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605B1 - 표사제어용 블럭체 - Google Patents

표사제어용 블럭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605B1
KR101697605B1 KR1020160028550A KR20160028550A KR101697605B1 KR 101697605 B1 KR101697605 B1 KR 101697605B1 KR 1020160028550 A KR1020160028550 A KR 1020160028550A KR 20160028550 A KR20160028550 A KR 20160028550A KR 101697605 B1 KR101697605 B1 KR 101697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block
base
wing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호
조희성
Original Assignee
조준호
조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호, 조희성 filed Critical 조준호
Priority to KR1020160028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605B1/ko
Priority to PCT/KR2016/013082 priority patent/WO2017155182A1/ko
Priority to US15/502,107 priority patent/US1022774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Abstract

효율적으로 파력을 감쇄시켜 모래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한 가지의 형태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변화무쌍하게 변화하는 파도의 높이와 속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표사제어용 블럭체가 개시되어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표사제어용 블럭체는 제1 블럭체(100), 제2 블럭체(200) 및 제3 블럭체(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블럭체(100)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날개부(120); 상기 제1 날개부(120)의 반대편을 형성하고 갈고리형상으로 시작하는 제1 경사부(140); 상기 제1 날개부(120) 및 상기 제1 경사부(140)의 하부몸체를 이루는 제1 기저부(160); 및 상기 제1 기저부(160)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다리부(180)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럭체(200)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날개부(220); 상기 제2 날개부(220)의 반대편을 형성하고 갈고리형상으로 시작하는 제2 경사부(240); 상기 제2 날개부(220) 및 상기 제2 경사부(240)의 하부몸체를 이루며, 양 말단에 단차가 형성된 제2 기저부(260); 상기 제2 기저부(260)의 양 옆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기저부(260)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끼움결합하고, 상면이 라운딩 처리된 연장부(270); 및 상기 제2 기저부(260)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다리부(280)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블럭체(300)는 상면이 라운딩처리되고 하부몸체는 양 말단에 단차가 형성된 제3 기저부(360); 상기 제3 기저부(360)의 양 옆에 위치하며, 상기 제3 기저부(360)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끼움결합하고, 상면이 라운딩 처리된 연장부(370); 및 상기 제3 기저부(360)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다리부(38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표사제어용 블럭체{BLOCK FOR PREVENTING SAND EROSION}
본 발명은 표사제어용 블럭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결의 흐름에 의한 물입자 속도의 감속작용을 유도하여, 파도의 파력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킴으로서, 모래의 포집을 유도하여 표사의 제어를 통해 해안 생태복원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표사제어용 블럭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파도에 의한 연약지반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자연석, 인공해초 또는 테트라포트 등의 구조물들을 사용하여 방파제를 축조하였다. 그러나, 자연석의 경우는 파도에 의한 파력의 영향으로 인하여 자연석의 지반이 침하되어 붕괴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인공해초에 의한 구조물의 경우는 파력을 감쇄시키는 효과가 미비한 한계가 있으며, 테트라포트는 구조물의 높이 및 특유한 구조로 인하여 간극이 크게 발생하기에 틈 사이로 사람이 실족하여 사망하거나 부상입는 사례가 빈번하여 사고의 위험이 많아 문제가 많은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0761875호에서는 기능성 소파블럭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를 설치하기 위하여는 연약지반 위에 사석층, 방수층을 형성해야하므로 설치비용이 증대되고 작업절차가 까다로워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파력감쇄를 통해 모래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근본 구조의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는 본원을 따라올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닷속에 위치하며 해안의 모래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표사제어용 블럭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가지의 형태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변화무쌍하게 변화하는 파도의 높이와 속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표사제어용 블럭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형, 환경, 조류형태, 해변의 모습에 따라 적절한 블럭체를 선택하여 다양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표사제어용 블럭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고정다리부 