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957A - 해안침식방지 블록체 - Google Patents

해안침식방지 블록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957A
KR20200110957A KR1020190030518A KR20190030518A KR20200110957A KR 20200110957 A KR20200110957 A KR 20200110957A KR 1020190030518 A KR1020190030518 A KR 1020190030518A KR 20190030518 A KR20190030518 A KR 20190030518A KR 20200110957 A KR20200110957 A KR 20200110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groove
circumferential
rotating
coastal er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2592B1 (ko
Inventor
한시영
Original Assignee
한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시영 filed Critical 한시영
Priority to KR1020190030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59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0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파력을 감쇄시켜 모래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해안침식방지 블록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해안 인근 해저바닥에 침식방지 블록체를 설치하여 해안의 모래유실과 침식을 방지하게 하되 침식방지 블록체를 신속하게 설치하여 설치비용을 절감시키면서 운반이 용이하게 하면서 구조강도가 저하되는 것를 방지할 수 있는 해안침식방지 블록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안침식방지 블록체{Block structure for preventing coast erosion}
본 발명은 파력을 감쇄시켜 모래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해안침식방지 블록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해안 인근 해저바닥에 침식방지 블록체를 설치하여 해안의 모래유실과 침식을 방지하게 하되 침식방지 블록체를 신속하게 설치하여 설치비용을 절감시키면서 운반이 용이하게 하면서 구조강도가 저하되는 것를 방지할 수 있는 해안침식방지 블록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해안지반위에 파도의 파력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소파블록만을 설치하거나 또는 테트라포트, 사석 등으로 해안선 또는 제방을 피복하여 파도에 의한 해안선의 침식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소파블록 설치 또는 테트라포트나 사석을 설치하는 방식은 비속적으로 발생되는 파도의 파력에 의해 설치된 부분의 지반이 유실되면서 자동적으로 소파블록이나, 테트라포트 또는 사석이 함께 유실되어 해안선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없다.
특히 지속적인 모래유실로 인해 해안선을 따라 형성되는 모래사장이 규모가 감소됨에 따라 해수욕을 즐기는 관광객의 방문이 줄어들어 해당지역의 상권이 쇠락하는 되는 등 지역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50787호(2014.10.06.등록;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는 침식 방호 블록들의 배치구조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은 최상부보호블록과, 폭방향결합블록을 다수 결합하여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치시 각각의 블록을 설치바닥에 안치하고 인접한 블록간에 일부 교차되도록 함으로써 전체블록을 일체로 결속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1은 설치시 개별 블록 간에 일정부분 겹치게 형성하기 때문에 정위치 겹침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위치설정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설치시간이 길어져 결국 전체 시공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97605호(2017.01.12.등록;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는 표사제어용 블록체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는 제1블럭체와 제2블럭체를 바다속에 위치하며, 해안의 모래유실을 방지하는 구조로 제공되고 있다. 이는 길이방향으로 긴 블록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빠른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블록체간 결합방식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돌출기둥과 오목기둥의 결합하는 방식이어서 정수직방향으로 배열시키는 정교한 위치설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다소 오래 소요될 수 있고 결합과정에서 파손위험이 있다. 또한, 모래유실 방지수단이 중앙의 높은 벽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장시간 사용시 허용된 적층량 이상의 모래는 다시 바다쪽으로 유실되며 파력감쇄 효과도 미비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장시간 모래유실 방지효력이 제공되면서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50787호(2014.10.06.등록) : 침식 방호 블록들의 배치구조 한국등록특허 제10-1697605호(2017.01.12.등록) : 표사제어용 블록체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안침식방지 블록체는,
