)은 구멍이 형성되어 시트쿠션(20)의 저면에 구비되는 장착브라켓(미도시)에 나사 결합된다. 제2안착브라켓(310)은 시트쿠션(20)의 너비방향으로 한 쌍 형성된다. 제2링크부(320) 역시 한 쌍 형성된다.
제2회전축(330)은 시트프레임(100)의 너비방향으로 연결되어 후술하는 제2작동부(340)의 작동으로 상방(내측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또는 하방(내측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제2작동부(340)는 기어방식으로 제2회전축(330)을 회동시킨다.
제2링크부(320)는 제1안착브라켓(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지지링크(322)와, 제2지지링크(322)에 경사지게 일측이 축 연결되고, 타측이 제2회전축(330)에 고정되는 제2회전링크(324)를 포함한다.
제2지지링크(322)는 제2안착브라켓(3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지지링크(322)는 수평으로 배치된 제2안착브라켓(310)의 가장자리에서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수직으로 연결된다.
제2회전링크(324)는 제2지지링크(322)의 하측부위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제2회전축(330)에 일체로 축 결합된다. 제2회전링크(324)는 제2회전축(330)에 의해 경사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제2지지링크(322)를 통해 시트쿠션(2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제2작동부(340)는 제2레버(305)에 축 연결되어 시트프레임(100)에서 회전하는 제2구동기어(342)와, 제2구동기어(342)에 치합되고, 시트프레임(100)에서 힌지축에 의해 회전되는 제2부채꼴기어(344)와, 제2부채꼴기어(344)의 지지축에 의해 일단이 연결되고, 제2부채꼴기어(344)의 회동에 의한 편심작동으로 당겨지거나 밀려지는 로드부재(346)와, 로드부재(346)의 타단에 축 연결되고, 로드부재(346)의 동작에 의해 제2회전축(330)을 회동시키는 회전부재(348)를 포함한다.
제2구동기어(342)는 피니언기어로서, 로터리타입의 제2레버(305)에 축 연결되어 제2레버(305)의 상방(시계방향) 또는 하방(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사트쿠션(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제2부채꼴기어(344)는 제2구동기어(242)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드부재(346)을 우측을 당기거나 좌측으로 밀어 제1회전축(230)을 회전시킨다.
한편,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버(305)를 하방(반시계방향) 회전하는 경우를 살펴 본다. 제2레버(30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부채꼴기어(342)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축에 결합된 로드부재(346)를 우측으로 당겨주면서 회전부재(348)의 시계방향 회전을 통해 제2회전축(33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회전축(330)에 축 결합된 제2링크부(320)의 제2회전링크(324)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지지링크(322)를 하강하여 시트쿠션(20)의 높이를 낮추어 준다.
그리고, 제2레버(305)를 상방(시계방향) 회전하는 경우를 살펴 본다. 제2레버(30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부채꼴기어(342)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축에 결합된 로드부재(336)를 좌측으로 밀어주면서 회전부재(348)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통해 회전축(23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회전축(330)에 축 결합된 제2링크부(320)의 제2회전링크(324)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지지링크(322)를 상승하여 시트쿠션(20)의 높이를 높여준다.
제1레버(205)와 제2레버(305)는 텐션조절부(40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회동시 조작 안정감(그립감)을 제공받는다.
텐션조절부(400)는 제1회전축(230)에 고정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는 설치브라켓(410)과, 제2회전축(330)에 결합된 회전부재(348)의 반대 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재(420)와, 설치브라켓(410)에 일측이 걸리고, 타측이 걸림부재(420)에 걸리는 탄성스프링(430)을 포함한다.
설치브라켓(410)은 제1부채꼴기어(244)와 제1회전링크(226) 사이에 구비된다. 특히, 설치브라켓(410)은 제1부채꼴기어(244)와 제1회전링크(226) 사이의 중간부위에서 제1회전링크(226)에 더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설치브라켓(410)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40)의 탄성력이 제1부채꼴기어(244)에서 더 멀수록 그립감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틴성스프링(430)은 코일스프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탄성스프링(430)은 코일스프링 이외에 가스스프링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트쿠션(20)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제1,제2레버(205,305)의 하방(하강) 회동시, 늘어나면서 인장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1,제2레버(205,305)를 회동할 때, 함이 많이 들어가므로 뻑뻑한 조작감을 제공받는다. 이는 시트쿠션(20)에 운전자가 착석해 높이가 낮아지므로 신체 하중을 이겨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1,제2레버(205,305)의 조작이 뻑뻑해야 한다.