및 고정말뚝을 통하여 지반에로의 고정력이 강화된 표사제어용 블럭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표사제어용 블럭체는 제1 블럭체(100), 제2 블럭체(200) 및 제3 블럭체(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블럭체(100)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날개부(120); 상기 제1 날개부(120)의 반대편을 형성하고 갈고리형상으로 시작하는 제1 경사부(140); 상기 제1 날개부(120) 및 상기 제1 경사부(140)의 하부몸체를 이루는 제1 기저부(160); 및 상기 제1 기저부(160)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다리부(180)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럭체(200)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날개부(220); 상기 제2 날개부(220)의 반대편을 형성하고 갈고리형상으로 시작하는 제2 경사부(240); 상기 제2 날개부(220) 및 상기 제2 경사부(240)의 하부몸체를 이루며, 양 말단에 단차가 형성된 제2 기저부(260); 상기 제2 기저부(260)의 양 옆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기저부(260)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끼움결합하고, 상면이 라운딩 처리된 연장부(270); 및 상기 제2 기저부(260)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다리부(280)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블럭체(300)는 상면이 라운딩처리되고 하부몸체는 양 말단에 단차가 형성된 제3 기저부(360); 상기 제3 기저부(360)의 양 옆에 위치하며, 상기 제3 기저부(360)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끼움결합하고, 상면이 라운딩 처리된 연장부(370); 및 상기 제3 기저부(360)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다리부(380)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럭체의 배열은 양 말단에 제3 블럭체(300)가 위치하고, 그 사이에 상기 제1 블럭체(100) 및 상기 제2 블럭체(200)가 배열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블럭체(100)의 제1 날개부(120) 및 제1 기저부(160)의 측면에는 돌출기둥(R) 또는 오목기둥(S)이 형성되고, 이와 끼움결합하도록 제2 블럭체(200)의 제2 날개부(220) 및 제2 기저부(260)의 측면에도 돌출기둥(R) 또는 오목기둥(S)이 형성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블럭체(100), 상기 제2 블럭체(200) 및 상기 제3 블럭체(300)에는 다수의 견인고리(P)가 형성되며, 각 블럭체의 고정을 위해 다수의 고정말뚝(K)이 삽입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인 표사제어용 블럭체에 의하면 바닷속에 위치하며 효율적으로 표사의 제어가 가능하여 해안의 모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표사제어용 블럭체의 형태가 한 가지의 형태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변화무쌍하게 변화하는 파도의 높이와 속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블럭체를 개시하므로, 효율적으로 환경변화에 따라 모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지형, 환경, 조류형태, 해변의 모습에 따라 적절한 블럭체를 선택하여 다양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경제적이여서 모래 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블럭체를 유실하지 않기 위하여 지반에 단단히 고정하는 수단을 개시함에 따라 간편하고도 고정력있는 방법으로 모래유실방지가 지속적으로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1 블럭체, 제2 블럭체 및 제3 블럭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럭체들의 여러가지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표사제어용 블럭체의 설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표사제어용 블럭체의 설치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본 발명인 표사제어용 블럭체는 크게 제1 블럭체, 제2 블럭체 및 제3 블럭체로 구성되며, 제1 블럭체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지만, 제2 블럭체 및 제3 블럭체는 세개의 몸체로 구성된다. 각 블럭체는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고, 각기 다른 형태를 갖는 블럭체가 지형, 조류, 해변상태 등의 다양한 환경조건에 따라 조립되어 설치될 수 있는 형태를 개시한다. 이하, 구성요소별로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1 블럭체(100)는 바닷속에 위치하며 조류가 완만할 경우에 많이 투입되는 블럭체로서, 제1 날개부(120), 제1 경사부(140), 제1 기저부(160) 및 고정다리부(180)로 형성된다. 도 1(a)를 참고하여 제1 블럭체(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다방향을 향해 있으며 외측에서 중심부측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날개부(120)는 바다방향을 향해 놓이며, 제1 날개부(120)의 경사각은 수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0°~45°의 각도로 형성된다. 30°이하의 각도에서는 파고에 대한 감쇄효과가 미비하며, 45°이상의 각도에서는 파고에 대한 저항력이 발생하여 효과가 상쇄되므로 상술한 각도는 임계적 의의가 있다. 상기 제1 날개부(120)의 반대편을 형성하고 해안방향을 향해 있으며 외측에서 중심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을 갖되 끝단에서 갈고리 형상이 형성된 제1 경사부(140)는 해안방향을 향해 놓인다. 만조를 타고 들어오는 높은 파고가 간조시 해상쪽으로 밀려나갈때, 해저의 모래가 같이 바다방향으로 밀려나가게 되는데, 제1 블럭체(100)의 갈고리형상의 제1 경사부(140)가 모래의 이동을 방해하여 제1 경사부(140)를 따라 모래가 유실되지 않도록 운집된다. 제1 기저부(160)는 상기 갈고리형상의 제1 경사부(140)와 연결되고 반대편은 상기 경사각을 갖는 제1 날개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블럭체(100)의 하단을 이룬다. 다수의 고정다리부(180)는 상기 제1 기저부(160) 저면에 설치되어 제1 블럭체(100)가 파력에 의하여 이동되거나 유실되지 않도록 한다.