바다속에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해안방향으로의 일정 경사에 대응하면서 모래유실을 방지로 해안침식을 방지할 수 있는 블록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체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블록체 하부에 다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하되 걸림홈 형성에 의한 구조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구조를 갖는 블록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안침식방지 블록체는,
해안침식방지 블록체에 있어서, 전후 길이방향보다 좌우 폭방향이 5~10배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구조체로, 상부면은 길이방향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경사면을 갖는 블록본체와; 상기 블록본체의 길이방향 전방단부에 위치하여 수평으로 길게 누운 원기둥 형태로 상부로 곡면부분이 돌출된 회동원주단과; 상기 회동원주단의 높이보다 2~3배 큰 높이로 형성되고, 다른 블록체의 회동원주단의 상부를 감싸도록 갈고리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갈고리부의 저면은 원주내입홈으로 형성하여 회동원주단이 회동가능하게 내입되도록 하고, 상기 갈고리부의 돌출길이는 다른 블록체의 경사면과 접하지 않도록 형성하여 회동시 유격을 제공하는 회동갈고리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원주단은 단부 저면에는 폭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홈이 일정간격 이격형성되어 이송시 다접점으로 걸림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의 상부면에는 회동원주단과 연결되는 부분 중 저면에 걸림홈이 형성된 상부면에 강도보강돌기가 더 형성하고, 상기 회동갈고리단의 갈고리부 단부에는 강도보강돌기를 내입시켜 고정시키는 측면이동방지홈이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도보강돌기의 폭은 걸림홈의 1~1.5배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회동원주단의 최상단에서 블록본체 경사면으로 수평연결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이동방지홈의 바닥면과 이에 대응되는 다른 블록체의 강도보강돌기 상부면은 다른 블록체와 수평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원주내입홈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10~20˚ 각도로 이격 형성되어 두 블록체의 상향 꺾임 최대각을 10~20˚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의 저면에는 바닥시트가 더 부착되되, 상기 바닥시트는 블록체의 전방측 바닥면에 일부 부착되고 나머지는 전방측으로 돌출시키고, 돌출된 바닥시트는 다른 블록체의 후방측이 안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다측으로 배치되어 최후방 블록체는 원주내입홈 부분을 채워서 고정지지단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지지단의 저면에는 고정 스파이크가 다수 형성되어 해저에 침투되도록 설치하여 파랑에 의해 블록체 들림을 방지하게 하고, 후방저면에는 회동원주단의 걸림홈과 동일선상에 걸림홈을 형성하여 이송시 걸림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해안침식방지 블록체는,
폭방향으로 길게 블록체를 형성하여 폭방향으로의 추가 연결없이 해안과 바다 방향인 길이방향으로만 중첩설치되는 등 신속한 설치로 시공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록체 하부에 다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하여 클램프 결합에 의한 블록체 이송을 용이하게 하고, 걸림홈과 대응되는 상부에 강도보강돌기를 형성하여 강도저하를 방지하면서 취약구조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고, 상부로 돌출된 강도보강돌기는 다른 블록체의 후방 저면에 형성된 측면이동방지홈에 결합되어 상하 블록체간 측면으로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다수 적층된 블록체는 상부면이 물결무늬와 유사한 형태로 제공하여 해수파동에 따라 블록체에 적층된 모래를 해안방향으로 이동시켜 해안모래의 유실을 최소화하는 등 신속한 설치에 의해 시공비용절감과, 구조강도를 보강에 의한 블록체파손방지 및 모래유실에 의한 해안침식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유용한 블록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안침식방지 블록체의 전방사시도 및 후방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안침식방지 블록체의 평면도.