한편, 시트쿠션(20)의 높이를 높이기 위해 제1,제2레버(205,305)의 상방(상승) 회동시, 오므려지면서 인장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제1,제2레버(205,305)을 회동할 때, 힘이 덜 들어가므로 부드러운 조작감을 제공받는다. 이는 시트쿠션(20)에 운전자가 착석해 높이가 높아지므로 신체 하중을 이겨내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제1,제2레버(205,305)의 조작이 부드러워야 한다.
회전부재(348)와 걸림부재(420)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치브라켓(410)과 걸림부재(420)의 단부에는 탄성스프링(430)의 고리(432)가 걸려지는 걸이홈부(440)가 형성될 수 있다. 걸이홈부(440)는 탄성스프링(430)의 설치 반대방향으로 개방 형성된다.
제1,제2부채꼴기어(244,344)는 회동제한부(500)에 의해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회동제한부(500)는 시트프레임(100)에 원호 형상으로 제1,제2부채꼴기어(244,344)의 기어치 범위 내에서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는 원호슬롯부(510)와, 제1,제2부채꼴기어(244,344)에 구비되고, 원호슬롯부(510)에 삽입되어 상단과 하단에 걸림에 따라 제1,제2부채꼴기어(244,344)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축(520)을 포함한다.
걸림축(520)은 원형축으로 이루어진다.
걸림축(520)의 단부에는 원호슬롯부(510)의 너비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이탈방지부(5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530)는 걸림축(520)의 단부에 체결되는 나사부재일 수 있다. 이탈방지부(530)는 걸림축(520)의 회동시, 제1,제2부채꼴기어(244,344)가 시트프레임(100)에서 안정적으로 회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걸림축(520)을 원호슬롯부(51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걸림축(520)의 단부에서 이탈방지부(530)의 나사 결합을 풀어 원호슬롯부(510)에서 분리하면 된다.
도 6은 제1레버(205)와 제2레버(305)가 상방 회동하여 시트쿠션(20)의 전방과 후방 모두 상승하여 시트쿠션(20) 전체의 높이가 높여진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7은 제1레버(205)와 제2레버(305)가 하방 회동하여 시트쿠션(20)의 전방과 후방 모두 하강하여 시트쿠션(20) 전체의 높이가 낮아진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8은 제1레버(205)가 상방 회동하고, 제2레버(305)가 하방 회동하여 시트쿠션(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9는 제1레버(205)가 하방 회동하고, 제2레버(305)가 상방 회동하여 시트쿠션(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약간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9의 경우, 시트쿠션(20)이 거의 수평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0 : 시트쿠션 100 : 시트프레임
200 : 전방높이조절부 210 : 제1안착브라켓
220 : 제1링크부 222 : 제1지지링크
224 : 제1중간링크 226 : 제1회전링크
230 : 제1회전축 240 : 제1작동부
242 : 제1구동기어 244 : 제1부채꼴기어
300 : 후방높이조절부 310 : 제2안착브라켓
320 : 제링크부 322 : 제2지지링크
324 : 제2회전링크 330 : 제2회전축
340 : 제2작동부 342 : 제2구동기어
344 : 제2부채꼴기어 346 : 로드부재
348 : 회전부재 400 : 텐션조절부
410 : 설치브라켓 420 : 걸림부재
430 : 탄성스프링 432 : 고리
440 : 걸이홈부 500 : 회동제한부
510 : 원호슬롯부 520 : 겅림축

Claims (13)

  1. 착석 가능하게 시트쿠션이 구비되는 시트프레임;
    상기 시트프레임에 구비되어 제1레버를 통해 상기 시트쿠션의 전방 높이를 조절하는 전방높이조절부; 및
    상기 시트프레임에 구비되어 제2레버를 통해 상기 시트쿠션의 후방 높이를 조절하는 후방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높이조절부는,
    상기 시트쿠션의 저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안착브라켓;
    상기 시트쿠션의 전방부위를 승강하도록 상기 제1안착브라켓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
    상기 제1링크부를 승강하도록 상기 시트프레임에 축 연결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제1레버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하는 제1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제1안착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지지링크;
    상기 제1지지링크에 경사지게 축 연결되는 제1중간링크; 및
    상기 제1중간링크에 일측이 축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회전축에 고정되는 제1회전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링크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중간링크의 하단부가 축 결합되도록 다수 개의 설치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쿠션의 승하강 높낮이를 작게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회전축에서 가까운 상기 설치구멍에 상기 제1중간링크의 타측을 연결하고,
    상기 시트쿠션의 승하강 높낮이를 크게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회전축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설치구멍에 상기 제1중간링크의 타측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부는,
    상기 제1레버에 축 연결되어 상기 시트프레임에서 회전하는 제1구동기어; 및
    상기 제1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1구동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부채꼴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높이조절부는,
    상기 시트쿠션의 저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2안착브라켓;
    상기 시트쿠션의 후방부위를 승강하도록 상기 제2안착브라켓에 연결되는 제2링크부;
    상기 제2링크부를 승강하도록 상기 시트프레임에 축 연결되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2레버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2회전축을 회전하는 제2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제2안착브라켓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지지링크; 및
