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321A -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321A
KR20140100321A KR1020130013482A KR20130013482A KR20140100321A KR 20140100321 A KR20140100321 A KR 20140100321A KR 1020130013482 A KR1020130013482 A KR 1020130013482A KR 20130013482 A KR20130013482 A KR 20130013482A KR 20140100321 A KR20140100321 A KR 20140100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anels
inner space
bank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하
Original Assignee
한빛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빛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빛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3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0321A/ko
Publication of KR20140100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제방용 월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속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우천시 집중호우로 인해 급격히 불어난 하천수가 제방위로 월류할 수 있고 도심지에서 하수역류에 의한 건물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제방용 월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이 접이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패널; 및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개방된 면을 밀폐하는 막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패널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가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저장된 유체의 자중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월류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방용 월류방지장치{device to prevent overflow}
본 발명은 제방용 월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속한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우천시 집중호우로 인해 급격히 불어난 하천수가 제방위로 월류할 수 있고 도심지에서 하수역류에 의한 건물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제방용 월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을 축조할 때 흙을 다져 담의 형태로 쌓은 다음 경사면에 석축을 쌓아올리고 그 위에 철망을 설치하여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거나 모래나 흙이 담긴 포대를 쌓아 올림으로써 하천수의 월류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지구의 기온상승에 따라 이상강수와 국지성 집중호우, 게릴라성 강수로 인하여 예상치 못한 많은 양의 빗물이 하천으로 유입되어 제방을 범람하여 홍수가 발생하는 일이 빈번하다. 또한, 도심지의 하수 관로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하수관 맨홀로 역류한 우수가 주변 주택지, 상가의 지하실 등을 침수시키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월류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모래나 흙을 포대에 담아 쌓는 응급 대응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는 응급상황 발생시 포대에 담길 모래나 흙과 같은 자재확보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포대에 모래나 흙을 담는 시간 역시 많이 소요되므로 순식간에 상승하는 우수에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측이 연결된 한 쌍의 패널(10a,10b)의 하부단을 스파이크(12)를 통해 지반에 고정시킴으로써 집중 호우시 월류하는 유수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패널 조립식 홍수저지벽이 개발되었다.(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0489호)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홍수저지벽은 패널을 지반에 고정하는 고정력이 지반내로 박히는 스파이크(12)를 통해서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스파이크(12)를 지반에 박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며 지면과 패널 사이에 수중접착제 또는 수중경화몰탈을 사용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로 인해, 스파이크를 개별적으로 고정하고 제외지축(범람원이 있는 면)에 우기시 수중접착제 또는 수중경화 몰탈을 타설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몰탈이 타설되더라도 급격히 상승한 유수에 의하여 유실될 가능성이 높아 급격히 내습하는 홍수에 신속히 대응하고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패널 조립식 홍수저지벽은 패널을 유지하는 기본적인 힘이 스파이크와 수중접착제 또는 수중경화 몰탈로서 홍수범람시 패널 진동에 의해 고정 수중몰탈이 깨어지면 패널자체가 외수압을 견디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체를 주입하여 줌으로써 패널과 유체의 자중에 의해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제방용 월류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거시에 상기 공간에 채워진 물을 배출한 후 간단히 접어서 철거하고 추후 재사용이 가능한 제방용 월류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이 접이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패널; 및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개방된 면을 밀폐하는 막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패널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가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저장된 유체의 자중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월류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막음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에 채워진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패널의 일단부에는 접이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판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앵커부재를 매개로 상기 고정판이 지반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고정판에는 서로 대면하는 면에 대응되는 돌출부와 홈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가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한 쌍의 패널이 면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입구는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패널은 이웃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패널과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연결구와 피연결구가 선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방용 월류방지장치는 외부의 견인장치와 연결되는 결속구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패널은 일정면적을 갖는 하나의 부재가 접이선을 매개로 접이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이선은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패널은 길이 중간에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굽힘영역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패널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채워진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주입구보다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방용 월류방지장치의 사용시 서로 이격된 패널의 하부단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체를 주입하여 유체의 자중에 의해 지지력을 유지함으로써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방을 축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거시 상기 공간에 채워진 유체를 배출한 후 간단히 접어서 철거할 수 있음으로써 시공이 편리하고 추후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홍수저지벽을 나타낸 시공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방용 월류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2의 미사용상태도.
도 6은 도 2의 제방용 월류방지장치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방용 월류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제방용 월류방지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방용 월류방지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방용 월류방지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방용 월류방지장치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방용 월류방지장치(100,100',200)는 한 쌍의 패널(110a,110b,210a,210b) 사이에 내부공간(111)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111)에 유체를 주입하여 유체의 자중에 의해 지지력을 부가함으로써 유사시 신속하게 설치하고 용이하게 철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제방용 월류방지장치(100,100',200)는 한 쌍의 패널(110a,110b,210a,210b) 및 막음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패널(110a,110b,210a,210b)은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측이 접이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패널(110a,110b,210a,210b)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내부공간(111)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111)의 개방된 면은 상기 막음부재(120)에 의해 밀폐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111)에 유체가 저장될 수 있게 된다.