도 2b와 도 2c는 도 2a의 A-A 부분과 B-B부분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시트가 부착된 블록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단과 고정스파이크가 형성된 블록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시 해수파동에 의한 모래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작용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안침식방지 블록체의 전방사시도 및 후방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안침식방지 블록체의 평면도이고, 도 2b와 도 2c는 도 2a의 A-A 부분과 B-B부분의 단면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안침식방지 블록체(10)는 블록본체(20)와, 상기 블록본체의 전방에 형성된 회동원주단(30)과, 상기 블록본체의 후방에 형성된 회동갈고리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블록체(10)의 길이방향은 해안선에서 바다 방향 또는 바다방향에서 해안선 방향으로서 블록체를 연속 설치하는 상하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며, 폭방향은 해안선 방향으로서 좌우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블록체 자체를 보면 폭방향이 긴 직사각형 구조이나, 본 발명에서는 긴 길이인 좌우를 폭방향으로 하고, 짧은 길이를 갖는 상하를 길이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블록체(10)는 길이방향보다 폭방향이 5~10 배 길게 형성된 폭방향이 긴 직사각형 구조체이다. 바람직하게는 블록체의 좌우 폭방향 길이는 8~12m의 길이로 형성하고, 상하 길이방향 길이는 1.2~1.6m의 범위로 형성하고, 최대 높이를 갖는 회동갈고리단의 높이는 0.4~0.6m의 범위로 형성하여 대단위면적을 한 번에 시공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상기 범위 이외에 상기 비율로 폭과 길이를 다양한 크기로 확대 및 축소시켜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블록본체(20)는 블록체 중 상부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면(21)을 갖는 중간 부분을 가리킨다.
상기 회동원주단(30)은 원기둥이 수평으로 눕혀져서 블록본체 전방측에 일체로 부착된 형태이다. 상기 회동원주단(30)은 블록본체의 전방 상부면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되고 전방으로도 원기둥 곡면이 표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원주단(30)과 블록본체(20)의 연결은 회동원주단 높이의 1/2의 폭을 통해 일체로 연결된다. 즉, 블록본체(20)의 상부 경사면(21)은 회동원주단 단면의 측면 중 후방최외각에 연결되고, 블록본체의 바닥면은 회동원주단 단면의 최저점을 연결하는 형태로 회동원주단과 블록본체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회동갈고리단(40)은 회동원주단(30)의 높이보다 2~3배 높은 크기로 형성되어 회동갈고리단(40)의 상단과 회동원주단(30)의 측면을 연결하여 블록본체(20)의 경사면(21)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회동갈고리단(40)은 후방으로 휘어지도록 돌출된 갈고리부(41)와, 상기 갈고리부의 휨에 의해 형성된 갈고리부 저면의 원주내입홈(42)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갈고리부(41)의 돌출은 다른 블록체의 회동원주단(30) 상부를 감싸도록 휨이 이루어져 그 저면에 원주내입홈(42)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원주내입홈(42)은 먼저 설치된 블록체의 회동원주단(30)을 감싸도록 안치시켜 블록체를 전후방향으로 연속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속설치되는 블록체(10)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각 회동이 이루어져 해저면의 전후 방향 경사에 대응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체(10)를 수평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속설치시 갈고리부(41)의 돌출된 단면이 다른 블록체의 경사면(21)에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하여 갈고리부의 단부와 경사면사이의 각도만큼 나중에 설치된 블록체는 먼저 설치된 블록체의 회동원주단(30)을 중심축으로하여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겹쳐서 설치된 두 개의 블록체간 회동각도는 회동원주단의 중심을 기준으로 먼저 설치된 블록체의 경사면(21)과 나중에 설치된 블록체의 갈고리부(41) 단부 사이의 각도를 10~20˚로 각도를 형성하여 두 블록체간 상향 꺾임 최대각도를 10~20˚로 형성되도록하여 해저 경사면에 대응되어 설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블록체(10)는, 회동원주단(30)의 저면에 전방으로 개구된 걸림홈(3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31)은 블록체 운반시 이송장치의 일부를 예컨대 클램프 등을 내입고정시켜 끌어 올리거나 내리게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블록체(10)는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 폭방향으로 걸림홈(31)을 다수 형성하여 블록체 전면에 다수개의 이송수단이 장착되게 해 다접점에 의해 하중분산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상기 블록체(10) 후면은 회동갈고리단(40) 하부에 빈공간이 형성됨으로 이송장치는 블록체 전면의 걸림홈과 블록체 후면의 회동갈고리단 하부를 통해 블록체를 다접점 결속시켜 이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체(10)는, 블록본체(20)와 회동원주단(30)의 연결부분에 강도보강돌기(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체(10)는 전방측의 걸림홈(31)과 후방하부를 걸어서 들어 올리는데 이때 하중은 구조강도가 제일 약한 부위인 블록본체와 회동원주단의 연결부분에 집중된다. 따라서, 걸림홈 형성부위와 인접한 연결부위에 강도보강돌기(22)를 형성하여 구조강도를 강화시킨 것이다.