    상기 제2지지링크에 경사지게 일측이 축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회전축에 고정되는 제2회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부는,
    상기 제2레버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구동기어;
    상기 제2구동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시트프레임에서 힌지축에 의해 회전되는 제2부채꼴기어;
    상기 제2부채꼴기어의 지지축에 의해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부채꼴기어의 회동에 의한 편심작동으로 당겨지거나 밀려지는 로드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의 타단에 축 연결되고, 상기 로드부재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회전축을 회동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와 상기 제2레버는 텐션조절부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회동시 조작 안정감을 제공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부는,
    상기 제1회전축에 고정되어 일측으로 돌출되는 설치브라켓;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된 회전부재의 반대 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재; 및
    상기 설치브라켓에 일측이 걸리고, 타측이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시트쿠션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상기 제1,제2레버의 하방 회동시, 늘어나면서 인장력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시트쿠션의 높이를 높이기 위해 상기 제1,제2레버의 상방 회동시, 오므려지면서 인장력이 감소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브라켓과 걸림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의 고리가 걸려지는 걸이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채꼴기어는 회동제한부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시트프레임에 원호 형상으로 상기 제1부채꼴기어의 기어치 범위 내에서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는 원호슬롯부; 및
    상기 제1부채꼴기어에 구비되고, 상기 원호슬롯부에 삽입되어 상단과 하단에 걸림에 따라 상기 제1부채꼴기어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KR1020150119850A 2015-08-25 2015-08-25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KR101698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850A KR101698064B1 (ko) 2015-08-25 2015-08-25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850A KR101698064B1 (ko) 2015-08-25 2015-08-25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064B1 true KR101698064B1 (ko) 2017-02-01

Family

ID=58109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850A KR101698064B1 (ko) 2015-08-25 2015-08-25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0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22U (ja) * 1992-08-11 1994-03-04 株式会社ノーリツ 浴槽の支持高さ調整用治具
KR970005829A (ko) * 1995-07-06 1997-02-19 자동차용 시트 리프터
KR20040001150A (ko) * 2002-06-27 2004-01-07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22U (ja) * 1992-08-11 1994-03-04 株式会社ノーリツ 浴槽の支持高さ調整用治具
KR970005829A (ko) * 1995-07-06 1997-02-19 자동차용 시트 리프터
KR100227013B1 (ko) * 1995-07-06 1999-10-15 다까다 이사부 자동차용 시트 리프터
KR20040001150A (ko) * 2002-06-27 2004-01-07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4463B1 (en) Seat assembly having a seat cushion rocker mechanism
JP6615596B2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エクステンション装置
JP4767966B2 (ja) 折りたたみ式肘掛け
JP5259153B2 (ja)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サポート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JP5694547B2 (ja) 前後調整可能車両座席
JP6524843B2 (ja) 乗物用シート
US8414055B2 (en) Vehicle seat
CN101489443B (zh) 可调节支承组件
JP2015058929A (ja) 車両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725414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CA2569766A1 (en) Rotating armrest mechanism
KR101600199B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101592758B1 (ko) 차량용 후석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1698064B1 (ko) 중장비 차량용 시트 높이조절장치
US10894489B2 (en) Seat tilt control mechanism
KR100636026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기구
EP1676744A1 (en) Height adjustable armrest for a vehicle door
KR101925457B1 (ko) 차량용 시트장치
JP6623844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716976B1 (ko) 전동식 헤드레스트
KR20200002072A (ko) 수평 유지 암레스트 장치
KR200386997Y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기구
KR101407262B1 (ko) 차량용 시트의 틸팅 장치
KR20180045482A (ko) 시트용 암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1806123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