길이방향으로 긴 바(bar)형상으로 바닷속에 위치하는 제2 블럭체(200)는 높은 파고 또는 파도의 속도가 빠를 경우 이에 대응하는 블럭체로서,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2 기저부(260)와 양 옆에 위치하는 2개의 제2연장부(270)로 구성되는 세개의 몸체로 형성된다. 도 1(b)를 참고하여 제2 블럭체(2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측에서 중심부측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을 갖는 제2 날개부(220)는 바다방향을 향해 놓이며, 제2 날개부(220)의 경사각은 수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0~45°의 각도로 형성되나, 상기 제1 날개부(120)의 각도보다는 완만한 경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날개부(220)의 반대편은 육지(해안)방향을 향해 놓이며, 끝단에서 갈고리형상이 형성된 제2 경사부(240)를 형성한다. 만조를 타고 들어오는 낮은 파고가 간조시 해상쪽으로 밀려나갈때, 해저의 모래가 같이 바다방향 쪽으로 밀려나가게 되는데, 제2 블럭체(200)의 갈고리 형상으로 시작하는 제2 경사부(240)가 모래의 이동을 방해하여 만곡부(240)의 급한 경사를 따라 모래가 유실되지 않도록 운집된다. 제2 기저부(260)는 상기 제2 날개부(220) 및 상기 제2 경사부(240)의 하부몸체를 이루며, 길이방향(종방향)의 양쪽 끝단에는 단차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기저부(260)의 길이방향 양쪽 끝단에 형성된 단차부에는 제2연장부(270)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총 3개의 몸체가 제2 블럭체(200)를 형성한다. 즉, 제2연장부(270)는 상기 제2 기저부(260)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끼움결합하고, 상면이 라운딩 처리되어 파력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제2 블럭체(200)의 제2연장부(270)로 인하여, 제2 블럭체(200)의 총길이는 제1 블럭체(100)보다 길게되며, 이러한 블럭체의 길이 차이를 통하여 모래이동의 걸림을 유도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모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다수의 고정다리부(280)는 상기 제2 기저부(260) 저면에 설치되어 제2 블럭체(200)가 파력에 의하여 이동되거나 유실되지 않도록 한다.
바닷속에 위치하는 제3 블럭체(200)는 길이방향(종방향)으로 긴 바(bar) 형상으로, 제1 및 제2 블럭체와 함께 길이방향과 수직인 측면(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할 경우, 배열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벽체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제1 블럭체(100) 및 제2 블럭체(200)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며, 제3 기저부(360) 및 상기 제3기저부(360)의 길이방향의 양쪽 끝단에 끼움결합되는 2개의 제3연장부(370)로 구성된다. 도 3(c)를 참고하여 제3 블럭체(3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 블럭체(300)의 제3 기저부(360)는 상면이 라운딩처리되고 하부몸체는 길이방향의 양쪽 끝단에 단차부가 형성된다. 양쪽 끝단에 형성된 상기 단차부 위로는 제3연장부(370)가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끼움결합하는데, 파도가 있는 바다속에 블럭체를 설치하게 되므로 블럭체 설치시 파도의 저항을 받지 않으려면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끼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제3연장부(370)의 상면은 라운딩 처리하여 파도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자연스럽게 파도가 넘나들 수 있도록 한다. 다수의 고정다리부(380)는 상기 제3 기저부(360) 저면에 설치되어 제3 블럭체(300)가 파력에 의하여 이동되거나 유실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1블럭체, 제2블럭체, 제3블럭체의 측면이란,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를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제1 블럭체(100) 및 제2 블럭체(200)는 서로 끼움결합방식으로 결합하는데, 도 1(a)는 제1 블럭체(100)의 제1 날개부(120) 및 제1 기저부(160)의 측면에 돌출기둥(R) 또는 오목기둥(S)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며, 도 1(b)는 제2 블럭체(200)의 제2 날개부(220) 및 제2 기저부(260)의 측면에 돌출기둥(R) 또는 오목기둥(S)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즉, 돌출기둥(R)이 형성된 제1 블럭체(100)는 오목기둥(S)이 형성된 제2 블럭체(200)와 결합한다. 