이러한 강도보강돌기(22)는 걸림홈(31)의 1~1.5배의 폭을 갖게 형성하고, 상부면은 도 2b와 같이 회동원주단(30)의 최상단에서 블록본체 경사면(21)으로 수평연결된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강도보강돌기(22)는 블록본체와 회동원주단의 연결부분에 다수 형성되므로 다접점에 의해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블록본체와 회동원주단의 연결부위 전체에 강도보강돌기를 형성할 수 있으나, 이는 회동원주단과 회동갈고리단의 걸림이 발생되지 않아 회동 결합이 어려운 구조이다. 따라서, 부분적으로만 강도보강돌기를 형성하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회동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도보강돌기(22)는 강도보강 이외에 블록체간 결합시 측면이동을 방지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먼저 회동갈고리단 갈고리부(41)의 단부 저면에는 강도보강돌기(22)와 대응되는 측면이동방지홈(43)을 형성하여 강도보강돌기(22)를 내입해 고정시킴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연속 결합되는 블록체간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측면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이동방지홈(43)의 바닥면도 이에 대응되는 다른 블록체의 강도보강돌기(22) 상부면과 일정각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두 블록체를 수평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측면이동방지홈(43)의 바닥면과, 이에 대응되는 강도보강돌기(22) 상부면 사이의 각도를 원주내입홈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10~20˚로 이격형성하여 두 블록체의 상향 꺾임 최대각을 10~20˚ 각도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각도 이내에서 상향으로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하향각도로도 회동 가능하며, 하향각도는 최대 45˚ 내외로 회동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회동갈고리단의 갈고리부(41) 단부와 다른 블록체의 경사면(21) 사이와, 측면이동방지홈(43) 바닥면과 이에 대응되는 다른 블록체의 강도보강돌기(22) 상부면 사이의 각도를 10~20˚ 각도로 이격형성하면, 두 블록체는 중첩되는 원주내입홈 내부의 회동원주단을 중심으로 10~20˚ 각도의 상향꺾임이 가능하여 경사진 해저면에 대응하여 설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강도보강돌기(22)는 블록본체의 경사면과 회동원주단 사이의 모래적층 공간에 측벽으로 작용하여 적층된 모래가 폭방향을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최대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a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10)는 바닥시트(60)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바닥시트(60)는 블록체 바닥이 세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해저바닥면을 덮는 것으로, 블록체와 유사한 바닥면적으로 형성하여 블록체 저면에 부착시키되, 일부만 블록체에 부착되고, 나머지는 전방인 회전원주단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후행으로 설치되는 블록체가 선행으로 설치된 블록체의 돌출된 바닥시트에 안치되도록 구성하여 바닥시트는 적어도 2개의 블록체에 의해 가압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시트는 양측면을 폭방향으로 더 연장시켜 다수 블록체가 결합된 전체 구조에서 바닥시트가 측면으로더 연장되어 보다 넓은 면적을 통해 해안바닥이 세굴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바닥측에 배치되는 최후방 블록체(10'; 처음 설치되는 블록체)는 도 3b를 참조한 바와같이 회동갈고리단 중 원주내입홈이 형성된 부분을 채워 고정지지단(50)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지지단의 저면에는 고정스파이크(52)를 다수 형성하여 해저바닥면에 침투시켜 측면압 또는 상승압에 의해 블록체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스파이크는 블록체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블록체 저면에 다수의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에 탈착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는 고정지지단(50)이 형성된 후방저면에 전방의 걸림홈(31)과 동일 선상에 걸림홈(51)이 형성되어 이송시 걸림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10)는 연속설치시 상부면의 형태가 상부로 돌출된 돌출구역과, 하부로 함몰된 함몰구역이 반복형성되고, 그 사이 연결은 어느 일측으로 편형되는 경사구역으로 형성된다. 이는 해수의 파동이 수직방향으로 이동 후 층류이동이 이루어지는 점을 착안하여 형성된 것이다.