즉, 도 2, 도 7,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패널(110a,110b,210a,210b)은 대략 'ㅅ'자 형상으로 배치되고 개방된 전면, 후면 및 하부면이 상기 막음부재(120)에 의해 각각 밀폐됨으로써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공간(111)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한 쌍의 패널(110a,110b,210a,210b)은 플라스틱과 같은 강성을 갖는 부재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부공간(111)의 개방된 전면, 후면 및 하부면을 밀폐하는 막음부재(120)는 고무와 같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방용 월류방지장치(100)는 사용시에는 한 쌍의 패널(110a,110b,210a,210b)이 'ㅅ'자 형상을 갖도록 배치하여 상기 내부공간(111)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고, 미사용시에는 한 쌍의 패널(110a,110b,210a,210b)이 서로 포개지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패널(110a,110b,210a,210b)은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두 부재로 이루어져 힌지와 같은 연결부재를 매개로 일측이 접이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지만, 일정면적을 갖는 하나의 부재가 접이선(112)을 매개로 접이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부재가 접이선(112)을 매개로 접혀지는 경우 상기 접이선(112)은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홈으로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도록 하여 상기 홈을 따라 일측이 접이되도록 함으로써 접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방용 월류방지장치(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패널(210a,210b)의 길이 중간에 고무와 같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굽힘영역(218)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널의 길이 중간에 굽힘영역(218)이 구비되는 경우 실제 설치과정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중간이 굽힘영역(218)에 의해 굽혀짐으로써 유로가 일직선상이 아닌 굽혀진 부분이 존재하더라도 이에 맞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방용 월류방지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의 길이중간이 일정각도로 굽혀진 대략 'ㄱ'자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여기서, 도면에는 'ㄱ'자 형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ㄷ'자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패널(110a,110b,210a,210b)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111)으로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13)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주입구(113)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11) 측으로 유체를 주입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제방용 월류방지장치(100,100',200)는 별다른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할 필요없이 내부공간(111)에 채워진 유체의 자중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간편하고 빠르게 설치를 마무리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집중호우시와 같이 신속한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도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듦으로써 신속한 대체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입구(113)는 상기 내부공간(111)으로 주입되는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체크밸브는 상기 내부공간(111) 측으로 유체의 주입시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부공간(111)에 신속하게 유체를 채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막음부재(120)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111)에 채워진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122)가 구비된다. 이러한 배출구(1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방용 월류방지장치(100,100',200)의 철거작업시 내부공간(111)에 채워진 유체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패널(110a,110b,210a,210b)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보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부피가 줄이들어 운반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는, 상기 내부공간(111)을 밀폐하는 막음부재(120)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122)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124)에 의해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22)는 상기 내부공간(111)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막음부재(12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캡(124)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캡(124)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배출구(122)가 내부공간(111)의 하부를 밀폐하는 막음부재(120)에 형성되는 경우 내부공간(111)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캡(124)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패널(110a,110b)의 일측에는 외부의 견인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결속구(1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속구(114)는 로프 등을 체결하여 견인장치를 통해 제방용 월류방지장치(100,100',200)를 일방향으로 넘어뜨려 내부공간(111)의 하부면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캡(124)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내부공간(111)에 채워진 유체을 더욱 빠르게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패널(110a,110b,210a,210b) 중 적어도 일측에 별도의 배출구(115)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115)는 상기 주입구(113)보다 하부에 위치된다. 도면에는 내부공간(111)에 채워진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막음부재와 패널에 동시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막음부재 또는 패널 중 어느 한 쪽에만 배출구가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방용 월류방지장치(100,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 서로 이격된 패널(110a,110b,210a,210b)의 하부단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부재(15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유지부재(150)는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패널의 하부단에 고정판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상기 판스프링에 저장된 탄성력을 통해 패널(110a,110b,210a,210b)의 자유단부가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간격유지부재 및 고정판이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하부단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부재를 판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절첩식, 텔레스코픽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한 쌍의 패널(110a,110b,210a,210b)의 하부단에는 접이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판(130a,130b)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판(130a,130b)에는 앵커핀(132)이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131)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공(131)에 앵커핀(132)를 삽입한 후 앵커핀(132)을 지반에 일정길이 매입함으로써 제방용 월류방지장치(100,100',200)가 외력에 의해 넘어지거나 최초의 설치장소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고정판(130a,130b)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힌지와 같은 연결부재를 매개로 패널(110a,110b,210a,210b)의 단부에 접이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한 쌍의 패널(110a,110b,210a,210b)에 접이선(133)을 매개로 접이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고정판(130a,130b)에는 접이시 서로 대면하는 면에 서로 대응하는 돌출부(134a)와 홈부(134b)가 각각 구비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월류방지장치(100,100',200)의 보관 및 운반 과정에서 서로 겹쳐지는 한 쌍의 패널(110a,110b,210a,210b)이 완전히 겹쳐지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부피를 줄이기 위함이다. 