돌출기둥(R) 또는 오목기둥(S)은 하나씩만 설치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수의 기둥을 형성하여 더욱 강한 고정력을 부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표사제어용 블럭체는 제1 블럭체, 제2 블럭체를 지형과 조류의 상태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조립설치가 가능하고, 제1 블럭체(100)는 조류가 약하거나 완만할 경우 많이 쓰이고, 제2 블럭체(200)는 조류가 강할때 많이 사용되는데, 이 경우 블럭체의 시작점과 끝점에는 제3 블럭체(300)가 위치하여 방파제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블럭체의 배열은 도면과 같이 제1블럭체, 제2블럭체, 제3블럭체가 길이방향(종방향)으로 수직인 측면(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배열된 블럭체의 가장자리에 제3 블럭체(300)가 위치하고, 그 사이에는 상기 제1 블럭체(100) 및 상기 제2 블럭체(200)가 교대로 반복 또는 단독 반복하도록 형성되는데, 예를 들면 도 4와 같이 조류가 세고 파도가 심할 때는 제1 블럭체(100)와 제2 블럭체(200)를 교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5와 같이 조류가 완만할 때는 제1 블럭체(100)를 반복적으로 설치한 후 제2 블럭체(20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블럭체들의 배열부의 가장자리에는 항상 제3 블럭체(300)가 위치하여 방파제 역할을 수행하지만, 파고가 높은 지역은 제1 블럭체(100)를 상대적으로 제2 블럭체(200)보다 적게 배치하여 역류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모래 유실방지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블럭체의 조립 및 설치를 간단하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제1 블럭체(100), 상기 제2 블럭체(200) 및 상기 제3 블럭체(300)에는 다수의 견인고리(P)가 형성되어 운반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각 블럭체들간의 조립 및 고정을 위하여 다수의 고정말뚝(K)이 블럭체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제1 블럭체 120 : 제1 날개부
140 : 제1 경사부 160 : 제1 기저부
180 : 고정다리부 200 : 제2 블럭체
220 : 제2 날개부 240 : 제2 경사부
260 : 제2 기저부 270 : 제2연장부
280 : 고정다리부 300 : 제3 블럭체
360 : 제3 기저부 380 : 고정다리부

Claims (6)

  1. 표사제어용 블럭체에 있어서,
    제1 블럭체(100)는
    바다방향을 향해 있으며 외측에서 중심부측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날개부(120),
    상기 제1 날개부(120)의 반대편을 형성하고 해안방향을 향해 있으며 외측에서 중심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을 갖되 끝단에서 갈고리형상이 형성된 제1 경사부(140),
    상기 제1 날개부(120) 및 상기 제1 경사부(140)의 하부몸체를 이루는 제1 기저부(160)를 포함하며;

    제1블럭체보다 긴 바(bar)형상으로 상기 제1블럭체(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2 블럭체(200)는
    바다방향을 향해 있으며 외측에서 중심부측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날개부(220),
    상기 제2 날개부(220)의 반대편을 형성하고 해안방향을 향해 있으며 끝단에서 갈고리형상이 형성된 제2 경사부(240),
    상기 제2 날개부(220) 및 상기 제2 경사부(240)의 하부몸체를 이루며, 길이 방향으로 양쪽 끝단에 단차부가 형성된 제2 기저부(260),
    상기 제2 기저부(260)의 양쪽 끝단에 형성된 상기 단차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며 상면이 라운딩 처리된 제2연장부(27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블럭체 및 제2블럭체는 측면으로 각각 복수개로 배열되는 표사제어용 블럭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면이 라운딩처리되고 하부몸체는 길이방향으로 양쪽 끝단에 단차부가 형성된 제3 기저부(360); 상기 제3 기저부(360)의 양쪽 끝단에 형성된 상기 단차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되, 상기 제3 기저부(360)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끼움결합되고 상면이 라운딩 처리된 제3연장부(370);를 포함하는 바 형상의 제3블럭체(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블럭체(300) 사이에 상기 제1 블럭체(100) 및 상기 제2 블럭체(200)가 배열되는 표사제어용 블럭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럭체(100)의 제1 날개부(120) 및 제1 기저부(160)의 측면에는 돌출기둥(R) 또는 오목기둥(S)이 형성되고, 이와 끼움결합하도록 제2 블럭체(200)의 제2 날개부(220) 및 제2 기저부(260)의 측면에도 돌출기둥(R) 또는 오목기둥(S)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사제어용 블럭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럭체(100), 상기 제2 블럭체(200) 및 상기 제3 블럭체(300)에는 다수의 견인고리(P)가 형성되며, 각 블럭체의 고정을 위해 다수의 고정말뚝(K)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사제어용 블럭체.
  5. 제2항에 있어서,
    제1기저부(160), 제2기저부(260), 제3기저부(360)의 저면에는 각각 다수의 고정다리부가 구비되는 표사제어용 블럭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블럭체(300)의 높이는 제1블럭체(100) 및 제2블럭체(200)의 높이보다 높은 표사제어용 블럭체.