즉, 바다쪽에서 해안쪽으로 파도칠 때 해수 바닥의 파동은 해안쪽으로 대각선 상하 이동이 이루어진 다음 층류이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블록체(10) 상부에서는 해수 파동이 대각선 상하 이동시 블록체의 돌출구역인 회동갈고리단(40)을 넘게 되고, 해수 파동이 층류이동시에는 블록체의 경사면(21)을 따라 회동갈고리단 측에서 전방측인 회동원주단 측으로 이동하여 적층되고, 다시 상하 해수파동과, 층류 해수파동에 의해 점진적으로 다수개를 적층한 블록체의 후방에서 전방측으로 모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모래의 이동으로 해안측에는 모래유실을 최소화하거나 오히려 해저의 모래를 이동하여 쌓게 되므로 모래사장의 모래량을 풍성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의 설치방향을 반대로 형성하면 해안의 모래나 흙은 해저 방향으로 이동하여 매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도 응용이 가능하다.
10 : 블록체
20 : 블록본체
21 : 경사면
22 : 강도보강돌기
30 : 회동원주단
31 : 걸림홈
40 : 회동갈고리단
41 : 갈고리부
42 : 원주내입홈
43 : 측면이동방지홈
50 : 고정지지단
51 : 걸림홈
52 : 고정스파이크
60 : 바닥시트

Claims (5)

  1. 해안침식방지 블록체에 있어서,
    전후 길이방향보다 좌우 폭방향이 5~10배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구조체로, 상부면은 길이방향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면(21)을 갖는 블록본체(20)와;
    상기 블록본체의 길이방향 전방단부에 위치하여 수평으로 길게 누운 원기둥 형태로 상부로 곡면부분이 돌출된 회동원주단(30)과;
    상기 회동원주단의 높이보다 2~3배 큰 높이로 형성되고, 다른 블록체의 회동원주단의 상부를 감싸도록 갈고리부(41)가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갈고리부의 저면은 원주내입홈(42)으로 형성하여 회동원주단(30)이 회동가능하게 내입되도록 하고, 상기 갈고리부의 돌출길이는 다른 블록체의 경사면과 접하지 않도록 형성하여 회동시 유격을 제공하는 회동갈고리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방지 블록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원주단(30)은 단부 저면에는 폭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홈(31)이 일정간격 이격형성되어 이송시 다접점으로 걸림이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방지 블록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20)의 상부면에는 회동원주단(30)과 연결되는 부분 중 걸림홈(31)이 형성된 상부면에 강도보강돌기(22)가 더 형성하고,
    상기 회동갈고리단의 갈고리부(41) 단부에는 강도보강돌기(22)를 내입시켜 고정시키는 측면이동방지홈(43)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방지 블록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보강돌기(22)의 폭은 걸림홈(31)의 1~1.5배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회동원주단(30)의 최상단에서 블록본체 경사면(21)으로 수평연결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이동방지홈(43)의 바닥면과 이에 대응되는 다른 블록체의 강도보강돌기(22) 상부면은 다른 블록체와 수평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원주내입홈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10~20˚ 각도로 이격 형성되어 두 블록체의 상향꺾임최대각을 10~20˚ 각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방지 블록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10)의 저면에는 바닥시트(60)가 더 부착되되, 상기 바닥시트는 블록체의 전방측 바닥면에 일부 부착되고 나머지는 전방측으로 돌출시키고, 돌출된 바닥시트는 다른 블록체의 후방측이 안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다측으로 배치되어 최후방 블록체(10')는 원주내입홈 부분을 채워서 고정지지단(50)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지지단의 저면에는 고정 스파이크(52)가 다수 형성되어 해저에 침투되도록 설치하여 파랑에 의해 블록체 들림을 방지하게 하고,
    후방저면에는 회동원주단의 걸림홈(31)과 동일선상에 걸림홈(51)을 형성하여 이송시 걸림이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방지 블록체.