즉, 한 쌍의 패널(110a,110b,210a,210b)이 접이선(112)을 매개로 접혀지면 상기 한 쌍의 고정판(130a,130b) 역시 접이선(133)을 매개로 접이되어 일면이 서로 마주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34a)가 홈부(134b)에 삽입되어 한 쌍의 고정판(130a,130b)이 벌어지는 것을 구속함으로써 고정판(130a,130b)과 연결된 한 쌍의 패널(110a,110b,210a,210b) 역시 서로 벌어지는 것을 구속하게 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제방용 월류방지장치(100,200)는 하천이나 바닷물의 범람을 막기 위하여 해안선 또는 하천의 유로를 따라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월류방지장치(100,200)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경우 서로 이웃하는 월류방지장치(100,200)가 연결되어 외력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패널(110a,110b,210a,210b)의 전단측과 후단측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연결구(140a)와 피연결구(140b)가 각각 마련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10a,110b,210a,210b)의 전단 측에는 삽입홈이 구비된 피연결구(140b)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돌기가 구비된 연결구(140a)가 각각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 6의 도면을 기준으로 왼쪽에 배치되는 월류방지장치(100,200)의 연결구(140a)가 오른쪽에 배치되는 월류방지장치(100)에 구비되는 피연결구(140b)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월류방지장치(100,200)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체를 주입하여 유체의 자중에 의해 지지력을 유지함으로써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방을 축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거시 상기 공간에 채워진 유체를 배출한 후 간단히 접어서 철거할 수 있음으로써 시공이 편리하고 추후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설계변형 또는 수정을 통한 등가물, 변형물 및 교체물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을 미리 밝혀둔다.
100,100', 200 :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110a,110b,210a,210b : 패널 111 : 내부공간
112 : 접이선 113 : 주입구
114 : 결속구 115 : 배출구
116 : 캡 218 : 굽힘영역
120 : 막음부재 122a,122b,122c : 막음부재
124 : 배출구 125 : 캡
130a,130b : 고정판 131 : 체결공
132 : 앵커핀 133 : 접이선
134a : 돌출부 134b : 홈부
140a : 연결구 140b : 피연결구
150 : 간격유지부재

Claims (13)

  1. 일측이 접이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패널; 및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개방된 면을 밀폐하는 막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패널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가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저장된 유체의 자중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하는 막음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에 채워진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의 일단부에는 접이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판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앵커부재를 매개로 상기 고정판이 지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판에는 서로 대면하는 면에 대응되는 돌출부와 홈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가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한 쌍의 패널이 면접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은 이웃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패널과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연결구와 피연결구가 선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방용 월류방지장치는 외부의 견인장치와 연결되는 결속구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은 일정면적을 갖는 하나의 부재가 접이선을 매개로 접이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선은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은 길이 중간에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굽힘영역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채워진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주입구보다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방용 월류방지장치의 사용시 서로 이격된 패널의 하부단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KR1020130013482A 2013-02-06 2013-02-06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KR20140100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482A KR20140100321A (ko) 2013-02-06 2013-02-06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482A KR20140100321A (ko) 2013-02-06 2013-02-06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321A true KR20140100321A (ko) 2014-08-14

Family

ID=51746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482A KR20140100321A (ko) 2013-02-06 2013-02-06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03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182A1 (ko) * 2016-03-09 2017-09-14 조준호 표사제어용 블럭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182A1 (ko) * 2016-03-09 2017-09-14 조준호 표사제어용 블럭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887B1 (ko) 가변형 차수 강판 연속벽 흙막이 구조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공법
JP3415802B2 (ja) 止水遮断装置
US20080240861A1 (en) Prefabricated levee apparatus and system
KR101807551B1 (ko) 수밀성이 우수한 차수 플레이트 엄지말뚝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차수 공법
JP2008095330A (ja) 仮締切用作業函
CN106012962A (zh) 一种隐蔽式城市防洪墙
KR20090104424A (ko) 조립식 우수 저장시설
KR20140100321A (ko) 제방용 월류방지장치
KR100702860B1 (ko)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KR100731773B1 (ko)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KR102092644B1 (ko) 터널형 몰딩장치를 이용한 암거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907869B1 (ko) 수밀성 파형강관을 이용한 저류조
KR101817712B1 (ko) 암거 및 암거 시공방법
JP5523022B2 (ja) モバイル式越水防止装置
KR20130039634A (ko) 조립식 우수 저류조
JP2004285801A (ja) 部材間の止水連結方法及び構造
KR101115915B1 (ko) 조립식 저류조
KR101080118B1 (ko) 맨홀과 하수관의 연결 구조
JP2015229906A (ja) マンホール補修方法
CN210459313U (zh) 管廊变形缝防水结构
KR101373110B1 (ko) 조립식 빗물 재이용시설 및 그 설치방법
KR101775665B1 (ko) 조립식 물막이.
WO2023096310A1 (ko) 조립식 범람 방지 시스템
CN212898617U (zh) 应用高分子材料预防隧道施工缝结晶堵管的防排水装置
JP5105158B2 (ja) 地下タンクの底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