KR1020160028550A 2016-03-09 2016-03-09 표사제어용 블럭체 KR101697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550A KR101697605B1 (ko) 2016-03-09 2016-03-09 표사제어용 블럭체
PCT/KR2016/013082 WO2017155182A1 (ko) 2016-03-09 2016-11-14 표사제어용 블럭체
US15/502,107 US10227744B2 (en) 2016-03-09 2016-11-14 Block for preventing sand ero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550A KR101697605B1 (ko) 2016-03-09 2016-03-09 표사제어용 블럭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605B1 true KR101697605B1 (ko) 2017-01-19

Family

ID=57990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550A KR101697605B1 (ko) 2016-03-09 2016-03-09 표사제어용 블럭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27744B2 (ko)
KR (1) KR101697605B1 (ko)
WO (1) WO201715518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0957A (ko) 2019-03-18 2020-09-28 한시영 해안침식방지 블록체
CN113957855A (zh) * 2021-11-16 2022-01-21 宋佳 一种基于国土空间规划的区域生态整治修复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1716B1 (en) 2019-12-09 2023-05-30 David Jonassen Erosion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shoreline eros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1128A (ja) * 1997-05-30 1998-12-15 Tetra Co Ltd 潜堤用消波ブロック及び潜堤
JPH1121844A (ja) * 1997-06-30 1999-01-26 Hitachi Zosen Corp 養浜用防波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6313A (ja) * 1982-11-19 1984-06-02 Yukio Moritomo 防砂・防波堰堤
US5238326A (en) * 1992-04-03 1993-08-24 Creter Richard E Submerged breakwater for use as a perch for sand retention
CA2271580A1 (en) * 1999-05-14 2000-11-14 D. M. Patric Ryan The ryan wave reversing break wall
KR100761875B1 (ko) 2007-02-09 2007-09-28 (주)에코원 기능성 소파블럭 및 그 시공방법
JP2013060769A (ja) * 2011-09-14 2013-04-04 Kurenai Sugiyama 津波防波堤
KR20140100321A (ko) * 2013-02-06 2014-08-14 한빛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KR101450787B1 (ko) * 2013-02-20 2014-10-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식 방호 블록들의 배치 구조
KR101377443B1 (ko) * 2013-05-22 2014-03-25 주식회사 우리창우종합건축사사무소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및 복원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1128A (ja) * 1997-05-30 1998-12-15 Tetra Co Ltd 潜堤用消波ブロック及び潜堤
JPH1121844A (ja) * 1997-06-30 1999-01-26 Hitachi Zosen Corp 養浜用防波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0957A (ko) 2019-03-18 2020-09-28 한시영 해안침식방지 블록체
CN113957855A (zh) * 2021-11-16 2022-01-21 宋佳 一种基于国土空间规划的区域生态整治修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5182A1 (ko) 2017-09-14
US20180363263A1 (en) 2018-12-20
US10227744B2 (en)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605B1 (ko) 표사제어용 블럭체
US5879105A (en) Wave energy dispersion system
KR101665811B1 (ko) 부유식 플랫폼
US20170080348A1 (en) Submerged wave generation system
US2920454A (en) Apparatus for protecting offshore structures
KR102085562B1 (ko) 부력을 이용한 그물 설치구조물
KR101164723B1 (ko) 신속설치 및 이동가능한 방파제 구축용 부유체 및 이에 의하여 조립되어 형성되는 부유식 방파제
KR101977110B1 (ko) 부유식 교량 구조
KR102253127B1 (ko) 다기능 부유체
KR200429685Y1 (ko) 조립식 부교
US20020132539A1 (en) Ribbed module for wave energy dispersion
JP2018199898A (ja) 河川構造
RU2564864C1 (ru) Гибкий волнолом
JP4469985B2 (ja) 消波構造物
KR20120005503U (ko) 세굴방지 블록
KR101797950B1 (ko) 파괴식 파랑에너지 저감 연안 시설물
KR101568264B1 (ko) 파향 전환기능을 갖는 잠제블록
KR20160118470A (ko) 복합형 파랑에너지 저감 연안 시설물
KR101260643B1 (ko) 해빈절벽화 저감장치 및 그 저감방법
JP5330216B2 (ja) 人工魚礁
JPH07252819A (ja) 人工島
RU2490392C2 (ru) Селегаситель
EP0576771A1 (en) Wave-breaking barrier for dissipating the energy of incoming waves near coasts
KR101359010B1 (ko) 해안침식방지용 말뚝블록 및 그 구조체
KR102299844B1 (ko) 구조적 기능을 갖는 스톤네트 생태 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