KR1020190030518A 2019-03-18 2019-03-18 해안침식방지 블록체 KR102222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518A KR102222592B1 (ko) 2019-03-18 2019-03-18 해안침식방지 블록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518A KR102222592B1 (ko) 2019-03-18 2019-03-18 해안침식방지 블록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957A true KR20200110957A (ko) 2020-09-28
KR102222592B1 KR102222592B1 (ko) 2021-03-03

Family

ID=7280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518A KR102222592B1 (ko) 2019-03-18 2019-03-18 해안침식방지 블록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5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2311A (ja) * 1992-04-24 1993-11-16 Kita Nippon Block Kogyo Kk 護岸の施工方法
KR200164646Y1 (ko) * 1999-08-05 2000-02-15 조용우 경계블럭
KR20140104115A (ko) * 2013-02-20 2014-08-2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식 방호 블록들의 배치 구조
KR101697605B1 (ko) 2016-03-09 2017-01-19 조준호 표사제어용 블럭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2311A (ja) * 1992-04-24 1993-11-16 Kita Nippon Block Kogyo Kk 護岸の施工方法
KR200164646Y1 (ko) * 1999-08-05 2000-02-15 조용우 경계블럭
KR20140104115A (ko) * 2013-02-20 2014-08-2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식 방호 블록들의 배치 구조
KR101450787B1 (ko) 2013-02-20 2014-10-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식 방호 블록들의 배치 구조
KR101697605B1 (ko) 2016-03-09 2017-01-19 조준호 표사제어용 블럭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592B1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9624B1 (en) Breakwater
US5632571A (en) Concrete geomattress
US10400406B2 (en) Wave dissipation systems, modul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the same
WO2006031525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building a sand beach
CN103321241A (zh) 深水开敞式组合基础码头及其施工方法
US3230721A (en) Walking work barge
KR102222592B1 (ko) 해안침식방지 블록체
US20140193199A1 (en) Coastal recovery utilizing repositionable shoal module
US5645371A (en) Bulkhead system
JP5646978B2 (ja) 透過式海域制御構造物の構築方法
US20140119869A1 (en) Bucket Design for Maximizing Liquid Transport
JP2009114689A (ja) 護岸構造の施工方法
JP6630610B2 (ja) 防波構造物の改良方法
US9062429B2 (en) Shallow water jacket installation method
KR101450787B1 (ko) 침식 방호 블록들의 배치 구조
CN112609585B (zh) 一种适用于水上大型钢沉井定位的缆绳施工方法
KR101141894B1 (ko) 해안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안소파 구조물
JPS6131245B2 (ko)
US6742965B1 (en) Erosion control and bulkhead apparatus
KR101792995B1 (ko) 해양생태지형에 시공되는 케이블 보호용 블록조립체
NO318063B1 (no) Fremgangsmate for flytting av offshore-konstruksjon
KR102383736B1 (ko) 크레인 레일기초 일체형 케이슨 및 시공 방법
KR102211097B1 (ko) 소파 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
US6786675B1 (en) Erosion control and bulkhead apparatus
CN215053174U (zh) 一种闸坝基础加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